KR20240031240A -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집고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집고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240A
KR20240031240A KR1020237045164A KR20237045164A KR20240031240A KR 20240031240 A KR20240031240 A KR 20240031240A KR 1020237045164 A KR1020237045164 A KR 1020237045164A KR 20237045164 A KR20237045164 A KR 20237045164A KR 20240031240 A KR20240031240 A KR 20240031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vertical
recess
invisibl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세프 모스테파이
Original Assignee
플라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네트 filed Critical 플라네트
Publication of KR2024003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두 섹션을 갖는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대소 여부에 관계없이 왼손이나 오른손의 한 손으로 집을 수 있도록 비공선적 로드를 갖는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이는, (수직) 사용 위치에 있을 때 가시적인 부분과 관련하여, 하나의 섹션을 가진 유닛의 경우에 케이싱(3)의 후면(2)에 그리고 시상면(26) 주위에 고정된 두 경사 로드(4)로 구성되어, 손가락을 이러한 경사 로드(4) 아래에서 슬라이딩하여 장치(1)의 기부 양측에서 손가락을 닫을 수 있고, 이는 케이싱(3)을 손에 고정하는 효과가 있어 케이싱을 손쉽게 유지하고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태블릿, e-리더, 및 랩탑 컴퓨터용으로 의도된다.

Description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집고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소형 제조 물체, 특히 케이싱 형태이며 정보를 보고 및/또는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물체의 집기, 유지,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싱의 취급은 전통적으로 (특히, 케이싱이 손바닥 안에 머물지 않아서 케이싱을 이의 2개의 수직 "섹션"으로, 즉 휴대폰과 같이 충분히 작은 경우에 케이싱의 좁은 면으로, 둘러쌀 수 없을 때) 케이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뒷면에 부착되는 장치를 추가함으로써 개선된다. 따라서, 손이 한편으로는 손바닥이 배치된 케이싱의 뒷면에 의해 끼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손등을 누르는 장치의 "상단부"(아래 참조)에 의해 끼이는 상태로 케이싱과 손이 단단히 연결된다.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시부("상단부" 및 "하단부"를 포함)를 갖는데, 이는 대략 "T" 형상(이의 변형은 버섯의 외관이며, 여기서 "상단부"는 한 경우에 "T"의 수평 막대이며, 다른 경우에는 "모자"이고, "하단부"는 각각 "T"의 수직 막대와 버섯의 맨 아래 부분임), 역 "U" 형태(그러므로, 하나의 "갠트리"는 때로는 "브래킷"을 동반하며, "L"도 반전되어 갠트리가 실제 손가락을 위한 역할을 하고 아암은 엄지손가락을 위한 역할을 함), 또는 "O" 형태(손가락이 통과하는 링)이다. 장치의 가시부가 역 "T" 또는 "L" 형태인 경우, 장치의 상부는 "T"형 막대의 수평성을 갖는 것으로 가정되는 "세그먼트"이고(수평성은 명시적이든 묵시적이든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다음 텍스트 전체에 걸쳐 케이싱 뒷면의 수평성으로 가정함), 장치의 하부는 케이싱의 뒷면(수평으로 가정됨, 위 참조)에 수직으로 이식되므로 수직 세그먼트가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하부 수직부는 손이 지간 공간 중 하나에서 이를 둘러싸도록 제공되고, 그런 다음 케이싱이 회전할 위험이 있는 축을 구성할 수 있다. 장치를 파지하는 특정 방식에서, 상부 수평부는 그 자체로 회전 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케이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데 적지 않은 손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이유와 다른 유형의 장치로 인해 숙달이 부족한데, 이는 첫째 케이싱을 다루는 사람의 손가락 크기가 정밀하지 않아 부유 유지하게 만드는 간격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가능한 모든 손가락 등에 맞게 맞춤화된 링이 없고 손가락이 너무 피로할 때마다 이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외에는, 링 장치에 대해 명백하다. 갠트리 및 아암을 가진 장치의 경우, 손가락 치수에 맞출 수 없는 높이 외에, 링과 아암 사이의 거리가 있는데, 이는 손의 단일 크기(폭)에만 대응한다. 한 가지 해결책은 장치가 "T" 형상, 물론 3차원의 "T" 형상과 밀접하게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경우, 문자의 막대를 실린더로 대체하는 것이다. 그러면, 장치의 수직부는 길이를 조절하여 손가락의 직경에 맞게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가변적인 수 및 길이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길이는 대략적으로만(통상적으로, 2밀리미터 단위로) 맞춰질 수 있고, 사용될 세그먼트는 장치의 처음 사용 중에 한 번만 수행되지 않는 조립체인 장치의 수직부를 원하는 길이로 구성하도록 결정되며 장착되고, 세그먼트는 이러한 수직부를 첫 번째의 손가락 크기로 배치하도록 선택되고 장치의 고유 또는 주요 사용자로 간주된다. 그러나, 손의 손가락 직경이 모두 상이하고 하나의 치수에 적절한 조정이 인접 손가락의 치수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 케이싱의 열악한 제어에 대한 또 다른 이유이다. 그리고, 지간 공간 중 하나(및 관련된 두 손가락)에 맞춰진 것은 필연적으로 다른 공간(및 이러한 다른 경우에 관련된 두 손가락)에는 적합하지 않다. 손가락 직경이 오른손과 왼손 사이에 다르고, 손가락 직경이 진행되고 또한 반대 방향으로 케이싱을 다루기 위해 움직이는 손을 바꾸므로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 케이싱을 조작하는 손을 바꾸는 것은 실제로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이보다 먼저 장치의 수직부가 삽입되는 지간 공간을 변경할 필요가 있고, 손가락을 뻗어 케이싱 뒷면을 지속적으로 누른 상태에서 손을 동일한 위치에서 너무 오래 유지하지 말아야 할 의무도 있고; 따라서, 손의 피로, 강직증, 발한 등에 대한 싸움이 필요한 생리적 현실을 고려하여 제약을 받는다.
특히, 피로는 무게에 따라 두 섹션으로 구성된 대형 케이싱이나 기기를 취급하는 고유성으로 인해 두 장치를 서로 가깝게 설치해야 하지만, 이러한 설치는 막 상기된 손가락의 고정된 지지 치수 및 손의 치수에 따라 달라지는 간격으로 인해 예상될 수 없다.
반면에, 장치가 적절한 기구에 의해 케이싱 뒷면(장치의 비가시부)에 마련된 오목부에 접어져야 하는 경우, 이 오목부는 장치의 모든 치수에 맞도록 충분히 커야 하고, 그 폭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지만(장치의 수평 상단부("T"자의 수평 막대 등)의 치수로 정의됨) 그 길이는 수직 하단부의 가능한 모든 길이에 적합하도록 달라지며 제공된 섹션 수 및 지원되는 조합에 의해 조절된다(실제, 수직부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모든 섹션을 움직이는 것은 의미가 없을 수 있음). 이는 최대 치수가 유지되며 게다가 대부분이 비어 있는 오목부를 의미한다(처음 사용하기 전에 조립체에 의해 정의된 길이로 장치가 점유하고(위 참조), 오목부의 나머지는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타 조정이 있을 때까지 계속 비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다한 부피는 거칠기의 존재, 장치의 가시부가 내부에서 접힌 후에 비어 있는 채로 유지되는 오목부 부분의 가장자리의 존재를 두 배로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이와 같이, 이들은 프랑스 출원 FR1904609호/프랑스 공개공보 FR3095359호의 "T"자형 장치에 나타나 있다). 실제로, 제1 특징에 따르면, 설치된 입력/디스플레이 케이싱의 뒷면에 수직인 평면에 포함된 3차원의 대문자 "V" 형태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 문자의 두 경사 로드는 2개의 실린더이다. 이들은 단부 중 하나에서 라운드형이며 문자의 하단에서 함께 이어지고, 장치의 가시부는 케이싱 내부에 매설된 비가시부에 의해 연장된다. 장치 로드의 이러한 경사짐에 의해 장치의 치수를 동일한 기울기로 케이싱을 조작하는 손의 손가락 직경에 대해 조정할 수 있다. 실제로, 손가락은 경사 로드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장치의 대칭 축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함으로써 직경에 적합한 장소를 찾는다. 손가락은 이를 돌출시키고 압박하는 경사 로드와 항상 접촉하므로, 손가락뿐만 아니라 손 전체가 단단히 연결되어 케이싱 뒷면을 누르고, 후자는 안정화되어 부적절한 병진 및 회전 운동을 방지한다. 왼쪽 및 오른쪽 손의 모든 치수에 대해 이러한 맞춤을 편안하게 하는 이러한 장치는 또한 다양한 양식에 따라 (따라서, 손바닥을 부분적으로(""처럼, 아래 참조, 땀의 증발을 허용하고 여기서도 안정된 유지를 확보함) 또는 완전히(장치가 닫힌 주먹으로 클램핑됨, 아래 참조) 접은 손에 의해)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설정을 위해 세 손가락을 움직여 케이싱의 우발적 회전을 방지하고, 또한 상단부가 (가시부가 "T"자인 장치의 경우에서 처럼) 회전 축을 구성할 수 있는 2개의 경사 로드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는 불필요한 큰 부피를 야기하지 않고, 보관 용적을 완전히 채워 케이싱 뒷면에 거칠기가 없게 만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파지하고, 손에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는, 수직 사용 위치에 있을 때 가시부에 대해, 2개의 비공선적 로드로 구성되고, 2개의 원통형 경사 로드는 케이싱의 뒷면에 수직으로 부착됨, 문자 "V" 외관을 갖고, 손가락이 경사 로드 아래로 미끄러져 손이 끼워지고, 손등이 경사 로드의 하단에 대해 손바닥이 케이싱의 뒷면에 대해 있어, 케이싱으로 손을 고정하는 효과가 있고, 출구는 서로에 대해 클램핑되도록 손가락을 지탱하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의해 강화되어 2개의 경사 로드가 만나는 장치의 기부를 둘러싸고, 그 결과 케이싱이 손에 고정된 채 유지되고, 장치는 장치의 기부를 둘러싸는 손가락을 분리하려고 노력을 하자마자 케이싱과 해제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 비공선적이고 문자 "V"의 대칭 이미지를 제공하는, 입력/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의 뒷면에 설치된 장치의 로드는 모든 손가락 크기에 맞게 충분히 길고 및/또는 기울어질 수 있고, 손가락은 직경이 커짐에 따라 장치의 대칭 축에서 멀어짐으로써 적합한 위치를 찾는다.
- "V"가 대칭 축의 하단에 있는 두 경사 로드의 이음부는 수직 로드에 의해 연장된 다음, 장치에 "Y"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 두 경사 로드는 장치의 대칭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싱의 더 나은 결합을 확보하도록 의도된 버터플라이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 장치의 하단은 장치가 수직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비가시부에서 연장될 수 있고, 비가시부는 장치의 대칭 축에 수직으로 회전하여 수직 사용 위치에서 빠져나갈 수 있는 회전 축을 포함하고, 편평하고 수평한 보관을 위해 케이싱의 뒷면에 마련된 오목부에 리트랙션에 의해 감춰지고, 이 오목부의 형상은 "Y" 형상일 수 있다.
- 2개의 수평 탭 및 2개의 수직 탭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오목부의 측벽에서 각각 절단되고, 2개의 수평 탭은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며 2개의 수직 탭은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고, 수평 탭은 장치가 수직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돌출해서 비가시부와 접촉되어 수직 사용 위치에서 장치를 안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수직 탭은 장치가 수평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에 있을 때 돌출해서 가시부와 접촉되어 수평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에서 장치를 안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수평 탭과 수직 탭은 탭에 의해 가해지는 안정화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힘이 장치에 가해질 때 수직 사용 위치의 장치를 수평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도록 추가 구성된다.
- 장치의 비가시부를 프레임화하는 위치에서 리트랙션 오목부의 측방향 벽은 바람직하게는 세 변이 절단된 직사각형인 수평 탭이 제공될 수 있어, 장치의 비가시부가 벽을 밀 때 벽에 들어갈 수 있어 이 수직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빠져나가기 전에 수직 사용 위치에 접근한 다음 장치를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로 가져오기 위해 장치에 충분한 힘이 가해질 때까지 이 수직 위치에서 장치를 안정화시키고, 회전 운동은 오목부의 벽에 수평 탭을 다시 복귀시켜 수평 리트랙팅 보관 위치에 접근하기 위해 장치를 통과시키고, 도달될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세 변이 절단된 직사각형인 수직 탭에서, 세 변, 양측 수직 로드 또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오목부 부분의 다른 측벽의 양측에, 세 변, 경사 로드를 포함하는 오목부 부분의 측벽의 양측에 있고, 수직 탭은 장치가 수평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오목부의 측벽에서 나오고, 그런 다음 수직 사용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거하기 위해 힘이 가해질 때까지 이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에서 차단된다.
- 비가시부는 장치의 대칭 축에 대응하는 회전 축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비가시부는 정면 절반 실린더 및 후면 절반 실린더를 포함하고, 정면 절반 실린더의 하단은 가동 곡선 빗변을 가진 2개의 제1 이등변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된 2개의 접합면에 의해 프레임화된 구체의 1/4인 외관을 취하도록 트리밍되고, 후면 절반 실린더의 하단은 장치의 회전 시 오목부의 후면 내부에 항상 접하는 접촉면을 갖도록 트리밍되고, 오목부는, 장치가 회전하여 수직 사용 위치에 도달할 때 두 대향 접합 위치(33)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고정된 곡선 접합 빗변을 가진 2개의 이등변 제2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된 부분을 더 포함하여, 장치가 수직 사용 위치를 넘어 구동 요소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 장치의 비가시부의 하단은 기본적으로 (재료를 제거하여) 정면부가 1/4 구체가 되도록 라운드형일 수 있고, 후면부는 수평 원통면에 좌측 이중 곡선 삼각형을 갖도록 곡선형일 수 있어, 회전 중에 항상 접촉할 수 있고, 수평 리트랙팅된 위치로부터 수직 사용 위치로 또는 그 반대의 경우로의 구동 요소는 여전히 리트랙션 오목부의 후면의 내벽과 접촉하여 그 부피가 감소된다. 정면부의 플레어는 장치의 회전이 리트랙션 오목부의 하면에 최대한 가깝도록 구성되어 리트랙션 오목부의 깊이를 줄일 수 있다. 비가시부와 오목부는 장치의 수직 사용 위치에 대응하는 약 90°의 각도를 넘어 장치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협력하도록 의도된 접합면을 갖도록 추가 구성될 수 있고, 오목부의 접합면은 두 위치 사이에서 장치의 회전 동안 정면 절반 실린더에 존재하는 1/4 구체 부분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추가 구성된다.
- 장치의 비가시부는 장치의 가시부의 기준 직경, 대응하는 기준 직경, 또는 두 경사 로드의 이음부 아래에 위치된 수직 로드의 직경, 또는 두 경사 로드의 이음부 아래에 수직 로드가 없는 경우 두 경사 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 장치의 비가시부는 동질적으로 확대될 수 있고, 기계적 특성은 오목부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확대된 비가시부를 포함하는 오목부 부분도 이에 따라 확대된다. 확대된 비가시부는 오목부 후면의 내벽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수직 사용 위치에 있는 장치의 가시부는 오목부 위에 수직으로 유지된다. 확대로 인해, 오목부에 의해 감춰진 소위 비가시부는 장치가 수직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평면도에서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다.
- 무거운 케이싱 장치 또는 두 섹션의 경우, 장치는 두 섹션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이중 사본으로 부착되어 계속 사용될 수 있고,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 그(그들의) 지간 공간에 취해진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는 또는 펼쳐진 손가락과 함께 사용되는 단일 장치를 구성하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두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도 제3 가상 장치에 적용되었고, 수직 로드에 의해 형성된 기부의 직경은 기부, 즉 수직 로드, 장치의 직경의 합과 같으며 두 장치를 분리하는 거리만큼 증가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을 보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2개의 로드가 입력/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의 뒷면에 설치된 "V" 형태로 조합되어 있다.
도 2는 세 손가락을 사용한 장치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이 장치의 "Y" 형태의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장치의 경사 로드 아래 공간의 사용이 최적화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지간 공간에 장치를 삽입하기 전에 장치에 접근하는 손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한 손의 지간 공간에 삽입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세 손가락을 사용한 장치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돔형 손을 사용하여 땀을 제거하고 그립을 변경하여 피로를 없애는 장치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닫힌 손을 사용한 장치의 사용으로서, 중앙 지골 사이에 있는 장치의 수직 로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닫힌 손을 사용한 장치의 사용으로서, 엄지와 검지 사이에 있는 장치의 수직 로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2개의 오목부가 제공된 수평 관절이 있는 두 섹션을 가진 장치 케이싱 뒷면에 설치된 2개의 "V"형 장치의 사용을 도시한 것으로, 장치는 (수직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 (수평으로) 집어넣어지게 리트랙팅된다.
도 12는 2개의 오목부가 제공된 수직 관절이 있는 두 섹션을 가진 장치 케이싱 뒷면에 설치된 2개의 "Y"형 장치의 사용을 도시한 것으로, 장치는 (수직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 (수평으로) 집어넣어지게 리트랙팅된다.
도 13은 리트랙션 오목부에서 수평 위치에 있는 장치의 변형을 위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수직 사용 위치에 있는 도 13의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그 부분은 리트랙션 오목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도 15는 수평 직사각형 탭의 상면에 접하는 평면을 따른 두 섹션에서, 오목부에 있는 장치가 제1 섹션에 대한 수직에 접근하는 경사 위치에 있고 제2 섹션에 도달한 수직 사용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수직 직사각형 탭의 정면에 접하는 평면을 따른 두 섹션에서, 오목부에 있는 장치가 제1 섹션에 대한 수평에 접근하는 경사 위치에 있고 제2 섹션에 도달한 수평 사용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장치의 비가시부를 중심으로 한 우측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비가시부의 정면을 중심으로 한 도면에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비가시부의 후면을 중심으로 한 도면에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장치의 가시부와 비가시부 사이의 계면에 위치된 수평면을 따른 섹션에서 수직 사용 위치에 있는 도 14의 장치의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리트랙션 케이싱에 있는 도 20의 장치를 우측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도 14의 장치 및 리트랙션 오목부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장치(1)는 대칭 대문자 "V" 외관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두 경사 로드(4)('분지부')를 포함한다(다음 및 관례에 따라, 참조는 경사 로드(4)와 수직 로드(5)가 구성하는 장치(1)에 관한 문제인 경우 경사 로드(4)와 수직 로드(5)의 내부를 가리키지만, 경사 로드(4) 또는 수직 로드(5)에만 문제가 있는 경우 경사 로드(4)의 가장자리 또는 수직 로드(5)의 가장자리에 관통되지 않고 유지되는 동안 가리킨다. 한편, 이러한 참조가 다음 도면에서 비가시부와 관련된 경우, 각진 화살표를 동반한다.) 장치(1)는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의 케이싱(3)의 뒷면(2)에 부착된다. 두 인접 손가락은, 그 섹션(6)(도 5에 도시된 전방 대칭 평면(27)인 장치(1)의 전방 대칭 평면(27)에 위치됨)이 경사 로드(4)의 밑면 및 케이싱(3)의 뒷면(2)과 접촉하게 하는 위치에서, 장치(1)의 시상면(26) 양측에 배치된다. 고려된 케이싱(3) 및 이에 따른 고려된 장치(1)의 사용을 고려하는 최소 값의 섹션 손가락(8)은 이 섹션(8)에 인접한 최소 세그먼트(7) 및 장치(1)의 대칭 축(25)에 상대적 대칭인 또 다른 최소 세그먼트(7)를 정의한다. 최소 세그먼트(7), 경사 로드(4)의 하단, 및 케이싱(3)의 뒷면(2)은 특정 케이싱(3)에 설치되도록 한 치수로 형성된 장치(1)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형 및 연령의 대중의 임의의 손가락이 점유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이가 너무 작은 빈 구역(11)을 구분한다. 두 경사 로드(4)가 구성하는 장치(1)의 가시부에서, 비가시부(24)는 장치(1)가 사용 중일 때 케이싱(3)의 케이싱 뒷면(2) 위에 수직으로 케이싱(3)에 매설된다. 장치(1)의 비가시부(24)는 장치(1)를 케이싱(3)에 체결하는 것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장치(1)가 수직 사용 위치로부터 뒷면(2) 아래 및 케이싱(3) 내부의 수평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로 회동하게 하는 회전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아래 도 11 및 도 12 참조). 장치(1)의 비가시부(24)는 또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확보하여 장치(1)가 수직 위치에서 사용을 위해 수평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에서 빠져나가게 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장치(1)는 제3 섹션 손가락(6)과 함께 사용되며, 이의 손가락과 지골은 중요하지 않고, 제3 섹션 손가락(6)은 시상면(26)을 따라 장치(1)의 경사 로드(4)의 이음부 위에 위치된 돌출 영역(10)에 배치된다. 반면에, 가장 작은 직경의 손가락에 맞춰지며 가장 현실적이지 않은(따라서, 0 값의 직경) 장치(1)는, 손가락이 손가락을 아래에 위치하게 하는 경사 로드(4)의 상단과 그리고 케이싱(3)의 뒷면(2)과 모두 접촉한다는 사실에 의해 한정되는, 고작 손가락의 섹션(9)에서만 치수가 정해진다. 최대 세그먼트(28)는 이 최대 섹션(9)과 연관된다. 따라서, 최대 세그먼트(28)와 최소 세그먼트(7) 사이의 공간에 돌출된 각 경사 로드(4)의 부분만 사용되는데, 이는 케이싱(3)의 뒷면(2)에 배치된 손가락과만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장치(1)의 두 경사 로드(4)에 추가되고, 원통형의 수직 로드(5)("백본")는 두 경사 로드(4)의 이음부 아래 및 장치(1)의 비가시부(24)("루트") 위에 배치되어 장치(1)의 대안으로 대칭 대문자 "Y" 외관이 제공된다. "Y"형 장치(1)의 변형은 시상면(26)을 따라 장치(1)의 경사 로드(4)의 이음부 위에 위치된 돌출 영역(10)에 제3 손가락을 배치한 채 또한 사용 가능하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장치(1)는, 서로의 하부에 대해, 경사 로드(4) 및 수직 로드(5)와 케이싱(3)의 뒷면(2)과 접촉함으로써 정의된 손가락 섹션(8)에 맞춰진다. 최소 세그먼트(7)는 최소 섹션(8)과 연관된다. 장치(1)는, 서로의 가장 강함을 위해, 여전히 장치가 위치되는 경사 로드(4)의 상단 및 케이싱(3)의 뒷면(2)과 접촉함으로써 정의된 손가락 섹션(9)에 대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최대 세그먼트(28)는 이 최대 섹션(9)과 연관된다. 결과적으로, 양 손은 움직일 수 있는 지간 공간이 상이한 배향을 갖는 장치(1)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1)의 배향을 변경하여 장치(1)의 경사 로드(4)가 고려되는 순간에 경사 로드(4) 아래에 위치된 손가락을 분리하는 지간 공간에 수직으로 유지할 필요도 있다. 이를 위해, 경사 로드(4)는 수직 로드(5)에서 병진 회전이 없는 버터플라이(29) 형태의 기부를 갖는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손은 케이싱(3)의 뒷면(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지간 공간(12) 내에서 그리고 원하는 지골(13) 사이에서 장치(1)를 둘러싼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케이싱(3)의 세로 대칭 축을 따라 케이싱(3)의 뒷면(2)에 설치되어 왼손뿐만 아니라 오른손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안정성을 이유로 케이싱(3)의 무게 중심 위에 설치되는 장치(1)는 원하는 지골(13) 사이의 선택된 지간 공간(12)에 클램핑된다. 장치(1)의 경사 로드(4)에 의해 형성된 버터플라이(29)는 사용된 지간 공간(12)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간 손가락(15)은 장치(1)의 두 경사 로드(4) 위와 사이에 그리고 경사 로드(4) 아래에 있는 손가락(14)과 손가락(16) 사이에 배치되어, 너무 오래 유지되던 이전 그립의 손을 덜어주고, 경사 로드(4)가 손가락(14)과 중간 손가락(15)을 둘러싸는 손가락(16)에 압력을 가하므로 케이싱(3)의 부주의한 회전을 항상 방지하여, 케이싱(3)의 뒷면(2)을 손으로 눌러 회전 방지 안정성을 확보한다.
도 8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수골과 근위 지골을 연결하는 손의 중앙 영역(17)은 케이싱(3)의 뒷면(2)에서 분리되어 공기가 흐르고 땀이 증발할 수 있게 돔을 형성하고, 이는 편안함을 향상시키고 손이 미끄러지고 케이싱(3)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 장치(1)는 손의 돔 형성에 참여하기 위해 올려진 근위 지골 이외의 적응된 지골을 사용한다.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 장치(1)가 중앙 지골(18) 사이에서 닫힌 손으로 파지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이고, 중앙 지골(18) 사이의 단면이 나타나는 수직 로드(5)는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클램핑된 경사 로드(4)에 장애물이 있으므로 회전 축을 구성할 수 없고, 이는 중앙 지골(18)의 상단과 중앙 지골(18)이 눌려지는 케이싱(3)의 뒷면(2) 사이의 접촉을 방지한다.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는 장치(1)가 엄지(19)와 검지(20)와 중지(21) 사이에 클램핑되는 또 다른 유형의 소켓이다. 이번에도, 경사 로드(4)가 검지(20)와 중지(21)를 분리하는 지간 공간의 평면과 일치할 수 있는 평면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수직 로드(5)(단면도)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없고(단면도), 경사 로드(4)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수직 로드(5)에 수직인 평면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사 로드(4) 및 엄지(19)와 검지(20)의 접촉은 엄지(19)의 일부와 검지(20)의 일부가 뒷면(2)에 적용되는 케이싱(3)의 뒷면(2)에 대향된다.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 2개의 "V"형 장치(1)(그러나, "Y" 변형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며 여기에는 사용이 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두 섹션을 가진 상부 케이싱(3)의 뒷면(2)에 조인트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여기서 두 섹션은 수직(30)에 수직하고, 두 장치(1)는 그 사이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장치(1)이고, 장치(1)가 제공된 범위의 크기 중 가장 큰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삽입하는 데 필요한 공간이 제공된다. 두 장치(1) 각각에 인접하게, 이들 장치(1)가 사용 후 리트랙팅되어 보관되는 오목부(22)가 나타난다. 오목부(22) 각각은 장치(1)의 비가시부(24)를 수용하기도 하도록 한 치수로 형성되고, 비가시부(24)는 장치(1) 사용 중일 때 매설되어 케이싱(3)의 뒷면(2)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장치(1)를 케이싱(3)에 체결하는 것을 보장하며 또한 장치(1)가 수직 사용 위치로부터 오목부(22)에서의 수평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로 회동하게 하는 회전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 장치(1)의 비가시부(24)는 장치(1)가 케이싱(3) 내로 리트랙팅될 때 나타나고, 케이싱(3)은 위에서 볼 때 장치(1)의 가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22) 부분과 장치(1)의 비가시부(24)를 수용하는 오목부(22) 부분 사이의 한계이고, 여기서 가상의 라인(23)으로 구체화된다. 손은 장치(1)에 적용되고 케이싱(3)을 파지하고 유지하고, 조작하기 위해 경사 로드(4)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가능성을 활용한다. 지간 공간이 수직(30)과 이루는 각도(양수 및 다른 각도)는 장치(1)의 버터플라이 밸브(29)가 장치(1)의 최적 사용을 확보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지간 공간에 수직이 되도록 동일한 각도(양수 및 다른 각도)에서 회전되어야 함으로 이어진다. 두 장치(1)를 구비함으로써 엄지를 근위 지골과 중수골 사이의 지간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위 지골과 근위로부터 자체적으로 장치의 기부(1)를 거의 완전히 둘러싸게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 이중성을 동시에 또는 특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서, 2개의 "Y"형 장치(1)(그러나, "V"형 변형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며 여기에는 사용이 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안정성을 이유로 조립체의 무게 중심 위에 위치된 수평선을 따라 두 섹션을 가진 장치에 설치되고, 장치(1)는 여기서 수직(30)과 정렬된 두 섹션의 조인트의 양측에서 두 케이싱(3)의 뒷면(2)에 설치되고, 두 장치(1)는 그 사이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장치(1)이고, 장치(1)가 제공된 범위의 크기 중 가장 큰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삽입하는 데 필요한 공간이 제공된다. 두 장치(1) 각각에 인접하게, 이들 장치(1)가 사용 후 리트랙팅되어 보관되는 오목부(22)가 나타난다. 오목부(22) 각각은 장치(1)의 비가시부(24)를 수용하기도 하도록 한 치수로 형성되고, 비가시부(24)는 장치(1) 사용 중일 때 매설되어 케이싱(3)의 뒷면(2)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장치(1)를 케이싱(3)에 체결하는 것을 보장하며 또한 장치(1)가 수직 사용 위치로부터 오목부(22)에서의 수평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로 회동하게 하는 회전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 장치(1)의 비가시부(24)는 장치(1)가 케이싱(3) 내로 리트랙팅될 때 나타나고, 케이싱(3)은 위에서 볼 때 장치(1)의 가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22) 부분과 장치(1)의 비가시부(24)를 수용하는 오목부(22) 부분 사이의 한계이고, 여기서 가상의 라인(23)으로 구체화된다. 손은 장치(1)에 적용되고 케이싱(3)을 파지하고 유지하고, 조작하기 위해 경사 로드(4) 및 수직 로드(5)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가능성을 활용한다. 지간 공간이 수직(30)과 이루는 각도(음수 및 다른 각도)는 장치(1)의 버터플라이(29)가 장치(1)의 최적 사용을 확보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지간 공간에 수직이 되도록 동일한 각도(음수 및 다른 각도)에서 회전되어야 함으로 이어진다. 두 장치(1)를 구비함으로써 엄지를 근위 지골과 중수골 사이의 지간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위 지골과 근위측으로부터 자체적으로 장치의 기부(1)를 거의 완전히 둘러싸게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 이중성을 동시에 또는 특정하게 사용할 수 있고, 엄지의 원위 및 근위 지골을 사용하고 또한 그런 다음 네 손가락 중 하나의 움직임은 제2 장치(1)에 적용되어야 한다.
도 14에 따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장치(1) 및 그 오목부(22)는 모듈 형태로 제공되고, 즉 오목부는 케이싱의 뒷면에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상보적 형상의 공동에 후속적으로 통합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설명된 변형에서, 비가시부(24)를 포함하는 오목부(22)의 두 측방향 벽(23)은 장치(1)를 수직 사용 위치에서 안정화하도록 구성된 2개의 대향 탭을, 여기서는 2개의 수평 직사각형 탭(40)을, 포함한다. 오목부(22)는 또한 수평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에서 오목부(22) 내의 장치(1)를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된 2개의 다른 대향 탭을, 여기서는 수직 직사각형 탭(41)을,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2개의 수직 직사각형 탭(41)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수직 로드(5)를 포함하는 오목부(22)의 측벽(43)에 위치되지만, 수직 직사각형 탭(41)은 경사 로드(4)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함께 대향 측벽(43)에 동일하게 위치될 수 있다. 2개의 수직 직사각형 탭(41)과 2개의 수평 직사각형 탭(40)은 그 세 측면이 이들이 점유하는 측벽(43)에서 절단된다. 유리하게는, 장치(1)가, 수직 사용 위치에서, 비가시부(24)에 의해 오목부(22)의 후면(39) 내부와 접촉함을 유의할 것이다.
장치가 수직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장치(1)는 너무 멀리 위치되어 수직 직사각형 탭(41)은 그 장치(1)에 임의의 작용을 가할 수 없다. 반대로, 수평 직사각형 탭(40)은 오목부(22)의 측벽(43) 외부로 돌출되어 장치(1)의 비가시부(24)와 접촉한다. 그런 다음, 수평 직사각형 탭(40)은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부 힘이 장치(1)를 강제로 수평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를 저장하지 않는 한 장치(1)를 수직 사용 위치에서 유지하는 힘을 가한다.
도 13에서, 도 14의 장치(1)는 오목부(22)에서의 수평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에서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가상선(23)에 의해 장치(1)의 나머지와 분리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비가시부(24)는 오목부(22)에 이에 따라 후속적으로 케이싱(3)에 매설된다. 비가시부(24)는 본원에 설명된 변형에서 수직 로드(5)를 연장하는 수직 미니 로드로서 존재한다. 팁형 가상선(31)이 큰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7)을 둘러싸는 2개의 좌측 이중 곡선 작은 삼각형(38)을 분리함을 유의할 것이다. 여기서도, 비가시부(24)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오목부(22)의 후면(39)의 내부와 접촉한다. 여기서, 2개의 수평 직사각형 탭(40)은 너무 높게 설치되어 장치(1)의 이러한 리트랙팅된 위치에서 비가시부(24)와 접촉할 수 없다. 반면에, 수직 직사각형 탭(41)은 장치(1)와 접촉하고, 상부 반대 힘이 수직 사용 위치에서 드라이브 회전을 위해 오목부(22)의 장치(1)에서 나올 때까지 이러한 수평 리트랙팅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제약하는 힘을 해당 장치(1)에 가한다.
도 15에서, 수평 직사각형 탭(40)의 상면에 접하는 평면을 따라 수행된 상부 섹션에 의해, 비가시부(24)는 큰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7)에 의해 오목부(22)의 후면(39)의 내부와 접촉하게 나타나서, 수평 직사각형 탭(40)이 장치(1)의 비가시부(24)에 대응하는 오목부(22)의 측벽(43)에 들어가도록 강제하여 장치(1)의 수직 사용 위치에 도달하도록 통과할 수 있다.
도 15의 하부 섹션에서, 비가시부(24)는 수직 사용 위치에 도달하여 큰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7)을 통해 오목부(22)의 후면(39)의 내부와 접촉하고, 그런 다음 수평 직사각형 탭(40)은 장치(1)의 비가시부(24)에 대응하는 오목부(22)의 측벽(43)에서 빠져나와 비가시부(24) 및 이에 따른 장치(1)를 수직 사용 위치에서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6에서, 수직 직사각형 탭(41)의 정면에 접하는 평면을 따라 수행된 좌측 절단부에 의해, 수직 로드(5)는 오목부(22)에서 수평 보관 위치 근처에 나타나서, 수직 직사각형 탭(41)이 수직 로드(5)에 대응하는 오목부(22) 부분으로 절단되어 수직 로드(5)에 대응하는 오목부(22)의 측벽(43)으로 들어가도록 강제한다. 위에서 언급한 다른 실시예에서, 경사 로드(4)는 경사 로드(4)에 대응하는 오목부(22) 부분으로 절단된 수직 직사각형 탭(41)이 경사 로드(4)에 대응하는 오목부(22)의 측벽(43)으로 들어가도록 강제하여, 장치(1)가 수평 보관 위치에 도달하도록 통과할 수 있다.
도 16의 우측 섹션에서, 장치(1)는 오목부(22)에서의 수평 보관 위치에 도달하고, 그런 다음 수직 직사각형 탭(41)은 오목부(22)의 측벽(43)에서 나와 장치(1)를 수평 보관 위치에서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7에서, 오목부(22)에서 인출되며 우측에서 보이는 장치(1)는 가상선(23) 아래에 아직 원통형 홀(44)이 관통되지 않은 비가시부(24)가 나타나게 하고, 그 기능은 나중에 설명한다(원통형 홀(44)은 아직 관통되지 않았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시됨).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비가시부(24)는 장치(1)의 로드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또한 이 직경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는 중앙 및 수직에서 전방 대칭 평면(27)에 의해 교차되고, 이를 수평 중간 평면(50)을 통해 다시 통과한다. 전방 대칭 평면(27)과 수평 중간 평면(50)의 교차점은 장치(1)의 회전 축을 정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회전 축(35)을 회전 축으로 갖는 원통형 홀(44)을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원통형 홀(44)은 수직 사용 위치로부터 수평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로 장치(1)를 회전할 수 있도록 의도된 허브(36)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제3사분면(45)과 제4사분면(46)은 각각 3사분면(47)의 평행육면체와 4사분면(48)의 평행육면체의 우측면이고, 이 중 비가시부(24)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의 평행육면체의 공통 중앙 리지(49)는 3사분면(47)의 평행육면체의 정사각면의 가장자리 길이의 두 배이고, 4사분면(48)의 평행육면체의 정사각면의 리지 길이의 두 배는 (사분면의 가상 평행육면체와 마찬가지로 개념적 특성을 나타내는 점선으로) 회전 축(35)에 위치된다. 교차 해칭은 3사분면(47)의 평행육면체에 포함된 비가시부(24)를 구성하는 재료 및 4사분면의 평행육면체(48)에 포함된 비가시부(24)의 재료가 비가시부(24)의 정면 절반 실린더 및 후면 절반 실린더를 트리밍하도록 제거될 것임을 나타내고, 정면 절반 실린더의 트리밍 및 후면 절반 실린더의 트리밍은 도면에서 각각 3사분면 3원호(51) 및 4사분면의 1/4 원호(52)를 드러낸다(아직 수행되지 않은 트리밍은 3사분면 원호(51) 및 4사분면 4원호(52)가 점선으로 표시됨을 의미함). 간단한 해칭은 3사분면(47)의 평행육면체에 포함된 비가시부(24)의 정면 절반 실린더를 구성하는 재료의 부분적 제거를 나타낸다.
도 18에서, 가상선(23)에 의해 장치(1)의 나머지와 분리된 비가시부(24)는, 3사분면 평행육면체(47)에 포함된 정면 절반 실린더 부분에 대해, 비가시부(24)의 정면 및 후면 절반 실린더 사이의 계면에 위치된 곡선 빗변을 가진 이등변 직각 삼각형에 대응하는 2개의 가동 단일 곡선 이등변 직각 삼각형(33)에 의해 프레임화된 1/4 구체(32)의 외관을 취하도록 절단된다. 가동 단일 곡선 이등변 직각 삼각형(33) 두 개가 장치의 가시부의 전방 대칭 평면(27)에 속함을 유의할 것이다.
도 19에서, 3/4 후면에서 본 동일한 장치(1)는 장치(1)의 보관 및 전개를 확보하는 회전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마련된 원통형 홀(44)에 의해 교차되는 비가시부(24)의 가상선(23)에 의해 분리되어 나타난다. 원통형 홀(44)의 회전 축이 장치(1)의 보관 및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1)의 회전 축(35)에 대응함을 여기서 상기할 것이다. 2개의 가동 단일 곡선 이등변 직각 삼각형(33)이 동일한 방식으로 1/4 구체(32)를 프레임화한다. 회전 축이 평행육면체(49)의 공통 중앙 리지로 구성되고 직경이 비가시부(24)의 직경과 동일한 실린더의 일부인 수평 1/4 실린더(34)는 4의 사분면(48)에 포함된다(점선은 가상의 문자를 나타냄). 4사분면 평행육면체(48)에 포함된 비가시부(24)의 후면 절반 실린더 부분과 수평 1/4 실린더(34)의 외부는 트리밍되어, 비가시부(24)의 후면 절반 실린더에서 수평 1/4 실린더(34)와의 교차점에서 2개의 작은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에 의해 프레임화된 큰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7)을 드러낸다. 작은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8)이 끝이 잘린 가상선(31)에 의해 두드러지게 되고, 그의 제3 변이 제공됨을 유의할 것이다. 비가시부의 후면 절반 실린더를 트리밍하여 큰 이중 곡선의 좌측 삼각형(37)을 얻으면 오목부(22)의 후면(39)을 비가시부에 더 가깝게 함으로써 비가시부를 둘러싸는 오목부 부분의 치수를 줄일 수 있어, 회전 중에 오목부(22)의 후면(39)은 큰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7)에 항상 인접한다. 비가시부(24)의 후면 절반 실린더의 하단 트리밍이 없으면, 오목부의 후면(39)은 비가시부(24)의 후면에서 더 멀어져 부피가 증가하고 장치가 회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먼지를 포함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트리밍으로 인한 큰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7) 또는 수직 사용 위치와 수평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 사이의 회전 위치는 항상 오목부(22)의 후면(39) 내부에 접한다. 따라서, 큰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7)은 장치(1)의 회전 중에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22)의 후면(39) 내부에 접하는 소위 접촉면을 정의한다.
도 22는 "Y"형 변형의 장치(1), 경사 로드(4), 수직 로드(5), 원통형 홀(44)이 관통되어 수직 사용 위치와 수평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 사이에서 회전 축(35)을 중심으로 한 장치의 회전을 확보하도록 허브(36)를 수용하는 비가시부(24)를 나타낸 부분 분해도이다. 허브(36)는 또한 사용을 위해 장치(1)를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장치(1)를 오목부(22)로 고정하는 데 사용되고, 한편으로는 큰 이중 곡선 좌측 삼각형(37)을 통해 비가시부(24)의 후면으로부터 오목부(22)의 후면(39) 내부와의 이중 접촉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련된 오목부(22)의 측벽(43) 외부로 돌출된 수평 탭(40)의 압력에 의한 것보다 오목부(22)의 2개의 고정된 단일 곡선 이등변 직각 삼각형(42)에 대해 적용된 비가시부(24)의 2개의 가동 단일 곡선 이등변 직각 삼각형(33)의 이중 접촉에 의해 수직 위치에서 유지된다. 허브(36)는 또한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에서 장치(1)를 오목부(22)와 연결하고, 이 리트랙팅된 위치에서, 한편으로는 오목부(22)의 하단과의 접촉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생성된 오목부(22)의 측벽(43)에서 빠져나가는 수직 탭(41)의 압력에 의해 장치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와 수직 사용 위치 사이에서 장치의 회전은 형상이 회전 동안 오목부에 인접하기 위한 2개의 고정된 단일 곡선 이등변 직각 삼각형(42) 위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전면 절반 실린더 상의 1/4 구체(32)의 존재에 의해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유의할 것이다. 2개의 고정된 단일 곡선 이등변 직각 삼각형(42)은 직각 변이 오목부(22)의 하단 벽 및 측벽에 평행하도록 마련된 곡선 빗변을 가진 이등변 직각 삼각형에 대응함을 유의할 것이다. 더욱이, 2개의 빗변은 단부 대 단부로 배치되어 장치의 회전 중에 1/4 구체 부분(3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반원을 형성한다.
도 20은 장치(1)의 비가시부(24)와 가시부 사이의 계면에 위치된 수평면을 따라 절단이 수행된 수직 사용 위치에 있는 장치(1)의 평면도의 단면이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비가시부(24)의 섹션과 비가시부(24)를 포함하는 오목부(22)의 부분은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치수는 필요한 만큼 견고성 및 이에 따른 장치(1)를 오목부(3)에 체결하는 견고성을 증가시키도록 확대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비가시부(24)의 직경은 수직 로드(4)의 직경보다 크다. 이 경우, 장치(1)의 비가시부(24)가 오목부(22)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비가시부(24)에 대해 동질적으로 확대되고, 그 결과 장치(1)의 비가시부(24)의 확대는 이러한 비가시부(24)를 포함하는 오목부(22)의 부분을 확대하여, 장치(1)의 가시부를 오목부(22)의 후면과 완전히 변경되지 않는 수직 사용 위치에서 유지하는 비가시부(24)를 확대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비가시부(24)는 평면도에서 수직 위치에 있는 장치(1)의 가시부에 의해 더 이상 감춰지지 않는다.
가시부(도 1 참조)에 수직 로드를 포함하지 않는 V형 장치의 경우, 비가시부(24)도 두 경사 로드(4)와의 이음부 아래에 위치된 장치(1)의 대칭 축(26)에 대응하는 회전 축을 가진 실린더 형상을 가짐을 유의할 것이다. 그런 다음, 직경은 경사 로드(4)의 강도 및 이에 따른 케이싱(3)에 대한 장치(1)의 체결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경사 로드(4)의 직경보다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장치(1)의 가시부가 경사 로드의 길이 및 배열(경사 로드의 각도 및 길이, "Y"형 장치에 대한 수직 로드의 높이)을 조정하여 상이한 소정의 손가락 크기에 적합하도록 정의됨을 유의할 것이다. 더 나아가, 장치의 가시부는,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로드의 직경은, 장치를 사용하려는 손가락 사이의 지간 공간의 함수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21은, 이러한 동일 변형에 대해, 3차원으로 확대된 비가시부(24) 및 비가시부(24)를 포함하는 오목부(22)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고, 비가시부(24)는 확대 전의 상황과 관련하여 변경되지 않은 방식으로 오목부(22)와 같은 높이로 유지되면서 오목부(22)의 후면(39) 내부와 접촉된 채로 유지되고, 비가시부(24)에 대응하는 오목부(22)의 부분은 비가시부(24)의 확대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연장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장치는 경사 로드 각각에 대해 약 2.5 cm 길이(및 존재하는 경우 수직 로드에 대해 1cm)의 치수를 가질 것이고, 후자(장소가 있다면, 후자의 경우)의 직경은 0.5cm이어서, 이들 사이에 120도의 각도 1개(2개)를 형성한다(필요에 따라, 3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태블릿, e-리더, 및 랩탑 컴퓨터용으로 의도된다.

Claims (8)

  1.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파지하고, 손으로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장치는, 수직 사용 위치에 있을 때 가시부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싱(3)의 뒷면(2)에 부착된 2개의 비공선적인 원통형 경사 로드(4)로 구성되고 문자 "V" 외관을 갖고, 한 손의 손가락이 상기 경사 로드(4) 아래로 미끄러져 손이 끼워지고, 손등이 상기 경사 로드(4)의 하단에 대해 손바닥이 상기 케이싱(3)의 뒷면(2)에 대해 있어, 상기 케이싱(3)으로 손을 고정하는 효과가 있고, 출구는 서로에 대해 클램핑되도록 손가락을 지탱하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의해 강화되어 상기 2개의 경사 로드(4)가 만나는 상기 장치(1)의 기부에서도 조여져, 그 결과 상기 케이싱(3)이 손에 고정된 채 유지되고, 상기 장치(1)는 상기 장치(1)의 기부를 둘러싸는 손가락을 분리하려고 노력을 하자마자 상기 케이싱(3)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경사 로드(4)의 이음부 아래에 수직 로드(5)가 위치되고, 상기 장치(1)의 가시부는 "Y" 형태인,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로드들(4)은 병진 회전 없이 버터플라이(29)의 구성으로 조합되는,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 형태의 오목부(22)가 상기 케이싱(3)의 뒷면(2)에 마련되고, 상기 장치(1)로부터 상기 케이싱(3)의 뒷면(2) 위에 나타난 상기 가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장치(1)가 상기 케이싱(3)의 뒷면(2) 위에 상기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케이싱(3)에 위치된 비가시부(24)를 상기 장치(1)로부터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가시부(24)는 상기 장치(1)를 상기 케이싱(3)에 체결하는 것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회전을 확보하도로 구성되어 상기 장치(1)를 회동시켜 상기 장치(1)를 상기 오목부(22)에 보관 및 리트랙팅할 수 있는,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수평 탭(40) 및 2개의 수직 탭(41)이 서로 반대편에 있는 상기 오목부(22)의 측벽(43)에서 각각 절단됨으로써, 상기 2개의 수평 탭(40)은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며 상기 2개의 수직 탭(41)은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고, 상기 수평 탭(40)은 상기 장치가 상기 수직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돌출해서 상기 비가시부(24)와 접촉되어 상기 수직 사용 위치에서 상기 장치를 안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직 탭(41)은 상기 장치가 수평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에 있을 때 돌출해서 상기 가시부와 접촉되어 상기 수평 리트랙팅된 보관 위치에서 상기 장치를 안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 탭(40)과 상기 수직 탭(41)은 상기 탭에 의해 가해지는 안정화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힘이 상기 장치에 가해질 때 상기 장치를 상기 수평 리트랙션 및 보관 위치에서 상기 수직 사용 위치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도록 추가 구성되는, 장치(1).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시부(24)는 상기 장치(1)의 대칭 축(26)에 대응하는 회전 축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비가시부(24)는 정면 절반 실린더 및 후면 절반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 절반 실린더의 하단은 가동 곡선 빗변(33)을 가진 2개의 제1 이등변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된 2개의 접합면에 의해 프레임화된 구체(32)의 1/4인 외관을 취하도록 트리밍되고, 상기 후면 절반 실린더의 하단은 상기 장치(1)의 회전 시 상기 오목부(22)의 후면(39) 내부에 항상 접하는 접촉면(37)을 갖도록 트리밍되고, 상기 오목부(22)는, 상기 장치(1)가 회전하여 수직 사용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두 대향 접합 위치(33)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고정된 곡선 접합 빗변(42)을 가진 2개의 이등변 제2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된 부분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장치(1)가 수직 사용 위치를 넘어 구동 요소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의 비가시부(24)는 상기 장치의 가시부의 기준 직경, 상기 대응하는 기준 직경, 또는 상기 두 경사 로드(4)의 이음부 아래에 위치된 수직 로드의 직경, 또는 상기 두 경사 로드의 이음부 아래에 수직 로드가 없는 경우 상기 두 경사 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장치(1).
  8.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파지하고, 손으로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두 장치(1)를 포함하고, 상기 두 장치(1)는 상기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의 케이싱(3)의 뒷면(2)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이 두 섹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의 두 케이싱(3)의 뒷면(2)에 부착되어, 인접한 손가락으로 둘러싸인 하나 및/또는 다른 장치(1)의 기부이거나 또는 두 장치(1) 중 하나이고, 둘 모두는 마치 가상적으로 먼 손가락에 의한 단일 장치(1)로만 이루어진 것 처럼, 이에 따라 엄지에 의한 장치(1)로, 및 귀에 의한 다른 장치(1)로 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37045164A 2021-06-05 2022-06-03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집고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장치 KR20240031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5938A FR3123775B1 (fr) 2021-06-05 2021-06-05 Dispositif pour la préhension, la tenue en main et le maniement d’appareils de saisie-visualisation
FRFR2105938 2021-06-05
PCT/FR2022/051069 WO2022254166A1 (fr) 2021-06-05 2022-06-03 Dispositif pour la préhension, la tenue en main et le maniement d'appareils de saisie-visualis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40A true KR20240031240A (ko) 2024-03-07

Family

ID=7751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164A KR20240031240A (ko) 2021-06-05 2022-06-03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집고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348992A1 (ko)
KR (1) KR20240031240A (ko)
CN (1) CN117999778A (ko)
AU (1) AU2022287267A1 (ko)
BR (1) BR112023025490A2 (ko)
CA (1) CA3220844A1 (ko)
FR (1) FR3123775B1 (ko)
WO (1) WO202225416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2875B1 (en) * 2011-12-22 2014-06-17 Michael J. Gerhardt Electronic device holding system
US20150084356A1 (en) * 2013-09-21 2015-03-26 Hinh Quang Dinh Thumb-Free Finger Grip for Tablet Computers
US20190126154A1 (en) * 2017-10-30 2019-05-02 Joshua N. Sears Spinning device
FR3095359B1 (fr) 2019-04-29 2022-05-13 Mostefai Youcef Dispositif pour la préhension, la tenue en main et le maniement des boitiers d'appareils de saisie visuali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4166A1 (fr) 2022-12-08
CN117999778A (zh) 2024-05-07
FR3123775A1 (fr) 2022-12-09
EP4348992A1 (fr) 2024-04-10
AU2022287267A1 (en) 2024-01-04
FR3123775B1 (fr) 2023-05-26
BR112023025490A2 (pt) 2024-02-27
CA3220844A1 (fr)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50634S1 (en) Detachable selfie stick tripod
CA2183354A1 (en) Capped locking clamp for manipulation of surgical implants
US5351679A (en) Surgical endoscopic retractor instrument
US6723128B2 (en) Prosthetic device for correcting deformity of spine
ES2223461T3 (es) Dispositivo para la inyeccion de una lentilla intra-ocular de material flexible.
EP3906837B1 (en) Handle for an endoscope
US4989813A (en) Supporting base for controlling height, swivel and inclination of display means
USD467657S1 (en) Hand held surgical instrument
EP2124757B1 (en) Improved atrial retractor
USD980230S1 (en) Display stand with articulating arm
KR20240031240A (ko) 입력/디스플레이 유닛을 집고 유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장치
WO2020251344A1 (es) Prótesis de dedo con activación biológica ajustable
EP2437919A1 (en) Skewed-axis three degree-of-freedom remote-center gimbal
KR20090052624A (ko)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USD919930S1 (en) Pair of surgical gloves with removal means
KR20170112209A (ko)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FR3095359A1 (fr) Dispositif pour la préhension, la tenue en main et le maniement des boitiers d'appareils de saisie visualisation.
CN216675808U (zh) 一种多关节器械撑开器及撑开器组件
KR200487817Y1 (ko) 독서대
US20220054178A1 (en) Surgical screwdriver
CN113143549A (zh) 侧方入路融合器
JP3232606U (ja) 自立式スタンド
KR101979748B1 (ko)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가이드
JP3115381U (ja) モニタスタンド
KR200190601Y1 (ko) 책의 쓰러짐 방지 경사 받침대를 갖는 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