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185A -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185A
KR20240031185A KR1020230114950A KR20230114950A KR20240031185A KR 20240031185 A KR20240031185 A KR 20240031185A KR 1020230114950 A KR1020230114950 A KR 1020230114950A KR 20230114950 A KR20230114950 A KR 20230114950A KR 20240031185 A KR20240031185 A KR 20240031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ulfur battery
voltage
curr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선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8378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30924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PCT/KR2023/0129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49216A1/ko
Publication of KR2024003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1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algorithms, flow charts, software detail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리튬황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리튬황 전지의 전압을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키기 위해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의 전압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리튬황 전지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전류 인가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를 제공하여,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에서 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Gas suppression device and suppression method for lithium sulfur battery}
본 발명은 리튬황 전지의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장치와 가스를 억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대한민국에서 2022년 8월 31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2-0110383호 및 2022년 12월 23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2-018378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휴대폰,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및 캠코더, 나아가서는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및 에너지 저장 장치와 시스템의 에너지까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전기화학소자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전기화학소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이고, 그 중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황 전지 등의 이차전지의 개발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이차전지를 개발함에 있어서 용량 밀도 및 비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전극과 전지의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차전지 가운데 리튬황(LiS) 전지는 EV, HEV 및 에너지 저장장치와 시스템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져,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이차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리튬황은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것으로, 리튬황 전지 내에서 방전 시 황의 환원 반응과 리튬 메탈의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이 때, 황은 고리 구조의 S8로부터 선형 구조의 리튬 폴리설파이드(Li2S2, Li2S4, Li2S6, Li2S8)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리튬-황 전지는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PS)가 완전히 LiS로 환원되기까지 단계적 방전 전압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리튬황 전지의 중간 생성물인 리튬 폴리설파이드는 전해질에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방전 반응 중에 지속적으로 녹아 나와 양극 활물질의 양이 감소하고, 전해질과의 반응으로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전지 퇴화가 가속되고 가스 발생으로 인해 전지의 부피가 팽창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리튬황 전지는 고온에서 노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가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리튬황 전지는 고온에 취약하고,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전해질의 반응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는 것이 가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튬황 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가스를 미리 발생시켜 제거해주는 것으로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시도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제조된 리튬황 전지를 EV, HEV 및 에너지 저장 장치와 시스템에 장착한 후 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스 발생을 억제하거나 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의 양극에 코팅을 하거나, 분리막에 첨가하거나 또는 전해질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더 많은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고, 특히 리튬황 전지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의 가스 억제 장치 및 가스 억제을 통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제1 구현예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의 가스를 억제하는 장치에 있어서,
리튬황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압 측정부;
상기 리튬황 전지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전류 인가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의 전압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리튬황 전지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전류 인가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2 구현예는, 제1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전류 인가부가 상기 리튬황 전지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3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또는 제2 구현예에 있어서,
리튬황 전지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수납부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상기 전압 측정부의 전압 측정 주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4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3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5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4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류 인가부는 상기 리튬황 전지로 0.01C 이하의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6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5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이후 24시간을 초과하기 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리튬황 전지는 상기 활성화 단계가 종료된 상태로부터 24시간 이내인 것이며, 즉, 활성화 단계가 완료된 직후의 것이다.
제7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6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SOC가 90% 이상이 되도록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8 구현예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의 가스를 억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에 따라 리튬황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압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리튬황 전지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의해 상기 리튬황 전지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은 제1 내지 제7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단계즉, 리튬황 전지가 수행된 활성화 단계는 상기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보다 선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9 구현예는, 제8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측정된 전압을 기준 전압(특히,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리튬황 전지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10 구현예는, 제8 구현예 또는 제9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를 수납부에 수납된 것이고,
상기 수납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 측정단계는 상기 측정된 수납부의 온도에 따라서 전압 측정 주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의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11 구현예는, 제10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12 구현예는, 제8 구현예 내지 제11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류 인가 단계는, 전류를 0.01C이하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에 초당 0.01A의 전류를 인가 하는 것이다.
제13 구현예는, 제8 구현예 내지 제12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전지 케이스에 수납된 것이고,
상기 전류 인가 단계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부피 변화가 1% 이하가 되도록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14 구현예는, 제8 구현예 내지 제13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리튬황 전지를 1회 이상 충전 및 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15 구현예는, 제8 구현예 내지 제14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리튬황 전지를 0.02C 내지 5C의 전류로 충전 및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16 구현예는, 제8 구현예 내지 제15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상기 활성화 단계에서 발생한 가스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구현예들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튬황 전지의 가스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리튬황 전지를 고온의 환경에 저장 또는 설치하는 경우에,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리튬황 전지의 방전으로 발생하는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어 발생하는 가스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고,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유기 용매나 리튬염과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셀 열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여러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각 실시 구성에서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효과 등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황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를 적용한 일 구현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를 적용한 일 구현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를 적용한 일 구현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리튬황 전지의 전압 및 전류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들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발명을 한정할 의도가 아니며, 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한 경우, 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포함하는", "구성하는", "함유하는" 등과 같은 용어는 명시적으로 제외되지 않는 한 "구성되는"의 의미를 가질 가능성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라는 표현은 "A, B 또는 이들 둘 모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설파이드"는 "폴리설파이드 이온(Sx 2-, x = 8, 6, 4, 2))" 및 "리튬 폴리설파이드(Li2Sx or LiSx, x = 8, 6, 4, 2)"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에서, 유사한 장치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부"는, 전기회로,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회로, 논리 전기회로 및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류 인가부"는 전류를 인가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압 측정부"는 전압을 측정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이후의 리튬황 전지에 대하여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는 리튬황 전지에서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데 적합하며, 여기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리튬황 전지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활성화 단계를 적용한 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단계는 포메이션(formation)과정 및 디개싱(degassing)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메이션 과정은 전지를 충전 및 방전하여 전지의 용량을 확인하고 활성화시키는 과정으로, 예를 들어 0.02C 내지 5C의 전류로 리튬-황 배터리를 충방전함으로써 리튬황 전지를 활성화 시킬 수있다. 상기 디개싱 과정은 포메이션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활성화 단계에서는 리튬황 전지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활성화 단계에서 리튬황 전지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과 별개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가스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리튬황 전지는 예를 들어, 전자 및 전기 장치, EV 및 HEV,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시스템에 제조 및 저장 또는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황 전지의 사시도이다.
리튬황 전지(10)의 전지 케이스(20)의 형상은 코인형,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일 수 있다. 전지 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조립체(30)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의 충방전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상기 전극 조립체(30)는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일 수 있으며, 상기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은 시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시트 형태가 권취된 상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복수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으로 적층된 스택형 일 수 있으며, 또는 스택형 단위셀에 긴 길이의 분리막을 감은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일 수 있다.
전지 케이스에는 충전 및 방전 중 전극 조립체의 도관 역할을 하는 전해질이 함유 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테르계 전해질과 같은 액체 유기 전해질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액체 또는 고체 기반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양극 리드(40) 및 음극 리드(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은 전지 케이스(20)의 상면에 상기 양극 리드(40)와 음극 리드(50)이 함께 배치된 리튬황 전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은 전지 케이스(20)의 상면에서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 사이에 리튬황 전지의 안전을 위해 마련되는 밴팅부(60)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여 밴팅부(60)가 활성화되면, 밴팅부(60)은 리튬황 전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상기 리튬황 전지의 충전 및 방전은 방전시 음극으로부터 리튬이 탈리되는 것과 충전시 음극으로 리튬이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며, 하기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방전:
황은 하기와 같이 리튬 이온(Li+)과 전자(e-)를 받아 환원되고,
S8 + 16Li+ + 16e- → 8L2S
리튬 금속은 하기와 같이 리튬 이온(Li+)과 전자(e-)를 제공하며 산화된다.
Li → Li+ + e-
충전:
황은 하기와 같이 리튬 이온(Li+)과 전자(e-)를 제공하며 산화되고,
8L2S → S8 + 16Li+ + 16e
리튬 금속은 하기와 같이 리튬 이온(Li+)과 전자(e-)를 받아 환원된다.
Li+ + e- → Li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는 가스 억제 장치(100)는 전압 측정부(110), 전류 인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압 측정부(110)는 리튬 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측정부(110)은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 측정부(110)는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는 각각 리튬황 전지(10)의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리드 또는 음극 리드에 각각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구성에서, 전압 측정부(110)는,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가 각각 리튬황 전지(10)의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압 측정부(110)는, 이와 같이 측정된 전압 측정 결과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전류 인가부(120)는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 인가부(120)는 전압 측정부(110)에 포함된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이용하여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시킬 수 있다. 또는, 전류 인가부(120)는 리튬황 전지(10)의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각각 접촉하는 별도의 양극 접촉 단자 및 별도의 음극 접촉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류 인가부 (120)은 이를 이용하여 Ÿ뮤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전압 측정부(110)의 전압 측정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전류 인가부(1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전류 인가부(120)의 전류 크기나 전류 공급량, 전류 인가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전류 인가부(120)로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논리 전기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반도체 메모리 또는 외부 저장 매체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러한 전류 인가부(120)의 제어를 통해,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전압 측정부(110)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류 인가부(120)의 전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리튬황 전지(10)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리튬황 전지(10)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리튬황 전지(10)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리튬황 전지에 데미지가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켜 폭발의 위험성을 낮춰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따르면, 리튬황 전지(10)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리튬황 전지(10)의 방전 과정에서, 양극 활물질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중간생성물인 리튬폴리설파이드는 전해액에 쉽게 용해되는 성질을 갖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에 의해 리튬황 전지(10)의 방전이 방지되므로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어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양극 활물질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해액이 변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의 실시 구성에 따르면, 리튬황 전지(10)가 상온(예를 들어, 23℃)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 저장될 때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10)가 30℃ 이상 또는 40℃ 이상에서 보관되는 경우 가스가 발생하기 쉬울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를 리튬황 전지(10)에 적용하는 경우 리튬황 전지(10)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비교적 간편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어부(130)는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리튬황 전지(10)의 완전 충전 전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전압은 리튬황 전지(10)의 완전 충전 전압의 90%, 95%, 98% 또는 100%가 되는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준 전압은, 리튬황 전지(10)의 종류나 제조 방법, 보관 방법, 리튬황 전지가 설치된 장치, 차량 또는 시스템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준 전압은, 제어부(130)에 내장된 메모리(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제어부(130)의 외부에 구비된 다른 다양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압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전압이 2.4V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전압 측정부(110)에 의한 측정 전압이 2.4V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제어부(130)는 전류 인가부(120)를 제어하여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와 같이, 기준 전압이 2.4V로 설정된 상태에서, 리튬황 전지(10)의 측정 전압이 2.4V 미만, 이를테면 2.39V인 경우, 제어부(130)는 전류 인가부(120)로 하여금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현예에 의하면, 리튬황 전지(10)의 가스 억제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리튬황 전지(10)가 방전되는 경우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생성될 수 있는데, 상기 구현예와 같이 기준 전압을 리튬황 전지(10)의 완전 충전 전압에 근사하게 설정함으로써, 리튬황 전지(10)가 방전되는 즉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생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튬황 전지(10)에서 가스가 생성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의 전압 측정부(11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전압 측정부(110)는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0.01 초 내지 1시간, 0.1초 내지 10분 또는 5초마다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전압 측정부(110)는 0.01초 내지 100초 이내의 범위에서 특정 주기마다 전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전압 측정 주기는 리튬황 전지(10)의 종류나 주변 온도 등, 여러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튬황 전지를 수납하는 수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40)은 상기 가스 억제 장치(10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부(140)는 다양한 형태, 모양 크기 내지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140)는 전자 장치의 리튬황 전지를 위한 저장 공간일 수 있고, EV 또는 HEV의 리튬황 전지 팩을 위한 저장 공간일 수 있고, 리튬황 전지를 위한 저장 챔버,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리튬황 전지를 위한 저장 공간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부(14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리튬황 전지(10)를 수납 내지 보관 또는 설치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40)는 리튬황 전지(10)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의 전압 측정부(110), 전류 인가부(120) 및 제어부(130)가 모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40)는 하나 이상의 리튬황 전지(10)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리튬황 전지(10)를 수납부(140)에 수납하는 것으로 수납부(140) 외부 환경에 리튬황 전지(10)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140)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리튬황 전지(10)를 보호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울(enclosur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의 리튬황 전지(10) 및 전압 측정부(110), 전류 인가부(120) 및 제어부(130)를 외부의 기계적(충격, 낙하 등)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예를 들어, 충격 흡수 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는 온도 측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150)는 리튬황 전지(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 측정부(150)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측정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의 주변 온도, 리튬황 전지(10)의 표면 온도, 리튬황 전지(10)의 주변온도, 및/또는 리튬황 전지(10)가 수납부(140)에 수납된다면 수납부(140)의 온도 등 다양한 위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150)는 측정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된 온도 정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의 주변 온도, 리튬황 전지(10)의 표면 온도, 리튬황 전지(10)의 주변 온도, 및/또는 수납부(140)의 온도 등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온도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에 따라서 전압 측정부(110)의 전압 측정 주기(특히, 전압이 측정되는 시간 간격)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기준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제어부(130)의 메모리나 다른 구성요소(제어부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저장매체 등)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온도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온도를 미리 설정된(및/또는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온도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30)는 전압 측정부(110)의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전압 측정부(110)의 전압 측정 주기가 100초인 상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아지게 되면, 제어부(130)는 전압 측정 주기가 10초가 되도록 전압 측정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리튬황 전지(10)는 높은 온도에서 방전되는 속도가 더욱 빠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하면, 방전 속도가 빠른 온도 구간에서 전압을 측정하는 주기를 짧게 함으로써 리튬황 전지(10)가 방전되는 즉시(또는 미리) 전류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고, 가스 억제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반면, 온도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전압 측정부(110)의 전압 측정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리튬황 전지(10)는 낮은 온도에서는 방전되는 속도가 느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압 전압 측정부(110)가 전압을 측정하는 주기를 길게 하여 잦은 전압 측정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전류 인가부(120)는 0.01C 이하의 C-rate로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전류 인가부(120)는 0.0005C 이상, 0.001C 이상 또는 0.005C 이상의 C-rate로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류 인가부(120)는 리튬황 전지(10)로 0.01C 이하 또는 0.0005C 이상의 C-rate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류 인가부(120)의 C-rate 제어 동작은 제어부(1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적용되는 리튬황 전지(10)가 일정 수준 이상 방전된 상태인 경우 전류 인가부(120)는 0.02C 내지 5C의 C-rate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인가부(120)는 0.02C 이상, 0.05C 이상, 0.1C 이상 또는 0.5C 이상의 C-rate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인가부(120)는 2C 이하 또는 1C 이하와 같이 설정된 C-레이트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류 인가부(120)는, 0.02C 내지 2C, 0.05C 내지 2C, 0.05C 내지 1C, 0.1C 내지 1C, 또는 0.5C 내지 1C와 같은 여러 설정 C-rate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특히, 전류 인가부(120)는, 리튬황 전지(10)의 SOC(State Of Charge)에 따라, 인가 전류 C-rate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전류 인가부(120)는, 리튬황 전지(10)의 SOC가 증가하는 경우, 인가 전류 C-rate가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10)의 SOC가 97% 이하(예컨대, 90% 내지 97%)인 경우, 전류 인가부(120)는 0.02C 내지 0.05C 또는 0.02C의 C-rate로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리튬황 전지(10)의 SOC가 97%(예컨대, 98% 내지 99.5% 또는 98% 내지 99.9%)를 초과하는 경우, 전류 인가부(120)는 0.005C 내지 0.01C 또는 0.01C의 C-rate로, C-rate를 낮추어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구성에서 전류 인가부(120)는, 일정 수준까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C-rate로 리튬황 전지(10)를 충전시키다가, 이후 리튬황 전지(10)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전된 경우에는 낮은 C-rate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리튬황 전지(10)의 SOC가 낮을 때는 고속 충전을 할 수 있게 되고, SOC가 높아지면 안전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리튬황 전지(10)로 인가되는 전류는 상기 수치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튬황 전지(10)를 과충전 시키거나 전지 자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리튬황 전지(10)를 적절하게 충전할 수 있는 C-rate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황 전지(10)의 가스 억제 장치(100)는 온도 조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160)는, 수납부(14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부(160)는 수납부(140)의 온도가 원하는 결과에 따라서, 0℃ 내지 40℃, 10℃ 내지 40℃, 20℃ 내지 40℃ 또는 상온(23℃)에서 40℃를 유지하도록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온도 조절부(160)에 의해 조절되는 수납부(140)의 온도는, 상기와 같은 온도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하는 결과에 따라서 리튬황 전지(10)를 수납하기에 적절한 다른 다양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리튬황 전지(10)를 적절한 온도에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보관되는 온도는 상기 앞서 설명한 범위의 온도일 수 있다.. 특히, 고온의 상황에서는 리튬황 전지(10)가 빠르게 방전될 수도 있는데, 온도 조절부(160)가 리튬황 전지(10)를 보관하는 수납부(14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리튬황 전지(10)가 빠르게 방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에 온도 측정부(150)가 함께 포함되는 경우, 온도 측정부(150)가 수납부(140) 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수납부(140) 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초과 또는 미달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온도 조절부(160)로 하여금 상기 수납부(140) 내의 온도를 기준 범위 내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16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조종될 수 있으며 냉방기, 난방기 또는 냉난방 겸용기이거나 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납부(140)에 수납되는 리튬황 전지(10)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이후 24시간을 초과하기 전의 상태인 것일 수 있다. 즉, 수납부(140)는, 리튬황 전지(10)가 활성화 단계를 거친 이후 24시간을 넘기 전에 내부 공간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에 적용되는 리튬황 전지는 활성화 단계가 종료된 상태로부터 24시간 이내의 상태 다시말해 활성화 단계가 완료된 직후의 것일 수 있다.
더욱이, 리튬황 전지(10)는, 활성화 단계 후 10시간 이내, 더 나아가 5시간 이내, 특히 1시간 이내에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리튬황 전지(10)가 방치되는 경우 자연적으로 방전될 수 있고, 방전될 때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생성될 수 있다. 이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리튬황 전지(10)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이후 상기 시간 범위 내에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 다만, 반드시 상기 시간 범위 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등 리튬황 전지(10)을 보관 및 방치하는 조건에 따라서 시간 범위는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온도에서 방치되는 리튬황 전지(10)의 경우 자연 방전이 빨리 될 수 있기 때문에, 활성화 단계를 거친 이후 상기 시간 범위보다 더욱 빠른 시간 내에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는 상기 활성화 단계가 수행된 이후의 리튬황 전지(10)에 적용될 수 있다.
리튬황 전지(10)는 활성화 단계에서 1회 이상 충전 및/또는 방전이 진행되고, 상기 충전 및/또는 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충방 및/또는 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는 제거 될 수 있다. 이후 충전된 리튬황 전지(10)는 상기 수납부(140)에 수납되는데, 충전 후 오랜 시간이 흐르는 경우(예컨대, 24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리튬황 전지(10)가 자연 방전되며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생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튬황 전지(10)에서 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활성화 단계에서 충전된 리튬황 전지(10)는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수납부(140)에 수납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리튬황 전지(10)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직후 바로 수납부(140)에 수납되는 것이 좋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시간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튬황 전지(10)를 제조하는 공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10)는 SOC(State Of Charge)가 90% 이상이 되도록 충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는 리튬황 전지(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튬황 전지(10)로 0.01C이하의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10)의 SOC가 낮은 경우 리튬황 전지(10)를 완전 충전시키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에 적용되는 리튬황 전지(10)는 SOC가 상기 범위인 것이 될 수 있다. 다만,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10)의 SOC는 상기 수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SOC가 낮은 리튬황 전지(10)라도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에 적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수납부(140)에는 리튬황 전지(10), 온도 조절부(160) 및 온도 측정부(150)가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수납부(140)는 온도 조절부(160) 및 온도 측정부(150)을 구비하지 않고, 온도 센서부와 냉방기 및/또는 난방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튬황 전지(10)는 전압 측정부(110) 및 전류 인가부(120)와 연결되어, 전압 측정부(110)는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하고, 전류 인가부(120)는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전압 측정부(110) 및 전류 인가부(120)와 연결된 제어부(130)가 측정된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전류 인가부(120)로 하여금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온도 측정부(150) 및 온도 조절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측정부(150)가 측정한 수납부(140) 내부 온도를 제어부(130)가 수신하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온도 조절부(160)를 제어하여 수납부(14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가 적용되는 저장 챔버의 일 구현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는 저장 챔버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수납부(140)에는 리튬황 전지(10)가 수납되고, 수납부(140) 내부의 벽면에는 온도 측정부(150) 및 온도 조절부(16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온도 측정부(150)과 온도 조절부(160)는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온도측정부(150)와 온도조절부(160)는 가스 억제 장치에 위치하고, 온도센서부(170)와 냉난방부(180)는 수납부(140)의 내벽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난방부는 압축/팽창 냉동 사이클 시스템일 수 있으며, 냉각기는 팬(fan)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냉난방부는 히트 펌프 또는 펠티어 효과 등을 이용한 열전 모듈일 수 있다.
전압 측정부(110)는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통하여 리튬황 전지(10)의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와 연결되어,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된 전압을 수신하여 측정 결과를 기초로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료 유지될 수 있게 전류 인가부(120)를 제어하여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인가부(120)는 상기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통하여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온도 측정부(150)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수신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 수납부(140) 내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온도 조절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측정부(150)는 온도 센서부(170)를 통해 수납부(14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130)로 전송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된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된 온도 결과를 기초로 수납부(140)의 내부 온도가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온도 조절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수납부(140)의 온도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160)는 냉난방부(180)를 제어하여 수납부(14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인 것으로, 전기 자동차(예컨대, EV 또는 HEV)에 복수의 리튬황 전지(1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200) 및 수납부(14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BMS(200)는 배터리 팩의 배터리에 대한 파라미터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BMS(200)가 관리하는 배터리 파라미터는 배터리 팩의 전압, 개별 배터리의 전압, 배터리 팩의 온도,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및 배터리 팩의 충전 정도, 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 배터리의 전압 균일성 및 배터리 팩의 SOP(State OF Pow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배터리에 관계된 인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MS(200)는 배터리 파라미터 관리의 일환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스 억제 장치(100)는 BMS(200)이 포함하고 있는 전압 측정부 및 온도 측정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억제 장치(100)은 별도의 전압 측정부 및 별도의 온도 센서부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납부(140)에는 복수개의 리튬황 전지(1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압 측정부(110)는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단자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단자는 리튬황 전지(10)의 각각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개별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전압에 따라 전류 인가부(120)를 제어하여 개별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하여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인가부(120)는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이용하여 개별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온도 측정부(150)는 온도 센서부(170)를 통해 수납부(14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측정된 온도 결과를 기초로 수납부(14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수납부(140)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온도 조절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수납부(140)의 공조는 EV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EV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공조된 공기가, 상기 공조 시스템에 연결된 도관(190)을 통해 수납부(14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조시스템은 공기를 조절하는 시스템으로 공조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조시스템은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흐름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100)를 적용한 전자 장치를 도식화한 것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예를들어, 휴대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가 될 수 있다.
수납부(140)는 리튬황 전지(10)를 수납할 수 있고, 전압 측정부(110)는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단자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단자는 리튬황 전지(10)의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개별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전압에 따라 전류 인가부(120)를 제어하여 개별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하여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인가부(120)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에 연결되는 각각의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이용하여 개별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 수납부(140)의 온도 유지와 관련하여 가스 억제 장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가스 억제 장치는 냉각 시스템으로 팬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온도 측정부(150)는 온도 센서부(170)을 통해 수납부(140)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온도 조절부(160)를 제어하여 수납부(14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납부(14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 조절부(160)는 수납부(140)의 내부 온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냉난방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리튬황 전지(10)용 가스 억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활성화 단계(S100)를 거친 리튬황 전지(10)용 가스 억제 방법에 있어서,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S200);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0); 및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10)용 가스 억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활성화 단계(S100)는 포메이션(formation)과정(S110) 및 디개싱(degassing)과정(S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메이션 과정(S110)은 전지를 1회 이상 충전 및 방전하여 전지의 용량을 확인하고 활성화시키는 과정이고, 디개싱 과정(S120)은 포메이션 과정(S110)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활성화 단계(S110)에서는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활성화 단계(S100)에서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과 별개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는 활성화 단계(S100)를 거친 리튬황 전지(10)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가스의 발생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
하기 단계들은 반도체 메모리 또는 외부 저장 매체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S200)는 소정 시간 경과에 따라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10)의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각각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연결하여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0)는, 상기 측정된 전압을 기초로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S400)는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이다.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류 인가부(120)가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상기 전압 측정부(10)와 연결된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이용하여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전류 인가부(120)는 별도의 양극 접촉 단자 및 음극 접촉 단자를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리튬황 전지(10)에서 가스가 억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리튬황 전지(10)가 상온을 초과하는 고온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방법에 의하여, 리튬황 전지(10)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리튬황 전지(10)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폭발의 위험성도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활성화 단계(S100)는, 0.02C 내지 5C의 C-rate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지를 1회 이상 충전 및 방전을 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충전 및 방전은 상기 C-rate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리튬황 전지(10)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충전시키기에 적절한 C-rate라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0)는 전압 측정 단계(S200)에서 측정된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된 기준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 전류 인가부(120)가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류 인가 단계(S400)는, 상기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이 유지되도록 전류를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은 리튬황 전지(10)의 완전 충전 전압의 100%, 99%, 98%, 또는 95%일 수 있다. 리튬황 전지(10)가 방전되는 경우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생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완전 충전 전압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류 인가 단계(S400)는, 전류를 0.01C 이하 또는 0.0005C 이상의 C-rate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전류 인가 단계에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는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튬황 전지(10)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충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류를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전압 측정 단계(S200)의 전압 측정 주기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10)의 전압을 5초마다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0.01초 내지 100초의 범위에서 특정 주기마다 전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전압 측정 주기는 리튬황 전지(10)의 종류나 주변 온도 등, 여러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리튬황 전지(10)는 수납부(140)에 수납된 것이고, 수납부(140)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수납부(140)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납부(140)는 내부 또는 내부 벽면에 온도 측정부(15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온도 측정부(150)는 온도 센서부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온도 측정부(150)에 따라 전압 측정 단계의 전압 측정 주기가 조절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의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 전압 측정 주기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압 측정 주기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온도가 높은 경우 리튬황 전지(10)의 방전이 빨리 진행될 수 있으므로 전압 측정 주기를 짧게 하여 방전 즉시 전류 인가부(120)에서 리튬황 전지(10)로 전류를 인가시키기 위함이다. 반면, 온도 낮은 경우 리튬황 전지(10)의 방전이 느리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전압 측정 주기를 길게 하여 잦은 전압 측정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방법은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수납부(14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고, 특히 리튬황 전지(10)의 주변 온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가 10℃ 내지 20℃인 경우에, 측정된 수납부(140) 내부의 온도가 30℃라면 수납부(140) 내부 온도가 20℃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냉난방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냉난방부는, 냉방기, 난방기 또는 냉난방 겸용기이거나 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리튬황 전지(10)는 전지 케이스에 수납된 것이고, 상기 전류 인가 단계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부피 변화가 1% 이하, 3% 이하, 5% 이하 또는 10% 이하가 되도록 전류를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튬황 전지(10)에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지 케이스의 부피 변화는 상기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구현예에서,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은, 리튬황 전지(10)가 30℃ 이상, 40℃ 이상 또는 50℃이상에서 보관 또는 수납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보관 또는 수납되는 온도가 높은 경우 리튬황 전지의 방전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범위와 같은 높은 온도 범위에서 리튬황 전지(10)가 보관 또는 설치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방법을 적용하는 한다면,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방법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리튬황 전지를 보관 및 수납할 수 있는 온도 범위 또는 리튬황 전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모든 온도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구현예에서,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은 리튬황 전지(10)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을 때 적용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튬황 전지(10)에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 등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리튬황 전지(10)가 부동 충전 또는 균등 충전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구현예에서,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은, 리튬황 전지(10)를 포함하는 전지 팩의 전지 관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 관리 시스템은 전지 팩에 저장된 전하를 이용하여 리튬황 전지를 부동 충전할 수 있다. 또는, 전지 관리 시스템은 전지 팩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는 별도의 전지 또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리튬황 전지를 부동 충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리튬황 전지의 가스를 억제하는 방법은 리튬황 전지가 완전 또는 일부 충전될 때까지 충전하는 단계; 및 리튬 황 전지를 부동충전(floating charge)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부동 충전 단계는 0.01C 이하의 C-rate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리튬황 전지가 부동 충전되는 것으로 리튬황 전지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잇는 장점이 있다.
상기 부동충전은 충전기, 전지, 부하를 병렬로 연결하여 충전기가 공급하는 전기, 전력 또는 전류로 전지를 충전하면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상기 충전기는 앞서 설명한 가스 억제 장치가 포함 될 수 있고, 상기 전지는 리튬황 전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부동충전은 부하의 소모 전력이 큰 경우, 충전기와 충전중인 전지로부터 동시에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부하에 소모되는 전력을 모두 충전기가 부담하고, 전지에는 자가방전을 보충할 정도의 약한 충전전류만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부동충전 단계는 리튬황 전지는 완전충전, 또는 완전충전 전압의 95% 이상으로 전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부동충전 단계는, 0.01C 이하 또는 0.0005C 이상의 C-rate로 부동충전 될 수 있다.
상기 부동충전 단계는, 리튬황 전지의 완전충전 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부동충전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동충전 단계는, 리튬황 전지의 셀당 2.4V이하의 일정한 부동전압으로 부동충전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동충전 단계는 리튬황 전지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을 때 리튬황 전지를 부동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상태이고, 전기자동차가 주차되어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리튬황 전지는 부동충전될 수 있다.
상기 부동충전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리튬황 전지를 부동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1시간 내지 10시간이 될 수 있으나 상기 시간 범위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부동충전 단계는, 리튬황 전지, 리튬황 전지를 수납하는 수납부 또는 리튬황 전지 주변의 온도가 30℃ 이상이 되는 경우 일정한 간격에 따라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황 전지의 주변 온도가 30℃ 이상인 경우에 1시간 간격으로 부동충전이 수행되어 리튬황 전지를 충전 할 수 있다.
상기 부동충전 단계는 리튬황 전지, 리튬황 전지를 수납하는 수납부 또는 리튬황 전지 주변의 온도가 30℃ 이상, 또는 40℃ 이상일 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부동충전 단계와 선택적으로, 균등충전, 자동충전 또는 회복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균등 충전은 여러 개의 전지를 한 조로 하여 장시간 사용하면 각 전지의 특성 차이에 의하여 충전상태가 균일하지 않고 전위차가 발생하는 것을 전지의 축전전압보다 약 10 % 높은 전압을 공급하여 충전하므로 각 전지가 균일한 전압으로 충전 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자동충전은 전지의 방전량에 따라 충전 초기에는 균등충전으로 충전하고 완전충전 상태에 도달하면 부동 충전으로 자동 변환하여 연속적으로 부동충전하는 것이고, 회복충전은 정전류 충전에 의하여 약한 전류로 40-50시간 충전시킨 다음 방전시키고 다시 충전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극판이 본래의 상태로 회복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은 전지 팩의 전지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지 팩에 저장된 전하를 이용하여 전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부동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지 팩과 별도의 독립한 전지에 저장된 전하를 이용하여 전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부동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지 관리 시스템은 전기자동차 또는 기타 전기 장치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또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는 리튬황 전지(10)가 일부 또는 완전 충전된 것에 대응하는 개방 회로 전압을 갖는 동안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동 전압은, 리튬황 전지(10)가 일부 또는 완전 충전된 것에 대응하는 개방 회로 전압을 갖는 동안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2개의 리튬황 전지를 다음과 같은 형태로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양극활물질로 탄소나뉴튜브에 황이 담지된 황-탄소복합체를 준비하였다. 이때 탄소나노튜브와 황의 중량비를 1:3으로 하였다. 여기에, 바인더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을, 도전재로 탄소섬유(Carbon fiber)을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중량비는 88:5:7이었다.
음극으로는 리튬 금속을 준비하였다.
전해질로는 1,3-디옥솔란과 디메틸 에테르(DOL:DME=1:1(부피비))로 이루어진 유기 용매에 0.75M 농도의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LiTFSI)와 1 중량%의 질산 리튬(LiNO3)를 용해시킨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양극과, 음극을 대면하도록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두께 16 ㎛, 기공도 46 %의 폴리에틸렌 분리막을 개재하여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후, 상기 전해질 70 ㎕를 주입하여 리튬황 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2개의 전지 모두 0.1C로 1.8V까지 방전 후 20분 휴식기를 거치고, 다시 0.1C로 2.4V까지 충전하여 포메이션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25℃에서 2일 대기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고, 가스를 제거하는 디개싱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각각의 리튬황 전지를 별도의 수납부에 수납하고, 수납부의 온도를 40℃로 설정하고 3일간 보관하였다.
실시예 1
수납부에 저장된 리튬황 전지 중 1개를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에 적용시켰다. 가스 억제 장치의 전압 측정부는 1초에 1회씩 리튬황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여 SOC 100% 미만인 경우 전류 인가부에서 전류를 인가하게 했다. 이때, 인가되는 전류는 0.01C 미만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비교예 1
수납부에 저장된 리튬황 전지 중 다른 1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를 적용하지 않고, 전압만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리튬황 전지의 전압 및 전류의 그래프를 도 8에 나타내었다.
활성화 단계에서의 충전을 통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리튬황 전지 모두 2.4V까지 충전되었다. 이후 실시예 1에 따른 리튬황 전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억제 장치에 적용되어 있으므로 2.4V가 유지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리튬황 전지는 서서히 방전되어 전압이 감소되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리튬황 전지의 전지케이스 부피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리튬황 전지는 저장 후 72시간까지 부피 변화가 없었고, 이것으로 리튬황 전지에서의 가스 발생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에 따른 리튬황 전지는 저장 후 24시간 뒤 관찰하였을 때 부피가 팽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으로 리튬황 전지에서 가스가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리튬황 전지
20: 전지 케이스
30: 전극 조립체
40: 양극 리드
50: 음극 리드
60: 밴팅부
100: 가스 억제 장치
110: 전압 측정부
120: 전류 인가부
130: 제어부
140: 수납부
150: 온도 측정부
160: 온도 조절부
170: 온도 센서부
180: 냉난방부

Claims (16)

  1.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의 가스를 억제하는 장치에 있어서,
    리튬황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압 측정부;
    상기 리튬황 전지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전류 인가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의 전압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리튬황 전지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전류 인가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전류 인가부가 상기 리튬황 전지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리튬황 전지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수납부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상기 전압 측정부의 전압 측정 주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인가부는 상기 리튬황 전지로 0.01C 이하의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이후 24시간을 초과하기 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SOC가 90% 이상이 되도록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8. 활성화 단계를 거친 리튬황 전지의 가스를 억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튬황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압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리튬황 전지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의해 상기 리튬황 전지의 전압이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게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측정된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리튬황 전지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를 수납부에 수납된 것이고,
    상기 수납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수납부의 온도에 따라서 전압 측정 주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의 가스 억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인가 단계는, 전류를 0.01C이하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전지 케이스에 수납된 것이고,
    상기 전류 인가 단계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부피 변화가 1% 이하가 되도록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리튬황 전지를 1회 이상 충전 및 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리튬황 전지를 0.02C 내지 5C의 전류로 충전 및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16.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 전지는, 상기 활성화 단계에서 발생한 가스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방법.
KR1020230114950A 2022-08-31 2023-08-30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 KR20240031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2927 WO2024049216A1 (ko) 2022-08-31 2023-08-30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0383 2022-08-31
KR1020220110383 2022-08-31
KR1020220183789A KR20240030924A (ko) 2022-08-31 2022-12-23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
KR1020220183789 2022-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185A true KR20240031185A (ko) 2024-03-07

Family

ID=8786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950A KR20240031185A (ko) 2022-08-31 2023-08-30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72314A1 (ko)
EP (1) EP4336622A1 (ko)
KR (1) KR20240031185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184A (ko) * 2007-06-13 2010-04-28 알타이어나노 인코포레이티드 리튬 이온 배터리 충전
JP7344724B2 (ja) * 2019-09-06 2023-09-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システム、および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充電装置
CN114402473B (zh) * 2019-09-13 2023-03-2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全固态锂离子二次电池系统和全固态锂离子二次电池用充电装置
KR102643876B1 (ko) 2021-01-29 2024-03-05 김윤진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6622A1 (en) 2024-03-13
US20240072314A1 (en)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812B1 (ko) 전지 충전 한계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지 급속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1873129B1 (ko) 비수계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EP3033800B1 (en) Dual storage system with lithium ion and lead acid battery cells
JP2000133321A (ja) 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の充電制御方法
CN107978790B (zh) 一种电池补锂方法和装置
KR20180071798A (ko) 이차 전지의 저전압 불량 검사 장치 및 방법
US10797356B2 (en) Managing battery current based on temperature
JP200011390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保管方法
US20180254529A1 (en) Lithium replenishment for containing capacity loss in li ion batteries
KR20000042002A (ko) 리튬 이차전지의 포메이션 및 에이징 방법
EP2946433B1 (en) Electrochemical cell or battery with reduced imped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40031185A (ko)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
KR20240030924A (ko) 리튬황 전지용 가스 억제 장치 및 억제 방법
US8673491B2 (en) Li-ion battery with selective moderating material
JPH07296854A (ja) 充電方法および充電装置
JP4618025B2 (ja) 組電池及びその充電制御方法
Ozdemir et al. Temperature effects on calendar aging of lithium-ion and nickel metal hydride batteries
Stadler et al.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s
US20180166748A1 (en) Treatment processes for electrochemical cells
Oksman Batteries for electrical vehicles
Ding et al. Technical challenges for vehicle 14V/28V lithium ion battery replacement
Yun et al. Influences of thermal volume changes in LiMn 2 O 4 particles on the performance of a Li-ion battery
Polasek et al. Testing of batteries used in electric cars
KR101629755B1 (ko) 이차 전지의 저온 출력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Barsukov Battery selection, safety, and monitoring in mobil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