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536A -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갖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갖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536A
KR20240030536A KR1020220109712A KR20220109712A KR20240030536A KR 20240030536 A KR20240030536 A KR 20240030536A KR 1020220109712 A KR1020220109712 A KR 1020220109712A KR 20220109712 A KR20220109712 A KR 20220109712A KR 20240030536 A KR20240030536 A KR 2024003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mprovement
activity
cosmetic composition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원
고진아
이범석
남보미
황지영
김지효
유병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남원시바이오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남원시바이오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남원시바이오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0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536A/ko
Publication of KR2024003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5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가지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MMP-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 및 Procollagen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 등의 효과도 함께 가짐으로써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갖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having anti-inflammatory, skin wrinkle improvement, pore improvement, skin barrier improvement activity and skin soothing activity}
본 발명은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자생하는 지리산오갈피를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에 우수한 효능을 갖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갈피나무는 두릅나무(Araliaceae)과의 오갈피속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관목으로 오갈피(Acanthopanax sessiliflorum)와 줄기마다 잔가시가 많이 돋아있는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일명 'Siberian Ginseng')으로 나뉜다.
오갈피나무는 잎은 5개의 작은잎을 가진 손꼴 겹잎으로,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꽃은 황록색으로, 봄이 되면 긴 꽃자루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리는데, 각각의 꽃은 5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지름 6-7mm의 공 모양으로, 9월경에 검게 익는다. 중국이 원산지로 경남·충남을 제외한 한반도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뿌리의 껍질은 오갈피라고 하여 식용되고 있다. 잎이 5장의 작은잎으로 갈라져 있어서 오갈피나무라고도 한다.
오갈피나무 속 식물은 세계적으로 주로 동북 아시아와 남아프리카 지역에 분포한다. 오갈피나무 속 식물 중에는 약 15종이 한반도에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 가운데 지리산오갈피가 지리산에 분포하는 가장 흔한 토착종의 하나이다.
오갈피나무의 뿌리와 수피는 전통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병의 치료제로서 뿐만 아니라 강장제 및 진정제로 사용되어왔다(Perry, L.M.; Medicinal Plants of East and Southeast Asia, MIT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and London, 1980; Ro, H.S. et al., J. Pharm. Soc. Kor., 1977, 21, 81-86).
또한, 오갈피나무의 대표적인 약리작용으로 진정작용, 항 스트레스작용, 평활근이환 작용, 소염작용,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신경통, 중풍, 당뇨병, 고혈압, 저혈압, 및 불면증 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애용 되어왔다. 이들의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 성분은 사포닌계통의 물질들과 아칸토산(Acanthoic acid)에 의하여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시오가피에는 아칸토산이라는 성분이 있어 혈소판 응집 억제, 염증 억제, 활성산소 억제(Kang,H.S, Cell Immuno. Vol. 170, No.2. 1996)등을 지니며, tripenoid계의 배당체(엘루테로사이드 A, B, C, D, E, F, G)와 아칸토사이드(A,B,C,D),스테롤, 쿠마린, 리구닌, 플라보노이드, 후타레인 등의 배당체가 함유되어 뇌하수체를 자극함으로써 여러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강장, 강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용된 사례를 보면, 가시오가피를 이용하여 여드름 및 뾰루지 치료(특허 공개 2000-9820), 발기 부전 치료 효과(특허 공개 2000-74868), 항 스트레스 조성물 함유(특허 160402), 신경보호 작용 효과(공개 2000-0077717)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각 종 건강식과 차류 등에 빠지지 않고 첨가되는 등 그 효능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식물에 대한 생물 활성에 관한 몇몇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아칸토사이드(acanthoside), 치사노사이드(chiisanoside) 및 그의 유도체, 세사민에 대한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다(Nes, W. D. et al., Phytochemistry, 1992, 31, 805-811; Joseph-Nathan, P. et al., J. Heterocyclic Chem., 1984, 21, 1141-1144; Gunther, H. et al., Org. Magn. Reson., 1975, 7, 339-344; Ina, H. et al., Planta Med., 1987, 53, 228).
상기 오갈피에는 Acanthopanaxsenticosus(RUPR. et MAX.) HARMS(가시오가피나무), Acanthopanaxsenticosusvar. subinermisKITAGAWA(왕가시오가피나무), Acanthopanaxsessiliflorus(RUPR. et MAX.) SEEM.(오갈피나무), Acanthopanax chiisanenseNAKAI(지리산오갈피나무), AcanthopanaxkoreanumNAKAI(섬오갈피나무), AcanthopanaxrufinerveNAKAI(털오갈피나무), Acanthopanax seoulenseNAKAI(서울오갈피나무), AcanthopanaxsieboldianumMAKINO(오가나무)가 있다.
본 발명은 전라북도 남원시에 자생하는 지리산오갈피를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염증 개선 및 진정 효능을 나타내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항염증 활성, 피부 주름 개선 활성, 모공 개선 활성, 피부 장벽 개선 활성 및 피부 진정 활성 중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상기 항염증 활성은 일산화질소(NO)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상기 항염증 활성은 IL-6 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상기 주름 개선 활성은 MMP-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상기 주름 개선 활성은 Procollagen 생성을 증가시켜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및 분무제 중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라북도 남원시에 자생하는 지리산오갈피를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에 우수한 효능을 갖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IL-6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MMP-1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Procollagen 생합성 증대효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일 구현예, 다른 구현예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이라 함)은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리산오갈피 나무는 "지리오갈피, 지이산오갈피, 지이산오갈피나무, 지이오갈피" 등으로도 불리우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은 지리산오갈피의 뿌리 및/또는 줄기 부위의 추출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지리산오갈피(Elutherococcus divaricatus (Siebold & Zucc.) S.Y.Hu var. chiisanensis(Nakai) C.H.Kim & B.Y.Sun)"는 야생종으로 전라남도 남원·지리산권에서 10월~ 11월 사이에 채취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가시오가피(El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는 "가시오갈피나무, 민가시오갈피. 왕가시오갈피, 왕가시오갈피나무"등으로도 불리우며, 본 발명에서 "가시오가피 추출물"이라 함은 가시오가피의 뿌리 및/또는 줄기 부위로부터 얻은 추출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오갈피나무(El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는 오갈피나무 "국내산오갈피, 서울오갈피, 서울오갈피나무, 오갈피"등으로도 불리우며, 본 발명에서 "오갈피나무 추출물"이라 함은 오갈피나무의 뿌리 및/또는 줄기 부위로부터 얻은 추출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오가나무(Elutherococcus sieboldianus (Makino) Koidz.)"는 "중국산오갈피, 오가목"등으로도 불리우며, 본 발명에서 "오가나무 추출물"라 함은 오가나무의 뿌리 및/또는 줄기 부위로부터 얻은 추출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염증'은 염증이 일어나는 과정 또는 이를 억제하는 성질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므로, 피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일산화질소(NO)는 혈관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염증에 관련된 인자 중 하나로서, 조직의 손상이나 감염에 대한 신체의 방어 메커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산화질소(NO)는, 대식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라는 효소에 의해 L-알기닌이 L-시트룰린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산화질소(NO)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염증의 메카니즘에 관련된 IL-6(Interleukin-6)은 대표적인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으로, IL-6는 대식세포 및 T세포에 의해 분비되어 면역 반응을 자극하여 염증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IL-6 의 발현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 작용을 구현할 수 있으며, 환부에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환부에 피부 진정효과를 구현한다.
본 발명은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및 IL-6의 발현 억제 효과를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피부자극이 적은 항염, 항산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독성 및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의사의 주의 관찰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용성 및 접근성이 더욱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주름개선'은 피부의 주름 및 탄력과 관련된 능 력을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구조 중에서 진피층에 존재하는 교원섬유(collagen: 콜라겐)와 탄력섬유(elastin: 엘라스틴)가 그 역할을 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탄력을 주관하는데, 콜라겐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 외적 영향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부 내적 요인으로는 자연 노화로 인하여 세포 활성이 감소되며, 콜라겐 섬유의 감소가 일어나고, 외적 요인으로는 자외선의 과량 조사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생성된 활성 산소가 단백질의 티올기 (thiol: -SH)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분해시키는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1: MMP-1)인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을 증가시키는 한편 탄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특히, MMP-1은 피부의 keratinocytes, fibroblasts를 비롯한 많은 세포들로부터 분비되어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단백질 성분을 분해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결합조직을 파괴하여 주름과 탄력저하 및 피부 처짐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MMP-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type Ⅰ,Ⅱ,Ⅲ,Ⅳ 및 Ⅴ)들은 세포내에서 procollagen이라는 전구물질로 합성된 후 세포외로 분비되어 콜라겐 섬유로 중합된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층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구조 단백질로 type-1 콜라겐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손상을 막아주고 수분 균형을 유지하여 주름 예방 및 탄력적인 피부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노화 및 주름생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Procollagen 생성을 증가시켜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의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분무제의 제형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다른 효능을 갖는 추출물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호 보완되어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되는 실험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제조
상기 지리산오갈피나무의 가지 부위를 500g을 잘게 파쇄하여 50% 에탄올(1L) 용매에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여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가시오가피 추출물 제조
상기 가시오갈피나무의 가지 부위를 500g을 잘게 파쇄하여 50% 에탄올(1L) 용매에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여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오갈피나무 추출물 제조
상기 오갈피나무의 가지 부위를 500g을 잘게 파쇄하여 50% 에탄올(1L) 용매에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여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4:오가나무 추출물 제조
상기 오가나무의 가지 부위를 500g을 잘게 파쇄하여 50% 에탄올(1L) 용매에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여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성분 분석 실시
오갈피속 식물 주요 성분으로는 lignin류의 엘루테로사이드 B, 엘루테로사이드 E 와 폴리페놀류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등이 보고되어있다. 이와 같은 성분들은 주로 항산화, 항염, 면역증진, 항당뇨 등의 활성이 있으며, 피부 효능으로는 주름, 미백, 보습 등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있다. 오갈피속 식물의 주요성분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엘루테로사이드 E, 클로로겐산 및 카페인산 성분 함량을 측정 하였다.
상기 제조예로부터 추출물을 10mg/ml 농도로 메탄올에 재용해하였고 0.45 ㎛ PTEF filter (Gelman, USA)로 여과한 후 HPLC를 이용하여 엘루테로사이드 E, 클로로겐산 및 카페인산 주요 3가지 화합물을 동시 분석하였다. 컬럼은 Shim-pack VP-ODS (4.6mm x 250mm, 5um)(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였고, 분석 시 컬럼의 온도는 40℃로 하였다. 이동상으로는 물(A)-(0.1% formic acid)와 아세토니트릴(B)-(0.1% formic acid)을 사용하였고, 상기 표 1과 같이 시간 에 따라 농도 구배를 조절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의 속도는 0.8ml/min, 흡광도는 210nm(엘루테로사이드 E) 280nm(클로로겐산, 카페인산)로 설정하였다. 또한, 시료용액 10 ㎕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엘루테로사이드 E, 클로로겐산 및 카페인산 표준품을 1~200 ㎍/ml 로 단계적으로 희석 제조하여 표준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상기 표 2와 같이 면적 대 농도비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로부터 얻은 추출물 내의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T시간(min) 물(A) Conc.(%) 아세토니트릴(B)
Conc.(%)
2 100 0
45 50 50
50 5 95
55 5 95
55.1 100 0
60 100 0
엘루테로사이드 E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제조예 1 9.29 1.74 2.19
제조예 2 6.92 1.72 0.35
제조예 3 8.92 0.87 2.80
제조예 4 8.63 0.71 4.72
그 결과,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엘루테로사이드 E 및 클로로겐산 함량은 지리산오갈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in vitro 실험
실험예 1: 항산화 효능 평가
히드록시 라디칼은 세포에 손상을 주는 가장 강력한 자유라디칼(free radical)로서 피부 세포막의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일으키고, 특히 DNA 및 결합조직 기질 손상에 참여하는 주원인 활성 산소종이다.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증감 반응에 의해 히드록시 라디칼과 과산화수소가 생성되고, 이들은 생체 내에서 보다 위험한 히드록시 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슈퍼옥사이드는 Fe(Ⅲ)와 Cu(Ⅱ)를 환원시킬 수 있고, 환원된 Fe(Ⅱ)와 Cu(I)는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히드록시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인 비트로(In vitro)에서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은, 펜턴반응(Fenton reaction)에 의해 생성시킨 히드록시 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브르산(Ascrobic acid)을 사용하고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환원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SC50)으로 표시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SC50은 히드록시 라디칼의 농도가 50% 감소하는데 필요한 농도를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리산오갈피의 항산화 효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류 SC 50 (㎍/㎖)
아스코브르산 6
지리산오갈피 54
가시오가피 118
오갈피나무 221
오가나무 112
실험예 2: 항염 활성 평가
(1) NO 생성 억제에 의한 항염 효과 확인 시험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cell)를 5×105 cells/ml 농도로 96 웰플레이트에 100㎕씩 분주하여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는 소혈청 10%와 항생제 1%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였다. 배양 후 소혈청과 항생제가 배제된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25ug/ml, 50ug/ml, 100ug/ml의 농도별로 첨가하고 동일한 배양조건에서 30분 배양한 후 1㎍/㎖ LPS를 1㎕씩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이 끝난 후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Ⅰ과 Ⅱ를 동량 섞은 후 배양한 배지와 50㎕씩 96 웰플레이트에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10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계수기(Micro plate reader) 540nm에서 NO 생성값을 측정하고, NO 억제율에 대한 값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 처리된 지리산오갈피의 NO 억제율이 양성대조군인 LPS 처리된 덱사메타손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PS 처리된 가시오가피, 오갈피나무, 오가나무보다 NO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은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화질소의 생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함에 따라, 가시오가피, 오갈피나무, 오가나무보다 염증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IL-6 발현억제에 의한 항염 효과 확인 시험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100units/ml penicillin-sterptomycin과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Gibco, Grand Island, NY, USA)를 사용하여 37℃, 5% CO₂항온기에서 24웰 플레이트에 (2x105 cells/ml)을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각각 25ug/ml, 50ug/ml, 100ug/ml 농도별로 DMSO용매로 희석한 후, 같은 농도별로 1시간 전 처리하였고, 이후 LPS 1ug/ml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4시간 이후에는 세포 처리액의 상등액을 수거하여 IL-6의 발현을 면역측정법으로 확인하였다. IL-6에 대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 처리된 지리산오갈피와 오갈피나무의 IL-6 억제율은 양성대조군인 LPS 처리된 덱사메타손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 처리된 지리산오갈피, 가시오가피, 오갈피나무, 오가나무 중 지리산오갈피의 IL-6 발현 억제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로부터 지리산오갈피의 항염 효능의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주름 개선 활성 평가
(1) MMP-1 발현억제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시험
MMP-1은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및 젤라틴과 같은 거대 생분자들을 분해할 수 있는 금속을 포함하는 효소이며,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체내에서 평소보다 많이 생성되어 콜라겐 과 결합 후 콜라겐을 절단하여 피부노화를 유도한다
40mm 세포배양 접시에 2㎖의 DMEM 배양액을 넣고, 인간섬유아세포를 약 1.2x105의 농도로 접종한 후, 37℃, 5% CO2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각각 25ug/ml, 50ug/ml, 100ug/ml 농도로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를 사용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회수(harvest)하여 4℃, 7500rpm 환경에서 5분간 원심분리(centrifuge)하여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MMP-1(Human Total MMP-1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의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확인하고, MMP-1의 억제율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MMP-1 발현억제 효능이 지리산오갈피, 가시오가피, 오갈피나무, 오가나무 중 지리산오갈피에서만 발현되었으며, 이로 인해 지리산오갈피에 주름 개선 효능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 Procollagen 합성에 따른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콜라겐 합성의 전구체인 PIP(Procollagen Type I C-Peptide)의 생합성양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간섬유아세포를 24-well plate에 5Х104 cell/well의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phosphate buffered saline(PBS)로 2회 세척한 후 무혈청 배양액을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각각 25ug/ml, 50ug/ml, 100ug/ml 농도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액 내의 콜라겐 합성 정도는 procollagen type I C-peptide assay kit(Takara Bio Inc.)를 사용하여 콜라겐의 함량을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Procollagen 합성율이 지리산오갈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로부터 지리산오갈피의 주름 개선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in vivo 실험>
실험예 4: 주름 및 모공 개선 효과
(1) 시험 제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지리산오갈피추출물 3%를 함유하는 에센스 제형을 제조하였다. 에센스 제형의 구체적은 성분은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성분 함량(%)
81.83
다이소듐 EDTA 0.02
1,2-헥산디올l 2.00
디프로필렌 글리콜 4.00
카프릴릴글리콜 0.20
글리세린 1.80
부틸렌글리콜 6.5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02
잔탄검 0.20
카보머 0.20
트로메타민 0.15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3.00
Fragrance 0.08
합계 100.00
(2)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시험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 제품을 2주 동안 매일 사용한 뒤, Antera 3D로 평균 단위 면적당 주름 개수를 측정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1주 및 사용 2주 후에 0.48%, 6.59% 개선율을 보였다.
평균 단위 면적(mm2) 당 주름 개수 사용 전 사용 1주 후 사용 2주 후
평균 8.61 8.57 8.04
표준편차 1.23 0.99 1.11
개선율(%) 0.48 6.59
(3) 모공 개선 효과 확인 시험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 제품을 2주 동안 매일 사용한 뒤, Antera 3D로 모공 면적(mm2)을 측정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1주 및 사용 2주 후에 1.64%, 31.21% 개선율을 보였다.
모공 면적(mm2)을 사용 전 사용 1주 후 사용 2주 후
평균 138.79 136.51 95.47
표준편차 82.24 92.09 52.19
개선율(%) 1.64 31.21
(4) 피부 진정 효과 확인 시험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 제품을 2주 동안 매일 사용한 뒤, Mark.Vu로 홍조를 면적당 백분율(%)로 측정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1주 및 사용 2주 후에 Red(홍조)는 8.9%, 8.9%로 개선율을 보였다.
면적당 백분율(%) 사용 전 사용 1주 후 사용 2주 후
평균 4.1 3.7 3.7
표준편차 2.9 2.4 2.5
개선율(%) 8.9 8.9
(5) 피부장벽 개선 효과 확인 시험
하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 제품을 2주 동안 매일 사용한 뒤, AquaFluc(AF200)으로 경피수분손실량(g/h/m2)을 측정한 결과 시험부위(오른쪽 볼)의 경피수분함량은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1주 및 2주에 각각 -1.6% 및 16.1% 개선율을 보였다.
경피수분손실량(g/h/m2) 사용 전 사용 1주 후 사용 2주 후
평균 26.47 26.89 22.22
표준편차 11.9 11.5 7.3
개선율(%) -1.6 16.1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에 우수한 효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항염증 활성, 피부 주름 개선 활성, 모공 개선 활성, 피부 장벽 개선 활성 및 피부 진정 활성 중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활성은 일산화질소(NO)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활성은 IL-6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개선 활성은 MMP-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개선 활성은 Procollagen 생성을 증가시켜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지리산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및 분무제 중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09712A 2022-08-31 2022-08-31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갖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40030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12A KR20240030536A (ko) 2022-08-31 2022-08-31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갖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12A KR20240030536A (ko) 2022-08-31 2022-08-31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갖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536A true KR20240030536A (ko) 2024-03-07

Family

ID=9027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712A KR20240030536A (ko) 2022-08-31 2022-08-31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갖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5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4025B1 (ko) 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40126892A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1670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5B1 (ko)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0277A (ko)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5718B1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30536A (ko) 항염증, 피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진정 활성을 갖는 지리산오갈피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58480B1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26891A (ko) 진세노사이드 Rf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6144B1 (ko)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7794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와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