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419A - 접철식 패키징 박스 - Google Patents

접철식 패키징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419A
KR20240030419A KR1020220109442A KR20220109442A KR20240030419A KR 20240030419 A KR20240030419 A KR 20240030419A KR 1020220109442 A KR1020220109442 A KR 1020220109442A KR 20220109442 A KR20220109442 A KR 20220109442A KR 20240030419 A KR20240030419 A KR 20240030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side portion
foldable packaging
foldabl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욱
황윤재
강윤석
문희찬
문정윤
전원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리리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0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419A/ko
Publication of KR2024003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4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and to each other to allow automatic collapsing and reerecting, e.g. by means of folds provided in the side walls and or in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to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패키징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접철가능한 링크로 연결되어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태 및 보관되는 상태로 가변가능한 접철식 패키징 박스에 있어서, 장방형의 저면부; 저면부의 마주하는 두 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1-1측면부 및 제1-2측면부를 포함하는 제1측면부; 저면부의 마주하는 두 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2-1측면부 및 제2-2측면부를 포함하는 제2측면부;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 및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가동범위를 결정하고 연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철식 패키징 박스{FOLDABLE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접철식 패키징 박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물건을 포장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재료들로서 종이류, 판지, 콜루게이트 판지, 합성수지필림, 합 성수지 시트, 합성수지 발포체, 직물지와 같은 재료들은 지대, 팩, 카튼박스 성형체 및 포대 형태로 제작되며 이들에 포장되는 내용물은 가벼운 것들로서 일회용이거나 수회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들 포장재 중에서 일회용을 제외한 팩, 카튼박스, 포대 등 수회 사용할 수 있는 포장재들을 접철이 가능하여 운반하기 용이하고 보관함 에 있어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그러나 하중이 큰 것이거나 포장 내용물의 원형을 철저하게 유지하기 위한 포장재들은 우수한 지지력과 내압성이 큰 포장재료인 목재, 프라스틱재, 금속재료로 통상 육면체형의 상자를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와 같은 포장 상자들은 재료의 특성으로 견고하게 제작되므로 수회 내지는 수십회에 걸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상자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장재들은 전술한 포대나 카튼박스와 같이 부피를 줄이거나 쉽게 접철할 수 없어 포장재 본래 형태를 유지하므로서 부피가 커서 운송비용이 부담이 늘어날 뿐 아니라 보관에 있어서도 큰 공간을 차지함으로서 물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상자를 사용시에는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해체하여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조립식 형식의 상자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두었다가 사용시에 펼쳐 사용하는 접첩식 상자들이 연구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보다 형상의 가변 및 접철의 용이성이 개선된 박스에 대한 개발이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31341 호 (2017. 03. 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박스상태 또는 접철되어 보관을 위한 상태로의 가변이 용이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철식 패키징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접철가능한 링크로 연결되어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태 및 보관되는 상태로 가변가능한 접철식 패키징 박스에 있어서, 장방형의 저면부; 저면부의 마주하는 두 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1-1측면부 및 제1-2측면부를 포함하는 제1측면부; 저면부의 마주하는 두 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2-1측면부 및 제2-2측면부를 포함하는 제2측면부;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 및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가동범위를 결정하고 연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가 제공된다.
그리고, 연결부는 적어도 일단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태에서 내측공간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고, 빗변과 나머지 하나의 변이 각각 연결되어 가동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면부는 전개시에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는 제1상면부와 제2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상면부의 단부 및 제2상면부의 단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개시에 저면부 상에 제2측면부가 접철되어 적층되고, 제1측면부 상에 상면부가 접철되어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박스상태 또는 접철되어 보관을 위한 상태로의 가변이 용이한 접철식 패키징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동범위는 저면부를 기준으로 제1측면부가 형성하는 각도와 저면부를 기준으로 제2측면부가 형성하는 각도의 합이 180도가 형성되는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펼쳐진 패키징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박스의 접철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박스(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박스(100)의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철가능한 링크로 연결되어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태 및 보관되는 상태로 가변가능한 접철식 패키징 박스(100)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장방형의 저면부(140), 저면부(140)의 마주하는 두 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1-1측면부(121) 및 제1-2측면부(122)를 포함하는 제1측면부(120), 저면부(140)의 마주하는 두 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2-1측면부(131) 및 제2-2측면부(132)를 포함하는 제2측면부(130),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3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110) 및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30)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30)의 가동범위를 결정하고 연동시키는 연결부(W)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면부(110)는 전개시에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는 제1상면부(111)와 제2상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제2손잡이(130a)가 제2측면부(130)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30a)부는 회동을 통해 측방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마련되었는데, 사용자가 파지하여 박스(100)를 들어올릴 때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고, 제1측면부(120) 또는 상면부(110)에 설치되어도 무관하다.
특히, 도 2의 전개도를 참조하면, 연결부(W)의 일단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태에서 형성되는 박스(100)의 내측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로서, 육면체의 박스(100)형태로 가변되는 경우 제1측면부(12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고, 타단은 제2측면부(130)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W)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직각삼각형의 빗변과 나머지 하나의 변에 해당하는 면이 각각 상기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어 가동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추는 경우에는 제2측면부(130)는 저면부(140)로부터 둔각을 형성하지 않고 예각의 범위에서 가동범위가 결정되고, 제1측면부(120)는 저면부(140)를 기준으로 예각을 형성하지않고 둔각의 범위에서 가동범위가 결정된다. 즉, 접철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는 연결부(W)에 의한 연동에 의해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30)가 저면부(140)로부터 이루는 각도의 합은 180도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W)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펼쳐진 패키징 박스(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상면부(111)의 단부 및 제2상면부(112)의 단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클램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램프(170)는 상면부(110)를 가압함으로써 박스(100)형태를 유지하고 박스(100)에 수용된 물건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전개도를 참조하면, 전개된 형태의 양끝에 마련된 제1상면부(111) 및 제2상면부(112)는 힌지(120a)와 같은 링크를 통해 이웃한 구성과 연결되어 있는데 내측으로 회동하여 저면부(140)와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170)는 제1상면부(111) 및 제2상면부(112)를 저면부(140)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박스(100)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상면부(111) 및 제2상면부(112)는 클램프(170)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홈이 마련될 수 있고, 제2-1측면부(131)에 위치한 하나의 클램프(170)에 의해 제1상면부(111) 및 제2상면부(112)가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제2-2측면부(132)에 위치한 다른 클램프(170)에 의해 제1상면부(111) 및 제2상면부(112)의 반대쪽이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박스(100)의 접철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개시에 저면부(140) 상에 제2측면부(130)가 접철되어 적층되고 제1측면부(120) 상에 상면부(110)가 접철되어 적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측면부(120)가 저면부(140)로부터 180도를 형성하고, 제2측면부(130)는 저면부(140)에 포개어지면서 0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가 연결부(W)가 제1측면부(120) 및 제2측면부(130) 간을 가동범위를 연동시키고 결정하기 때문이며, 구성간 연결시키는 링크를 유지하면서 회동범위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패키징 박스
110 : 상면부
110a : 회절부
111 : 제1상면부
112 : 제2상면부
120 : 제1측면부
120a : 힌지
121 : 제1-1측면부
122 : 제1-2측면부
130 : 제2측면부
130a : 손잡이
131 : 제2-1측면부
132 : 제2-2측면부
140 : 저면부
170 : 클램프
W : 연결부

Claims (7)

  1. 접철가능한 링크로 연결되어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태 및 보관되는 상태로 가변가능한 접철식 패키징 박스에 있어서,
    장방형의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마주하는 두 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1-1측면부 및 제1-2측면부를 포함하는 제1측면부;
    상기 저면부의 마주하는 두 면과 각각 연결되는 제2-1측면부 및 제2-2측면부를 포함하는 제2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가동범위를 결정하고 연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태에서 내측공간에서 연결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고, 빗변과 나머지 하나의 변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동범위를 결정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전개시에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는 제1상면부와 제2상면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부의 단부 및 상기 제2상면부의 단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개시에 상기 저면부 상에 제2측면부가 접철되어 적층되고, 상기 제1측면부 상에 상면부가 접철되어 적층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범위는 상기 저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측면부가 형성하는 각도와 상기 저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측면부가 형성하는 각도의 합이 180도가 형성되는 범위에서 형성되는, 접철식 패키징 박스.
KR1020220109442A 2022-08-30 2022-08-30 접철식 패키징 박스 KR20240030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442A KR20240030419A (ko) 2022-08-30 2022-08-30 접철식 패키징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442A KR20240030419A (ko) 2022-08-30 2022-08-30 접철식 패키징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419A true KR20240030419A (ko) 2024-03-07

Family

ID=9027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442A KR20240030419A (ko) 2022-08-30 2022-08-30 접철식 패키징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4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341A (ko) 2015-09-11 2017-03-21 송갑규 절첩식 경질 pvc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341A (ko) 2015-09-11 2017-03-21 송갑규 절첩식 경질 pvc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7943B2 (en) Platform
JP2020023359A (ja) 容器装置
JP4585089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の積載構造
JP2010111421A (ja) 紙製収容箱
KR101862365B1 (ko) 원터치 접이형 과일박스
JP5588313B2 (ja) 折りたたみ可能な組立式箱
KR20140091370A (ko)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접힘장치
KR20240030419A (ko) 접철식 패키징 박스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RU2737078C1 (ru) Непромокаемая и непроницаемая для жидкости упаковочная коробка из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карто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5146115B2 (ja) 両面物品保持板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KR20200075263A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KR200491290Y1 (ko) 접이식 경량 포장박스
JP3204791U (ja) 包装箱
KR20110130879A (ko) 적층형 포장 상자
KR200363603Y1 (ko) 접철식 포장 박스
JP2020100430A (ja) 梱包材
US10118725B2 (en) Rapidly erected and collapsible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5257230B2 (ja) 梱包箱セット及び梱包箱セットの構成方法
KR200381610Y1 (ko) 통기성 포장용 상자
KR200367545Y1 (ko) 소형 물품용 종이 박스
KR200311740Y1 (ko) 중첩이 가능한 카톤박스
US5975289A (en) Container for transport of printed products
US20230128021A1 (en) A box casing, a kit for creating such a box casing, and use thereof
JP2024036977A (ja) 運搬資材、運搬部材および運搬資材の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