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158A -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158A
KR20240030158A KR1020220108843A KR20220108843A KR20240030158A KR 20240030158 A KR20240030158 A KR 20240030158A KR 1020220108843 A KR1020220108843 A KR 1020220108843A KR 20220108843 A KR20220108843 A KR 20220108843A KR 20240030158 A KR20240030158 A KR 20240030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key
buttons
butt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최준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158A/ko
Publication of KR2024003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09Antitheft state ind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18Central base unlocks or authorises un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잠금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차량용 키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 및 안테나를 통해 차량에게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에게 전송하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더라도 상기 차량에게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VEHICLE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는 잠금 상태로 전환 가능한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 도어의 키 홈에 삽입하지 않고서도 차량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키 박스에 삽입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차량용 키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키는 스마트 키(SMART KEY) 또는 키 포브(KEY FOB) 등의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차량용 키를 직접 탈취당하는 것은 차량에 대한 모든 제어권을 탈취당하는 것과 같다.
또한, 차량용 키는 무선 신호를 통해 차량과 통신하기 때문에 릴레이 어택과 같은 간접 탈취에도 취약하다.
본 개시는 보안성 향상을 위해 잠금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는, 잠금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차량용 키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 및 안테나를 통해 차량에게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에게 전송하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더라도 상기 차량에게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1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의 상기 차량용 키를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튼은 도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잠금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상태의 상기 차량용 키를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은, 상기 복수의 버튼의 가압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2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압된 후 상기 복수의 버튼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상태의 상기 차량용 키를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버튼은 도어 언락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언락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잠금 상태 또는 상기 활성화 상태인지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잠금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차량에게 부정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게 부정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마련된 차량용 키가, 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키가,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키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복수의 버튼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더라도 상기 차량에게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1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이 기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의 수정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기등록된 미리 설정된 패턴과 입력 패턴이 동일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차량용 키가 두 개 이상 검출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추가적인 하드웨어 구성 없이 차량용 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용 키를 탈취당하는 경우에도 차량에 대한 제어권을 사수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릴레이 어택 등에 대한 차량용 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용 키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용 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활성화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활성화 상태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잠금 해제 패턴을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잠금 해제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잠금 해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인 경우, 잠금 해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패턴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새로운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사용자가 잠금 해제 패턴을 잊어버린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가 포함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새로운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개시된 실시예들은 개시된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개시된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차량용 키 및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용 키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용 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사용자와 소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와, 차량용 키(2)의 인증과 관련된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인증 제어부(13)와, 차량용 키(2)의 인증과 관련된 제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와, 차량용 키(2)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차량용 키(2)와 관련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1)와, 차량용 키(2)와 관련된 다양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또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차량용 키(2)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이하 '잠금 해제 패턴')을 등록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2-2)는 차량용 키(2)와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2)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 조이스틱,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차량(1)에 마련된 AVN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 제어부(13)는 차량용 키(2)의 인증과 관련된 제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증 제어부(13)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또는 등록 지문 데이터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제어부(13)는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용 키(2)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제어부(13)는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3)는 인증된 차량용 키(2)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와 대응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1)에 마련된 복수의 전자 제어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제어부(13)는 차량용 키(2)로부터 도어(D)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도어(D)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제어부(13)는 차량용 키(2)로부터 도어(D)를 잠그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도어(D)를 잠글 수 있다.
또한, 인증 제어부(13)는 차량용 키(2)로부터 트렁크(T)를 오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트렁크(T)를 오픈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제어부(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로부터 잠금 해제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이를 저장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차량용 키(2)의 인증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는 차량용 키(2)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예: 식별 암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4)는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부(14)의 메모리는 인증 제어부(13)의 메모리와 별도의 메모리일 수도 있고, 통합된 메모리일 수도 있다.
메모리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와,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4)는 차량용 키(2)의 잠금 해제 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는 차량용 키(2)의 잠금 해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후술하여 설명할 바와 같이, 잠금 해제 패턴은 차량용 키(2)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22)을 가압하는 패턴을 의미하며, 복수의 버튼(22)을 가압하는 패턴은 복수의 버튼(22)을 가압하는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에 대한 설명은 차량용 키(2)의 통신부(25)와 통합하여 후술한다.
한편, 차량(1)의 구성요소들은 차량 통신 네트워크(예: CAN 통신)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차량용 키(2)는 차량용 키(2)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22)과, 차량용 키(2)의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23)와, 차량용 키(2)의 인증과 관련된 제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4)와 차량(1)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는 차량용 키(2)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또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가 인디케이터로 구현되는 경우, 인디케이터는 다양한 색상(예: 빨간색, 초록색, 주황색 등)의 빛으로 발광하거나, 특정 주기에 따라 점멸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22)은 차량(1)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복수의 버튼(22)의 개수 및 복수의 버튼(22) 각각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버튼(22)은 제1 버튼(22-1), 제2 버튼(22-2), 제3 버튼(22-3) 및/또는 제4 버튼(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22-1)은 도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잠금 버튼일 수 있다.
제2 버튼(22-2)은 도어 언락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언락 버튼일 수 있다.
제3 버튼(22-3)은 트렁크 오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트렁크 오픈 버튼일 수 있다.
제4 버튼(22-4)은 패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닉 버튼일 수 있다. 패닉 기능이란, 차량(1)의 경고 시스템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기능을 의미한다.
다만, 제1 버튼(22-1) 내지 제4 버튼(22-4)의 기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버튼이 생략되거나 특정 버튼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22)은 차량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5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버튼(22)은 차량 원격 시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6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차량용 키(2)의 기능과 관련된 제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통신부(25)를 통해 차량(1)에게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제1 버튼(22-1) 내지 제4 버튼(22-4)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제1 버튼(22-1) 내지 제4 버튼(22-4)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통신부(2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는 도어 오픈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도어 오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통신부(2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도어 언락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도어 언락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통신부(2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트렁크 오픈 버튼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트렁크 오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통신부(2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패닉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패닉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통신부(25)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하여 설명한 제어 신호는, 제어 명령과 관련된 데이터 및 차량용 키(2)의 인증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 각각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버튼(22) 각각의 가압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버튼(22-1) 내지 제4 버튼(22-4)을 연속적으로 가압하면, 제어부(23)는 제1 버튼(22-1) 내지 제4 버튼(22-4)이 연속적으로 가압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 각각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버튼(22) 각각이 가압되는 기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버튼(22-1)을 소정의 시간 동안 가압하면, 제어부(23)는 제1 버튼(22-1)이 소정의 시간 동안 가압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에 대한 가압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용 키(2)를 잠금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차량용 키(2)의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4)는 차량용 키(2)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예: 식별 암호)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차량용 키(2)의 잠금 기능에 필요한 정보(예: 잠금 해제 패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24)는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부(24)의 메모리는 제어부(23)의 메모리와 별도의 메모리일 수도 있고, 통합된 메모리일 수도 있다.
통신부(15, 25)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원거리 통신 모듈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 25)는 LF(Low Frequency)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1)과 차량용 키(2)는 LF 통신망 또는 RF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이 LF 대역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면, 탐색 신호를 수신한 차량용 키(2)가 RF 대역의 응답 신호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응답 신호에는 인증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인증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차량(1)이 송신하는 LF 대역의 탐색 신호는 저주파수 대역의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임계 거리(이하, 'LF 임계 거리')가 RF 신호에 비해 짧다. 차량용 키(2)가 차량(1)으로부터 LF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용 키(2)는 차량(1)으로부터 LF통신망을 통해 탐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RF통신망을 통해 응답 신호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용 키(2)가 차량(1)으로부터 LF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1)이 LF통신망을 통해 주변에 탐색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차량용 키(2)는 이를 수신할 수 없고, 차량(1)에 응답 신호도 송신할 수 없다.
따라서, 차량용 키(2)가 차량(1)과 인접한 거리에(LF 임계 거리 이내) 위치한 경우에만 차량용 키(2)가 차량(1)으로부터 탐색 신호를 수신하여 상호 간 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통신부(15, 25)는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신호를 송수신하는 UWB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통신부(25)를 통해 LF신호 RF 신호 또는 UWB 신호 형태의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차량(1)은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1) 및 차량용 키(2)의 각종 구성요소를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기술 범위 내에서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설명된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2)는 활성화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1010).
활성화 상태는 차량용 키(2)가 정상적인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1)이 LF 대역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면, 활성화 상태의 차량용 키(2)는 탐색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RF 대역의 응답 신호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활성화 상태의 차량용 키(2)는 복수의 버튼(22)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RF 대역의 제어 신호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복수의 버튼(22) 중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도어 잠금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도어 잠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잠금 조건(1020의 예)이 만족된 것에 기초하여 차량용 키(2)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1030).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활성화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키(2)의 디스플레이부(21)는 차량용 키(2)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는 차량용 키(2)가 잠금 상태인지 또는 활성화 상태인지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가 인디케이터로 마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는 차량용 키(2)가 활성화 상태에 해당하면 제1 색깔(예: 초록색)의 빛으로 발광하고, 차량용 키(2)가 잠금 상태에 해당하면 제2 색깔(예: 빨간색)의 빛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는 차량용 키(2)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활성화 상태와 잠금 상태를 구별하기 위한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차량용 키(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용 키(2)가 잠금 상태인 사실을 간과하고 차량(1)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버튼(22)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1)는, 잠금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면,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21)가 인디케이터로 구현되는 경우,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은 소정의 주기의 점멸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인 사실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차량용 키(2)는 복수의 버튼(22) 중 어느 하나의 버튼(예: 제1 버튼(22-1))이 미리 설정된 시간(t1) 동안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활성화 상태의 차량용 키(2)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제1 버튼(22-1)이 미리 설정된 시간(t1) 동안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차량용 키(2)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t1)은 사용자가 차량용 키(2)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점을 추정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예: 약 2초)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차량(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제1 버튼(22-1)은 도어 잠금 버튼, 도어 언락 버튼, 트렁크 오픈 버튼, 패닉 버튼, 원격 시동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버튼(22-1)은 도어 잠금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버튼(22-1)이 도어 잠금 버튼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1 버튼(22-1)을 차량용 키(2)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키(2)가 활성화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만족되어야 하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키(2)는 복수의 버튼(22)과 구별되는 별도의 버튼(예: 차량용 키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3)는 차량용 키 잠금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활성화 상태의 차량용 키(2)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잠금 상태는 차량용 키(2)가 비정상적인 무선 신호를 전송하거나,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1)이 LF 대역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면,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는 탐색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RF 대역의 부정 응답 신호(negative response signal)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부정 응답 신호는 긍정 응답 신호와 상이하게, 차량용 키(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차량(1)이 LF 대역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면,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는 탐색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응답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23)는, 잠금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22)이 가압되더라도 차량(1)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은,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는 것 또는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와 무관한 부정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는, 잠금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22)이 가압되더라도 어떠한 신호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3)는, 잠금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22)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부정 응답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3)는, 잠금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외부 장치(예: 릴레이 어택 중계기)로부터 응답 요청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외부 장치에게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지 않거나 부정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용 키(2)를 언제든지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서, 차량용 키(2)가 탈취되더라도 탈취자에게 차량(1)에 대한 제어권을 빼앗기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용 키(2)는 잠금 상태에서 릴레이 어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를 언제든지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저장부(24)는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는 차량(1)으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패턴이란, 복수의 버튼(22)의 가압 패턴(예: 복수의 버튼(22)의 가압 순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패턴은 사용자가 차량(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사전에 설정한 패턴일 수 있다.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1040의 예)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1050).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은 복수의 버튼(22)을 가압하는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22) 각각은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 각각이 가압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패턴은, 제1 버튼(22-1), 제3 버튼(22-3), 제4 버튼(22-4) 및 제2 버튼(22-2) 순서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미리 설정된 패턴은 제1 버튼(22-1), 제1 버튼(22-1) 및 제3 버튼(22-3) 순서의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미리 설정된 패턴은 복수의 버튼(22) 중 일부만을 이용한 패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일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사용자는 이러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일종의 암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은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1)는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출력되고 있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용 키(2)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22)을 일종의 암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용 키(2)의 하드웨어 구성의 변경 없이 잠금 기능 및 잠금 해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복수의 버튼(22)을 가압하는 경우 자신이 가압한 버튼의 순서를 잊어버리거나, 패턴의 시작 지점을 혼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패턴이 제1 버튼(22-1), 제3 버튼(22-3), 제4 버튼(22-4) 및 제2 버튼(22-2) 순서의 패턴인 경우, 사용자가 실수로 제2 버튼(22-2)을 먼저 가압하였다면 이후 제1 버튼(22-1), 제3 버튼(22-3), 제4 버튼(22-4) 및 제2 버튼(22-2) 순서로 복수의 버튼(22)을 가압하더라도, 입력된 가압 패턴이 미리 설정된 패턴과 일치하지 않아 차량용 키(2)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키(2)는 잠금 상태 및 활성화 상태와 더불어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입력 받기 위한 준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는 차량용 키(2)가 준비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가 인디케이터로 마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는 차량용 키(2)가 활성화 상태에 해당하면 제1 색깔(예: 초록색)의 빛으로 발광하고, 차량용 키(2)가 준비 상태에 해당하면 제2 색깔(예: 주황색)의 빛으로 발광하고, 차량용 키(2)가 잠금 상태에 해당하면 제3 색깔(예: 빨간색)의 빛으로 발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1)의 상태를 확인하고 차량용 키(2)의 현재 상태가 어떤 상태에 해당하는지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턴의 시작 지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3)는 잠금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조건이 만족된 것에 기초하여 차량용 키(2)를 준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2)는 복수의 버튼(22) 중 어느 하나의 버튼(예: 제2 버튼(22-2))이 미리 설정된 시간(t2) 동안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를 준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3)는 잠금 상태에서 제2 버튼(22-2)이 미리 설정된 시간(t2) 동안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차량용 키(2)를 준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t2)은 사용자가 차량용 키(2)를 준비 상태로 전환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점을 추정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예: 약 2초)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차량(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제2 버튼(22-2)은 도어 잠금 버튼, 도어 언락 버튼, 트렁크 오픈 버튼, 패닉 버튼, 원격 시동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버튼(22-2)은 도어 언락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버튼(22-2)이 도어 언락 버튼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2 버튼(22-2)을 차량용 키(2)를 준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 중 제2 버튼(22-2)이 미리 설정된 시간(t2) 동안 가압된 후 복수의 버튼(22)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는 준비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22)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버튼(22-2)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압하여 잠금 해제의 의도를 표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차량용 키(2)가 준비 상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한 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복수의 버튼(22)을 가압함으로써 차량용 키(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패턴의 입력 시작 지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3)는 잠금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22)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패턴이 입력되는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3)는 준비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22)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패턴이 입력되는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이 입력되는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는 소정의 주기로 점멸하는 디스플레이부(21)의 점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디스플레이부(21)에 패턴이 입력되는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가 출력되는 중에, 미리 설정된 패턴과 입력되는 패턴이 불일치한 것으로 결정되면 차량용 키(2)가 잠금 상태라는 점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출력되는 시각적 표시가 변경된 경우 자신이 잘못된 패턴을 입력하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패턴을 재 입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종래 차량용 키에 구비된 하드웨어 구성(복수의 버튼)을 통해 차량용 키를 활성화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용 키(2)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잘못된 패턴을 입력한 사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패턴의 입력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활성화 상태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키(2)는 활성화 상태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는 차량용 키(2)가 활성화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는 복수의 버튼(22)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통신부(25)를 통해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차량용 키(2)가 활성화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차량용 키(2)의 인증과 관련된 데이터(예: 차량용 키(2)의 식별 데이터) 및 차량(1)의 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도어 잠금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도어 잠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도어 언락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도어 언락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트렁크 오픈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트렁크 오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패닉 버튼이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패닉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활성화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차량(1)으로부터 활성화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에게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1)은 차량용 키(2)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웰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웰컴 기능은 차량(1)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접혀져있는 사이드 미러를 피거나 웰컴 라이트를 조사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화 상태의 차량용 키(2)는 차량(1)의 제어권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키(2)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패턴은 사용자가 설정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차량용 키(2)에 미리 설정된 패턴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잠금 해제 패턴을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패턴 등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잠금 해제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잠금 해제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2-2)를 통해 패턴 등록 엘리먼트(12a)를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인증 제어부(13)는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에게 패턴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
차량용 키(2)는 통신부(25)를 통해 차량(1)으로부터 패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긍정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
인증 제어부(13)는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로부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D1)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제어할 수 있다(S4).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차량용 키(2)로부터 패턴 등록 요청 신호에 대한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전 까지, 차량용 키(2)를 탐색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및/또는 차량용 키(2)를 차량(1) 내부에 배치시켜 달라는 요청을 포함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D1)는,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22-1A, 22-2A, 22-3A, 22-4A)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22-1A, 22-2A, 22-3A, 22-4A) 각각은 차량용 키(2)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22) 각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엘리먼트(22-1A) 내지 제4 엘리먼트(22-2A)는 제1 버튼(22-1) 내지 제4 버튼(22-4)과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엘리먼트(22-1A, 22-2A, 22-3A, 22-4A)의 배치 순서는 차량용 키(2)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22)의 배치 순서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엘리먼트(22-1A, 22-2A, 22-3A, 22-4A) 각각은 복수의 버튼(22) 각각에 대응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예: 문자, 도형, 텍스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엘리먼트 각각이 차량용 키(2)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22) 중 어느 버튼과 대응되는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D1)를 통해, 복수의 엘리먼트(22-1A, 22-2A, 22-3A, 22-4A) 각각을 선택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12-2)를 통해 제1 엘리먼트(22-1A), 제3 엘리먼트(22-3A), 제4 엘리먼트(22-4A) 및 제2 엘리먼트(22-2A) 순서로 복수의 엘리먼트(22-1A, 22-2A, 22-3A, 22-4A)를 선택한 후 확인 엘리먼트(12c)를 선택하면, 미리 설정된 패턴은 제1 버튼(22-1), 제3 버튼(22-3), 제4 버튼(22-4) 및 제2 버튼(22-2) 순서의 패턴으로 등록될 수 있다.
등록된 미리 설정된 패턴은 차량(1)의 저장부(14)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차량(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PD1)를 통해 미리 설정된 패턴을 수신하고, 수신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S5).
한편, 인증 제어부(13)는 저장부(14)에 미리 설정된 패턴이 등록된 것에 기초하여,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에게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
차량용 키(2)는 차량(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저장부(24)에 미리 설정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S7).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키(2)는 차량(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차량(1)에게 수신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키(2)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한 차량(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패턴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패턴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확인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패턴이 차량용 키(2)에 저장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잠금 해제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등록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엘리먼트(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등록된 잠금 패턴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패턴 수정 엘리먼트(12b)를 선택함으로써 잠금 패턴을 수정할 수 있다.
차량(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패턴 수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8).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잠금 해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부(12-2)를 통해 패턴 수정 엘리먼트(12b)를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인증 제어부(13)는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에게 패턴 수정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1)이 차량용 키(2)에게 패턴 수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용 키(2)로부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과정 S2 및 S3과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차량용 키(2)로부터 패턴 수정 요청 신호에 대한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전 까지, 차량용 키(2)를 탐색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및/또는 차량용 키(2)를 차량(1) 내부에 배치시켜 달라는 요청을 포함하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3)는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로부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D2)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제어할 수 있다(S9).
미리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D2)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D1)와 마찬가지로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22-1A, 22-2A, 22-3A, 22-4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엘리먼트(22-1A, 22-2A, 22-3A, 22-4A) 각각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차량(1)은 미리 설정된 패턴이 기등록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미리 설정된 패턴의 수정을 허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란, 현재 차량용 키(2)의 잠금 해제 패턴을 수정하고자 하는 자가 기존에 차량용 키(2)에 대한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한 자와 일치하는 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당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D2)를 통해 기등록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인증 제어부(13)는 기등록된 미리 설정된 패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PD2)를 통해 입력된 입력 패턴이 동일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10의 예).
한편, 사용자는 차량용 키(2)를 잠금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잊어버릴 수 있다.
정당 사용자이더라도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잊어버린 경우에는 차량용 키(2)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이 차량용 키(2)에게 패턴 수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잠금 상태의 차량용 키(2)는 아무런 신호를 전송하지 않거나 부정 응답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차량용 키(2)에게 패턴 수정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은 차량용 키(2)가 차량(1) 근처에 없거나 잠금 상태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가 잠금 상태인 경우, 잠금 해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용 키(2)에게 패턴 수정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차량용 키(2)의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차량(1)은 차량용 키(2)에게 패턴 수정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부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차량용 키(2)의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잊어버리지 않은 상태라면 차량용 키(2)의 복수의 버튼(22)을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가압함으로써 차량용 키(2)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차량용 키(2)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 후 확인 엘리먼트(12c)를 선택하면, 차량(1)은 차량용 키(2)에게 패턴 수정 요청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차량용 키(2)는 패턴 수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긍정 응답 신호를 차량(1)에게 전송하게 되고, 인증 제어부(13)는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로부터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D2)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D2)를 통해 기존의 패턴을 재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패턴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새로운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D2)를 통해 입력된 패턴이 미리 저장된 패턴과 일치하는 것(S10의 예)에 기초하여 수정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D1)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PD1)를 통해 수정 패턴을 입력할 수 있으며, 차량(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PD1)를 통해 수정 패턴을 수신하고, 수신된 수정 패턴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S11). 수정된 미리 설정된 패턴은 차량(1)의 저장부(14)에 저장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3)는 저장부(14)에 수정 패턴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서 새롭게 등록된 것에 기초하여, 통신부(15)를 통해 차량용 키(2)에게 수정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
즉, 차량(1)은 미리 설정된 패턴이 수정된 것에 기초하여, 수정된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차량용 키(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키(2)는 차량(1)으로부터 수정된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저장부(24)에 수정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S13). 저장부(24)는 수정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저장하는 경우, 기등록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키(2)의 저장부(24)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패턴이 수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언제든지 잠금 해제 패턴을 수정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키(2)의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잊어버린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잊어버린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 요구된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잊어버린 경우 다른 방식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엘리먼트(QA)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3)는 입력부(12-2)를 통해 인증 엘리먼트(QA)가 선택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사용자가 잠금 해제 패턴을 잊어버린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가 포함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은 차량(1) 내에 두 개 이상의 차량용 키(2)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는 차량(1) 내에 두 개 이상의 차량용 키(2)를 위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1)의 정당 소유주를 인증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은 생체 인증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증 방법은, 차량(1)에 마련된 각종 센서(예: 카메라, 지문센서)를 이용한 얼굴 인증 방법, 홍채 인증 방법, 정맥 인증 방법 및/또는 지문 인증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는 상술하여 설명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는 차량(1)에 마련된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얼굴을 배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 차량(1)에 마련된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눈을 배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 차량(1)에 마련된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손목을 배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 및/또는 차량(1)에 마련된 지문센서에 손가락을 배치시키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가 포함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에 표시되는 중에, 인증 제어부(13)는 가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 제어부(13)는 차량(1)의 내부에서 차량용 키(2)가 두 개 이상 검출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10의 예).
일실시예에서, 두 개 이상의 차량용 키(2) 모두가 잠금 상태인 상황을 대비하여, 인증 제어부(13)는 두 개 이상의 차량용 키(2) 모두에게 부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인증 제어부(13)는 한 번의 탐색 신호를 전송한 것에 응답하여 부정 응답 신호를 두 번 이상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제어부(13)는 두 개의 차량용 키(2) 각각으로부터 긍정 응답 신호 및부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인증 제어부(13)는 한 번의 탐색 신호를 전송한 것에 응답하여 긍정 응답 신호와 부정 응답 신호를 각각 한번 이상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인증 제어부(13)는 차량(1)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10의 예).
일실시예에서, 인증 제어부(13)는 얼굴 인증, 홍채 인증, 정맥 인증 및/또는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3)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초기화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새로운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증 제어부(13)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PD1)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S5 동작 내지 S7 동작을 통해 차량(1)의 저장부(14) 및 차량용 키(2)의 저장부(24) 각각에는 미리 설정된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잠금 해제 패턴을 잊어버리더라도, 다양한 인증 수단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패턴을 수정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 인증 제어부 14 : 저장부
15: 통신부 2: 차량용 키
21: 디스플레이부 22: 복수의 버튼
23: 제어부 24: 저장부
25: 통신부

Claims (20)

  1. 잠금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차량용 키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 및
    안테나를 통해 차량에게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에게 전송하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더라도 상기 차량에게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차량용 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1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의 상기 차량용 키를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용 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도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잠금 버튼인 차량용 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이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상태의 상기 차량용 키를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용 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은, 상기 복수의 버튼의 가압 순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량용 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것인 차량용 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2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압된 후 상기 복수의 버튼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상태의 상기 차량용 키를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용 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도어 언락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언락 버튼인 차량용 키.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잠금 상태 또는 상기 활성화 상태인지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잠금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량용 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면 상기 차량에게 부정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용 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게 부정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용 키.
  14.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마련된 차량용 키가, 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키가,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가압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키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복수의 버튼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가압되더라도 상기 차량에게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1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이 기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의 수정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기등록된 미리 설정된 패턴과 입력 패턴이 동일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차량용 키가 두 개 이상 검출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생체 인증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KR1020220108843A 2022-08-30 2022-08-30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30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843A KR20240030158A (ko) 2022-08-30 2022-08-30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843A KR20240030158A (ko) 2022-08-30 2022-08-30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158A true KR20240030158A (ko) 2024-03-07

Family

ID=9027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843A KR20240030158A (ko) 2022-08-30 2022-08-30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1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7043B (zh) 用于将对车辆特征的控制授权给可穿戴电子装置的系统和方法
JP7053216B2 (ja) 車両操作装置および車両システム
US20160259439A1 (en) Multi-touch keyless entry pad
US20030117261A1 (en) Universal transmitter for controlling multiple keyless entry systems
EP3392433A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9747740B2 (en) Simultaneous button press secure keypad code entry
US11643853B2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217633A1 (en) Card-type smart ke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695383B (zh) 钥匙单元、控制系统、控制方法和具有存储在其中的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7112341A (ja) 車両オーナー認証装置
KR101890252B1 (ko) 지문인식 스마트키 장치
KR101546610B1 (ko)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30158A (ko) 차량용 키 및 이의 제어방법
JP6277847B2 (ja) 車載装置
US20190311609A1 (en) Locking mechanisms for enabling or disabling the operations of trainable transceivers
KR101869537B1 (ko) 지문인식 스마트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10893B2 (en) In-vehicle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890248B1 (ko) 지문인식 스마트키 장치
KR101055269B1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
JP2017096003A (ja) ドア錠制御システム
CN111275864A (zh) 一种具有指纹解锁的印章
KR20060036981A (ko) 전자키 기능 구현 시스템 및 운용방법
WO2018194877A1 (en) Locking mechanisms for enabling or disabling the operations of trainable transceivers
KR20230117800A (ko) 지문 데이터 초기화 시스템 및 지문 데이터 초기화 방법
JP7155865B2 (ja) 作動可否決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