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774A -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조성물 - Google Patents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774A
KR20240029774A KR1020247003665A KR20247003665A KR20240029774A KR 20240029774 A KR20240029774 A KR 20240029774A KR 1020247003665 A KR1020247003665 A KR 1020247003665A KR 20247003665 A KR20247003665 A KR 20247003665A KR 20240029774 A KR20240029774 A KR 20240029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sition
hyaluronic acid
cross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네딕티스 빈첸초 마리아 데
피에라 안젤라 라미레스
Original Assignee
바이오폴리메리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폴리메리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이오폴리메리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4002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7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8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lfur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1/00Drugs used in surgical methods, e.g. surgery adjuvants for preventing adhesion or for vitreum sub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2Anaestetics, analgesics, e.g. lid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2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joint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와 가교된 히알루론산, 이의 제조 방법, 및 치료, 미용료에서 및 담체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조성물
본 출원은 2021년 7월 1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제21183109.4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조성물 분야에 속하며, 구체적으로 국소 마취제 및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와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소 마취제 (local anesthetic: LA)는 전신 마취제와 달리, 의식을 잃지 않고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통증 감각을 느끼지 않게 하는 약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LA는 나트륨 이온의 유입 (흡수)을 억제하여 신경 전도를 방해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는 신경막을 통해 축삭형질 (axoplasm)로 확산되며, 여기서 이들은 나트륨 채널로 진입하여 활성 또는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방지한다.
국소 마취제는 친지성 기 (방향족 고리), 친수성 기 (3차 아민) 및 중간 연결 기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로 형성된다. 이러한 기들 (성분들) 각각은 지질 및 수 용해성의 측면에서 마취제 분자에 독특한 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효율적인 작용 지속 시간 및 짧은 개시 시간 (즉, 전체 국소 마취제 투여의 종료 및 완전한 감각 또는 운동의 차단 사이의 시간 간격)을 갖는데 중요하다. 한편, 상기 방향족 고리는 LA의 지질 용해도 (liposolubility)를 개선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아민 기의 지방족 치환에 의해 추가로 증진될 수 있다. 지질 용해도가 더 커지면 신경 줄기 (nerve trunk)를 포함하는 개별 축삭의 신경막뿐만 아니라 신경초 (nerve sheaths)를 통한 확산을 증진시킨다. 이러한 특성은 활성 성분의 마취제 효능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투여된 용량 중 생체 이용 가능한 부분이 더 많을 수록 뉴런에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민 기는 중성 (비-이온화) 3차 아민으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양전하를 띤 4차 염 (이온화)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온화되지 않은 3차 아민을 갖는 중성 형태의 국소 마취제는 지용성이므로, 생체 이용 가능한 형태 (그러므로, 활성 형태)이다. 대신에, 양전하를 띤 형태 (4차 암모늄 염을 가짐)는 수용성이므로, 생체 이용 가능하지 않다 (즉, 비-활성). 그러나, 양전하를 띤 형태 (생체 이용 가능한 활성 형태가 아니더라도)는 마취제의 작용 기전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마취제 양이온이 수용체 부위에 위치하는 단백질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국소 마취제의 작용 지속 시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형적으로, 국소 마취제는 LA의 염 (예: 염산염), 및 가교된 폴리사카라이드 (예: 히알루론산)로 만들어진 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멸균 주사 제형 (injectable dosage form)의 형태로 투여된다. 국소 마취제 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은 특히 골관절염의 치료 또는 심미적 목적을 위한 필러 (fillers)로서 사용되는 경우 얇은 바늘을 통해 투여된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주사 제형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에 함유된 국소 마취제의 염 (염산염)은 주로 수용성의 양전하를 띤 형태 (즉, 국소 마취제의 비-활성 형태)로 존재하므로, 하이드로겔의 생리학적 pH에서 지용성 형태 (즉, 국소 마취제의 활성 형태)의 침전을 피하고, LA의 개시 시간을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시키고, LA의 뉴런으로의 침투 능력을 감소시켜서 국소 마취제의 효율성을 손상시킨다. 또한, 가교도가 높은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은 유동성이 적절하지 않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가교 퍼센트는 하이드로겔의 탄성 및 점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지만 미세한 바늘을 통한 압출 특성을 저하시켜서, 조직에 대한 기계적 손상 (주사 중 바늘의 침투 및 점탄성 하이드로겔이 주변 조직에 가하는 힘에 의해 발생)에 대한 반응으로 통증 및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더욱이, (가교된) 히알루론산 (HA)은 반응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해 유기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추가의 일시적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모든 이유로 인해, 가교된 하이드로겔은 국소 마취제가 혼입된 조성물로 제제화되고, 가장 중요한 것은 국소 마취제가 하이드로겔의 주사 후 단시간 내에 작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원에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수 많은 요인이 마취제 중성 형태의 안정성을 변경하여 마취제 치료 효과, 구체적으로 치료 효과의 개시 시간 및 지속 기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국소 마취제의 특성 (예: 화학 구조) 또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특성 (화학 조성, 가교도 및 추가 용해된 화합물의 존재, 삼투질농도 및/또는 이온 강도), 국소 마취제가 용해되는 매질 (즉, 가교된 하이드로겔)의 삼투질농도 및/또는 이온 강도뿐만 아니라, 투여에 사용되는 멸균 방법과 관련될 수 있다.
마취제를 함유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안정한 하이드로겔의 개발을 위한 여러 전략이 최신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학적 특성 (물리적 특성)이 개선된 마취제 및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BDDE)와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로겔이 최신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실제로,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BDDE)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마취제 및 글리세롤,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만니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 및 락티톨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의 주사 가능한 수성 조성물은 인 비보 히알루론산-기반 겔의 분해 (히알루로니다제에 의한 효소적 분해, 자유-라디칼 분해, 37℃에서의 열 분해)에 대한 안정성이 개선되어 하이드로겔의 저장-수명이 개선된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어떤 문헌에서도 하이드로겔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조성물이 그 안에 함유된 마취제의 치료 효과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내부에 활성 형태의 마취제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과, 하이드로겔로부터 활성 성분 (즉, 국소 마취제)이 방출되는 효과, 및 그 후 마취제의 개시 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언급하지 않았다.
대안적으로, 효능을 증가시키고, 구체적으로 국소 마취제의 개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여러 전략이 최신 기술에서 개시되었다. 이 중 일부 방법은 국소 마취제의 염 변경 (중탄산염 반대 음이온에 대한 염산염 변경) 및/또는 pH 8 이상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방법들은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영구 또는 반영구 주사용 의료기기의 제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다른 전략은 신경의 지단백질 장벽을 통해 LA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표면-활성제 또는 만니톨과 같은 물질 (즉, 신경 투과 증진제)을 첨가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경 투과 증진제의 사용과 관련된 부작용이 또한 관련 기술 분야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만니톨 사용의 주요 단점은 만니톨이 고삼투질 용액 (hyperosmolar solution)의 형태로 사용된다는 점이며, 이는 주사 부위에서 물 또는 체액이 회수되어 심각한 유해 효과 (부종)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삼투질 만니톨 용액의 사용은 장기간 적용에 적합하지 않으며, 골관절, 피내 또는 안내 적용의 경우 고삼투질 용액의 형태는 권장되지 않는다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구체적으로 개시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치료 효과가 증진된 하나 이상의 마취제를 함유하는 적절한 안정성 및 유동학적 특성을 갖는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제공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안전하고 안정한 가교된 히알루론산 국소 마취제 함유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그 안에 함유된 활성 형태의 국소 마취제의 방출을 증진시켜서 빠른 치료 효과 (작용 개시 시간의 단축)를 수득하였다. 비활성 형태의 국소 마취제가 주로 하이드로겔로부터 방출되는 최신 기술과 반대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농도의 유리 폴리글리세롤 및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조성물은 적절한 기계적 특성, 낮은 효소/산화 분해율, 및 인 비보 적용에 사용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주사제 적용과 같은 이의 투여와 관련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적절한 생체적합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폴리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PPE)와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본 발명에 개시된 특정 농도의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조합으로 마취제의 개시 단축이 달성되기 때문에, HA 조성물의 투여와 관련된 통증 및 염증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짧은 개시는 국소 마취제의 가장 빠른 작용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히알루론산의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국소 마취제 활성 형태의 생체이용률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어떤 이론에도 얽매이지 않고, 본 발명자들은 국소 마취제의 생체이용률 증가 (국소 마취제의 활성 형태의 퍼센트 증가)가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제어된 농도, 이들의 분자량 및 가교제 PPE의 구조의 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또한 하이드로겔로부터 주변 조직으로 국소 마취제의 키네틱 방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기계적 특성 및 분해 저항성은 가교제 구조와 HA 및 PPE 간의 (공유 및 비공유) 상호작용으로부터 유래되는 응집 특성의 의 조합 효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PPE 및 HA의 상호작용은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를 그대로 유지하고 효소가 임플란트에 침투하여 낮은 가교도에서도 3D-네트워크를 분해하는 능력을 제한하는 조밀한 3차원 HA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실험 섹션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3D-HA 네트워크 내부에 생리학적 pH에 더 가까운 국소 마취제의 pKa 값을 갖게 하여, 주어진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pH에서 Henderson-Hasselbalch 식에 의해 예측된 이론적 농도보다 더 높은 농도의 국소 마취제의 활성 형태 (즉, 생리학적 pH에서 지용성 형태)를 3D-HA 네트워크 내부에 갖도록 한다. 내부에 활성 형태의 국소 마취제의 양이 증가하면 결과적으로 개시 시간이 단축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3D-HA 조성물 내부에 위치하는 국소 마취제의 실험 pKa 값은 이론 pKa 값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특정 농도의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존재와 함께, 3D-HA 네트워크를 갖는, 본 발명에 개시된 마취제의 인 비보 빠른 개시 및 효능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어떤 이론에도 얽매이지 않고, 본 발명의 조성물, 구체적으로 PPE 가교제 및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조합의 시너지 효과는 하이드로겔 내부의 국소 마취제의 생체이용률의 변화 및 이로부터 약물의 빠른 확산을 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가교제로서 사용된 PPE의 양친매 특성, 이의 분자량 및 가교도는 미반응한 PPE 가교제의 가수분해 에폭시 개환 및 히알루론산 사슬 결합된 가교제의 자연 가수분해로부터 유래된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양친매 특성과 조합하여 매트릭스 내부에 활성 형태의 마취제의 예상치 못한 안정화를 제공한다. 이는 열역학적 방정식에 의해 예측되고 최신 기술에 알려진 제품에서 발견되는 퍼센트와 비교하여 마취제의 생체 이용 가능한 형태 (형태 B)의 퍼센트가 정량적으로 증가하고 (즉, 열역학적 pKa 값이 이의 예측값의 2.5% 내지 10% 감소함); 동시에, 가교된 HA의 3차원 구조는 HA의 3D-가교된 매트릭스로부터 마취제의 가장 빠른 키네틱 방출에 기여하여, 활성 형태의 약물의 신속한 확산을 초래한다 (개시 시간의 단축).
마지막으로, PPE 가교된 HA, 특정 농도의 유리 폴리글리세롤 및 마취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유동성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주사하면 이의 적용 중에 및 적용 후에 환자가 느끼는 염증 및 통증이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과분지형 PPE 가교제 (hyperbranched PPE crosslinker)의 양친매 특성, (b) 유리 과분지형 폴리올 단편의 특정 농도, 및 (c) 이들을 조합하여 조성물 내부에 국소 마취제의 지용성 활성 형태를 증가시킬 수 있는 (즉, Handerson-Hasselbach 식에 따라 기대되는 몰 농도보다 더 높은 국소 마취제의 형태를 갖는) 유리 과분지형 폴리올의 분자량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가교된 3D 매트릭스 (즉, 물리적 특성)는 국소 마취제의 지용성 활성 형태의 더 많은 양의 더 빠른 키네틱 방출을 제공하여; 국소 마취가 빠르게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
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혼합물
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롤;
C)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 및
D)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
여기서:
각 R1은 독립적으로 R2, R3, R4 및 R5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3이고;
R4이고;
R5이고,
각 R6은 독립적으로 R3 및 R5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e는 1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f는 0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g는 0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가교 퍼센트가 0.030 내지 0.900%이고;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은 중량 평균 분자량 (Mw)이 SEC/UV/MS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V-visible and Mass detector)로 측정 시 240 내지 3,700 Da이고; 단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에서 적어도 하나의 R1은 R4이고;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에서 R1이 존재하는 경우 R1은 R4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은 치료 (therapy)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은 미용료에서; 구체적으로 피부 필러로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은 담체; 구체적으로 약물-전달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출원에서 본원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이들의 통상적인 의미로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의 다른 보다 구체적인 정의가 하기에서 설명되며, 달리 명백히 제시된 정의가 더 광범위한 정의를 제공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 전체에 균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주어진 임의의 범위는 범위의 하한 및 상한 종점을 모두 포함한다. 온도, 시간, 중량 등과 같은 주어진 범위는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한, 근사치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명시된 값의 ± 10% 범위의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표현 "약 0.5" 또는 "대략 0.5"는 0.5의 ±10%, 즉 0.45 내지 0.55를 포함한다.
용어 "중량 퍼센트 (%)"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한 각 성분의 퍼센트를 의미한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히알루로난 (hyaluronan)" 및 약어 "HA"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교대로 β-(1→4) 및 β-(1→3) 글리코시드 결합을 경유하여 연결된, D-글루쿠론산 및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반복 단량체로 구성된 선형 고분자량 폴리사카라이드를 갖는 음이온성 비-황산화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AG)을 의미한다. 이의 화학 구조는 하기 화학식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히알루론산"은 또한 히알루론산의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예컨대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괄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가교된 폴리사카라이드는 상기 폴리사카라이드가 히알루론산의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것이다.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들이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면, 사용될 수 있는 히알루론산 염의 타입에는 제한이 없다.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은 일부 물리적 특성에서 상이할 수 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동등하고, 히알루론산의 피부-친화적 특성은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체적으로 이의 소듐 염 (또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및 포타슘 염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까지 확장 가능하다. 용어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은 환자 (예: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가 생리학적으로 허용하는 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은 의약 용도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대한 제약 기술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을 의미하고, 본 문헌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dermatologically acceptable salt)"은 특히, 독성, 비적합성 (incompatibility), 불안정성, 부적합한 알레르기 반응 없이 인간 피부 접촉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용어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염,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염을 포괄한다. 히알루론산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히알루론산의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비-제한적인 예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마그네슘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징크 히알루로네이트 및 코발트 히알루로네이트와 같은 무기 염,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히알루로네이트와 같은 유기 염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소듐 염 (CAS No: 9067-32-7) 또는 포타슘 염 (CAS No: 31799-91-4)의 선택된 알칼리 금속의 염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중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1 내지 50 mg/ml이고;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mg/ml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용액의 밀도가 1 (1mL = 1g)에 가까우므로, mg/mL로 표시되는 농도는 mg/g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히알루론산의 농도는 최신 기술에 개시된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농도는 적절한 시간 동안 105℃의 통풍 오븐 (ventilated oven)에서 하이드로겔을 탈수시킨 후에 수득된 건조 잔류물의 중량 측정 (gravimetric measurement)으로 측정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중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로 측정 시 100 내지 3000 kDa이고; 구체적으로 250 내지 2000 kDa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은 "가교된" 히알루론산이다. 용어 "가교된 (crosslinked)"은 3차원 가교 네트워크를 갖는 히알루론산을 의미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가교제에 의해 붕괴된 (collapsed) 출발 히알루론산에 의해 형성된다. 용어 "가교형성 (crosslinking)"은 폴리머 과학 분야에서 폴리머 (히알루론산)의 물리적 특성에서 차이를 촉진하는 가교의 사용을 의미한다. 용어 "가교 (crosslink)"는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록실기에 의해 본 발명의 가교제의 에폭시드 고리의 구멍 (aperture)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가교제 (crosslinker)" 또는 "가교형성제 (crosslinking agent)"는 하나 이상의 히알루론산 사슬들을 가교하는 능력을 가진 화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가교 퍼센트 (crosslinking percentage)", "가교의 퍼센트 (%) (percentage (%) of crosslinking)", "가교도 (cross-linking degree)" 및 약어 "C.D."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이들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퍼센트로 표시되는 비변형 히알루론산 단량체 단위 대비 가교된 변형 히알루론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가교도 (C.D.)의 측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일부 방법, 예를 들어 효소 소화 후 폴리머 단편의 1H NMR 또는 정량적 GPC 분석은 직접적 방법이다. 기타 방법, 유동학적 측정, 압착 (compression), 또는 진동 (oscillatory) 테스트는 간접적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이러한 방법은 비교에 의하고, 동일한 폴리머 패밀리 내에서 상이한 가교도를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교도 값은 하기 식 1을 사용하여 유동학적 측정에 의해 수득된 G'의 값으로부터 수학적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MWrep. unit는 히알루론산 단량체 반복 단위의 분자량인 401 Da이고;
Me는 하기 식 2의 역 식 (inverse formula)을 사용하여 수학적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G'은 회전 레오미터 (rotational rheometer)를 사용하여 유동학적 측정에 의해 실험으로 수득되고,
R·T는 열 에너지 (thermal energy)이며,
c는 히알루론산 농도이고,
Mn은 히알루론산의 수 평균 분자량 (number average molecular mass)이다 (S. C. De Smedt, et al. "Viscoelastic and transient network properties of hyaluronic acid as a function of the concentration," Biorheology, 1993. vol. 30(1), pp. 31-41 참조).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가교 퍼센트가 0.03% 내지 0.9%; 구체적으로 0.045 내지 0.077%인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대안적으로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상기 가교 퍼센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식 1을 사용하여 유동학적 측정으로 수득된 G' 값으로부터 측정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대안적으로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 전술한 모든 구체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적용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PPE) 가교제를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 (ultrasonication-assisted rapid titration with HCl)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 구체적으로 100 내지 600 g/eq의 평균 EEW를 갖는 가교제 PPE를 사용하여 수득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대안적으로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용어 "에폭시 당량 (epoxy equivalent weight)", "평균 EEW" 및 약어 "EEW"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EEW는 그람 (grams)으로 표시되는 가교제의 중량이고, 에폭시의 1 그람-당량을 포함한다. EEW는 본 발명에 개시된 가교제의 1 그람에 존재하는 에폭시기의 함량을 의미하고, g/eq로 표시된다. 상기 EEW는 당해 기술 분야에 개시된 에폭시드의 신속한 결정을 위해 HCl을 사용한 정량적 초음파-보조 적정을 사용하여 실험으로 측정하였다 (참고, He, Z., et al., "Ultrasonication-assisted rapid determination of epoxide values in polymer mixtures containing epoxy resin". Analytical Methods, 2014, vol. 6(12), pp. 4257-4261).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 구체적으로 204 내지 3,500 Da의 Mw를 갖는 가교제 PPE를 사용하여 수득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대안적으로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용어 "분자량 (molecular weight)", "중량 평균 분자량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중량-평균 몰 질량 (weight-average molar mass)", "질량 평균 몰 질량 (mass average molar mass)", "평균 Mw" 및 약어 "MW"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질량 평균 몰 질량은 하기 식에 의해 계산된다:
여기서, N i 는 분자량 M i 의 분자의 개수이다. 질량 평균 분자량은 정적 광산란 (static light scattering), 소각 중성자 산란 (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 X-선 산란, 및 침강 속도 (sedimentation velocity)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Mw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로 결정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가교제로서 폴리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PPE)를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고, Mw가 204 내지 15,000 g/mole이고; EEW가 100 내지 7,000 g/eq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가교제로서 폴리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PPE)를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고, Mw가 204 내지 3,500 g/mole이고; EEW가 100 내지 600 g/eq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가교 퍼센트가 0.03% 내지 0.9%인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대안적으로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Mw가 204 내지 15,000 g/mole이고; EEW가 100 내지 7,000 g/eq인 가교제 PPE를 사용하여 수득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가교 퍼센트가 0.045% 내지 0.077%인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또는 대안적으로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Mw가 204 내지 3,500 g/mole이고; EEW가 100 내지 600 g/eq인 가교제 PPE를 사용하여 수득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며; 여기서 R2의 양은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전체 중량에 대해 2 ppm 미만이다. 상기 R2의 양은 He, Z., et al., "Ultrasonication-assisted rapid determination of epoxide values in polymer mixtures containing epoxy resin". Analytical Methods, 2014, vol. 6(12), pp. 4257-4261에 개시된 에폭시드의 신속한 결정을 위해 HCl을 사용한 정량적 초음파-보조 적정을 사용하여 실험으로 측정된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은 각각 화학식 (III)의 "유리" 폴리글리세롤 또는 화학식 (IV)의 "유리" 폴리글리세롤로 명명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B) SEC/UV/MS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V-visible and Mass detector)로 측정 시 240 내지 3,700 Da; 구체적으로 314 내지 1129 Da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PPE) 가교제를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중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농도가 0.45 내지 25 mg/mL이고; 구체적으로 2 내지 20 mg/mL인 것이다. 상기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농도는 최신 기술에 개시된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농도는 SEC/UV/MS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V-visible and Mass detector)에 의해 측정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이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화학식 (3)의 화합물;
화학식 (4)의 화합물;
화학식 (5)의 화합물;
화학식 (6)의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 전술한 모든 구체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적용된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C)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마취제 (anesthetic)"는 의식 상실 여부에 관계없이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의 감각 상실을 유발하는 약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어 "국소 마취제 (local anesthetic)"는 말초신경의 흥분 및/또는 전도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국소 마취를 유도하는 마취제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 (effective amount)"은 전술한 마취 효과, 예를 들어 감각의 일부 또는 전체 상실, 감각 지각의 억제, 또는 운동 기능의 억제를 일으키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국소 마취제는 암부카인, 아몰라논, 아밀로카인, 아르티카인, 베녹시네이트, 벤조카인, 베톡시카인, 비페나민, 부피바카인, 부타카인, 부탐벤, 부타닐리카인, 부테타민, 부톡시카인, 클로로프로카인, 코카에틸렌, 코카인, 사이클로메티카인, 디부카인, 디메티소퀸, 디메토카인, 디페로돈, 디사이클로민, 엑고니딘, 엑고닌, 에티도카인, 베타-유카인, 유프로신, 페날코민, 파모카인, 포모카인, 헥실카인, 하이드록시테트라카인, 이소부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류시노카인 메실레이트, 레복사드롤, 리도카인, 메피바카인, 메프릴카인, 메타부톡시카인, 미르테카인, 나에파인, 옥타카인, 오르토카인, 옥세타자인, 파레톡시카인, 페나카인, 페놀, 피페로카인, 피리도카인, 폴리도카놀, 프라목신, 프릴로카인, 프로카인, 프로파노카인, 프로파라카인, 프로피포카인, 프로폭시카인, 슈도코카인, 피로카인, 로피바카인, 살리실 알코올, 테트라카인, 톨리카인, 트리메카인, 졸라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친유성 모이어티 및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이 아미드계 국소 마취제 예컨대 리도카인, 메피바카인, 아르티카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이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인 조성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이 메피바카인 또는 이의 염인 조성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이 아르티카인 또는 이의 염인 조성물이다.
상기 국소 마취제의 염에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허용 가능한 무독성 산으로부터 형성된 염을 포함한다. 상기 염들과 관련하여 제한은 없지만, 단 이들이 각각 약학적 또는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치료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해야 한다. 대부분의 허용 가능한 염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러한 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허용 가능한 무독성 산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을 포함하는 최신 기술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산에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벤젠설폰산, 벤조산, 캄포 설폰산, 시트르산, 에탄설폰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브롬화수소산, 염산, 락트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인산, 숙신산, 황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설폰산 및 염산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들은 기존 화학 방법에 의해 염기성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모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예를 들어 이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 적절한 허용 가능한 산의 화학양론적 양과 반응시켜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 산으로부터 형성된 임의의 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 산으로부터 형성된 임의의 염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마취제가 염 형태인 조성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리도카인 염산염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메피바카인 염산염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르티카인 염산염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Henderson-Hasselbalch 식에 의해 계산된 실험 pKa 값이 Henderson-Hasselbalch 식에 의해 계산된 예측된 열역학적 pKa 값보다 2.5 내지 10% 더 적은,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열역학적 pKa 값 (thermodynamic pKa value)" (pKaT로 약칭)은 최신 기술에서 표로 작성된 pKa 값이고 (참조: Rene. Levy et al. "Determination of thermodynamic dissociation constants of local anaesthetic amines: influence of ionic strength" J. Pharm. Pharmac., 1972, vol. 24, pp. 841-847), 교란 평형화제 (perturbating equilibrium agents)의 부재하에 약산의 해리 평형 상수로부터 계산된다 (참조: Rene. Levy et al.).
용어 "실험 pKa 값 (experimental pKa value)" (pKaS로 약칭)은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사용하여 실험으로 계산한 pKa로, 교란 평형화제 (예: 유리 폴리글리세롤 및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존재하에 pH 미터 및 SEC/UV/MS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V-visible and Mass detector) 각각을 사용하여 실험으로 측정한 pH, [B] 및 [BH+] 값으로부터 시작하여 실험으로 계산한 pKa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Henderson-Hasselbalch 식은 하기와 같다:
여기서:
pH는 -log([H+])이고,
pKa는 약산의 해리 평형 상수의 -log이고;
[B]([염기])는 국소 마취제의 짝염기 형태의 농도이고;
[BH+]([산])은 국소 마취제의 짝산 형태이다.
하기 평형으로부터 [B] 및 [BH+]의 값을 도출한다:
pKa의 값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최신 기술에서 표로 작성된 각 국소 마취제에 대한 열역학적 pKa 값에 해당한다 (참조: Rene. Levy et al. "Determination of thermodynamic dissociation constants of local anaesthetic amines: influence of ionic strength" J. Pharm. Pharmac., 1972, vol. 24, pp. 841-847).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실험 pKa 값이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 계산하여 7.2 내지 7.8인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실험 pKa 값이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 계산하여 7.1 내지 7.7인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메피바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실험 pKa 값이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 계산하여 7.0 내지 7.5인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아르티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GC/MS에 의해 결정된 국소 마취제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가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Henderson-Hasselbalch 식에 의해 계산된 예측 값보다 40% 내지 160% 더 높은,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4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25% 내지 63%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2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17% 내지 34%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0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12% 내지 25%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리도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4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메피바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29% 내지 65%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메피바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2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메피바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21% 내지 40%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메피바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0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메피바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15% 내지 26%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메피바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4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아르티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41% 내지 70%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아르티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2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아르티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29% 내지 50%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아르티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약 pH 7.0에서 GC/MS에 의해 결정된 아르티카인 또는 이의 염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의 21% 내지 40%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로서 아르티카인 또는 이의 염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D)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D)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한다. 적절한 부형제 및/또는 담체, 이들의 양 및 이들의 제조를 위한 실험 공정 조건은 해당 분야 및 제조되는 제제의 타입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마취제,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의약 용도를 갖는 제약 기술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가교된 히알루론산, 폴리글리세롤 및 마취제가 투여되는 경우 대상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병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를 치료 또는 치유하거나, 또는 이를 어느 정도 경감시키기에 충분한 이들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폴리글리세롤, 및 마취제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용량은 물론 투여되는 화합물, 투여 경로, 치료 대상 질환, 및 유사한 고려사항 (considerations)을 포함한, 해당 케이스를 둘러싼 특정한 상황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는 의약 용도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약 기술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마취제,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미용 조성물은 신체의 외관을 개선하거나 또는 피부, 손톱 또는 헤어를 미용, 보존, 컨디셔닝, 클렌징, 착색 또는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양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신체에 적용하도록 디자인되었다 (참조: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2, pp. 531; A terminological Dictionary of the Pharmaceutical Sciences. 2007, pp.190). 그러므로, 상기 미용 조성물은 의약외 (non-medical) 적용을 위해 형용사로 (adjectivally) 사용된다.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cosmetically acceptable)"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dermatological acceptable)"은 부형제 또는 담체가 무엇보다도 과도한 독성, 비적합성, 불안정성, 알레르기 반응 없이 인간 피부와의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정의된 국소 약학적 또는 국소 미용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복구제 (repairing cutaneous barrier function agent), 수화제 (hydrating agent), 연화제 (emollient), 유화제 (emulsifier), 증점제 (thickener), 보습제 (humectant), pH-조절제 (pH-regulating agent), 항산화제, 보존제, 비히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일 수 있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는 피부에 대한 친화도를 갖고, 내약성이 좋고, 안정하고, 목적하는 컨시스턴시 (consistency), 및 적용 용이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 성분, 예를 들면 향미제, 착색제, 및 국소 제제에서의 사용을 위해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기타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국소 조성물은 용액, 에어로졸 및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크림, 파우더, 무스, 로션, 겔, 스틱, 연고, 페이스트, 샴푸, 샤워젤, 바디워시, 또는 세안제 및 에멀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여러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적 또는 미용 조성물은 주사 가능한 조성물 (injectable composition)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적 또는 미용 조성물은 근육내, 피하, 또는 정맥내 적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주사 가능한 조성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또는 미용 조성물은 이들의 신체로의 주사, 주입, 또는 이식에 적합한 비경구 조성물의 형태이다. 상기 정의된 비경구 조성물은 멸균되고, 무발열원 (pyrogen-free)이어야 하며, 이들은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액체 형태, 또는 사용하기 전에 적절하게 희석되는 단일-용량 또는 다중-용량 용기에 포장된 고체 형태일 수 있다. 비경구 조성물은 용매, 현탁화제, 완충제, 제제를 혈액과 등장성이 되게 하는 물질, 안정화제, 또는 항미생물 보존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약학적 또는 미용학적 부형제일 수 있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의 첨가는 최소로 유지되어야 한다. 부형제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폴리머 및/또는 활성제의 안정성, 생체이용률, 안전성, 또는 효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독성 또는 과도한 국소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제형의 성분들 간에 어떠한 부적합성도 없어야 한다.
실험 섹션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증진된 물리적 특성 (유동학적) 및 화학적 특성 (유리 폴리글리세롤 및 PPE 가교된 하이드로겔의 농도)을 가져서 국소 마취제의 지용성 (활성) 형태의 양의 예상치 못한 개선 및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조성물로부터 이의 더 빠른 방출을 제공하여, 상기 국소 마취제의 개시를 단축시켰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저장 탄성률 G'가 1.0 Hz에서 측정 시에 10 내지 1500 Pa; 구체적으로 30 내지 700 Pa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을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의 화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7은 독립적으로 R2 및 R8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8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7은 독립적으로 R2 및 R8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8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7은 독립적으로 R2 및 R8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8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의 화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 중 하나이다: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이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의 화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은
a) 1,3-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단계 a)에서 수득된 용액을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30일 동안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이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c) 1,2-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d) 단계 c)에서 수득된 용액을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30일 동안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이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은
a) 1,3-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단계 a)에서 수득된 용액을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30일 동안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하고; 및
상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c) 1,2-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d) 단계 c)에서 수득된 용액을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30일 동안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하고;
구체적으로,
단계 a)에서 상기 알칼리 용액은 1,3-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1 내지 50 중량% 포함하고;
단계 c)에서 상기 알칼리 용액은 1,2-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1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 이후에 추가 세척 단계 (vi)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 이후에 추가 세척 단계 (vi')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 이후에 추가 세척 단계 (vi'')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v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v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vi'')는 pH 6.5-7.4를 수득하기 위해 산성 수용액의 적절한 양을 부가하여 수행되며, 상기 조성물 중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농도는 0.45 내지 25 mg/mL이다.
적절한 산성 수용액의 예로는 강 및 약 무기 (미네랄) 산 예컨대 염산, 황산, 오르토인산, 붕산, 질산, 및 강 및 약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락트산, 포름산, 시트르산, 옥살산, 요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기 및 하기 언급된 모든 구체예는 추가 단계 (vi), 또는 대안적으로 추가 단계 (v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vi'')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는 10 내지 50℃; 구체적으로 약 3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는 1 내지 48시간; 구체적으로 약 8시간 동안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i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는 10 내지 50℃; 구체적으로 약 2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i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는 1 내지 8시간; 구체적으로 약 2시간 동안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인 경우, 상기 방법은 단계 ii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인 경우, 상기 방법은 1 내지 8시간; 구체적으로 약 2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 ii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120 내지 135℃; 구체적으로 121 내지 13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121 내지 126℃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1분 내지 20분; 구체적으로 3분 내지 15분 동안 수행되는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10분 내지 15분 동안 수행되는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121℃에서 15분 동안 수행되는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126℃에서 10분 동안 수행되는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134℃에서 3분 동안 수행되는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를 포함한다.
상기 멸균 단계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멸균 단계는 여과, 오토클레이브, 가열, 조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멸균 단계는 오토클레이브에서 증기 멸균; 구체적으로 EN ISO 17665-1 (Sterilization of health care products - Moist heat Part 1: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validation and routine control of a sterilization process for medical device)에 보고된 약전에서 허용되는 절차 (예: 121℃에서 15분)에 따라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멸균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전에 상기 조성물을 컨디셔닝하는 단계; 구체적으로 주사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전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이와 같이 수득된 멸균 조성물은 즉시 사용 가능한 멸균 주사 가능한 조성물이기 때문에 유리하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단계 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v'),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v'')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 (Na, K),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Mg, Ca, Sr),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중금속 수산화물 (Fe, Al, Co, Cu, Se, Zn, Cr, Ni),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4차 암모늄 양이온 수산화물,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중금속 또는 암모늄 하이드로겐 카보네이트 (NH4, Fe, Al, Co, Cu, Se, Zn, Cr, Ni)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염기를 포함한다.
용어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physiologically acceptable)"은 생물학적 시스템, 예를 들어 세포, 세포 배양물, 조직, 또는 유기체에 적합한 무독성 물질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물학적 시스템은 살아있는 유기체, 예컨대 포유동물, 구체적으로 인간이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수산화칼륨 (KOH), 수산화나트륨 (NaOH), 수산화암모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 구체적으로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스트론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수산화 철,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코발트, 수산화 셀레늄, 수산화 주석, 수산화 크롬, 수산화 니켈,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식 HONR6R7R8R9의 4차 암모늄 수산화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 R6, R7, R8 및 R9는 독립적으로 (C1-C8) 알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R5, R6, R7 및 R9 중 2개는 (C 5 -C 6 ) 사이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탄산수소철 (iron hydrogen carbonate), 탄산수소알루미늄, 탄산수소코발트, 탄산수소구리, 탄산수소셀레늄, 탄산수소아연, 탄산수소크롬, 탄산수소니켈, 탄산수소암모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탄산수소 중금속 또는 암모늄; 구체적으로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1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알칼리 수산화물을 포함하고,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1 내지 50 중량 퍼센트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수산화 칼륨 (KOH), 수산화 나트륨 (NaOH)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알칼리 수산화물을 포함하고,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1 내지 50 중량 퍼센트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의 알칼리 용액은 수산화 나트륨 (NaOH)을 포함하고,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1 내지 50 중량 퍼센트 포함한다. 상기 1,3-GDE 및 1,2-GDE는 당해 기술 분야에 이전에 공개되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실험 섹션 참조).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 중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는 실온에서 수행된다. 용어 "실온 (room temperature)"은 약 25 내지 35℃의 온도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 중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는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 중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는 물, (C1-C4) 알킬-OH, (C1-C4) 알킬-CO-(C1-C4) 알킬, (C1-C4) 알킬-CO-O-(C1-C4) 알킬, (C1-C4) 알킬-CN,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 중 단계 a)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c)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물이다.
용어 "알킬 (alkyl)"은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항에서 명시된 탄소 원자의 개수를 함유하는 포화된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을 의미한다. 예는 특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b)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d)는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30일의 기간 동안 적용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고, 그 기간 동안 GDE의 자가-중합이 일어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b)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d)는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50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 1분 내지 500분의 기간 동안 적용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b)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d)는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50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 5분 내지 60분의 기간 동안 적용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b)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d)는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10 내지 40℃ 범위의 온도에서 1일 내지 30일의 기간 동안 적용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 b)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d)는 1,3-GDE 또는 대안적으로 1,2-GDE를 10 내지 40℃의 온도에서 2일 내지 7일의 기간 동안 적용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정의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표현 "수득 가능한 (obtainable)", "수득된 (obtained)" 및 그와 동등한 표현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어느 경우이든, 표현 "수득 가능한"은 표현 "수득된"을 포괄한다. 상기 제조 방법 및 조성물 자체에 대해 상기 개시된 모든 구체예는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조성물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의 용도는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제약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약학적 조성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의 결핍 및/또는 손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약학적 조성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관절염과 같은 관절 및 골 질환, 얼굴 및 신체의 저용적, 얼굴 및 신체 비대칭; 상처 치유, 망막 박리 또는 기타 안구 부상, 조직 및 점막 염증, 귀 및 부비동 감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히알루론산의 결핍 및/또는 손상을 수반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 조직 및 점막이 얇아지면서 발생하는 작열감, 가려움증 및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약학적 조성물이다.
이러한 양상은 또한 의약 제조를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은 히알루론산의 결핍 및/또는 손상을 수반하는 질병 또는 병태를 앓고 있거나 또는 앓기 쉬운 포유동물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은 히알루론산의 결핍 및/또는 손상을 수반하는 질병 또는 병태 치료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미용료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킨 케어제 (skin care agent)로서 유용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미용 조성물이다. 용어 "스킨 케어제"는 하기 증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선할 수 있는 약제를 포함한다: 거칠기, 벗겨짐, 탈수, 당김, 갈라짐 및 탄력 부족.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킨 케어제로서 피부 필러 (연조직 증강제로도 알려짐)로서 유용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미용 조성물이다.
담체로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의 용도는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성물은 약물 전달 시스템이고; 구체적으로 약학적 활성 성분, 진단제, 미용 화합물 (cosmetic compounds), 펩티드, 단백질, 항체, 백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비타민, 항산화제, 및 유전자의 전달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항 전체에서, 단어 "포함하다 (comprise)" 및 해당 단어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 첨가제, 성분,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단어 "포함하다"는 "구성된 (consisting of)"의 경우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발명의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자명해지거나, 또는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이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및 바람직한 구체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약어 목록
HA: 히알루론산
GAG: 글리코사미노글리칸
C.D.: 가교도
GlcA: D-글루쿠론산
GlcNAc: N-아세틸-D-글루코사민
ECM: 세포외 기질
HYAL: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IA: 염증성 관절염
BDDE: 1,4-부탄 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GDE: 1,3-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PPE: 폴리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FDA: 식품의약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EEW: 에폭시 당량 (Epoxy Equivalent Weight)
GC/MS: 질량 검출기와 커플링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SEC/UV/MS: 자외선 및 질량 검출기와 커플링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UV-Vis: 자외선 및 가시광선 분광학
PBS: 포스페이트 완충 용액
IPN: 상호침투 네트워크
Mw: 중량-평균 분자량
Mn: 수-평균 분자량
LA: 국소 마취제;
Gly: 글리세롤
Mann: 만니톨
LIDO: 리도카인 염산염;
ARTI: 아르티카인 염산염;
MEPI: 메피바카인 염산염.
물질
이탈리아, Altergon의 SHYALT 초순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론산)
하기 명칭, 상표명, 동의어, 및 약어를 갖는 것으로도 알려진 1,3-비스(2-옥시라닐메톡시)-2-프로판올: 1,3-비스(옥시란-2-일메톡시)프로판-2-올; 2-프로판올, 1,3-비스(옥시라닐메톡시); 글리세롤 1,3-디글리시딜 에테르; Nagase Chemtex의 Denacol EX-313, MW=204 Da, EEW=141 g/eq; Merck의 1,3-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MW=204 Da; 1,3-GDE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하기 명칭, 상표명, 동의어, 및 약어를 갖는 것으로도 알려진 2,3-비스(2-옥시라닐메톡시)-1-프로판올: 2,3-비스(옥시란-2-일메톡시)프로판-1-올; 1-프로판올, 1,2-비스(옥시라닐메톡시); 글리세롤 1,2-디글리시딜 에테르; Merck의 1,2-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MW=204 Da; 1,2-GDE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1,3-GDE 및 1,2-GDE의 혼합물은 또한 하기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Nagase Chemtex의 Denacol EX-314, MW=260 Da, EEW=144 g/eq
하기 화합물은 Merck로부터 구입하였다: 부탄 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BDDE), MW=202 Da; 수산화나트륨 펠렛 (NaOH); 염산 37% (HCl); 염화나트륨 분말 (NaCl); 염화칼륨 분말 (KCl); 인산 85% (H3PO4);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PBS) 펠렛; 증류수 (H2O); 글리세롤; 만니톨; 리도카인 염산염 (LIDO); 아르티카인 염산염 (ARTI); 메피바카인 염산염 (MEPI).
분석 방법
국소 마취제의 중성 분획 및 전체 양의 결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은 UV-Vis 분광광도계로 평가하였다. 반-휘발성 화합물의 측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은 국소 마취제의 중성 분획에 대해 GC/MS 크로마토그래피 기기로 평가하였다. LC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을 의미하는 방법을 지칭하며, 역사적으로 사용된 컬럼 또는 이동상 (수상 또는 유기상)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등과 같은 다양한 약어를 사용하여 명명한다. IUPAC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s)에서는 이러한 타입의 실험에 SEC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상기 컬럼에 커플링된 자외선 (UV), UV-가시광선 (UV-vis), 질량 (MS), 굴절률 (RI), 광산란 (LS) 등과 같은 다양한 검출기들의 조합이 또한 검출 및 정량화할 분석물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가능하다. 비-휘발성 화합물의 측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은 국소 마취제의 전체 양에 대해 UV-가시광선 및 질량 검출기가 커플링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UV/MS 크로마토그래피 기기로 평가하였다. 평균 중량 평균 분자량 (Mw), 수평균 분자량 (Mn) 및 다분산도 (Mw/Mn)의 측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은 광산란 검출기가 커플링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LS로 평가하였다. 에폭시 당량 (EEW)의 측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은 초음파 보조 적정으로 평가하였다. pH 측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은 하이드로겔에 직접 침지시킨 전극이 장착된 pH 미터를 직접 판독하여 계산하였다. 삼투질농도 (Osmolality)의 측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은 하이드로겔에 직접 침지시킨 프로브가 장착된 삼투압계를 직접 판독하여 계산하였다.
요약하면, IUPAC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s) 명명법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는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어, 이들 모두는 설명을 위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로 지칭하였다.
1. 국소 마취제 및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PPE) 가교된-히알루론산 접합체
1.1.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PPE)
1.1. 출발 물질로서 1,3-GDE를 사용
하기에 언급된 제조 방법들은 또한 1,3-GDE의 공급원으로서 Nagase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Denacol® EX-313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방법들은 또한 Merck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1,3-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사용하거나, 또는 Denacol® EX-313 대신에 1,3-DGE를 함유하는 혼합물인 상표명 Denacol® EX-314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1.1.1. PPE의 제조 방법
소듐 하이드록시드 펠렛 (NaOH)을 물에 용해시켜서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4 퍼센트의 NaOH (1M)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A).
1,3-GDE (Denacol® EX-313)를 실온에서 용액 A의 일부 (portion)에 용해시켜서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50 퍼센트의 1,3-GDE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C1).
그 다음에, 용액 C1을 10 내지 80℃ 범위의 제어된 온도에서 1분 내지 30일 동안 반응하도록 정치하였고, 그 동안 1,3-GDE의 자가-중합이 일어나서, 표 1 (실시예 1-5)에 개시된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를 생성한다.
1.1.2. PPE의 특성 분석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수득된 PPE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출발 GDE의 EEW 퍼센트로서 표시된 에폭시 당량으로 측정된 수득된 PPE의 에폭시 함량을 각각 전술된 바와 같이 광산란 검출기가 구비된 GPC 기기 및 HCl을 사용한 정량적 적정을 사용하여 경시적으로 분석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각 분석 전에, GDE의 자가-중합 반응을 1M 염산 용액 및 PBS를 첨가하여 중단시켜서 알칼리 촉매를 중화시키고,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용액의 pH 7.0으로 회복시켰다.
온도 및 시간의 각 조합에 대한 수득된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PPE)의 평균 분자량 (MW) 및 EEW의 값들을 표 1에 보고한다.
PPE 번호 [1,3-GDE]
(% w/w)
[NaOH]
(mol/L)
온도
(℃)
시간
(분)
PPE 평균 MW
(g/mol)
PPE
EEW
(g/eq)
에폭시드
(meq/g)
PPE 1 10.00 1.00 20 3 3736 581 1.720
PPE 2 10.00 1.00 30 1 2449 408 2.450
PPE 3 10.00 1.00 30 0.5 937 234 4.268
PPE 4 10.00 0.50 20 1 684 155 6.556
PPE 5 10.00 0 20 3 204 102 9.780
1.2.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과 국소 마취제의 접합체
1.2.1. 비-멸균 접합체
1.2.1.1. 제조 방법
1.2.1.1.1.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제조 방법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A. 상기 개시된 방법에 따라 PPE 1-5의 제조.
단계 B: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제조
대체예 B1: 히알루론산 (HA) 건조 분말을 실온 (25℃)에서 용액 A의 일부에 (또는 용액 C3에 직접 첨가하여) 서서히 용해시켜서 용액 전체 중량에 기반하여 중량 기준으로 5 내지 15 퍼센트의 수화된 HA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B).
그 다음에, 용액 C3을 용액 B에 첨가하여 최종 용액 중 0.25 내지 0.75M 범위의 하이드록시드 농도 및 2 내지 12.5% w/w (건조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PPE의 중량비로 표시됨)의 HA 및 PPE의 비율을 갖는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였다.
대체예 B2: 그 다음에, 상기 용액 C3을 용액 B에 첨가하여 최종 용액 중 0.25 내지 0.75M 범위의 하이드록시드 농도, 전체 중량 대비 중량 기준으로 8 내지 10% 범위의 최종 용액 중 HA의 농도, 및 전체 중량 대비 중량 기준으로 0.2 내지 1%의 최종 용액 중 PPE의 농도를 갖는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였다. 건조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PPE의 중량비로 표시된 비율은 건조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PPE의 중량비로 2 내지 40% w/w이다.
그 다음에 히알루론산 (HA), PPE 및 NaOH로 구성된 생성된 알칼리 용액을 실온에서 완전히 혼합한다. 그 다음에 균질한 용액을 20 내지 50℃의 제어된 온도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정치하였다.
단계 C: 가교된 폴리사카라이드의 정제 및 단리
그 다음에,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48 내지 120시간 동안 산성 수용액 (1M 염산 및 PBS)으로 세척하여 미반응 물질 및 부산물을 제거하고, 알칼리 촉매를 중화시키고, 이온 교환에 의해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pH를 6.5-7.4로 회복시키고,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중 HA의 목적하는 최종 농도가 1 내지 50 mg/mL에 도달하게 하였다.
고정된 체크 포인트 (즉, 12, 24, 36, 48시간)에서, 하이드로겔의 일부 (1 그람)를 채취하고, 하기 표 2-15에 보고된 최종 산물의 파라미터의 결정에 사용된 기술과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PPE 가교된 HA 중 유리 폴리글리세롤 농도를 mg/mL로 표시하고, 그 화학 구조를 SEC/UV/MS로 평가하였다.
1.2.1.1.2.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에 국소 마취제의 첨가
염산염 건조 분말로서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를 실온 (25℃)에서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의 일부에 서서히 용해시켜서, 허용 가능한 생리학적 pH를 갖는 전체 용액 중량에 기반하여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20%의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국소 마취제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D).
그 다음에, 상기 용액 D를 이전 섹션에서 수득한 세척된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중 HA 및 국소 마취제 (LA)의 목적하는 최종 농도를 각각 HA의 경우 1 내지 50 mg/mL, 및 국소 마취제의 경우 0.1 내지 10 mg/mL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은 선택적으로 진공하에 30℃에서 탈수시키거나 또는 동결건조 (냉동건조)시켜서 하기 사용 또는 분석을 위해 보관하였다.
1.2.2. 멸균된 접합체
1.2.2.1. 제조 방법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이전 섹션에서 수득한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주사기에 충전하고, EN ISO 17665-1, Sterilization of health care products - Moist heat Part 1: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validation, and routine control of a sterilization process for medical device에 보고된 약전 승인 절차에 따라 오토클레이브에서 증기 멸균하였다 (예: 121℃에서 15분).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은 선택적으로 진공하에 30℃에서 탈수시키거나 또는 동결건조 (냉동건조)시켜서 하기 사용 또는 분석을 위해 보관하였다.
1.2.2.2.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Ex. 1-70의 특성 분석
상기 제조된 바와 같이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국소 마취제 (리도카인, 메피바카인 및 아르티카인)의 멸균 및 비-멸균 접합체들의 화학적 조성물을 하기 표 2-7에 개시하였다.
Ex. PPE 가교된 HA 및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비-멸균된 접합체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PG 농도 (b) 유리 PG
MW 범위
pH LA 농도 (c) %B (d) pKa S
1 25 PPE 1 0.2003 2.126 1129÷3129 7.4 3 59.03 7.24
2 25 PPE 2 0.2657 0.650 611÷1944 7.4 3 50.91 7.38
3 25 PPE 3 0.3419 0.374 314÷1129 7.4 3 44.29 7.50
4 15 PPE 4 0.1607 0.217 314÷1129 7.4 3 43.09 7.52
5 25 PPE 4 0.3512 0.343 314÷1129 7.4 3 37.23 7.63
6 15 PPE 5 0.1636 0.193 314÷1129 7.4 3 46.40 7.46
7 25 PPE 5 0.3555 0.323 314÷1129 7.4 3 44.52 7.50
8 25 PPE 5 0.3576 0.341 314÷1129 7.0 3 16.80 7.69
9 15 PPE 3 0.1575 0.225 314÷1129 7.4 3 38.73 7.60
10 20 PPE 3 0.2431 0.306 314÷1129 7.4 3 40.77 7.56
11 30 PPE 3 0.4369 0.409 314÷1129 7.4 3 44.61 7.49
12 25 PPE 3 0.3461 0.374 314÷1129 7.4 1 45.29 7.48
13 25 PPE 3 0.3398 0.374 314÷1129 7.4 9 41.40 7.55
14 25 PPE 3 0.3400 0.374 314÷1129 7.2 3 30.02 7.57
15 25 PPE 3 0.3453 0.374 314÷1129 7.0 3 19.83 7.61
Ex. PPE 가교된 HA 및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멸균된 접합체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PG 농도 (b) 유리 PG
MW 범위
pH LA 농도 (c) %B (d) pKa S
16 25 PPE 1 0.1624 2.497 1129÷2310 7.4 3 62.41 7.18
17 25 PPE 2 0.2163 0.774 611÷1629 7.4 3 54.44 7.32
18 25 PPE 3 0.2779 0.452 314÷759 7.4 3 48.70 7.44
19 15 PPE 4 0.1337 0.266 314÷759 7.4 3 46.58 7.46
20 25 PPE 4 0.2850 0.426 314÷759 7.4 3 40.59 7.57
21 15 PPE 5 0.1357 0.243 314÷759 7.4 3 49.93 7.40
22 25 PPE 5 0.2882 0.412 314÷759 7.4 3 48.04 7.43
23 25 PPE 5 0.2904 0.412 314÷759 7.0 3 18.87 7.63
24 15 PPE 3 0.1317 0.276 314÷759 7.4 3 42.13 7.54
25 20 PPE 3 0.1984 0.380 314÷759 7.4 3 44.22 7.50
26 30 PPE 3 0.3606 0.515 314÷759 7.4 3 48.13 7.43
27 25 PPE 3 0.2701 0.452 314÷759 7.4 1 48.81 7.42
28 25 PPE 3 0.2856 0.452 314÷759 7.4 9 35.58 7.66
29 25 PPE 3 0.2701 0.452 314÷759 7.2 3 33.07 7.51
30 25 PPE 3 0.2856 0.452 314÷759 7.0 3 22.17 7.55
Ex. PPE 가교된 HA 및 메피바카인을 함유하는 비-멸균된 접합체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PG 농도 (b) 유리 PG
MW 범위
pH LA 농도 (c) %B (d) pKa S
31 25 PPE 1 0.2003 2.126 1129÷3129 7.4 3 60.56 7.21
32 25 PPE 2 0.2657 0.650 611÷1944 7.4 3 52.74 7.35
33 25 PPE 3 0.3419 0.374 314÷1129 7.4 3 49.41 7.41
34 15 PPE 3 0.1575 0.225 314÷1129 7.4 3 41.71 7.55
35 20 PPE 3 0.2431 0.306 314÷1129 7.4 3 41.82 7.54
36 30 PPE 3 0.4369 0.409 314÷1129 7.4 3 47.51 7.44
37 25 PPE 3 0.3461 0.374 314÷1129 7.4 1 49.47 7.41
38 25 PPE 3 0.3398 0.374 314÷1129 7.4 9 44.51 7.50
39 25 PPE 3 0.3400 0.374 314÷1129 7.2 3 33.83 7.49
40 25 PPE 3 0.3453 0.374 314÷1129 7.0 3 22.38 7.54
Ex. PPE 가교된 HA 및 메피바카인을 함유하는 멸균된 접합체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PG 농도 (b) 유리 PG
MW 범위
pH LA 농도 (c) %B (d) pKa S
41 25 PPE 1 0.1627 2.497 1129÷2310 7.4 3 64.74 7.14
42 25 PPE 2 0.2163 0.774 611÷1629 7.4 3 57.17 7.27
43 25 PPE 3 0.2779 0.452 314÷759 7.4 3 53.88 7.33
44 15 PPE 3 0.1317 0.276 314÷759 7.4 3 46.11 7.47
45 20 PPE 3 0.1984 0.380 314÷759 7.4 3 46.23 7.47
46 30 PPE 3 0.3606 0.515 314÷759 7.4 3 51.98 7.37
47 25 PPE 3 0.2701 0.452 314÷759 7.4 1 53.94 7.33
48 25 PPE 3 0.2856 0.452 314÷759 7.4 9 48.96 7.42
49 25 PPE 3 0.2701 0.452 314÷759 7.2 3 37.95 7.41
50 25 PPE 3 0.2856 0.452 314÷759 7.0 3 25.65 7.46
Ex. PPE 가교된 HA 및 아르티카인을 함유하는 비-멸균된 접합체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PG 농도 (b) 유리 PG
MW 범위
pH LA 농도 (c) %B (d) pKa S
51 25 PPE 1 0.2003 2.126 1129÷3129 7.4 3 67.81 7.08
52 25 PPE 2 0.2657 0.650 611÷1944 7.4 3 64.43 7.14
53 25 PPE 3 0.3419 0.374 314÷1129 7.4 3 56.79 7.28
54 15 PPE 3 0.1575 0.225 314÷1129 7.4 3 53.74 7.33
55 20 PPE 3 0.2431 0.306 314÷1129 7.4 3 56.85 7.28
56 30 PPE 3 0.4369 0.409 314÷1129 7.4 3 60.23 7.22
57 25 PPE 3 0.3461 0.374 314÷1129 7.4 1 61.28 7.20
58 25 PPE 3 0.3398 0.374 314÷1129 7.4 9 56.57 7.29
59 25 PPE 3 0.3400 0.374 314÷1129 7.2 3 40.94 7.36
60 25 PPE 3 0.3453 0.374 314÷1129 7.0 3 28.18 7.41
Ex. PPE 가교된 HA 및 아르티카인을 함유하는 멸균된 접합체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PG 농도 (b) 유리 PG
MW 범위
pH LA 농도 (c) %B (d) pKa S
61 25 PPE 1 0.1624 2.497 1129÷2310 7.4 3 70.07 7.03
62 25 PPE 2 0.2163 0.774 611÷1629 7.4 3 66.81 7.10
63 25 PPE 3 0.2779 0.452 314÷759 7.4 3 59.36 7.24
64 15 PPE 3 0.1317 0.276 314÷759 7.4 3 56.36 7.29
65 20 PPE 3 0.1984 0.380 314÷759 7.4 3 59.42 7.23
66 30 PPE 3 0.3606 0.515 314÷759 7.4 3 62.73 7.17
67 25 PPE 3 0.2701 0.452 314÷759 7.4 1 63.75 7.15
68 25 PPE 3 0.2856 0.452 314÷759 7.4 9 59.14 7.24
69 25 PPE 3 0.2701 0.452 314÷759 7.2 3 43.51 7.31
70 25 PPE 3 0.2856 0.452 314÷759 7.0 3 30.65 7.35
(a) mg/mL로 표시되는 PPE 가교된 HA 접합체 중 HA의 농도.
(b) 화학 구조가 SEC/UV/MS로 평가된, mg/mL로 표시되는 PPE 가교된 HA의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농도.
(c) GC/MS 및 SEC/UV/MS로 평가된, mg/mL로 표시되는 PPE 가교된 HA 중 (국소 마취제) LA의 농도.
(d) PPE 가교된 HA 및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접합체 중 국소 마취제 B+BH+의 전체 양 (SEC/UV/MS를 사용하여 결정)에 대한 국소 마취제의 중성 형태 B (GC/MS를 사용하여 결정)의 퍼센트를 비-멸균된 것과 121℃에서 15분간 멸균된 것에 대해 계산하였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PPE 가교된 HA 접합체를 표 1에 보고된 바와 같이 상이한 MW 및 EEW의 PPE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PPE 가교된 HA 접합체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농도 15 내지 30 mg/mL 범위이었으며, 이는 상기 해당 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PPE 가교된 HA 접합체는 폴리글리세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의 MW 및 농도는 SEC/UV/MS로 측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PPE 가교된 HA 접합체는 예를 들어 pH 7.4에서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부터 예측된 열역학적 값보다 훨씬 더 높은 국소 마취제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를 함유한다. 그러므로, BBH + 의 실험 농도를 사용하여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고정된 pH 값에서 국소 마취제에 대해 실험으로 계산된 pKaS는 열역학적 pKa보다 훨씬 더 낮았다.
B의 예측된 %와 비교한 B의 %의 실험 데이터는 하기 표에 요약하였다.
(a) 예를 들어 pH 7.4에서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부터의 예측 값
pKas는 실험으로 계산된 겉보기 pKa에 해당한다.
pKaT는 열역학적 pKa에 해당한다.
검토된 모든 국소 마취제의 경우, 이들의 화학 구조에 제한이 없지만, 예기치 않게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생체 이용 가능한 중성 형태 B는 여러 요인에 의한 이러한 형태의 안정화로 인해 예측값보다 훨씬 더 높은 퍼센트를 나타낸다. 실제로, 상기 본원에 실험 데이터 (표 2-7 참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역학적 pKa 값 (B/BH+ 비율로 계산)은 이의 예측 값의 2.5% 내지 10%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에 함유된 각 국소 마취제의 경우, 이의 실험적 pKa는 각 예측된 열역학적 pKa보다 2.5% 내지 10% 더 낮았다. 국소 마취제의 생체 이용 가능한 중성 형태의 관점에서 볼 때, 상기 B 형태는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값 (예측된 열역학적 pKa 값)의 40% 내지 160%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어떤 이론에도 얽매이지 않고, 중성 형태 B의 안정화는 가교제로서 사용되는 과분지형 PPE의 양친매 특성, 이의 분자량 및 가교도, 이러한 요인들 간의 시너지 효과로 인한 복잡한 상관관계에서 자연 가수분해로부터 유래된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농도 및 분자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2.1.3.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과 국소 마취제의 비교 접합체 (비교예 71-150)
비교 접합체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국소 마취제는 PPE 대신에 BDDE로부터 제조되고, 이와 같이 수득된 접합체에 글리세롤 또는 만니톨을 추가로 부가한 것이다.
2.1.3.1. 제조 방법
소듐 하이드록시드 펠렛 (NaOH)을 물에 용해시켜서 용액 전체 중량에 기반하여 중량 기준으로 4 퍼센트의 NaOH (1M)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A). 히알루론산을 실온 (25℃)에서 용액 A의 일부에 서서히 용해시켜서 용액 전체 중량에 기반하여 중량 기준으로 5 내지 15 퍼센트의 수화된 HA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B).
BDDE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용액 전체 중량에 기반하여 중량 기준으로 0.2 내지 2 퍼센트의 BDDE를 함유하는 중성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C1). 선택적으로, BDDE를 실온에서 용액 A의 일부에 용해시켜서 용액 전체 중량에 기반하여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 퍼센트의 BDDE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C2). 그 다음에, 용액 C (C1 중성 또는 C2 알카리성)를 용액 B에 첨가하여 최종 용액 중 0.25 내지 0.75M 범위의 하이드록시드 농도 및 HA와 BDDE의 목적하는 비율을 갖는 알칼리 용액을 제공하였다. 그 다음에 HA, BDDE 및 NaOH로 구성된 수득된 알칼리 용액을 실온에서 완전히 혼합하였다. 그 다음에 균질한 용액을 20 내지 50℃ 범위의 제어된 온도에서 30분 내지 48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정치하였다.
그 다음에,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48 내지 120시간 동안 산성 수용액 (1M 염산 및 PBS)으로 세척하여 미반응 물질 및 부산물을 제거하고, 알칼리 촉매를 중화시키고, 이온 교환에 의해 하이드로겔의 pH를 6.5-7.4로 회복시키고,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중 HA의 농도가 1 내지 50 mg/mL에 도달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세척된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에, 글리세롤 또는 대안으로서 만니톨을 상기 세척된 하이드로겔에 직접 첨가하였다.
염산염 건조 분말로서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를 실온 (25℃)에서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에 서서히 용해시켜서 허용 가능한 생리학적 pH를 갖는 용액 전체 중량에 기반하여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20 퍼센트의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국소 마취제 용액을 형성하였다 (용액 D). 그 다음에, 상기 용액 D를 이전 섹션에서 수득된 글리세롤 또는 만니톨을 추가로 함유하는 세척된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글리세롤 또는 만니톨 (1 내지 50 mg/mL) 및 국소 마취제 (LA) (0.1 내지 10 mg/mL)에 대해 목적하는 최종 HA 농도 (1 내지 50 mg/mL)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유리 글리세롤 또는 만니톨 및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주사기에 충전하고, EN ISO 17665-1, Sterilization of health care products - Moist heat Part 1: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validation, and routine control of a sterilization process for medical device에 보고된 약전 승인 절차에 따라 오토클레이브에서 증기 멸균하였다 (예: 121℃에서 15분).
유리 글리세롤 또는 만니톨 및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은 선택적으로 진공하에 30℃에서 탈수시키거나 또는 동결건조 (냉동건조)시켜서 하기 사용 또는 분석을 위해 보관하였다.
2.1.3.2.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국소 마취제 및 유리 글리세롤 또는 만니톨의 비교 접합체의 특성 분석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접합체의 화학적 조성물을 하기 표 8-15에 개시하였다.
Comp.
Ex.
비-멸균된 비교 접합체
글리세롤 및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BDDE 가교된 HA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Gly 농도 (b) 유리 Gly
MW 범위
pH LA 농도 (c) %B pKa S
71 25 BDDE 0.3419 25 74÷166 7.4 3 23.82 7.90
72 25 BDDE 0.3419 5 74÷166 7.4 3 23.81 7.91
73 15 BDDE 0.2008 0.5 74÷166 7.4 3 23.69 7.91
74 20 BDDE 0.2655 0.5 74÷166 7.4 3 23.54 7.91
75 25 BDDE 0.3419 0.5 74÷166 7.4 3 24.09 7.90
76 30 BDDE 0.4522 0.5 74÷166 7.4 3 24.47 7.89
77 25 BDDE 0.2374 0.5 74÷166 7.4 1 25.06 7.88
78 25 BDDE 0.3389 0.5 74÷166 7.4 9 21.90 7.95
79 25 BDDE 0.3389 0.5 74÷166 7.2 3 16.33 7.91
80 25 BDDE 0.3389 0.5 74÷166 7.0 3 11.21 7.90
Comp.
Ex.
멸균된 비교 접합체
글리세롤 및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BDDE 가교된 HA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Gly 농도 (b) 유리 Gly
MW 범위
pH LA 농도 (c) %B pKa S
81 25 BDDE 0.2786 25 74÷166 7.4 3 24.12 7.90
82 25 BDDE 0.2786 5 74÷166 7.4 3 24.26 7.90
83 15 BDDE 0.1615 0.5 74÷166 7.4 3 24.02 7.90
84 20 BDDE 0.2155 0.5 74÷166 7.4 3 24.22 7.90
85 25 BDDE 0.2786 0.5 74÷166 7.4 3 24.06 7.90
86 30 BDDE 0.3724 0.5 74÷166 7.4 3 24.53 7.89
87 25 BDDE 0.1989 0.5 74÷166 7.4 1 25.28 7.87
88 25 BDDE 0.2701 0.5 74÷166 7.4 9 22.18 7.95
89 25 BDDE 0.2701 0.5 74÷166 7.2 3 16.28 7.91
90 25 BDDE 0.2701 0.5 74÷166 7.0 3 11.03 7.91
Comp.
Ex.
비-멸균된 비교 접합체
글리세롤 및 메피바카인을 함유하는 BDDE 가교된 HA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Gly 농도 (b) 유리 Gly
MW 범위
pH LA 농도 (c) %B pKa S
91 25 BDDE 0.3419 25 74÷166 7.4 3 28.42 7.80
92 25 BDDE 0.3419 5 74÷166 7.4 3 27.34 7.82
93 15 BDDE 0.2008 0.5 74÷166 7.4 3 28.18 7.81
94 20 BDDE 0.2655 0.5 74÷166 7.4 3 27.65 7.82
95 25 BDDE 0.3419 0.5 74÷166 7.4 3 28.48 7.80
96 30 BDDE 0.4522 0.5 74÷166 7.4 3 28.46 7.80
97 25 BDDE 0.2374 0.5 74÷166 7.4 1 29.41 7.78
98 25 BDDE 0.3389 0.5 74÷166 7.4 9 26.89 7.83
99 25 BDDE 0.3389 0.5 74÷166 7.2 3 19.94 7.80
100 25 BDDE 0.3389 0.5 74÷166 7.0 3 13.28 7.81
Comp.
Ex.
멸균된 비교 접합체
글리세롤 및 메피바카인을 함유하는 BDDE 가교된 HA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Gly 농도 (b) 유리 Gly
MW 범위
pH LA 농도 (c) %B pKa S
101 25 BDDE 0.2786 25 74÷166 7.4 3 28.76 7.79
102 25 BDDE 0.2786 5 74÷166 7.4 3 27.83 7.81
103 15 BDDE 0.1615 0.5 74÷166 7.4 3 28.55 7.80
104 20 BDDE 0.2155 0.5 74÷166 7.4 3 28.41 7.80
105 25 BDDE 0.2786 0.5 74÷166 7.4 3 28.45 7.80
106 30 BDDE 0.3724 0.5 74÷166 7.4 3 28.53 7.80
107 25 BDDE 0.1989 0.5 74÷166 7.4 1 29.65 7.78
108 25 BDDE 0.2701 0.5 74÷166 7.4 9 27.22 7.83
109 25 BDDE 0.2701 0.5 74÷166 7.2 3 19.89 7.81
110 25 BDDE 0.2701 0.5 74÷166 7.0 3 13.07 7.82
Comp.
Ex.
비-멸균된 비교 접합체
글리세롤 및 아르티카인을 함유하는 BDDE 가교된 HA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Gly 농도 (b) 유리 Gly
MW 범위
pH LA 농도 (c) %B pKa S
111 25 BDDE 0.3419 25 74÷166 7.4 3 37.94 7.61
112 25 BDDE 0.3419 5 74÷166 7.4 3 38.43 7.60
113 15 BDDE 0.2008 0.5 74÷166 7.4 3 38.02 7.61
114 20 BDDE 0.2655 0.5 74÷166 7.4 3 37.62 7.62
115 25 BDDE 0.3419 0.5 74÷166 7.4 3 38.68 7.60
116 30 BDDE 0.4522 0.5 74÷166 7.4 3 38.60 7.60
117 25 BDDE 0.2374 0.5 74÷166 7.4 1 38.42 7.60
118 25 BDDE 0.3389 0.5 74÷166 7.4 9 37.66 7.62
119 25 BDDE 0.3389 0.5 74÷166 7.2 3 28.28 7.60
120 25 BDDE 0.3389 0.5 74÷166 7.0 3 20.04 7.60
Comp.
Ex.
멸균된 비교 접합체
글리세롤 및 아르티카인을 함유하는 BDDE 가교된 HA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Gly 농도 (b) 유리 Gly
MW 범위
pH LA 농도 (c) %B pKa S
121 25 BDDE 0.2786 25 74÷166 7.4 3 38.33 7.61
122 25 BDDE 0.2786 5 74÷166 7.4 3 39.02 7.59
123 15 BDDE 0.1615 0.5 74÷166 7.4 3 38.45 7.60
124 20 BDDE 0.2155 0.5 74÷166 7.4 3 38.51 7.60
125 25 BDDE 0.2786 0.5 74÷166 7.4 3 38.64 7.60
126 30 BDDE 0.3724 0.5 74÷166 7.4 3 38.68 7.60
127 25 BDDE 0.1989 0.5 74÷166 7.4 1 38.69 7.60
128 25 BDDE 0.2701 0.5 74÷166 7.4 9 38.05 7.61
129 25 BDDE 0.2701 0.5 74÷166 7.2 3 28.21 7.61
130 25 BDDE 0.2701 0.5 74÷166 7.0 3 19.75 7.61
Comp.
Ex.
비-멸균된 비교 접합체
만니톨 및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BDDE 가교된 HA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Mann 농도 (d) 유리 Mann
MW 범위
pH LA 농도 (c) %B pKa S
131 25 BDDE 0.3419 25 146÷182 7.4 3 24.05 7.90
132 25 BDDE 0.3419 5 146÷182 7.4 3 24.10 7.90
133 15 BDDE 0.2008 0.5 146÷182 7.4 3 24.06 7.90
134 20 BDDE 0.2655 0.5 146÷182 7.4 3 24.16 7.90
135 25 BDDE 0.3419 0.5 146÷182 7.4 3 24.00 7.90
136 30 BDDE 0.4522 0.5 146÷182 7.4 3 24.75 7.88
137 25 BDDE 0.2374 0.5 146÷182 7.4 1 24.89 7.88
138 25 BDDE 0.3389 0.5 146÷182 7.4 9 24.01 7.90
139 25 BDDE 0.3389 0.5 146÷182 7.2 3 16.46 7.91
140 25 BDDE 0.3389 0.5 146÷182 7.0 3 10.66 7.92
Comp.
Ex.
멸균된 비교 접합체
만니톨 및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BDDE 가교된 HA
HA 농도 (a) 가교제 C.D.
(%)
유리 Mann 농도 (d) 유리 Mann
MW 범위
pH LA 농도 (c) %B pKa S
141 25 BDDE 0.2786 25 146÷182 7.4 3 24.05 7.90
142 25 BDDE 0.2786 5 146÷182 7.4 3 24.10 7.90
143 15 BDDE 0.1615 0.5 146÷182 7.4 3 24.06 7.90
144 20 BDDE 0.2155 0.5 146÷182 7.4 3 24.16 7.90
145 25 BDDE 0.2786 0.5 146÷182 7.4 3 24.00 7.90
146 30 BDDE 0.3724 0.5 146÷182 7.4 3 24.75 7.88
147 25 BDDE 0.1989 0.5 146÷182 7.4 1 24.89 7.88
148 25 BDDE 0.2701 0.5 146÷182 7.4 9 24.01 7.90
149 25 BDDE 0.2701 0.5 146÷182 7.2 3 16.46 7.91
150 25 BDDE 0.2701 0.5 146÷182 7.0 3 10.66 7.92
(a) mg/mL로 표시되는 비교 BDDE 가교된 HA 중 HA의 농도.
(b) 화학 구조가 SEC/UV/MS로 평가된, mg/mL로 표시되는 비교 BDDE 가교된 HA 중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농도.
(c) GC/MS 및 SEC/UV/MS로 측정된, mg/mL로 표시되는 비교 BDDE 가교된 HA 중 국소 마취제 (LA)의 농도.
(d) mg/mL로 표시되는 비교 BDDE 가교된 HA 중 유리 만니톨의 농도 (SEC/UV/MS로 측정됨).
요약하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 BDDE 가교된 HA 접합체는 서로 다른 양의 BDDE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비교 BDDE 가교된 HA 접합체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농도 15 내지 30 mg/mL 범위이었으며, 이는 상기 해당하는 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 BDDE 가교된 HA 접합체는 유리 폴리올 (글리세롤 또는 만니톨)을 0.5 내지 25 mg/mL의 범위로 함유한다.
또한, 비교 BDDE 가교된 HA 접합체는 예를 들어 pH 7.4에서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부터 예측된 열역학적 값에 필적하는 국소 마취제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를 함유한다. 그러므로, B 및 BH+의 실험 농도를 사용하여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고정된 pH 값에서 국소 마취제에 대해 실험으로 계산된 pKaS는 열역학적 pKa와 통계적으로 상이하지 않다.
2.1.4. 분석 활성
2.1.4.1. 샘플 용액 제조 및 데이터 정교화
각 산물의 3가지 상이한 배치에 대해 3중으로 정량 분석을 수행하였고, 결과는 평균값 ± 표준 편차로 보고하였다. 분석할 산물의 분취량을 물로 50배 희석하여 "샘플 용액"을 수득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기술 (GC/MS 및 SEC/UV/MS)의 경우, 샘플 용액에서의 피크 면적이 기기 소프트웨어에 파라미터로 부과된 신호/노이즈 비율보다 3배 더 큰 경우에만 화합물을 고려하였다. 정량화는 샘플 용액에서의 피크 면적과 바탕 용액의 피크 면적 간의 차이로 수행하였다.
질량 검출기를 사용하는 기술의 경우, 각 화합물의 농도는 총 이온 크로마토그램 (TIC)의 질량 신호의 존재비 (abundance)로 계산하였으며, UV-Vis 검출기를 사용하는 기술의 경우, 각 화합물의 농도는 순수한 화합물의 여러 농도에 의해 수득된 검량선 (calibration curve)으로부터 유래된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GC/MS 및 SEC/UV/MS 분석 방법이 상기 샘플로부터 화합물을 검출하는데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인 국소 마취제 중에서 참조 표준을 선택하고, 추가 분석하였다.
2.1.4.2. 국소 마취제의 중성 분획에 대한 GC/MS 크로마토그래피 기기를 사용하는 반-휘발성 화합물의 측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
샘플 준비
"샘플 용액"의 분취량을 CH2Cl2로 1:1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샘플 용액 분석으로부터 수득된 크로마토그램을 평가하였고, 신호/노이즈가 3 이상으로 검출된 모든 피크를 보고하였고, MS library (Wiley Registry 11th Edition / NIST 2017 Mass Spectral Library, available on the website https://webbook.nist.gov/chemistry/ on June 28th, 2021)를 사용하여 확인을 시도하였다. 페난트렌-d10 용액 (QL= 1 μg/mL)을 화합물의 정량화를 위한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결과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본 발명의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분석방법에 대한 정량적 결과를 상기 개시된 표에 요약하였다.
국소 마취제 B의 중성 형태의 농도를 SEC/UV/MS를 사용하여 발견된 이온화된 형태 BH + 의 농도와 조합하여, 상기 개시된 표에 보고된 전체 LA (B+BH + )에 대한 B의 퍼센트, B의 퍼센트 및 실험적 pKaS를 수득하였다.
2.1.4.3 국소 마취제 및 유리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및 만니톨 단편의 전체 양 및 이들의 화학 구조를 SEC/UV/MS 크로마토그래피 기기를 사용하여 비-휘발성 화합물의 측정을 위한 정량적 방법.
샘플 준비
"샘플 용액"의 분취량을 추가 처리 없이 SEC/UV/MS로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샘플 용액 분석으로부터 수득된 크로마토그램을 평가하였고, 신호/노이즈가 3 이상으로 검출된 모든 피크를 보고하였고, MS library (Wiley Registry 11th Edition / NIST 2017 Mass Spectral Library)를 사용하여 확인을 시도하였다. 레세르핀 용액 (QL= 1μg/mL)을 화합물의 정량화를 위한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유리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및 만니톨 단편의 화학 구조는 SEC 검출기로서 질량 분광학을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검출된 모든 피크의 질량 스펙트럼은 MS library (Wiley Registry 11th Edition / NIST 2017 Mass Spectral Library)를 사용하여 참조와 비교하였다.
결과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본 발명의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분석방법에 대한 정량적 결과를 상기 표에 요약하였다.
유리 폴리글리세롤의 농도는 mg/mL로 표시하고, 국소 마취제의 이온화 형태 BH+ 농도는 GC/MS를 사용하여 발견된 중성 형태 B의 농도와 조합하여, 상기 표에 보고된 전체 LA (B+BH + )에 대한 B의 퍼센트, B의 퍼센트 및 실험적 pKaS를 수득하였다.
2.1.4.4 키네틱 방출의 경우 UV-Vis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국소 마취제의 중성 분획 및 전체 양을 결정하기 위한 정량적 방법.
샘플 준비
국소 마취제의 전체 양 (B+BH + )의 결정을 위한 추가 처리 없이 "샘플 용액"의 분취량을 UV-Vis 분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샘플 용액"의 분취량을 CH2Cl2와 1:1로 추출하였고, 유기상을 UV-Vis 분광광도계로 분석하여 국소 마취제 (B)의 중성 분획을 결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순수한 화합물의 여러 농도에 의해 수득된 검량선으로부터 유래된 식을 사용하여 각 화합물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2.1.5 국소 마취제의 키네틱 방출
본 발명의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수용액 (대조군)으로부터 국소 마취제의 키네틱 방출을 하기에 요약하였다.
샘플:
대조군으로서,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실온에서 국소 마취제 분말을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 (PBS)에 용해시켜서 용액 전체 중량에 기반하여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 퍼센트의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국소 마취제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하였고, 상기 용액의 pH는 NaOH 0.2M 및 HCl 0.2M을 사용하여 pH 7.4로 조정하였다.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비-멸균 및 멸균 PPE 히알루론산 (Ex. 3 및 Ex. 18) 및 비교 비-멸균 및 멸균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 (Comp. Ex. 85 및 Comp. Ex. 75)을 임의의 추가 처리 없이 사용하였다.
방법: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각 샘플 (대조군, PPE 및 비교 BDDE 가교된 HA) 5 ml를 5 mL 크기 및 20kD의 MWCO의 SpectraPor® Float-A-Lyzer 투석 장치에 넣고 닫았다.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 (50배 희석) 245 mL를 함유하는 스크류 캡이 있는 유리병에 투석 튜브를 침지시켰다. 전체 마취제가 완전히 방출되고 국소 마취제 농도가 샘플과 외부 PBS 용액 사이에서 평형을 이룰 때까지 용액을 37℃의 항온조에서 부드럽게 교반하였다.
고정된 시간에 샘플 용액을 외부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으로부터 채취하고, UV-Vis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전체 국소 마취제의 전체 방출 양을 분석하였다.
방출된 국소 마취제의 농도는 순수한 국소 마취제의 여러 농도로 수득한 검량선으로부터 유래된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국소 마취제 표준 용액 (3.0 μg/ml 내지 45 μg/ml)으로의 검량선은 1 cm 광학 경로의 석영 셀을 사용하여 UV-Vis 분광광도계로 수득하였다. 흡수 스펙트럼은 200÷300 nm 범위에서 획득하였다.
120시간 후에, 외부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의 분취량을 CH2Cl2와 1:1로 추출하고, 섹션 2.1.4.2에 설명된 GC/MS 크로마토그래피 기기를 사용하여 유기상을 분석하고, 외부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의 분취량은 섹션 2.1.4.3에 설명된 SEC/UV/MS 크로마토그래피 기기를 사용하여 추가 처리 없이 SEC/UV/MS로 분석하였다.
결과:
완충 식염수 용액 대조군, 비-멸균 및 멸균 PPE (실시예 3 및 18) 및 비교 비-멸균 및 멸균 BDDE (비교 Ex.85 및 Ex.75) 가교된 히알루론산으로부터 국소 마취제 리도카인 3 mg/mL의 전체 양의 퍼센트는 유사한 가교도를 갖는다.
PBS, 및 비-멸균 PPE (실시예 3) 및 비교 비-멸균 BDDE (Comp. Ex. 85) 가교된 히알루론산으로부터 수중 방출의 1, 2, 48 및 120시간 후에 리도카인의 전체 양의 퍼센트를 하기 표 16에 요약하였다.
비-멸균 가교된 히알루론산으로부터 리도카인의 키네틱 방출
시간 (h) PBS 유래 (%)
(대조군)
BDDE/HA 유래 (%)
Comp. Ex. 85
PPE/HA 유래 (%)
Ex. 3
1 51.4±0.43 1.94±0.87 3.59±2.12
2 65.37±1.56 3.81±2.10 6.95±1.89
48 97.56±2.63 48.29±2.67 65.19±2.42
120 98.22±2.69 81.77±3.99 89.83±2.25
PBS, 멸균된 PPE (실시예 18) 및 비교 멸균된 BDDE (Comp. Ex. 75) 가교된 히알루론산으로부터 수중 방출 1, 2, 48 및 120시간 후에 리도카인의 전체 양의 퍼센트를 하기 표 17에 요약하였다.
멸균 히알루론산으로부터 리도카인의 키네틱 방출
시간 (h) PBS 유래 (%) BDDE/HA 유래 (%)
Comp. Ex. 75
PPE/HA 유래 (%)
Ex. 18
1 52.99±1.32 2.35±0.43 4.23±0.34
2 69.53±1.68 4.62±1.56 8.15±1.14
48 97.44±2.40 55.97±2.63 73.25±3.62
120 98.37±2.40 83.64±2.85 92.56±2.85
또한, 비-멸균 및 멸균 PPE 가교된 및 비교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으로부터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에서 방출 120시간 (전체 방출) 후에 리도카인의 전체 양 (B+BH + )에 대한 중성 형태 B의 분포는 하기 표에 개시되어 있다:
120시간 후 리도카인 방출 B (%) pKa S
PBS 비-멸균 유래 (대조군) 23.92 7.90
PBS 멸균 유래 (대조군) 24.01 7.90
비-멸균 BDDE/HA 유래 (Comp. Ex. 75) 24.45 7.89
멸균 BDDE/HA 유래 (Comp. Ex. 85) 24.06 7.90
비-멸균 PPE/HA 유래 (Ex. 3) 44.90 7.49
멸균 PPE/HA 유래 (Ex.18) 48.67 7.45
다시,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용액에서 방출 120시간 (전체 방출) 후에 리도카인의 전체 양 (B+BH + )에 대한 중성 형태 B의 분포는 대조군 (PBS) 및 비-멸균 및 멸균된 비교 BDDE 가교된 HA로부터, 방출된 리도카인의 중성 형태 B는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부터 예측된 열역학적 값과 매우 유사하며, 결과적으로 겉보기 pKaS는 열역학적 pKa (pKaT=7.9)와 통계적으로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에, 본 발명의 비-멸균 및 멸균 PPE 가교된 HA로부터, 방출된 리도카인의 중성 형태 B는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부터 예측된 열역학적 값보다 훨씬 더 높으며, 결과적으로 겉보기 pKaS는 열역학적 pKa보다 훨씬 더 낮으며, 상기 표에 보고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술한 모든 결과와 관련하여, 국소 마취제의 개시는 생리학적 pH 값 7.4에서 이들의 pKa에 따라 다르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최단 개시를 갖는 국소 마취제는 pKa가 7.4에 가장 가까운 마취제이고, 이의 지용성 및 생체 이용 가능한 형태는 신경외막 (epineurium) 및 신경막 (neuronal membrane)을 투과하여, 활성 성분 분자가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는데 더욱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개시는 주사 시에 B/BH+ 비율 (또는 %B) 및 BH+에서 B로의 전환율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인 비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각 마취제에 특정한 이온화 상수 (pKa)는 이러한 각 상태에 존재하는 분자의 비율을 예측한다. 그러므로 마취제 수용액의 pH 및 국소 마취제의 pKa는 국소 마취제의 개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실험 데이터 (표 2-7 참조)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 Ex. 1, Ex.2 및 Ex. 3은 각각 pH 7.24, pH 7.38 및 pH 7.50에서 리도카인의 개시가 가장 빠르다. 한편, 최신 기술에 알려진 비교 하이드로겔 (표 8-15 참조)에서 최단 개시는 각각 리도카인의 경우 pH 7.9, 메피바카인의 경우 7.8, 아르티카인의 경우 7.6이다. 그러므로, 모든 비교 하이드로겔은 주사 가능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6.9-7.4)에 대해 생리학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pH 7.4 이상의 pH에서 최단 개시를 갖는다.
결과
국소 마취제 (리도카인-LA)는 각 테스트 샘플로부터 외부 PBS 용액으로 서로 다른 비율로 방출하였다. 표 16-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멸균 및 멸균 PBS 대조군에서의 리도카인 용액이 가장 빠른 방출을 보였으며, 120시간 이내에 리도카인을 100% 방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멸균 및 멸균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으로부터의 리도카인 방출은 비교 비-멸균 및 멸균 BDDE 가교된 히알루론산보다 각각 더 빠르다. 본 발명의 멸균된 PPE 가교된 HA는 비-멸균 PPE 가교된 HA보다 리도카인의 키네틱 방출이 약간 더 높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아마도 멸균 과정에서 열 분해로 인해 비-멸균 PPE의 가교도가 더 낮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실험 데이터로부터 국소 마취제와 PPE 가교된 히알루론산 접합체가 국소 마취제의 개시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에 따라 마취제의 작용 지속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을 입증하였고; 이는 국소 마취제의 인 비보 빠른 개시 및 효능을 의미한다.
완전성을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이 하기 번호가 부여된 항목에 기재된다:
항목 1.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
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혼합물
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롤;
C)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 및
D)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각 R1은 독립적으로 R2, R3, R4 및 R5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3이고;
R4이고;
R5이고,
각 R6은 독립적으로 R3 및 R5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e는 1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f는 0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g는 0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가교 퍼센트가 0.030 내지 0.900%이고;
상기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은 중량 평균 분자량 (Mw)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UV/MS)로 측정 시 240 내지 3,700 Da이고;
단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에서 적어도 하나의 R1은 R4이고;
상기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에서 R1이 존재하는 경우, R1은 R4가 아닌 것인 조성물.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가교제로서 PPE를 사용하여 수득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이고, 에폭시 당량은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인 조성물.
항목 3.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질량 검출기와 커플링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국소 마취제의 중성 형태 B의 퍼센트가 하기 Henderson-Hasselbalch 식에 의해 계산된 예측된 값보다 40% 내지 160% 더 높은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여기서:
pH는 -log([H+])이고,
pKa는 약산의 해리 평형 상수의 -log이고;
[B]([염기])는 국소 마취제의 짝염기 형태의 농도이고;
[BH+]([산])은 국소 마취제의 짝산 형태이다.
항목 4.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분자량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40 내지 3700 Da인 것인 조성물.
항목 5.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농도는 0.45 내지 25 mg/mL인 것인 조성물.
항목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은: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화학식 (3)의 화합물;
화학식 (4)의 화합물;
화학식 (5)의 화합물;
화학식 (6)의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항목 7.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중 히알루론산의 농도는 1 내지 50 mg/ml인 것인 조성물.
항목 8. 항목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중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3000 kDa인 것인 조성물.
항목 9.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국소 마취제는 암부카인, 아몰라논, 아밀로카인, 아르티카인, 베녹시네이트, 벤조카인, 베톡시카인, 비페나민, 부피바카인, 부타카인, 부탐벤, 부타닐리카인, 부테타민, 부톡시카인, 클로로프로카인, 코카에틸렌, 코카인, 사이클로메티카인, 디부카인, 디메티소퀸, 디메토카인, 디페로돈, 디사이클로민, 엑고니딘, 엑고닌, 에티도카인, 베타-유카인, 유프로신, 페날코민, 파모카인, 포모카인, 헥실카인, 하이드록시테트라카인, 이소부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류시노카인 메실레이트, 레복사드롤, 리도카인, 메피바카인, 메프릴카인, 메타부톡시카인, 미르테카인, 나에파인, 옥타카인, 오르토카인, 옥세타자인, 파레톡시카인, 페나카인, 페놀, 피페로카인, 피리도카인, 폴리도카놀, 프라목신, 프릴로카인, 프로카인, 프로파노카인, 프로파라카인, 프로피포카인, 프로폭시카인, 슈도코카인, 피로카인, 로피바카인, 살리실 알코올, 테트라카인, 톨리카인, 트리메카인, 졸라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항목 10.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의 화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1은 독립적으로 R2 및 R3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3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1은 독립적으로 R2 및 R3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3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1은 독립적으로 R2 및 R3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3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항목 11. 항목 10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의 화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항목 12. 항목 10 또는 11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항목 13.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주사 가능한 조성물의 형태인 것인 조성물.
항목 14. 항목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
하나 이상의 마취제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인 조성물;또는 대안적으로,
스킨 케어제; 구체적으로 피부 필러로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
하나 이상의 마취제의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인 항목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용도.
항목 15. 항목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의 담체, 구체적으로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의 용도.

Claims (15)

  1.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
    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의 폴리글리세롤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혼합물
    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롤;
    C) 하나 이상의 국소 마취제 또는 이의 염; 및
    D)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에서:
    각 R1은 독립적으로 R2, R3, R4 및 R5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3이고;
    R4이고;
    R5이고,
    각 R6은 독립적으로 R3 및 R5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e는 1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f는 0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g는 0 내지 5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은 가교 퍼센트 (crosslinking percentage, C.D.)가 하기 식 1로 측정 시 0.030 내지 0.900%이고:

    여기서:
    MWrep. unit는 히알루론산 단량체 반복 단위의 분자량인 401 Da이고;
    Me는 하기 식 2의 역 식 (inverse formula)을 사용하여 수학적으로 계산되고:

    G'은 회전 레오미터 (rotational rheometer)를 사용하여 유동학적 측정에 의해 실험으로 수득되고,
    R·T는 열 에너지 (thermal energy)이고,
    c는 히알루론산 농도이고,
    Mn은 히알루론산의 수 평균 분자량 (number average molecular mass)이고;
    상기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은 중량 평균 분자량 (Mw)이 SEC/UV/MS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V-visible and Mass detector)로 측정 시 240 내지 3,700 Da이고;
    단,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에서 적어도 하나의 R1은 R4이고;
    상기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에서 R1이 존재하는 경우, R1은 R4가 아닌 것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가교제로서 PPE를 사용하여 수득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이고, 에폭시 당량 (epoxy equivalent weight)은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 (ultrasonication-assisted rapid titration with HCl)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인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의 분자량은 SEC/UV/MS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V-visible and Mass detector) 방법으로 측정 시 240 내지 3700 Da인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농도는 0.45 내지 25 mg/mL인 것인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은: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화학식 (3)의 화합물;

    화학식 (4)의 화합물;

    화학식 (5)의 화합물;

    화학식 (6)의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중 히알루론산의 농도는 1 내지 50 mg/ml인 것인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중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3000 kDa인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마취제는 암부카인, 아몰라논, 아밀로카인, 아르티카인, 베녹시네이트, 벤조카인, 베톡시카인, 비페나민, 부피바카인, 부타카인, 부탐벤, 부타닐리카인, 부테타민, 부톡시카인, 클로로프로카인, 코카에틸렌, 코카인, 사이클로메티카인, 디부카인, 디메티소퀸, 디메토카인, 디페로돈, 디사이클로민, 엑고니딘, 엑고닌, 에티도카인, 베타-유카인, 유프로신, 페날코민, 파모카인, 포모카인, 헥실카인, 하이드록시테트라카인, 이소부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류시노카인 메실레이트, 레복사드롤, 리도카인, 메피바카인, 메프릴카인, 메타부톡시카인, 미르테카인, 나에파인, 옥타카인, 오르토카인, 옥세타자인, 파레톡시카인, 페나카인, 페놀, 피페로카인, 피리도카인, 폴리도카놀, 프라목신, 프릴로카인, 프로카인, 프로파노카인, 프로파라카인, 프로피포카인, 프로폭시카인, 슈도코카인, 피로카인, 로피바카인, 살리실 알코올, 테트라카인, 톨리카인, 트리메카인, 졸라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의 화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7은 독립적으로 R2 및 R8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8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7은 독립적으로 R2 및 R8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8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단계:
    i'') 히알루론산을 화학식 (V)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가교시키는 단계


    여기서:
    각 R7은 독립적으로 R2 및 R8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이고;
    R8이고;
    b는 1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c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이고;
    d는 0 내지 70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ii'') 단계 (i'')에서 수득된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B)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취제 (C)와 접촉시키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단계 (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부형제 또는 담체 (D)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v'') 선택적으로, 단계 (iii'')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의 화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i'')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방법으로 측정 시 204 내지 15,000 Da의 분자량 (Mw); 및
    HCl을 사용한 초음파-보조 급속 적정으로 측정 시 100 내지 7,0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11. 청구항 9 또는 10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ii'') 이후,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iv'') 이후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 (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12. 청구항 9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 이후에 추가 세척 단계 (vi)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 이후에 추가 세척 단계 (vi')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 상기 조성물이 (a)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단계 (i'') 이후에 추가 세척 단계 (vi'')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 가능한 조성물 (injectable composition)의 형태인 것인 조성물.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therapy)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
    하나 이상의 마취제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인 조성물;
    또는 대안적으로,
    스킨 케어제 (skin care agent); 구체적으로 피부 필러 (dermal filler)로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가교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폴리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
    하나 이상의 마취제의 미용학적으로 유효한 양,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인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용도.
  15.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담체; 구체적으로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의 용도.
KR1020247003665A 2021-07-01 2022-06-30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조성물 KR20240029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83109 2021-07-01
EP21183109.4 2021-07-01
PCT/EP2022/068056 WO2023275241A1 (en) 2021-07-01 2022-06-30 Crosslinked hyaluronic acid composition with local anesthet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774A true KR20240029774A (ko) 2024-03-06

Family

ID=7674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665A KR20240029774A (ko) 2021-07-01 2022-06-30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2994A1 (ko)
KR (1) KR20240029774A (ko)
CN (1) CN117597153A (ko)
AR (1) AR126276A1 (ko)
WO (1) WO20232752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82B1 (ko) * 2019-07-29 2021-01-13 주식회사 피움바이오 주입력이 우수한 가교된 히알루론산 기반 기능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EP4038105B1 (en) * 2019-10-01 2024-01-10 Biopolimeri S.r.l. A hyperbranched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and its use as crosslinker for polysacchar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62994A1 (en) 2024-05-08
AR126276A1 (es) 2023-10-04
WO2023275241A1 (en) 2023-01-05
CN117597153A (zh)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0578B2 (en) Modified hyaluronic acid, method for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JP6521862B2 (ja) 皮膚用の注入可能な滅菌組成物
RU2605298C2 (ru) Композиция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AU2013276343B2 (en) Composition, in an aqueous medium, including at least one hyaluronic acid and at least one sucrose octasulphate water-soluble salt
US11857682B2 (en) Hyaluronate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fillers
KR20140025117A (ko) 하이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마취제 조성물
KR20240029774A (ko)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조성물
US10836840B2 (en) Method for produc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