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752A -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752A
KR20240028752A KR1020220106895A KR20220106895A KR20240028752A KR 20240028752 A KR20240028752 A KR 20240028752A KR 1020220106895 A KR1020220106895 A KR 1020220106895A KR 20220106895 A KR20220106895 A KR 20220106895A KR 20240028752 A KR20240028752 A KR 2024002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l
prospective
korea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록
Original Assignee
안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록 filed Critical 안정록
Priority to KR102022010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752A/ko
Publication of KR2024002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고거래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예비출국자와 현지 교민 간에 중고거래를 중개할 수 있는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은 예비출국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교민 단말 또는 현지 외국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판매정보를 등록하는 중개 관리부와, 상기 예비 출국자의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상기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의 판매정보를 분석하여 중고거래에 대한 매칭을 수행하는 매칭부와, 상기 매칭된 중고거래에 대한 대금거래내역을 관리하는 정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sed trading centered on overseas resident}
본 발명은 중고거래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예비출국자와 현지 교민 간에 중고거래를 중개할 수 있는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상에서의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다수의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에 의한 전자상거래뿐만 아니라, 개인물품이나 중고물품과 같은 전자상거래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쇼핑몰이나 일부 사이트 또는 카페에서는 재활용의 의미로 자신에게는 불필요한 물품을 처분하기 위한 중고물품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중고물품 거래는 국내에 한정되어 있어서, 국내 거주 예비출국자가 체류하려는 국가에서 중고거래를 통해 중고물품이나 개인물품을 구매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00-00306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 거주 예비출국자가 체류 국가에서 중고거래를 통해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내 거주 예비출국자가 체류 국가의 교민을 통해 생활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은 예비출국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교민 단말 또는 현지 외국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판매정보를 등록하는 중개 관리부와, 상기 예비 출국자의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상기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의 판매정보를 분석하여 중고거래에 대한 매칭을 수행하는 매칭부와, 상기 매칭된 중고거래에 대한 대금거래내역을 관리하는 정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방법은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중고거래 방법으로서, 예비출국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교민 단말 또는 외국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판매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출국자의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상기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의 판매정보를 분석하여 중고거래에 대한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매칭된 중고거래가 성사되면 거래 당사사 간의 대금거래내역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국내 거주하는 예비출국자는 체류하려는 국가에서 살고 있는 현지 교민과 중고거래를 통해 필요한 물품을 구할 수 있어서 가지고 가기 힘든 물건을 현지에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고, 반대로 체류 국가에서 귀국하는 교민은 필요없는 짐을 버리는 대신에 체류 예정인 사람에게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비 출국자는 현지 교민으로부터 생생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 안전하고 체계적인 출국 준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거거래 플랫폼은 현지업체의 상품판매를 위한 광고 및 현지 외국인을 위한 국내 정보(한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한류 열풍이 뜨거운 유럽에서 한류 유럽인을 끌어들여 교민 시장을 넘어 유럽인들에게까지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에서 각 주체 간의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 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 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은 중고거래 플랫폼(100) 및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200)을 포함한다.
중고거래 플랫폼(100)은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200)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될 수 있는 웹 기반 또는 앱 기반의 플랫폼이다. 중고거래 플랫폼(100)은 컴퓨팅 장치들(2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에 의해 접근된다. 중고거래 플랫폼(100)은 중고거래 서비스 업체가 구축한 서버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고거래 플랫폼(100)은 외국거주 한국교민, 외국현지 한인업체, 한국거주 예비출국자, 한국문화(K-Culture) 관심 외국인을 상호 연결하여 중고거래를 중개하며, 이때 외국은 한국의 대중문화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유럽이 될 수 있다.
중개 플랫폼(100)에 접속한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200)은 외국거주 한국교민, 외국현지 한인업체, 한국거주 예비출국자, 한국문화(K-Culture) 관심 외국인 등이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다. 컴퓨팅 장치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앱이나 웹으로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종류의 장치도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컴퓨팅 장치(200)는 한국거주 예비출국자 단말(200-1), 외국거주 한국교민 단말(200-2), 한국문화(K-Culture) 관심 외국인 단말(200-3), 현지 한인업체 단말(200-4)을 포함하며, 각각 예비출국자 단말(200-1), 교민 단말(200-2), 외국인 단말(200-3), 현지업체 단말(200-4)로 약칭한다.
예비출국자 단말(200-1)은 한국에 거주하며 외국으로 출국할 예정인 사람이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고, 교민 단말(200-2)은 외국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이나 교포가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고, 외국인 단말(200-3)은 한국문화에 관심이 있는 현지 외국인이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고, 현지업체 단말(200-4)은 외국에서 가게나 매장을 운영하는 한인업체가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에서 각 주체간의 신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예비출국자, 현지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 간에 중고거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자가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즉, 예비출국자 단말(200-1), 교민 단말(200-2) 및 외국인 단말(200-3)이 앱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로그인되어 있어야 한다.
한국에 거주하는 예비출국자는 체류 국가에서 지내는 동안 사용할 물품을 현지에서 구하기 위해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접속한다.
즉, 예비출국자 단말(200-1)은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접속하여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를 입력한다(S10). 체류정보는 체류국가, 거주지 주소, 체류기간 등을 포함하며, 구매정보는 물품명, 거래장소, 거래가능범위, 가격, 거래방식 등을 포함한다.
외국에 거주하는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은 체류할 사람들에게 자신의 중고물품을 팔기 위해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접속한다.
즉, 교민 단말(200-2) 및 외국인 단말(200-3)은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접속하여 판매정보를 입력한다(S12, S14). 판매정보는 상품명, 카테고리, 가격, 거래방식, 거래장소, 상품설명, 상품사진 등을 포함한다.
한편 현지업체도 중고거래 플랫폼(100)을 통해 판매하는 상품이나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여 자신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홍보할 수 있다.
즉, 현지업체 단말(200-4)은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접속하여 상품정보를 입력한다(S16). 상품정보는 상품명, 가격, 상품설명, 주소, 연락처, 상품사진 등을 포함한다.
예비출국자의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교민 및 외국인의 판매정보가 등록되면, 중고거래 플랫폼(100)은 등록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고거래 매칭 프로세스를 실행한다(S18).
매칭 결과는 예비출국자 단말(200-1)과 교민 단말(200-2) 또는 외국인 단말(200-3)에 통지되며, 상호 간에 중고거래가 성사되면(S20, S22), 중고거래 플랫폼(100)은 거래 당사자 간에 정산 프로세스를 실행한다(S24).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비출국자 단말(200-1)은 중고거래 플랫폼(100)에 체류 관련 질문을 입력하여 문의할 수 있고, 교민 단말(200-2) 또는 외국인 단말(200-3)은 해당 질문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여 예비출국자의 문의에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단말(200-3)은 중고거래 플랫폼(100)을 통해 교민 국가에 대한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류(K-Culture)에 관심이 많은 외국인은 예비출국자 또는 교민이 제공하는 다양한 한류정보나 자료를 검색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고거래 플랫폼(100)은 통신 인터페이스(102) 및 제어부(104)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예비출국자 단말(200-1), 교민 단말(200-2), 외국인 단말(200-3) 및 현지업체 단말(200-4)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인터넷과 접속되어 TCP/IP 통신을 수행하는 이더넷(Ethernet) 등의 통신 모듈이다.
제어부(104)는 중고거래 플랫폼(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부분이다. 제어부(104)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개 관리, 매칭, 정산(거래내역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4)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하며, 상술한 중개 관리, 매칭, 정산(거래내역 관리) 등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중개 관리, 매칭 및 정산 기능은 각각 중개 관리부(110), 매칭부(120) 및 정산부(130)에 의해 실행된다.
중개 관리부(110)는 예비출국자 단말(200-1), 교민 단말(200-2), 외국인 단말(200-3) 및 현지업체 단말(200-4)로부터 각각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 판매정보, 상품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중개 관리부(1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가 웹 또는 앱 상에서 검색 및 표시되도록 가공 처리한다. 예를 들어, 중개 관리부(110)는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저장되는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판매정보에 근거해 거래장소의 위치를 앱 또는 웹 상의 전자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매칭부(120)는 예비출국자의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의 판매정보를 분석하여 중고거래에 대한 매칭을 수행한다.
매칭부(120)는 주기적으로 매칭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예비출국자,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의 거래요청이 있는 경우 매칭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거래 당사사를 매칭시킨다.
정산부(130)는 매칭된 중고거래가 성사되면 거래 당사자 간의 대금거래내역을 기록하는 정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정산 프로세스를 위해, 예비출국자, 교민, 외국인 등의 중고거래 서비스 이용자에게 중고거래 정산을 위한 가상계좌가 할당된다. 가상계좌는 중고거래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가입 시 등록한 실제 계좌와 연동된다.
구체적으로 중고거래가 성사되면, 중고물품 구매를 위해 지불되는 금액이 구매자(예비출국자)의 가상계좌에서 차감되고, 해당 금액은 판매자(교민 또는 외국인)의 가상계좌에 충전된다.
정산부(130)는 중고거래 서비스 이용자의 가상계좌에 충전된 금액(충전금)에 구매대금 만큼 차감하거나 증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중고거래에 따른 입출금내역을 관리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고, 도 5는 구매자 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 등의 중고물품 판매자는 판매글 작성 화면에서 판매상품의 이름, 카테고리, 가격, 거래방식, 거래장소, 상품설명 등을 입력하고 상품 사진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장소는 국가명, 우편번호, 주소 등을 포함하며, 국가명과 우편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주소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비출국자 등의 중고물품 구매자는 검색 설정 화면에서 체류지나 거래장소 등의 위치정보를 입력하고, 입력한 위치 기준으로 거래가능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검색필드(1)에 위치정보로서 지명이나 주소를 입력하고, 검색범위 설정(2)에서 입력 위치정보 기준으로 거래가능범위를 입력하고, 카테고리 선택(3)에서 구매하려는 물품의 카테고리를 입력하게 되면, 도 5의 (b)와 같이 해당 입력된 정보에 따라 검색된 상품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b)의 검색된 상품 리스트를 보면, 거래지역(4)은 베를린이고, 거래물건 카테고리(5)는 부동산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중고거래 플랫폼 102: 통신 인터페이스
104: 제어부 110: 중개 관리부
120: 매칭부 130: 정산부
200: 컴퓨팅 장치

Claims (5)

  1. 예비출국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교민 단말 또는 현지 외국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판매정보를 등록하는 중개 관리부와,
    상기 예비 출국자의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상기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의 판매정보를 분석하여 중고거래에 대한 매칭을 수행하는 매칭부와,
    상기 매칭된 중고거래에 대한 대금거래내역을 관리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관리부는 현지업체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품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관리부는 예비출국자를 위한 현지 체류 관련 생활정보와 현지 외국인을 위한 교민국가 관련 문화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
  4.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중고거래 방법에 있어서,
    예비출국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교민 단말 또는 외국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판매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출국자의 체류정보 및 구매정보와 상기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의 판매정보를 분석하여 중고거래에 대한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매칭된 중고거래가 성사되면 거래 당사사 간의 대금거래내역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현지업체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품정보를 등록하여 예비출국자, 교민 또는 현지 외국인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예비출국자를 위한 현지 체류 관련 생활정보 및 현지 외국인을 위한 교민국가 관련 문화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KR1020220106895A 2022-08-25 2022-08-25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8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95A KR20240028752A (ko) 2022-08-25 2022-08-25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95A KR20240028752A (ko) 2022-08-25 2022-08-25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752A true KR20240028752A (ko) 2024-03-05

Family

ID=9029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895A KR20240028752A (ko) 2022-08-25 2022-08-25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7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37A (ko) 2000-03-09 2000-06-05 김태영 인터넷을 이용한 중고물품거래 및 신상품 거래시스템과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37A (ko) 2000-03-09 2000-06-05 김태영 인터넷을 이용한 중고물품거래 및 신상품 거래시스템과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her E-commerce: advantages and limitations
JP5241839B2 (ja) 従来の小売りに適する電子商取引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US20100100458A1 (e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integrated shopping mall
JP2002149946A (ja) 個人情報売買方法
TWI670655B (zh) 電子保證書的管理伺服器及產品管理方法
US20220366469A1 (en) Smart link for outside network input/output
Hossain et a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 E-commerce with Sales Chatbot
US20070198398A1 (en) Electronic commerce global relational actualizing bargai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850691B1 (ko) 온라인 서비스시스템에서의 다국어지원 서비스방법
KR101721594B1 (ko) 포털 사이트 기반의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Hasan et al. Factors affecting the online purchasing behavior for young consumers: a case study
JP2002063490A (ja) 電子カタログを利用した仮想店舗システム及び仮想店舗を構築するためのシステム
WO2009136262A1 (en) Reverse portal system and method
KR100943106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8752A (ko) 해외거주자 기반 중고거래 시스템 및 방법
Rahm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lectronic-commerce system
KR2001009477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거래 정보 중개 사업 방법
Malik et al. E-Commerce: Emerging internet technolog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business world
Fernando et al. Computerized system to manage business functions of e-commerce web application using MERN stack technology
US20230325869A1 (en) Automated Product/Service Vending System and Method
Elias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Auction System
KR20110066445A (ko) 대학중고교재 거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학중고교재 거래방법
KR101956609B1 (ko)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다국어 입력 및 멀티디스플레이 플렛폼 서비스방법
US20130218632A1 (en) Category-agnostic leadstore
JP2002269392A (ja) インターネット利用の購買エージェント支援サー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