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253A -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8253A KR20240028253A KR1020220111505A KR20220111505A KR20240028253A KR 20240028253 A KR20240028253 A KR 20240028253A KR 1020220111505 A KR1020220111505 A KR 1020220111505A KR 20220111505 A KR20220111505 A KR 20220111505A KR 20240028253 A KR20240028253 A KR 202400282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i
- catheter
- main roller
- support assembly
- p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40127554 medical produ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08 urethr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399 Critical Ill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82 general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1—Aseptic insertion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3—Mechanical advancing means, e.g. catheter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리 카테터 삽입 시 상기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기 위한 지지관에 설치되는 구동 모듈로서, 메인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이 형성된 측면들과, 상기 측면들 사이의 연결면을 포함하는 제1 파트, 상기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과 정렬되는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배치되고, 서브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 롤러 삽입공이 형성된 제2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측면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이 각각 형성된 제3 파트들 및 상기 제3 파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배치되는 제4 파트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공배뇨는 도뇨관을 요도를 통해 방광에 삽입하여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포리 카테터는 일정기간 도뇨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때 사용된다. 포리 카테터를 이용한 인공배뇨는 중환자나 일반 수술 환자, 비뇨기계 수술환자나 기타 배뇨가 원활하지 않은 환자에서 소변을 배출하거나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포리 카테터를 방광 내에 시술하기 위한 과정은 준비 단계 및 시술 단계에서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병원에서는 미리 포리 카테터 세트를 준비하여야 하는데, 포리 카테터 세트는 무균처치가 요구되고 내부에 방포와 포셋, 켈리클램프, 윤활젤리, 벌룬용 생리식염수, 소독솜을 위한 세 개의 용기가 포함된다. 시술 준비 단계에서 의료인력은 시술을 위해 포리 카테터 세트를 열고 포리 카테터와 벌룬용 주사기를 포장지에서 분리하여 넣고, 윤활젤리, 벌룬용 생리식염수, 소독솜을 각각 용기에 첨가해야 하며, 각 과정에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각별히 유의를 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병원 경영의 측면에서 이와 같은 포리 카테터 세트 준비와 시술 준비 과정은 비용의 상승과 고급 인력인 의료 인력의 노동력 낭비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준비과정을 보다 간결하게 줄일 수 있는 기구 및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제10-1058241호 "포리 카테타 삽입을 위한 조립체"가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포리카테터 조립체(20)를 통해 방광(B)에 포리 카테터(10)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포리 카테터 조립체(20)는 포리 카테터(10)를 방광에 삽입하기 전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시술자의 시술과정을 간편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포리 카테터 조립체(20)는 포리 카테터(10)의 인체 삽입을 위해 사용되고, 사용 후에 버려지는 1회용인데 반해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즉, 종래 포리 카테터 조립체(2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제조되므로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포리 카테터 조립체(20)를 사용하는 병원의 자재수급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포리 카테터 지지관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접힘 가능한 재질(종이,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서, 제조 비용 저감이 가능한 접힘 지지관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는 구동 모듈이 높은 강도를 가져 시술 정확도가 향상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포리 카테터 삽입 시 상기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기 위한 지지관에 설치되는 구동 모듈로서, 메인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이 형성된 측면들과, 상기 측면들 사이의 연결면을 포함하는 제1 파트, 상기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과 정렬되는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배치되고, 서브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 롤러 삽입공이 형성된 제2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측면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이 각각 형성된 제3 파트들 및 상기 제3 파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배치되는 제4 파트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잇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롤러 삽입공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서브 롤러 삽입공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롤러 삽입공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서브 롤러 삽입공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포리 카테터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 중 어느 하나의 절반 안내 구멍이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과 이격되면서 다른 하나의 절반 안내 구멍이 형성된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이 마주하는 방향과, 상기 제3 파트의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이 마주하는 방향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들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젤리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3 파트들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접촉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누출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른 누출 방지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파트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젤리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파트에 상기 포리 카테터의 삽입 방향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은 상기 하면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보다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면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은 상기 상면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보다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동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관으로서, 정면, 배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의 정면, 배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포리카테터의 유체 공급관이 통과되는 개방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로가 형성된 면에 상기 제3 파트들에 의해 형성된 젤리 수용 공간과 정렬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로가 형성된 면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제1 파트의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과 정렬되는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이 형성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 및 상기 구동 모듈의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을 통과하는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에는 역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 중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곡률을 가지며 굽어진 제1 요철면 및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곡률과 다른 제2 곡률을 가지며 굽어진 제2 요철면으로서, 일 지점에서 상기 제1 요철면과 연결되는, 제2 요철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메인 롤러의 제1 방향 회전은 허용하지만,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 회전은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로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주사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접힘선 및 절취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로보다 하부에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이 형성되고,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의 반대면에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의 적어도 일부는 절취선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된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은 상기 지지관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로 측부에 후진 방지부 형성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의 반대면에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의 적어도 일부는 절취선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된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은 상기 지지관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존의 포리 카테터 지지관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접힘 가능한 재질(종이,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서, 제조 비용 저감이 가능하다.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이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고, 접힘 지지관에 설치됨으로써 지지관 조립체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시술 정확성이 향상된다.
사용 이전에 바닥면과 덮개면에 의해 지지관 조립체의 상부와 저부가 폐쇄된 상태로 의료진에게 제공되고, 피시술자에게 시술되기 직전에 바닥면과 덮개면을 제거하여 사용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멸균 상태가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다.
포리 카테터를 방광 내로 안내하는 이송 롤러의 역회전 방지 구조가 적용되어, 보관시에는 포리카테터가 메인 롤러와 서브 롤러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시술 시에는 피시술자의 신체 내로 삽입된 포리 카테터가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포리 카테터의 후진 이동을 방지하는 후진 방지부 구성이 적용되어, 보관시에는 포리 카테터가 메인 롤러와 서브 롤러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시술 시에는 피시술자의 신체 내로 삽입된 포리 카테터가 후퇴되어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포리 카테터를 방광 내에 삽입하는 시술 과정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의료용품(주사기, 소독솜, 젤, 증류수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의료용품 수용부가 형성되어, 의료 인력이 시술에 필요한 별도의 의료용품을 준비하는 과정 없이 간편하게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남성인 경우 포리 카테터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여성인 경우 포리 카테터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 구비되어, 성별에 따른 생식기 구조의 차이로 인한 의료진의 시술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지지관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 조립체를 구성하는 구동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 모듈의 젤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구동 모듈의 제4 파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 조립체를 구성하는 접힘 지지관의 전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전개도가 접혀짐에 따라 형성되는 접힘 지지관에 롤러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구동 모듈이 도 5에 따른 접힘 지지관에 설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라 설치가 완료된 지지관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이송 롤러에 의해 포리 카테터가 안내되면서 젤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젤이 포리 카테터에 도포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 역회전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지지관 조립체에 포리 카테터가 삽입된 사용 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주사기 수용부가 추가로 형성된 접힘 지지관의 다른 전개도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도 12에 따른 접힘 지지관에 주사기가 설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진 방지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 조립체를 구성하는 구동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 모듈의 젤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구동 모듈의 제4 파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 조립체를 구성하는 접힘 지지관의 전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전개도가 접혀짐에 따라 형성되는 접힘 지지관에 롤러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구동 모듈이 도 5에 따른 접힘 지지관에 설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라 설치가 완료된 지지관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이송 롤러에 의해 포리 카테터가 안내되면서 젤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젤이 포리 카테터에 도포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롤러 역회전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지지관 조립체에 포리 카테터가 삽입된 사용 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주사기 수용부가 추가로 형성된 접힘 지지관의 다른 전개도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도 12에 따른 접힘 지지관에 주사기가 설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진 방지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듈(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듈(200)은 플라스틱 등 저렴하고 일정강도를 가지며 성형이 쉬운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듈(200)은 후술될 접힘 지지관(100)에 설치되어, 포리 카테터(10)의 도뇨관(12)을 피시술자의 생식기, 구체적으로 포리 카테터(10)의 삽입꼭지(11)를 방광으로 삽입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 모듈(200)은 제1 파트(210), 제2 파트(220), 제3 파트(230) 및 제4 파트(240)를 포함한다. 각각의 파트는 일체로서 구동 모듈(200)을 구성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형태로 조립되어 구동 모듈(2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파트(210)는 메인 롤러(310)가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214, 215)이 형성된 측면들(211, 212)과, 상기 측면들(211, 212) 사이의 연결면(213)을 포함한다.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214, 215)은 측면들(211, 212)의 최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을 향해(연결면을 향해) 함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롤러(310)는 후술할 접힘 지지관(100)의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 및 구동 모듈(200)의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214, 215)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제2 파트(220)는 제1 파트(210)의 연결면(213)에 배치되고, 서브 롤러(320)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 롤러 삽입공(223, 224)이 형성된 측면들(221, 22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서브 롤러 삽입공(223, 224)은 상기 측면들(221, 222)의 최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내측을 향해(연결면을 향해) 함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1 파트(210)의 측면(211, 212)에 서브 롤러 삽입공(223, 224)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 롤러(320)는 후술할 접힘 지지관(100)의 한 쌍의 서브 롤러 결합공(124, 144) 및 구동 모듈(200)의 한 쌍의 서브 롤러 삽입공(223, 224)을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는 제2 파트(220)의 서브 롤러 삽입공(223, 224)에 안착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연결면(213)으로부터 메인 롤러 삽입공(214, 215)까지의 거리는, 연결면(213)으로부터 서브 롤러 삽입공(223, 224)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그 차이값은 도뇨관(12)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뇨관(12)은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 사이에 위치하고, 메인 롤러(310)의 조작(구체적으로는, 조작 노브의 조작)을 통해 서브 롤러(320)와 함께 회전하면서 도뇨관(12)이 전진 및 후진 이동하며, 상기 차이값이 도뇨관(12)에 두께에 대응되는 값을 가짐으로써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의 회전력이 도뇨관(12)에 온전히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포리 카테터 삽입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제3 파트(23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3 파트(230) 중 어느 하나가 제1 파트(210)의 측면(211)에, 다른 하나가 제1 파트(210)의 다른 측면(212)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제3 파트(2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3 파트(230)는 도뇨관(12)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233, 234)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233, 234)이 형성된 상면(231)과 하면(232)을 포함한다.
상면(231)과 하면(232)은 도뇨관(12)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상면(231)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233)과 하면(232)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234)은 상기 진행 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한 쌍의 제3 파트(230)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이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2개의 절반 안내 구멍들이 모여 완전한 한 쌍의 안내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안내 구멍으로 도뇨관(12)이 통과하게 된다.
포리 카테터를 삽입할 때 대상자는 누워서 시술을 받게 된다. 성별에 따른 인체구조 특성 상, 남성인 대상자는 수직 방향으로 카테터를 삽입하여야 하고, 여성인 대상자는 수평 방향으로 카테터를 삽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포리 카테터 삽입 시술 시, 남성의 경우 포리 카테터가 하방을 향해야 시술자가 편하게 접힘 지지관(100)을 파지하고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포리 카테터가 상방을 향해야 시술자가 편하게 접힘 지지관(100)을 파지하고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파트(230)의 상면(231)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과, 하면(232)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의 위치를 변경하면 카테터의 삽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면(231)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233)이 하면(232)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234)보다 낮게 위치(즉,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카테터가 안내 구멍을 통과하면서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쉽게 수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남성인 대상자에게 시술을 진행할 때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면(231)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233)이 하면(232)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234)보다 높게 위치(즉,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더 멀리 위치)하도록 하여, 카테터가 안내 구멍을 통과하면서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쉽게 수평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성인 대상자에게 시술을 진행할 때 효과가 극대화된다.
한편, 한 쌍의 제3 파트(230)는 제1 파트(210)의 측면들(211, 212)에 대해 각각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파트의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214, 215)이 마주하는 방향과, 제3 파트의 한 쌍의 안내 구멍이 마주하는 방향은 서로 엇갈리게(구체적으로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파트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3 파트(230)의 상면(231)과 하면(232), 그리고 제1 파트(210)의 측면들(211, 212)에 의해 둘러싸인 젤 수용 공간(250)이 형성된다. 상기 젤 수용 공간(250)에는 젤이 수용되어, 젤 수용 공간(250)울 통과하는 도뇨관(12)에 젤(젤리)을 도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젤이 도뇨관(12)에 도포됨으로써 방광에 도뇨관(12)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고, 따라서 도뇨관(12)의 용이한 삽입 그리고 피시술자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파트(230)들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 중 일부에는 누출 방지부(235, 236)가 형성된다. 누출 방지부(235, 236)는 접촉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누출 방지부(236)에는 다른 누출 방지부(235)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37)가 형성된다. 결합부(237)는 일 예로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갈고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홈에 다른 누출 방지부(235)가 결합됨으로써 제3 파트들(23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누출 방지부(235, 236)로 인해 젤 수용 공간(250)의 밀봉 능력이 강화되어, 젤 수용 공간(250)에 수용된 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파트(240)는 젤 수용 공간(250)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제4 파트(240)는 제3 파트(230)들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된다. 제1 파트(210)의 측면(211, 212)과 연결면(213) 사이의 연결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게 구비될 수 있다.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해, 제3 파트(230)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측면들(211, 212)이 서로 접혀져서 구동 모듈(200)의 형태가 완성될 수 있다.
제4 파트(240)는 제3 파트(230)와 너비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고, 측면들(211, 212)이 서로 접혀 생성된 젤 수용 공간(250) 내부에 배치된다. 제4 파트(240)가 소정의 높이를 갖기 때문에, 제3 파트(230)에 소정의 내구성/강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파트(240)의 상면에는 도뇨관(23)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241)이 형성된다. 도뇨관(12)은 제3 파트(230)의 안내 구멍과, 제4 파트(240)의 안내 홈(2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4 파트(240)의 상면은 안내 홈(241)을 향할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파트(240)는 젤 수용 공간(250) 내부에 배치된다. 제4 파트(240)의 상면이 안내 홈(241)을 향할수록 그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젤 수용 공간(250) 내부의 젤이 안내 홈(241)으로 집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안내 홈(241)을 통과하는 도뇨관(12)에 보다 많은 젤을 도포할 수 있다.
제4 파트(240)의 안내 홈(241)은 제3 파트(230)의 안내 구멍과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 파트(230)의 안내 구멍이 남성인 대상자에게 카테터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하면(232)에서 상면(231)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실시예의 경우, 제4 파트(240)의 안내 홈(241) 역시 하면(232)에서 상면(231)을 향할수록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b) 참조).
또한, 제3 파트(230)의 안내 구멍이 여성인 대상자에게 카테터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하면(232)에서 상면(231)을 향할수록 높아지는 실시예의 경우, 제4 파트(240)의 안내 홈(241) 역시 하면(232)에서 상면(231)을 향할수록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c) 참조).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리카테터 지지용 접힘 지지관(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리 카테터 지지용 접힘 지지관(100)은 접힘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종이, 비닐, 합성수지 재질 등)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포리 카테터 삽입 시술 이후 포리 카테터로부터 제거되는 과정이 용이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힘 지지관(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도 형태로 제공되어, 의료진이 전개도에 구비된 접힘선을 따라 각 구성들을 접고, 절취선을 따라 일부 구성을 절취하여 지지관 조립체(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힘 지지관(100)이 미리 접혀진 상태로 포리 카테터까지 패키징되어 의료진에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접힘 지지관(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접힘 지지관(100)의 전개도는 포리 카테터(10)의 도뇨관(12)을 안내하는 지지관 역할을 수행한다. 접힘 지지관(100)에 후술하는 구동 모듈(200)이 설치되어 지지관 조립체(1)가 제조 및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힘 지지관(100)의 전개도는 다수의 면을 포함하되, 서로 이웃하게 병렬 배치된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병렬 배치란 포리 카테터(10)가 접힘 지지관(100) 내측에 구비되었을 때, 포리 카테터(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직렬 배치란 포리 카테터(1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은 각 면의 연결면에 위치된 접힘선(111, 131, 132)에 의해 접혀져서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관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의 배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인 원형관, 오각형인 오각관,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관 등 다양한 다각관 형태의 지지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a로 표시된 실선은 접힘선을 나타내는 것이고, b로 표시된 점선은 시술 전 사용자(의료진 등)에 의해 절취되는 절취선을 나타내는 것이고, c로 표시된 실선은 포리카테터의 삽입 후 절취되는 절취선을 나타내는 것이며, 빗금으로 표시된 d 영역은 접혀져서 다른 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접힘선은 타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접힘선은 타영역에 비해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 경우 접힘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면들이 함께 접혀지고,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은 서로 접혀져서 지지관 조립체(1)의 측면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힘 지지관(100)은 덮개면(141) 및 바닥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면(141)과 바닥면(142)은 각각 지지관 조립체(1)의 상면과 저면을 이루는 구성이며,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와 직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면(141)은 정면(110)과 직렬 배치될 수 있고, 바닥면(142)은 배면(120)과 직렬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면에 서로 직렬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은 서로 접혀져서 다각 기둥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덮개면(141)과 바닥면(142)은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직렬 배치되는 것만으로도 접힘 과정에 의해 지지관 조립체(1)의 상면과 저면을 이루게 된다.
덮개면(141)의 일측에는 덮개 접착면(141a)이 형성되고, 바닥면(142)의 일측에는 바닥 접착면(142a)이 형성되어, 상기 접착면들이 접힘에 따라 인접하는 다른 면들에 접착됨으로써 접힘 지지관(100)을 형성하게 된다.
덮개면(141)과 바닥면(142)은 함께 접힘 지지관(100)의 상하를 덮어 접힘 지지관(100) 내측으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접힘 지지관(100)은 덮개면(141)과 바닥면(142)이 덮혀지고 각 절취선들이 절취되지 않은 상태로 패키징되어 의료진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시술될 때에는 개방로 절취선(112)과 측면하부절취선(113), 젤삽입공 덮개(116) 등을 절취하여 덮개면(141)과 바닥면(142)을 제거한 후 사용하게 된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에는 개방로 상단의 위치와, 덮개면(141) 사이의 해당하는 위치에, 절취됨에 따라 젤 수용 공간(250) 내부의 공간과 연통하는 젤 삽입공 덮개(116) 절취선이 형성된다. 젤삽입공 덮개 절취선이 절취되는 경우 절취되는 부분에 젤 수용 공간(250)의 개구(젤 삽입공)가 위치되고, 사용자는 개구를 통해 젤 수용 공간(250) 내부에 젤을 투입할 수 있다.
제1 분리 절취선(114)은 개방로 절취선(112)으로부터 젤 삽입공 절취선까지 연장되고, 제2 분리 절취선(115)은 젤 삽입공 절취선으로부터 덮개면(141)과 연결되는 연결 부분까지 연장된다. 제1 분리 절취선(114)과 제2 분리 절취선(115)은 포리 카테터(10)를 방광에 삽입한 후, 포리 카테터(10)를 접힘 지지관(1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절취하여 사용하게 된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의 면의 하단과 상단에는 하부접착면과 상부접착면이 일정 면적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측면(14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하부접착면(142a)과 상부접착면(141a)이 구비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하부접착면(142a)과 상부접착면(141a)은 제2 측면(140)에 대해 접혀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지지관(100)으로 조립될 때, 바닥면(142)과 덮개면(141)에 접착되어 접힘 지지관(100)의 형상이 유지되게 한다. 또한, 정면(110)의 단부에서 측면접착면(117)이 구비되어 접혀져서 접힘 지지관(100)으로 조립될 때 배면(120)에 접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접착면이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4개의 면(110, 120, 130, 140) 중 어느 하나에 하부접착면과 상부접착면이 일정 면적 구비되는 실시예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등이 접혀져 형성된 접힘 지지관(100)에는 도뇨관(12)의 이송을 위한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접혀진 상태의 접힘 지지관(100)에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를 조립하여(도 3 참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이에 마주하는 면에는 메인 롤러(310)가 삽입되는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과 횡방향(너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서브 롤러(32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서브 롤러 결합공(124, 14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과 서브 롤러 결합공(124, 144)이 관통 형성된 위치는 젤 수용 공간(250)이 형성된 위치보다 하부일 수 있다.
제1 메인 롤러 결합공(123)과 제2 메인 롤러 결합공(143)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롤러(310)가 결합된다. 제2 메인 롤러 결합공(143)에는 눌림절취선(143a)이 타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눌림절취선(143a)은 메인 롤러(310)가 조립되어 도뇨관(12)의 이송을 위해 회전될 때, 메인 롤러(310)의 회전압력에 의해 눌려 뜯겨져 도뇨관(12)을 적절히 압박하여 도뇨관(12)이 피시술자에게 원활히 삽입되도록 지지한다.
이 때, 제1 메인 롤러 결합공(123)과 제2 메인 롤러 결합공(143)에는 메인 롤러(3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역방향 회전 방지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역방향 회전 방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회전 방지를 위해 제1 메인 롤러 결합공(123)과 제2 메인 롤러 결합공(143)의 내주면에는 메인 롤러(310)의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125, 145)가 형성된다. 요철부(125, 145)는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의 내측면에 메인 롤러(3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된 안내면(125a)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이웃하는 안내면(125a) 사이에는 메인 롤러(3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메인 롤러(3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역회전방지돌기(315)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125b)이 구비된다.
한편, 요철부(125, 145)는 메인 롤러 결합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곡률을 가지며 굽어진 제1 요철면(125c)과,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곡률과 다른 제2 곡률을 가지며 굽어진 제2 요철면(125d)으로서, 일 지점에서 상기 제1 요철면과 연결되는, 제2 요철면을 포함한다(도 10 참조).
제1 서브 롤러 결합공(124)과 제2 서브 롤러 결합공(144)에는 서브 롤러(320)가 삽입되고, 도뇨관(12)은 메인 롤러(310)과 서브 롤러(32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면서 일측은 메인 롤러(310)와 접촉되고 타측은 서브 롤러(320)와 접촉될 수 있다. 즉, 메인 롤러(310)를 회전 조작하는 경우, 메인 롤러(310)에 접촉하고 있는 도뇨관(12)의 반대쪽이 서브 롤러(320)에 의해 지지되면서 메인 롤러(310)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여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힘 지지관(100)과 별도로 제공되고, 접힘 지지관(100)의 접힘 과정이 이루어지고 구동 모듈(200)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난 후 접힘 지지관(100)에 조립될 수 있다.
즉,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지지관(100)이 접혀진 상태에서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과 서브 롤러 결합공(124, 144)에 결합된다.
메인 롤러(310)는 도뇨관(12)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 본체(311)와, 롤러 본체(311)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조작하는 조작 노브(313)을 포함한다. 롤러 본체(311)는 조작 노브(313)와 분리되게 구비된다.
롤러 본체(311)는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롤러 본체(311)가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에 삽입되는 영역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역회전 방지 돌기(31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 노브(313)를 도뇨관(12)이 방광으로 삽입되는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롤러 본체(311)의 역회전 방지 돌기(315)가 요철부(125)의 돌기안내면(125a)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하게 된다. 반면, 롤러 본체(311)가 외력에 의해 역방향, 즉 도뇨관(12)이 방광으로부터 멀어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역회전 방지 돌기(315)가 돌기삽입홈(125b)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요철부(125) 사이에 걸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 역방향 이송이 방지되고, 도뇨관(12)이 방광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메인 롤러(310)과 서브 롤러(320)는 도뇨관(12)의 직경에 대응되어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 노브(313)를 회전시켜 메인 롤러(310)를 회전시키면, 서브 롤러(320)는 도뇨관(12)의 이송력에 의해 서브 롤러 결합공(124, 144) 내부를 회전하게 된다.
덮개면(141) 및 바닥면(142)이 제거된 접힘 지지관(100) 내부에는 전술한 구동 모듈(20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듈(200)의 메인 롤러 삽입공(214, 215)이 접힘 지지관(100)의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과 정렬되고, 구동 모듈(200)의 서브 롤러 삽입공(223, 224)이 접힘 지지관(100)의 서브 롤러 결합공(124, 144)과 정렬되는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접힘 지지관(100)과 구동 모듈(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젤 수용 공간(250)의 개구를 통해 젤을 투입하고, 포리 카테터(10)를 지지관 조립체(1) 내부에 삽입하여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덮개면(141) 및 바닥면(142)을 접거나 부착하는 것에 의해 접힘 지지관(100)이 형성되고, 접힘 지지관(100)에 구동 모듈(200),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를 결합시켜서 도 8의 형태와 같은 지지관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시술에 이용하기 이전, 구체적으로 접힘 지지관(100)과 구동 모듈(200)의 조립 과정, 포리카테터의 사전 삽입 과정에서 젤 수용 공간에 젤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 포리 카테터(10)가 접힙 지지관(100)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개구 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개도 형태의 접힘 지지관(100)에 별도의 절취선을 형성하여 사용 전에 절취선을 따라 일부 구성을 절취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에는 지지관의 저부로부터 젤 수용 공간(250) 저부에서 상기 지지관의 저부를 향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로 절취선(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개도를 접었을 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로 절취선(113)이 절취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개방로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고, 사용 전 의료진이 개방로 절취선(112)을 따라 절취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로가 개방된다.
이 때, 개방로의 하부에는 개방로 절취선(112)이 형성된 면의 양 측의 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하부절취선(113)이 구비된다. 하부절취선(113)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포리 카테터의 하부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소변백과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하부절취선(113)은 개방로와 함께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으로부터 분리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개방하여 포리 카테터(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 조립체(1)의 사용 과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 조립체(1)는 전개도를 접어 접힘 지지관(100)과 구동 모듈(200), 그리고 여기에 결합되는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를 포함한다.
접힘 지지관(100)은 그 표면에 방수코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접힌 상태에서 포리카테터(10)가 삽입되고 메인 롤러(310)와 서브 롤러(320)를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과 서브 롤러 결합공(124, 144)에, 그리고 메인 롤러 삽입공(214, 215)과 서브 롤러 삽입공(223, 224)에 결합하여 항균 및 밀봉 포장되어 의료진 등에 제공되어진다.
접힘 지지관(100)의 제조현장에서는 전개도를 접어 접힘 지지관(100)을 제조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전개도의 접힘선을 따라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을 접어 사각관 형태의 지지관 형상으로 접는다.
그리고, 각 접착면을 접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 형태의 접힘 지지관(100)을 제조하고, 접힘 지지관(100) 내부에 구동 모듈(200)을 설치한다. 이렇게 제조된 지지관 조립체(1)는 내부에 포리 카테터(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멸균포장되어 의료진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의료진은 포리 카테터(10)를 환자에게 삽입해야할 때, 지지관 조립체(1)의 포장지를 개방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지지관(100)의 개방로 절취선(112)과 하부절취선(113)을 절취함으로써, 접힘 지지관(100)의 하부와 개방로가 외부에 노출된다.
젤 수용 공간(250)의 개구를 통해 젤 수용 공간(250) 내부 공간에 젤을 투입하고, 포리 카테터(10)를 접힘 지지관(1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지지관(1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포리카테터(10)의 삽입꼭지(11)부터 도뇨관(12)과 분기관(14)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의료진이 조작 노브(313)를 정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삽입꼭지(11)가 젤 수용 공간(250)을 경유하여 상측을 향해 이동된다.
이 때, 조작 노브(313)를 정방향으로 조작할 경우 메인 롤러(310)가 메인 롤러 결합공(123, 143) 내부의 안내면(125a, 145a)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조작 노브(313)를 역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외력에 의해 메인 롤러(3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역회전방지돌기(315)가 삽입홈(125b)에 걸려져서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뇨관(12)을 이송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꼭지(11)가 방광에 삽입되면, 제1 분리 절취선(114)과 제2 분리 절취선(115)을 찢고 상기 구동 모듈(200)에서 한쌍의 제3 파트가 서로 멀어지도록 개방하여 포리 카테터(10)를 지지관 조립체(1)로부터 분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힘 지지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접힙 지지관(100)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접힘 지지관은 내부에 주사기(400)가 지지관 조립체(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개방로 절취선(112)이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접힘 지지관(100)의 횡방향(폭방향)으로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1)이 형성되고,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1)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횡방향으로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4)이 형성된다.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1)과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4)이 절취되고,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1)과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4) 사이의 연결 부분들이 접힘 지지관(100) 내측으로 접힘에 따라 주사기(400)의 실린더(410)가 수용되는 실린더 삽입 공간(N)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1)으로부터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4) 방향을 향한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횡방향으로 제1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8)이 형성되고, 제1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8)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횡방향으로 제2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2)이 형성된다. 제1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8)과 제2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2)이 절취되고, 제1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8)과 제2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2) 사이의 연결 부분들이 접힘 지지관(100) 내측으로 접힘에 따라 주사기(400)의 피스톤(420)이 삽입되는 피스톤 삽입 공간(M)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주사기 수용부(160)는 주사기(400)의 실린더(410)가 삽입되는 실린더 삽입 공간(N)과 피스톤(420)이 삽입되는 피스톤 삽입 공간(M)을 형성한다.
실린더 삽입 공간(N)은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1)과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4)이 절취되고,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1)과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4)이 절취되고,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1)과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164) 사이의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의 연결 부분들이 접힘 지지관(100) 내측으로 접힘에 따라 주사기(400)의 실린더(4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피스톤 삽입 공간(M)은 제1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8)과 제2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2)이 절취되고, 제1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8)과 제2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162) 사이의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의 연결 부분들이 접힘 지지관(100) 내측으로 접힘에 따라 주사기(400)의 피스톤(42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플랜지 삽입 절취선(163, 166)은 실린더 삽입 공간(N) 또는 피스톤 삽입 공간(M)의 접힘 지지관(100) 내측으로 접히는 연결 부분들로부터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플랜지 삽입 절취선(163, 166)을 절취함에 따라 주사기(400)의 플랜지(41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주사기(400)가 주사기 결합부(160) 내에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들에는 실린더 삽입 공간(N)에 플랜지 삽입 절취선(163, 166)이 형성되는 모습이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피스톤 삽입 공간(M)에 플랜지 삽입 절취선이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주사기(400)는 유체 공급관(14a)에 결합되어 증류수 등의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체 공급관(14a)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벌룬(13)을 팽창시키게 된다. 벌룬(13) 팽창 과정은, 삽입꼭지(11)가 방광 내에 삽입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벌룬(13)이 팽창됨에 따라 삽입꼭지(11)가 방광 내에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힘 지지관은 별도의 의료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의료용품 수용부를 형성하는 구성들이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의 면 중 하부 절취선(113)보다 하부인 위치에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151)이 구비되고,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151)이 구비된 면과 마주하는 면에 삽입 홈(152)이 형성된다.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151) 중 일부에 절취선이 구비되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가 완료되면,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151)은 접힘 지지관(100)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격벽으로 작용한다.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151)의 절취된 일부가 삽입 홈(152)에 삽입됨으로써, 접힘 지지관(100) 저부부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151)에 이르는 부분까지 의료용품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의료용품 수용 공간에는 소독솜, 젤, 증류수 등의 포리 카테터 시술에 필요한 의료용품 등이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힙 지지관(100)에서는 포리카테터(100)의 후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후진 방지부 구성이 적용된다. 이를 도 5 및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포리카테터(10)의 삽입꼭지(11)가 방광 내로 삽입되고 벌룬(13)이 팽창되어 도뇨관(12)이 방광 내에 삽입된 채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벌룬(13)의 팽창된 직경이 요도의 직경보다 커서 벌룬(13)이 스타퍼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벌룬(13)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 의해 벌룬(13)이 수축되는 경우, 포리 카테터(1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의 면과 병렬 배치되는 후진 방지부를 구성하는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후진 방지부 구성은 의료용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정면(110), 배면(120),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40) 중 어느 하나의 면 중 하부 절취선(113)보다 상부인 위치에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이 구비되고,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이 구비된 면과 마주하는 면에 삽입 홈(172)이 형성된다.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 중 일부에 절취선이 구비되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가 완료되고,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은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의 절취된 일부가 삽입 홈(172)에 삽입됨으로써, 접힘 지지관(100)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격벽으로 작용한다.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이 접힘 지지관(100) 내측 공간을 가로지름에 따라, 포리카테터(10)의 후진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에 의한 포리카테터(10)의 후진이 방지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분기관(14)은 도뇨관(12)의 일 단부에서 유체 주입관(14a)과 배출관(14b)으로 분기되는데, 일 예에서 유체 주입관(14a)은 분기되는 부분에서 일정 경사를 가지며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연장 부분과 연결되며 배출관(14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이 접힘 지지관(100) 내측 공간을 가로지르는 것에 의해, 포리카테터(10)의 분기되는 관(분기관)들이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에 걸림으로써, 포리카테터(10)가 후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시술 이후에는 후진 방지부 형성면(171)을 절취하게 되고, 포리 카테터(10)를 접힘 지지관(100) 내측에서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존의 포리 카테터 지지관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접힘 가능한 재질(종이,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서, 제조 비용 저감이 가능하다.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이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고, 접힘 지지관에 설치됨으로써 지지관 조립체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시술 정확성이 향상된다.
사용 이전에 바닥면과 덮개면에 의해 지지관 조립체의 상부와 저부가 폐쇄된 상태로 의료진에게 제공되고, 피시술자에게 시술되기 직전에 바닥면과 덮개면을 제거하여 사용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멸균 상태가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다.
포리 카테터를 방광 내로 안내하는 이송 롤러의 역회전 방지 구조가 적용되어, 보관시에는 포리카테터가 메인 롤러와 서브 롤러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시술 시에는 피시술자의 신체 내로 삽입된 포리 카테터가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포리 카테터의 후진 이동을 방지하는 후진 방지부 구성이 적용되어, 보관시에는 포리 카테터가 메인 롤러와 서브 롤러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시술 시에는 피시술자의 신체 내로 삽입된 포리 카테터가 후퇴되어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포리 카테터를 방광 내에 삽입하는 시술 과정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의료용품(주사기, 소독솜, 젤, 증류수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의료용품 수용부가 형성되어, 의료 인력이 시술에 필요한 별도의 의료용품을 준비하는 과정 없이 간편하게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지지관 조립체
10: 포리 카테터
11: 삽입꼭지
12: 도뇨관
13: 벌룬
14: 분기관
14a: 유체 주입관
14b: 배출관
14c: 연결관
30: 소변 저장팩
100: 접힘 지지관
110: 정면
111: 접힘선
112: 개방로 절취선
113: 하부절취선
114: 제1 분리 절취선
115: 제2 분리 절취선
116: 젤삽입공 덮개
120: 배면
123: 메인 롤러 결합공
124: 서브 롤러 결합공
125: 요철부
125a: 안내면
125b: 돌기삽입홈
130: 제1 측면
131, 132: 접힘선
140: 제2 측면
141: 덮개면
141a: 덮개 접착면
142a: 바닥 접착면
142: 바닥면
143: 메인 롤러 결합공
143a: 눌림절취선
144: 서브 롤러 결합공
145: 요철부
145a: 안내면
151: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
152: 삽입 홈
160: 주사기 수용부
161: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
162: 제2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
163: 제1 플랜지 삽입 절취선
164: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
166: 제2 플랜지 삽입 절취선
168: 제1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
171: 후진 방지부 형성면
172: 삽입 홈
200: 구동 모듈
210: 제1 파트
211, 212: 측면
213: 연결면
214, 215: 메인 롤러 삽입공
220: 제2 파트
223, 224: 서브 롤러 삽입공
230: 제3 파트
231: 상면
232: 하면
233, 234: 절반 안내 구멍
235, 236: 누출 방지부
237: 결합부
240: 제4 파트
241: 안내 홈
250: 젤 수용 공간
310: 메인 롤러
311: 롤러 본체
313: 조작 노브
315: 역회전 방지 돌기
320: 서브 롤러
400: 주사기
410: 실린더
420: 피스톤
A: 성기
B: 방광
C: 젤
N: 실린더수용공간
M: 피스톤수용공간
10: 포리 카테터
11: 삽입꼭지
12: 도뇨관
13: 벌룬
14: 분기관
14a: 유체 주입관
14b: 배출관
14c: 연결관
30: 소변 저장팩
100: 접힘 지지관
110: 정면
111: 접힘선
112: 개방로 절취선
113: 하부절취선
114: 제1 분리 절취선
115: 제2 분리 절취선
116: 젤삽입공 덮개
120: 배면
123: 메인 롤러 결합공
124: 서브 롤러 결합공
125: 요철부
125a: 안내면
125b: 돌기삽입홈
130: 제1 측면
131, 132: 접힘선
140: 제2 측면
141: 덮개면
141a: 덮개 접착면
142a: 바닥 접착면
142: 바닥면
143: 메인 롤러 결합공
143a: 눌림절취선
144: 서브 롤러 결합공
145: 요철부
145a: 안내면
151: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
152: 삽입 홈
160: 주사기 수용부
161: 제1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
162: 제2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
163: 제1 플랜지 삽입 절취선
164: 제2 실린더 수용부 절취선
166: 제2 플랜지 삽입 절취선
168: 제1 피스톤 수용부 절취선
171: 후진 방지부 형성면
172: 삽입 홈
200: 구동 모듈
210: 제1 파트
211, 212: 측면
213: 연결면
214, 215: 메인 롤러 삽입공
220: 제2 파트
223, 224: 서브 롤러 삽입공
230: 제3 파트
231: 상면
232: 하면
233, 234: 절반 안내 구멍
235, 236: 누출 방지부
237: 결합부
240: 제4 파트
241: 안내 홈
250: 젤 수용 공간
310: 메인 롤러
311: 롤러 본체
313: 조작 노브
315: 역회전 방지 돌기
320: 서브 롤러
400: 주사기
410: 실린더
420: 피스톤
A: 성기
B: 방광
C: 젤
N: 실린더수용공간
M: 피스톤수용공간
Claims (21)
- 포리 카테터 삽입 시 상기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기 위한 지지관에 설치되는 구동 모듈로서,
메인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이 형성된 측면들과, 상기 측면들 사이의 연결면을 포함하는 제1 파트;
상기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과 정렬되는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배치되고, 서브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 롤러 삽입공이 형성된 제2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측면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포리 카테터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이 각각 형성된 제3 파트들; 및
상기 제3 파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배치되는 제4 파트;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롤러 삽입공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서브 롤러 삽입공까지의 거리보다 긴,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롤러 삽입공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서브 롤러 삽입공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포리 카테터의 두께에 대응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 중 어느 하나의 절반 안내 구멍이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과 이격되면서 다른 하나의 절반 안내 구멍이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이 마주하는 방향과, 상기 제3 파트의 한 쌍의 절반 안내 구멍이 마주하는 방향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파트의 측면들과 연결면의 연결부분이 접히면, 상면과 하면,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젤리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3 파트들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접촉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누출 방지부가 형성된,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른 누출 방지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파트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젤리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파트에 상기 포리 카테터의 삽입 방향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이 더 형성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은 상기 하면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보다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은 상기 상면에 형성된 절반 안내 구멍보다 상기 제1 파트의 연결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관으로서,
정면, 배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 배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포리카테터의 유체 공급관이 통과되는 개방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로가 형성된 면에 상기 제3 파트들에 의해 형성된 젤리 수용 공간과 정렬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로가 형성된 면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제1 파트의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과 정렬되는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이 형성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 및 상기 구동 모듈의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을 통과하는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에는 역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롤러 결합공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롤러 삽입공 중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곡률을 가지며 굽어진 제1 요철면; 및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곡률과 다른 제2 곡률을 가지며 굽어진 제2 요철면으로서, 일 지점에서 상기 제1 요철면과 연결되는, 제2 요철면;을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메인 롤러의 제1 방향 회전은 허용하지만,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 회전은 차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로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주사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접힘선 및 절취선들이 형성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로보다 하부에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이 형성되고,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의 반대면에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의 적어도 일부는 절취선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된 상기 의료용품 수용 공간 형성면은 상기 지지관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로 측부에 후진 방지부 형성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의 반대면에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의 적어도 일부는 절취선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된 상기 후진 방지부 형성면은 상기 지지관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2365 WO2024043650A1 (ko) | 2022-08-24 | 2023-08-22 |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06212 | 2022-08-24 | ||
KR1020220106212 | 2022-08-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8253A true KR20240028253A (ko) | 2024-03-05 |
Family
ID=9029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1505A KR20240028253A (ko) | 2022-08-24 | 2022-09-02 |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825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8241B1 (ko) | 2010-07-23 | 2011-08-22 | 정경진 | 포리카테타 삽입을 위한 조립체 |
-
2022
- 2022-09-02 KR KR1020220111505A patent/KR20240028253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8241B1 (ko) | 2010-07-23 | 2011-08-22 | 정경진 | 포리카테타 삽입을 위한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719933C2 (ru) | Мочевой катетер в сборе | |
CA1078694A (en) | Evagination catheters | |
US3908664A (en) | Wound suction tube and retrograde flushing | |
JP4510940B2 (ja) | 即使用可能の泌尿器カテーテル組立体 | |
US5181913A (en) | Catheter with check valve and rolled sheath | |
JP4327592B2 (ja) | カテーテル組立体 | |
ES2133952T5 (es) | Aplicador y procedimientos que permite una introduccion esteril de un cateter medico. | |
JP6649086B2 (ja) | 医学的手技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KR101058241B1 (ko) | 포리카테타 삽입을 위한 조립체 | |
US463781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stinal irrigation | |
JP4738698B2 (ja) | 殺菌医療処置実施及び方法 | |
US7278987B2 (en) | Ergonomic urological catheterization/irrigation tray | |
US4717388A (en) | Bag and valve assembly for medical use | |
US20140316382A1 (en) | Catheter and connector for use with same | |
JP2021521932A (ja) | カテーテル処置用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方法 | |
JPS63288160A (ja) | 体液に接触するのに用いられた器具の殺菌廃棄処分用器具及び殺菌廃棄処分方法 | |
JPH0924105A (ja) | カテーテル延長チューブ | |
JP3766692B2 (ja) | 透析液の排出又は供給チューブへの腹膜カテーテルの無菌状態での接続装置 | |
CN206228749U (zh) | 一种赋形双囊扩裂导管 | |
KR102575643B1 (ko) | 포리카테터 지지용 접힘 지지관 및 접힘 지지관을 포함하는 지지관 조립체 | |
KR20240028253A (ko) |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용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
WO2024097564A2 (en) | Medical device kit with integrated organization and waste disposal features | |
KR20240125222A (ko) | 포리 카테터의 편향 이동을 방지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 |
CN210932995U (zh) | 一种泌尿外科临床用导尿装置 | |
CN100387315C (zh) | 乳腺脓肿微创治疗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