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448A - 치실 홀더 - Google Patents

치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448A
KR20240027448A KR1020220105664A KR20220105664A KR20240027448A KR 20240027448 A KR20240027448 A KR 20240027448A KR 1020220105664 A KR1020220105664 A KR 1020220105664A KR 20220105664 A KR20220105664 A KR 20220105664A KR 20240027448 A KR20240027448 A KR 20240027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handle
holder
horizontal direction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상
손재율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이준상
손재율
이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상, 손재율, 이상석 filed Critical 이준상
Priority to KR102022010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448A/ko
Publication of KR2024002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5Threading or knot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 끝단에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치실 가이드가 정면상 알파벳 " Y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돌기와 상기 손잡이 결합돌기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고 치실이 권취되는 치실 귄취부 및 상기 치실 권취부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치실 마감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실 고정구; 상기 치실 고정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치실 감긴부 및 상기 치실 감긴부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회전 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 작동구; 및 상기 치실 고정구의 반대 측에 위치한 손잡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회전 작동구의 회전축과 결합되고 연동작동하는 축 결합홈이 형성되는 축 결합부와 상기 축 결합홈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치실이 감기는 치실 회수홈 및 상기 치실 회수홈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실 회수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실 홀더{FLOSS HOLDER}
본 발명은 치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치실 교체 및 치실 장력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치실은 치아의 세정과 함께 치아 사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청결용 기구로써, 치과병원에서 환자의 치아치료시 사용되거나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식사 후에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각종 치아관련 질환을 예방하여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치질을 통해 애초 치아로부터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면 되지만 양치질만으로는 찌꺼지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치실이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실은 치실권취기(미도시)를 통해 권취되어 제공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용 치실홀더를 통해 제공된다. 치실권취기를 통해 제공된 치실은 치실을 풀어내야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야기될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치실을 파지해야하는 점에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1회용 치실홀더(10)를 통해 제공된 치실(12)은 1회용 치실홀더(10)의 선단부 양측에 고정된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치실(12)의 장력이 팽팽하지 못하거나 치실홀더(10) 선단부 양측에 고정된 치실(12)을 한번 사용한 후 다시 사용하기엔 위생적이지 못해 전체 1회용치실홀더(10)와 고정된 치실(12)을 버리고 다시 새로운 1회용 치실홀더를 사용해야 하는 바, 종래의 1회용 치실홀더(10)는 과도한 남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1회용 치실홀더(10)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남용될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1회용 치실홀더(10)는 치실(12)이 거치된 헤드부(11)가 굽힙없이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곡률진 구강구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치실 사용이 불편하고, 이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물론, 종래에도 1회용 치실홀더(10)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치실 교체가 가능한 방식의 치실홀더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치실홀더는 사용자가 치실홀더의 선단부 양측에 치실을 감은 후, 치실홀더의 중앙에 치실의 단부를 고정해야함으로써, 이러한 일련의 치실 고정 작업은 치실홀더 사용을 불편하게할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치실 고정 숙련도 및 컨디션에 따라 치실 장력이 팽팽하게 제공되기 어려우며, 치실 고정시에 사용자의 손과 치실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공고 제20-04039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회전 작동구의 조작에 따라 치실 교체, 치실 장력 조절 등이 용이하도록 한 치실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치실 회수구를 구성하는 마감 단턱부는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마감 단턱부의 상부에는 래칫을 장착하여, 치실 회수구에 권취된 치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실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치실 홀더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 끝단에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치실 가이드가 정면상 알파벳 " Y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돌기와 상기 손잡이 결합돌기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고 치실이 권취되는 치실 귄취부 및 상기 치실 권취부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치실 마감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실 고정구; 상기 치실 고정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치실 감긴부 및 상기 치실 감긴부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회전 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 작동구; 및 상기 치실 고정구의 반대 측에 위치한 손잡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회전 작동구의 회전축과 결합되고 연동작동하는 축 결합홈이 형성되는 축 결합부와 상기 축 결합홈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치실이 감기는 치실 회수홈 및 상기 치실 회수홈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실 회수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몸체를 구성하는 치실 가이드의 외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치실 가이드의 끝단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면서 외면 중앙에 개방홈이 형성되는 치실 지지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실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개방홈으로 복수개의 미세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몸체를 구성하는 치실 가이드의 외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치실 가이드의 끝단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면서 하부 중앙에 개방홈이 형성되는 치실 지지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실 회수구의 마감 단턱부는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감 단턱부의 상부에 위치한 홀더 몸체의 손잡이에는 상기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와 치합되는 래칫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실 홀더는 사용자의 회전 작동구의 조작에 따라 치실 교체, 치실 장력 조절 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치실 홀더는 치실 회수구를 구성하는 마감 단턱부는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마감 단턱부의 상부에는 래칫을 장착하여, 치실 회수구에 권취된 치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한 치실의 회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실 홀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나타낸 배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측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구성하는 홀더 몸체의 치실 가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구성하는 치실 고정구, 회전 작동구, 치실 회수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치실 홀더(100)는 홀더 몸체(200), 치실 고정구(300), 회전 작동구(400), 치실 회수구(500)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몸체(2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 몸체(2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10)와 상기 손잡이(210)의 상부 끝단에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치실 가이드(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홀더 몸체(20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손잡이(210)와 한 쌍의 치실 가이드(220)가 정면상 알파벳 " Y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더 몸체(200)를 구성하는 손잡이(210)의 형상은 직선 형상뿐만 아니라 파지가 용이하도록 양측 또는 일측이 곡면지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치실 가이드(220)는 치실(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정면상 곡면 또는 반원형 또는 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실 가이드(220)의 끝단(222)에는 도시된 도 7 및 8과 같은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7의 치실 가이드(220)는 끝단(222)에 치실(10)의 고정 및 지지 등을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치실 지지부재(230a)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치실 지지부재(230a)는 치실(10)의 각도 변화가 있는 치실 가이드(220)의 끝단에 장착되고, 외면 중앙에는 치실(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개방홈(232a)이 함몰형성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치실 지지부재(230a)는 치실 가이드(220)의 끝단(222)에 끼움 장착되면서 외면 중앙에 형성되는 개방홈(232a)을 통해 치실(10)을 지지하면서도 치실(1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치실 가이드(220)의 개방홈(232a)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미세돌기(240)가 형성되어, 상기 치실 회수구(500)로 이동하는 치실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실(10)을 지지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8의 치실 가이드(220)는 끝단(222)에 치실(10)의 고정 및 지지 등을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치실 지지부재(230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치실 지지부재(230b)는 치실(10)의 각도 변화가 있는 치실 가이드(220)의 끝단에 장착되고, 하부 중앙에서 상부에는 치실(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개방홈(232b)이 형성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치실 지지부재(230b)는 치실 가이드(220)의 끝단(222)에 끼움 장착되면서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개방홈(232b)을 통해 치실(10)을 지지하면서도 치실(1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치실 가이드(220)의 끝단에는 치실(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이동롤러(26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치실 고정구(300)는 홀더 몸체(2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 고정구(300)는 홀더 몸체(200)를 구성하는 손잡이(210)에 결합되어 치실(10)을 권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치실 고정구(300)는 손잡이(210)의 고정구 결합홈(212)에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돌기(310)와 상기 손잡이 결합돌기(310)의 지름이나 직경보다 크게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치실(10)이 권취되는 치실 권취부(320) 및 상기 치실 권취부(320)의 지름이나 직경보다 크게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실 마감부(3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치실 고정구(300)는 손잡이 결합돌기(310)와 치실 권취부(320) 및 치실 마감부(330)가 일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치실 고정구(300)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결합돌기(310)를 통해 상기 손잡이(210)의 고정구 결합홈(212)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치실 마감부(330)의 반대 측에는 상기 손잡이 결합돌기(310)와 결합되는 돌기 결합부(340)가 결합됨은 당연한 것이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치실 고정구(300)는 회전 작동구(400)의 작동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치실 마감부(330)와 돌기 결합부(340)를 홀더 몸체(200)의 손잡이(210)에 결합한 것이다.
상기 회전 작동구(400)는 홀더 몸체(2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작동구(400)는 홀더 몸체(200)에 결합된 치실 고정구(300)의 상부에 위치한 손잡이(2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작동구(400)는 손잡이(210)의 작동구 결합공(214)에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410)과 상기 회전축(410)의 지름이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치실(10)이 감기는 치실 통과부(420) 및 상기 치실 통과부(420)의 지름이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회전 작동부(4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 작동구(400)는 회전축(410)과 치실 통과부(420) 및 회전 작동부(430)가 일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 작동부(430)의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축(410)을 통해 상기 손잡이(210)의 작동구 결합공(214)에 결합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회전 회전 작동구(400)는 치실 고정구(300)에 고정되는 치실(10)을 회전작동을 통해 상기 치실 통과부(420)를 거쳐 치실 회수구(500)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치실 회수구(500)는 회전 작동구(4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 회수구(500)는 치실 고정구(300)의 반대 측에 위치한 손잡이(200)에 위치하면서 회전 작동구(400)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치실 회수구(500)는 회전 작동구(400)의 회전축(410)에 끼움 결합되는 축 결합홈(520)이 형성되는 축 결합부(510)와 상기 축 결합부(51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치실(10)이 감기는 치실 회수홈(530) 및 상기 치실 회수홈(53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5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치실 회수구(500)는 회전 작동구(400)의 회전축(410)에 결합되는 축 결합부(510)를 통해 상기 회전 작동구(400)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하여, 상기 홀더 몸체(200)의 치실 가이드(220)를 통과한 치실(10)를 회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작동구(400)의 회전축(410)과 상기 치실 회수구(500)를 구성하는 축 결합부(510)의 축 결합홈(520)은 원활한 회전작동을 위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치실 홀더(100)는 도시된 도 2 내지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치실 홀더(100)는 치실(10)이 감기는 치실 회수구(500)를 변형하여, 상기 치실(10)을 용이하게 회수하면서도 상기 치실 회수구(500)에 감긴 치실(1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치실 회수구(500)의 마감 단턱부(540)는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감 단턱부(540)의 상부에 위치한 홀더 몸체(200)의 손잡이(210)에는 상기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540)와 치합되는 래칫(55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치실 회수구(500)는 회전 작동구(40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상기 치실 회수홈(530)을 통해 치실을 회수하면서도 래칫기어 마감 단턱부(54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치실 홀더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10)와 상기 손잡이(210)의 상부 끝단에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치실 가이드(220)가 정면상 알파벳 " Y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몸체(2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치실 가이드(220)는 치실(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곡면지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0)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구 결합홈(212)에 손잡이 결합돌기(310)와 상기 손잡이 결합돌기(310)의 지름이나 직경보다 크게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치실(10)이 권취되는 치실 권취부(320) 및 상기 치실 권취부(320)의 지름이나 직경보다 크게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실 마감부(330)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실 고정구(30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치실 고정구(300)의 상부에 위치한 홀더 몸체(200)를 구성하는 손잡이(210)의 작동구 결합공(214)으로 회전축(410)과 상기 회전축(410)의 지름이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치실(10)이 감기는 치실 통과부(420) 및 상기 치실 통과부(420)의 지름이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회전 작동부(430)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 작동구(400)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작동구(400)의 반대측에 위치한 홀더 몸체(200)의 손잡이(210)에 회전 작동구(400)의 회전축(410)에 끼움 결합되는 축 결합홈(520)이 형성되는 축 결합부(510)와 상기 축 결합부(51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치실(10)이 감기는 치실 회수홈(530) 및 상기 치실 회수홈(53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540)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실 회수구(50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치실 회수구(500)의 마감 단턱부(540)는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치실 회수구(500)의 상부로 상기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540)와 치합되는 래칫(550)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면, 치실 홀더(100)의 결합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치실 홀더의 조립과정은 상기와 상이하게 진행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치실 홀더(100)에 치실(10)을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치실(10)의 일 측 끝단을 상기 치실 고정구(300)의 치실 권취부(320)에 귄취시킨 후 상기 치실(10)의 반대 측 끝단을 상기 회전 작동구(400)의 치실 통과부(420)에 적어도 한 바퀴 이상 권취시킨다.
이후, 상기 치실(10)의 끝단을 상기 홀더 몸체(200)를 구성하는 치실 가이드(220)의 외면을 따라 걸친 후 상기 치실 회수구(500)의 치실 회수홈(530)에 결합하면, 상기 치실 홀더(100)에 치실(10)을 고정하는 작업은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치실(10)이 권취된 치실 홀더(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홀더 몸체(200)의 손잡이(210)를 파지한 후, 상기 치실 가이드(220)와 치실 가이드(220)의 사이에 위치한 치실(10)을 활용하여 사용한 다음, 상기 치실(10)의 위치를 변경하면 된다.
이때, 상기 치실(10)의 위치 변경은 상기 회전 작동구(400)의 회전 작동부(430)를 회전작동시키면, 상기 치실 고정구(300)를 구성하는 치실 권취부(320)의 치실(10)은 회전 작동구(400)의 작동에 따라 치실 가이드(220)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치실 회수구(500)도 연동작동하여 상기 치실 회수홈(530)으로 사용된 치실(10)을 권취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치실
100 : 치실 홀더
200 : 홀더 몸체 210 : 손잡이
212 : 고정구 결합홈 214 : 작동구 결합공
220 : 치실 가이드 222 : 끝단
230 : 치실 지지부재
300 : 치실 고정구 310 : 손잡이 결합돌기
320 : 치실 권취부 330 : 치실 마감부
400 : 회전 작동구 410 : 회전축
420 : 치실 통과부 430 : 회전 작동부
500 : 치실 회수구 510 : 축 결합부
520 : 축 결합홈 530 : 치실 회수홈
540 : 마감 단턱부

Claims (5)

  1. 치실 홀더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 끝단에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치실 가이드가 정면상 알파벳 " Y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돌기와 상기 손잡이 결합돌기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고 치실이 권취되는 치실 귄취부 및 상기 치실 권취부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치실 마감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실 고정구;
    상기 치실 고정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치실 감긴부 및 상기 치실 감긴부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회전 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 작동구; 및
    상기 치실 고정구의 반대 측에 위치한 손잡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회전 작동구의 회전축과 결합되고 연동작동하는 축 결합홈이 형성되는 축 결합부와 상기 축 결합홈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치실이 감기는 치실 회수홈 및 상기 치실 회수홈의 외측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치실 회수구;를 포함하는 치실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를 구성하는 치실 가이드의 외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치실 가이드의 끝단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면서 외면 중앙에 개방홈이 형성되는 치실 지지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치실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개방홈으로 복수개의 미세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를 구성하는 치실 가이드의 외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치실 가이드의 끝단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면서 하부 중앙에 개방홈이 형성되는 치실 지지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실 회수구의 마감 단턱부는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감 단턱부의 상부에 위치한 홀더 몸체의 손잡이에는 상기 래칫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 단턱부와 치합되는 래칫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KR1020220105664A 2022-08-23 2022-08-23 치실 홀더 KR20240027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64A KR20240027448A (ko) 2022-08-23 2022-08-23 치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64A KR20240027448A (ko) 2022-08-23 2022-08-23 치실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448A true KR20240027448A (ko) 2024-03-04

Family

ID=9029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664A KR20240027448A (ko) 2022-08-23 2022-08-23 치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4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2Y1 (ko) 2005-09-26 2005-12-14 김종대 치실 겸용 이쑤시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2Y1 (ko) 2005-09-26 2005-12-14 김종대 치실 겸용 이쑤시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331A (en) Automatic locking and adjustable tension controlled dental flosser
US5823207A (en) Dental floss apparatus with improved mechanism for collecting spent floss and with improved tip structure, and method of use
US8714165B2 (en) Dental care device
US3534745A (en) Dental tape holder for power driven tooth cleaning devices
US20100139689A1 (en) Electrically powered dental flossing device with sanitary and disposable floss containing unit
JPH04218152A (ja) デンタルフロスを保持し使用するための装置
US10039624B2 (en) Dental floss device
JP6608968B2 (ja) 張力を調節可能な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AU744542B2 (en) A toothbrush
JP6511579B1 (ja) 自動歯磨き装置
US6497237B1 (en) Dental flossing system
KR20240027448A (ko) 치실 홀더
EP3698753B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JP2006204556A (ja) デンタルフロスケース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JP2011160839A (ja) 口腔用清浄具
CN216019690U (zh) 一种刷头和钛刷
KR20180040801A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JP3918092B2 (ja) チューブポンプ
KR200482253Y1 (ko) 길이확인이 가능한 치실이 구비된 치실공급기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CN220735537U (zh) 一种自带旋转镜的牙线
WO2002028310A1 (en) A flossing apparatus
KR20180119325A (ko) 칫솔
JP2002291766A (ja) 医療用長尺材収納ケー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