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894A - 시린지 - Google Patents

시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894A
KR20240026894A KR1020237039492A KR20237039492A KR20240026894A KR 20240026894 A KR20240026894 A KR 20240026894A KR 1020237039492 A KR1020237039492 A KR 1020237039492A KR 20237039492 A KR20237039492 A KR 20237039492A KR 20240026894 A KR20240026894 A KR 20240026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tate
barrel
locking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히로 오가와
히데나리 니시쿠라
겐스케 다니구치
유키 가타기리
아야코 사사키
다카시 오가미
유타로 나카쿠보
Original Assignee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8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9Dose expelling manners
    • A61M5/31593Multi-dose, i.e. individually set dose repeatedly administered from the same medicament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61M2005/3139Finger grip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syringe barrel, e.g. using adapter with finge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30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unwanted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배럴(barrel)과, 로드(rod)와, 배럴측 부재와, 로드에 대하여 장착되고, 제1 상태와 제1 상태에 대하여 기단측(基端側)에 위치하는 제2 상태를 이동 가능한 로드측 부재와, 로드측 부재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 쪽으로 이동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로드측 부재는, 제1 상태에서 로드에 걸리는 걸림부와, 제1 상태에서 로드에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며, 걸림부와 다른 제1 압당부와, 제2 상태에서 로드에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며, 걸림부와 다른 제2 압당부를 구비하고, 로드는, 제1 걸림부와, 제1 피압당부와, 제2 피압당부를 구비하고, 배럴측 부재는, 제1 상태에서, 로드가 배럴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상태에서, 걸림부와 제1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 해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린지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원은, 일본특허출원 2021-10772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는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충전한 약액을 비공(鼻孔) 내나 구강(口腔) 내에 투여할 수 있는 시린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의 비공 내나 구강 내에 약액을 분할하여 투여하는 용기로서, 약액을 양쪽의 비공 내에 분할하여 분사할 수 있는 비강 투여 용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비강 투여 용기(1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액이 충전되는 배럴(101)과, 배럴(101)에 삽입 가능한 플런저(plunger)(102)를 구비한다. 또한, 비강 투여 용기(100)는, 플런저(102)에 삽입 가능한 플런저 로드(103)와, 플런저(102) 내에 있어서 플런저 로드(103)의 전단(前端)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105)를 구비한다. 배럴(101)의 내주면에는, 돌출부(1016)가 돌설(突設)되어 있다. 플런저(102)은, 제1 장공부(長孔部)(1026)와, 제2 장공부(1028)를 가진다. 플런저 로드(103)는, 판스프링부(1030L)와, 플런저 로드(103)의 후단에 위치하는 압압부(押壓部)(1034)를 가진다. 또한, 플런저 로드(103)는, 판스프링부(1030L)에 각각 설치된 제1 걸림부(1036) 및 제2 걸림부(1038)를 가진다.
비강 투여 용기(100)를 사용하여 약액을 투여할 때에는, 비강 투여 용기(100)는, 제1 투여 개시 상태(도 10), 제1 투여 완료 상태(도 11), 압압 개방 상태(도 12), 제2 투여 개시 상태(도 13), 및 제2 투여 완료 상태(도 14)의 각 상태로 순차적으로 이행(移行)한다.
제1 투여 개시 상태(도 10)에서는, 플런저 로드(103)의 제2 걸림부(1038)가, 탄성 부재(105)의 부세력에 의해, 플런저(102)의 제1 장공부(1026)에 걸리고 있다. 이 때, 탄성 부재(105)는, 압축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 로드(103)의 제1 걸림부(1036)는, 제1 장공부(1026)를 통하여 통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1 걸림부(1036)의 전단부(1036a)와, 돌출부(1016a)는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압압부(1034)을 화살표(AR2)로 나타낸 방향으로 가압하면, 플런저(102)의 타단(1020b)이, 압압부(1034)의 표면(1034a)에 압압된다. 이로써, 플런저(102), 플런저 로드(103) 및 탄성 부재(105)는 일체로 되어 배럴(101)에 대하여 전진하고, 약액이 분출된다.
압압부(1034)가 압압됨에 따라서, 제1 걸림부(1036)는, 돌출부(1016a)를 향하여 전진하고, 그 후, 돌출부(1016a)와 맞닿는다. 압압부(1034)가 더욱 압압됨에 따라서, 돌출부(1016a)는, 제1 걸림부(1036)를 변위시킨다. 이 때, 판스프링부(1030L)는, 타단(1030b)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방향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휘게 된다. 또한, 제1 걸림부(1036)의 변위에 추종하여, 제2 걸림부(1038)도 동일 방향을 향하여 변위한다. 이로써, 제2 걸림부(1038)의 제1 장공부(1026)로의 걸림 상태는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비강 투여 용기(100)는, 제1 투여 개시 상태로부터 제1 투여 완료 상태(도 11)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압압부(1034)에 대한 압압을 개방 하면, 비강 투여 용기(100)는, 제1 투여 완료 상태로부터 압압 개방 상태(도 12)로 이행한다. 이로써, 플런저 로드(103)는, 탄성 부재(105)의 복원력에 의해 화살표(AR4)로 나타낸 방향으로 후퇴하고, 비강 투여 용기(100)는, 압압 개방 상태로부터 제2 투여 개시 상태(도 13)로 이행한다.
제2 투여 개시 상태에서는, 플런저 로드(103)의 제2 걸림부(1038)는, 탄성 부재(105)의 부세력에 의해, 플런저(102)의 제2 장공부(1028)에 걸리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압압부(1034)에 대한 압압을 재개하면, 플런저(102), 플런저 로드(103) 및 탄성 부재(105)는 일체로 되고, 배럴(101)에 대하여 전진하고, 약액이 분출된다. 이로써, 비강 투여 용기(100)는, 제2 투여 개시 상태로부터 제2 투여 완료 상태(도 14)로 이행한다.
일본특허 제5786852호 공보
상기 비강 투여 용기(100)에 있어서, 제1 투여 개시 상태(도 10)에서는, 제2 걸림부(1038)가 제1 장공부(1026)에 걸리고 있고, 제2 투여 개시 상태(도 13)에서는, 제2 걸림부(1038)가 제2 장공부(1028)에 걸리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1038)는, 판스프링부(1030L)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 상태에 있어서, 판스프링부(1030L)가 휘게 되면, 이 걸림이 해제된다. 그 결과, 플런저 로드(103)를 압압해도 플런저(102)이 전진하지 않게 되어, 약액(내용물)을 투여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분할하여 2회 투여 가능한 시린지로서, 확실하게 2회 투여가 가능한 시린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린지는, 내용물을 분할하여 투여하기 위한 시린지로서, 축 방향의 선단부 및 기단부를 가지고, 상기 선단부로부터 내용물을 토출 가능한 배럴과, 상기 배럴 내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선단측에 압입 가능한 로드와, 상기 배럴에 대하여 장착되는 배럴측 부재와, 상기 로드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걸린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2 상태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로드측 부재와, 상기 로드와 상기 로드측 부재에 걸려서, 상기 로드측 부재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 쪽으로 이동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측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에서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며, 상기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1 압당부(押當部)와,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며, 상기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2 압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당부가 가압되는 제1 피압당부와,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당부가 가압되는 제2 피압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럴측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상기 배럴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 해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시린지에서는, 상기 배럴은, 배럴 본체와, 상기 배럴 본체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럴측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에 외측로부터 끼워져 상기 배럴에 장착되고, 상기 로드는, 로드 본체와, 상기 로드 본체에 설치된 부재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측 부재는, 상기 부재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시린지에서는, 상기 제2 압당부는,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설치된 압당면부로서,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압당면을 가지는 압당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피압당부는, 축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피압당면을 가지는 피압당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압당면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피압당면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에서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유지되어도 된다.
도 1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의 제1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상기 시린지의 제1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c는, 상기 시린지의 제1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상기 시린지의 제1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시린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상기 시린지의 규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시린지의 규제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c는, 상기 시린지의 규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3d는, 상기 시린지의 규제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시린지의 규제 상태 직전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시린지의 규제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상기 시린지의 제2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상기 시린지의 제2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c는, 상기 시린지의 제2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5d는, 상기 시린지의 제2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a는, 상기 시린지의 완료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시린지의 완료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c는, 상기 시린지의 완료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6d는, 상기 시린지의 완료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의 제1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시린지의 제2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비강 투여 용기의 준비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비강 투여 용기의 제1 투여 개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비강 투여 용기의 제1 투여 완료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비강 투여 용기의 압압 개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비강 투여 용기의 제2 투여 개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은, 상기 비강 투여 용기의 제2 투여 완료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에 대하여, 도 1a∼도 6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시린지(1)는, 도 1a∼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을 분할하여 투여하기 위한 시린지이다. 구체적으로, 시린지(1)는, 안개 상태의 약액을 양쪽의 비공 내에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는 비강 투여 용기이다. 이 시린지(1)는, 약액을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하지만, 약액을 3회 이상의 복수 회로 분할하여 투여해도 된다. 약액은, 액상(液狀)의 약액이며, 예를 들면, 인플루엔자 백신이다. 시린지(1)의 형상은, 대략 원통형이다.
또한, 시린지(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방향의 선단부(20) 및 기단부(21)를 가지고, 선단부(20)로부터 내용물을 토출 가능한 배럴(2)과, 배럴(2) 내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선단측에 압입 가능한 로드(3)를 구비한다. 시린지(1)는, 배럴(2)에 대하여 장착되는 배럴측 부재(4)와, 로드(3)에 대하여 장착되고,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걸린 제1 상태와, 제1 상태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2 상태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로드측 부재(5)를 구비한다. 또한, 시린지(1)는, 로드(3)와 로드측 부재(5)에 걸려서, 로드측 부재(5)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 쪽으로 이동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6)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는, 분사 노즐(7)을 구비한다. 또한, 시린지(1)는, 초회의 내용물의 토출 후이며 로드(3)가 제2 상태로 되기 전에 로드측 부재(5)가 선단측에 압입되는 것을 규제하는 압입 규제 기구(機構)(8)를 구비한다(도 3a 및 도 3b 참조).
그리고, 시린지(1)에 있어서, 배럴(2)의 선단부(20)의 배치되는 측(도 1a∼도 1d, 도 3a∼도 6d에서의 하측)이 「선단측」이며, 배럴(2)의 기단부(21)의 배치되는 측(도 1a∼도 1d, 도 3a∼도 6d에서의 상측)이 「기단측」이다. 또한, 시린지(1)의 「축 방향」은 시린지(1)의 통축 방향이다. 또한, 시린지(1)의 직경 방향을 간단히 「직경 방향」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시린지(1)를 사용할 때는, 로드(3)가 기단측에 올라간 제1 상태(도 1a∼도 1d 참조)로부터, 로드(3)를 선단측에 압입하여 초회의 약액 분무를 행하여 규제 상태로 한다(도 3a∼도 3d 참조). 다음으로, 로드(3)가 기단측에 오른 제2 상태를 거친 후에(도 5a∼도 5d 참조), 로드(3)를 더욱 압입하여 2회째의 약액 분무를 행하고 완료 상태로 한다(도 6a∼도 6d 참조).
이하, 시린지(1)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럴(2)은, 내부에 약액을 수용하는 부재이다(도 2 참조).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배럴(2)은, 배럴 본체(22)와, 배럴 본체(22)에 설치된 플랜지부(23)를 구비한다.
배럴 본체(22)는, 통형의 부위이다. 이 배럴(2)에서는, 배럴 본체(22)의 선단부인 본체 선단부(220)가, 배럴(2)의 선단부(20)를 구성하고, 배럴 본체(22)의 기단부인 본체 기단부(221)는, 배럴(2)의 기단부(21)를 구성한다. 배럴 본체(22)는, 본체 선단부(220) 및 본체 기단부(221) 뿐만 아니라, 본체 선단부(220)와 본체 기단부(221)를 접속하는 통형의 본체 접속부(222)를 구비한다.
플랜지부(23)는, 예를 들면, 기단부(21)의 통축 방향에서의 일단의 외주 전체 주위로부터 외측(배럴 본체(22)의 직경 외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즉, 플랜지부(23)는, 통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환형(예를 들면, 원환형)이다.
본체 선단부(220)의 외경은, 본체 접속부(222)의 외경보다 작다. 본체 접속부(222)의 외경은, 통축 방향에서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거의 동일하다.
배럴(2)은, 예를 들면, 투명하며, 또한 약액을 투여할 때 걸리는 내압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배럴(2)의 재질은, 노르보르넨 등의 환형 올레핀을 반복단위에 포함하는 수지나 유리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럴(2)의 재질은, 환형 올레핀에 의한 단독 중합체인 COP(시클로올레핀 폴리머)나 환형 올레핀과 에틸렌 등의 공중합체인 COC(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등의 투명한 수지나, 유리 등이다.
로드측 부재(5)는, 배럴(2) 내의 내용물을 토출할 때 조작되는 부재이다. 로드측 부재(5)의 외관은, 예를 들면, 대략 원통형이다. 로드측 부재(5)는, 걸림부(50)와, 제1 압당부(51)와, 제2 압당부(52)를 구비한다(도 1a∼도 1d 참조).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로드측 부재(5)는,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한 제3 압당부(53)를 구비한다.
또한, 로드측 부재(5)는, 천정판부(54)와, 천정판부(54)로부터 선단 측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55)를 구비한다. 또한, 로드측 부재(5)는, 걸림부(50)를 직경 외측으로부터 덮는 연출부(56)를 구비한다. 로드측 부재(5)는, 압입 규제 기구(8)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입 맞닿음부(57)를 구비한다.
천정판부(54)는, 직경 방향을 따른 평판 형상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판형상이다. 또한, 천정판부(54)는, 배럴(2) 내의 내용물을 토출할 때, 시린지(1)의 사용자에 의해 선단 측으로 가압된다. 또한, 천정판부(54)의 외주 부위(540)는, R면이 되어 있지만, C면이라도 된다.
스커트부(55)는, 천정판부(54)의 외주 부위(540)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부(55)는, 천정판부(54)의 외주 전체 주위를 따라 연속되어 있고, 예를 들면, 원통형이다.
걸림부(50)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에서 걸린다(도 1a 및 도 1b 참조). 또한, 걸림부(50)는, 로드(3)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부(50)는, 예를 들면, 로드(3)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50)는, 천정판부(54)의 외주 부위(540)보다 내측의 부위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50)는,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걸림 탄성부(500)와, 걸림 탄성부(500)에 설치되고,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501)을 구비한다.
걸림 탄성부(500)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예를 들면, 장척(長尺) 판형)의 부재이다. 또한, 걸림 탄성부(500)는, 천정판부(54)의 외주 부위(540)보다 내측의 부위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걸림편(501)은, 걸림 탄성부(500)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편(501)은, 축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걸림면(502)을 가진다. 또한, 걸림편(50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면인 외측면(506)은, 기단측을 향한 제1 외측면(503)과, 선단측을 향한 제2 외측면(504)을 가진다. 또한, 외측면(506)은, 제1 외측면(503)과 제2 외측면(504)을 접속하는 제3 외측면(505)을 가진다.
제1 외측면(503)은, 축 방향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1 외측면(503)은, 기단측의 부위일수록 직경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 걸림편(501)에서는, 걸림면(502)의 직경 외측 단부로부터 제1 외측면(503)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1 외측면(503)은, 제3 외측면(505)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외측면(504)은, 축 방향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외측면(504)은, 기단측의 부위일수록 직경 외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제2 외측면(504)은, 제3 외측면(505)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외측면(505)은,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3 외측면(505)은, 제1 외측면(50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압당부(51)는, 예를 들면, 천정판부(54)(구체적으로는, 천정판부(54)의 외주 부위(540)보다 직경 내측의 부위)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1c 및 도 1d 참조). 또한, 제1 압당부(51)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다. 제1 압당부(51)는, 걸림부(50)와는 다른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제1 압당부(51)는, 천정판부(54)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연출부(510)와, 연출부(510)에 설치되고,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제1 압당면(511)을 가지는 제1 압당면부(512)를 구비한다.
제2 압당부(52)는, 도 5c 및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커트부(55)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제2 압당부(52)는, 로드(3)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제2 압당부(5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걸림부(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압당부(5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각각의 걸림부(50)와 등 간격을 둔 상태에서, 한 쌍의 걸림부(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로드측 부재(5)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걸림부(50)와, 주위 방향에서 이웃하는 걸림부(5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압당부(52)를 구비한다. 제2 압당부(52)는,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다. 제2 압당부(52)는, 걸림부(50)와는 다른 부분이다. 또한, 제2 압당부(52)는, 직경 외측으로부터 직경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제2 압당부(52)는,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520)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압당부(52)는, 탄성부(520)에 설치되고,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압당면으로서의 제2 압당면(521)을 가지는 압당면부로서의 제2 압당면부(522)를 구비한다.
탄성부(520)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예를 들면, 장척 판형)의 부재이다. 또한, 탄성부(520)는, 천정판부(54)의 외주 부위(540)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2 압당면(521)은, 로드측 부재(5)의 내주로부터 직경 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면이다.
제2 압당면부(522)는, 탄성부(520)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제2 압당면부(522)의 내주면(523)은, 제2 압당면(521) 뿐만 아니라,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기단측 내주면(524)을 가진다. 내주면(523)은,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2 압당면(521)과 기단측 내주면(524)을 접속하는 접속 내주면(525)을 가진다.
제3 압당부(53)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천정판부(54)(구체적으로는, 천정판부(54)의 외주 부위(540)보다 직경 내측의 부위)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제3 압당부(53)는,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제3 압당면(530)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걸림부(50)가 제3 압당부(53)를 겸하고 있지만, 제3 압당부(53)는 로드측 부재(5)에서의 걸림부(50)와 다른 부분이라도 된다.
압입 규제 기구(8)를 구성하는 압입 맞닿음부(57)는, 도 3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판부(54)(구체적으로는, 천정판부(54)의 외주 부위(540))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압입 맞닿음부(57)는,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압입 맞닿음면(570)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압입 맞닿음면(570)은, 주위 방향에서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전체 주위에 있어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로드(3)는, 배럴(2) 내의 내용물을 토출할 때, 로드측 부재(5)와 함께 이동하는 부재이다. 또한, 로드(3)는, 축 형상을 가진다.
로드(3)는, 제1 걸림부(30)와, 제1 피압당부(31)와, 제2 피압당부(32)를 구비한다(도 1a∼도 1d, 및 도 3c, 도 3d 참조). 또한, 로드(3)는, 제3 피압당부(33)를 구비한다. 또한, 로드(3)는, 제2 걸림부(34)를 구비한다(도 5a 및 도 5b 참조).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로드(3)는, 로드 본체(35)와, 로드 본체(35)에 설치된 부재 장착부(36)를 구비한다(도 2 참조). 또한, 로드(3)는, 로드 본체(35)에 설치된 피스톤(37)을 구비한다. 로드(3)에서는, 로드 본체(35)의 기단부에, 부재 장착부(36)가 설치되고, 로드 본체(35)의 선단부에 피스톤(37)이 설치되어 있다. 로드(3)는, 부재 장착부(36)가 기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피스톤(37)이 선단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배럴(2) 내에 삽입된다.
이 로드(3)에서는, 부재 장착부(36)와 로드 본체(35)와 피스톤(37)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축 방향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이 로드(3)에서는, 로드 본체(35)와 부재 장착부(36)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로드 본체(35)와 피스톤(37)은 별개의 부재이며, 이들 부재를 접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 본체(35), 부재 장착부(36) 및 피스톤(37) 중 적어도 2개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모두 별개의 부재라도 된다.
로드 본체(35)는, 축형의 부위이다. 로드(3)는, 축부(軸部)(350)와, 축부(350)로부터 로드(3)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축압(축압) 볼록부(351)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축압 볼록부(351)는, 기단측에 배치된 복수(예를 들면, 2개)의 기단측 축압 볼록부(351a)와, 선단측에 배치된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선단측 축압 볼록부(351b)를 포함한다. 이 로드(3)에서는, 복수의 기단측 축압 볼록부(351a)는, 로드(3)의 주위 방향으로 등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선단측 축압 볼록부(351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로드(3)의 주위 방향으로 등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부재 장착부(36)에는, 로드측 부재(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부재 장착부(36)는, 예를 들면,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폭이 기단측일수록 넓어지는 확폭부(擴幅部)(360)를 가진다. 부재 장착부(36)에는, 직경 방향의 중앙부에 축 방향을 따른 삽통공(揷通孔)(361)이 형성되어 있다(도 1a 참조). 이 삽통공(361)에, 로드측 부재(5)의 한 쌍의 걸림부(50)가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37)은, 배럴(2)의 선단부(20)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내면(200)과 맞닿음 가능한 부재이다. 또한, 피스톤(37)은, 배럴(2)의 본체 접속부(222)의 내주면 전체 주위에 걸쳐 밀접(密接)한다. 본 실시형태의 피스톤(37)의 선단면(370)은, 도 6a∼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액의 투여 완료 시(구체적으로는, 약액의 2회째 토출 후)에, 배럴(2)의 선단부(20)의 내면(200)과 맞닿는다.
제1 걸림부(30)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가 걸린다(도 1a 및 도 1b 참조). 또한, 제1 걸림부(30)는,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제1 걸림면(300)을 가진다. 이 제1 걸림면(300)이, 걸림면(502)에 걸린다(도 4a 참조). 즉, 걸림부(50)와 제1 걸림부(30)는, 걸림부(50)가 축 방향의 선단측, 제1 걸림부(30)가 축 방향의 기단측이 되는 배치에서, 축 방향에서 걸린다. 이 걸림에 의해, 제1 상태에 위치하는 로드측 부재(5)가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즉, 제2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제1 걸림부(30)는, 로드(3)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걸림부(30)는, 예를 들면, 로드(3)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제1 걸림부(30)는, 부재 장착부(36)의 선단부이다. 제1 걸림부(30)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한 제1 관통공(301)이 형성된 관통공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로드측 부재(5)에 있어서, 연출부(56)가 걸림부(50)를 직경 외측에서 덮는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시린지(1)의 사용 시에, 걸림부(50)에 접족하는 것을 방지하여, 의도하지 않게 걸림부(50)와 제1 걸림부(30)의 걸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걸림부(34)는,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가 걸린다. 또한, 제2 걸림부(34)는,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제2 걸림면(340)을 가진다. 제2 걸림부(34)는, 로드(3)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부(34)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한 제2 관통공(341)이 형성된 관통공부이다.
제1 피압당부(31)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의 제1 압당부(51)가 가압된다(도 1c 및 도 1d 참조). 또한, 제1 피압당부(31)는, 축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제1 피압당면(310)을 가진다. 이 제1 피압당면(310)이, 제1 압당면(511)에 가압된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제1 피압당부(31)는, 로드(3)의 기단부(구체적으로는, 부재 장착부(36)의 기단부)이다.
제2 피압당부(32)는,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의 제2 압당부(52)가 가압된다(도 5c 및 도 5d 참조). 또한, 제2 피압당부(32)는, 축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피압당면으로서의 제2 피압당면(320)을 가지는 피압당면부로서의 제2 피압당면부(321)를 구비한다. 제2 피압당부(32)는, 로드(3)의 직경 내측으로부터 직경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피압당면(320)은, 부재 장착부(36)의 외주로부터 직경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제2 피압당부(32)는, 부재 장착부(36)의 기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피압당부(32)는, 직경 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2 피압당면(320)에서 단차가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피압당부(32)는, 로드(3)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제2 피압당부(3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걸림부(3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피압당부(3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2 걸림부(34)와 등 간격을 둔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걸림부(3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로드(3)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제2 걸림부(34)와, 주위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2 걸림부(34)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피압당부(32)를 구비한다.
제3 피압당부(33)는,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의 제3 압당부(53)가 가압된다(도 5a 및 도 5b 참조). 또한, 제3 피압당부(33)는, 축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제3 피압당면(330)을 가진다. 제3 피압당부(33)와 제2 걸림부(34)는, 축 방향에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시린지(1)에서는, 제3 피압당부(33)가 축 방향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제2 걸림부(34)가 축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상태에서는, 제3 피압당부(33)와 제2 걸림부(34) 사이에, 걸림부(50)가 위치한다.
또한, 제3 피압당부(33)는, 로드(3)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제3 피압당부(33)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피압당부(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피압당부(33)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2 피압당부(32)와 등 간격을 둔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피압당부(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로드(3)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제2 피압당부(32)와, 주위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2 피압당부(3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피압당부(33)를 구비한다.
그리고, 관통공부에서의 제2 관통공(341)의 기단측의 구멍 형성면이, 제2 걸림면(340)이다. 또한, 제2 관통공(341)의 선단측의 구멍 형성면이, 제3 피압당면(330)이다.
이 시린지(1)에서는, 제1 걸림부(30)에 대하여, 걸림부(50)가 직경 내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제1 걸림부(30)와 걸림부(50)가 걸린다(제1 상태, 도 1a 및 도 1b). 또한, 제1 걸림부(30)에 대하여, 걸림부(50)가 직경 내측으로 퇴피하면 걸림이 해제되고(도 4a 및 도 4b), 걸림부(50)는, 삽통공(361)을 기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걸림부(34)에 대하여 직경 내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져, 제2 걸림부(34)와 걸림부(50)가 걸린다(제2 상태, 도 5a 및 도 5b).
그리고, 로드(3)의 재질은, POM(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이다.
배럴측 부재(4)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로드(3)가 배럴(2)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와 로드(3)의 제1 걸림부(30)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 해제부(40)를 구비한다(도 1a 및 도 1b 참조).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배럴측 부재(4)는, 배럴(2)의 플랜지부(23)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져서 배럴(2)에 장착된다.
또한, 배럴측 부재(4)는, 걸림 해제부(40) 뿐만 아니라, 배럴(2)의 플랜지부(23)에 외측로부터 끼워지는 부분인 배럴 장착부(41)와, 핑거 그립으로서 기능하는 손가락 걸이부(4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걸림 해제부(40)와, 배럴 장착부(41)와, 손가락 걸이부(42)를, 1개의 부재인 배럴측 부재(4)로 구성함으로써, 시린지(1)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또한, 배럴측 부재(4)는, 통형의 배럴측 본체(43)를 구비한다. 이 배럴측 부재(4)에서는, 배럴측 본체(43)와 배럴 장착부(41)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배럴측 부재(4)는, 압입 규제 기구(8)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입 규제부(44)를 구비한다.
배럴 장착부(41)는, 배럴(2)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즉, 배럴 장착부(41)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럴 장착부(41)에는, 배럴(2)의 플랜지부(23)의 일부가 노출되는 장착부 관통공(4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럴 장착부(41)에서는, 장착부 관통공(410)이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배럴 장착부(41)는, 직경 내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축압 볼록부(351)와 걸림 가능한 축압부(411)를 가진다.
손가락 걸이부(42)는, 배럴 장착부(41)의 직경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 걸이부(42)는, 예를 들면, 배럴(2)을 사이에 두고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이 손가락 걸이부(42)는, 배럴 장착부(41)의 장착부 관통공(410)을 회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배럴측 본체(43)는, 배럴(2)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또한, 배럴측 본체(43)는, 배럴 장착부(41)의 기단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있다. 또한, 배럴측 본체(43)는, 예를 들면, 원통형이다. 배럴측 본체(43)의 외경은, 축 방향에서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축 방향의 선단측의 부위일수록 가늘어진 테이퍼형이다.
걸림 해제부(40)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로드(3)가 배럴(2)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상태에서,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와 로드(3)의 제1 걸림부(30)의 걸림을 해제하는 부위이다(도 4a 및 도 4b 참조). 또한, 걸림 해제부(40)는, 예를 들면,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400)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걸림 해제부(40)는, 배럴측 본체(43)의 기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압입 규제 기구(8)를 구성하는 압입 규제부(44)는, 로드측 부재(5)의 압입 맞닿음부(57)의 선단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위이다. 또한, 압입 규제부(44)는, 예를 들면,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압입 규제면(440)을 가진다. 압입 규제면(440)에는, 압입 맞닿음면(570)이 맞닿는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압입 규제부(44)는, 배럴측 본체(43)의 기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압입 규제면(440)은, 전체 주위에 있어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주위 방향에서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배럴측 부재(4)의 재질은, PP(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이다.
부세 부재(6)는, 로드측 부재(5)의 내부에, 로드(3)의 기단부(예를 들면, 부재 장착부(36))와 함께 배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이다. 이 부세 부재(6)는, 로드측 부재(5)의 천정판부(54)와 부재 장착부(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세 부재(6)는, 천정판부(54)와 부재 장착부(36)에 걸려서, 로드측 부재(5)를 기단측으로 이동하도록 부세한다(제1 상태).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부세 부재(6)는, 예를 들면, 스프링(구체적으로는, 금속 스프링)이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부세 부재(6)는, 압축 스프링이다.
그리고, 부세 부재(6)는, 예를 들면, 수지 스프링 등의 금속 스프링 이외의 부재라도 된다. 시린지(1)가, 부세 부재(6)로서 수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경우, 수지 스프링과 로드(3)를 일체 성형해도 되고, 혹은, 수지 스프링과 로드측 부재(5)를 일체 성형해도 된다.
분사 노즐(7)은, 약액을 추출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분사 노즐(7)은, 약액을 안개 상태로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시린지(1)를 사용할 때의 조작이나 각 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상태는, 약액을 아직 분사하지 않고 있는 초기 상태이다. 제1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는, 걸림부(50)가 로드(3)의 제1 걸림부(30)와 걸림으로써,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걸리고 있다(도 1a 및 도 1b 참조). 구체적으로, 로드측 부재(5)는, 걸림부(50)의 걸림면(502)이, 제1 걸림부(30)의 제1 걸림면(300)과 걸림으로써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걸리고 있다. 걸림부(50)와 제1 걸림부(30)의 걸림에 의해, 로드측 부재(5)의 기단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제1 상태로부터(도 1c 및 도 1d 참조), 시린지(1)의 사용자가 로드측 부재(5)(구체적으로는, 천정판부(54))를 선단측에 압입하면, 로드측 부재(5)의 제1 압당부(51)가, 로드(3)의 제1 피압당부(31)에 가압된다. 이로써, 로드측 부재(5)와 함께 로드(3)가, 선단측에 압입되고, 초회의 약액 분무가 행해져서 규제 상태가 된다(도 3c 및 도 3d 참조). 구체적으로, 제1 압당부(51)의 제1 압당면(511)이, 제1 피압당부(31)의 제1 피압당면(310)에 가압된다.
또한, 제1 상태로부터 규제 상태에 걸쳐, 걸림부(50)와 제1 걸림부(30)의 걸림에 의해, 부세 부재(6)는, 로드측 부재(5)를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 쪽으로 이동하도록 부세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초회의 약액 분무에 있어서, 배럴측 부재(4)의 축압부(411)와, 로드(3)의 축압 볼록부(351)에 의해 축압 수단이 구성된다(도 1a 및 도 1b 참조). 구체적으로, 초회의 약액 분무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와 함께 로드(3)가 압입될 때, 로드(3)의 선단측 축압 볼록부(351b)가 축압부(411)를 넘을 때, 로드(3)는 저항을 받는다. 이로써, 초회의 약액 분무 시에, 약액을 안개 상태에서 토출 가능한 레벨까지 로드(3)를 부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로드(3)를 선단측에 압입하여 초회의 약액 분무를 행함으로써, 시린지(1)는, 규제 상태가 된다(도 3a∼도 3d 참조). 초회의 약액 분무는, 로드측 부재(5)가 배럴측 부재(4)와 맞닿은 위치에서 완료한다. 예를 들면, 초회의 약액 분무는, 압입 규제 기구(8)가 동작함으로써 완료한다. 구체적으로는, 초회의 약액 분무는, 로드측 부재(5)의 압입 맞닿음부(57)와 배럴측 부재(4)의 압입 규제부(44)의 맞닿음에 의해 완료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압입 맞닿음부(57)의 압입 맞닿음면(570)이, 압입 규제부(44)의 압입 규제면(440)과 맞닿는다(도 3a 및 도 3b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는, 제1 상태로부터 소정 길이(초회 분사분)만, 로드(3)와 로드측 부재(5)를 선단측에 압입하면, 로드측 부재(5)가 선단측에 압입되는 것을 규제하는 압입 규제 기구(8)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초회의 투여 시에 로드(3)가 필요 이상으로 선단측에 압입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초회의 투여 시에, 적절한 양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초회의 약액 분무가 완료되면, 배럴측 부재(4)의 걸림 해제부(40)가,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와 로드(3)의 제1 걸림부(30)의 걸림을 해제한다(도 4a 및 도 4b 참조). 구체적으로, 걸림부(50)의 제2 외측면(504)이, 걸림 해제부(40)의 경사면(400)으로 안내됨으로써, 걸림부(50)의 걸림 탄성부(500)가 직경 내측으로 휘어서 변형하여, 걸림부(50) 전체가 직경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걸림부(50)와 제1 걸림부(30)의 걸림(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걸림부(50)의 걸림면(502)과, 제1 걸림부(30)의 제1 걸림면(300)의 걸림)이 해제된다. 즉, 제2 외측면(504)은, 걸림 해제부(40)에 의해, 걸림부(50)를 걸림이 해제하도록 유도하는 해제 유도부로서 기능한다.
걸림부(50)의 제1 걸림부(30)와의 걸림이 해제되면, 부세 부재(6)의 부세에 의해, 로드측 부재(5)는 기단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걸림부(50)가 기단측으로 이동하면, 제1 외측면(503)이, 제1 걸림부(30)의 제1 걸림면(300)과 맞닿는다. 제1 외측면(503)은, 기단측의 부위일수록 직경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므로, 걸림부(50)의 직경 내쪽으로의 퇴피가 촉진된다. 즉, 제1 외측면(503)은, 걸림부(50)의 걸림을 해제할 때, 걸림부(50)의 제1 걸림부(30)에 대한 걸림의 해제를 촉진하는 해제 촉진부로서 기능한다.
규제 상태로부터, 걸림부(50)와 제1 걸림부(30)의 걸림이 해제되면, 부세 부재(6)는, 제1 상태의 압축이 풀어지고, 로드측 부재(5)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 쪽으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로 된다(도 5a∼도 5d 참조). 이 때, 부세 부재(6)는, 제1 상태의 압축이 풀어지고, 로드측 부재(5)를 로드(3)에 대하여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상태가 된다. 즉, 부세 부재(6)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로드측 부재(5)가 이동하여 제2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가, 로드(3)의 제2 걸림부(34)(구체적으로는, 제2 걸림면(340))에 거는 위치에서, 로드측 부재(5)의 이동은 멈춘다.
제2 상태는, 초회의 약액 분사의 다음 분사의 준비가 된 도중 상태이다.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의 제2 압당부(52)는,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다(도 5c 및 도 5d 참조).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압당부(52)의 제2 압당면(521)은, 제2 압당부(52)의 탄성부(520)의 탄성에 의해, 제2 피압당부(32)의 제2 피압당면(320)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에서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는, 로드(3)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다(도 5a 및 도 5b 참조).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걸림부(50)의 걸림면(502)은, 걸림부(50)의 걸림 탄성부(500)의 탄성에 의해, 제2 걸림부(34)의 제2 걸림면(340)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유지된다.
제2 상태로부터, 시린지(1)의 사용자가 로드측 부재(5)(구체적으로는, 천정판부(54))를 선단측에 압입하면, 로드측 부재(5)의 제2 압당부(52)가, 로드(3)의 제2 피압당부(32)에 가압되어, 로드측 부재(5)와 함께 로드(3)가, 선단측에 압입되고, 2회째의 약액 분무가 행해져서 완료 상태가 된다(도 6a∼도 6d 참조). 구체적으로, 제2 압당부(52)의 제2 압당면(521)이, 제2 피압당부(32)의 제2 피압당면(320)에 가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의 제3 압당부(53)가, 로드(3)의 제3 피압당부(33)에 가압되므로, 제2 상태에서 로드(3)를 배럴(2)에 대하여 압입하는 동작을 위해 로드측 부재(5)를 압입하면, 로드측 부재(5)의 제2 압당부(52)가 제2 피압당부(32)에 가압되고 또한, 제3 압당부(53)가 제3 피압당부(33)에 가압되고, 로드(3)가 축 방향의 선단측에 확실하게 이동하여, 2회째의 투여를 할 수 있다.
또한,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가 제3 압당부(53)를 겸하고 있으므로, 시린지(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2회째의 약액 분무 시에 있어서, 배럴측 부재(4)의 축압부(411)와, 로드(3)의 축압 볼록부(351)에 의해 축압 수단이 구성된다(도 5a 및 도 5b 참조). 구체적으로, 2회째의 약액 분무에 있어서, 로드측 부재(5)와 함께 로드(3)가 압입될 때, 로드(3)의 기단측 축압 볼록부(351a)가 축압부(411)를 넘을 때, 로드(3)는 저항을 받는다. 이로써, 2회째의 약액 분무 시에, 약액을 안개 상태에서 토출 가능한 레벨까지 로드(3)를 부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3)를 선단측에 압입하여 2회째의 약액 분무를 행함으로써, 시린지(1)는, 완료 상태가 된다(도 6a∼도 6d 참조). 2회째의 약액 분무는, 피스톤(37)이 배럴(2)의 선단부(20)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내면(200)과 맞닿은 위치에서 완료한다.
이상의 시린지(1)에 의하면, 제1 상태에서는,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와는 다른 부분인 제1 압당부(51)가, 로드(3)의 제1 피압당부(31)에 가압되므로, 이용자가, 제1 상태에서 로드(3)를 배럴(2)에 대하여 압입 동작하기 위해 로드측 부재(5)를 압입하면, 제1 압당부(51)가 로드(3)의 제1 피압당부(31)에 가압되고, 로드(3)가 축 방향의 선단측에 확실하게 이동하여, 초회의 투여(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초회의 약액 분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태로부터 로드(3)가 배럴(2)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배럴측 부재(4)의 걸림 해제부(40)에 의해,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와 로드(3)의 제1 걸림부(3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렇게 되면, 부세 부재(6)의 부세에 의해, 로드측 부재(5)가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여, 제2 상태가 된다. 제2 상태에서는,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와는 다른 부분인 제2 압당부(52)가, 로드(3)의 제2 피압당부(32)에 가압되므로, 이용자가, 제2 상태에서 로드(3)를 배럴(2)에 대하여 압입 동작을 하기 위하여 로드측 부재(5)를 압입하면, 로드측 부재(5)의 제2 압당부(52)가, 로드(3)의 제2 피압당부(32)에 가압되고, 로드(3)가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확실하게 이동하여, 2회째의 투여(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2회째의 약액 분무)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와는 다른 부분인 제1 압당부(51) 및 제2 압당부(52)를, 로드(3)의 제1 피압당부(31) 및 제2 피압당부(32)에 가압하므로, 초회 및 2회째의 투여에 있어서, 확실하게 로드(3)를 압입할 수 있어, 확실하게 2회 투여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배럴측 부재(4)와 로드측 부재(5)를 배럴(2)이나 로드(3)에 장착하기만 하는 구조이므로, 시린지(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배럴(2)의 형상을 특수 형상으로 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형상의 배럴(2)에도, 본원의 배럴측 부재(4)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제2 상태에 있어서, 제2 압당부(52)의 압당면(521)과, 제2 피압당부(32)의 제2 피압당면(320)은, 평면끼리 맞닿게 하여 가압하고, 또한, 탄성부(520)의 탄성에 의해, 평면의 제2 피압당면(320)에 대하여 평면의 압당면(521)을 축 방향의 기단측에서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위치 유지함으로써, 제2 압당부(52)를 제2 피압당부(32)에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시린지(1)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린지(1)의 차이점은, 로드측 부재(5)의 걸림부(50)의 걸림편(501)의 구성뿐이다. 걸림편(501)은, 걸림면(502), 제1 외측면(503), 제2 외측면(504) 및 제3 외측면(505) 뿐만 아니라, 걸림면(502)과 제1 외측면(503) 사이를 연결하고 또한 축 방향을 따른 방지면(507)을 가진다. 이 방지면(507)은, 걸림면(502)으로부터 기단측으로 기립된 면이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걸림편(501)에 있어서는, 걸림면(502)을 포함하는 부분이, 걸림면(502)과 방지면(507)과 걸림 탄성부(500)로 둘러싸여지는 오목부가 되어 있다.
제1 상태에 있어서, 로드(3)의 제1 걸림부(30)의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고, 걸림면(502)은, 상기 제1 걸림부(30)의 제1 걸림면(300)과 맞닿는다(도 7 참조). 방지면(507)은, 제1 걸림부(30)의 외면에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50)가 의도하지 않게 내경측으로 이동했을 때, 방지면(507)이 제1 걸림부(30)의 외면과 맞닿음으로써, 걸림부(50)의 직경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걸림부(50)와 제1 걸림부(30)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될 때는, 제1 걸림부(30)의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빠져서, 제1 실시형태의 시린지(1)와 동일하게, 테이퍼면의 제1 외측면(503)이 걸림 해제를 촉진한다.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3)의 제2 걸림부(34)는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걸림면(502)은, 상기 제2 걸림부(34)의 제1 걸림면(340)에는 맞닿지 않고, 이 구성에서는, 방지면(507)과 제1 걸림면(503)에 의해 형성되는 뾰족한 부분(508)은, 제1 걸림면(340)과 맞닿지 않는다(도 8 참조). 그리고, 제2 상태에 있어서, 로드(3)의 제2 걸림부(34)는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걸림면(502)은, 상기 제2 걸림부(34)의 제1 걸림면(340)에는 맞닿지 않고, 방지면(507)과 제1 걸림면(503)에 의해 형성되는 뾰족한 부분(508)이, 제1 걸림면(340)과 맞닿아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형상의 걸림편(501)을 구비하는 시린지(1)에 있어서도, 제2 걸림부(34)가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고, 걸림면(502)이, 제1 걸림면(340)과 맞닿는 구성이라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린지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추가할 수 있고,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린지(1)의 각 부재의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상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로드측 부재(5)는, 걸림부(50)와, 제1 압당부(51)와, 제2 압당부(52)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제3 압당부(53) 및 연출부(56)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2 압당부(52)는, 탄성부(520)와 제2 압당면부(522)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구성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압당부(52)가,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압당면부(522)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로드(3)는, 제1 걸림부(30)와, 제1 피압당부(31)와, 제2 피압당부(32)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제3 피압당부(33) 및 제2 걸림부(34)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제1 피압당부(31)는, 로드(3)의 기단부이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피압당부(31)는, 로드(3)의 기단측으로부터 로드(3)의 축 방향의 선단부를 향하여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의 바닥면을 제1 피압당면(310)으로 하고, 로드측 부재(5)의 제1 압당부(51)를 이 오목부에 삽입하고, 제1 피압당면(310)에 가압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시린지(1)에서는, 배럴측 부재(4)는, 배럴(2)의 플랜지부(23)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있지만, 외측로부터 끼워지는 것 이외에 의해 배럴(2)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배럴측 부재(4)가, 배럴 본체(22)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배럴측 부재(4)는, 걸림 해제부(40)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손가락 걸이부(42)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배럴(2)은, 플랜지부(23)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시린지(1)는, 압입 규제 기구(8)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시린지(1)는, 분사 노즐(7)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 시린지(1)는, 배럴(2)의 선단부(20)로부터, 내용물(예를 들면, 약액)을 안개 상태가 아니라, 선형으로 토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로드(3)에 축압 볼록부(351)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시린지(1)에서의 각 기능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분할하여 2회 투여 가능한 시린지로서, 확실하게 2회 투여가 가능한 시린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린지는, 내용물을 분할하여 투여하기 위한 시린지이며, 축 방향의 선단부 및 기단부를 가지고, 상기 선단부로부터 내용물을 토출 가능한 배럴과, 상기 배럴 내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선단측에 압입 가능한 로드와, 상기 배럴에 대하여 장착되는 배럴측 부재와, 상기 로드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걸린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2 상태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로드측 부재와, 상기 로드와 상기 로드측 부재에 걸려서, 상기 로드측 부재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 쪽으로 이동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측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에서 거는 걸림부와,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며, 상기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1 압당부와,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며, 상기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2 압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당부가 가압되는 제1 피압당부와,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당부가 가압되는 제2 피압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럴측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상기 배럴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 해제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상태에서는,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1 압당부가 제1 피압당부에 가압되므로, 제1 상태에서 로드를 배럴에 대하여 압입하는 동작을 하기 위하여 로드측 부재를 압입하면, 제1 압당부가 제1 피압당부에 가압되고, 로드가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확실하게 이동하여, 초회의 투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태로부터 로드가 배럴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걸림 해제부에 의해 걸림부와 제1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렇게 되면, 부세 부재의 부세에 의해, 로드측 부재가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고, 제2 상태가 된다. 제2 상태에서는,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2 압당부가 제2 피압당부에 가압되므로, 제2 상태에서 로드를 배럴에 대하여 압입하는 동작을 하기 위해 로드측 부재를 압입하면, 제2 압당부가 제2 피압당부에 가압되고, 로드가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확실하게 이동하여, 2회째의 투여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측 부재의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1 압당부 및 제2 압당부를, 로드의 제1 피압당부 및 제2 피압당부에 가압하므로, 초회 및 2회째의 투여에 있어서, 확실하게 로드를 압입할 수 있고, 확실하게 2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린지에서는, 상기 배럴은, 배럴 본체와, 상기 배럴 본체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럴측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에 외측로부터 끼워져서 상기 배럴에 장착되고, 상기 로드는, 로드 본체와, 상기 로드 본체에 설치된 부재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측 부재는, 상기 부재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럴측 부재와 로드측 부재를 배럴이나 로드에 장착하는 것만의 구조이므로, 시린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배럴의 형상을 특수 형상으로 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형상의 배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린지에서는, 상기 제2 압당부는,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설치된 압당면부로서,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압당면을 가지는 압당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피압당부는, 축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피압당면을 가지는 피압당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압당면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피압당면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에서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유지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 상태에 있어서, 평면끼리 맞닿게 하여 가압하고, 또한,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평면의 피압당면에 대하여 평면의 압당면을 축 방향의 기단측에서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위치 유지함으로써, 제2 압당부를 제2 피압당부에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1…시린지, 2…배럴, 3…로드, 4…배럴측 부재, 5…로드측 부재, 6…부세 부재, 7…분사 노즐, 8…압입 규제 기구, 20…선단부, 21…기단부, 22…배럴 본체, 23…플랜지부, 30…제1 걸림부, 31…제1 피압당부, 32…제2 피압당부, 33…제3 피압당부, 34…제2 걸림부, 35…로드 본체, 36…부재 장착부, 37…피스톤, 40…걸림 해제부, 41…배럴 장착부, 42…손가락 걸이부, 43…배럴측 본체, 44…규제부, 50…걸림부, 51…제1 압당부, 52…제2 압당부, 53… 제3 압당부, 54…천정판부, 55…스커트부, 56…연출부, 57…맞닿음부, 100…비강 투여 용기, 101…배럴, 102…플런저, 103…플런저 로드, 105…탄성 부재, 200…내면, 220…본체 선단부, 221…본체 기단부, 222…본체 접속부, 300…제1 걸림면, 301…제1 관통공, 310…제1 피압당면, 320…제2 피압당면(피압당면), 321…제2 피압당면부(피압당면부), 330…제3 피압당면, 340…제2 걸림면, 341…제2 관통공, 350…축부, 351…축압 볼록부, 351a…기단측 축압 볼록부, 351b…선단측 축압 볼록부, 360…확폭부, 361…삽통공, 370…선단면, 340…제2 걸림면, 400…경사면, 410…장착부 관통공, 411…축압부, 440…규제면, 500…걸림 탄성부, 501…걸림편, 502…걸림면, 503…제1 외측면, 504…제2 외측면, 505…제3 외측면, 506…외측면, 507…방지면, 508…뾰족한 부분, 510…연출부, 511…제1 압당면, 512…제1 압당면부, 520…탄성부, 521…제2 압당면(압당면), 522…제2 압당면부(압당면부), 523…내주면, 524…기단측 내주면, 525…접속 내주면, 530…제3 압당면, 540…외주 부위, 570…맞닿음면, 1016…돌출부, 1016a…돌출부, 1020b…타단, 1026…제1 장공부, 1028…제2 장공부, 1030b…타단, 1030L…판스프링부, 1034…압압부, 1034a…표면, 1036…제1 걸림부, 1036a…전단부, 1038…제2 걸림부, AR2, AR4…화살표

Claims (3)

  1. 내용물을 분할하여 투여하기 위한 시린지로서,
    축 방향의 선단부(先端部) 및 기단부(基端部)를 가지고, 상기 선단부로부터 내용물을 토출 가능한 배럴;
    상기 배럴 내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선단측에 압입(押入) 가능한 로드;
    상기 배럴에 대하여 장착되는 배럴측 부재;
    상기 로드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걸린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제2 상태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로드측 부재; 및
    상기 로드와 상기 로드측 부재에 걸리고, 상기 로드측 부재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 쪽으로 이동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측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에서 거는 걸림부와,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며, 상기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1 압당부(押當部)와,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대하여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가압 가능하며, 상기 걸림부와는 다른 부분인 제2 압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당부가 가압되는 제1 피(被)압당부와,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당부가 가압되는 제2 피압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럴측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상기 배럴에 대하여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 해제부를 구비하는, 시린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은, 배럴 본체와, 상기 배럴 본체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럴측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져서 상기 배럴에 장착되고,
    상기 로드는, 로드 본체와, 상기 로드 본체에 설치된 부재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측 부재는, 상기 부재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린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당부는,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설치된 압당면부로서,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압당면을 가지는 압당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피압당부는, 축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고 또한 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인 피압당면을 가지는 피압당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압당면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피압당면에 대하여,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유지되는, 시린지.
KR1020237039492A 2021-06-29 2022-06-24 시린지 KR20240026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7729 2021-06-29
JPJP-P-2021-107729 2021-06-29
PCT/JP2022/025260 WO2023276870A1 (ja) 2021-06-29 2022-06-24 シリン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894A true KR20240026894A (ko) 2024-02-29

Family

ID=8469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492A KR20240026894A (ko) 2021-06-29 2022-06-24 시린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2510A1 (ko)
JP (1) JPWO2023276870A1 (ko)
KR (1) KR20240026894A (ko)
WO (1) WO20232768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6852B2 (ja) 2010-03-09 2015-09-30 ニプロ株式会社 鼻腔投与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7304B2 (ja) * 2011-08-03 2015-11-18 ニプロ株式会社 鼻腔投与容器
JP6284790B2 (ja) * 2014-03-10 2018-0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7266971B2 (ja) * 2018-05-24 2023-05-01 ニプロ株式会社 シリンジ型噴出装置
JP7473337B2 (ja) 2019-12-27 2024-04-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6852B2 (ja) 2010-03-09 2015-09-30 ニプロ株式会社 鼻腔投与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6870A1 (ja) 2023-01-05
JPWO2023276870A1 (ko) 2023-01-05
EP4342510A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4723B2 (en) Injector safety device
US10478559B2 (en) Prefilled syringe with breakaway force feature
JP5969396B2 (ja) 通路の有効穴部を狭めるため通路に配置された突出部を備える注射装置
CA2865862C (en) Anti-needle stick safety device for injection device
US20080208140A1 (en) Device For Protecting An Injection Apparatus
US20110098655A1 (en)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Trigger Lock
KR102399468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JP2010517674A (ja) 使用不可機構を有する注射器アセンブリー
CN110325234B (zh) 医疗输送装置的安全组件
US10668216B2 (en) Auto-injector
US20190143041A1 (en) Injection devices
US6852096B1 (en) Disposable hypodermic syringe with locking protective sheath
US9192733B2 (en) Puncture needle assembly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device
KR20240026894A (ko) 시린지
US20220323683A1 (en) Injector
KR102682086B1 (ko) 자동 약물 주입 장치
US20240001033A1 (en) Autoinjector for Automatic Injection of a Medical Product Into an Injection Site
JP2023078862A (ja) シリンジ
EP4389174A1 (en) Safety device for mounting onto a drug delivery device
GB2528269A (en) Single use safety syringe with automatic retractable need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