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847A -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847A
KR20240026847A KR1020230070193A KR20230070193A KR20240026847A KR 20240026847 A KR20240026847 A KR 20240026847A KR 1020230070193 A KR1020230070193 A KR 1020230070193A KR 20230070193 A KR20230070193 A KR 20230070193A KR 20240026847 A KR20240026847 A KR 2024002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gear
folding
torsion spr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에스앤티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티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티모티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2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02Worm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 및 웜휠기어와, 상기 웜휠기어에 구비된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어셈블리와, 상기 링크어셈블리에 의해 접힘작동 및 펼침작동되는 스텝보드와, 상기 스텝보드에 의해 링크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하중부하를 상쇄하는 부하상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그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는 구동링크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그 상단이 링크 연결되어 상기 구동링크부재의 회전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종동링크부재와, 상기 구동링크부재 및 종동링크부재의 하단에 공통적으로 링크 연결되며 스텝보드를 지지하는 폴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 내부에 형성된 지지축에 끼움장착되며,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폴딩부재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폴딩부재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하단이 상기 폴딩부재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2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폴딩부재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3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구동링크부재의 하단이 상기 폴딩부재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3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폴딩부재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4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에 따르면, 부하상쇄수단에 의해 스텝보드의 펼침작동시 웜휠기어의 기어산과 웜기어의 기어산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달라지면서 웜휠기어의 기어산과 웜기어의 기어산이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side step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편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텝보드가 펼침작동되는 과정에서 웜기어와 웜휠기어의 백래시 구조상 발생하는 충돌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사이드스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이 대형화 됨에 따라 차체가 높은 차량에 탑승자가 불편함이 없도록 편의를 돕는 수단으로서 (DRB: Deployable Running Board) 라고도 하는 이른바 사이드스텝장치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도 1 내지 6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일반적인 사이드스텝장치는 구동모터(10)와, 구동모터(10)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유닛과, 기어유닛의 회전작동을 링크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어셈블리와, 링크어셈블리에 의해 접고 펴지는 스텝보드(30)로 구성된다.
기어유닛은 구동모터(1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키는 웜기어(12) 및 웜휠기어(14), 웜휠기어(1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5)으로 이루어져 있다.
링크어셈블리는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고정브라켓(20)에 그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링크부재(22) 및 종동링크부재(24)와, 상기 구동링크부재(22) 및 종동링크부재(24)의 하단에 공통적으로 링크 연결되며 스텝보드(30)를 지지하는 폴딩부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구동링크부재(22)는 그 상단이 고정브라켓(20)에서 구동축(15)에 연결됨으로써 구동축(15)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은 고정브라켓(20)과 링크연결되고, 구동링크부재(22)와 종동링크부재(24)의 하단은 폴딩부재(26)와 링크연결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시에는, 구동모터(10)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15)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구동링크부재(22)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폴딩부재(26)는 구동링크부재(22) 및 종동링크부재(24)와의 연결구조상,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스텝보드(30)가 펼쳐지게 된다.
스텝보드(30)의 접힘작동시에는 펼침작동시와 반대로 구동축(15)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펼침작동과 반대의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스텝보드(30)가 접혀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작동에 있어서,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는 상시 폴딩부재(26)에 인가되고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구동링크부재(22)를 회전시키는 구동축(15)에 대하여 특정 각도 조건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스텝보드(30)가 펼쳐지는 과정에서는 하중부하(W)에 의해 구동축(15)의 회전이 시계방향(펼쳐지는 방향)으로 가속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웜기어(12)와 웜휠기어(14)의 백래시에 의해 충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웜휠기어(14)와 구동축(15)은 동축 연결되므로, 웜휠기어(14)와 구동축(15)은 동일하게 회전되는 조건임을 밝혀둔다.
우선, 도 3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텝보드(30)의 접힘과정에서는 웜휠기어(14)의 회전력(Tm)에 의해 구동링크부재(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폴딩부재(2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한 회전력(Tw)은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웜기어(12)와 웜휠기어(14)간의 동력전달 상태를 2차원적으로 도시하면,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웜기어(12)가 회전하여, 웜기어(12)의 기어산(121)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조건이 되어, 웜휠기어(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는 구동축(15)(웜휠기어)에 대하여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스텝보드(30)의 접힘과정에서는, 웜기어(12)가 이동하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웜휠기어(14)가 지속적으로 회전력을 인가받는 상태이므로 웜기어(12)의 기어산(121)과 웜휠기어(14)의 기어산(141)이 지속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도 5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시에는 웜휠기어(14)에 의해 (구동축)에 의해 구동링크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폴딩부재(2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웜기어(12)와 웜휠기어(14)간의 동력전달 상태를 2차원적으로 도시하면, 도 6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웜기어(12)가 회전하여 웜기어(12)의 기어산(121)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조건이 되어, 웜휠기어(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는 구동축(15)(웜휠기어)에 대하여 도면상 좌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웜기어(12)와 웜휠기어(14)간에 백래시가 형성된 구조상,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시에는, 웜휠기어(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웜기어(12)의 기어산(121)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웜휠기어(14)의 기어산(141)이 웜기어(12)의 기어산(121) 보다 먼저 이동하게 됨으로써 웜기어(12)의 기어산(121)과 웜휠기어(14)의 기어산(141)이 밀착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서로간의 간격이 달라지면서 불규칙하게 충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웜기어(12)의 기어산(121)과 웜휠기어(14)의 기어산(121)이 충돌하는 현상에 의하면, 충돌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웜기어(12)와 웜휠기어(14)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텝보드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소음이 감소되도록 하거나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 및 웜휠기어와, 상기 웜휠기어에 구비된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어셈블리와, 상기 링크어셈블리에 의해 접힘작동 및 펼침작동되는 스텝보드와, 상기 스텝보드에 의해 링크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하중부하를 상쇄하는 부하상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그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는 구동링크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그 상단이 링크 연결되어 상기 구동링크부재의 회전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종동링크부재와, 상기 구동링크부재 및 종동링크부재의 하단에 공통적으로 링크 연결되며 스텝보드를 지지하는 폴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 내부에 형성된 지지축에 끼움장착되며,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폴딩부재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폴딩부재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하단이 상기 폴딩부재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2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폴딩부재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3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구동링크부재의 하단이 상기 폴딩부재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3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폴딩부재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4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에 따르면, 부하상쇄수단에 의해 스텝보드의 펼침작동시 웜휠기어의 기어산과 웜기어의 기어산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달라지면서 웜휠기어의 기어산과 웜기어의 기어산이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일반적인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가 적용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2: 일반적인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 종래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접힘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4: 종래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접힘작동시의 기어유닛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5: 종래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펼침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6: 종래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펼침작동시의 기어유닛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7: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8: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9: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0: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 1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 13: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 14: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션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 15: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의 펼침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 7 부터 도 15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는 구동모터(10) 및 상기 구동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12) 및 웜휠기어(14)와, 상기 웜휠기어(14)에 구비된 구동축(15)을 포함하는 구동부와(도 3 내지 6 참조),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어셈블리와, 상기 링크어셈블리에 의해 접힘작동 및 펼침작동되는 스텝보드(30)와, 상기 스텝보드(30)에 의해 링크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하중부하(W)를 상쇄하는 부하상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고정브라켓(20)에 그 상단(2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15)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부재(22)와, 상기 고정브라켓(20)에 그 상단(241)이 회전 가능하게 링크 연결되어 상기 구동링크부재(22)의 회전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종동링크부재(24)와, 상기 구동링크부재(22)의 하단 및 종동링크부재(24)의 하단에 공통적으로 링크 연결되며 스텝보드(30)를 지지하는 폴딩부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7 내지 10 참조)
그리고,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토션스프링(50)(60)(70)(80)으로서 후술된 바와 같이 각 실시예 별로 세부적인 구성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코일형태의 중심부(51)(61)(71)(81)와, 상기 중심부(51)(61)(71)(81)로부터 연장된 제1 선단(501)(601)(701)
(801) 및 제2 선단(502)(602)(702)(802)으로 이루어진다.(도 11 내지 14 참조)
각 실시예 별로 부하상쇄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 실시예 (도 7 참조)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20)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1)에 대하여 상기 폴딩부재(26)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 토션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토션스프링(50)은 코일형태의 중심부(51)와, 상기 중심부(51)로부터 연장되어 서로간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제1 선단(501) 및 제2 선단(5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토션스프링(50)은 그 중심부(51)가 고정브라켓(20) 내부에 형성된 지지축 (2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선단(501)은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1)의 측면에 접하고, 제2 선단(502)은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전면부(201)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2) 제2 실시예 (도 8 참조)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20)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1)에 대하여 상기 폴딩부재(26)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 토션스프링(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토션스프링(60)은 코일형태의 중심부(61)와, 상기 중심부(61)로부터 연장되어 서로간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제1 선단(601) 및 제2 선단(6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토션스프링(60)은 그 중심부(61)가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20)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링크핀(4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선단(601)은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1)의 상면에 접하고, 제2 선단(602)은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상면부(202)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3) 제3 실시예 (도 9 참조)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종동링크부재(24)를 지지체로 하여 상기 폴딩부재(26)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3 토션스프링(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토션스프링(70)은 코일형태의 중심부(71)와, 상기 중심부(71)로부터 연장되어 서로간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제1 선단(701) 및 제2 선단(7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토션스프링(70)은 그 중심부(71)가 종동링크부재(24)의 하단(241)이 상기 폴딩부재(26)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2 링크핀(4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선단(701)은 폴딩부재(26)에 걸리고, 제2 선단(702)은 종동링크부재(24)의 하단(242)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4) 제4 실시예 (도 10 참조)
제4 실시예에 따른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구동링크부재(22)를 지지체로 하여 상기 폴딩부재(26)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4 토션스프링(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 토션스프링(80)은 코일형태의 중심부(81)와, 상기 중심부(81)로부터 연장되어 서로간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제1 선단(801) 및 제2 선단(80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 토션스프링(80)은 그 중심부(81)가 구동링크부재(22)의 하단(222)이 상기 고정브라켓(20)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3 링크핀(43)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선단(801)은 폴딩부재(26)에 걸리고, 제2 선단(802)은 구동링크부재(22)의 하단(222)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실시예에 따른 부하상쇄수단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 실시예 (도 7 참조)
상기 폴딩부재(26)가 접혀있는 상태를 제1 토션스프링(50)의 무부하 상태라 할때,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1)의 측면에 접한 제1 토션스프링(50)의 제1 선단(501)과, 고정브라켓(20)의 전면부(201)에 접한 제2 선단(501)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링크부재(22)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폴딩부재(26)는 상기 구동링크부재(22) 및 종동링크부재(24)와의 링크연결구조상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종동링크부재(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토션스프링(50)의 제1 선단(501)은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압박되는 반면, 제2 선단(502)은 고정브라켓(20)의 전면부(201)에 의해 받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선단(501)과 제2 선단(502)은 서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상기 제1 선단(501)과 제2 선단(502)이 탄성적으로 압축됨에 따라 제1 선단(501)은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1)의 측면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1 토션스프링(50)의 탄성적인 회전력은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종동링크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가속 회전되려는 작동을 억제하는 억제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스텝보드(30)의 펄침작동시 상기 폴딩부재(26)를 통하여 종동링크부재(24)에 인가되는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가 상기 제1 토션스프링(50)의 탄성적인 회전력에 의해 상쇄됨으로써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상기 종동링크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회전되려는 작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2) 제2 실시예 (도 8 참조)
상기 폴딩부재(26)가 접혀있는 상태를 제2 토션스프링(60)의 무부하 상태라 할때,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b)에 접한 제2 토션스프링(60)의 제1 선단(601)과, 고정브라켓(20)의 상측 내면에 접한 제2 선단(602)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링크부재(22)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폴딩부재(26)는 상기 구동링크부재(22) 및 종동링크부재(24)와의 링크연결구조상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종동링크부재(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토션스프링(60)의 제1 선단(601)은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1)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압박되는 반면, 제2 선단(602)은 고정브라켓(20)의 상면부(202)에 의해 받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선단(601)과 제2 선단(602)은 서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상기 제1 선단(601)과 제2 선단(602)이 탄성적으로 압축됨에 따라 제1 선단(601)은 상기 종동링크부재(24)의 상단(241)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2 토션스프링(60)의 탄성적인 회전력은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종동링크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가속 회전되려는 작동을 억제하는 억제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스텝보드(30)의 펄침작동시 상기 폴딩부재(26)를 통하여 종동링크부재(24)에 인가되는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가 상기 제2 토션스프링(60)의 탄성적인 회전력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상기 종동링크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회전되려는 작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3) 제3 실시예 (도 9 참조)
상기 폴딩부재(26)가 접혀있는 상태를 제3 토션스프링(70)의 무부하 상태라 할때, 폴딩부재(26)에 걸린 제1 선단(701)과, 종동링크부재(24)의 하단에 걸린 제2 선단(702)은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링크부재(22)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폴딩부재(26)는 상기 구동링크부재(22) 및 종동링크부재(24)와의 링크연결구조상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종동링크부재(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토션스프링(70)의 제1 선단(701)은 상기 폴딩부재(2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제2 선단(702)은 종동링크부재(2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양선단은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제1 선단(701)과 제2 선단(702)이 탄성적으로 벌어짐에 따라 제1 선단(701)은 상기 폴딩부재(26)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3 토션스프링(70)의 탄성적인 회전력은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종동링크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가속 회전되려는 작동을 억제하는 억제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스텝보드(30)의 펄침작동시 상기 폴딩부재(26)를 통하여 종동링크부재(24)에 인가되는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가 상기 제3 토션스프링(70)의 탄성회전력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상기 종동링크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회전되려는 작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4) 제4 실시예 (도 10 참조)
상기 폴딩부재(26)가 접혀있는 상태를 제4 토션스프링(80)의 무부하 상태라 할때, 폴딩부재(26)에 걸린 제1 선단(801)과, 상기 구동링크부재(22)의 하단에 걸린 제2 선단(802)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이 시작되면, 상기 구동링크부재(22)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폴딩부재(26)는 상기 구동링크부재(22) 및 종동링크부재(24)와의 링크연결구조상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토션스프링(80)의 제1 선단(801)은 상기 폴딩부재(2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제2 선단(802)은 구동링크부재(2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양선단은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제1 선단(801)과 제2 선단(802)이 탄성적으로 벌어짐에 따라 제1 선단(801)은 상기 폴딩부재(26)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4 토션스프링(80)의 탄성적인 회전력은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종동링크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가속 회전되려는 작동을 억제하는 억제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스텝보드(30)의 펄침작동시 상기 폴딩부재(26)를 통하여 종동링크부재(24)에 인가되는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가 상기 제3 토션스프링(70)의 탄성회전력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상기 종동링크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회전되려는 작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실시예에 의하면,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시 스텝보드(30)의 하중부하(W)에 의해 구동링크부재(22)가 펼침방향으로 가속되는 현상을 상기 부하상쇄수단이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스텝보드(30)의 펼침작동시 웜기어(12)의 기어산(121)과 웜휠기어(14)의 기어산(141)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달라지면서 웜기어(12)의 기어산(121)과 웜휠기어(14)의 기어산(141)이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도 15 참조 )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토션스프링(50)(60)(70)(80)은 구조상의 요건에 따라 다수개가 서로 조합되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토션스프링(50)과 제2 토션스프링(60)이 함께 구비되거나, 제1 토션스프링(50)과 제3 토션스프링(70)이 함께 구비되는 등과 같이 2개의 토션스프링이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3개의 토션스프링이 조합되거나 4개의 토션스프링이 모두 조합되어 함께 구비될 수 도 있다.
10: 구동모터
12: 웜기어 14: 웜휠기어
15: 구동축
20: 고정브라켓 22: 구동링크부재
24: 종동링크부재 26: 폴딩부재
30: 스텝보드
50: 제1 토션스프링 60: 제2 토션스프링
70: 제3 토션스프링 80: 제4 토션스프링

Claims (6)

  1.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 및 웜휠기어와, 상기 웜휠기어에 구비된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어셈블리와,
    상기 링크어셈블리에 의해 접힘작동 및 펼침작동되는 스텝보드와,
    상기 스텝보드에 의해 링크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하중부하를 상쇄하는 부하상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그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는 는 구동링크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그 상단이 링크 연결되어 상기 구동링크부재의 회전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종동링크부재와,
    상기 구동링크부재 및 종동링크부재의 하단에 공통적으로 링크 연결되며 스텝보드를 지지하는 폴딩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 내부에 형성된 지지축에 끼움장착되며,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폴딩부재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1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폴딩부재가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2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종동링크부재의 하단이 상기 폴딩부재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2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폴딩부재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3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상쇄수단은
    상기 구동링크부재의 하단이 상기 폴딩부재에 링크 연결되도록 하는 제3 링크핀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폴딩부재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적인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4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KR1020230070193A 2022-08-22 2023-05-31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 KR20240026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89 2022-08-22
KR20220104889 2022-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847A true KR20240026847A (ko) 2024-02-29

Family

ID=9004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193A KR20240026847A (ko) 2022-08-22 2023-05-31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68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821B2 (en)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and vehicle step apparatus with the same
JP4754549B2 (ja) 回動可能要素を備えた機能装置
US8052162B2 (en) Vehicle step apparatus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therefor
US8827287B2 (en) Axle control element of a motor vehicle
CN105782350B (zh) 汽车减速器
CN101434253B (zh) 汽车转向柱的缩进-倾斜装置
EP4119427A1 (en) Mechanical leg and wheeled mobile device
CN111542468B (zh) 摩托车着陆装置
US20080191445A1 (en)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for vehicle step
JP2020050062A (ja) スポイラ装置
CN101648531A (zh) 汽车转椅的驱动装置
EP4067215A1 (en) Motorcycle landing device having vertically aligned auxiliary wheel
US20180134131A1 (en) Arrangement for a winding system and winding system for a vehicle roof
US20230102265A1 (en) Vehicle spat device
KR20030024985A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JP469668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40026847A (ko) 차량용 사이드스텝장치
US9667119B2 (en) Rotational damper
KR20140008555A (ko) 차량용 미러의 액추에이터
US20230415650A1 (en) Electric folding device for exterior rear-view mirror of vehicle
CN104015639A (zh) 一种用于协同调节座椅坐垫与靠背碰撞安全的调节系统
CN112429272A (zh) 一种旋转式拖臂悬架机构及星球探测车
KR20150080045A (ko) 차량 헤드레스트 폴딩기구
KR101251823B1 (ko) 폴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CN115520105A (zh) 视听设备的姿态调节组件、车载显示装置和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