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197A - 고전력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197A
KR20240026197A KR1020247002751A KR20247002751A KR20240026197A KR 20240026197 A KR20240026197 A KR 20240026197A KR 1020247002751 A KR1020247002751 A KR 1020247002751A KR 20247002751 A KR20247002751 A KR 20247002751A KR 20240026197 A KR20240026197 A KR 2024002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wall
connector
open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브샤란 마하잔쉐티
레이첼 로우
제프리 조니악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4002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arth Drilling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커넥터는 제1 및 제2 전기 구성요소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는 가압된 상태로 가압될 수 있는 래치들을 갖는 절연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전도성 몸체와 로크를 포함한다. 몸체는 전기 구성요소들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맞물림부들을 갖는다. 로크는 래치들과 접촉하고, 래치들이 가압될 때 래치들과 함께 이동가능하다. 로크는 전기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결합 핀과 맞물려 전기 구성요소를 커넥터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고전력 커넥터
본 개시는 커넥터의 분야, 더 구체적으로는 고전력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고전력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전기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에 사용된다. 원형 암형 소켓(female socket)은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한 수형 핀(male pin)을 수용한다. 수형 핀은 일반적으로 와이어에 크림핑된다(crimped). 단일 쌍의 커넥터들, 즉 공급 커넥터 및 복귀 커넥터가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경우에, 더 많은 전력을 제공하는 집단형(ganged) 또는 다수의 핀/소켓 쌍이 사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제1 및 제2 전기 구성요소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는 가압된 상태로 가압될 수 있는 래치들을 갖는 절연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전도성 몸체와 로크를 포함한다. 몸체는 전기 구성요소들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맞물림부들을 갖는다. 로크는 래치들과 접촉하고, 래치들이 가압될 때 래치들과 함께 이동가능하다. 로크는 전기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결합 핀과 맞물려 전기 구성요소를 커넥터에 고정시킨다.
본 개시의 위에서 설명된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시하는 첨부 도면에 예로서 예시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커넥터 및 이와 정합된 결합 핀의 일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저부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의 저면도.
도 4는 후방으로부터 보여지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저부 사시도.
도 5는 전방으로부터 보여지는, 결합 핀이 정합된 커넥터, 및 제1 및 제2 전기 구성요소들의 측면도.
도 6은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커넥터의 로크의 사시도.
도 8은 로크의 저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커넥터의 단면도.
본 개시는 상이한 형태들의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지만, 본 개시가 본 개시의 원리의 예증으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개시를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것으로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는 이해를 가지고서,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따라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부들은 간결성을 위해 달리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조합들을 형성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면(들)에서 예로서 예시된 하나 이상의 요소가 본 개시의 범주 내에서 제거될 수 있고/있거나 대안적인 요소로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상단, 상부, 하단, 하부, 수직 등과 같은 방향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사용 시에 요구되는 배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제1 전기 구성요소(22)를 제2 전기 구성요소(24)에 정합시키기 위해 고출력 커넥터(20)(도 1, 도 3 및 도 5 참조)가 제공된다. 전기 구성요소(22, 24)들은 버스바(busbar)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일 수 있다. 커넥터(20)는 낮은 프로파일의 조립체를 제공하고, 작업자에게 커넥터(20)를 쉽고 신속하게 제1 전기 구성요소(22)와 조립하고 커넥터(20)를 제1 전기 구성요소(22)로부터 해제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해제를 제공하는 특징부들은 인체공학적이다. 전도성 결합 핀(26)이 제1 전기 구성요소(22)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 내에 삽입된 때 커넥터(2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커넥터(20)는 절연 하우징(28); 전기 구성요소(22, 24)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28) 내에 장착되는 전도성 몸체(30); 및 결합 핀(26) 및 제1 전기 구성요소(22)를 커넥터(20)에 해제가능하게 로킹하는, 하우징(28) 내에 장착되는 로크(32)를 포함한다.
제1 전기 구성요소(22)는 종래의 것이며, 반대편의 평탄 표면들을 갖는 세장형이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형상인 몸체에 의해 강성일 수 있다. 결합 핀(26)은 제1 전기 구성요소(22)의 개구(34) 내에 안착되어 결합 핀(26)을 제1 전기 구성요소(22)에 결합시킬 수 있고, 억지 끼워맞춤(press fit)에 의해 그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결합 핀(26)은 나사 부착 또는 표면 실장 등에 의해 제1 전기 구성요소(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6 참조), 결합 핀(26)은 제1 및 제2 단부(36a, 36b)들을 갖는 원통형 부분(36), 원통형 부분의 제2 단부(36b)에 근접하지만 이로부터 이격되어 원통형 부분(3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38), 및 원통형 부분(36)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언더컷 또는 홈(40)을 구비한다. 홈(40)은 제1 단부(36a)와 플랜지(38) 사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 핀(26)의 제2 단부(36b)는 그 상에 복수의 치형부(42)를 갖는데, 복수의 치형부는 결합 핀(26)의 제2 단부(36b)가 제1 전기 구성요소(22)의 개구(34) 내로 삽입되어 억지 끼워맞춤 장착을 제공할 때 제1 전기 구성요소(22) 내로 물고 들어간다. 결합 핀(26)의 제1 단부(36a)는 둥글게 되거나 구형일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8)은 함께 정합되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44, 46)들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분(44, 46)들은 제2 하우징 부분(46) 상의 제1 미늘(barb)(50)과 맞물리는 제1 하우징 부분(44) 상의 제1 아암(arm)(48)에 의해 그리고 제1 하우징 부분(44) 상의 제2 미늘(54)과 맞물리는 제2 하우징 부분(46) 상의 제2 아암(52)에 의해 함께 스냅 끼워맞춤(snap fit)된다. 하우징 부분(44, 46)들을 함께 정합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이 본 개시의 범주 내에 있다. 하우징 부분(44, 46)들이 함께 정합될 때,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벽(56, 58)들은 대향하는 상단 및 하단 벽(60, 62)들 및 대향하는 측벽(64, 66)들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하우징(28)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은 하우징(28)의 하단 내의 제1 개구(70)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은 후방 벽(58) 내의 또는 전방 벽(56) 내의 또는 상단 벽(60) 내의 제2 개구(72)까지 연장되는, 하우징을 통해 제공되는 통로(68)를 갖는다. 제2 개구(72)는 통로(68)보다 더 작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로(68)는 직각 커넥터가 제공되도록 L-형상이지만, 제2 개구(72)가 상단 벽(60)에 있을 때 선형 통로(68)가 제공된다.
각각의 측벽(64, 66)은 작업자에 의한 가압 하에 통로(68) 내에서의 가압된 상태로 그리고 각자의 측벽(64, 66)의 나머지에 대해 내향으로 가압될 수 있는 래치(74, 76)를 갖는다. 각각의 래치(74, 76)는 각자의 측벽(64, 66)의 나머지에 고정되고 상단 벽(60)으로부터 이격된 제1 벽 부분(74a, 76a), 및 제1 벽 부분(74a, 76b)에 직각인 제2 벽 부분(74b, 76b)을 갖는다. 래치(74, 76)들이 가압된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제1 벽 부분(74a, 76a)들은 측벽(64, 66)들에 평행하고, 제2 벽 부분(74b, 76b)들은 하단 벽(62)에 평행하다. 래치(74, 76)들의 제2 벽 부분(74b, 76b)들의 단부들은 서로 대면하지만 서로 이격되고, 이들 사이에 제1 개구(70)를 한정한다. 제1 개구(70)는 원형일 수 있다. 제1 개구(70)의 폭(W1)은 측벽(64, 66)들 사이의 방향으로 한정되고, 제1 개구(70)의 길이(L1)는 전방 벽(56)과 후방 벽(58) 사이의 방향으로 한정된다. 제1 개구(70)는 통로(68)보다 더 작다. 래치(74, 76)들의 각각의 제1 부분(74a, 76a)은 래치(74, 76)를 가압할 곳에 작업자에게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리브(78)를 그 외부 표면 상에서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부분(44, 46)들이 함께 정합될 때, 브리지(bridge)(80)가 하단 벽(62) 상에 제공되고 래치(74, 76)들의 제2 벽 부분(74b, 76b)들 위에서 연장된다(도 10 참조). 브리지(80)는 전방 벽(56)에 근접하고 측벽(64, 66)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방 수직 벽 부분(82), 후방 벽(58)에 근접하고 측벽(64, 66)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수직 벽 부분(84), 및 전방 및 후방 벽 부분(82, 84)들의 하부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측벽(64, 66)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부 벽 부분(86)을 갖는다. 전방 및 후방 벽 부분(82, 84)들은 서로 평행하고 래치(74, 76)들의 제1 벽 부분(74a, 76a)들에 직각이다. 하부 벽 부분(86)은 공간(88)이 사이에 제공되도록 래치(74, 76)들의 제2 벽 부분(74b, 76b)들에 평행하지만 이로부터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88)은 0.25 mm이다. 하부 벽 부분은 개구(70)와 정렬되지만 개구(7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관통하는 개구(90)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는 배럴(92), 제1 전기 구성요소(22)에 결합되는 제1 맞물림부(94), 및 제2 전기 구성요소(24)와 결합되는 제2 맞물림부(96)를 갖는다.
직각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배럴(92)은 대향하는 상단 및 하단 벽 표면(102, 104)들 및 대향하는 측벽 표면(106, 108)들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벽 표면(98, 100)들을 갖는다. 통로(112)를 형성하는 벽(110)은 하단 벽 표면(104)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 벽 표면(102)으로 개방될 수 있다. 통로(112)는 상단 벽 표면(102)으로부터, 하단 벽 표면(104)으로 연장되는 하부 부분(116)까지 연장되는 상부 부분(114)을 갖는다. 상부 부분(114)은 상부 벽(118)이 상부 부분(114)에 의해 한정되도록 하부 부분(116)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통로(112)의 중심선(CL)이 그의 단부들 사이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럴(92)은 그의 상부 및 하부 단부들에서 절두된 원통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맞물림부(94)는 배럴(92)로부터 별개로 형성되고 캡(122)에 의해 배럴(92)에 고정되는 접촉자(120)를 포함한다. 접촉자(120)는 벽(110)의 내측 표면의 형상에 대체로 일치하는 대체로 중공인 형상을 가져, 배럴(92) 내에 통로(112)를 형성한다. 접촉자(120)는 금 도금을 갖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자(120)는 접촉자(120)의 상부 단부로부터 접촉자(120)의 하단 단부까지 연장되는 통로(128)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복수의 개별 가요성 빔(beam)(126)이 외팔보형으로 나오는 링-유사(ring-like) 연결 부분(124)으로부터 형성된다. 접촉자(120)의 중심선이 단부들 사이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124)은 슬롯이 제공되도록 그의 원주 주위에서 불연속적이다. 연결 부분(124)은 연결 부분(124)의 원주 둘레에서 정렬될 수 있는 복수의 이격된 내향 연장 돌출부(130) 및 외향 연장 돌출부(130)가 연결 부분 상에 제공된다. 내향 및 외향 연장 돌출부(130)들은 연결 부분(124)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연결 부분(124)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사이에서 교번할 수 있다. 빔(126)들은 연결 부분(124)의 하부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각각의 빔(126)은 접촉자(120)의 중심선에 평행하고 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다. 빔(126)들은 연결 부분(124)의 원주 둘레에서 서로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빔(126)은 코너에서 연결 부분(124)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1 부분(132), 및 코너에서 제1 부분(132)의 단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2 부분(134)을 갖는다. 제1 부분(132)은 접촉자(120)의 중심선을 향해 내향으로 경사지고, 제2 부분(134)은 접촉자(120)의 중심선으로부터 외향으로 경사진다. 제1 부분(132)과 제2 부분(134) 사이의 코너들이 반경방향으로 둥글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분(132)과 제2 부분(134) 사이의 코너들이 접촉자(120)의 원주 둘레에서 정렬되고 내경을 한정한다. 제1 부분(132)과 제2 부분(134) 사이의 코너들에 의해 한정되는 내경은 결합 핀(26)의 원통형 부분(36)의 직경보다 더 작다. 접촉자(120)는 재료의 평평한 시트로부터 스탬핑되고 그 형상으로 말릴 수 있다. 접촉자(120)는 그 형상으로 기계가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캡(122)은 중앙 통로(138)를 한정하는 환상 하부 벽(136), 및 하부 벽(13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그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부 벽(140)을 갖는다.
접촉자(120)는 배럴(92) 내의 통로(112)의 하부 부분(116) 내에 안착되어, 접촉자(120)의 상부 및 하부 단부들은 배럴(92)의 상부 및 하부 단부들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통로(112)의 중심선(CL)과 접촉자(120)의 중심선이 정렬된다. 빔(126)들의 제2 부분(134)의 단부들은 통로(112)의 하부 부분(116)을 형성하는 벽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연결 부분(124)의 외측 표면은 하부 부분(116)을 형성하는 벽(110)의 내측 표면에 근접하고, 외향 연장 돌출부(130)들은 하부 부분(116)을 형성하는 벽(110)의 내측 표면에 맞닿는다. 캡(122)은 배럴(92) 및 접촉자(120)를 함께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캡(122)은 배럴(92) 및 접촉자(120)에 억지 끼워맞춤된다. 일 실시예에서, 캡(122)은 배럴(92) 및 접촉자(120)에 크림핑된다. 캡(122)의 벽(136)은 접촉자(120)의 내향 연장 돌출부(130)들에 대해 맞물리고, 내향 연장 돌출부(130)들에 의해 한정되는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캡(122)의 벽(136)이 연결 부분(124)과 맞물릴 때, 돌출부(130)들은 접촉자(120)를 배럴(92)에 고정하도록 변형된다. 상부 벽(140)은 배럴(92) 내의 통로(112)의 상부 부분(114) 내에 안착되고 상부 벽(118)과 맞물린다.
다른 제1 맞물림부들은 본 개시의 범주 내에 있다.
제2 맞물림부(96)는 제2 전기 구성요소(24)에 결합된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의 와이어들에 크림핑되는 크림프 몸체로서 형성될 수 있고, 납땜되거나 용접되거나 나사 부착 등등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맞물림부(96)는 제2 전기 구성요소(24)로부터 연장되는 핀과 정합하는 제1 맞물림부(94)를 위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복수의 가요성 빔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맞물림부(96)는 도금된 비아(via) 내로 삽입되거나 제2 전기 구성요소(24)의 접촉 패드에 표면 실장되는 핀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92)은 하우징(28) 내의 통로(68) 내에 안착되고 상단 벽(60)과 접촉하며 하단 벽(62)으로부터 이격된다. 측벽 표면(106, 108)들은 간극(142)들에 의해 래치(74, 76)들의 제1 벽 부분(74a, 74b)들로부터 이격된다. 개구(70, 90)들은 통로(112)와 정렬되고 하부 부분(116)의 하부 단부에 근접한다. 통로(112)의 중심선(CL) 및 접촉자(120)의 중심선은 개구(70, 90)들의 중심선들과 정렬된다. 제2 맞물림부(96)는 제2 개구(72)를 통해 하우징(28)의 후방 벽(58)의 외향으로 연장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32)는 제1 로크 벽(146) 및 제2 로크 벽(148.148)을 갖는다. 제1 로크 벽(146)은 제1 아암 부분(150) 및 제1 아암 부분(15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아암 부분(152)을 갖는다. 아암 부분(150, 152)들은 대체로 서로 직각이고 L-형상을 형성한다. 제2 로크 벽(148)은 제1 아암 부분(154) 및 제1 아암 부분(154)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아암 부분(156)을 갖는다. 아암 부분(154, 156)들은 대체로 서로 직각이고 L-형상을 형성한다. 아암 부분(152)의 단부는 아암 부분(154)에 근접하고, 아암 부분(156)의 단부는 아암 부분(150)에 근접한다. 아암 부분(150, 152, 154, 156)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평면에 속하고, 결합 핀(26)의 원통형 부분(36)이 관통하여 수용되도록 구성된 수용 개구(158)를 형성한다. 수용 개구(158)의 폭(W2)이 제2 아암 부분(152, 156)들 사이에 한정되고, 수용 개구(158)의 길이(L2)는 제2 아암 부분(150, 154)들 사이에 한정된다. 제1 로크 벽(146)은 제1 래치(74)와 접촉하고, 제1 래치(74)가 통로(68) 내로 가압될 때 제1 래치와 함께 이동가능하며, 제2 로크 벽(148)은 제2 래치(76)와 접촉하고, 제2 래치(76)가 통로(68) 내로 가압될 때 제2 래치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제1 아암 부분(150)은 제1 래치(74)의 제1 벽 부분(74a)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아암 부분(152)은 제1 래치(74)의 제2 벽 부분(74b)의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제1 아암 부분(154)은 제2 래치(76)의 제1 벽 부분(76a)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아암 부분(156)은 제2 래치(76)의 제2 벽 부분(76b)의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로크(32)는 제1 로크 벽(146)으로부터 그리고 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3 로크 벽(160), 제2 로크 벽(148)으로부터 연장되고 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4 로크 벽(162), 및 제3 및 제4 로크 벽(160, 162)들에 직각이고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5 로크 벽(164)을 더 포함한다. 제3 및 제4 로크 벽(160, 162)들은 서로 평행하다. 제5 로크 벽(164)은 제1 및 제2 로크 벽(146, 148)들의 반대편에 있고 이들에 평행하다.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로크 벽(146, 148, 160, 162, 164)들은 개방된 전방 및 후방 단부들을 갖는 박스 형상을 형성한다. 제2 아암 부분(152)의 외측 단부는 제4 로크 벽(162)에 근접하지만 간극(166)에 의해 이로부터 이격되며, 제2 아암 부분(156)의 외측 단부는 제3 로크 벽(160)에 근접하지만 간극(166)에 의해 이로부터 이격된다. 로크(32)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시트로부터 스탬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로크(32)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32)는 수용 개구(158)가 제1 개구(70)와 정렬되고 이에 근접하며 개구(90)와 정렬되는 상태로 통로(68) 내에 안착된다. 로크(32)는 배럴(92)을 둘러싼다. 제1 및 제2 로크 벽(146, 148)들은 하우징(28)의 하단 벽(62)에 평행하지만 이로부터 이격된다.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 로크 벽(146, 148)들은 배럴(92)의 하단 벽 표면(104)에 근접하며, 배럴(92)의 하단 벽 표면(104)에 맞닿을 수도 있다. 제1 로크 벽(146)의 제1 아암 부분(150)의 후방 단부(150a)는 하우징(28)의 후방 벽(58)에 의해 형성된 통로(68)의 후방 벽의 내측 표면에 맞닿는다. 제2 로크 벽(148)의 제1 아암 부분(154)의 전방 단부(154a)는 하우징(28)의 전방 벽(56)에 의해 형성된 통로(68)의 전방 벽의 내측 표면에 맞닿는다. 제3 로크 벽(160)은 제1 래치(74)의 제1 벽 부분(74a)의 내측 표면에 맞닿고, 배럴(92)의 측벽 표면(106)에 근접하지만 간극(142)에 의해 이로부터 이격된다. 제4 로크 벽(162)은 제2 래치(76)의 제1 벽 부분(76a)의 내측 표면에 맞닿고, 배럴(92)의 측벽 표면(108)에 근접하지만 간극(142)에 의해 이로부터 이격된다. 제5 로크 벽(164)은 상단 벽(60)의 하부 표면에 근접하고 이에 맞닿는다. 래치(74, 76)들이 가압된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수용 개구(158)의 폭(W2)은 제1 개구(70)의 폭(W1) 미만이고, 수용 개구(158)의 길이(L2)는 제1 개구(70)의 길이(L1) 이상이다.
래치(74)가 통로(68) 내로 내향으로 가압될 때, 제3 로크 벽(160) 및 제1 로크 벽(146)은 측벽(66)을 향해 이동된다. 후방 벽(58)과의 제1 아암 부분(150)의 맞물림은 제3 로크 벽(160) 및 제1 로크 벽(146)의 이동을 제한하여, 제3 로크 벽(160) 및 제1 로크 벽(146)은 측벽(66)을 향해서만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래치(76)가 통로(68) 내로 내향으로 가압될 때, 제4 로크 벽(162) 및 제2 로크 벽(148)은 측벽(64)을 향해 이동된다. 전방 벽(56)과의 제1 아암 부분(154)의 맞물림은 제4 로크 벽(162) 및 제2 로크 벽(148)의 이동을 제한하여, 제4 로크 벽(162) 및 제2 로크 벽(148)은 측벽(64)을 향해서만 이동한다. 수용 개구(158)의 길이(L2)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둘 모두의 래치(74, 76)들이 가압될 때, 제2 아암 부분(152, 156)들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함으로써, 수용 개구(158)의 폭(W2)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이동 하에 제1 아암 부분(150, 154)들의 일부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제1 아암 부분(150)과 후방 벽(58) 및/또는 제1 아암 부분(154)과 전방 벽(56) 사이에 간극이 제공될 수 있다.
결합 핀(26)은 도구의 사용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커넥터(20)에 부착되고 커넥터(2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커넥터(20)에 결합 핀(26)을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 핀(26)의 원통형 부분(36)의 제1 단부(36a)는 개구(90)를 통해 그리고 이어서 하우징(28)의 제1 개구(70)를 통해, 로크(32)의 수용 개구(158)를 통해 접촉자(120) 내로 삽입된다. 원통형 부분(36)은 래치(74, 76)들이 가압된 상태에 있지 않을 때의 수용 개구(158)의 폭(W2)보다 더 크고 래치(74, 76)들이 가압된 상태에 있지 않을 때의 수용 개구(158)의 길이(L2)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1 단부(36a)가 제1 및 제2 로크 벽(146, 148)들의 제2 아암 부분(152, 156)들과 접촉할 때, 제2 아암 부분(152, 156)들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함으로써 수용 개구(158)의 폭(W2)을 증가시킨다. 제1 단부(36a)의 둥근 또는 구형 형상은 결합 핀(26)을 위한 도입부(lead-in)를 제공한다. 이는 래치(74, 76)들이 측벽(64, 66)들로부터 약간 외향으로 이동하게 할 것이다. 원통형 부분(36)은 빔(126)들과 맞물리며, 이는 빔(126)들이 통로(112)의 중심선(CL)으로부터 외향으로 휘어지게 한다. 이는 결합 핀(26)과 접촉자(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결합 핀(26)은 플랜지(38)가 개구(90) 내에 안착될 때까지 하우징(28)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홈(40)은 제2 아암 부분(152, 156)들과 정렬되고, 래치(74, 76)들은 그들의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다시 돌아가며, 이는 제2 아암 부분(152, 156)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하여 수용 개구(158)의 폭(W2)을 감소시키고 홈(40) 내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는 결합 핀(26)이 커넥터(20)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브리지(80)는 제1 및 제2 로크 벽(146, 148)들의 상승을 제어하고, 커넥터(20)의 낮은 프로파일을 유지하면서 래치(74, 76)들의 보유력을 개선한다. 공간(88)의 치수는 래치(74, 76)들의 편향을 제어한다.
결합 핀(26)은 작업자가 래치(74, 76)들을 통로(68) 내로 가압함으로써 커넥터(20)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래치(74, 76)들이 통로(68) 내로 내향으로 가압될 때, 제3 로크 벽(160) 및 제1 로크 벽(146)은 측벽(66)을 향해 이동되고, 제4 로크 벽(162) 및 제2 로크 벽(148)은 측벽(64)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수용 개구(158)의 폭(W2)을 증가시킨다. 이는 제2 아암 부분(152, 156)들을 홈(40) 밖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결합 핀(26)을 커넥터(20) 밖으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로크(32)의 제5 로크 벽(164)은 제공되지 않고, 제3 및 제4 로크 벽(160, 162)들의 후방 단부들은 하우징(28)의 래치(74, 76)들에 고정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로크(32)의 제3, 제4 및 제5 로크 벽(160, 162, 164)들이 제거되며, 제1 로크 벽(146)이 제1 래치(74)에 부착되고 제2 로크 벽(148)이 제2 래치(76)에 부착된다. 수용 개구(158)는 제1 개구(70)와 정렬되고 이에 근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합 핀(26)이 커넥터(20) 내에 안착될 때 결합 핀(26)의 제1 단부(36a)에 근접하는 벽은 그를 통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가 예시되고 도면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을 고안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가 도면에 예시되고 이와 관련하여 논의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수정 및 다른 실시예가 본 개시 및 첨부된 도면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전술한 설명 및 연관된 도면은 요소 및/또는 기능의 특정 예시적인 조합의 맥락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술하지만,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요소 및/또는 기능의 상이한 조합이 대안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전술한 설명은 다수의 단계의 수행을 인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방법 내의 하나 이상의 단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단계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단계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Claims (20)

  1. 제1 및 제2 전기 구성요소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커넥터로서,
    관통하는 통로를 갖고 제1 및 제2 개구들에서 종료되는 절연 하우징 - 제1 래치(latch)가 벽들 중 제1 벽과 연관되고, 제2 래치가 벽들 중 제2 벽과 연관되며, 각각의 래치는 통로 내로 가압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음 -;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전도성 몸체 - 전도성 몸체는 전도성 몸체를 제1 전기 구성요소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1 맞물림부 및 전도성 몸체를 제2 전기 구성요소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2 맞물림부를 가지며, 제1 맞물림부는 제1 개구와 정렬되고, 제2 맞물림부는 제2 개구와 정렬됨 -; 및
    통로 내에 장착되는 로크(lock) - 로크는 제1 래치가 통로 내로 가압될 때 제1 래치와 접촉하고 이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1 로크 벽 및 제2 래치가 통로 내로 가압될 때 제2 래치와 접촉하고 이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2 로크 벽을 가지며, 각각의 로크 벽은 각자의 래치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arm) 부분 및 제1 아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아암 부분을 갖고, 아암 부분들은 제1 전기 구성요소가 관통하여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수용 개구를 형성하며, 수용 개구는 제1 개구에 근접하고, 수용 개구는 래치들이 가압된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제1 개구보다 작은 치수를 가짐 -
    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홈을 내부에 갖는 몸체 부분을 포함하는 결합 핀과 조합되어, 제1 및 제2 로크 벽들은 홈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아암 부분은 각각의 로크 벽에서의 제2 아암 부분에 직각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결합 핀과 조합되어, 결합 핀은 홈을 내부에 갖는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로크 벽들은 홈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로크는 제1 로크 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래치에 맞닿는 제3 로크 벽, 제2 로크 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래치에 맞닿는 제4 로크 벽, 및 제3 로크 벽과 제4 로크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5 로크 벽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로크는 강철로 스탬핑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로크는 전도성 몸체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로크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로크는 제1 로크 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래치에 맞닿는 제3 로크 벽, 제2 로크 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래치에 맞닿는 제4 로크 벽, 및 제3 로크 벽과 제4 로크 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5 로크 벽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결합 핀과 조합되어, 결합 핀은 홈을 내부에 갖는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로크 벽들은 홈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로크는 전도성 몸체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제1 맞물림부는 전도성 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외팔보형으로 된 복수의 이격된 빔(beam)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빔은 전도성 몸체의 상기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분에 대해 경사진 제2 부분을 갖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홈을 내부에 갖는 몸체 부분을 포함하는 결합 핀과 조합되어, 제1 및 제2 로크 벽들은 홈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몸체 부분은 빔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맞물림부는 전도성 몸체의 일부분에 부착되는 링-유사(ring-like) 연결 부분 및 연결 부분으로부터 외팔보형으로 된 복수의 이격된 빔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빔은 연결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분에 대해 경사진 제2 부분을 갖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홈을 내부에 갖는 몸체 부분을 포함하는 결합 핀과 조합되어, 제1 및 제2 로크 벽들은 홈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몸체 부분은 빔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제2 맞물림부는 제2 전기 구성요소에 대해 크림핑될(crimped) 수 있는 전도성 몸체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일부분은 하우징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분에 크림핑되는 와이어들과 조합되는, 커넥터.
  18. 제1항에 있어서, 제1 개구 위에서 연장되는 브리지(bridge)를 더 포함하고, 브리지는 제1 개구에 근접하게 상기 벽에 연결되며, 브리지는 제1 개구와 정렬되는 관통 개구를 갖는 벽을 구비하고, 브리지의 벽은 제1 개구로부터 이격되는,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브리지를 통한 개구는 제1 개구보다 더 큰,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함께 스냅 끼워맞춤(snap fit)되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47002751A 2021-06-28 2021-06-28 고전력 커넥터 KR20240026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21/055762 WO2023275587A1 (en) 2021-06-28 2021-06-28 High power connector
IN202141028852 2021-06-28
IN202141028852 2021-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197A true KR20240026197A (ko) 2024-02-27

Family

ID=8469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751A KR20240026197A (ko) 2021-06-28 2021-06-28 고전력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250473A1 (ko)
EP (1) EP4364251A1 (ko)
JP (1) JP2024520735A (ko)
KR (1) KR20240026197A (ko)
CN (1) CN117561652A (ko)
TW (2) TWI839762B (ko)
WO (1) WO20232755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8237U (en) * 2002-04-30 2003-04-11 Hon Hai Prec Ind Co Ltd Power connector
US6695644B2 (en) * 2002-04-30 2004-02-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ower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CN2757377Y (zh) * 2004-10-13 2006-0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734191B2 (en) * 2011-10-06 2014-05-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connector system
US9059542B2 (en) * 2013-07-23 2015-06-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power connector
US9225116B2 (en) * 2013-07-23 2015-12-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power connector isolating system
JP6815699B2 (ja) * 2017-01-24 2021-01-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10092424U (zh) * 2019-07-22 2020-02-18 菲尼克斯亚太电气(南京)有限公司 电连接器用插座及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20735A (ja) 2024-05-24
US20240250473A1 (en) 2024-07-25
TW202429766A (zh) 2024-07-16
CN117561652A (zh) 2024-02-13
TWI839762B (zh) 2024-04-21
WO2023275587A1 (en) 2023-01-05
EP4364251A1 (en) 2024-05-08
TW202308232A (zh)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5626B2 (ja)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EP2790273B1 (en) Female connector, ma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onnectable in a straight or right angle configuration
US9039463B2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JPH0782892B2 (ja) ドロワコネクター
CN111564721B (zh) 电连接器
US20170288339A1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JP6190348B2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及びアダプタ
US20070059973A1 (en) Hot plug wire contact and connector assembly
JP2018092780A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US5888107A (en) Male contact
JPH05198333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EP3503306B1 (en) Receptacle connector housing with hold-down ribs
US113941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240026197A (ko) 고전력 커넥터
US6217356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arc arresting region
CN110323606B (zh) 连接器的接触件安装结构及接触件
JP6249766B2 (ja) リアホルダ
CN113555740A (zh) 插头连接器
CN107546516B (zh) 连接器端子和端子连接结构
US20040224575A1 (en)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socket contact
US20240014587A1 (en) Conductive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elastic pieces
CN110323646B (zh) 连接器的接触件及使用该接触件的连接器
CN110323605B (zh) 带电插拔连接器及其接触件
CN219419599U (zh) 一种端子锁定件及连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