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670A -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670A
KR20240025670A KR1020247003004A KR20247003004A KR20240025670A KR 20240025670 A KR20240025670 A KR 20240025670A KR 1020247003004 A KR1020247003004 A KR 1020247003004A KR 20247003004 A KR20247003004 A KR 20247003004A KR 20240025670 A KR20240025670 A KR 2024002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message
charger
vehicl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오 왕
Original Assignee
창춘 제티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춘 제티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창춘 제티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2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6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충전기와 차량간의 메시지전송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송신된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시, 상기 충전기의 출력 전류 범위를 해석하고 획득하며,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이 수신된 메시지와 자체설정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기에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본 명세서는 어댑터의 자체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보호하여, 어댑터의 사용 안전성을 높이고, 신에너지 차량 충전중의 안전성와 신뢰성을 높일수가 있다.

Description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
본 발명은 2021년 7월 23일자로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110839623.8이고, 발명의 명칭이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부 내용을 인용함으로써 본 출원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본 출원은 전기자동차의 기술분야에 속하고, 구체적으로 어댑터의 제어장치,방법,어댑터 및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날로 드러나는 에너지 위기와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에너지 자동차는 이미 각지의 주요한 발전전략으로 되었고, 신에너지 자동차의 비교적 중요한 난점은 자동차 항속과 충전 능력에 있으므로, 차량 충전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현재 중요한 핫 이슈로 되고 있다. 상이한 충전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하는 과정에서, 상위 호환성의 문제가 존재하게 되고, 유저는 예를 들면 GB2015와 같은 직류 충전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상이한 차량에 충전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며, 양단의 인터페이스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어댑터를 설계하여 차량과 충전기를 연결해야 하는데, 기존의 어댑터는 단지 전류 전송의 기계장치를 구비하는 바, 충전과정에서 전류의 조절은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에 의해 실현되며, 구체적으로 차량과 충전스테이션은 직접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과 충전스테이션간의 정보 상호 작용(Information Interaction)을 통하여, 충전스테이션의 출력 전류를 조절하나, 충전중 어댑터의 전류 적재 능력이 고려되지 않는다면, 화재의 위험을 초래하고, 나아가 보다 큰 안전상의 위험성을 야기하게 되는 바, 신에너지 자동차 충전과정에 존재하는 안전성은 현재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술과제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기술에 존재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에너지 자동차 충전중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어댑터 및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어댑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충전기와 차량간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송신된 충전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시, 상기 충전기의 출력 전류 범위를 해석하여 획득하고,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수신된 메시지와 자체설정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기에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어댑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절차;상기 메시지중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전류 범위를 해석 및 획득하는 절차;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상기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하고 차량에 송신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 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류 변환장치와 상기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충전기, 차량,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충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충전기와 차량간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송신된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시, 상기 충전기의 출력 전류 범위를 해석하여 획득하고,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수시된 메시지와 자체설정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기에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발명은 어댑터 자체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어댑터를 보호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어댑터의 사용 안전성을 높이고, 나아가 신에너지 차량 충전중의 안전성와 신뢰성을 높일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우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실시예 혹은 기존기술에 따른 기술안을 보다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혹은 기존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물론 하기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진보적인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어낼수가 있는것으로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제어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제어장치의 다른 구조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제어장치의 또 다른 구조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제어방법의 절차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격 전류 비교 과정 절차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작동 흐름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장치의 구조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안에 대하여 명료하고 완정하게 설명하지만, 물론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전부의 실시예를 대표할 수는 없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진보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어내는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와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은 특정된 순서 혹은 선후순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대상을 구별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도시 혹은 설명된 순서이외의 기타 순서로 실시될 수 있도록, 이러한 데이터는 적당한 상황에서 호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포함한다"와 "구비한다"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으로 포함하는것을 의미하는 바, 예를 들면 일련의 절차 혹은 유닛의 과정, 방법, 장치, 제품 혹은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나열된 절차 혹은 유닛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혹은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혹은 디바이스 고유의 기타 절차 혹은 유닛을 포함할 수가 있다.
신에너지 차량 충전중 어댑터에 의해 충전기(혹은 충전스테이션)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류 변환(예를 들면,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한 후에 차량 배터리에 출력하여 차량을 충전하는데, 기존의 어댑터는 단지 전류 전송의 기계장치를 구비할 뿐, 충전중 전류의 조절은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실현되며, 구체적으로 차량과 충전스테이션이 직접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과 충전스테이션간의 정보 상호 작용(Information Interaction)을 통해 충전스테이션 출력 전류를 조절하나, 어댑터의 전류적재 능력이 충전중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에,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하고, 나아가 보다 큰 안전상의 위험성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는 어댑터 자체 최대 적재 전류를 결합하여 차량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충전기가 지나치게 높은 전류를 출력하여 어댑터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주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0)는 통신모듈(11)과 제어모듈(12)을 포함하되, 상기 통신모듈(11)은 충전기(20)와 차량(30)간의 메시지 전송을 실현하고, 충전기(20)와 차량(30)간의 메시지의 전달을 통하여 충전 전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상기 제어모듈(12)은, 상기 충전기(20)로부터 송신된 충전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시,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전류 범위를 해석 및 획득하고,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어댑터(40)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30)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차량(30)이 수신된 메시지와 자체설정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기(20)에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해당 제어장치(10)를 설치함으로써, 충전기(20)로부터 송신된 출력 능력 메시지(예를 들면, CML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가 있고, 해당 출력 능력 메시지를 통해 충전기(20)의 출력 전류 범위를 획득함으로써, 어댑터(40)의 정격 전류와 출력 전류 범위의 관계를 결정하고, 출력 능력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30)이 획득한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출력 전류 범위가 상기 정격 전류 범위내에 놓이도록 하여, 어댑터(40)가 고전류환경하에서 작동하는것을 방지하고, 고온에 따른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여, 충전의 안전성을 높일수가 있다.
상기 어댑터(40)의 정격 전류는 어댑터(40)의 최대허용전류일 수 있고, 즉 안전전류값일 수 있으며, 안전전류값이하의 전류환경에서, 어댑터(40)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가 있고, 지속적으로 작동하더라도 과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정격 전류는 어댑터(40)의 단자 및 소재에 의해 결정되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0)의 정격 전류는 주어진 값이고, 상이한 어댑터(40)의 정격 전류는 각각 상이하며, 본 명세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통신모듈(11)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모듈일 수 있고, 메시지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할 수가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CAN통신모듈은 상기 충전기(2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CAN레벨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모듈(12)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모듈(12)은 수신된 레벨 신호에 대하여 일정하게 처리하고, 다시 대응하는 메시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CAN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30)에 전달하여, 차량(30)으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 데이터에 대하여 유사한 처리를 수행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12)은 일정한 계산 처리 능력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일 수 있고, 예를 들면, MCU모듈일수 있으며, 일정한 처리로직을 저장하고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시 처리로직의 운행을 트리거함으로써, 대응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모듈(12)은 마이크로컨트롤러, 다수의 I/O인터페이스 집적 칩 등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모듈(12)은 제1판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판단유닛의 작동원리는 하기와 같다.
수신된 메시지가 출력 능력 메시지인지 그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예"라고 판단되면, 상기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출력 전류 정보를 해석 및 획득하고;
만일 "아니요"라고 판단되면, 직접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출력 능력 메시지외의 메시지를 직접 전달함으로써 , 충전기(20)와 차량(30)간의 통신효율을 보장할 수가 있고, 사전에 설치된 메시지해석룰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해석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사전에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중의 메시지 생성방식에 근거하여 메시지의 해석방식등을 획득하되, 각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과 콘텐츠가 상이하므로, 메시지 포맷과 콘텐츠를 통해 출력 능력 메시지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으며, 한편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의 메시지 포맷도 상이하므로, 본 명세서는 출력 능력 메시지의 판단반식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출력 전류 범위는 최소 출력 전류와 최대 출력 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어댑터(40)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30)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는,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작으면, 상기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충전 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및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고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크면,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고, 상기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중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상기 정격 전류를 초과하지 않는 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20)가 상기 차량(30)에 송신한 출력 능력 메시지는 전류를 출력가능한 최대값과 최소값으로서, 차량(30)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해당 출력 전류가 차량(30)의 배터리 접수 범위내에 놓이는지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차량(30)의 배터리를 보호한다. 해당 출력 능력 메시지를 차량(30)으로 송신하기 전에, 어댑터(40)의 제어장치(10)를 통해 출력 능력 메시지에 대하여 적당한 조절을 수행함으로써, 충전기(20)의 출력 전류가 어댑터(40)에 대하여 가외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여, 어댑터(40)를 보호하고, 충전의 체험감을 높일수가 있다.
실제 작동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20)는 지정된 빈도로 차량(30)에 지속적으로 상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제어모듈(12)은 수신된 출력 능력 메시지에 근거하여, 어댑터(40)의 정격 전류를 결합하여 상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30)이 최적화된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차량(30)이 통신모듈(11)이 송신한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시, 자체설정파라미터(예를 들면, 배터리 전류 적재 능력 등)을 결합하여, 소정된 피드백룰에 따라 상기 충전기(20)에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충전기(20)가 수신된 피드백 메시지에 따라 전류를 출력하도록 한다. 그중,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차량 BMS이 충전기(20)로 송신한 출력 전류 메시지이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2)은 제2판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판단모듈의 작동원리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작은지 그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예"라고 판단되면, 충전기(20)가 출력할 수 있는 최소전류가 지나치게 커서, 이미 어댑터(40)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초과한 것을 의미하므로, 이때 충전기(20)가 충전하기에 불적합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상기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30)이 상기 충전기(20)에 BST(Battery STop)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며;
만일 "아니요"라고 판단되면, 계속하여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은지 그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지 않으면, 충전기(20)의 출력이 어댑터(4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직접 상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상기 차량(30)에 전달하며;
만일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으면, 충전기(20)가 정격 전류보다 큰 전류를 출력시 어댑터(40)에 불리한 영향을 준다는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중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상기 정격 전류를 초과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조절후의 모터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상기 정격 전류와 동일하고, 이로써 충전기(20)의 높은 출력 전류를 보장하여, 충전의 효율을 높일수가 있으므로, 차량 사용의 체험감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의 전송율을 높이고, 송신 정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모듈(11)은 제1통신유닛(111)과 제2통신유닛(112)을 포함하되,
상기 제1통신유닛(111)은 상기 충전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기(20)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2)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모듈(12)은 상기 메시지정보가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인지 그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예"라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정보를 해석하는 절차 및 그 후의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2통신유닛(112)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만일 "아니요"라고 판단되면, 수신된 메시지정보를 상기 제2통신유닛(112)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송신한다.
제1통신유닛(111)과 제2통신유닛(112)을 설치함으로써, 충전기(20)와 차량(30)에 각각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단일개의 통신유닛(예를 들면, 제1통신유닛(111) 혹은 제2통신유닛(112)에 의한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하고, 데이터 변환과 송신의 효율을 높일수가 있다.
유의할 점이라면, 제1통신유닛(111)과 제2통신유닛(112)의 설치는 본 설명서의 실시예의 일종 실시방식에 불과하고, 일부 기타 실시예에는 보다 많거나 혹은 적은 통신유닛에 의해 실현될 수가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0)는 일정한 엔티티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기능 모듈의 하드웨어장치를 구현하므로, 별도로 설치될 수가 있으며, 충전기(20), 어댑터(40) 및 차량(30)과 통신열결되며, 나아가 상기 제어장치(10)는 어댑터(40)에 장착되며,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10)를 어댑터(40)의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제어장치(10)를 상기 어댑터(40)의 일부로 형성함으로써, 어댑터(40)의 기능을 높이고, 어댑터(40)의 통신기능을 증가하며, 그 자체제어모듈(12)에 의해 자체를 보호함으로써, 어댑터(40)의 적응 범위를 높일 수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0)를 차량(30)에 장착하고, 상기 제어장치(10)는 차량 BMS과 통신연계를 구축하며, 어댑터(40)의 정격 전류를 사전에 획득하고 보존함으로써, 상기 기능을 실현한다. 나아가,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10)는 충전기(20)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실제 작동시 실제상은 충전기(2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제어장치(10)를 통해 상기 차량(30)에 전달함으로써, 충전기(20)와 차량(30)간의 데이터 상호작용을 실현한다.
유의할 점이라면, 상기 제어장치(10)가 차량(3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10)의 기능은 상기 차량 BMS에 집중되고, 즉 상기 차량 BMS은 상기 제어장치(10)의 대응하는 기능을 증가함으로써, 어댑터(40)를 보호하고, 이로써 단지 소프트웨어 로직을 증가함에 따라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으며, 가능한 하드웨어장치의 증가를 줄일수가 있으므로, 장치의 증가에 따른 코스트와 개조 코스트를 낮출수가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0)가 상기 어댑터(40)에 장착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0)는 온도검출모듈(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검출모듈(13)은 어댑터 단자의 작동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한 온도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12)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모듈(12)은 상기 온도데이터와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30)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어댑터(40)에 온도검출모듈(13)을 설정함으로써, 어댑터(40)를 보다 잘 보호할 수가 있으며,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 그 작동효율에 영향주고, 나아가 화재를 초래하는 등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상기 온도검출모듈(13)은 온도센서일 수 있고, 어댑터(40)의 단자 온도(DC+와 DC-)를 수집할 수가 있으며, 구체적인 설치 위치에 관하여 본 명세서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소정 임계값은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제2임계값보다 작다.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30)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는,
상기 온도데이터가 상기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 사이에 놓일 시, 상기 충전기(20) 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여, 상기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중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소정 전류인 절차; 및
상기 온도데이터가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어댑터(4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경계값일 수 있고,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어댑터(40)가 안전상태에 처할 수 있는 극한값일 수 있으므로, 어댑터(40)의 온도가 상기 제1임계값을 초과하고 제2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어댑터(40)가 정상 범위내에 놓이지 않았으므로 냉각처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어댑터(40)의 온도가 상기 제2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어댑터(40)가 위험상태에 있으므로, 작동을 바로 중지하여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하는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임계값과 상기 제2임계값은 예를 들면 어댑터(40)의 구조, 소재, 기능 등 어댑터(40)의 실제 디자인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임계값과 상기 제2임계값의 구체적인 값은 본 명세서에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그중, 상기 소정 전류는 디레이팅 전류값일 수 있고, 현재 전류가 높아 어댑터(4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전류 디레이팅처리를 수행하여 어댑터(40)의 온도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으며, 실제 작동에서, 상기 소정 전류는 고정된 값이 아니고, 실제 전류와 어댑터 상태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디레이팅처리룰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설치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지정된 경사도에 따라 현재 충전전류에 대하여 균등하강처리를 수행할 수가 있으며, 지정된 시간내에 상기 어댑터(40)의 온도가 선명하게 하강되지 않거나 혹은 상기 제1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하강 한도를 증가함으로써, 어댑터(40)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기타 디레이팅처리룰이 존재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등비율에 따라, 현재 충전전류에 근거하여, 매번마다 지정된 비율(예를 들면, 10%,20% 등)에 따라 하강시켜 소정 전류를 형성할 수가 있다. 물론 기타 디레이팅처리룰이 존재할 수가 있고, 상기 소정 전류는 고정된 값일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0)가 상기 어댑터(40)에 설치되는 경우, 수신된 출력 능력 메시지에 대하여 정격 전류와 온도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시에 처리하고 조절하여, 처리후의 최적의 결과를 차량(30)에 송신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1)정격 전류가 최소 출력 전류보다 작거나 혹은 어댑터 온도데이터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기타 데이터와 관계없이, 상기 제어모듈(12)은 상기 차량(30)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2)정격 전류가 최소 출력 전류와 최대 출력 전류사이에 놓이고, 어댑터(40)의 온도데이터가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 사이이면, 일단 디레이팅처리를 통해 얻어낸 소정 전류를 결정하고, 정격 전류와 소정 전류를 비교하며, 그중의 작은 값을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로 사용한다.
이로써, 정격 전류와 충전기(20)의 출력 전류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어댑터(40)의 온도데이터에 따른 어댑터(40)의 작동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수가 있으므로, 종합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어댑터(40)의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0)는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 모듈은 충전기(20)의 보조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10)중의 기타 기능모듈(예를 들면, 통신모듈(11), 제어모듈(12), 온도검출모듈(13) 등)에 대하여 충전하며, 바람직하게, 전압을 통하여 소전압 환경으로 변환하여(12V을 5V으로 변환) 상기 모듈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구상에 근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어댑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어댑터(40) 작동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제어방법의 절차 개략도로서, 본 명세서는 실시예 혹은 흐름도에 따른 방법 조작 절차를 제공하나, 일반적인 혹은 진보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보다 많은 혹은 적은 조작 절차를 포함할 수가 있다. 실시예에 나열된 절차 순서는 단지 많은 절차 수행 순서중의 일종 방식으로서, 유일한 수행 순서를 대표하지는 않는다. 실제 시스템 혹은 장치 제품의 수행시, 실시예 혹은 도면에 도시된 방법 순서에 따라 수행되거나 혹은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절차(S101);
메시지중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전류 범위를 해석하고 획득하는 절차(S102) ;및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상기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하고 차량에 송신하는 절차(S103);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방식에 따르면, 충전기(20)로부터 송신된 출력 능력 메시지(예를 들면, CML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해당 출력 능력 메시지를 통해 충전기(20)의 출력 전류 범위를 획득함으로써, 어댑터(40)의 정격 전류와 출력 전류 범위의 관계를 결정하고, 나아가 출력 능력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차량(30)에 의해 획득된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출력 전류 범위가 상기 정격 전류 범위내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어댑터(40)가 고전류 환경하에서 작동하는것을 방지하여, 고온에 따른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 충전의 안전성을 높일 수가 있다.
작동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어댑터(40)는 자아 검증을 진행하여, 제어장치(10)중의 기능모듈(예를 들면, 통신모듈(11), 제어모듈(12)과 온도검출모듈(13))의 합격여부를 검측하고, 예를 들면 단락 여부, 회로 차단 여부, 통신 비상 등 고장을 검측할 수 있다. 고장 발생시 제시간에 경고를 알림으로써, 유저가 제시간에 상기 어댑터를 교체하거나 혹은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출력 전류 범위는 최소 출력 전류와 최대 출력 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상기 어댑터(40)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차량(30)에 송신하는 메시지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는,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작으면,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 및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고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크면,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여, 상기 통신모듈(11)을 통해 상기 차량(30)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중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20)의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상기 정격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절차; 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20)가 상기 차량(30)에 송신하는 출력 능력 메시지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최대값과 최소값으로서, 차량 배터리제어시스템(BMS)에 의해 해당 출력 전류가 차량(30)의 배터리 접수 범위내에 놓이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해당 출력 능력 메시지는 차량(30)에 송신되기 전에 어댑터(40)의 제어장치(10)에 의해 적당하게 조절된 것이고, 이로써 충전기(20)의 출력 전류는 어댑터(40)에 대하여 가외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으며, 나아가 어댑터(40)를 보호하고, 충전의 체험감을 높일 수가 있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0)의 구체적인 작동원리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소 출력 전류이하인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S201);
만일 "예"라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해 충전을 중지하도록 차량 배터리를 제어하는 절차(S202);
만일 "아니요"라고 판단되면, 계속하여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은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S203);
만일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고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크면, 상기 충전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고,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상기 차량에 송신하되,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상기 정격 전류인 절차(S204);
만일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크면, 상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직접 상기 차량에 전달하는 절차(S205).
어댑터(40)가 작동중에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어댑터 단자의 온도데이터를 실시로 획득하는 절차;
상기 온도데이터가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 사이이면, 상기 충전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고,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소정 전류이고,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제2임계값보다 작은 절차;및
상기 온도데이터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를 더 포함한다.
어댑터의 작동 온도를 수집하고 더 처리함으로써, 어댑터의 작동상태를 실시로 제어할수가 있음으로써, 어댑터 작동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상기 방법의 작동 흐름 개략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장치를 연결하고, 충전기를 접속하여, 어댑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절차(1);
어댑터에 대하여 자아 검증하고, 자아 검증의 합격여부를 판단하며, 그중 어댑터 자아 검증은 통신모듈, 제어모듈, 온도검출모듈의 정상여부 예를 들면 회로연결상황, 통신기능, 제어기능의 정상여부를 검출하는 절차(2);
자아 검증 결과에 근거하여, 자아 검증이 합격되면, 충전의 준비 작동을 수행하고, 우선 어댑터단자의 온도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온도가 제2임계값을 초과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어댑터가 본 차례 충전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절차(3);
어댑터 자아 검증이 불합격하거나 혹은 어댑터자체 온도가 제2임계값을 초과하면 어댑터가 정상적인 작동상태가 아닌 바, 충전을 중지해야 하는것을 의미하고, 이때 어댑터는 차량 BMS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차량 BMS이 상기 충전중지 메시지를 수신시,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절차(3.1);
어댑터자체가 양호한 작동상태이면(예를 들면, 온도가 제2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어댑터가 충전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차량 BMS에 대한 통신을 구축하는 절차(4);
어댑터가 충전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신모듈을 통해 어댑터 핸드쉐이크 메시지(어댑터가 자주적으로 생성한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차량 BMS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차량 BMS이 상기 충전기와 직접적인 통신을 구축한 기초에서, 본 차례의 충전에 어댑터가 참여된 것을 확인하고, 대응하게, 어댑터가 충전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충전기가 차량 BMS에 해당 충전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여, 상기 어댑터는 절차3를 실시간으로(혹은 지정 주기에 따라)수행하여 어댑터가 시시각각 정상 작동 상태에 처하도록 하는 절차(5);
차량 BMS에 따른 어댑터 핸드쉐이크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수신하였다면, 차량 BMS이 어댑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고, 어댑터와의 상호작용이 성공한 것을 의미함으로써, 후속되는 충전작동을 수행할 수 있고, 대응하게 만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어댑터는 상기 차량 BMS이 어댑터 핸드쉐이크 메시지의 피드백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다시 상기 차량 BMS에 어댑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6);
차량 BMS이 각각 충전기 및 어댑터와 통신을 구축한 후에 바로 충전요구 및 어댑터자체상황에 따라 충전을 수행할 수가 있고, 충전중 실시간으로 어댑터의 온도를 수집하고, 어댑터의 온도가 제1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어댑터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절차(7);
어댑터의 온도가 상기 제1임계값보다 작으면, 어댑터가 정상적인 작동상태인것을 의미하므로, BST 메시지 혹은CST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전류전송을 완료하면 되고, 이로써 전체적인 충전 과정을 완료하고, 나아가 BST 메시지 혹은 CST 메시지를 수신하면, 어댑터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8);
어댑터의 온도가 상기 제1임계값을 초과하면, 어댑터가 비정상 상태인것을 의미하므로, 나아가 제2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로써 어댑터가 안전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9);
상기 어댑터 온도가 제2임계값을 초과하면, 이때의 어댑터가 비안전상태에 처하여, 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충전을 중지하여 충전안전을 확보해야 하고, 제어모듈을 통해 차량 BMS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10);
어댑터 온도가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 사이이면, 어댑터의 온도가 비정상상태와 안전상태사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출력 전류의 조절을 통해 냉각처리를 진행할 수가 있으므로, 통신모듈을 통해 차량 BMS에 예비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 BMS이 상기 예비 경보 메시지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조절을 하도록 하고, 대응하게 차량 BMS이 해당 예비 경보 메시지를 순조롭게 수신할 수 있도록, 어댑터는 차량 BMS에 의한 상기 예비 경보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고,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대응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다시 송신을 수행하는 절차(11);및
차량 BMS에 의한 충전중지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 혹은 BST 메시지 혹은 CST 메시지를 수신하면, 본 차례 충전과정이 이미 완료된것을 의미하므로, 충전기의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어댑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절차(1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어댑터 자체 온도의 전체 흐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어댑터가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작동하도록 하여, 어댑터의 작동 효율 및 충전의 안전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어댑터의 제어장치와 제어방법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상기 어댑터는 전류 변환 모듈과 상기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시스템은 충전기(20), 차량(30),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충전기(20)에 설치되거나 혹은 차량 혹은 어댑터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장치를 도시하는데,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하드웨어일 수 있고, 상기 컴퓨터장치(702)는 하나 혹은 다수의 프로세서(704) 예를 들면 하나 혹은 다수의 중앙프로세서유닛(CPU)을 포함할 수가 있고, 각 프로세서유닛은 하나 혹은 다수의 하드웨어 스레드를 구현할 수가 있다. 컴퓨터장치(702)는 예를 들면 코드, 장치, 데이터 등 임의의 종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7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706)는 임의의 종류의 RAM, 임의의 종류의 ROM, 플래시장치, 하드 디스크, CD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종 혹은 다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메모리는 임의의 기술에 따라 정보를 저장할 수가 있다. 나아가, 임의의 메모리는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정보를 저장할 수가 있다. 나아가, 임의의 메모리는 컴퓨터장치(702)의 고정 혹은 이동성 부재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704)가 임의의 메모리 혹은 메모리의 조합에 저장된 관련된 지령을 수행시, 컴퓨터장치(702)는 관련 지령의 임의의 조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컴퓨터장치(702)는 임의의 메모리와 상호작용하는 하나 혹은 다수의 구동기구(708)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구동기구, CD구동기구 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컴퓨터장치(702)는, (입력장치(712)를 통해) 각종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장치(714)를 통해) 각종 출력을 제공하는 입력/출력모듈(710)(I/O)을 포함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기구는 제시장치716와 관련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718를 포함할 수가 있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출력모듈(710)(I/O), 입력장치(712) 및 출력장치(71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단지 네트워크중의 컴퓨터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컴퓨터장치(702)는 하나 혹은 다수의 통신링크(722)를 통해 기타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하나 혹은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0)를 포함할 수가 있다. 하나 혹은 다수의 통신버스(724)는 상기와 같은 부재들을 결합시킬 수가 있다.
통신링크(722)는 임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가 있는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 광역 통신망(예를 들면,인터넷), 점 대 점 접속 (point-to-point connection) 등 혹은 그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링크(722)는 임의의 프로토콜 혹은 프로토콜 조합에 의해 배치되는 하드 링크, 무선 링크, 라우터, 게이트웨이 기능, 이름 서버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중의 방법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저장매체에 있어서, 프로세스에 의해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운행시 상기 방법의 절차가 수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컴퓨터판독가능지령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지령을 수행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가능지령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각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는 수행절차의 선후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수행순서는 그 기능과 내재적 로직에 의해 결정되며, 본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어 "와/혹은 "은 단지 관련대상의 관련관계를 의미하고,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A 와/혹은 B는, A만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단지 B만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혹은"의 관계인것을 의미한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절차는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소프트웨어 혹은 양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가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호환가능성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중 이미 기능에 따라 각 예시의 조성 및 절차에 대하여 일반적인 설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안의 특정 에플리케이션과 디자인의 한정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는 각 특정 에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이한 방법에 의해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실현은 본 명세서의 범위를 초월한다고 이해되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의 및 간단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가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다수의 실시예에 개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이상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획분은 단지 로직기능의 획분으로서, 실제 수행시 기타 획분방식이 존재할 수가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혹은 부재는 결합되거나 혹은 다른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혹은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혹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 혹은 검토된 서로지간의 결합 혹은 직접적인 결합 혹은 통신연결은 일련의 인터페이스, 장치 혹은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혹은 통신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인 연결이거나 기계적인 연결 혹은 기타 형식의 연결일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로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부재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재는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으며, 하나의 부위에 위치할 수도 있고 다수의 네트워크유닛에 분포될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혹은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서유닛에 집적될수도 있고, 각 유닛이 독립적 및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유닛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이 만일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혹은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가 있다. 이러한 이해에 근거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안은 본질상 혹은 기존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혹은 해당 기술안의 전부 혹은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매체에 저장되되, 일련의 지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혹은 네트워크장치 등)에 의해 본 명세서의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절차를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USB메모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크 혹은 CD 등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상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방법 및 그 핵심적인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적용범위내에서 변경을 진행할 수가 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제어장치;
20 충전기;
30 차량;
40 어댑터;
11 통신모듈;
12 제어모듈;
13 온도검출모듈;
111 제1통신유닛;
112 제2통신유닛;
702 컴퓨터장치;
704 프로세서;
706 메모리;
708 구동기구;
710 입력/출력모듈;
712 입력장치;
714 출력장치;
716 제시장치;
718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7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22 통신링크;
724 통신버스.

Claims (12)

  1. 어댑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충전기와 차량간의 메시지전송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모듈;및
    상기 충전기에 의해 송신된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시, 상기 충전기의 출력 전류 범위를 해석하여 획득하고,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이 수신된 메시지와 자체설정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기에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 범위는 최소 출력 전류와 최대 출력 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작으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고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크면,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고,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상기 정격 전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제1통신유닛과 제2통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통신유닛은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기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정보를 상기 제어모듈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메시지정보가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만일 상기 메시지정보가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이면, 상기 메시지정보를 해석하고 그후의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2통신유닛을 통해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만일 상기 메시지정보가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가 아니면, 수신된 메시지정보를 상기 제2통신유닛을 통해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어댑터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어댑터에 장착된 것인 어댑터의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를 상기 어댑터에 장착시, 상기 제어장치는 온도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검출모듈은 어댑터단자의 작동온도를 수집하고, 수집된 온도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도데이터와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어댑터의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임계값은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제2임계값보다 작으며,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온도데이터가 상기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 사이이면,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되,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소정 전류인 것; 및
    상기 온도데이터가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 어댑터의 제어장치.
  8. 어댑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절차;
    메시지중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전류 범위를 해석하고 획득하는 절차;및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상기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하고 차량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수신된 메시지와 자체설정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기에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 범위는 최소 출력 전류와 최대 출력 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전류 범위와 상기 어댑터의 정격 전류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하고 차량에 송신하는 절차는,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및
    상기 정격 전류가 상기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고 상기 최소 출력 전류보다 크면,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고, 상기 차량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고,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상기 정격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어댑터단자의 온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절차;
    상기 온도데이터가 제1임계값과 제2임계값 사이이면,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조절하여, 상기 차량에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며, 조절후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 능력 메시지중의 최대 출력 전류는 소정 전류이고,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제2임계값보다 작은 절차;
    상기 온도데이터가 제2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차량에 충전중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는 어댑터의 제어방법.
  11. 전류변환장치와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어댑터.
  12. 충전기, 차량, 어댑터와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댑터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충전시스템.
KR1020247003004A 2021-07-23 2022-07-21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 KR20240025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839623.8 2021-07-23
CN202110839623.8A CN113352929B (zh) 2021-07-23 2021-07-23 一种适配器的控制装置、方法、适配器及充电系统
PCT/CN2022/107013 WO2023001232A1 (zh) 2021-07-23 2022-07-21 一种适配器的控制装置、方法、适配器及充电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670A true KR20240025670A (ko) 2024-02-27

Family

ID=7754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004A KR20240025670A (ko) 2021-07-23 2022-07-21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75128A1 (ko)
KR (1) KR20240025670A (ko)
CN (1) CN113352929B (ko)
BR (1) BR112024001182A2 (ko)
CA (1) CA3225926A1 (ko)
WO (1) WO2023001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2929B (zh) * 2021-07-23 2023-04-25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配器的控制装置、方法、适配器及充电系统
CN115940616B (zh) * 2023-03-10 2023-05-09 深圳市澳博森科技有限公司 电源适配器自动过热保护方法、装置和智能电源适配器
CN116001632B (zh) * 2023-03-27 2023-06-02 合肥艾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识别功能的电池充电柜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522A (ja) * 1998-07-24 2000-02-18 Toshiba Corp バッテリ充電装置
KR102230175B1 (ko) * 2007-05-10 2021-03-22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멀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자동차
WO2009034877A1 (ja) * 2007-09-10 2009-03-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車両用充電装置および車両の充電方法
US9457791B2 (en) * 2009-01-06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rging cable with controller
US20090167537A1 (en) * 2007-12-28 2009-07-02 Feliss Norbert A Minimizing electrical outlet safety failures due to over temperature condition
CN102132468B (zh) * 2008-08-26 2015-06-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动车充电线组
DE102009016895A1 (de) * 2009-04-08 2010-10-14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Ladeanschlusseinrichtung für ein elektrisch angetriebenes Kraftfahrzeug
CN101917046B (zh) * 2010-07-23 2013-05-2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机及其控制策略
HUE059304T2 (hu) * 2010-10-27 2022-11-28 The Aes Corp Eljárás energiaszolgáltatások menedzselésére különbözõ típusú létesítményekhez
CN101969218A (zh) * 2010-10-29 2011-02-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用智能充电方法
US8952656B2 (en) * 2011-02-04 2015-02-10 Atieva, Inc. Battery charging station
GB2488514A (en) * 2011-02-11 2012-09-05 Sony Corp Rule based energy access
EP2498363B1 (en) * 2011-03-10 2013-10-09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improvement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WO2012134495A1 (en) * 2011-04-01 2012-10-04 Aerovironment, Inc. Multi-use energy management and conversion system includ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US20120265362A1 (en) * 2011-04-14 2012-10-18 Christopher Charles Yasko Charging device for use with electric vehicle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GB2489988B (en) * 2011-04-15 2014-06-25 Nissan Motor Mfg Uk Ltd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nections
KR101273092B1 (ko) * 2011-04-28 2013-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
DE102011107628A1 (de) * 2011-06-30 2013-01-03 Rwe Ag Ladevorrichtung für elektrofahrzeuge und verfahren zum laden von elektrofahrzeugen
US8384359B2 (en) * 2011-10-21 2013-02-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a power storage device
AU2013308938A1 (en) * 2012-08-27 2015-03-12 Aerovironment, Inc. Portabl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DE102012221807A1 (de) * 2012-11-28 2014-05-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eines Elektrofahrzeugs an einer Steckdose mit Reduktion des Ladestroms nach Ausfall und Wiedereinsetzen der Stromversorgung
US9337680B2 (en) * 2013-03-12 2016-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ic vehicle while charging
CN103559567B (zh) * 2013-07-18 2016-12-28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电网对电动汽车充电站的管理系统的管理方法
US20150102775A1 (en) * 2013-10-15 2015-04-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 for intelligent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US9056553B2 (en) * 2013-10-31 2015-06-16 Honda Motor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EP3212457B1 (en) * 2014-10-30 2022-05-11 Google LLC Mediator device for smart electric vehicle charging
DE102015208786A1 (de) * 2015-05-12 2016-11-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mmunikationsmodul für den Ladevorgang eines Fahrzeugs
US20170334300A1 (en) * 2016-05-20 2017-11-23 Faraday&Future Inc. Charging System with Temperature Sensor
EP3266646A1 (en) * 2016-07-01 2018-01-10 Hyundai Motor Company In-cable control box mounted o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CN107128178B (zh) * 2017-04-05 2019-06-28 中通客车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客车充电保护系统及方法
AU2018349094B2 (en) * 2017-10-13 2024-04-11 dcbel Inc.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er
CN108928252B (zh) * 2018-07-05 2022-01-04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充电控制装置和包含其的充电站
CN113352929B (zh) * 2021-07-23 2023-04-25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配器的控制装置、方法、适配器及充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52929A (zh) 2021-09-07
BR112024001182A2 (pt) 2024-04-30
EP4375128A1 (en) 2024-05-29
CN113352929B (zh) 2023-04-25
WO2023001232A1 (zh) 2023-01-26
CA3225926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25670A (ko) 어댑터의 제어장치, 방법, 어댑터 및 충전시스템
JP6325118B2 (ja) 電源アダプター、端末及び充電回路の異常の処理方法
KR101616233B1 (ko) 충 방전 장치
EP3107171B1 (en) Technologies for zonal fault protection of dc distribution systems
EP2133974A1 (en) Accumulation system
EP3024134B1 (en) Parallel inverter system, and shutdown control method and shutdown control device for parallel inverter system
EP40443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il-safe battery protection independent from battery management system
US9312694B2 (en) Autonomous power system with variable sources and loads and associated methods
EP4060851A1 (en) Controller for energy storag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5291875A (zh) 一种电动汽车快速充电方法
CN108767952A (zh) 一种互联互通的非车载充电系统
CN104871387A (zh) 用于将电池集成到逆变器中的安全概念
CN108701993B (zh) 直流(dc)负载均衡器
EP3916943B1 (en) Bms architecture for energy storage
CN113555926A (zh) 一种多路充电dc柜及控制方法
CN215897325U (zh) 一种多路充电dc柜
US20230411967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JP7373372B2 (ja) 電池制御装置
CN116613352A (zh) 用于转换用于发电的燃料电池的电力的装置及方法
CN116260218A (zh) 一种功率变换装置及储能装置
JP2022006695A (ja) 電気機器、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KR20230123571A (ko)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N116572744A (zh) 车辆对外放电的保护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5986866A (zh) 一种直流取电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30085470A (ko) 직류 송전망 통합 제어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