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543A -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543A
KR20240025543A KR1020237044540A KR20237044540A KR20240025543A KR 20240025543 A KR20240025543 A KR 20240025543A KR 1020237044540 A KR1020237044540 A KR 1020237044540A KR 20237044540 A KR20237044540 A KR 20237044540A KR 20240025543 A KR20240025543 A KR 2024002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object
display
display mode
display interface
inte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이 창
쯔양 쩡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2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54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인터랙션 방법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페이지에서 타겟 객체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 - 제1 디스플레이 모드 하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제1 인터랙션 제어를 포함함 -;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페이지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S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페이지 상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상기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환하는 단계(S30) -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 아래의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상기 제1 인터랙션 제어와 다른 제2 인터랙션 제어를 포함함 - 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다양한 인터랙션 기능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인터랙션 방법(interaction method), 인터랙션 장치(interaction apparatus),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2021년 11월 25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1412228.8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공개 내용은 본 출원의 공개 내용의 일부로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네트워크 시청각 기술(network audio-visual technologies)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비디오(videos)는 네트워크의 흐름에 따라 급속도로 발전했다. 비디오를 기반으로 사회적 인터랙션을 위한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video social software)는 점차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 중 하나가 되었으며 사용자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인터랙션 방법(interaction method)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target object display interface) 상에서 타겟 객체(target object)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first display mode)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first interactive control)를 포함함 -;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display mode switching operation)을 수신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second display mode)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환하는 단계 -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다른 제2 인터랙티브 제어(second interactive control)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인터랙션 장치(interaction apparatus)를 더 제공하며, 인터랙션 장치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target object display unit), 동작 수신 유닛(operation receiving unit)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display mode switching unit)을 포함하고,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고,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와 상이하고, 동작 수신 유닛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display mode switching operation)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은,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응답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를 더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며,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메모리 상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더 제공하고,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만 관련되며 따라서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예시들을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3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 매체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이 도면에 나타나 있지만, 본 개시은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명시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는 본 개시의 보다 철저하고 완전한 이해를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도면 및 실시예는 개시의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방법 구현에서 설명된 다양한 단계는 상이한 순서로 및/또는 병렬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방법 구현은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예시된 단계의 수행을 생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러한 측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한다(include)", "포함한다(comprise)" 및 이들의 변형은 개방형 포함,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이다. "~에 기초하는(based on)"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based, at least in part, on)"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용어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고, 용어 "일부 실시예"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른 용어에 대한 관련 정의는 아래에서 설명에서 설명한다.
본 개시에 언급된 바와 같은 "제1", "제2" 등과 같은 개념은 상이한 디바이스, 모듈 또는 유닛을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상호 의존성 또는 이들 디바이스, 모듈 또는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순서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에 언급된 "하나(a)", "하나(an)" 및 "복수(a plurality of) 등"의 수정은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하고, 당업자가 달리 명확하게 명시되지 않는 한 "하나 또는 복수"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 또는 정보의 명칭은 예시적 목적을 위한 것일 뿐, 메시지 또는 정보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현재,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예: 휴대폰(mobile phone), 패드, 노트북 등) 또는 기타 전자 디바이스에서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video social software)를 통해 비디오를 게시하거나 시청하는 경우,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른 사용자 간에 소셜 인터랙션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작한 비디오를 업로드하여 게시할 수 있으며,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른 사용자가 게시한 비디오를 시청하고 비디오에 대한 동작(예: "좋아요(like)", "댓글(comment)", "전달(forward)" 등)을 수행하여 다른 사용자와 소셜 인터랙션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인터랙션 방법을 제공하며, 인터랙션 방법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target object display interface) 상에서 타겟 객체(target object)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first display mode)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first interactive control)를 포함함 -;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display mode switching operation)을 수신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second display mode)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환하는 단계 -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다른 제2 인터랙티브 제어(second interactive control)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에서,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각각 상이한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는 상이한 인터랙티브 제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이한 유형의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인터랙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한 설명 요소를 참조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system)(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s)(110), 네트워크(network)(120), 서버(server)(130)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컴퓨터(computer)(110-1), 휴대폰(mobile phone)(110-2), 또는 태블릿 컴퓨터(110-3)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지능형 홈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차량 탑재형 전자 디바이스, 모니터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차량, 로봇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와 함께 구비되는 임의의 장비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사용자 행동 데이터(user behavior data)를 서버(13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버(130)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기(110)의 하드웨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대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ARM, X86 등과 같은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카메라,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과 같은 입출력 디바이스(input/output devices)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10)는 윈도우, iOS, 리눅스, 안드로이드, 하모니OS 등과 같은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의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애플리케이션(social application), 예를 들어 비디오, 픽처, 라이브 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기반한 소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비디오, 픽처, 라이브 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리소스 기반의 소셜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소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라이브 방송을 수행하거나 비디오, 픽처 등을 업로드 및 게시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게시한 비디오, 픽처, 라이브 비디오 등을 시청하거나 열람하고 '좋아요', '댓글', '전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threads)를 실행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외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단일 네트워크이거나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20)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공용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 등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다. 네트워크(120)는 컴퓨터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및/또는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3G/4G/5G 이동통신 네트워크,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측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30)는 개별 서버 또는 서버 그룹 또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서버 그룹의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서버 그룹은 데이터 센터와 같이 중앙 집중식일 수도 있고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서버(130)는 로컬 또는 원격일 수 있다. 서버(1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서버(130)의 하드웨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대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일반적으로 저장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주로 사용자 단말기(110)와 서버(130)가 동작 중에 활용, 생성, 출력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의 애플리케이션이 비디오, 픽처, 라이브 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자원 기반의 소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를 예로 들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업로드한 자원 데이터(resource data)(예: 비디오, 픽처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좋아요", "댓글" 등과 같은 인터랙티브 동작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로컬 또는 원격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ROM) 등과 같은 다양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디바이스는 일부 예시이며, 시스템(1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데이터베이스(140)의 하드웨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대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또는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n-relational database)가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버(130) 또는 서버(130)의 일부와 상호 연결되거나 통신될 수도 있고, 서버(130)와 직접 상호 연결되거나 통신될 수도 있으며, 또는 두 가지 방식이 조합되어 서버(130)와 상호 연결되거나 통신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독립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 및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서버(130)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베이스(140)는 분산되어, 한 부분은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정되고 다른 부분은 서버(130)에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인터랙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의 사용자 단말기(11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의 소셜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소셜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interactive interface)에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은 단계 S10 내지 단계 S30을 포함한다.
단계 S10: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한다.
S20 단계: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second display mode)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환하는 단계,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다른 제2 인터랙티브 제어(second interactive control)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계 S10 및 단계 S30의 경우, 타겟 객체는 픽처, 비디오, 라이브 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리소스일 수 있다.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소셜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interactive interface)일 수 있다.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즉,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110)의 사용자)에게 타겟 객체의 가시적 정보(visible information)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display interface)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인 경우를 예로 들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체를 차지할 수 있다. 즉,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의 전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110)가 노트북인 경우를 예로 들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체를 차지할 수도 있고,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를 차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가 비디오인 경우, 사용자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도록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비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타겟 객체가 픽처인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의 픽처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픽처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여기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타겟 객체의 다른 디스플레이 방식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각각 일반 디스플레이 모드(normal display mode)(즉, 선명하지 않은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non-clear screen display mode))와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clear screen display mode)일 수 있다.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인터랙티브 제어가 모두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display image region) 이외의 영역에 위치되어,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인터랙티브 제어에 덮혀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타겟 객체의 전체 이미지 정보를보다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은 변경되지 않는다. 일반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인터랙티브 제어는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인터랙티브 제어 외에도 타겟 객체와 관련된 다른 데이터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타겟 객체에 대한 관련 정보를 빠르게 획득하고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는 데 유용하다.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가 일반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거나 일반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계속 재생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의 속성(예: 디스플레이 스케일 및 디스플레이 위치) 및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특징(예: 크기 비율)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프로세스에서 이미지의 시각 효과에 잠재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시청 경험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거나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스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변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가 비디오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프로세스에서 비디오의 재생 상태, 일시 정지 상태, 재생 속도, 재생 음량, 이미지 해상도 등은 변경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타겟 객체로 사용되는 비디오의 경우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다른 볼륨으로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각각 높은 볼륨 재생 모드와 낮은 볼륨 재생 모드일 수 있으며, 음성 재생 모드 또는 음소거 재생 모드일 수도 있다.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각각 다른 화질 효과로 비디오를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고화질 화질 재생 모드와 저화질 화질 재생 모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가 복수의 픽처인 경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복수의 픽처를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동기식 디스플레이 방식(synchronous display manner)과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각각의 픽처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일 픽처 디스플레이 방식(single-picture display manner)이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픽처는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자동 연속 재생 모드, 수동 선택 재생 모드 등으로 재생될 수 있다.
위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는 단지 예시로서 설명된 것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의 적용 시나리오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단계 S10 및 단계 S30의 경우, 제1 인터랙티브 제어(first interactive control) 및 제2 인터랙티브 제어(second interactive control)는 각각 다른 인터랙티브 동작(interactive operations)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서로 다른 인터랙티브 기능(interactive functions)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서로 다른 유형의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다른 유형의 인터랙티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고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지 않으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고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각각 다른 인터랙티브 동작을 달성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각각 다른 인터랙티브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인터랙션 요구 사항을보다 잘 충족시킬 수있는 것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랙티브 제어 또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통해 수행되도록 구성된 인터랙티브 동작(interactive operation)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사용자가 타겟 객체와 수행하는 로컬 인터랙티브 동작(local interactive opera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해,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통해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터랙티브 동작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통해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터랙티브 동작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통해 수행되도록 구성된 특정 인터랙티브 동작은 대응하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의 모드 기능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가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인 경우를 예로 들면,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인터랙티브 제어는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정보(예컨대, 디스플레이 위치, 디스플레이 배율, 디스플레이 회전 등)를 변경하기 위한 조정가능 동작(adjustable operations)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인터랙티브 제어는 사용자 단말(110)에 타겟 객체의 일부 정보 또는 전체 정보를 저장하는 등의 인터랙티브 동작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인터랙티브 동작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는 서버(130)에 업로드 및 저장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인터랙션 방법을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로컬 인터랙션 동작(local interactive operation)은 사용자가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를 통해 비디오를 시청할 때 비디오의 재생 이미지, 재생 속도, 재생 볼륨 등에 대한 조정 동작(adjustment operation)을 포함할 수도 있고, 로컬 인터랙션 동작은 비디오에 대한 다운로드 및 이미지 캡처 등의 획득 동작(obtaining operation)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제2 인터랙티브 제어 중 하나를 통해 수행되도록 구성된 인터랙티브 동작은 복수의 사용자들(즉,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의 복수의 운영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인터랙티브 동작으로서,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정보 인터랙션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인터랙티브 동작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는 서버(130)에 업로드 및 저장되어야 하며, 이는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110)와 서버(130) 간의 데이터 전송 및 인터랙션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인터랙션 방법을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온라인 인터랙션 동작은 사용자가 비디오 소셜 소프트웨어를 통해 비디오를 시청할 때 해당 비디오에 대한 '좋아요', '즐겨찾기', '댓글', '전달' 등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단계 S20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20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이 수신되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를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display mode switching operation)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기타 터치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수행하는 터치 제어 동작(touch control operation)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은 사용자가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외부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수행하는 제어 동작(예: 단일 클릭 또는 더블 클릭)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의 특정 구현에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터치 포인트에 기반한 터치 제어 동작인 경우를 예로 들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은 트리거되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터치 제어 영역 내 하나 이상의 터치 포인트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트리거되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터치 제어 영역 내 하나 이상의 터치 포인트가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사전 설정된 경로로 트리거되고 이동하는 것으로 추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터치 제어 영역에서 하나의 터치 포인트가 트리거되어 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왼쪽, 오른쪽,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된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터치 제어 영역 내의 복수의 터치 포인트가 트리거되어 각각 서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서로 가깝거나,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된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터치 제어 영역 내의 복수의 터치 포인트가 트리거되어 터치 제어 영역 내의 사전 설정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터치 제어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의 구체적인 구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3a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개략도이고, 도 3b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3a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를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개략도이고, 도 3b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개략도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방법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이 수신된 후,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 상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도 3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도 3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도 3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스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display image region)(12)의 디스플레이 속성(display attribute)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속성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디스플레이 배율, 디스플레이 위치, 이미지 크기 비율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은 도 3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및 도 3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모두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동일한 디스플레이 배율을 차지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프로세스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이 차지하는 영역의 면적과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전체 면적의 비율은 변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은 도 3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도 3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모두에서 동일한 이미지 크기 비율을 사용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프로세스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폭과 높이의 비율은 변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은 도 3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도 3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모두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동일한 디스플레이 위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프로세스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중심과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의 중심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변경되지 않고,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각 가장자리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의 각 가장자리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변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가 비디오인 경우를 예로 들면, 도 3a의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도 3b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비디오는 동일한 재생 상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프로세스에서, 비디오의 재생 또는 일시 정지 상태, 재생 속도, 재생 볼륨, 이미지 선명도 등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1 인터랙티브 제어(first interactive control)(2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a는 3개의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를 도시하며, 3개의 제1 인터랙티브 제어(first interactive controls)(21)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따라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b는 세 개의 제2 인터랙티브 제어(second interactive controls)(22)를 도시하며, 세 개의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포함되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의 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서의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의 배치 방식(arrangement manner),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서의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의 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서의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의 배치 방식 등에 특별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내에 위치되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일부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에 의해 덮이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며, 예를 들어,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하측의 인접 영역에 위치하여,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임의의 영역이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에 의해 덮이게 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인터랙티브 제어가 각각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덮고, 덮지 않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서로 다른 두 가지 설정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제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디스플레이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내에 인터랙티브 제어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이 덮혀지지 않아 사용자에게 완전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시청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은 타겟 객체의 가시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완전한 이미지를 참조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3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은 타겟 객체의 가시 정보를 제외한 어떠한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도 포함하지 않으므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은 다른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를 예로 들면,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내에 위치되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은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에 의해 덮이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비디오 프레임 또는 동일한 픽처의 경우 도 3a에 디스플레이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은 도 3b에 디스플레이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디스플레이 객체에 의해 덮이게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clear screen display mode)"에 있다. 즉,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덮을 수 있는 모든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디스플레이 객체가 지워집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겟 객체에 대한 보다 완전한 가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적인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 제1 유형의 인터랙티브 동작(first-type interactive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는 제1 유형의 인터랙티브 동작과 다른 제2 유형의 인터랙티브 동작(second-type interactive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이 덮혀지지 않으므로, 스크린샷 촬영 등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에 적합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 및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는 각각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상이한 유형의 인터랙티브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인터랙션 요구 사항을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인터랙티브 제어가 덮고, 덮지 않는 두 개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해,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 및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는 각각 두 개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수행될 인터랙티브 동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뿐만 아니라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 중 일부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복수의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 중 하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실제 동작 요구사항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더 많은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모든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c에 디스플레이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이다(예: 도 3b에 디스플레이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상기 대응하는 설명 참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랙티브 제어(21)는 및 제2 인터랙티브 제어(22)는 모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있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보다 다양한 인터랙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어,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멀티미디어 리소스(예컨대, 비디오 또는 픽처)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사용자들 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소셜 소프트웨어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의 구현을 설명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상이한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예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의 특정 적용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타겟 객체는 비디오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도 4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인터랙션 방법을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예와 조합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이 수신된 후,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도 4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비디오오 디스플레이가 도 4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로 전환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도 4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도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도 4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스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디스플레이 속성(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케일, 디스플레이 위치, 이미지 크기 비율 등)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4a에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103)를 포함한다.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 및 103)는 비디오에 기반하여 제1 유형의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 및 103)는 각각 비디오에 대해 '좋아요' 및 '전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2)는 비디오와 연관된 사용자 간에 인터랙티브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과 연결된 사용자에는 비디오를 게시하는 사용자(예: 비디오 포스터), 비디오를 시청하는 사용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2)를 클릭하면, 비디오에 관한 댓글 섹션 인터페이스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사용자는 댓글 섹션 인터페이스에 단어를 남기는 등 댓글 섹션 인터페이스에서 비디오를 게시하는 사용자 또는 비디오를 시청하는 다른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 내지 103)는 모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내에 위치되며,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일부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 내지 103)에 의해 덮이게 된다.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 내지 103)는 부분적으로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내에 위치되며, 부분적으로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외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는 부분적으로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내에 위치되며 부분적으로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외부에 위치되고,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2) 및 103은 모두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이외의 영역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와 비교하여, 도 4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비디오에 대한 데이터 정보, 예를 들어 비디오 콘텐츠의 텍스트 설명, 비디오 포스터(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XXXXX") 등과 같은 비디오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의 데이터 정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내에 위치된다. 즉,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있는 비디오의 데이터 정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다른 영역을 추가로 차지하지 않고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덮는다. 따라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디스플레이 배율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면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직관적으로 획득하는 데 유리하다.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다른 예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비디오의 데이터 정보는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이외의 영역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의 데이터 정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덮지 않음으로써,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보다 완전하고 완전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데 도움이 되고, 따라서 비디오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각 부분 또는 각 영역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다른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 내지 103)와 다른 다른 인터랙티브 제어 또는 인터랙티브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3) 및 비디오의 데이터 정보 아래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비디오에 대한 오디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인터랙티브 영역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의 오디오 정보는 오디오 인터랙티브 영역에서 한 줄 텍스트 형태로 스크롤 가능한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오디오 인터랙티브 영역을 클릭하여 비디오에 대한 전체 오디오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디오 인터랙티브 영역을 클릭하면 비디오에 대한 전체 오디오 정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 정보 위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비디오 포스터에 대한 지리적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정보 인터랙티브 영역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포스터의 도시 정보가 위치 정보 인터랙티브 영역에 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위치 정보 인터랙티브 지역을 클릭하여 비디오 포스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지리적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치 정보 인터랙티브 지역을 클릭하면, 비디오 포스터에 대한 자세한 지리적 위치 정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 내지 103) 위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비디오 포스터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 정보 인터랙티브 영역(personal information interactive region)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셜 소프트웨어에서 비디오 포스터에 사용된 아바타가 개인 정보 인터랙티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개인 정보 인터랙티브 영역을 클릭하여 비디오 포스터에 대한 더 자세한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개인 정보 인터랙티브 영역을 클릭하면 비디오 포스터의 상세 개인 정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또는, 사용자는 개인 정보 인터랙티브 영역을 클릭하여 다른 연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 이동하여, 비디오 포스터에 대한 자세한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의 하단에 복수의 상이한 인터랙티브 제어, 예를 들어 "홈페이지", "친구", "+", "메시지", "나"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이러한 상이한 인터랙티브 제어를 통해 각각 소셜 소프트웨어의 다른 정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영역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는 페이지의 왼쪽 상단 모서리에 시간 정보 "9:41"과 페이지의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영역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라이브", "로컬", "팔로우", "추천" 및 "" 등과 같은 복수의 상이한 인터랙티브 제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상이한 인터랙티브 제어를 통해 소셜 소프트웨어의 다른 정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아래에 위치한 제3 인터랙티브 제어(third interactive control)(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2)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2)가 트리거된 후,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도 7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도 8에 도시된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디스플레이된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제3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제3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인터랙티브 제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가 도 7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도 8에 도시된 제3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된 후,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디스플레이 속성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디스플레이 속성(예컨대, 디스플레이 스케일, 회전 각도 등)이 변경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다른 인터랙티브 제어, 인터랙티브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및 202)를 포함하며,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는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조정가능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디오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가 트리거된 후, 비디오의 재생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4개의 인터랙티브 영역 "느린", "보통", "빠른" 및 "매우 빠른"이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바로 아래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실제 요구 사항에 따라 4개의 터치 제어 영역을 통해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비디오 시청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본 개시의 다른 일부 예들에서, 비디오의 재생 상태는 또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제스처 인터랙션 제어 영역(gesture interaction control region)을 트리거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비디오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스처 인터랙션 제어 영역(gesture interaction control regions), 예를 들어,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first playing rate control region)(CTR1)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second playing rate control region)(CTR2)을 더 포함한다.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이 트리거된 후,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에 의해 비디오의 현재 재생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이 트리거된 후,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가 변경되어 제1 사전 설정 재생 속도(first preset playing rate)로 조정되고, 제1 사전 설정 재생 속도는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의 제1 배수이다.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이 트리거된 후,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가 변경되어 제2 사전 설정 재생 속도(second preset playing rate)로 조정되고, 제2 사전 설정 재생 속도는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의 제2 배수이며, 제2 배수는 제1 배수와는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배수의 값과 제2 배수의 값이 1이 아니고, 제1 사전 설정 재생 속도와 제2 사전 설정 재생 속도가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와 다른 경우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표시된 예를 들어 제1 배수(first multiple)는 제2 배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수의 값을 1보다 작은 값(예: 0.25, 0.5, 0.75 등)으로 설정되면,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을 트리거하여 현재 비디오의 느린 재생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수의 값은 1.25, 1.5, 2 등과 같이 1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를 트리거하여 현재 비디오의 빨리 감기 재생(fast forward playing)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디스플레이된 예에서,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 또는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가 트리거된 후,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과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가 모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과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을 통해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를 정확하고 빠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1)는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의 속도 조절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예컨대, 도 6에 도시된 "<<")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의 속도 조절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을 더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을 통해 실시간으로 비디오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가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1)과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CTR2)을 포함하는 경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display image region)(12)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적인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제1 재생 속도 제어(CTR1)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CTR2)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실제 요구 사항에 따라 적절한 재생 속도 조정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인터랙션 경험을 최적화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2)는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획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에 대한 획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2)가 트리거된 후,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이 캡처되어 스크린샷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크린샷은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이다. 즉, 생성된 스크린샷에는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좌측 상단의 시간 정보 "9:41"이나 우측 상단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아래에 위치한 검은 영역과 검은 영역 내의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202) 및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 등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도 포함되지 않는다.
또는,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2)가 트리거된 후, 현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의 현재 이미지가 캡처되어 현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의 전체 가시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린샷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스크린샷은 도 4b와 같을 수 있다. 즉, 생성된 스크린샷은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좌측 상단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덮고 있는 시간 정보 "9:41"과 우측 상단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덮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포함하고, 또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아래에 위치된 검은 영역과 예를 들어 검은 영역 내의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202) 및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한다.
또는,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2)가 트리거된 후,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이미지 캡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인터랙티브 제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인터랙티브 제어는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캡처하거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의 현재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실제 요구 사항에 따라 복수의 인터랙티브 제어 중에서 선택하여 원하는 스크린샷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를 더 포함한다.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 간을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가 트리거된 후,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도 4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도 4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및 202) 및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 이외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3)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3)가 트리거된 후,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도 7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도 8에 도시된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디스플레이된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와 다른 제3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제3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인터랙티브 제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가 도 7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도 8에 도시된 제3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된 후,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디스플레이 속성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디스플레이 속성(예컨대, 디스플레이 스케일, 회전 각도 등)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및 202) 및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 및 303) 이외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비디오 저장과 같은 다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인터랙티브 제어 또는 인터랙티브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예를 예로 들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202) 및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는 모두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101 내지 103)와 비디오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동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및 202),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 및 비디오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및 202) 및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는 또한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트리거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를 재생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자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를 클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1 및 202) 및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의 특정 적용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예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타겟 객체는 복수의 픽처이고, 도 9a 및 도 9b는 각각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복수의 픽처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인터랙션 방법은 도 9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도 9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와 조합하여 설명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이 수신된 후, 도 9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복수의 픽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 9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전환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9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드는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고, 도 9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드는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복수의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picture display interactive controls)(401)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는 픽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내에 위치되며, 예를 들어, 픽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하단에 위치된다.
복수의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는 각각 복수의 픽처에 대응하며, 복수의 픽처 중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픽처의 순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픽처의 현재 디스플레이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 중 하나의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가 트리거되면, 트리거된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에 대응하는 픽처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복수의 픽처의 디스플레이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밀기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복수의 픽처의 디스플레이를 전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복수의 픽처에 대한 특정 전환 디스플레이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는 타겟 객체에 대한 유형 정보, 예를 들어, 픽처에 대한 "픽처-텍스트"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와 비교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복수의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가 픽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 아래에 위치되고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므로, 픽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을 덮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인터랙티브 제어(301) 이외에,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4)를 더 포함한다.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4)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픽처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4)가 트리거된 후,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픽처가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은 여러 장의 픽처 간 디스플레이 전환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는 터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픽처 1과 픽처 2 사이의 디스플레이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픽처가 픽처 1이라고 가정하면, 픽처 1에 대응하는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다른 픽처 디스플레이 인터랙티브 제어(401)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다르므로, 사용자에게 여러 픽처 중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픽처의 순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는 터치 제어 동작을 시작하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는 터치 제어 동작을 완료하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픽처 2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환되어 복수의 픽처 사이의 디스플레이 전환을 달성한다.
예를 들어,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은 전술한 제2 인터랙티브 제어(204) 이외의 다른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터랙티브 제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유형의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다른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다른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의 픽처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12)의 디스플레이 속성(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케일, 회전 각도, 이미지 크기 비율 등)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11 상에 포함된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2 타입 인터랙티브 동작에 특별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
도 9a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다른 내용들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은 타겟 객체가 비디오 또는 픽처이라는 적용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 또는 예들에서, 타겟 객체는 또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객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라이브 비디오, 온라인 라이브 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리소스(multimedia resource)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인터랙션 방법의 흐름은 더 많거나 적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인터랙션 방법의 흐름은 특정 순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지만, 복수의 동작의 순서는 제한되지 않음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인터랙션 방법은 한 번만 수행하거나 미리결정된 조건에 따라 여러 번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인터랙션 장치(interaction apparatus)를 더 제공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랙션 장치(interaction apparatus)(60)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target object display unit)(601), 동작 수신 유닛(operation receiving unit)(602)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display mode switching unit)(603)을 포함한다.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601)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고,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와 다르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601)은 도 2에 도시된 인터랙션 방법에서 단계 S10 및 단계 S30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수신 유닛(602)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동작 수신 유닛(602)은 도 2에 도시된 인터랙션 방법에서 단계 S20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603)은,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60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랙션 방법에서 단계 S30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601), 동작 수신 유닛(602)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603)은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code) 및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위에서 설명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601), 동작 수신 유닛(602)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603)의 일부 기능 또는 전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 및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601), 동작 수신 유닛(602)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603)은 전술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601), 동작 수신 유닛(602)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603)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전용 하드웨어 디바이스(dedicated hardware device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601), 동작 수신 유닛(602)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603)은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회로 기판 또는 복수의 회로 기판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회로 기판 또는 복수의 회로 기판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2) 프로세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메모리(non-transitory memories), (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펌웨어(firmware).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601), 동작 수신 유닛(602)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60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인터랙션 방법의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단계 S10 내지 단계 S30의 관련 설명을 각각 참조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인터랙션 장치(60)는 상술한 인터랙션 방법과 유사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lectronic device)를 더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300)는 프로세서(310) 및 메모리(320)를 포함하며, 이는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서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을 일시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1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프로세서(3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인터랙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구현하여 상술한 인터랙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메모리(820)와 프로세서(810)는 버스 시스템 및/또는 다른 형태의 연결 메커니즘(미도시)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처리 장치(GPU), 또는 데이터 처리 및/또는 프로그램 실행 능력을 가진 다른 형상의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PU는 X86 또는 ARM 아키텍처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자 디바이스(300)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s)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는, 예를 들면, 램(RAM) 및/또는 캐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ROM), 하드디스크, 삭제가능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PROM), 포터블 컴팩드 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Portable Compact Disc Read-Only Memory)(CD-ROM), USB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810)는 전자 디바이스(8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computer program modules)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데이터,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및/또는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300)의 구체적인 기능 및 기술적 효과는 인터랙션 방법에 관한 상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전자 디바이스(900)는,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전자 디바이스(400)는 단말 디바이스 등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서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전자 디바이스(400)는,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 수신기, 개인 휴대 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휴대용 안드로이드 디바이스(portable Android device)(PAD),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PMP), 차량 탑재 단말기(예를 들어, 차량용 단말기),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및 디지털 TV, 데스크톱 컴퓨터, 스마트 홈 디바이스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에 디스플레이된 전자 디바이스(400)는 단지 예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기능 및 사용 범위에 어떠한 제한도 부과해서는 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400)는 처리 장치(410)(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4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 장치(storage apparatus)(480)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430)로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적절한 동작 및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430)는 전자 디바이스(4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더 저장한다. 처리 장치(processing apparatus)(410), ROM(420) 및 RAM(430)은 버스(4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nterface)(450)도 버스(440) 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다음의 장치는 I/O 인터페이스(I/O interface)(4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마이크로폰,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input apparatus)(460);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피커,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하는 출력 장치(output apparatus)(470);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storage apparatus)(480); 및 통신 장치(communication apparatus)(490). 통신 장치(490)는 전자 디바이스(400)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장치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400)를 도시하고 있지만, 모든 장치를 구현하거나 예시된 모든 장치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전자 디바이스(400)는 대안적으로 더 많거나 적은 장치를 구현하거나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인터랙션 방법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computer software programs)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non-transient computer-readable medium) 상에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위에 도시된 인터랙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 장치(communication apparatus)(490)를 통해 온라인으로 다운로드되고, 저장 장치(480)로부터 설치 또는 설치되거나, ROM(420)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처리 장치(40)에 의해 실행되면, 컴터 프로그램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인터랙션 방법에서 정의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 매체의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매체(storage medium)(500)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일 수 있으며, 이는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non-transitory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501)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50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501)은 상술한 인터랙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500)는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500)는 전자 디바이스에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는 스마트폰의 메모리 카드, 태블릿 컴퓨터의 저장 구성 요소,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삭제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술한 저장 매체의 임의의 조합 또는 다른 적용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메모리에 대한 설명은 저장 매체(500)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저장 매체(500)의 구체적인 기능 및 기술적 효과는 인터랙션 방법에 관한 상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instruction execution system),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거나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스와 조합하여 사용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유형 매체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computer-readable signal medium)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기,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의 전기 연결,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저장 디바이스스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스에 의해 또는 그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하는 임의의 유형 매체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computer readable signal medium)는 기저대역 내에서 또는 캐리어의 일부로서 전파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들을 운반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는 전자기 신호, 광 신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복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아닌 임의의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스에 의해 또는 그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송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는 전선, 광섬유 케이블, 무선 주파수(RF)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매체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기 및 서버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과 같이 현재 알려지거나 미래에 연구 및 개발될 임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통신할 수 있으며(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고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로 디지털 데이터와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네트워크("WAN"), 인터넷 및 종단 간 네트워크(예를 들어, 에드훅 종단간 네트워크(ad hoc end-to-end network)) 뿐만 아니라 현재 알려져 있거나 향후 연구 및 개발 될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술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술한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조립되지 않고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자바(Java), 스몰톡(Smalltalk), C++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C"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기존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도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의,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의,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에서 또는 전체적으로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와 관련된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지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외부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사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포함된 도면에서의 흐름도 및 블록도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의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플로우 차트 또는 블록도에서의 각각의 블록은 지정된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부 대체 구현에서, 블록에 표시된 기능이 또한 함께 제공되는 도면에 명시된 순서대로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예시된 두 블록은 실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관련된 기능에 따라 두개의 블록이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각 블록,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블록 조합은 지정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전용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들의 조합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련된 유닛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중 유닛의 이름은 특정 상황에서 장치 자체의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의 예시적인 유형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애플리케이션 특정 표준 제품(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ASSP),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 복잡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Complex Programmable Logical Device)(CPLD)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랙션 방법(interaction method)은: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target object display interface) 상에서 타겟 객체(target object)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first display mode)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first interactive control)를 포함함 -;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display mode switching operation)을 수신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second display mode)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환하는 단계 -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다른 제2 인터랙티브 제어(second interactive control)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속성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속성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배율 및/또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고,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또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터랙티브 제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타겟 객체의 데이터 정보를 더 포함하고, 타겟 객체의 데이터 정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고; 또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타겟 객체의 데이터 정보를 더 포함하고, 타겟 객체의 데이터 정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제1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first-type interactive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제2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second-type interactive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1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은 제2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과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제2 타입 인터랙티브 동작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가능 동작(adjustable operation)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객체가 비디오인 것에 대응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인터랙션 제어 영역을 더 포함하고; 및 제스처 인터랙션 제어 영역이 트리거되는 것에 대응하여, 비디오의 현재 상태가 변경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인터랙션 제어 영역은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이 트리거되는 것에 대응하여,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가 제1 사전 설정 재생 속도로 변경 및 조정되고, 및 제1 사전 설정 재생 속도는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의 제1 배수이고;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이 트리거되는 것에 대응하여,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가 제2 사전 설정된 재생 속도로 변경 및 조정되고, 제2 사전 설정된 재생 속도는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의 제2 배수이고, 제2 배수는 제1 배수와 상이하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형 인터랙티브 동작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는 획득 동작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 동작은: 타겟 객체를 저장하는 동작; 또는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린샷을 생성하기 위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샷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있는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은 타겟 객체에 대한 인터랙티브 동작 또는 타겟 객체와 연관된 사용자 간의 인터랙티브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터랙티브 제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타겟 객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동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와 타겟 객체가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동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타겟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세스에서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트리거되어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은: 트리거되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터치 제어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터치 포인트; 또는 트리거되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을 위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제3 인터랙티브 제어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더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 및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랙션 장치(interaction apparatus)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target object display unit) -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하고,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와 상이함 -;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동작 수신 유닛(operation receiving unit); 및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응답하여,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display mode switching unit)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을 포함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메모리 상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non-transitory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매체(storage medium), 여기서,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개시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예시 및 관련된 기술적 원칙의 설명일 뿐이다. 당업자는 여기기 관련된 공개의 범위가 위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의 특정 조합에 의해 형성된 기술 솔루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또한 본 개시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위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 또는 이와 동등한 특징의 조합으로 형성된 기타 기술 솔루션도 다룬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기술적 특징들은 새로운 기술적 해결책을 형성하기 위해 여기에 개시된 유사한 기능들을 갖는 기술적 특징들(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으로 상호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동작이 특정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동작이 명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특정 상황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구체적인 구현 세부 사항은 위의 논의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본 공개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별개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일부 특징들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기술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서브-조합에서 복수의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주제는 구조적 특징 및/또는 논리적 방법 행위에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 된 주제가 반드시 위에서 설명한 특정 특징 또는 행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위에서 설명한 특정 특징과 행위는 청구를 이행하기 위한 모범적인 형태일 뿐이다.
본 개시의 경우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1)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된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된 구조만을 포함하며, 다른 구조는 일반적인 설계를 참조할 수 있다.
(2) 상충하지 않는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와 하나의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의 특징은 새로운 실시예를 획득하기 위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개시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보호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근거하여야 한다.

Claims (20)

  1. 인터랙션 방법에 있어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타겟 객체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1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함 -,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상기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환하는 단계 -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다른 제2 인터랙티브 제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속성이,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변경되지 않는 상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속성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변경되지 않는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배율 및/또는 디스플레이 위치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고, 또는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상기 영역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상기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또는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상기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 객체의 데이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데이터 정보는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고, 또는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 객체의 데이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데이터 정보는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제1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제2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은,
    상기 제2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과 상이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상기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유형 인터랙티브 동작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는 조정가능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객체가 비디오인 것에 대응하여,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인터랙션 제어 영역
    을 더 포함하고, 및
    상기 제스처 인터랙션 제어 영역이 트리거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의 현재 상태가 변경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인터랙션 제어 영역은,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과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재생 속도 제어 영역이 트리거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의 현재 재생 속도가 제1 사전 설정 재생 속도로 변경 및 조정되고, 상기 제1 사전 설정 재생 속도는 상기 비디오의 상기 현재 재생 속도의 제1 배수이고, 및
    상기 제2 재생 속도 제어 영역이 트리거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의 상기 현재 재생 속도가 제2 사전 설정 재생 속도로 변경 및 조정되고, 상기 제2 사전 설정 재생 속도는 상기 비디오의 상기 현재 재생 속도의 제2 배수이고, 상기 제2 배수는 상기 제1 배수와 상이한,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 인터랙션 동작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의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는 획득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동작은,
    상기 타겟 객체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린샷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는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샷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인,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 인터랙션 동작은,
    상기 타겟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 동작 또는 상기 타겟 객체와 연관된 사용자 간의 인터랙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상기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와 상기 타겟 객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동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와 상기 타겟 객체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동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가 상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스에서 트리거되고 상기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은,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터치 제어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터치 포인트가 트리거되고 경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을 위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제3 인터랙티브 제어가 트리거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선명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 및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는,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타겟 객체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영역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되는,
    방법.
  18. 인터랙션 장치에 있어서,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상기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동작 수신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랙티브 제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타겟 객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2 인터랙티브 제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랙티브 제어는,
    상기 제2 인터랙티브 제어와 상이하고,
    장치.
  19.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인터랙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저장 매체.
KR1020237044540A 2021-11-25 2022-11-10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202400255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412228.8 2021-11-25
CN202111412228.8A CN114077375B (zh) 2021-11-25 2021-11-25 目标对象的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CT/CN2022/131140 WO2023093538A1 (zh) 2021-11-25 2022-11-10 交互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543A true KR20240025543A (ko) 2024-02-27

Family

ID=8028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540A KR20240025543A (ko) 2021-11-25 2022-11-10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43544A1 (ko)
KR (1) KR20240025543A (ko)
CN (1) CN114077375B (ko)
AU (1) AU2022397628A1 (ko)
WO (1) WO2023093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7375B (zh) * 2021-11-25 2023-05-05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目标对象的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009687A (zh) * 2022-04-29 2023-11-07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190341A (zh) * 2022-06-30 2022-10-14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媒体资源的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5079922B (zh) * 2022-07-14 2024-02-02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页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5474085B (zh) * 2022-09-06 2024-04-3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媒体内容播放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474086B (zh) * 2022-09-14 2023-07-18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播放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7737A1 (en) * 2007-04-13 2008-10-23 Building B Viewer interface for a content delivery system
KR101990035B1 (ko) * 2012-10-31 201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90079787A1 (en) * 2016-11-14 2019-03-14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streaming media
CN109557998B (zh) * 2017-09-25 2021-10-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10427143B (zh) * 2019-07-30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1782309B (zh) * 2019-10-28 2022-07-05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显示信息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09225B (zh) * 2020-01-20 2022-04-1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清屏处理方法及装置
CN112272303A (zh) * 2020-09-23 2021-01-26 北京五八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直播内容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11368A (zh) * 2021-01-15 2021-06-04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077375B (zh) * 2021-11-25 2023-05-05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目标对象的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77375A (zh) 2022-02-22
EP4343544A1 (en) 2024-03-27
AU2022397628A1 (en) 2024-01-18
WO2023093538A1 (zh) 2023-06-01
CN114077375B (zh) 2023-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18177B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40025543A (ko)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N109640188B (zh) 视频预览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261226B (zh) 横屏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643773B1 (ko)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
CN110620949B (zh) 热点推荐弹窗的控制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US20230007065A1 (en) Video shar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JP2023510379A (ja) ラベル表示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2303538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p-up window, and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2954441B (zh) 视频编辑及播放方法、装置、设备、介质
WO2023125164A1 (zh) 页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190520A (zh) 菜单项选择方法、装置、可读介质及电子设备
CN115474085B (zh) 媒体内容播放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4343513A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169305A1 (zh) 特效视频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65780A (zh) 图像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3727170A (zh) 视频交互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177610A (zh) 素材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296611A (zh) 直播间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4679628B (zh) 一种弹幕添加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747227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CN114722320A (zh) 页面切换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的交互方法
JP2023530775A (ja) 情報指示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WO2023241373A1 (zh) 影像记录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95401A (zh) 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