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773B1 -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773B1
KR102643773B1 KR1020237037852A KR20237037852A KR102643773B1 KR 102643773 B1 KR102643773 B1 KR 102643773B1 KR 1020237037852 A KR1020237037852 A KR 1020237037852A KR 20237037852 A KR20237037852 A KR 20237037852A KR 102643773 B1 KR102643773 B1 KR 10264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video playback
control
area
intera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0403A (ko
Inventor
펑보 위앤
휘 선
웬타오 루앤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함-;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2021년 4월 16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 번호가 202110413121.9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비디오 재생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는 비디오 유형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통해, 플랫폼에서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게시한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비디오를 재생할 때, 비디오 유형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일반적으로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좋아요 컨트롤, 댓글 컨트롤, 공유 컨트롤 또는 비디오 펜던트 등과 같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인터랙션 컨트롤을 트리거하여 인터랙션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랙션 컨트롤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재생 영역을 차폐(obstruct)하며, 사용자는 일련의 조작을 통해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볼 수 있으므로, 조작이 번거롭고, 효율이 낮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보기 위해 필요한 조작을 단순화하기 위한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함-;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며, 장기 장치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듈-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함-;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차폐 조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 설비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전자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고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특징 및 기타 특징, 장점 및 측면이 더욱 명확해진다. 전체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도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이고, 원본과 요소가 비례에 따라 그려지지 않았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비디오 재생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설비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개시를 보다 더 명확하고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도면 및 실시예는 예시적 작용만 할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방법 실시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단계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방법 실시형태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예시된 단계를 생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이러한 방면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문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 및 이의 변형은 개방형 포함, 즉,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를 나타낸다. 용어 "기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를 나타낸다. 용어 "하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용어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용어 "일부 실시예"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를 나타낸다. 기타 용어의 관련 정의는 아래 설명에서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제1", "제2" 등 개념은 상이한 장치, 모듈 또는 유닛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장치, 모듈 또는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순서 또는 상호 의존 관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된 "하나", "복수"의 수식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문맥상 별도로 지적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복수의 장치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 또는 정보의 명칭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이러한 메시지 또는 정보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상기 방법은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전자 설비에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휴대폰 또는 태블릿 PC에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보기 위한 시나리오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1),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비디오 재생 페이지는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페이지로 이해될 수 있다.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는 현재 시각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재생되는 비디오일 수 있다.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재생 영역일 수 있다.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은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 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게시자와 인터랙션하도록 하는 컨트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타켓 비디오의 게시자를 팔로잉하도록 하는 팔로잉 컨트롤,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에 대해 좋아요를 표시하도록 하는 좋아요 컨트롤,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에 대해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하는 댓글 컨트롤,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에 대해 신속하게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하는 신속 이모티곤 댓글 컨트롤(quick expression comment control),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공유하도록 하는 공유 컨트롤, 사용자가 현재 비디오의 게시자의 개인 홈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게시자 프로필 사진 및/또는 게시자의 사용자명칭,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 중의 배경음악을 채택한 상세 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음악 CD 컨트롤 및/또는 배경음악 제목, 비디오 펜던트 및/또는 사용자가 인터랙션하도록 하는 기타 컨트롤 등 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면 중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두 개의 컨트롤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설명함), 전자 설비는 사용자의 트리거 조작에 기반하여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재생하며, 즉,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비디오 재생 페이지의 최상층(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며, 각 컨트롤 영역에 대응되는 인터랙션 컨트롤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바, 예를 들어, 제1 컨트롤 영역(20)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게시자의 사용자명칭 및 배경음악 명칭 등 문자 유형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2 컨트롤 영역(21)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게시자 프로필 사진(210), 좋아요 컨트롤(211), 댓글 컨트롤(212), 공유 컨트롤(213) 및 음악 CD 컨트롤(214) 등 아이콘 유형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102),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한다.
여기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은 개시 슬라이딩 방향을 설정 방향으로 하는 슬라이딩 조작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시 슬라이딩 방향이 위, 아래, 좌 또는 우로 향하는 슬라이딩 조작 등일 수 있다.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은 단지 전자 설비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재생 영역 이동을 제어하어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이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도록 지시하고, 또한 전자 설비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지시하며, 예를 들어, 개시 슬라이딩 방향이 위 또는 아래로 향할 때,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은 전자 설비가 비디오 재생 페이지 중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슬라이딩 방향이 좌 또는 우로 향할 때,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은 전자 설비가 현재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며,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다른 비디오 재생 페이지 또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가 아닌 페이지로 전환한다. 이하,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개시 슬라이딩 방향이 위로 향하는 슬라이딩 조작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전자 설비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비디오 재생 페이지 중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하려고 할 때, 및/또는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타켓 비디오 서브 재생 영역을 보려고 할 때,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위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설비는 사용자가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위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모니터링되면,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03),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한다.
예시적으로, 전자 설비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면,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여,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이 디스플레이될 때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은닉 상태로 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계층 관계(예를 들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하위 계층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조정)를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이동 속도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터치점의 이동 속도보다 크거나 작거나 같을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터치점의 이동 속도와 같을 수 있고, 즉 선택적으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터치점의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인터랙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페이지를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환할 페이지의 일부 페이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비디오의 전환할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상기 전환할 비디오의 일부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전자 설비가 현재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전자 설비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때,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페이지/전환할 비디오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현재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페이지의 일부 컨텐츠 및 전환할 페이지의 일부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재생 영역 및 전환할 비디오의 일부 재생 영역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전환할 페이지/전환할 비디오의 컨텐츠를 미리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환할 페이지/전환할 비디오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되는 페이지/비디오일 수 있고, 즉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페이지 전환에 사용되는 경우, 전환할 페이지는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되는 페이지이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 전환에 사용되는 경우, 전환할 비디오는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되는 비디오이다. 여기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페이지 전환에 사용될지 비디오 전환에 사용될지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로 슬라이딩 조작이 전자 설비가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세로 슬라이딩 조작이 전자 설비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경우를 예로, 전자 설비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한 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방향이 좌 또는 우로 향하면,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전환할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고, 현재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페이지 및 상기 전환할 페이지를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의 일부 페이지 컨텐츠 및 상기 전환할 페이지의 일부 페이지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방향이 위 또는 아래로 향하면,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의 비디오 스트림 중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되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다음 비디오 또는 이전 비디오를 전환할 비디오로 결정하고,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상기 전환할 비디오의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상기 전환할 비디오의 일부 비디오 재생 영역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기반으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동시에 조정하는 것 외에, 사용자의 긴 누름 조작을 기반으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특정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상이한 조정 요구를 만족할 수도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후에, 타켓 인터랙션 컨트롤에 작용하는 긴 누름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긴 누름 조작의 지속 시간은 제2 기설정된 지속 시간보다 크거나 같음-; 및 상기 긴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타켓 인터랙션 컨트롤은 긴 누름 조작에 대응되는 인터랙션 컨트롤일 수 있는바, 즉 사용자가 길게 누르는 인터랙션 컨트롤일 수 있으며; 제2 기설정된 지속 시간은 개발자에 의해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기설정된 지속 시간을 0.5s 또는 1s 등 시간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설비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로써 사용자가 특정 인터랙션 컨트롤을 은닉하려고 하거나 특정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타켓 비디오 서브 재생 영역을 보려고 하면, 상기 인터랙션 컨트롤을 길게 누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자 설비는 사용자가 특정 인터랙션 컨트롤을 누르는 지속 시간이 제2 기설정된 지속 시간에 도달하는 것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인터랙션 컨트롤에 작용하는 긴 누름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긴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완전히 투명하게 조정하거나 상기 인터랙션 컨트롤의 디스플레이를 취소할 수 있다(즉,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상기 인터랙션 컨트롤의 디스플레이를 정지함).
컨트롤 영역에 인터랙션 컨트롤 외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정보(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명칭) 및/또는 배경 음악 정보도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조정할 때, 컨트롤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상태를 동시에 조정하여, 컨트롤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인터랙션 컨트롤 및 인터랙션 컨트롤이 아닌 컨트롤을 포함)에 의해 차폐된 타켓 비디오 서브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켓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할 때, 컨트롤 영역 내에 상기 타켓 인터랙션 컨트롤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면, 동시에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타켓 인터랙션 컨트롤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게시자의 사용자명칭일 때,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비디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면, 상기 게시자의 사용자명칭 및 비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동시에 조정할 수 있고; 타켓 인터랙션 컨트롤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배경음악 명칭일 때,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배경 음악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면, 상기 배경음악 명칭 및 상기 배경 음악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며,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인터랙션 컨트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기술 방안을 채택하여, 사용자는 간단한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볼 때 필요한 조작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보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 중의 방안은 상기 실시예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 방안과 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도는 상기 이동 거리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제1 이동 속도와 상이한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되면,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디스플레이 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1),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고,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202),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한다.
단계(S203),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단계(S204), 단계(S205), 단계(S206) 또는 단계(S207)를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타켓 비디오 서브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204),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며, 단계(S208)를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투명도는 상기 이동 거리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는 인터랙션 컨트롤의 현재 위치와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기 전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위치 사이의 거리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설비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이 이의 원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증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이 이의 원시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저하시켜,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타켓 비디오 서브 재생 영역을 보는 데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면, 상기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은 임의적으로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설정 정보 또는 선택 조작에 기반하여 결정되거나, 개발자의 설정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초기 슬라이딩 방향이 위로 향하는 세로 슬라이딩 조작인 경우를 예로 들면, 전자 설비는 사용자의 위로 향하는 슬라이딩이 모니터링될 때,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동기적으로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과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은 모두 동일함), 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점차 증가시키고; 사용자가 위로 슬라이딩하다가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모니터링되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동기적으로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상기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점차 감소시킨다. 여기서, 각 위치에서 증가하거나 저하시켜야 하는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는 상기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거리와 투명도 간의 대응 관계는 개발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S205),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설비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은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완전히 투명하게 조정하거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디스플레이를 취소하며(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제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 중 은닉 상태로 조정되지 않은 인터랙션 컨트롤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거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 중 특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보는 데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면, 상기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은 임의적으로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설정 정보 또는 선택 조작에 기반하여 결정되거나, 개발자의 설정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S206),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제1 이동 속도와 상이한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단계(S208)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이동 속도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이동 속도일 수 있다. 제2 이동 속도는 제1 이동 속도와 상이한 이동 속도일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제1 이동 속도와의 비율값이 기설정된 비율값인 이동 속도 또는 제1 이동 속도와의 차이값가 기설정된 차이값인 이동 속도 등이며,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이동 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면, 제2 이동 속도도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이동 속도와 제1 이동 속도가 상이한 것은 각 시각마다의 제2 이동 속도의 순간값과 해당 시각에서의 제1 이동 속도의 순간값이 상이하다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제1 이동 속도와 상이한 제2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될 때까지,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1 이동 속도보다 크거나 작은 특정 속도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과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미스매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인터랙션 컨트롤이 특정 부분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계속 차폐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한다.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초기 슬라이딩 방향이 위로 향하는 세로 슬라이딩 조작인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위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모니터링될 때,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고(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로 슬라이동하는 속도를 제1 이동 속도로 결정함), 상기 제1 이동 속도에 따라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제2 이동 속도를 결정하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제1 이동 속도로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2 이동 속도로 동기적으로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위로 슬라이딩하다가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모니터링되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제1 이동 속도로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2 이동 속도로 동기적으로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또한 단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제1 이동 속도보다 상이한 제2 이동 속도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다른 인터랙션 컨트롤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거나 제1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2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지 않아도 되며; 제1 이동 속도로 이동하는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 또는 제2 이동 속도로 이동하는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 중 이동되지 않거나, 제1 이동 속도로 이동하거나, 제2 이동 속도로 이동하는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S207),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단계(S208)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상이한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먼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작은 이동 속도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설정 시간 동안, 설정 거리를 이동하거나 특정 컨트롤 영역까지 이동하여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중첩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큰 이동 속도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볼 수 있도록 보장하고,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이동할 때의 재미를 향상시킨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초기의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타켓 컨트롤 영역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밖으로 이동되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개시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개시 슬라이딩 방향은 위, 아래, 좌 또는 우 등일 수 있다. 제2 이동 속도는 제1 이동 속도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타켓 컨트롤 영역은 특정 컨트롤 영역일 수 있으며, 이는 임의의 하나의 컨트롤 영역일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컨트롤 영역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방향은 위로 향하고, 제2 이동 속도는 제1 이동 속도보다 작으며, 타켓 컨트롤 영역이 제1 컨트롤 영역(20)인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위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측정되면,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제1 이동 속도로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2 이동 속도로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즉, 각 컨트롤 영역을 제2 이동 속도로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함), 이동 과정 중, 타켓 컨트롤 영역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중첩된 영역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타켓 컨트롤 영역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중첩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타켓 컨트롤 영역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중첩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하여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2 이동 속도로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타켓 컨트롤 영역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중첩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타켓 컨트롤 영역의 상부 경계선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하부 경계선이 중첩되거나(도 4에 도시됨), 타켓 컨트롤 영역의 상부 경계선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하부 경계선의 아래로 이동되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하며, 즉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이동 속도로 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타켓 컨트롤 영역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중첩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이 변화하거나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될 때까지 각 인터랙션 컨트롤과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모두 제1 이동 속도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제1 이동 속도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이동한 후,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이 변화하거나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될 때까지,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3 이동 속도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 후에,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제1 이동 속도로 이동한 시간 길이가 제1 기설정된 지속 시간에 도달하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1 이동 속도로부터 제3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속도 크기에 따라 순서를 배정하면,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이동 속도와 상기 제3 이동 속도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1 기설정된 지속 시간은 개발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기설정된 지속 시간을 1s 또는 1.5s 등 시간 길이로 설정할 수 있고; 제3 이동 속도와 제1 이동 속도의 차이값은 제2 이동 속도와 제1 이동 속도의 차이값 부호와 반대되며, 즉 제2 이동 속도가 제1 이동 속도보다 작으면, 제3 이동 속도는 제2 이동 속도보다 크고, 제2 이동 속도가 제1 이동 속도보다 크면, 제3 이동 속도는 제2 이동 속도보다 작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전환하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의 전환 순서는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의 전환 순서와 반대된다.
본 실시예에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반대인 방향(즉, 제2 방향)으로 전환하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반대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동 과정에서, 이의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가 전환되는 순서와 반대되는 순서에 따라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전환하는바, 예를 들어,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서 제1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순차적으로 제2 이동 속도, 제1 이동 속도 및 제3 이동 속도로 제1 방향을 따라 위로 이동하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제1 방향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전환하면,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이 다시 변화하거나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될 때까지, 제3 이동 속도-제2 이동 속도-제1 이동 속도의 순서에 따라 상기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전환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방향이 위로 향하고, 제2 이동 속도가 제1 이동 속도보다 작으며, 타켓 컨트롤 영역이 제1 컨트롤 영역인 경우를 예로 들어,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제3 이동 속도로 위로 이동할 때, 위로 슬라이딩하다가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전환한다고 가정하면,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아래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먼저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3 이동 속도로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타켓 컨트롤 영역의 상부 경계선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하부 경계선이 중첩될 때까지 이동하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제1 이동 속도로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제1 이동 속도로 아래로 이동할 때의 시간이 제1 기설정된 지속 시간에 도달하면,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제1 이동 속도로부터 제2 이동 속도로 조정한다.
본 실시예 또한 단지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상이한 이동 속도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다른 인터랙션 컨트롤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거나 동일한 이동 속도(예를 들어, 제1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상이한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지 않아도 되며;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 또는 순차적으로 상이한 이동 속도로 이동하는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 중 이동되지 않거나, 동일한 이동 속도로 이동하거나, 순차적으로 상이한 이동 속도로 이동하는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상이한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면, 위치된 컨트롤 영역에 따라 상기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결정할 수 있는바, 즉 선택적으로, 특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간 영역 내의 모든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제2 이동 속도로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컨트롤 영역을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으로부터 제거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용이할 수 있다.
단계(S208),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되면,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를 획득하고, 단계(S209) 또는 단계(S210)를 수행한다.
여기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끝점과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시작점 사이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되면, 예를 들어,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점이 사라진 것이 감지되면,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끝점의 위치 좌표(즉,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점이 사라진 위치의 좌표) 및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시작점의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끝점의 위치 좌표와 상기 슬라이딩 시작점의 위치 좌표에 따라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슬라이딩 거리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전환할 지 여부 또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 중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할 지 여부를 나중에 결정한다.
단계(S209),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에만, 페이지 전환 또는 비디오 전환 조작을 수행하여, 오류 트리거를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전체 슬라이딩 방향(즉, 슬라이딩 시작점으로부터 슬라이딩 끝점으로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응하는 전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전체 슬라이딩 방향이 위로 향할 때, 비디오 재생 페이지 중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비디오 스트림 중의 다음 비디오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전체 슬라이딩 방향이 아래로 향할 때, 비디오 재생 페이지 중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비디오 스트림 중의 이전 비디오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체 슬라이딩 방향이 좌 또는 우로 향할 때, 현재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대응되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 또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가 아닌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는 개발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단계(S210),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디스플레이 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서,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디스플레이 위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기 전에,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디스플레이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상태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작으면, 페이지 전환 및 비디오 전환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상기 타켓 트리거 조작에 응답하여 이를 이동하기 전의 원시 디스플레이 위치로 조정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상태를 상기 타켓 트리거 조작에 응답하여 이를 조정하기 전의 원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타켓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기 전의 이의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디스플레이 위치로 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타켓 트리거 조작을 수신하기 전의 이가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 디스플레이될 때의 원시 투명도로 조정하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은닉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상태로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가 슬라이딩 하는 과정에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전부 또는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고,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전부 또는 일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은닉하거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과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대 위치,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거나 인터랙션 컨트롤을 은닉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오류 트리거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전자 설비에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휴대폰 또는 태블릿 PC에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여 컨트롤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듈(501), 제1 수신 모듈(502) 및 차폐 조정 모듈(5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듈(501)은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수신 모듈(502)은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차폐 조정 모듈(503)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며, 차폐 조정 모듈을 통해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인터랙션 컨트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기술 방안을 채택하여, 사용자는 간단한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인터랙션 컨트롤에 의해 차폐된 비디오 재생 영역을 볼 때 필요한 조작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보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는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폐 조정 모듈(50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투명도 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명도는 상기 이동 거리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폐 조정 모듈(503)은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은닉 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차폐 조정 모듈(503)은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제1 이동 속도와 상이한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이동 제어 유닛; 또는,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이동 제어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제2 이동 제어 유닛은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초기의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타켓 컨트롤 영역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밖으로 이동되면,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제2 이동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한 후,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제1 이동 속도로 이동한 시간 길이가 제1 기설정된 지속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1 이동 속도로부터 제3 이동 속도로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속도 크기에 따라 순서를 배정하면,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이동 속도와 상기 제3 이동 속도 사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폐 조정 모듈(503)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전환하면,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3 이동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의 전환 순서는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의 전환 순서와 반대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되면,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거리 획득 모듈;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모듈;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디스플레이 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환원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폐 조정 모듈(503)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페이지를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환할 페이지의 일부 페이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페이지 이동 유닛; 또는,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비디오의 전환할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상기 전환할 비디오의 일부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재생 영역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타켓 인터랙션 컨트롤에 작용하는 긴 누름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상기 긴 누름 조작의 지속 시간은 제2 기설정된 지속 시간보다 크거나 같음-; 및 상기 긴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은닉 조정 모듈;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는 데 상응하는 기능 모듈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적합한 전자 설비(예를 들면, 단말 설비)(600)의 구조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 설비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 노트북, 디지털 방송 수신기,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태블릿 PC(PAD),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PMP), 차량용 단말기(예를 들면,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및 텔레비젼(Television, TV), 데스크톱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전자 설비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능 및 사용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설비(600)는 처리 장치(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 그래픽 처리 장치 등)(60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롬(Read-Only Memory, ROM)(6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 장치(606)로부터 램(Random Access Memory, RAM)(603)에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적합한 동작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RAM(603)은, 전자 설비(600)의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더 저장한다. 처리 장치(601), ROM(602) 및 RAM(603)은 버스(60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입력/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605)도 버스(604)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아래의 장치는 I/O 인터페이스(60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마이크,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606); 예를 들어,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스피커, 진동기 등을 포함하는 출력 장치(607); 예를 들어, 테이프,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606); 및 통신 장치(609)이다. 통신 장치(609)는 전자 설비(600)가 기타 설비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다양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설비(600)를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모든 장치를 실시하거나 구비할 필요는 없다. 대안적으로, 더 많거나 더 적은 장치를 실시하거나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 프로세스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고, 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흐름도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 장치(609)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딩 및 설치될 수 있거나, 저장 장치(606)로부터 설치될 수 있거나, ROM(602)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처리 장치(601)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에서 한정하는 상기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개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전기,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구비한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자기디스크, 하드디스크, RAM,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씨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 저장 소자, 자기 저장 소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하는 임의의 유형 매체일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는 베이스 밴드에서 전파되거나 반송파의 일부분으로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고, 전자기 신호, 광학 신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이외의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 수도 있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송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는 임의의 적합한 매체에 의해 전송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선, 광 케이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클라이언트, 서버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과 같은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개발될 임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시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국제망(예를 들어, 인터넷) 및 P2P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예를 들어, ad hoc P2P 네트워크), 및 현재 알려졌거나 미래에 개발될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전자 설비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전자 설비 내에 장착되지 않고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전자 설비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전자 설비가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며;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이의 조합으로 본 개시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작성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래밍 언어는 Java, Smalltalk, C++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C"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일반적인 절차식 프로그래밍 언어를 더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용자 컴퓨터에서 완전하게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실행될 수 있고, 일부분은 사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일부분은 원격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또는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에서 완전하게 실행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에 관련된 경우, 원격 컴퓨터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LAN 또는 WAN을 포함함)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외부 컴퓨터(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여 연결됨)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의 흐름도 및 블록도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 기능 및 조작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흐름도 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은 하나의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분을 대표할 수 있고, 상기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분은 규정된 논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에서, 블록에 표시된 기능은 도면에 표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발생될 수도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은 실질상 병렬로 수행될 수 있고, 이들은 간혹 반대되는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는 관련된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각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블록의 조합은, 규정된 기능 또는 조작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에 기반한 전용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유닛은 소프트웨어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상황에서, 모듈의 명칭은 상기 유닛 자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논리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논리 컴포넌트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직접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주문형 표준 제품(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arts, ASSP),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전문에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 매체일 수 있고, 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설비에 의해 사용되거나,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설비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설비, 또는 상기 내용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에 기반한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디스크, RAM, ROM, 이피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씨디롬(CD-ROM), 광 저장 소자, 자기 저장 소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은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함-;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에 따른 예시 2의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도는 상기 이동 거리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에 따른 예시 3의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에 따른 예시 4의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제1 이동 속도와 상이한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4에 따른 예시 5의 방법에서,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초기의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타켓 컨트롤 영역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밖으로 이동되면,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5에 따른 예시 6의 방법에서,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제1 이동 속도로 이동한 시간 길이가 제1 기설정된 지속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1 이동 속도로부터 제3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속도 크기에 따라 순서를 배정하면,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이동 속도와 상기 제3 이동 속도 사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5 또는 6에 따른 예시 7의 방법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전환하면,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의 전환 순서는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의 전환 순서와 반대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예시 8의 방법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이 종료되면,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디스플레이 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예시 9의 방법은,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페이지를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환할 페이지의 일부 페이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비디오의 전환할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상기 전환할 비디오의 일부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예시 10의 방법은,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후에,
타켓 인터랙션 컨트롤에 작용하는 긴 누름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긴 누름 조작의 지속 시간은 제2 기설정된 지속 시간보다 크거나 같음-; 및
상기 긴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1은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듈-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함-;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차폐 조정 모듈;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2는 전자 설비를 제공하며, 상기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예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3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예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상술한 설명은 본 개시의 선택적 실시예 및 이용된 기술 원리에 대한 설명일 뿐이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에서 관련된 개시 범위는 상기 기술 특징의 특정 조합에 의해 구성된 기술 방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개시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기술 특징 또는 이의 균등한 특징을 임의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된 기타 기술 방안도 포함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징과 본 개시에서 공개된(이에 한정되지 않음) 비슷한 기능을 구비하는 기술 특징을 서로 교환하여 구성된 기술방안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 순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작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러한 조작을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일정한 환경에서, 복수의 태스크를 병렬로 처리하면 유리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설명에 복수의 구체적인 구현 내용을 포함하였으나, 이는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별도의 실시예의 전문에서 설명된 일부 특징은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전문에서 설명된 복수의 특징은 복수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조 특징 및/또는 방법 논리 동작에 특정된 언어를 사용하여 본 주제를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한정한 주제는 상기에서 설명한 특정 특징 또는 동작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특정 특징 및 동작은 특허 청구 범위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 형태일 뿐이다.

Claims (13)

  1.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함-;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디스플레이 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도는 상기 이동 거리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일부 또는 전부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제1 이동 속도와 상이한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이동 속도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이 초기의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제2 이동 속도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타켓 컨트롤 영역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밖으로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2 이동 속도로부터 상기 제1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제1 이동 속도로 이동하는 시간 길이가 제1 기설정된 지속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의 이동 속도를 상기 제1 이동 속도로부터 제3 이동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속도 크기에 따라 순서를 배정하면,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이동 속도와 상기 제3 이동 속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의 전환 순서는 상기 각 인터랙션 컨트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의 전환 순서와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페이지를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환할 페이지의 일부 페이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되는 전환할 비디오의 전환할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 상기 전환할 비디오의 일부 비디오 재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후에,
    타켓 컨트롤에 작용하는 긴 누름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긴 누름 조작의 지속 시간은 제2 기설정된 지속 시간보다 크거나 같음-; 및
    상기 긴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컨트롤을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은닉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11. 비디오 재생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듈-여기서,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영역은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며, 상기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함-;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 내에 작용하는 타켓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에 대한 차폐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차폐 조정 모듈; 및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타켓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한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을 상기 타켓 비디오 재생 영역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디스플레이 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션 컨트롤의 상기 비디오 재생 페이지에서의 원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환원 모듈
    을 포함하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장치.
  1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13.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37852A 2021-04-16 2022-04-12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 KR102643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413121.9A CN113110783B (zh) 2021-04-16 2021-04-16 控件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202110413121.9 2021-04-16
PCT/CN2022/086240 WO2022218282A1 (zh) 2021-04-16 2022-04-12 控件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403A KR20230160403A (ko) 2023-11-23
KR102643773B1 true KR102643773B1 (ko) 2024-03-05

Family

ID=7671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852A KR102643773B1 (ko) 2021-04-16 2022-04-12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136808A1 (ko)
EP (1) EP4310653A1 (ko)
JP (1) JP2024514660A (ko)
KR (1) KR102643773B1 (ko)
CN (1) CN113110783B (ko)
AU (1) AU2022258350A1 (ko)
BR (1) BR112023021452A2 (ko)
WO (1) WO2022218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0783B (zh) * 2021-04-16 2022-05-2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控件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542853A (zh) * 2021-07-20 2021-10-22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613053B (zh) * 2021-07-26 2023-03-2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655936A (zh) * 2021-08-10 2021-11-16 Vidaa美国公司 显示设备和屏幕保护方法
CN113656638B (zh) * 2021-08-16 2024-05-07 咪咕数字传媒有限公司 一种观看直播的用户信息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3608816B (zh) * 2021-08-18 2023-05-23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进度的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468452B (zh) * 2021-09-03 2021-11-16 成都国星宇航科技有限公司 遥感数据可视化界面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125566B (zh) * 2021-12-29 2024-03-08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互动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4676358A (zh) * 2022-03-21 2022-06-28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控件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14610217A (zh) * 2022-03-24 2022-06-10 闪耀现实(无锡)科技有限公司 用于显示视图的方法、装置和头戴显示设备
CN115119040B (zh) * 2022-07-19 2024-01-3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5426532B (zh) * 2022-08-30 2024-01-3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进度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6976A1 (en) 2014-05-30 2015-12-03 Apple Inc. User interface slider that reveals the element it affects
CN108475156A (zh) 2015-12-31 2018-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菜单显示方法及手持终端
US20200272245A1 (en) 2019-02-26 2020-08-27 Yong Wang Context-Dependent Touchban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126A1 (ko) * 2015-08-25 2017-03-02 엘지전자(주) 이동단말기
CN106909282A (zh) * 2015-12-23 2017-06-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2020514855A (ja) * 2016-12-28 2020-05-21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CN107145272A (zh) * 2017-04-27 2017-09-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标隐藏显示终端及方法
CN107803028B (zh) * 2017-09-30 2019-03-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182019B (zh) * 2018-01-16 2020-03-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悬浮控件显示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8762619B (zh) * 2018-06-08 2021-02-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浮标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9471571B (zh) * 2018-10-23 2022-11-01 深圳汉硕计算机科技有限公司 悬浮控件的显示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08128B (zh) * 2018-11-09 2021-05-18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搜索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58481A (zh) * 2019-12-13 2020-04-0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页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294637A (zh) * 2020-02-11 2020-06-1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488096B (zh) * 2020-04-02 2022-04-15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阅读应用中展示互动呈现信息的方法与设备
CN113110783B (zh) * 2021-04-16 2022-05-2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控件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6976A1 (en) 2014-05-30 2015-12-03 Apple Inc. User interface slider that reveals the element it affects
CN108475156A (zh) 2015-12-31 2018-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菜单显示方法及手持终端
US20200272245A1 (en) 2019-02-26 2020-08-27 Yong Wang Context-Dependent Touch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3021452A2 (pt) 2023-12-19
US20230136808A1 (en) 2023-05-04
CN113110783A (zh) 2021-07-13
CN113110783B (zh) 2022-05-20
WO2022218282A1 (zh) 2022-10-20
KR20230160403A (ko) 2023-11-23
EP4310653A1 (en) 2024-01-24
AU2022258350A1 (en) 2023-11-16
JP2024514660A (ja)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773B1 (ko)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
KR102600833B1 (ko) 핫스팟 리스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매체
JP2023515788A (ja) 撮影方法、装置、電子機器および記憶媒体
CN110620949B (zh) 热点推荐弹窗的控制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4077375B (zh) 目标对象的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16386B1 (ko) 핫스팟 리스트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매체
WO2023011181A1 (zh) 横屏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4044606B1 (en) View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CN113891164A (zh) 视频列表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9508128A (zh) 搜索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343512A1 (en) Contro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WO2023216936A1 (zh) 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WO2023185647A1 (zh) 媒体内容的显示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14385297A (zh) 页面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WO2023011176A1 (zh) 背景图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113790A (zh) 一种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40126422A1 (en) Progress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4012451A1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4027648A1 (zh) 信息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995401A (zh) 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23155708A1 (zh) 视角的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WO2023116489A1 (zh) 显示模式的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314747B (zh) 媒体内容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1244651A1 (zh) 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633062B (zh) 显示信息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