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443A -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 - Google Patents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443A
KR20240025443A KR1020230046392A KR20230046392A KR20240025443A KR 20240025443 A KR20240025443 A KR 20240025443A KR 1020230046392 A KR1020230046392 A KR 1020230046392A KR 20230046392 A KR20230046392 A KR 20230046392A KR 20240025443 A KR20240025443 A KR 2024002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ight green
dyeing
dy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박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민 filed Critical 박정민
Publication of KR2024002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44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4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macromolecular substanc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P1/48Derivatives of carbohydr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Abstract

본 발명은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에 관한 것으로, (S1)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황백껍질 우린 물에 염색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된 원단을 쪽물 염액을 사용하여 염색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쪽물 염액으로 염색된 원단을 물속에서 연두색상이 발색 될 때까지 침지하는 단계; 및 (S5) 상기 단계 (S4)에서 염색된 원단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은 고품격의 연두색감을 나타낼 수 있어 미감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염색 방법에 따르면 친환경적이고, 염색 외관이 우수한 염색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초록계열의 천연염색의 독자적 제품화를 가능케 하며, 자연염색 기술을 적용한 원단 고급화를 실현, 고부가가치 창출 제품화로 경쟁 심화 상태의 원단시장에서 새로운 아이템으로 돌파구 마련 및 해외 고급소재 시장의 선점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Natural dyeing method of light green feeling using bark of amur corktree and indigo plant and the fabric with light green feeling dyed therefrom}
본 발명은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베이스 염색을 한 다음 쪽물 염액에 2차베이스 염색시키는 것을 물속에서 발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에 관한 것이다.
문명의 발달은 값싸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염색으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면서 기존의 복잡하고 노동집약적인 천연염색은 쇠퇴하였다.그와 함께 기존의 염색방법 또한 잊혀졌다. 현재 천염염색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색상이 전세유물을 통한 색상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 또한 그와같은 이유 때문이다. 연두색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덕온공주 "녹당의(綠唐衣)"(단국대학교출판부『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의 유물』P27)로 실제 색상은 확인되나 염색으로써의 구현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연두색의 규정은 두록색(豆綠色)으로 하고자 한다. 두록색은 대두의 색을 말하며, 완전히 다 익혀서 수확된 생콩의 색을 말한다. 『규합총서』에는 "두록이 너무 짙은 노란색이면 아리땁지 못하고 거위새끼 갓 깥 빛이 좋되 삼황, 울금, 옥색과 같이 진하게 염색하면 유록색을 얻을 수 있다"라고 두록색을 정의한다. 두록색은 이름에 '녹색'이 들어가지만 황색으로 분류된다. 두록색은 ??히 연하고 채도가 적당한 연두색이다. 대두에서 느껴지는 노란빛 사이의 약간의 연둣빛을 포함한다. 이처럼 문헌의 글로 표현된 색상과 전세유물로 내려오는 색상은 현대에 와서는 그 색상을 명확하게 규정짖지 못하여 위의 전세유물또한 '초록색'으로 명칭을 짖는 것 또한 같은 결과로 볼 수있다. 이에 『임원경제지』「전공지」권28~29권 중 연두색의 염색기법을 해석하여 "황벽 달인 물로 물들이고, 청대 달인 물로 덧물을 들인다. 지금은 현람(쪽의 다른이름)의 어린잎 달인 물로 덧물 들인 것을 '초두록색(草豆綠色)'이라 하는데, 색이 매우 선명하다 《천공개물》"(풍석문화재단, 전공지 p390) 이상을 근거로 하여 해당 연두색상을 재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두색상의 발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천연염색 방법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원단을 천연염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S1)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황백껍질 우린 물에 염색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된 원단을 쪽물 염액을 사용하여 염색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쪽물 염액으로 염색된 원단을 물속에서 연두색상이 발색 될 때까지 침지하는 단계; 및
(S5) 상기 단계 (S4)에서 염색된 원단을 숙성시키는 단계.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1)에서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염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3)에서 쪽물 염액은 생쪽은 별도의 숙성을 시키며, 니람은 물에 풀어서 환원제를 넣고 2일~6일(숙성시키는 온도에 따라) 동안 방치하여 제조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4)에서 물속에서 발색될 때까지 침지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4)에서 그늘 또는 2,000룩스까지(형광등)을 사용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15~30일 소요)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는 0 내지 25℃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천연염색된 원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은 고품격의 연두색감을 나타낼 수 있어 미감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두계열의 천연염색의 독자적 제품화를 가능케 하며, 자연염색 기술을 적용한 원단 고급화를 실현, 고부가가치 창출 제품화로 경쟁 심화 상태의 원단시장에서 새로운 아이템으로 돌파구 마련 및 해외 고급소재 시장의 선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1 내지 5차 염색한 원단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라 황백껍질 우린 물로 염색 후 쪽물 염액으로 최종 염색된 원단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황백껍질 우린 물 염색과 쪽물 염액 염색을 교차로 진행하여 연두색감의 염색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염색된 실크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된 한복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감으로 원단을 천연염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S1)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황백껍질 우린 물에 염색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된 원단을 쪽물 염액을 사용하여 염색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쪽물 염액으로 염색된 원단을 물속에서 연두색상이 발색 될 때까지 침지하는 단계; 및
(S5) 상기 단계 (S4)에서 염색된 원단을 숙성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은 고품격의 연두색감을 나타낼 수 있어 미감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황백나무는 한국 전지역, 일본, 중국 등의 토양수분이 많거나 습도가 높은 산간의 계곡등지에 자생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한방의약품의 윈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효능으로는 건위, 강장, 수렴 및 소화제로서 쓰이며 민간에서는 복통의 묘약으로 쓰이며 눈의 충혈, 결막염 등의 세안약으로 쓰이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S1)에서 황백껍질 우린 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백껍질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80 내지 120 ℃에서 추출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원단을 염색하면 형광색 노란색감을 가지는 원단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황백껍질 우린 물에는 백반을 대표적으로 사용하여 선명한 노란색감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량은 황백껍질 우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쪽염액으로 염색된 원단을 흐르는 물속 또는 물 속에서 연두색상이 발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염색 원단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원단은 인견 또는 본견과 같은 실크 와 같은 천연섬유 원사나 원단, 레이온 합성섬유 원사나 원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S2)에서 쪽물 염액은 생쪽 또는 니람을 물에 풀어서 환원제를 넣고 2일~6일동안 방치하여 환원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원제는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하이드로설파이드(sodium hydrosulf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는데, 이 때 사용량은 원단의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쪽물 염액은 올리고당이 추가로 첨가되어 2 내지 6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온도에 따라 발효의 과정이 다르기때문에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빠른 발효를 목적으로 한다.올리고당은 쪽물 염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올리고당 추가로 인하여 유산균이 발효되어 염색의 색을 균일하게 하며 얼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S3)에서 염색은 쪽물 염액의 윗물에서 원단을 잠깐 동안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쪽물 염액에 원단은 전체적으로 깊이 담그는 것이 아니라 쪽물 염액의 윗물에만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S4)에서 쪽물 염액으로 염색된 원단을 흐르는 물속에서 또는 물속에서 연두색상이 발색될 때까지 침지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황백껍질에 염색된 직물로 쪽물 염색을 이용한 염색을 반복 염색을 하여 연두색에서 초록색 계열의 원단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2,3,4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연두색에서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방법에 따르면 고급지고 은은한 연두색감으로 실크와 같은 한복 원단을 염색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염색된 실크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된 한복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에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은 고품격의 연두색감을 나타낼 수 있어 미감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염색 방법에 따르면 친환경적이고, 염색 외관이 우수한 염색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초록계열의 천연염색의 독자적 제품화를 가능케 하며, 자연염색 기술을 적용한 원단 고급화를 실현, 고부가가치 창출 제품화로 경쟁 심화 상태의 원단시장에서 새로운 아이템으로 돌파구 마련 및 해외 고급소재 시장의 선점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시험예 1>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한 염색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백껍질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100 ℃에서 1 시간 30분 동안 추출하여 황백껍질 우린 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제조된 황백껍질 우린 물 100 중량부에 잿물, 명반, 소석회 및 구연산을 각각 5 중량부씩 첨가하여 염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4가지의 염액을 이용하여 각각 실크를 염색하였다. 그 결과, 잿물과 소석회를 첨가한 경우, 특히 잿물을 첨가한 경우 보다 선명한 노란색감을 수득되었으며, 명반과 구연산을 첨가한 경우에는 염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상기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1 내지 5차 염색을 수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1 내지 5차 염색한 원단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염색 차수에 따라 노란색감이 진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잿물 또는 소석회를 첨가한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원단을 염색한 다음 그늘에서 건조하였다.
이어서, 생쪽 또는 니람을 물에 푼 다음 환원제를 넣고 25분 동안 방치하여 환원시켜 제조된 쪽물 염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염색된 원단을 쪽물 염액의 윗물에 15분 동안 침지시킨 다음 깨끗한 물로 헹궈 내고 30℃에서 건조하였다.
도 2,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황백껍질 우린 물로 염색 후 쪽물 염액으로 최종 염색된 원단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연두색감 염색이 잘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황백껍질 우린 물에 소석회를 첨가한 경우보다 잿물을 첨가한 경우 보다 선명한 연두색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쪽물 염액 100 중량부에 올리고당을 1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한 다음 4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된 쪽물 염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염색이 고급지게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상기 쪽물 염액에 환원제를 첨가한 다음 10분 동안 방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얼룩 염색이 생기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쪽물 염액을 이용한 염색 후 건조를 40℃에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두색감으로 염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황백껍질 우린 물 염색과 쪽물 염액 염색을 교차로 진행하여 연두색감의 염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황백껍질 우린 물 염색 5차 후 쪽물 염액을 이용한 염색을 한 경우(1), 황백껍질 우린 물 염색 4차 후 쪽물 염액을 이용한 염색을 한 후 다시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염색한 경우 (2), 황백껍질 우린 물 염색 4차 후 쪽물 염액을 이용한 염색을 한 경우(3) 및 황백껍질 우린 물 염색 후 쪽물 염액을 이용한 염색한 다음 다시 황백껍질 우린 물 염색 후 쪽물 염액을 이용한 염색을 한 경우(4)로 교차 염색하였다.
도 5는 황백껍질 우린 물 염색과 쪽물 염액 염색을 교차로 진행하여 연두색감의 염색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원단을 천연염색하는 방법:
    (S1)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황백껍질 우린 물에 염색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된 원단을 쪽물 염액을 사용하여 염색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쪽물 염액으로 염색된 원단을 물속에서 연두색상이 발색 될 때까지 침지하는 단계; 및
    (S5) 상기 단계 (S4)에서 염색된 원단을 숙성시키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에서 황백껍질 우린 물을 이용하여 원단을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원단을 천연염색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에서 쪽물 염액은 생쪽 또는 니람을 물에 풀어서 환원제를 넣고 2일~6일 동안 방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원단을 천연염색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쪽물 염액은 올리고당이 추가로 첨가되어 3 내지 5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원단을 천연염색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에서 염색은 쪽물 염액의 윗물에서 원단을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원단을 천연연색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4)에서 쪽물 염액으로 염색된 원단을 흐르는 물속 또는 물속에서 연두색상이 발색될 때까지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원단을 천연염색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5)에서 연두색상 원단을 건조하는 단계 후 숙성단계로써 온도 0내지 25℃에서 그늘 또는 조도 2,000룩스까지 빛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두색부터 연두색감까지 원단을 천연염색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연두색에서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
KR1020230046392A 2022-08-18 2023-04-07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 KR20240025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03008 2022-08-18
KR1020220103008 2022-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443A true KR20240025443A (ko) 2024-02-27

Family

ID=9005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392A KR20240025443A (ko) 2022-08-18 2023-04-07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4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8081B2 (ja) 青色発色のための染色方法
KR101030954B1 (ko) 쪽을 이용한 섬유의 천연 염색방법
CN103334318B (zh) 一种植物染色方法
CN105369654B (zh) 乌饭树叶植物染料用于蓝黑色真丝的染色工艺
KR20080003284A (ko) 감물을 이용한 무늬형성 방법
KR20240025443A (ko) 황백껍질과 쪽물을 이용한 연두색감의 천연염색 방법 및 이에 따라 연두색감으로 천연염색된 원단
CN105400232A (zh) 一种菊花植物染料的制备方法
KR20130004623A (ko) 가자열매를 이용한 고기능성 천연염색방법
KR20030003625A (ko) 양말을 황토에서 얻은 지장수와 쪽, 숯으로, 식물염색항균방취성부여방법.
KR100540642B1 (ko) 쪽염료로부터 쪽색소의 추출방법
Wisniak Dyes from antiquity to synthesis
CN105040480A (zh) 用于保健型床上用品纺织面料的印染方法
CN106235326A (zh) 一种枫叶汁的提取方法及应用
KR20080001853A (ko) 옻한지의 제조방법
KR20220005284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형광 염색 방법
Opoku-Asare et al. Assessing the efficacy of dyes extracted from some local plants for colouring cotton fabrics
KR100282251B1 (ko)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Rabitsch et al. Purple dyeing of parchment
KR101895730B1 (ko) 밤송이를 이용한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천연염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0508004B1 (ko) 연 염료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어지는 연 염료
KR101941492B1 (ko) 동백나무 잎을 이용한 초록색 염료 추출 및 직물 염색 방법
EMMANUEL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NATURAL DYE FROM Nesorgodoniapapaverifera (Danta) AND Berlinia grandiflora (Hutch)
CN106511179A (zh) 一种天然植物枫叶浓缩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30051564A (ko) 버찌천연염료 제조방법 및 버찌천연염료를 이용한천연섬유염색방법
Begum A study of Natural Dyes and Dye Yielding Plants and its application on Textile in Ancient 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