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251B1 -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251B1
KR100282251B1 KR1019980045687A KR19980045687A KR100282251B1 KR 100282251 B1 KR100282251 B1 KR 100282251B1 KR 1019980045687 A KR1019980045687 A KR 1019980045687A KR 19980045687 A KR19980045687 A KR 19980045687A KR 100282251 B1 KR100282251 B1 KR 10028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eaving
silk
yar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695A (ko
Inventor
김영대
정인모
이용우
임수호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대한민국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1998004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2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protein-based, e.g. wool or silk
    • D03D15/235Cashmere or sil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0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70Multi-step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2Aldehydes; Ke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8Rami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4S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 Colo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0∼800T/M으로 연사한 생사류를 경사로 하고, 굿모시 상태에서 표백한 저마를 위사로 하여 제직함으로써 제직성 및 내구김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색상의 염료로의 염색이 가능한 교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은 가격이 저렴하고 모시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초, 늦여름용 의류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교직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모시 제조 농가의 수익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생사류와 저마로 제직된 신규한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사 또는 2∼10합의 생사류를 200∼800T/M으로 연사한 것을 경사로 하고, 굿모시 상태에서 표백한 저마를 위사로 하여 제직함으로써 우수한 제직성 및 내구김성을 가지며, 천연염료로 염색이 가능한 교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에 관한 것이다.
전통기술의 발굴·계승이 활발하여짐에 따라, 우리의 옛 의류소재인 모시, 삼베 등의 천연섬유가 의류소재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저마만을 원료로 사용한 모시직물은 한냉성 천연섬유이기 때문에 여름의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마를 원료로 한 의류는 착용시에 구김이 잘 생기고 1필당 50만원 정도로 고가이므로, 누구나 손쉽게 이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염색성이 불량하여 주로 무염색 상태로 사용되므로 소비가 주로 한복에 편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모시직물을 화학염료로 선염하여 모시직물의 염색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이는 다양한 색상의 모시직물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환경오염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시켰다. 또한, 구김 등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혼방된 직물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청량감면에서 모시직물보다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모시의 장점을 갖고, 또한 천연염료로의 염색이 가능한 직물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저마를 모시직물의 위사·경사 모두에 사용하는 대신, 누에고치에서 풀어낸 생사류를 경사로 하여 교직하는 경우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제조방법은,
(1) 단사 또는 2∼10합의 생사류를 200∼800T/M으로 연사하는 단계;
(2) 굿모시 상태의 저마를 표백하는 단계; 및
(3) 상기 (1)의 연사한 생사류를 경사로 하고, 상기 (2)의 표백된 저마를 위사로 하여 제직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직물의 제조방법은, 생사류가 생사인 경우에는, 상기 (1)단계 이후에 연사한 생사를 글루타알데히드(Glutaaldehyde) 수용액에서 세리신 정착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직물의 제조방법은, 생사류가 작잠사인 경우, 상기 (1)단계 이후에 연사한 작잠사를 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직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3)단계에서 제조된 교직물을 천연염료로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직물은 여름용 의류 소재인 모시직물을 대체할 수 있는 직물로서, 종래 모시직물이 제직 후 정련, 표백하기 때문에 질감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방추성이 낮고 제직할 때 제직성이 낮으며 다양한 색상의 염료에 의해 염색이 되지 않는 것과 달리, 제직성 및 내구김성이 우수하며, 천연염료에 의해 염색이 가능하므로 품질이 고급화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공정에 따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사 또는 2∼10합의 생사류를 200∼800T/M으로 연사하는 단계;
본 발명의 교직물 제조시 사용되는 생사류로는 생사 또는 작잠사가 있는데, 이들을 경사로 하여 교직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위사로 사용되는 저마와 굵기 정도가 유사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직하기 전에 단사 또는 2∼10합의 생사류를 200∼800T/M으로 연사한다.
(2) 굿모시 상태의 저마를 표백하는 단계;
저마는 통상적으로 모시직물로 제직된 후 표백 공정을 거치는 것이 작업도 편리하고 제품의 질감도 향상되나, 본원 발명의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제조시에는 교직물 제직 후에 표백공정을 거치는 경우 표백처리 중의 표백제에 의하여 생사류가 손상을 받게 되므로, 교직물을 제직하기 전에 굿모시(실꾸리) 상태의 저마를 표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표백시 굿모시 상태의 저마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4곳에 엮음을 하여, 표백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표백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계,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의 환원표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표백은 표백제 5∼20g/ℓ, 규산소다 5∼10g/ℓ 및 약 1g/ℓ 비이온활성제와의 혼합액에 대하여 1:20∼80의 비로 굿모시 상태의 저마를 첨가하여 25∼50℃에서 3∼24시간동안 침지처리한 후, 온수로 수세한 다음 초산 수용액에서 중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3) 상기 (1)의 연사한 생사류를 경사로 하고, 상기 (2)의 표백된 저마를 위사로 하여 제직하는 단계;
상기 (1)에서 얻은 생사류를 경사로 사용하고, 상기 (2)에서 얻은 저마를 위사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교직물을 제직하였다.
한편, 상기 (1)단계에서 생사류가 생사인 경우, 연사한 생사를 정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세탁 등에 의하여 세리신이 용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사한 생사를 0.25% 글루타알데히드 수용액에 대하여 1:20의 비로 첨가하여 55℃에서 1시간동안 침지처리한 후, 탄산소다 수용액과 온냉수에서 수세하여 풍건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의 생사류가 작잠사인 경우, 작잠사는 암갈색 또는 다갈색으로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작잠사를 표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표백제는 저마의 표백시 사용된 표백제와 동일하다.
그러나, 작잠사를 경사로 하여 제직된 교직물은 생사를 경사로 하여 제직된 교직물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모시에 가까운 깔깔한 감을 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직된 본 발명의 교직물은, 모시제품이 잘 염색되지 않는 것과 달리, 천연염료로의 염색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색상의 직물을 제공할 수 있어, 한복 위주의 소재에서 양장의류 소재로까지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염색재로는 생사류 또는 저마를 염색할 수 있는 천연염료는 모두 사용가능하나, 경제성 및 물세탁이 가능한 것을 고려하여 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염료재료를 사용한다. 즉, 상수리 나뭇잎 등의 탄닌계 염재와 뽕나무 뿌리는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끓인 후 추출한 액을 염료로 하여 염색한다. 또한, 소목은 모속을 물에 넣고 끓인 다음 색소를 추출한 후 10% 명반 수용액에서 선매염하여 염색한다.
이하, 제조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생사를 400T/M 정도로 연사하였다. 그 다음, 굿모시를 과산화수소 10g/ℓ, 규산소다 5g/ℓ 및 비이온활성제(Monopol NX, 동남합성(주)) 1g/ℓ와의 혼합액에 대하여 1:30의 비로 굿모시를 첨가하여 25℃에서 24시간동안 침지시킨 다음, 온수로 굿모시를 수세한 후, 0.5% 초산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상기 연사된 생사를 경사로 하고, 상기 표백된 굿모시를 위사로 하여 교직물을 제직하였다.
〈제조예 2〉
생사를 400T/M 정도로 연사한 후 이를 0.25% 글루타알데히드 수용액에 대하여 1:20의 비로 첨가하여 55℃에서 1시간동안 침지시킨 다음, 0.1% 탄산소다 수용액 25㎖와 온냉수에서 수세하여 풍건하였다. 그 다음,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굿모시를 표백한 후, 상기 연사된 생사를 경사로 하고, 상기 표백된 굿모시를 위사로 하여 교직물을 제직하였다.
〈제조예 3〉
작잠사를 400T/M 정도로 연사한 다음, 이를 과산화수소 30g/ℓ, 규산소다 20g/ℓ 및 제2인산나트륨 10g/ℓ와의 혼합액에 대하여 1:20의 비로 첨가하여 40℃에서 8시간동안 처리하였다. 그 다음,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굿모시를 표백한 후, 상기 연사된 작잠사를 경사로 하고, 상기 표백된 굿모시를 위사로 하여 교직물을 제직하였다.
〈비교제조예 1〉
굿모시 200g을 첨가하여 25℃에서 24시간동안 침지시킨 다음, 온수로 굿모시를 수세한 후, 0.5% 초산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상기 굿모시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교직물을 제직하였다.
〈시험예 1〉교직물의 물성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제조예 1의 교직물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제직성: 제직사 5명을 대상으로 하여 바디가 씨줄과 날줄을 교차할 때 교차의 용이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상, 중, 하로 구분하게 하였다.
(2)흡수율: 폭 3㎝, 길이 7㎝의 직물을 27±1℃의 증류수에 5㎝ 잠길만큼 담그고 20분간 방치한 후 꺼내어 30초간 자연상태에, 1분간 흡수지 사이에 두었다가, 처리 전후의 무게변화를 측정하였다.
(3)강연도(루프법): 폭 2㎝, 길이 22㎝ 시료를 하트모양으로 늘여뜨릴 때의 길이 및 폭을 강연도 검사기(한원상사)로 측정하였다.
(4)강연도(드레프법): 지름 24㎝의 직물을 지름 12.5㎝ 원판 위에 올려놓을 때 나타나는 그림자를 지름 24㎝ 넓이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강연도(드레프) 측정장치(한원상사)로 측정하였다.
(5)내구김성: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제조예 1의 교직물을 원료로 하여 상의를 제조한 후, 동일 치수의 옷을 입는 남자 5명을 대상으로 하여 4번의 상의 각각을 하룻동안 착용하게 한 다음, 구김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상, 중, 하로 구분하게 하였다.
교직물 제직성 흡수율(%) 강연도(루프법) 강연도(%)(드레프법) 내구김성
길이(㎜) 폭(㎜)
제조예 1 52.8 51 46 91.1
제조예 2 47.3 50 47 93.2
제조예 3 52.8 51 46 91.1
비교제조예 1 48.8 48 42 95.1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교직물의 제직성 및 내구성이, 모시직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4〉
상수리 나뭇건잎 10g에 탄산나트륨 1g을 물 1ℓ에 첨가하여 95℃에서 끓인 후 액을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의 100배 용액에서 제조예 1의 시료를 30분간 침지시켜 염색하였다.
〈제조예 5〉
제조예 4에서 상수리 나뭇잎 대신에 호두과피 1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염색하였다.
〈제조예 6〉
제조예 4에서 상수리 나뭇잎 대신에 뽕나무뿌리 1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염색하였다.
〈제조예 7〉
소목의 모속 10g을 물 1ℓ에 넣고 95℃에서 끓인 다음 색소를 추출하였다. 제조예1의 교직물을 10% 명반 수용액에 대하여 1:100의 비로 첨가하고, 이를 상기 추출액에 30분간 침지시켜 염색하였다.
〈제조예 8〉
상수리 나뭇건잎 10g에 탄산나트륨 1g을 물 1ℓ에 첨가하여 95℃에서 끓인 후 액을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의 100배 용액에서 제조예 3의 시료를 30분간 침지시켜 염색하였다.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1의 교직물을 침지시킨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하였다.
〈비교제조예 3〉
비교제조예 1의 교직물을 침지시킨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하였다.
〈비교제조예 4〉
비교제조예 1의 교직물을 침지시킨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하였다.
〈비교제조예 5〉
비교제조예1의 교직물을 침지시킨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하였다.
〈시험예 2〉교직물의 염색 시험
상기 제조예 4∼8의 교직물 및 비교제조예 2∼5의 모시직물에 대하여 색채는 Nippon Densuku SQ-300H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한 후, 이를 평균한 값으로 하고, 염착농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해진 K/R값으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K/S = (1-R)2/2R
색채(H V/C) 염착농도(K/S)
제조예 4 5.76YR 3.09/1.22 8.53
제조예 5 8.36YR 2.57/0.64 10.31
제조예 6 2.00Y 4.84/2.86 6.41
제조예 7 3.45R 3.06/4.35 9.40
제조예 8 9.04YR 4.44/1.82 5.33
비교제조예 2 9.58YR 4.89/1.00 2.93
비교제조예 3 0.21Y 4.65/1.47 3.41
비교제조예 4 3.77Y 5.89/1.47 2.32
비교제조예 5 3.15R 3.35/4.31 7.80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이 순모시직물보다 염색성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사류를 경사로 하고 표백한 저마를 위사로 하여 교직물을 제직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면서 모시직물의 장점을 가지고 있고, 더구나 모시직물보다 제직성 및 내구김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이 가능한 교직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모시 제조 농가의 수익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전통 문화 계승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1) 단사 또는 2∼10합의 생사류를 200∼800T/M으로 연사하는 단계;
    (2) 굿모시 상태의 저마를 표백하는 단계; 및
    (3) 상기 (1)의 연사한 생사류를 경사로 하고, 상기 (2)의 표백된 저마를 위사로 하여 제직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생사류는 생사이며, 상기 (1)단계 이후에 연사한 생사를 글루타알데히드(Glutaaldehyde) 수용액에서 세리신 정착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생사류는 작잠사이며, 상기 (1)단계 이후에 연사한 작잠사를 과산화수소로 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제직된 직물을 천연염료로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염료는 상수리나무, 호두과피, 뽕나무뿌리, 쪽, 소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KR1019980045687A 1998-10-29 1998-10-29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8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687A KR100282251B1 (ko) 1998-10-29 1998-10-29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687A KR100282251B1 (ko) 1998-10-29 1998-10-29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695A KR20000027695A (ko) 2000-05-15
KR100282251B1 true KR100282251B1 (ko) 2001-02-15

Family

ID=1955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687A KR100282251B1 (ko) 1998-10-29 1998-10-29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2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912A (ko) * 1999-12-20 2001-07-11 김병미 견사와 저마 교직물의 문직물 제직방법
KR101258883B1 (ko) 2010-11-24 2013-05-10 서천군 커버링사를 이용한 전통 한산모시의 기계화 직조방법
KR101258884B1 (ko) 2010-11-24 2013-05-10 서천군 커버링사를 이용한 전통 한산모시의 기계화 직조방법
KR101311769B1 (ko) 2013-04-26 2013-09-26 신화직물 주식회사 이리데슨트 시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리데슨트 시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912A (ko) * 1999-12-20 2001-07-11 김병미 견사와 저마 교직물의 문직물 제직방법
KR101258883B1 (ko) 2010-11-24 2013-05-10 서천군 커버링사를 이용한 전통 한산모시의 기계화 직조방법
KR101258884B1 (ko) 2010-11-24 2013-05-10 서천군 커버링사를 이용한 전통 한산모시의 기계화 직조방법
KR101311769B1 (ko) 2013-04-26 2013-09-26 신화직물 주식회사 이리데슨트 시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리데슨트 시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695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85877A (zh) 一种棉麻织编带的生产工艺
KR100282251B1 (ko) 생사류와 저마와의 교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4281079A (ja) 糸と織物の染色方法
Chu et al. The dyeing and printing of silk fabrics
KR100402293B1 (ko) 자색고구마 색소를 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CN106868889A (zh) 一种基于植物的印染产品及其印染方法
Das The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tussah silk
Matthews Encyclopaedic Dictionary of Textile Terms: Volume 2
JPH07310292A (ja) 製品洗い加工を伴う製品用織物及びその製造法
CN1056327A (zh) 多色一次性扎染法
CN114009885A (zh) 牛仔服染料及掉色
CN107287934A (zh) 一种柔软防掉色牛仔布的加工工艺
CN103741506A (zh) 一种用于贴身内衣面料的染色方法
KR20010064912A (ko) 견사와 저마 교직물의 문직물 제직방법
CN105970528A (zh) 一种海藻纤维染色工艺
Saikhom et al. Effect of various mordants in Kum dyed cotton, silk and woollen yarns
KR101229118B1 (ko) 신서란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한 직물
CN109667030A (zh) 一种牛奶蛋白纤维或其长丝或其混纺织物织造和染色的方法
KR102235469B1 (ko)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CN116949835A (zh) 混纺针织物坯布的制备方法
CN1034355C (zh) 一种大麻凉席生产工艺
Bhuyan et al. Value addition of Eri silk yarns with Datura stramonium-A natural colourant
KR100398064B1 (ko) 식물세포벽 분해효소를 이용한 천연색소 추출방법 및 그의이용
Hassan Possum fiber—A wonderful creation of nature
Fraps Principles of dye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