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270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270A
KR20240025270A KR1020220103296A KR20220103296A KR20240025270A KR 20240025270 A KR20240025270 A KR 20240025270A KR 1020220103296 A KR1020220103296 A KR 1020220103296A KR 20220103296 A KR20220103296 A KR 20220103296A KR 20240025270 A KR20240025270 A KR 2024002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exhaust
air
unit
water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두현
강우철
김정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270A/ko
Priority to PCT/KR2023/010813 priority patent/WO2024039097A1/ko
Publication of KR2024002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69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er-dryer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로 대표되는 세탁 가능한 물건(세탁대상물)의 세탁, 건조 가능한 물건(건조대상물)의 건조, 상기 대상물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건조가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및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구조였다.
상술한 구조에 구비된 열교환부는 상기 순환유로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기 때문에, 상기 순환유로 내부 또는 외부에는 응축수의 수집을 위한 집수부가 구비되었다. 상기 집수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수펌프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배수탱크에 저장되었다(공개번호 10-2021-0063873).
상기 배수펌프는 유입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유입구과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부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은 집수부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집수부 내부의 응축수를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집수부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집수부 내부에 잔류하는 증발된 응축수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집수부 내부의 응축수 제거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증발된 응축수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이 아니라 상기 드럼 이외의 공간으로 배출함으로써,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을 증발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집수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바디 관통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전도체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 관통홀을 폐쇄하는 가열바디, 및 상기 가열바디를 가열하되 상기 집수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바디는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연통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및 상기 배기덕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배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배기덕트 또는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 가능한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밸브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집수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필름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히터는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집수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내부에 매립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부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거나 상기 집수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부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탱크;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 및 상기 배수펌프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구비된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냉매관을 따라 냉매를 이동시키는 압축기,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배기부를 통해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단계; 상기 가열부가 상기 집수부 내부의 응축수를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배기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의 종료 후,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켜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살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배기단계와 동시, 상기 배기단계의 실행 중, 또는 상기 배기단계의 실행 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살균단계의 종료 후 상기 순환팬 및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잔수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가열부는 기 설정된 제1기준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잔수제거단계에서 상기 가열부는 기 설정된 제2기준시간동안 작동과 중단을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냉매관을 따라 냉매를 이동시키는 압축기,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켜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기부 및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켜 상기 집수부 내부의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잔수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제거단계는 상기 가열부를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종료 후 상기 가열부의 작동과 중단을 반복하는 제2구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집수부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집수부 내부의 응축수를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집수부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집수부 내부에 잔류하는 증발된 응축수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집수부 내부의 응축수 제거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증발된 응축수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이 아니라 상기 드럼 이외의 공간으로 배출함으로써,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순환유로 및 열교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지지부, 배수부, 및 응축수 제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응축수 제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순환유로 및 열교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와 도 13은 도 11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대상물(이하, 의류)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순환유로 및 열교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면(11),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면(12),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11)에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114) 및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14)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1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면(11)에는 의류의 출입을 위한 캐비닛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캐비닛 투입구(111)는 상기 전방면(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15)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1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17)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1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드럼 바디(171)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패널(14), 및 상기 드럼 바디(171)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패널(1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4)은 상기 전방면(11)이나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전방 패널바디(141), 상기 전방 패널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투입구(142), 및 상기 드럼 바디(171)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순환유로(2)로 배출하는 드럼 배기홀(1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투입구(142)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5)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11) 및 드럼 투입구(142)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171)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드럼 바디(171)에서 의류를 인출 가능하다.
상기 드럼 바디(171)에서 배출된 공기의 여과를 위해, 상기 드럼 배기홀(143)에는 상기 전방 패널바디(141)에 착탈 가능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패널(15)은 상기 후방면(12)이나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후방 패널바디(151), 및 상기 후방 패널바디(1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공급홀(15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171)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18)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18)는 상기 베이스(13)에 고정된 드럼 모터(181), 및 상기 드럼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드럼 바디(17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18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171) 내부의 의류를 교반하기 위해, 상기 드럼 바디(171) 내부에는 리프터(1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172)는 상기 드럼 바디(171)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판(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2)는 상기 드럼 배기홀(143)에 연결된 제1덕트(21), 상기 드럼 공급홀(152)에 연결된 제2덕트(22), 및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를 연결하는 제3덕트(23, 연결덕트)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23)는 상기 베이스(13)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3)는 상기 순환유로(2)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36), 상기 순환유로(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히트펌프(31, 32, 33, 34, 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36)은 상기 순환유로(2) 내부에 위치하는 팬 임펠러(361), 및 상기 순환유로(2)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팬 임펠러(361)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36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3), 냉매가 상기 냉매관(33)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압축기(34), 상기 냉매관(33)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23)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는 제1열교환기(31), 상기 냉매관(33)에 고정되어 냉매의 열을 상기 제1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제2열교환기(32), 및 상기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23)는 상기 베이스(13)에 고정된 덕트 바디(231), 상기 덕트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덕트 커버(2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 바디(231)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31)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233), 상기 제2열교환기(32)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234), 및 상기 팬 임펠러(361)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3장착부(235, 팬 장착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2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31)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32)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며, 상기 제2덕트(22) 및 드럼 공급홀(15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171)로 이동한다.
상기 순환유로(2)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31)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연결덕트(23) 내부를 상기 제1열교환기(31)가 위치하는 장착공간(233a), 및 응축수를 상기 순환유로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공간(233b)으로 구분한다(도 4 참고). 상기 배수공간(233b)은 상기 장착공간(233a)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공간(233b)에는 배수유로(5)가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제1열교환기(31)의 바닥면이 지지되는 지지바디(41), 및 상기 지지바디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32)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42), 및 상기 지지바디(41)와 연장바디(42)를 상기 연결덕트(23)에 고정하는 체결부(43, 4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지지바디(41)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체결돌기(43), 및 상기 연결덕트(23)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43)가 수용되는 체결홈(44)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바디(41)에는 지지바디 관통홀(411)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바디(42)에는 연장바디 관통홀(42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덕트(23)의 내부공간(제1장착부가 위치된 공간)은 상기 지지바디(41) 및 연장바디(42)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233a)과 상기 배수공간(233b)으로 구분되지만, 상기 장착공간(233a)에 있는 응축수는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411) 및 상기 연장바디 관통홀(421)을 통해 상기 배수공간(233b)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411)은 상기 제1열교환기(3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바디 관통홀(421)은 상기 제1열교환기(31)와 제2열교환기(3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411)을 통해 상기 배수공간(233b)으로 이동하지 못한 응축수가 상기 연결덕트(23) 내부의 기류를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32)까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13)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3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응축 시 발생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부(6)는 상기 순환유로(2)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수부(6)는 상기 연결덕트(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51)를 통해 상기 배수공간(233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유로(5)는 상기 연결덕트(23)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응축수를 상기 배수구(51)로 안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응축수의 자연배수를 위해(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배수유로에서 집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부(6)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구(51)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유로(5)는 상기 배수구(51)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부(6)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수부(7)를 통해 배수탱크(8)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8)는 상기 집수부(6)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8)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81), 및 상기 드로워(8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로워 관통홀(8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11)에는 상기 드로워(81)의 출입을 위한 인출구(112)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로워(8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 하우징(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7)를 통해 상기 집수부(6)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공급관(72)을 통해 상기 탱크 하우징(16)으로 이동하고, 상기 공급관(72)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드로워 관통홀(82)을 통해 상기 드로워(81)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81)에 너무 많은 응축수가 공급되면, 상기 드로워(81) 내부의 응축수는 상기 드로워 관통홀(82)을 통해 상기 탱크 하우징(16)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부(7)에는 상기 탱크 하우징(16)의 바닥면과 상기 집수부(6)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81)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상기 집수부(6)로 안내하는 회수관(7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부(6)는 상기 베이스(13)에 구비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바디(61), 상기 저장바디의 개방된 상부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된 커버(6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51)는 상기 저장바디(61)의 원주면에 구비되므로, 상기 저장바디(61)는 상기 배수구(51)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2) 내부와 연통한다.
상기 커버(62)에는 공급구(622) 및 회수구(623)가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구(622)에는 상기 공급관(72)이 연결되고, 상기 회수구(623)에는 상기 회수관(623)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커버(62)에는 상기 배수부(7)의 배수펌프(71)가 장착되는 커버 관통홀(621) 및 챔버(63)가 구비된다. 상기 챔버(63)는 상기 커버(62)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에 위치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63)는 상기 커버 관통홀(621)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챔버 바디(631), 및 상기 챔버 바디(631) 내부 공간을 상기 공급구(622)와 연결하는 공급바디(6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펌프(71)는 상기 커버(62)에 고정되는 배수모터(711), 상기 배수모터의 회전축(712)에 고정되어 상기 챔버 바디(631) 내부에 위치하는 임펠러(71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바디(631)의 바닥면에는 챔버 유입구(633)가 구비되므로, 상기 임펠러(713)의 회전 시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의 응축수는 상기 챔버 바디(631)로 유입된 뒤 상기 공급바디(632)를 통해 상기 공급구(622)로 이동한다. 상기 공급구(622)로 이동한 응축수는 상기 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배수탱크(8)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회수구(623)는 상기 커버(62)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바디(61)에 연통하므로, 상기 배수탱크(8)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회수관(73) 및 상기 회수구(623)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61)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챔버 유입구(633)와 상기 저장바디(61)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현상이 불가피하다.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현상은 상기 저장바디(61), 상기 열교환부(3), 및 드럼(17)의 위생적 관리를 어렵게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6)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응축수 제거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제거부(9)는 상기 집수부(6)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91), 및 상기 집수부(6)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기 가열부(91) 및 배기부(92)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바디(61)는 바닥면을 관통하는 바디 관통홀(611)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열부(91)는 전도체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 관통홀(611)을 폐쇄하는 가열바디(911), 및 상기 가열바디(911)를 가열하되 상기 집수부(6)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91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바디(911)는 상기 저장바디(61)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히터(912)의 작동 시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의 응축수를 모두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부(92)는 상기 집수부(6) 내부의 수증기를 상기 캐비닛(1) 내부 또는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수증기를 상기 캐비닛(1)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기부(92)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기부(92)는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배기구(624,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에 고정되고 배출구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배기덕트(921), 및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덕트(921)로 이동시키는 배기팬(92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921)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드럼(17)에 저장된 의류의 건조를 위해 상기 열교환부(3)를 작동시킬 때 상기 제1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상기 집수부(6) 및 배기덕트(9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부(92)에는 상기 배기덕트(921)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9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923)는 상기 배기덕트(921) 또는 상기 배기구(624)를 개폐 가능한 형상의 밸브 바디(924), 및 상기 밸브 바디(924)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밸브 모터(9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바디(924)는 상기 배기덕트(9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6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7은 상기 배기덕트(921)에 구비된 밸브 바디(924)가 상기 배기덕트(921)를 개방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단계, 또는 상기 드럼이나 열교환기의 살균을 위한 살균단계가 실행되면, 상기 저장바디(61)에는 응축수가 저장된다.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의 응축수는 상기 임펠러(713)의 회전 시 상기 공급구(622)를 통해 상기 배수탱크(8)로 배출된다. 상기 임펠러(713)의 회전이 중단된 후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에 잔류하는 응축수는 상기 배기덕트(9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912) 및 상기 배기팬(922)을 작동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가열부(9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는 상기 저장바디(61)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필름히터(914, 또는 플레이트 히터)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필름히터(914)는 상기 저장바디(6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집수부(6)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판(915), 및 상기 고정판(915) 내부에 매립된 히터(91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상기 저장바디(61)의 바닥면에 상기 바디 관통홀(611)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집수부(6) 내부의 응축수 제거 시간의 단축을 위해, 상기 집수부(6) 내부에는 액추에이터(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93)는 상기 저장바디(6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모터(집수부 외부에 위치)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집수부 임펠러), 또는 상기 저장바디(61) 내부에 구비된 초음파 발생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배수구(51)가 상기 제1열교환기(31)와 제2열교환기(3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팬(36)이 상기 제2열교환기(32)의 후방(제2열교환기와 제2덕트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순환팬(36)의 작동 시 상기 집수부(6) 내부는 부압(음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 9와 도 10은 상기 순환팬(36)의 작동 시점과 상기 배기팬(922)이 작동시점이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9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드럼을 살균하는 살균단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살균단계의 개시 전 상기 집수부(6) 내부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단계(제1잔수제거단계)가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잔수제거단계는 상기 배기부(92)를 통해 상기 집수부(6)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단계, 및 상기 가열부(91)가 상기 집수부(6) 내부의 응축수를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단계는 상기 밸브(923)가 상기 배기덕트(921)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배기팬(922)이 작동하여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가열부(91)가 상기 집수부(6)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로, 상기 배기단계와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고, 상기 배기단계의 실행 중 또는 상기 배기단계의 실행 전 개시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가열부(91)는 기 설정된 제1기준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제1잔수단계의 진행시간 단축).
상기 제1잔수제거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살균단계를 진행하는데, 상기 살균단계는 상기 열교환부(3)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17)으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고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살균단계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제거하는 제2잔수제거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잔수제거단계는 상기 배기덕트(921)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열교환부의 순환팬(36)과 상기 응축수 제거부(9)의 가열부(91)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잔수제거단계는 상기 배기팬(922)이 아니라 상기 순환팬(36)을 작동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압축기(34)의 작동없이 상기 순환팬(36)을 작동시키면 상기 드럼(17)의 냉각 뿐 아니라 상기 집수부(6)의 공기를 상기 순환유로(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팬(36)의 작동 중 상기 가열부(91)를 작동시키면, 상기 집수부(6)의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잔수제거단계에서 상기 가열부(91)는 기 설정된 제2기준시간동안 작동과 중단을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의 제어방법은 상기 살균단계의 개시 전 및 상기 살균단계의 종료 후 진행되므로, 상기 집수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 가능하다.
도 10의 제어방법은 건조단계 및 잔수제거단계(제3잔수제거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압축기(34) 및 상기 순환팬(36)을 작동시켜 상기 드럼(17)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3잔수제거단계는 상기 배기부(92) 및 상기 가열부(91)를 작동시켜 상기 집수부(6) 내부의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3잔수제거단계는 상기 건조단계가 완료된 뒤 상기 밸브(923)가 상기 배기덕트(921)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배기팬(922)이 작동하여 상기 집수부(6)의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부(91)를 통해 상기 집수부 내부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잔수제거단계는 상기 가열부(91)를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종료 후 상기 가열부(91)의 작동과 중단을 반복하는 제2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간은 상기 배기부(92)의 작동의 작동 시(밸브 및 배기팬의 작동 시) 개시되고, 상기 제2구간은 상기 배기부의 작동 종료 시(밸브 및 배기팬의 작동 종료 시) 종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의 잔수제거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의 종료 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되므로, 상기 집수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 가능하다.
도 11은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순환팬(36)이 상기 제1덕트(21)의 유입구(드럼 배기홀, 143)와 상기 제1열교환기(31) 사이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집수부(6)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배수구(51)가 상기 제1열교환기(31)와 제2열교환기(3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팬(36)이 상기 제1열교환기(31) 이전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순환팬(36)의 작동 시 상기 집수부(6)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도 11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2와 도 13의 제어방법은 상기 순환팬(36)의 작동 시점과 상기 배기팬(922)이 작동시점이 중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 12의 제어방법은 살균단계 및 잔수제거단계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2의 살균단계는 상기 열교환부(3)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으로 고온건조 공기(상온보다 높고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보다 낮은 습도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드럼을 살균하는 단계이다. 상기 살균단계는 상기 열교환부(3)를 작동시킴으로써 진행되는데, 상기 압축기(34) 및 상기 순환팬(36)만을 작동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압축기, 순환팬 및 조절밸브(34, 36, 35)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2의 제어방법은 상기 살균단계의 진행 중 잔수제거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잔수제거단계는 상기 배기부(92)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열부(91)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92)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밸브(923)가 상기 배기덕트(921)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배기팬(922)을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91)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열부(91)를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구간, 상기 가열부(91)의 작동과 중단을 반복하는 제2구간, 및 상기 가열부의 작동과 중단을 반복(제2구간에 설정된 반복주기보다 짧은 주기)하는 제3구간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단계에서 상기 압축기(34)는 상기 순환팬(36)보다 먼저 작동이 종료되는데,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압축기의 작동이 종료되는 시점에 종료되고, 상기 제3구간은 상기 순환팬(36)의 작동이 종료되는 시점에 종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잔수제거단계의 배기부 작동 단계(밸브 및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순환팬(36)의 작동이 종료되는 시점에 종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2의 잔수제거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이 종료된 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되므로, 상기 집수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 가능하다.
도 13의 제어방법은 건조단계의 실행 중 잔수제거단계가 실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3의 건조단계는 상기 열교환부(3)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으로 고온건조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13의 잔수제거단계는 상기 배기부(92)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열부(91)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비되되, 상기 건조단계의 실행 중 개시된다. 상기 배기부(92)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밸브(923)가 배기덕트(921)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배기팬(922)이 상기 집수부(6)의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91)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열부(91)를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구간, 및 상기 가열부(91)의 작동과 중단을 반복(가열부의 on-off 제어)하는 제2구간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의 잔수제거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의 완료 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되도록 구비되므로, 도 13의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단계의 종료 후 상기 집수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 가능하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구조 및 제어방법으로 한정될 수 없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3: 베이스
14: 전방패널 141: 전방 패널바디 142: 드럼 투입구
143: 드럼 배기홀 15: 후방패널 151: 후방 패널바디
152: 드럼 공급홀 16: 탱크 하우징 17: 드럼
2: 순환유로 21: 제1덕트 22: 제2덕트
23: 연결덕트 3: 열교환부 36: 순환팬
4: 지지부 41: 지지바디 411: 지지바디 관통홀
42: 연장바디 421: 연장바디 관통홀 5: 배수유로
51: 배수구 6: 집수부 61: 저장바디
611: 바디 관통홀 62: 커버 621: 커버 관통홀
622: 공급구 623: 회수구 624: 배기구
63: 챔버 631: 챔버 바디 633: 챔버 유입구
632: 공급바디 7: 배수부 71: 배수펌프
711: 배수모터 712: 회전축 713: 임펠러
72: 공급관 73: 회수관 8: 배수탱크
9: 응축수 제거부 91: 가열부 911: 가열바디
912, 916: 히터 914: 필름히터 915: 고정판
92: 배기부 921: 배기덕트 922: 배기팬
923: 밸브 924: 밸브 바디 925: 밸브 모터
93: 액추에이터

Claims (15)

  1.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바디 관통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전도체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 관통홀을 폐쇄하는 가열바디, 및 상기 가열바디를 가열하되 상기 집수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바디는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연통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및 상기 배기덕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배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배기덕트 또는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 가능한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밸브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집수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필름 히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히터는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집수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내부에 매립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거나, 상기 집수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탱크;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 및 상기 배수펌프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구비된 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냉매관을 따라 냉매를 이동시키는 압축기,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를 통해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단계;
    상기 가열부가 상기 집수부 내부의 응축수를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배기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의 종료 후,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켜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살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배기단계와 동시, 상기 배기단계의 실행 중, 또는 상기 배기단계의 실행 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의 종료 후, 상기 순환팬 및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잔수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가열부는 기 설정된 제1기준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잔수제거단계에서 상기 가열부는 기 설정된 제2기준시간동안 작동과 중단을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냉매관을 따라 냉매를 이동시키는 압축기,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집수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순환팬을 작동시켜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기부 및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켜 상기 집수부 내부의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잔수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제거단계는 상기 가열부를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종료 후 상기 가열부의 작동과 중단을 반복하는 제2구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20103296A 2022-08-18 2022-08-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25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96A KR20240025270A (ko) 2022-08-18 2022-08-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3/010813 WO2024039097A1 (ko) 2022-08-18 2023-07-26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96A KR20240025270A (ko) 2022-08-18 2022-08-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270A true KR20240025270A (ko) 2024-02-27

Family

ID=8994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296A KR20240025270A (ko) 2022-08-18 2022-08-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5270A (ko)
WO (1) WO20240390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556Y1 (ko) * 2007-07-18 2008-11-19 주식회사 웰템 제어반 에어컨용 응축수 증발유닛
KR101387497B1 (ko) * 2007-08-03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00096736A (ko) * 2009-02-25 2010-09-02 장동연 건조 장치
KR20210112168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20102479A (ko) * 2021-01-13 202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9097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79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US10584440B2 (en) Washing drying machine having heat pump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EP2107157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301559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9020319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587360B1 (ko) 건조 장치
US1176114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4384203B2 (ja) 衣類乾燥機
JP200708283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20010959A (ja) 衣類乾燥機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2189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2090774A (ja) ランドリー機器
KR2024002527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2953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2526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19939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62809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2526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910771B2 (ja) 衣類乾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