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558A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558A
KR20240024558A KR1020220102701A KR20220102701A KR20240024558A KR 20240024558 A KR20240024558 A KR 20240024558A KR 1020220102701 A KR1020220102701 A KR 1020220102701A KR 20220102701 A KR20220102701 A KR 20220102701A KR 20240024558 A KR20240024558 A KR 20240024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container body
container
discharge portion
bend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웅
함기영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22010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558A/ko
Priority to PCT/KR2023/007743 priority patent/WO2024039020A1/ko
Publication of KR2024002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5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0Body construction made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을 저장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용기본체; 상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에 따라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와 상기 용기본체를 연결하는 어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 시, 상기 배출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 억제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배출부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튜브 용기는,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수용되는 연질의 용기본체(11)와, 상단이 개방되어 용기본체(11)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부(12)와, 배출부(1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용기본체(11)와 배출부(12)를 연결하는 어깨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배출부(12)에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캡 또는 노즐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 용기는 용기본체(11)의 외면을 사용자가 가압하면, 용기본체(11)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어, 배출부(12)를 또는 배출부(12)와 연결된 캡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튜브 용기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1)가 가압됨에 따라, 가압에 따른 힘이 어깨부(13)를 통해 배출부(12)로 전달되어 배출부(12)의 형상이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출부(12)에 결합된 캡 등과의 사이에서 내용물이 누설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배출부의 형상 변형을 효과적으로 제할 수 있는 새로운 튜브 용기가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부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을 저장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용기본체; 상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에 따라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와 상기 용기본체를 연결하는 어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 시, 상기 배출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 억제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억제홈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에 따라 적어도 일 영역의 폭의 크기가 변경되어 상기 배출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억제홈은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부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제 1 굴곡 지점, 제 2 굴곡 지점 및 제 3 굴곡 지점이 순차적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1 굴곡 지점 내지 상기 제 3 굴곡 지점을 중심으로 굴곡 변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변형 억제홈은, 상기 제 2 굴곡 지점이 골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굴곡 지점과 상기 제 3 굴곡 지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억제홈에는 상기 제 2 굴곡 지점의 양 측으로 상기 제 1 굴곡 지점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3 굴곡 지점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미가압 상태에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이 사이의 각도는 60도 내지 120도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억제홈이 형성되는 상기 어깨부의 영역의 두께는 0.5 mm 내지 1.0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억제홈의 최대 깊이는 0.8 mm 내지 2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억제홈은 상기 어깨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연결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3 mm 내지 10 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 시, 어깨부에 형성된 변형 억제홈을 통해 변형력의 전달을 제한함으로써, 배출부의 형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튜브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2는 종래의 튜브 용기에서 용기본체의 가압에 따른 배출부의 변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 억제홈을 형성한 어깨부와 내면에 보강 리브를 형성한 어깨부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실시예1)와 어깨부의 내면에 보강 리브를 형성한 내용물 용기(비교예1)에 대하여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에 따른 비교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용기본체(100), 배출부(200) 및 어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이러한 수용 공간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밀봉된 튜브(tube) 용기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압에 의해 체적이 감소하는 연질의 병(bottle), 토틀(tottle) 등 다양한 용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00)는 적어도 일부가 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용기본체(100)의 외면을 가압하면, 용기본체(100)가 변형(즉, 압축)되면서 배출부(200)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액상, 겔상 등의 화장료, 의약품, 의약외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기본체(100)에 수용되고 용기본체(100)에 대한 가압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 또는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200)는 용기본체(100)와 연통하도록 용기본체(100)의 상측에 형성되며,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출부(200)에는 토출공이 형성된 캡 또는 노즐, 펌프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부(20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예를 들어, 나사산, 결합 돌기, 결합 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어깨부(300)는 배출부(200)의 하단부 둘레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로 하향 연장되어, 용기본체(100)와 배출부(2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어깨부(300)를 통해, 용기본체(100)의 상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어깨부(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용기본체(100)보다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어깨부(300)의 하단부는 열접착, 초음파 접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이중 사출 성형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00), 배출부(200) 및 어깨부(300) 중 적어도 일부는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200)와 어깨부(300)가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 다음,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에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깨부(30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변형 억제홈(310)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억제홈(310)은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용기본체(100)에 대한 가압 시, 배출부(2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100)에 대한 가압 시, 변형 억제홈(31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수축 또는 확장되어 변형 억제홈(310)의 폭의 크기가 변경되며, 이를 통해, 용기본체(100)에 가압에 따른 변형력이 어깨부(300)를 통해 배출부(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출부(200)의 형상 변형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서, 변형 억제홈(310)의 최대 깊이는 0.8 mm 내지 2 mm의 범위일 수 있으며, 변형 억제홈(310)이 형성되는 어깨부(300)의 영역의 두께는 0.5 mm 내지 1.0 mm 범위일 수 있다.
변형 억제홈(310)은 배출부(200) 및/또는 어깨부(300)와 용기본체(100)의 연결 부위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억제홈(310)은 환형을 이루며, 배출부(200)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출부(200)의 하단부 둘레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변형 억제홈(310)은 어깨부(300)와 용기본체(100)의 연결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3 mm 내지 10 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억제홈(310)의 형성을 위해 어깨부(300)는 제 1 굴곡 지점(320), 제 2 굴곡 지점(330) 및 제 3 굴곡 지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어깨부(300)에는 배출부(200)의 하단부 둘레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제 1 굴곡 지점(320), 제 2 굴곡 지점(330) 및 제 3 굴곡 지점(340)이 순차적으로 이격 배치되며, 어깨부(300)가 제 1 굴곡 지점(320) 내지 제 3 굴곡 지점(340)을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로 각각 굴곡 변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변형 억제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억제홈(310)은 제 2 굴곡 지점(330)이 골(즉, 최대 깊이인 지점)을 형성하도록 제 1 굴곡 지점(320)과 제 3 굴곡 지점(3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변형 억제홈(310)의 내측에는 제 1 경사면(311)과 제 2 경사면(3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경사면(311)과 제 2 경사면(312)은 제 2 굴곡 지점(330)의 양 측에 배치되어, 각각 제 1 굴곡 지점(320)과 제 2 굴곡 지점(33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 억제홈(310)은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용기본체(100)에 대한 미가압 상태에서, 제 1 경사면(311)과 제 2 경사면(312)이 사이의 각도는 60도 내지 120도의 범위일 수 있다.
도 3 내지 5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1000)는 용기본체(100), 배출부(200) 및 어깨부(300)에 더하여, 캡, 노즐 등의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험예 - 용기본체 가압에 따른 변형 시험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억제홈을 포함하는 어깨부 및 배출부(도 6의 (a))와 복수의 보강 리브(rib)를 포함하는 어깨부 및 배출부(도 6의 (b))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보강 리브는 배출부를 외측에서 지지하여 배출부의 변형을 억제하고자 적용되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어깨부 및 배출부를 이용하여 내용물 용기(실시예1)를 제작하고, 복수의 보강 리브(rib)를 포함하는 어깨부 및 배출부를 이용하여 내용물 용기(비교예1)를 제작한 다음, 양자에 대한 변형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비교예1의 배출부에 토출을 위한 캡을 각각 결합하고,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을 수행한 경우, 변형 억제홈을 형성한 실시예1(도 7의 (a))에서는 용기본체의 가압 위치에 대응하는 변형 억제홈의 폭이 변화되면서 어깨부가 캡으로부터 상당히 이격되나, 보강 리브를 형성한 비교예1(도 7의 (b))에서는 어깨부와 캡 사이의 이격 변화가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도 8 및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비교예1에 대하여 각각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을 수행하는 경우, 실시예1(도 8의 (a))에서는 배출부가 원형 형상을 거의 유지함에 반해, 비교예1(도 8의 (b))에서는 배출부가 타원의 형상으로 형상 변형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용기본체 가압 전
배출부 최대 너비
용기본체 가압 후
배출부 최대 너비
변형 정도
실시예1 15.78 mm 15.99 mm 0.21 mm
비교예1 15.75 mm 16.40 mm 0.65 mm
이로부터, 변형 억제홈을 형성한 실시예의 경우, 용기본체 가압에 따른 힘(변형력)이 변형 억제홈의 폭을 변형하는데 작용하고, 배출부로의 전달은 제한되어, 이에 따라, 배출부의 형상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용기본체 200: 배출부
300: 어깨부 310: 변형 억제홈
311: 제 1 경사면 312: 제 2 경사면
320: 제 1 굴곡 지점 330: 제 2 굴곡 지점
340: 제 3 굴곡 지점 1000: 내용물 용기

Claims (9)

  1. 내용물 용기로서,
    내측에 내용물을 저장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용기본체;
    상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에 따라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와 상기 용기본체를 연결하는 어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 시, 상기 배출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변형 억제홈이 함몰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홈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가압에 따라 적어도 일 영역의 폭의 크기가 변경되어 상기 배출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내용물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홈은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부 둘레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제 1 굴곡 지점, 제 2 굴곡 지점 및 제 3 굴곡 지점이 순차적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1 굴곡 지점 내지 상기 제 3 굴곡 지점을 중심으로 굴곡 변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변형 억제홈은 상기 제 2 굴곡 지점이 골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굴곡 지점과 상기 제 3 굴곡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홈에는 상기 제 2 굴곡 지점의 양 측으로 상기 제 1 굴곡 지점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3 굴곡 지점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미가압 상태에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이 사이의 각도는 60도 내지 120도 인, 내용물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홈이 형성되는 상기 어깨부의 영역의 두께는 0.5 mm 내지 1.0 mm 인, 내용물 용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홈의 최대 깊이는 0.8 mm 내지 2 mm 인, 내용물 용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억제홈은 상기 어깨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연결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3 mm 내지 10 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KR1020220102701A 2022-08-17 2022-08-17 내용물 용기 KR20240024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701A KR20240024558A (ko) 2022-08-17 2022-08-17 내용물 용기
PCT/KR2023/007743 WO2024039020A1 (ko) 2022-08-17 2023-06-07 내용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701A KR20240024558A (ko) 2022-08-17 2022-08-17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558A true KR20240024558A (ko) 2024-02-26

Family

ID=8994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701A KR20240024558A (ko) 2022-08-17 2022-08-17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4558A (ko)
WO (1) WO20240390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6443B1 (en) * 2000-03-16 2005-01-25 Pechiney Plastic Packaging, Inc Method for forming an improved container
JP5937802B2 (ja) * 2011-10-11 2016-06-22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
JP2020007018A (ja) * 2018-07-10 2020-0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およびキャップ付きチューブ容器
JP7293830B2 (ja) * 2019-04-11 2023-06-20 凸版印刷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
JP2022111610A (ja) * 2021-01-20 2022-08-01 凸版印刷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9020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1199B1 (en) Discharge container
KR102425870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20160150868A1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JPH03148484A (ja) 分与装置
JP5244173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装置
JP6249742B2 (ja) 積層ボトル
WO2017199697A1 (ja)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20240024558A (ko) 내용물 용기
CN215271051U (zh) 内容物容器
US7165701B2 (en) Droplet nozzle for use in eye drop container
US20090103970A1 (en) Cosmetics appliance
US11530078B2 (en) Contents container
EP3378798B1 (en) Squeeze container
KR101911923B1 (ko) 화장품 용기
KR102104248B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2406082B1 (ko) 화장품 용기
KR102320900B1 (ko) 다이얼 타입 용기
CN113347904B (zh) 内容物容器
KR102279514B1 (ko) 아이브로우 용기
JP2018154390A (ja) 二重エアゾール容器
KR1021356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US20240066540A1 (en) Fluid dispenser with priming means
KR200270814Y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100452119B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