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627A - 초음파 센서용 디커플링 요소 - Google Patents

초음파 센서용 디커플링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627A
KR20240023627A KR1020247002116A KR20247002116A KR20240023627A KR 20240023627 A KR20240023627 A KR 20240023627A KR 1020247002116 A KR1020247002116 A KR 1020247002116A KR 20247002116 A KR20247002116 A KR 20247002116A KR 20240023627 A KR20240023627 A KR 2024002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upling
flat component
hollow cylindrical
decoupling element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에이델
스테판 트리블
살레 폴 부
니콜라스 벨라이즈
파비안 하그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filed Critical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ublication of KR2024002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04Mounting transducers, e.g. provided with mechanical moving or orienting dev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5/937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5/93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sensor installation details in the bumper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5)을 위해 컷아웃부(7)를 구비하는 2차원 구성요소(6)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초음파 센서(1)용 디커플링 요소(8)를 제공하며, 초음파 센서(1)는 컷아웃부(7)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를 구비한다. 디커플링 요소(8)는 초음파 센서(1)의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를 둘러싸기 위한 중공 원통형 요소(15)와, 중공 원통형 요소(15)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13)를 구비하며, 복수의 지지 리브(13)는 중공 원통형 요소(15)가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와 함께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의 축방향 단부 부분이 컷아웃부(7) 내로 도입되는 경우에, 컷아웃부(7) 외측의 2차원 구성요소(6)의 구역에서 디커플링 요소(8)를 지지하기 위해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각각의 지지 리브(13)는 디커플링 요소(8)의 축방향 섹션에서 볼 때,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다른 축방향 단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개방된 아치 형상과 같이 형상설정된다.

Description

초음파 센서용 디커플링 요소
본 발명은 차량용 플랫 구성요소에 부착될 수 있는 초음파 센서용 디커플링 요소에 관련되고, 플랫 구성요소는 컷아웃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 초음파 센서 및 플랫 구성요소를 갖는 구성체, 및 이러한 구성체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련된다.
초음파 센서는 차량에서 전송된 초음파 펄스와 수신된 에코 초음파 펄스를 사용하여 차량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주차 보조 시스템,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에 차량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2는 플랫 구성요소(6)에 부착되는 초음파 센서(1)를 갖는 알려진 구성체(100)를 도시한다. 초음파 센서(1)는 센서 하우징(2)과 센서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된 멤브레인 포트(3)를 구비하며, 멤브레인 포트(3)는 멤브레인(5)을 지탱하는 원통형 벽(4)을 구비하고, 멤브레인(5)은 차량(도 1에서의 50)의 환경으로 초음파 펄스를 전송 또는 환경으로부터 초음파 펄스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멤브레인 포트(3)는 축방향 단부 부분(축(A)을 따른 단부에서의 부분)에 의해 차량(도 1에서의 50)의 범퍼와 같은 플랫 구성요소(6)의 컷아웃부(7) 내로 도입된다.
차량 바디로부터 플랫 구성요소(6)를 통해 멤브레인 포트(3)의 멤브레인(5)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알려진 중공 원통형 디커플링 링(108)이 제공되며, 이는 멤브레인 포트(3)의 원통형 벽(4)을 둘러싸고 멤브레인 포트(3)와 함께 컷아웃부(7) 내로 도입된다. 진동 디커플링 외에도, 디커플링 링(108)은 멤브레인 포트(3)를 수분 및 물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도 갖는다.
초음파 센서(101)는 사전규정된 접촉 압력으로 플랫 구성요소(6)에 대해 가압되어서 컷아웃부(7) 내로 가압된다. 디커플링 링(108)의 외부면은 원추형이므로, 디커플링 링(108)과 플랫 구성요소(6)의 에지가 접촉하는 지점(11)에서, 디커플링 링(108)에 유지력이 가해진다. 유지력은 반경방향(r)의 내측으로 작용하여 멤브레인 포트(3)를 컷아웃부(7)의 디커플링 링(108)으로 고정하는 반경방향 성분과, 센서 하우징(2)에 대해 축방향(a)으로 디커플링 링(108)을 가압하는 축방향 성분을 갖는다. 그러나, 유지력의 축방향 성분은 낮으며, 특히, 반경방향 성분보다 현저히 낮다. 게다가, 컷아웃부(7)가 원하는 형상으로부터 생산-관련 편차를 갖는 경우,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 지점(11)에서 디커플링 링(108)과 플랫 구성요소(6) 사이에 접촉이 없을 수도 있므로, 유지력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압 세정제로 차량을 세차할 때, 도 2의 구성체(100)의 경우, 디커플링 링(108)과 멤브레인 포트(3) 사이 및/또는 디커플링 링(108)과 플랫 구성요소(6) 사이에 물이 침투할 수도 있음이 인식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유지력 성분이 낮기 때문에, 여기서 발생하는 압력은 축방향의 디커플링 링(8)을 차량(도 1의 50)의 환경(9) 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디커플링 요소(8)와 센서 하우징(2)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 특히 풋 포인트(12)에 물이 축적될 수도 있고 결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아이스 브릿지(ice bridge)는 초음파 센서(1)의 멤브레인 포트(3)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게다가, 디커플링 링(108)은 플랫 구성요소(6)의 외부면에 걸쳐서 돌출될 때, 쉽게 손상되거나 개구부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그러므로, EP 2 616 836 B1은 도 3에 개략적으로 설명된 구성체를 제안한다. 디커플링 요소(208)는 복수의 스페이서 요소(213)를 구비하며, 이 스페이서 요소는 컷아웃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으로 배열된다. 디커플링 요소(208)의 스페이서 요소(213)의 상부 측면(214)은 플랫 구성요소(6)를 위한 지지 플랫폼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랫 구성요소(6)는 축방향으로 큰 힘 성분을 갖는 유지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컷아웃부(7)의 진원도 등으로 인해 디커플링 요소(208)의 중공 원통형 부분(215)과 플랫 구성요소(6) 사이에 밀착이 없는 경우에도 센서 하우징(2)에 대해 디커플링 요소(8)를 가압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디커플링 요소(208)가 축방향으로 상향으로 밀려나면서 물이 축적되어 아이스 브릿지가 형성되는 간극이 풋 포인트(12)에 발생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EP 2 616 836 B1의 교시에서, 스페이서 요소(213)의 축방향 치수, 플랫 구성요소(6)의 축방향 두께, 및 센서 하우징(2)의 장착 위치는 서로 비교적 정밀하게 조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플랫 구성요소(6)의 두께는 상이한 모델의 차량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차량 모델의 상이한 위치에서 다를 수도 있다. 동시에, 멤브레인(5)과 환경(9)을 대면하는 플랫 구성요소(6)의 외부면은 항상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유형의 디커플링 요소(208)가 상이한 두께를 갖는 플랫 구성요소(6)에 사용되고, 멤브레인(5) 및 플랫 구성요소(6)의 외부면이 항상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가압이 수행되는 경우, 스페이서(213)에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접촉 압력은 스페이서 요소(214)의 힘-변위 곡선에 따라 달라진다. 디커플링 요소(208)가 특정한 유연성을 갖지만, 특히, 특히 두꺼운 플랫 구성요소(6)의 경우, 멤브레인(5)을 플랫 구성요소(6)의 외측부와 동일 평면 상에 있게 하는데 필요한 접촉 압력이 엄청나게 높아서 조립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두꺼운 플랫 구성요소(6)로 인한 높은 압력으로 스페이서 요소(213)가 압착되어 외측으로 틸팅될 위험이 있다. 본 경우에, 디커플링 요소(208)는 상향으로 밀려날 수도 있고, 물이 축적될 수 있고 아이스 브릿지가 형성될 수 있는 간극이 풋 포인트(11)에 발생할 수도 있다.
WO 2015/104094 A1 및 EP 2 812 723은 종래 기술의 추가의 예이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은 개선된 디커플링 요소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제 1 관점에 따르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용 플랫 구성요소에 부착될 수 있는 초음파 센서용 디커플링 요소가 제안되며, 플랫 구성요소는 컷아웃부를 구비하고, 컷아웃부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를 구비한다. 제안된 디커플링 요소는 초음파 센서의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를 둘러싸기 위한 중공 원통형 요소와, 중공 원통형 요소 외측의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를 구비하며, 지지 리브는 중공 원통형 요소가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가 축방향 단부에 있는 단부 부분에 의해 컷아웃부 내로 도입되는 경우에, 컷아웃부 외측의 플랫 구성요소의 구역에서 디커플링 요소를 지지하기 위해 중공 원통형 요소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디커플링 요소의 축방향 섹션의 각각의 지지 리브는 중공 원통형 요소의 다른 축방향 단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개방된 아치 형상을 갖다.
지지 리브는 축방향 섹션에서 아치 형상을 갖는다. 아치 형상은 특히 일측이 개방형 또는 중공형인 아치 형상이거나, 일측이 개방형 또는 중공형인 리브 형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개방형 또는 중공형 지지 리브는 유리하게는, (즉, 개방형 또는 중공형이 아닌, 예를 들면, 볼록한 단면을 갖는) 솔리드 지지 리브에 비해 더 쉽게 압축할 수 있으므로, 보다 큰 범위의 상이한 두께의 플랫 구성요소에 가요성있게 사용된다, 즉, 보다 유리한 힘-변위 곡선을 갖는다.
특히, 제안된 디커플링 요소가 지지 리브의 축방향 치수설정, 플랫 구성요소의의 축방향 두께 및 초음파 센서의 장착 위치가 서로 정밀하게 조정된 제 1 플랫 구성요소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아치형 지지 리브는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고 플랫 부재에 의해 지지 리브에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고, 그에 따라 디커플링 요소가 센서 하우징에 고정되고 가압된다. 제안된 디커플링 요소가 제 1 플랫 구성요소보다 더 두꺼운, 특히 1.5배 내지 1.6배 더 두꺼운 제 2 플랫 구성요소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중공 지지 리브는 엄청나게 높은 접촉 압력 없이도 압축될 수 있다. 본 경우에도, 링은 센서 하우징에 대해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틸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이한 두께의 플랫 구성요소에 초음파 센서를 장착할 때 하나의 동일한 디커플링 요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조립을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아치 형상은 유리하게는, 지지 리브가 외향으로 멀리 경사지는 것에 대응할 수도 있다. 높은 접촉 압력으로, 아치 형상은 센서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그리고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압축되거나 가압된다. 따라서, 디커플링 요소가 축방향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가압되고 디커플링 요소, 센서 하우징 및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 사이에 물이 축적되고 아이스 브릿지가 형성되어 결빙될 수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리브가 중공 원통형 요소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중공 원통형 요소와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 사이에서 고압 세정제로 차량을 세척할 때 침투한 물이 지지 리브가 배열되지 않은 둘레방향의 구역에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디커플링 요소”는 a) 차량 바디의 플랫 구성요소로부터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의 멤브레인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에 대응하는 능력을 갖고, b)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를 수분 및 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을 갖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플랫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차량의 바디 패널, 범퍼 또는 내부 트림 패널일 수도 있다.
“원통 형상”은 2개의 상호 기하학적인 유사한 단부면과 단부면을 연결하는 측방향면에 의해 형성된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단부면은 서로 합동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단부면은 변위에 따라 서로 변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부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 교차면을 따른 원통 형상은 거울 대칭형일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형이거나 대략 회전 대칭형일 수도 있다. “축방향”을 정의하는 “원통 형상”의 “축”은 단부면의 기하학적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는 외부면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을 형성하는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는 멤브레인 포트라고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중공 원통형 요소”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의 자유 공간(free space)을 둘러싸고 있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중공 원통형 요소를 갖는 디커플링 요소는 예를 들면, 디커플링 링이라고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다"는 것은 측방향면에 홈, 플루트(flute), 버어(burr), 리브 등과 같이 엄밀한 기하학적 원통 형상으로부터의 편차, (기하학적으로 엄격한 의미에서 원통 형상이 없고 대략 원추 형상이도록) 최대 10°, 바람직하게는 최대 5°만큼의 측방향면의 경사 등이 “원통 형상”이라는 용어로 커버되도록 의도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축방향 단부”는 특히 원통 형상의 축의 방향으로의 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축방향 섹션"은 특히 원통 형상의 축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을 통한 섹션이다(도 2 내지 도 4의 축(A) 참조).
디커플링 요소가 초음파 센서에 부착되고, 디커플링 요소의 중공 원통형 요소가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를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축방향 일단부"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와, 초음파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의 멤브레인이 위치되는 디커플링 요소의 중공 원통형 요소의 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축방향 타단부"는 축방향으로 축방향 일단부와 반대측에 있는 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축방향 일단부"가 위치되는 측을 "상부"라고도 하고, "축방향 타단부"가 위치되는 측을 "하부"라고도 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라는 명칭은 원통 형상의 축에 대한 가상의 방향을 나타내며, 초음파가 방출되는 방향의 축방향 단부는 "상단부”라고 하고 반대 단부는 "하단부”라고 한다. "상부" 및 "하부"라는 명칭은 차량의 장착 상황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디커플링 요소 및 플랫 구성요소를 갖는 초음파 센서는 차량의 임의의 배향에서 장착될 수 있다.
“아치 형상”은 임의의 대체로 아치 형상의 자유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아치 형상”은 하부 축방향 타단부에 대면하는 아치 형상의 측부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부 축방향 일단부에 대면하는 아치 형상의 측부에서 수렴하는 2개의 림(limb)에 의해 형성된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림은 직선형, 곡선형 또는 단면이 직선형이고 단면이 곡선형일 수도 있다. 곡률 반경은 일정할 필요가 없다. 아치 형상은 거울 대칭형일 필요는 없다. 아치 형상의 예는 역 "U"자 형상 및 역 "V"자 형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치 형상은 반경방향 내향으로 경사져 있다.
다시 말해서, 특히 축방향으로의 아치 형상의 최상부 지점은 아치 형상의 하단부에 있는 아치 형상의 2개의 림 사이의 거리의 중심점보다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방향에 대해서 더 내향으로 배열된다. 특히,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내부 림은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외부 림보다 짧을 수도 있다.
따라서, 아치 형상의 지지 리브가 높은 압력 하에서 외향으로 틸팅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오히려, 내향으로 경사진 아치형 지지 리브가 꺾이면 내향으로 버클링되는 것이 더 유리하게 촉진된다. 따라서,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의 외부면, 센서 하우징의 상측부 및 아치 형상의 지지 리브의 내부 림의 하측부가 만나는 풋 포인트에서, 물이 축적될 수 있는 자유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치 형상의 2개의 림 각각은 아치 형상의 개방측에서의 림 사이의 내부 거리보다 적어도 2배정도 길다.
따라서, 특히 유리한 힘-변위 곡선을 갖는 기다란 슬렌더 림을 갖는 아치 형상이 제안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으로의 아치 형상의 개방측에서의 축방향으로의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내부 림의 일단부는 중공 원통형 요소의 다른 축방향 단부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중공 원통형 요소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외부 림은 특히 임의의 다른 요소에 연결되지 않은 자유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고압을 받을 때 지지 리브가 외향이 아닌 내향으로 틸팅되고, 이에 따라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 원통형 지지 리브 및 센서 하우징의 상측부가 만나는 풋 포인트에서 추가 압축을 제공하는 것을 더욱 촉진한다.
“연결된다”는 특히 하나의 연결부라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결부는 일체형일 수도 있는데, 이는 지지 리브 및 중공 원통형 요소가 하나의 부분으로서 1차 성형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경우에,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내부 림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대면하는 외측부는 중공 원통형 요소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대면하는 외측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반경방향 내부 리브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대면하는 외측부와 중공 원통형 요소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대면하는 외측부 사이에는 거리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거리는 예를 들면, 적어도 반경방향 내부 리브와 중공 원통형 요소 사이에서 디커플링 요소의 하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는 웹에 의해 브리징(bridge)된다.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는 웹이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외부 림까지, 그리고 가능한 한 그 너머까지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지지 리브 중 하나는 중공 원통형 요소의 둘레방향으로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연장된다.
해당 지지 리브가 중공 원통형 요소의 둘레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 초과로 연장되는 경우, 이는 중공형 또는 일측이 개방형인 아치 형상임에도 불구하고, 가해지는 접촉 압력을 안정적인 방식으로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므로 외향으로 멀리 틸팅되지 않고, 오히려 초음파 송수신기 요소의 외측부, 센서 하우징의 상측부 및 아치 형상의 지지 리브의 내부 림의 하측부가 만나는 풋 포인트에 대해 견고하게 가압되므로, 이 포인트에서 물이 축적되고 결빙되거나 상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요소의 둘레방향 주위로 서로 이격된 4개 또는 5개의 지지 리브가 있을 수 있으며, 본 경우, 유리하게는, 지지 리브 사이에는 침투되는 물의 배수를 위한 충분한 자유 공간이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커플링 요소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특히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1차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일체로 형성된 디커플링 요소는 특히 유리한 음향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지지 리브는 20 Shore A 내지 60 Shore A, 바람직하게는 30 Shore A 내지 50 Shore A,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Shore A의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재료의 전체 디커플링 요소는 또한 언급된 경도 중 하나의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언급된 경도는 한편으로는, 플랫 구성요소로부터 초음파 센서의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며, 이는 디커플링 요소의 중공 원통형 요소로 도입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경도는 지지 리브의 구역에서 적절한 강성을 달성하는데 적합하여, 지지 리브는 가해지는 접촉 압력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으므로 외향으로 멀리 틸팅되지 않고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의 외측부, 센서 하우징의 상측부 및 아치 형상의 지지 리브의 내부 림의 하측부가 만나는 풋 포인트에 대해 견고하게 가압되므로 이 포인트에 물이 축적되어 결빙되거나 상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커플링 요소는 가요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은 액체 처리된 가교 실리콘이다. 이는 차량 운행 동안에 예상되는 -40°C 내지 +80°C의 온도에 대한 우수한 내성을 제공한다.
제 2 관점에 따르면,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 및 제안된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가 제안되는데, 디커플링 요소의 중공 원통형 요소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를 둘러싸고 있다.
제 3 관점에 따르면, 차량용 플랫 구성요소, 컷아웃부를 구비하는 플랫 구성요소 및 플랫 구성요소에 부착되는 제 2 관점의 초음파 센서를 갖는 구성체가 제안된다. 본 경우에, 디커플링 요소의 중공 원통형 요소가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는 축방향 일단부에 있는 단부 부분에 의해 컷아웃부로 도입되고, 디커플링 요소는 컷아웃부 외측의 플랫 구성요소의 내측 구역에 지지된다.
제 3 관점의 구성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의 축방향 단부, 및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를 둘러싸고 있는 디커플링 요소의 중공 원통형 요소의 축방향 단부는 플랫 구성요소의 외측부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량 바디의 외측부와 동일 평면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이는 심미적으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의 손상과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이점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 구성요소는 차량의 외주면이고, 플랫 구성요소의 외측부는 차량 외측부이며, 플랫 구성요소의 내측부는 차량 내측부이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는 차량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 구성요소는 차량의 내부 트림 패널이고, 플랫 구성요소의 외측부는 차량 내측부이며, 플랫 구성요소의 내측부는 차량 외측부이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는 또한 차량의 내부 트림 패널에 설치될 수 있고 차량 내부에 대한(예를 들면, 차실의 탑승자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센서는 디커플링 요소가 사전규정된 접촉 압력 하에서 플랫 구성요소의 컷아웃부로 가압된다.
접촉 압력은 유리하게는 플랫 구성요소로부터 지지 리브에 작용하는 반력을 통해 센서 하우징의 표면에 디커플링 요소를 견고하게 안착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커플링 요소의 중공 원통형 요소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에 통상보다 작은 크기로 부착된다.
"통상보다 작은 크기로 부착"은 특히 디커플링 요소의 릴렉스된 상태에서 조립하기 전에, 중공 원통형 요소의 내경이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의 외경보다 작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디커플링 요소의 중공 원통형 요소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에 반경방향 내향으로 작용하는 클램핑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공 원통형 요소와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 사이에 물이 침투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제 4 관점에 따르면, 제 3 관점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체 또는 제 3 관점의 실시예 중 하나를 갖는 차량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추가 가능한 구현예는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또는 하기에 설명된 특징 또는 실시예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조합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각 기본 형태에 대한 개선예 또는 추가예로서 개별적인 관점을 추가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구성 및 관점은 종속 청구항 및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주제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차량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플랫 구성요소와, 알려진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를 갖는 알려진 구성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플랫 구성요소와, 알려진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를 갖는 또 다른 알려진 구성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랫 구성요소와,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를 갖는 구성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랫 구성요소와,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를 갖는 구성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추가 플랫 구성요소와,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를 갖는 구성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커플링 요소의 실물 크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커플링 요소의 실물 크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디커플링 요소를 통한 실물 크기의 축방향 B-B 단면을 도시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된다.
도 1은 승용차(50)인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승용차(50)는 플랫 구성요소(6)의 예인 전방 범퍼를 구비한다. 전방 범퍼(6) 상에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1)가 컷아웃부(7)에 장착되며, 도 3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구성체(10)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은 초음파 센서(1)를 전방 범퍼(6)에 부착하기 위한 알려진 구성체(100, 200)를 도시하며, 이러한 구성체는 서론 부분에서 이미 논의되었다.
도 4는 전방 범퍼(6) 및 초음파 센서(1)를 갖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성체의 축방향 단면도를 도시하며, 초음파 센서(1)는 전방 범퍼(6)에 부착되고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커플링 요소(8)를 구비한다. 초음파 센서(1)는 센서 하우징(2)과, 이로부터 돌출되고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의 일례인 멤브레인 포트(3)를 구비한다. 멤브레인 포트(3)는 멤브레인(5)을 지탱하는 원통형 벽(4)을 구비한다. 멤브레인(5)은 차량(도 1의 50)의 환경(9)으로 초음파 펄스를 전송하거나 환경(9)으로부터 초음파 펄스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멤브레인 포트(3)는 상부 축방향 단부 부분(축(A)을 따라 단부에 있는 부분)에 의해 범퍼(6)의 컷아웃부(7) 내로 도입된다.
도면에서, "a"로 표시된 화살표는 축(A)에 의해 한정된 축방향으로 상향을 가리키며, 여기서 "위(above)"는 도 4의 이미지 평면을 나타내며, 구성체(10)의 장착 위치와 관련된 제한부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r"이라고 표시된 화살표는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방향 외측을 가리킨다.
차량 바디로부터 전방 범퍼(6)를 통해 멤브레인 포트(3)의 멤브레인(5)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디커플링 링(8)이 제공되며, 이는 디커플링 요소(8)의 일례이다. 디커플링 링(8)은 중공 원통형 요소(15)와, 중공 원통형 요소(15)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될 복수의 지지 리브(13)를 구비한다. 이는 도 4에는 볼 수 없지만, 복수의 지지 리브(13)는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지지 리브(13)의 최상부 지점(14)은 전방 범퍼(6)에 대한 지지 플래토(plateau)를 형성한다. 특히, 초음파 센서(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5)과 전방 범퍼(6)의 외부측이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축방향 상단부의 일부와의 사전규정된 접촉 압력 하에서 전방 범퍼(6)의 컷아웃부(7) 상에 도입되거나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디커플링 링(8)은 컷아웃부(7) 외부의 도 4의 전방 범퍼(6)의 하부 외부면의 구역 상에 있는 지지 리브(13)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전방 범퍼(6)의 하부면이 해당 지지 리브(13)의 최상부 지점(14) 상에 축방향 하향으로 유지력을 가하여, 초음파 센서(1)의 센서 하우징(2)에 대해 축방향으로 디커플링 링(8)을 가압한다. 이러한 유지력은 범퍼와 중공 원통형 요소(15) 사이, 또는 중공 원통형 요소(15)와 멤브레인 포트(3) 사이를 고압 세척제로 세척하는 동안 침투할 수 있는 물이 컷아웃부(7) 외측으로 축방향 상향으로 디커플링 링(8)을 밀어낼 수 있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커플링 링(8) 하에서, 특히 디커플링 링(8), 멤브레인 포트(3) 및 센서 하우징(2)이 만나는 풋 포인트(12)에 물이 축적되어 가능한대로 결빙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해당 지지 리브(13)는 도 4에 도시된 축방향 섹션에서 아치 형상을 갖는다. 아치 형상은 본 예에서 굽힘 내부 림(16) 및 굽힘 외부 림(17)에 의해 형성된다. 아치 형상의 림(16 및 17)은 하부 축방향 단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최상부 지점(14)에서 상부 축방향 단부를 향해 수렴한다. 따라서, 지지 리브(13)의 아치 형상은 공동(18)에 걸쳐 있다.
아치형으로 형성된 지지 리브(13)는 특히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므로, 지지 리브(13)는 전방 범퍼(6)에 의해 가해지는 유지력에 저항할 수 있고, 디커플링 링(8)은 센서 하우징(2)에 대해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가압되어 유지된다.
전방 범퍼(6) 대신, 축방향으로 두껍고 플랫한 구성요소(6)를 사용하는 경우, 초음파 센서(2)가 플랫 구성요소에 부착될 때 플랫 구성요소(6)로부터 아치형 지지 리브(13)로 작용하는 힘이 증가한다. 그러나, 슬렌더 림(16 및 17)을 갖는 중공 아치형 지지 리브(13)는 접촉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고도 이러한 증가된 힘을 흡수하고 완충할 수 있다. 지지 리브(13)의 아치 형상은 본 경우에 지지 리브(13)가 축방향 하향으로 압축되고 반경방향 측방향 외향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더욱 촉진한다.
특히, 아치 형상의 개방측에서의 축방향의 반경방향 내부 림(16)은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하부 축방향 단부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중공 원통형 요소(15)와 연결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반경방향 외부 림(17)의 축방향 단부는 자유 단부이다. 이러한 구성은 지지 리브가 높은 접촉 압력으로 압착되고 반경방향 내향으로 압착 및 압축되며 외향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촉진한다.
도 5 및 도 6은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랫 구성요소(6)와, 디커플링 요소(8)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2)를 갖는 구성체(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며, 차이점만이 설명된다.
도 5 및 도 6에는, 이미 설명된 요소 외에, 센서 하우징(2)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 홀더(19)의 일부가 도시된다. 홀더(19)는 지지 리브(13)의 아치 형상의 제 2 림(17)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디커플링 링(디커플링 요소)(8)의 경우에, 해당 지지 리브(13)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아치 형상을 갖는다. 즉, 아치 형상의 최상부 지점(14)은 아치 형상의 축방향으로 낮고 개방측에서의 반경방향 내부 림(18)과 반경방향 외부 림(17) 사이의 중심 위치(21)보다 반경방향(r)으로 더 내측으로 배열된다.
도 5에 도시된 장착 상황에서, 지지 리브(14)는 안정적인 아치 형상을 가지며, 이는 전방 범퍼(6)로부터 2개의 림(16 및 17)을 통해 최상부 지점(14)에 작용하는 힘을 유도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디커플링 링(8)이 센서 하우징(2)에 대해 축방향으로 가압되고 가압된 물에 대한 충격 지점을 제공할 수 있는 풋 포인트(12)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 5에 도시된 장착 상황에서, 달리 변경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전방 범퍼(6)가 축방향(a)으로 더 두꺼운 플랫 구성요소(66)로 교체되면, 도 6에 도시된 장착 상황이 발생한다. 더 두꺼운 플랫 구성요소(66)로 인해, 접촉 압력이 증가하고 반경방향 내부 림(16)이 붕괴된다. 그러나, 지지 리브(13)는 외측으로 경사지지 않고, 플랫 구성요소(66), 센서 하우징(2), 멤브레인 포트(3) 및 홀더(19)로 경계지어진 공간에 함께 압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도, 디커플링 링(8)은 멤브레인 포트(3)와 센서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되는 풋 포인트(12)의 코너부 내로 가압되며, 외부(9)로부터 침투하는 고압 세척제 등의 워터 제트가 컷아웃부(7)를 통해 축방향 상향으로 디커플링 링(9)을 가압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방금 설명된 효과는 지지 리브(13)가 붕괴될 수 있는 공간을 경계짓는 홀더(19)에 의해 촉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방금 설명된 효과는 홀더(19)가 제공되지 않거나 도시된 위치에 제공되지 않더라도 발생한다.
제 3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제안된 해결책에 따른 디커플링 링(8)의 작동 예가 도 7,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상부"로 지칭된 방향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디커플링 링(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즉, 도 7에서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축(A)은 이미지 평면 외부로 연장된다.
디커플링 링(8)은 4개의 지지 리브(13)를 구비하며, 이들은 중공 원통형 요소(15) 주위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동심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경우 α = 40°의 거리로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지지 리브(13)는 50°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지지 리브(13)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리브(13) 사이에는 충분히 큰 각형 구역이 남아 있으며, 이를 통해 침투한 물이 흘러나올 수 있다.
도 8은 도 8로부터의 디커플링 링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리브(13) 각각은 축방향(a)의 하단부를 향해 개방되는 아치 형상을 갖는다.
도 9는 도 7로부터의 B-B 단면을 도시한다. 제 3 실시예의 디커플링 링(8)의 지지 리브(13)의 아치 형상도 내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아치 형상의 상부 지점(14)은 아치 형상의 축방향으로 더 낮은 개방 단부의 2개의 림(16, 17) 사이의 중심 위치(21)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내측에 위치된다.
중공 원통형 요소(15)는 그 내주면에 생산-관련 만입부(22)를 구비한다. 만입부(22)의 축방향 높이의 멤브레인 포트가 만입부(22)에 적합한 버어(burr)를 구비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커플링 링(8)의 중공 원통형 요소(15)는 내경이 15mm이고 외경이 17.32mm이며, 지지 리브(14)를 포함하는 디커플링 링(8)은 외경이 21.7mm이다. 예를 들어, 지지 리브(13)의 아치 형상의 내부 높이(h1)는 2.42mm이다. 예를 들어, 중공 원통형 요소의 높이(h2)는 5mm이다. 지지 리브(13)의 아치 형상의 하부 개방 단부에 있는 반경방향 외부 리브(17)와 반경방향 내부 리브(16) 사이의 내부 거리는 예를 들면, 0.91mm이고, 반경방향 외부 리브의 폭은 예를 들면, 0.36 mm이다.
도 7 내지 도 9의 디커플링 링(8)은 가교 실리콘의 액체 처리에 의해 일차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으며, 40 Shore A의 경도를 갖는다.
발명자에 의한 시험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허용 가능한 접촉 압력이 있을 때, 그리고 디커플링 링(8)의 밀봉 기능이 특히 풋 포인트(12)에서 손상되지 않는 경우에 원통형 멤브레인 포트(3)의 멤브레인(5)이 플랫 구성요소(6)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장착 상황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되는 디커플링 링(8)은 축방향 두께가 2.5mm 내지 4mm 범위인 플랫 구성요소(6)와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종래 기술로부터의 도 3의 일례에서와 같이 설계된(해당하는 경우) 동일한 치수를 갖는 디커플링 링(208)은 접촉 압력이 엄청나게 높아지거나 실링 기능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2.7mm 내지 3.3mm의 범위의 두께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9로부터의 제안된 디커플링 링(8)은 종래 기술로부터의 디커플링 링(208)보다 더 유리한 힘-변위 곡선을 갖는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도 있다.
디커플링 링은 실리콘으로 제작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TPE와 같은 다른 고무형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주어진 특정 치수와, 도면에 도시된 자유 형태는 순전히 일례로서 간주되어야 하며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링(8)의 릴렉스된 상태,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1) 상에 장착되기 전에, 디커플링 링의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센서(1)의 멤브레인 포트(3)의 외경보다 작을 수도 있으므로, 디커플링 링(8)은 멤브레인 포트(3)에 통상보다 작은 크기로 끼워맞춰진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랫 구성요소(6)에 대한 일례로서 전방 범퍼(6)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플랫 구성요소(6)는 차량(50)의 후방 범퍼, 사이드바 또는 임의의 다른 외주면일 수도 있다. 상술된 경우에, 플랫 구성요소의 내측이 차량 내측이고, 초음파 센서(1)가 차량(50)의 환경(9)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안예로서, 초음파 센서(1)는 차량 내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본 경우에, 플랫 구성요소(6)의 외측부는 차량 내측부이고, 플랫 구성요소(6)는 차량(50)의 내부 트림 패널의 임의의 요소이다.
승용차는 순전히 차량(50)의 예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제안된 초음파 센서, 제안된 구성체 및 제안된 디커플링 요소는 트럭, 지게차, 로봇 등과 같이, 운전 보조 시스템, 주차 보조 시스템 및/또는 부분 또는 완전 자율 주행을 위한 시스템을 구비하는 다른 이동 또는 이동가능한 객체에도 사용된다.
1 : 초음파 센서
2 : 센서 하우징
3 :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 멤브레인 포트
4 : 벽, 측방향면
5 : 멤브레인
6 : 플랫 구성요소, 전방 범퍼
7 : 컷아웃부
8 : 디커플링 요소
9 : 차량 환경
10 : 플랫 구성요소와,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를 갖는 구성체
11 : 접촉 지점
12 : 풋 포인트
13 : 아치 형상의 지지 리브
14 : 아치 형상의 최상부 지점
15 : 중공 원통형 요소
16 :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내부 림
17 :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외부 림
18 : 공동
19 : 홀더
21 : 중앙 위치
22 : 만입부
50 : 차량, 승용차
66 : 두꺼운 플랫 구성요소
100 : 플랫 구성요소와,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를 갖는 알려진 구성체
101 : 알려진 초음파 센서
108 : 알려진 디커플링 요소
200 : 플랫 구성요소와, 디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를 갖는 알려진 구성체
201 : 알려진 초음파 센서
208 : 알려진 디커플링 요소
213 : 알려진 스페이서 요소
214 : 알려진 스페이서 요소의 상측부
215 : 알려진 중공 원통형 요소
A : 중공 원통형 요소의 축
a : 축방향, 특히 축방향 상향
h1 : 아치 형상의 내부 높이
h2 : 중공 원통형 요소의 높이
r : 반경방향, 특히 반경방향 외측
α : 지지 리브 사이의 둘레방향의 거리
s : 아치 형상의 개방 단부에서의 림 사이의 내부 거리
b : 반경방향 외부 림의 폭

Claims (15)

  1. 차량(5)의 플랫 구성요소(6)에 부착될 수 있는 초음파 센서(1)용 디커플링 요소(8)로서, 상기 플랫 구성요소는 컷아웃부(7)를 구비하고, 상기 컷아웃부(7)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를 구비하는, 상기 디커플링 요소(8)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1)의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를 둘러싸기 위한 중공 원통형 요소(15)와,
    상기 중공 원통형 요소(15) 외측에 반경방향(r)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13)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리브(13)는 상기 중공 원통형 요소(15)가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가 축방향 단부에 있는 단부 부분에 의해 상기 컷아웃부(7) 내로 도입되는 경우에, 상기 컷아웃부(7) 외측의 상기 플랫 구성요소(6)의 구역에서 상기 디커플링 요소(8)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디커플링 요소(8)의 축방향 섹션에 있는 각각의 지지 리브(13)는 상기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다른 축방향 단부를 향해 축방향(a)으로 개방된 아치 형상을 갖는
    디커플링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형상은 상기 반경방향(r) 내향으로 경사져 있는
    디커플링 요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형상의 2개의 림(16, 17) 각각은 상기 아치 형상의 개방측에서의 림(16, 17) 사이의 내부 거리(들)보다 적어도 2배정도 긴
    디커플링 요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a)으로의 아치 형상의 개방측에서의 축방향(a)으로의 아치 형상의 반경방향 내부 림(16)의 일단부는 상기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다른 축방향 단부와 동일 평면 상에 있으며 상기 중공 원통형 요소(15)에 연결되는
    디커플링 요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지지 리브(13) 중 하나는 상기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둘레방향으로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연장되는
    디커플링 요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요소(8)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디커플링 요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 리브(13)는 20 Shore A 내지 60 Shore A, 바람직하게는 30 Shore A 내지 50 Shore A,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Shore A의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디커플링 요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요소(8)는 가요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디커플링 요소.
  9.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와,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커플링 요소(8)를 구비하는 초음파 센서(1)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요소(8)의 중공 원통형 요소(15)는 상기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를 둘러싸고 있는
    초음파 센서.
  10. 차량(50)용 플랫 구성요소(6)와, 제 9 항에 기재된 초음파 센서(1)를 갖는 구성체(10)로서, 상기 플랫 구성요소(6)는 컷아웃부(7)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1)는 상기 플랫 구성요소(6)에 부착되는, 상기 구성체(10)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요소(8)의 중공 원통형 요소(15)가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는 축방향 일단부에 있는 단부 부분에 의해 상기 컷아웃부(7) 내로 도입되고,
    상기 디커플링 요소(8)는 상기 컷아웃부(7) 외측의 플랫 구성요소(6)의 내측의 구역에 지지되는
    구성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의 축방향 단부, 및 상기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를 둘러싸고 있는 상기 디커플링 요소(8)의 중공 원통형 요소(15)의 축방향 단부는 상기 플랫 구성요소(6)의 외측부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구성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구성요소(6)는 상기 차량(50)의 외주면이고, 상기 플랫 구성요소(6)의 외측부는 차량 외측부이며, 상기 플랫 구성요소(6)의 내측부는 차량 내측부이거나,
    상기 플랫 구성요소(6)는 상기 차량(50)의 내부 트림 패널이고, 상기 플랫 구성요소(6)의 외측부는 차량 내측부이며, 상기 플랫 구성요소(6)의 내측부는 차량 외측부인
    구성체.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1)는 상기 디커플링 요소(8)가 사전규정된 접촉 압력 하에서 상기 플랫 구성요소(6)의 컷아웃부(7) 내로 가압되는
    구성체.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요소(8)의 중공 원통형 요소(15)는 상기 원통형 초음파 트랜시버 요소(3)에 통상보다 작은 크기로 부착되는
    구성체.
  15.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체를 구비하는
    자동차.
KR1020247002116A 2021-07-20 2022-07-13 초음파 센서용 디커플링 요소 KR202400236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18641.2A DE102021118641A1 (de) 2021-07-20 2021-07-20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n ultraschallsensor
DE102021118641.2 2021-07-20
PCT/EP2022/069531 WO2023001648A1 (de) 2021-07-20 2022-07-13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n ultraschall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627A true KR20240023627A (ko) 2024-02-22

Family

ID=8249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116A KR20240023627A (ko) 2021-07-20 2022-07-13 초음파 센서용 디커플링 요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3715A1 (ko)
KR (1) KR20240023627A (ko)
CN (1) CN117813219A (ko)
DE (1) DE102021118641A1 (ko)
WO (1) WO20230016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5971A1 (de) 2010-09-18 2012-03-2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Anordnung mit einem Stoßfänger und einem Ultraschallsensor und 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Anordnung
DE102012002760A1 (de) 2012-02-11 2013-08-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an einem Bauteil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4200056B4 (de) 2014-01-07 2022-10-27 Robert Bosch Gmbh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n Ultraschallsensor und Anordnung mit einem Entkopplungselement
KR20160012744A (ko) * 2014-07-25 2016-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WO2019102755A1 (ja) * 2017-11-27 2019-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超音波センサおよびリテ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1648A1 (de) 2023-01-26
DE102021118641A1 (de) 2023-01-26
CN117813219A (zh) 2024-04-02
EP4373715A1 (de)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411B1 (ko) 차음 시일이 부착된 밀봉장치
US7416175B2 (en) Spring seat assembly
CN110582654B (zh) 筒形防振装置
EP2025968B1 (en) Vibration isolation device
KR20070033963A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20230104262A (ko) 자동차용 초음파 센서 및 자동차
US20040017035A1 (en) Damper support having a contoured end face for a shock absorber of a motor vehicle
US5855352A (en) Hydraulic antivibration support
CN101181883A (zh) 用于挟持把柄的转接器装置
EP0324457B1 (en) Vibration isolator of bushing type with liquid chambers in elastic body
JP3509602B2 (ja) 防振装置
EP1270991A2 (en) Vibration isolating device
KR20240023627A (ko) 초음파 센서용 디커플링 요소
CN111386473B (zh) 超声波传感器和保持器
CN110831821B (zh) 减振环以及具有这样的减振环的气囊模块
CN212354123U (zh) 方向盘减振系统和方向盘
JP3627406B2 (ja) 筒形防振支持体
US6550753B2 (en) Antivibration device
CN108944729A (zh) 车辆的转向设备
EP1234998A2 (en) Engine mount
JPH05118367A (ja) 筒形防振ゴム
KR100435273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JP2000006630A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防振支持装置
JP3153022B2 (ja) バンパーバウンドとダストカバーとの組立構造
JP2007255530A (ja) 防振マウ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