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434A - 분쇄된 멜라민 폼 입자를 사용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쇄된 멜라민 폼 입자를 사용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434A
KR20240023434A KR1020247001798A KR20247001798A KR20240023434A KR 20240023434 A KR20240023434 A KR 20240023434A KR 1020247001798 A KR1020247001798 A KR 1020247001798A KR 20247001798 A KR20247001798 A KR 20247001798A KR 20240023434 A KR20240023434 A KR 20240023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oam
melamine resin
melamine
foam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쾨니그
베른하르트 바스
카이 올리버 지겐탈러
토비아스 하인즈 슈타인케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4002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43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5Composite foams, i.e. continuous macromolecular foams containing discontinuous cellular particles or fra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36Forming foamed products using b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mixing gases into liquid compositions or plastisols, e.g. froth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8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84Grinding tools, roller mills or disc mi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J23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J23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400/30Polymeric waste or recycled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J24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J24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물 M은 멜라민 수지 폼 입자, 적어도 하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뿐만 아니라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쇄된 멜라민 폼 입자를 사용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분쇄된 멜라민 폼 입자를 사용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 뿐만 아니라 이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멜라민 수지 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2010/039574는 멜라민 폼 섬유 및 포름알데히드 스캐빈저를 포함하는 액체 경질 표면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N 103030924 A는 가요성 및 압축 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이 개선된 섬유 재료 변성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폼을 개시한다. 섬유 재료, 예컨대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탄소 섬유 또는 면 섬유는 수지 용액의 중합 전에 0.2-10 중량%의 포름알데히드 용액 및 멜라민에 첨가된다.
DE 10 2007 009 127 A1은 0.5 내지 50 중량%의 섬유상 충전제, 예컨대 멜라민 섬유를 포함하여 오픈 셀(open cell) 폼의 기계적 특성, 특히 압축 강도를 증가시키는, 아미노 수지를 기반으로 한 오픈 셀 폼에 관한 것이다.
WO 2011/061178은 40 중량% 내지 85 중량%의 오픈 셀 중합체 폼 및 가요성 외층을 갖는 15 중량% 내지 60 중량%의 중공형 마이크로비드를 포함하는, 약 300 내지 1600 Hz의 주파수 범위에서 개선된 흡음 및 방음 특성을 갖는 멜라민 수지 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중공형 마이크로비드의 D50 값은 중합체 폼 및 중공형 마이크로비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70 ㎛ 및 최대 250 ㎛이다. 멜라민 수지 폼은 팽창성 중공형 마이크로비드를 포함하는 액체 분산액으로 함침된다.
WO 2009/021963은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 생성물을 기반으로 하는 연마성 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1) 제조되는 폼의 예비축합물 및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로부터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가열하여 예비축합물을 발포시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폼을 얻는 단계, 및 적용 가능한 경우 (3) 단계 (2)에서 수득된 폼을 템퍼링하여, 섬세한 표면을 연마할 때 마모를 증가시는 단계.
US 8 937 106 B2는 나노다공성 입자로 충전된 오픈 셀 폼, 특히 열 전도성 및 흡음성이 개선된 에어로겔 또는 에어로실(aerosil)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양태에서, 멜라민 수지 폼은 나노다공성, 바람직하게는 무기 입자로 함침된다. 제2 실시양태에서, 나노다공성 과립상 입자는 발포 전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과 혼합된다.
CN 112 795 053 A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폐기물의 재활용 방법 및 이로부터의 난연제의 제조를 개시한다.
EP 2 703 074 A1은 기계적 및 음향적 특성의 개선된 조합을 갖는 멜라민 수지 폼을 제조하고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멜라민 폼 스크랩을 재활용하여 저밀도에서 개선된 세정 거동 및 흡음성을 갖는 멜라민 수지 폼을 제조해야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혼합물 M은 멜라민 수지 폼 입자, 적어도 하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를 포함한다.
멜라민 폼 입자는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을 밀링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폼 입자는 2단계 공정으로 밀링된다. 제1 단계에서 멜라민 수지 폼 블록은 폼 플레이크로 밀링된다. 폼 플레이크의 최대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cm 범위이다. 제2 단계에서 폼 플레이크는 폼 입자로 추가로 밀링된다. 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0 ㎛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멜라민-수지 폼 입자는 1 내지 2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 ㎛ 범위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평균 입자 크기는 이미지 분석 또는 체질(sieving)과 결합된 광학 또는 전자 현미경을 통해 측정된 수평균 D10, D50 및 D90 값을 갖는 입자 크기 분포로서 결정될 수 있다. 체질은 에어 제트 체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현미경에 의해 측정된 멜라민 수지 입자 크기의 총 분포의 D90 수는 15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110 ㎛이다. 입자의 90%는 D90 값 미만의 직경을 갖는다. 입자의 50%는 중간 직경 D50보다 직경이 더 작고, 입자의 50%는 중간 직경 D50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멜라민 수지 폼 입자는 10 내지 500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0 kg/m3;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kg/m3 범위의 부피 밀도(bulk density)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멜라민 수지 폼 입자 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의 중량비는 0.01/100 내지 50/100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0 내지 25/100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0.5/100 내지 10/100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멜라민 수지 폼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kg/m3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kg/m3의 범위이다.
멜라민 폼은 WO 2009/02196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수지 폼 입자는 분말 형태로 또는 수용액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멜라민 수지와 사전 혼합된다. 이 멜라민 수지 예비혼합물에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를 첨가하여 수성 혼합물 M을 형성한다. 멜라민 수지 폼은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시킴으로써 수득된다. 멜라민 수지 폼은 120∼300℃의 온도에서 템퍼링될 수 있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은 별도로 제조될 수 있거나 2개의 성분, 멜라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예비축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3:1, 보다 바람직하게는 3.5:1 내지 1.5 내지 1 범위의 멜라민 대 포름알데히드의 몰비를 갖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균 분자량 Mn은 200 g/mol 내지 1000 g/mol 범위이다. 변형되지 않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또한 이들의 혼합물은 분산제/유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디페닐렌 옥사이드 술포네이트, 알칸 및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 올레핀술포네이트, 알킬 에테르 술포네이트, 지방 알코올 술페이트, 에테르 술페이트, α-술포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아미노알칸술포네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N-아실사르코시네이트, 알킬 및 알킬에테르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유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아민 옥사이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포함한다. 유용한 양이온성 유화제는 예를 들어 알킬트리암모늄 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염 및 알킬피리디늄 염을 포함한다.
분산제/유화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을 기준으로 0.2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M은 50 내지 9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10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중량 백분율은 각각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경화제로서, 멜라민 수지의 추가 축합을 촉매하는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경화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예비축합물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이다. 유용한 산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질산, 포름산, 아세트산, 옥살산, 톨루엔 술폰산, 아미도 술폰산, 산 무수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산 및 무기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포름산이 경화제로서 사용된다.
혼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용한 물리적 발포제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 예컨대 펜탄, 헥산, 할로겐화,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소화 및/또는 불소화, 탄화수소, 예를 들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탄,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에테르, 케톤 및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포르메이트, 에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액체 형태 또는 공기로,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기체로 포함한다.
혼합물 중의 발포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발포제의 원하는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에 대한 양은 폼의 밀도가 5 내지 15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kg/m3인 양으로 선택된다. 발포제는 바람직하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혼합물에 존재한다. 0∼80℃의 비등점을 갖는 물리적 발포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펜탄이 발포제로서 사용된다.
예비축합물은 일반적으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의 현탁액을 가열하여 발포된 물질을 얻음으로써 발포된다.
에너지의 도입은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방사선을 통해, 예를 들어 0.2 내지 100 GHz,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혼합물의 킬로그램당 5 내지 400 kW,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kW,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0 kW의 고주파 방사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은 유전체 방사선의 유용한 공급원이며, 하나의 마그네트론을 사용하거나 동시에 2개 이상의 마그네트론을 사용할 수 있다.
제조된 발포 재료는 최종적으로 건조되어 폼으로부터 잔류수 및 발포제를 제거할 수 있다. 건조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범위의 온도에서 일정한 중량까지 건조 오븐에서 수행된다. 기재된 공정은 임의의 원하는 형상의 크기로 절단될 수 있는 발포 재료의 블록 또는 슬래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사양을 벗어나는 특성으로 제조된 생산 플랜트로부터의 멜라민 수지 폼의 재활용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주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 폼을 재활용하는 방법이다:
a)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을 2∼5 cm 범위의 최대 치수를 갖는 폼 플레이크로 밀링하는 단계,
b) 단계 a)로부터의 폼 플레이크를, 광학 현미경 또는 체질에 의해 결정된 150 ㎛ 미만의 D90 값을 갖는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폼 입자로 밀링하는 단계,
c) 단계 b)로부터의 폼 입자, 적어도 하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로부터 수성 혼합물 M을 형성하는 단계,
d)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여 멜라민 수지 폼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임의로 단계 d)에서 수득된 멜라민 수지 폼을 120∼300℃의 온도에서 템퍼링하는 단계.
본 발명의 추가의 주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멜라민 수지 폼이다. 멜라민 수지 폼 입자는 멜라민 폼을 통해 균질하게 분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멜라민 수지 폼은 하기 방법에 의해 후처리될 수 있다:
1. 더 높은 밀도, 더 나은 내구성 및 세정 거동을 갖는 폼을 얻기 위한 열압축.
2. 더 낮은 수분 흡수성을 갖는 폼을 얻기 위한 소수화(hydrophobation) 및
3. 화재시 FST 특성(화염, 연기, 독성)을 개선하기 위한 난연제의 함침.
연질, 미경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발포 재료를 압축하는 단계 및 수득된 발포 재료를 경화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기준으로 하는 이방성 기계적 특성을 갖는 탄성 압축 발포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WO 2011/134778에 기재되어 있다.
플루오로카본 수지 및/또는 규소 수지의 함침에 의한 친수화(hydrophilization) 및 실리케이트, 보레이트, 히드록시드 또는 포스페이트와 같은 난연성 물질의 함침은 WO 2007/0231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수지 폼의 밀도는 5 내지 15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kg/m3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멜라민 수지 폼의 멜라민 수지 폼은 방음 및/또는 단열에 또는 세정용, 연마용 또는 광택용 스펀지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멜라민 수지 폼의 현미경 사진이다.
입자는 이전의 셀룰러 스트럿 망상구조의 단편이며 각각의 형상(스트럿 및 노드)을 나타낸다. 발포 공정에서 입자는 MF 수지에 의해 습윤되고 다공성 또는 조밀한 하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REM 사진).
실시양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양태를 포함하며, 이들은 실시양태의 특정 조합을 포함한다.
1.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 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물 M은 멜라민 수지 폼 입자, 적어도 하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2. 실시양태 1에 있어서, 멜라민-수지 폼 입자는 현미경법에 의해 결정된 150 ㎛ 미만의 D90 값을 갖는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3. 실시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 폼 입자는 10 내지 500 kg/m3 범위의 부피 밀도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4. 실시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 폼 입자 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0/100의 범위인 제조 방법.
5. 실시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M은 50 내지 9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10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중량 퍼센트는 각각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제조 방법.
6. 실시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포름산이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인 제조 방법.
7. 실시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펜탄이 발포제로서 사용되는 것인 제조 방법.
8. 멜라민 수지 폼의 재활용 방법으로서, 밀링된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이 실시양태 1에 따른 방법의 멜라민 수지 폼 입자로서 사용되는 것인 방법.
9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 폼의 밀도는 5 내지 30 kg/m3의 범위인 방법.
8. a)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을 2∼5 cm 범위의 최대 치수를 갖는 폼 플레이크로 밀링하는 단계,
b) 단계 a)로부터의 폼 플레이크를 150 ㎛ 미만의 D90 값을 갖는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폼 입자로 밀링하는 단계,
c) 단계 b)로부터의 폼 입자, 적어도 하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로부터 수성 혼합물 M을 형성하는 단계,
d)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여 멜라민 수지 폼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임의로 단계 d)에서 수득된 멜라민 수지 폼을 120∼300℃의 온도에서 템퍼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재활용 방법.
9. 실시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멜라민 수지 폼.
10. 방음 및/또는 단열을 위한 또는 세정용, 연마용 또는 광택용 스펀지를 위한, 실시양태 9에 따른 멜라민 수지 폼의 용도.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측정 방법:
램(ram) 압력 값[N]:
멜라민 수지 폼의 기계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램 압력 측정을 모두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직경 8 mm, 높이 10 cm의 원통형 램을, 직경 11 cm, 높이 5 cm의 원통형 샘플 내로, 샘플이 인열될 때까지 90% 각도로 발포 방향으로 압착하였다. 인열력[N]은, 이하에서 램 압력 값이라고도 지칭되며, 폼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세정 시험:
100 mL 2-프로판올 중 6g Physioderm Creme 100, Physioderm과 0.2 g Active Char(Aktivkohle, gekoernt, reinst 1.5 mm), Merck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지질 에멀션을, 필름 두께가 ~400 ㎛인 세라믹 타일 상에 ~80 mm 줄무늬로 도포하고 160℃에서 15분 동안 건조하였다. 멜라민-수지 폼 표본(기하구조: 140 mm×80 mm×30 mm)을 10초 동안 물 속에 넣고, 이어서 손으로 압착(squeeze)하였다. 평가 기준: 2 cm 폭의 먼지막 코팅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습식 폼 표본의 매뉴얼 허브(업 + 다운 = 1 허브)의 수. 허브가 적게 필요할수록 세정 효능이 우수하다.
흡음도
임피던스 튜브 및 30 mm 두께 100 mm 직경의 멜라민-수지 폼 샘플을 사용하여 ISO 10534-2에 따라 흡음도를 측정하였다. 1250 Hz에서의 흡수 값이 주어진다(1.000의 값 = 흡수 100%)
사용된 재료:
MF 평균 분자량(수평균) M이 350 g/mol이고, 멜라민:포름알데히드의 몰비가 1:3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로서, 멜라민 외에는 추가의 열경화성 형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포름알데히드 외에는 추가의 알데히드를 포함하지 않고, 설파이트기를 포함하지 않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T1 C12/C14-알킬 설페이트, 나트륨 염.
T2 선형 포화 C16/C18 지방 알코올로 제조된 알킬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MF-P 밀링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입자(평균 입자 크기 60∼120 ㎛, 부피 밀도 27 g/L))
입자 크기 분포의 측정:
입자 크기 분포를 Olympus BX 60을 사용하는 광학 현미경 측정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에 대해 100개의 개별 입자를 측정하였다. 결과 데이터를 총 수 분포 D10, D50 및 D90으로 계산하였다. 입자의 90%는 D90 값 미만의 직경을 갖는다. 입자의 50%는 중앙 직경 D50보다 직경이 더 작고, 50%는 중앙 직경 D50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입자 크기 분포를 다음 조건에서 에어 제트 체 ALPINE Luftstrahlsieb® 200 LS-N으로 측정하였다:
샘플 중량: 10 g
체: 125, 90 및 60 ㎛
진공(체 아래): 40 mbar
기류 속도: 50 m3/h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입자 MF-P1의 제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블록(Basotect®)을 절삭 밀 Pallmann PS 3.5로 실험실 규모에서 폼 플레이크(10∼100 mm)로 분쇄하고 15 mm의 정사각형 전체를 통해 체질하였다. 플레이크는 절삭 밀 Retsch SM 2000에 의해 추가로 절삭되었고, Condidur 체 1 mm를 통해 중력에 의해 체질되었다. 처리량은 시간당 1.4 kg이었다. 현미경에 의해 측정된 입자 크기는 60∼100 ㎛였다. 에어 제트 체에 의해 결정된 입자 크기 분포를 표 1에 요약한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입자 MF-P2의 제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블록(Basotect®)을 절삭 밀 Pallmann PS 3.5로 폼 플레이크(10∼100 mm)로 분쇄하고 15 mm의 정사각형 전체를 통해 체질하였다. 플레이크를 수동으로 투여하고, 절삭 밀 Netzsch, SecoMy 37(회전 속도: 1072 min-1, 엔진 출력 37 kW)로 생산 규모에서 추가로 절삭하고, 315 m 체를 통해 체질하였다. 처리량은 시간당 300 kg이었다. 현미경에 의해 측정된 입자 크기는 40∼60 ㎛였다. 현미경 및 에어 제트 체에 의해 결정된 입자 크기 분포를 표 1 및 2에 요약한다. 부피 밀도는 습도 8%(+/-1%)에서 97 kg/m3(+/-2.5 kg/m3)이었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입자 MF-P3의 제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블록(Basotect®)을 절삭 밀 Pallmann PS 3.5로 폼 플레이크(10∼100 mm)로 분쇄하고 15 mm의 정사각형 전체를 통해 체질하였다. 플레이크를 수동으로 투여하고, 절삭 밀 Netzsch, SecoMy 50 S(3000 min-1의 공기 분류기, 회전 속도: 1072 min-1, 엔진 출력 37 kW)로 생산 규모에서 추가로 절삭하고, 315 m 체를 통해 체질하였다. 처리량은 시간당 160 kg이었다. 현미경 및 에어 제트 체에 의해 결정된 입자 크기 분포를 표 1 및 2에 요약한다.
비교예 C1:
제1 단계에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100 중량부, MF, 물 38 중량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T1 1.2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T2 0.3 중량부, 포름산나트륨 2.5 중량부, 포름산 3.0 중량부 및 펜탄 19.5 중량부를 20 내지 35℃의 온도에서 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폴리프로필렌의 발포 몰드에 도입하고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마이크로파로 조사하였다. 마이크로파 조사 후 얻어진 폼 바디를 200℃에서 20분 동안 공기 순환 오븐에서 어닐링하였다. 폼의 밀도는 10.2 g/L이었고, 램 압력 값은 28.0 N이었다.
비교예 C2:
제1 단계에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100 중량부, MF, 물 38 중량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T1 1.2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T2 0.3 중량부, 포름산나트륨 2.5 중량부, 포름산 3.0 중량부 및 펜탄 17.8 중량부를 20 내지 35℃의 온도에서 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폴리프로필렌의 발포 몰드에 도입하고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마이크로파로 조사하였다. 마이크로파 조사 후 얻어진 폼 바디를 200℃에서 20분 동안 공기 순환 오븐에서 어닐링하였다. 폼의 밀도는 8.6 g/L이고, 램 압력 값은 24.9 N이었다.
실시예 1 - 4:
제1 단계에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100 중량부, MF,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입자 MF-P1 2.5∼10 중량부(표 3에 따른 양), 물 38 중량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T1 1.2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T2 0.3 중량부, 포름산나트륨 2.5 중량부, 포름산 3.0 중량부 및 펜탄 19.5 중량부를 20 내지 35℃의 온도에서 서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폴리프로필렌의 발포 몰드에 도입하고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마이크로파로 조사하였다. 마이크로파 조사 후 얻어진 폼 바디를 200℃에서 20분 동안 공기 순환 오븐에서 어닐링하였다. 폼의 밀도는 약 10 g/L이었고, 램 압력 값은 20 내지 25 N이었다(표 3 참조).
실시예 5 - 8:
실시예 1∼4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입자 MF-P2를 사용하여 반복하였다. MF 예비축합물 100 부당 첨가된 MP-P2의 양 및 얻어진 폼의 특성을 표 4에 요약한다.
실시예 9 - 12:
실시예 1∼4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입자 MF-P3을 사용하여 반복하였다. MF 예비축합물 100 부당 첨가된 MP-P2의 양 및 얻어진 폼의 특성을 표 5에 요약한다.

Claims (12)

  1.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으로서,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 M은 멜라민 수지 폼 입자, 적어도 하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멜라민-수지 폼 입자는 현미경법에 의해 결정된 150 ㎛ 미만의 D90 값을 갖는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 폼 입자는 10 내지 500 kg/m3 범위의 부피 밀도(bulk density)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 폼 입자 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의 중량비는 0.5/100 내지 10/100의 범위인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M은 50 내지 9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10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중량 퍼센트는 각각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름산이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인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펜탄이 발포제로서 사용되는 것인 제조 방법.
  8. 멜라민 수지 폼의 재활용 방법으로서, 밀링된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을 제1항에 따른 방법의 멜라민 수지 폼 입자로서 사용하는 것인 재활용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 폼의 밀도는 5 내지 30 kg/m3의 범위인 방법.
  10. 멜라민 수지 폼의 재활용 방법으로서,
    a) 멜라민 수지 폼 스크랩을 2∼5 cm 범위의 최대 치수를 갖는 폼 플레이크로 밀링하는 단계,
    b) 단계 a)로부터의 폼 플레이크를, 광학 현미경 또는 체질(sieving)에 의해 결정된 150 ㎛ 미만의 D90 값을 갖는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폼 입자로 밀링하는 단계,
    c) 단계 b)로부터의 폼 입자, 적어도 하나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예비축합물,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로부터 수성 혼합물 M을 형성하는 단계,
    d)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성 혼합물 M을 가열 및 발포하여 멜라민 수지 폼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임의로 단계 d)에서 수득된 멜라민 수지 폼을 120∼300℃의 온도에서 템퍼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재활용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멜라민 수지 폼.
  12. 방음 및/또는 단열을 위한 또는 세정용, 연마용 또는 광택용 스펀지를 위한, 제9항에 따른 멜라민 수지 폼의 용도.
KR1020247001798A 2021-06-17 2022-06-07 분쇄된 멜라민 폼 입자를 사용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 KR20240023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79922 2021-06-17
EP21179922.6 2021-06-17
PCT/EP2022/065386 WO2022263228A1 (en) 2021-06-17 2022-06-07 Method for preparing melamine resin foams using grinded melamine foam part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434A true KR20240023434A (ko) 2024-02-21

Family

ID=7692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798A KR20240023434A (ko) 2021-06-17 2022-06-07 분쇄된 멜라민 폼 입자를 사용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55817A1 (ko)
KR (1) KR20240023434A (ko)
CN (1) CN117480205A (ko)
WO (1) WO20222632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3330A1 (de) * 1993-09-30 1995-04-0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Formteilen
DE102005039625A1 (de) 2005-08-22 2007-03-01 Basf Ag Offenzelliger Schaumstoff mit brandhemmenden und oleophoben/hydrophob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7009127A1 (de) 2006-03-09 2007-09-13 Basf Ag Faserverstärkter Schaumstoff auf Basis von Melaminharzen
ES2358473T3 (es) 2007-05-11 2011-05-11 Decathlon Artículo de confección con efecto de contención heterogéneo para la práctica de un deporte.
EP2328999A1 (en) 2008-09-30 2011-06-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KR20120117784A (ko) 2009-11-20 2012-10-24 바스프 에스이 마이크로비드 함유 수지 발포체
KR101808884B1 (ko) 2010-04-29 2017-12-13 바스프 에스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기재로 하는 탄성 압축 발포체의 제조 방법
US8937106B2 (en) 2010-12-07 2015-01-20 Basf Se Melamine resin foams with nanoporous fillers
EP2703074A1 (de) * 2012-09-04 2014-03-0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lamin/Formaldehyd-Schaumstoffen
CN103030924B (zh) 2012-12-11 2014-09-03 四川大学 用纤维材料改性的三聚氰胺甲醛泡沫及其制备方法
CN107813485B (zh) * 2017-11-01 2020-08-04 郑州峰泰纳米材料有限公司 一种密胺泡沫与纤维混纺制备工艺
CN112795053B (zh) 2021-02-01 2022-03-18 河南大学 一种三聚氰胺甲醛树脂泡沫废弃物再利用的方法及其制备的阻燃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3228A1 (en) 2022-12-22
EP4355817A1 (en) 2024-04-24
CN117480205A (zh)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203B1 (ko) 나노다공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 발포체
US11254795B2 (en) Production of melamine-formaldehyde foams
US8937106B2 (en) Melamine resin foams with nanoporous fillers
CA1151350A (en) Preparation of resilient foams based on a 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e
KR20140009232A (ko) 무기 충전재를 갖는 멜라민 수지 발포체
JP5894926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板
US20100144913A1 (en) Antimicrobially modified melamine/formaldehyde foam
KR102406106B1 (ko) 코어 내의 하나 이상의 활성 및/또는 유효 물질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쉘을 갖는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폼
JPH06314894A (ja) 電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0089A (ko) 폼 복합재
US9242397B2 (en) Melamine resin foam with inorganic filling material
KR20240023434A (ko) 분쇄된 멜라민 폼 입자를 사용하는 멜라민 수지 폼의 제조 방법
KR102201682B1 (ko) 고밀도 무기 충전재를 포함하는 멜라민 수지 발포체 재료
EP3750952B1 (en) Process for producing melamine-formaldehyde foams using fluorinated blowing agents
KR20150091124A (ko) 미립자 충전 물질을 갖는 열성형 가능한 멜라민 수지 발포체
KR20160030088A (ko) 폼 복합재의 제조 방법
US20120071578A1 (en) Producing melamine-formaldehyde foams
JP2000119424A (ja) 無機質材料含有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
KR101379479B1 (ko) 개방 셀 발포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수성 개방 셀 발포체와 그 제조 방법
JP4021673B2 (ja) フェノール樹脂フォームの製造方法
WO2023052389A1 (en) Open-celled melamine resin foams comprising halogen-free flame retardants
KR20160046361A (ko) 저비중 불연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WO2024074400A1 (en) Foam based on polylysine
KR20230036868A (ko) 물유리를 이용한 불연성 단열재의 제조방법
JP2004323537A (ja) フォーム粉含有フェノール樹脂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