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109A - 복수의 카트리지를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카트리지를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109A
KR20240023109A KR1020247001192A KR20247001192A KR20240023109A KR 20240023109 A KR20240023109 A KR 20240023109A KR 1020247001192 A KR1020247001192 A KR 1020247001192A KR 20247001192 A KR20247001192 A KR 20247001192A KR 20240023109 A KR20240023109 A KR 20240023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artridge
generating device
elongated
consu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에멋
에바 사드 라토레
션 필립스
브루스 렌프루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4002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연속 배열된 복수의 카트리지(1)를 포함한 소모품(10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로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 내의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기류 경로(712)를 정의하기 위해 유체 연통하는 공기 유입구(708) 및 에어로졸 유출구(710); 각각의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구역(716)(에어로졸화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기류 경로 내에 배열됨); 홀더(706); 및 장치(700)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전진시키기 위한 인덱싱 메커니즘(718)을 포함하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기류 경로를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카트리지를 배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복수의 카트리지를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본 개시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본 개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에어로졸을 사용자의 입 안으로 전달하기 위한 소형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복수의 카트리지를 갖는 소모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소모품을 포함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다중 이산 양 또는 투여량을 포함한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소모품은,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퍼핑하거나 흡입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더 큰 단일 부피 또는 저장조를 갖는 장치와 비교하면, 사용자가 소비하는 에어로졸의 양을 더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다중 이산 양 또는 투여량을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더 큰 단일 부피 또는 저장조를 갖는 장치보다 종종 더 부피가 크고 사용하기가 더 복잡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단일 저장조보다 더 부피가 큰 다중 투여량 소모품을 보관할 필요성으로 인한 것이다. 이는 또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단일 이산 양 또는 투여량이 사용자에 의해 퍼핑되거나 흡입될 수 있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필요성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다중 투여량 소모품을 보관하기 위해 공지된 배열은 원형 카세트 또는 캐러셀 내에 있으며, 여기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이산 투여량은 카세트 주위의 상이한 각도 위치에 배열된다. 카세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발생된 에어로졸을 퍼핑하거나 흡입하는 장치의 기류 경로로부터 오프셋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퍼핑하기를 원할 때마다, 카세트는 다음 이용 가능한 투여량의 위치로 이동해야 한다. 그 다음,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투여량은 기류 경로와 연통하게 되고 사용자가 퍼핑하거나 흡입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화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복잡하고 정확한 구동 메커니즘을 필요로 하며, 이는 제조의 복잡성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다중 이산 양 또는 투여량을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사용 및 제조가 더 간단하고 더 콤팩트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간단하고, 더 콤팩트하고, 제조하기 쉬운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다중 이산 양이나 투여량을 갖는 소모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소모품과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소모품은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 중 각각의 스트립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에어로졸 유출구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각각의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화 구역의 적어도 일부는 기류 경로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소정의 거리로 전진시키기 위한 인덱싱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덱싱 메커니즘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전진시켜 각각의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에 연속적으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된다.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 중 각각의 스트립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 유입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에어로졸 유출구와 유체 연통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각각의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구역을 포함한다. 에어로졸화 구역의 적어도 일부는 기류 경로 내에 배열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켜 각각의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에 연속적으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인덱싱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인덱싱 메커니즘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전진시킨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더 간단한 작동을 위해 단순 선형 액추에이터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를 따라 보관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카트리지"는 소정 양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유하는 용기 또는 지지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용어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는 물리적 용기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유하거나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침착되거나 함침되는 지지체 또는 캐리어의 영역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액체 및 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원위" 및 "근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사용 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에어로졸이 물품 또는 장치를 빠져나가는 근위 단부를 가지며 대향하는 원위 단부를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장치의 근위 단부는 마우스 단부로 지칭될 수도 있다. 사용 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장치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 상에서 흡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부", "하부", "위", "아래", "상향", "하향" 등은 본 개시의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성 요소(들) 또는 소모품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이 전진하는 소정의 거리는, 소모품의 길이 방향으로 단일 카트리지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인덱싱 메커니즘의 단일 작동이 에어로졸화 구역에서 카트리지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단일 카트리지를 위치시키기 위해 인덱싱 메커니즘을 여러 번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용이성을 개선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에 위치한 경우에 기류 채널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카트리지를 배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기류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의 연행을 개선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경로는,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카트리지의 기류 경로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기류가 카트리지를 통과할 수 있게 하고 기류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의 연행을 개선한다.
기류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기류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중심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이는, 전력 공급부 또는 제어 회로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가 기류 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보다 콤팩트한 디자인을 초래할 수 있게 한다.
홀더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의 제1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세장형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의 제1 부분은 미사용 카트리지, 즉 에어로졸화되지 않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장형 가이드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포함한 소모품을 수용하고 보관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복수의 미사용 카트리지는 사용될 준비가 될 때까지 제1 세장형 가이드 상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소모품은 세장형 가이드의 길이를 따라 보관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제1 세장형 가이드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유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미사용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될 에어로졸화 구역 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홀더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의 제2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세장형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의 제2 부분은, 사용된 카트리지, 즉 에어로졸화 구역을 통과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가 에어로졸화된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장형 가이드는 미사용 카트리지와 별도로 보관될 수 있게 하고, 이는, 사용된 카트리지가 제1 세장형 가이드 상에 유지되고 있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오염시키거나 분해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사용된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이를 토출할 준비가 될 때까지 제2 세장형 가이드 상에 편리하게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카트리지는 세장형 가이드의 길이를 따라 보관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제2 세장형 가이드는 사용된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으로부터 멀리 유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사용된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으로부터 제거하고 이를 에어로졸화 구역으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다음 카트리지를 위한 공간을 만드는 수단을 제공한다.
에어로졸화 구역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의 방향에 대해 제1 세장형 가이드의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에어로졸화 구역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이 제1 세장형 가이드 상에 유지되고 있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오염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에어로졸화 구역은 제1 및 제2 세장형 가이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구역의 이러한 배열은, 미사용 카트리지가 제1 세장형 가이드를 따라 에어로졸화 구역 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다음에 카트리지가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파괴할 필요 없이 사용되면 제2 세장형 가이드를 따라 에어로졸화 구역 밖으로 즉시 그리고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특히 유익한 것으로 밝혀졌다.
제1 세장형 가이드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제1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2 세장형 가이드는 사용된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으로부터 멀리 제2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장치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키고, 콤팩트하고 공간 효율적인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제1 및 제2 방향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를 이용하여 미사용 및 사용된 카트리지 모두를 보관하는 것을 돕고 콤팩트하고 공간 효율적인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제1 및 제2 세장형 가이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공간 또는 크기 효율적인 배열인 것으로 밝혀졌다.
인덱싱 메커니즘은 소모품 상의 인덱싱 구성 요소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 내로 전진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사용자 퍼프 또는 흡입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스위치를 활성화함으로써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슬라이더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제조 및 작동이 간단하다. 또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전진되기 때문에, 슬라이더는, 제조 복잡성 및 비용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을 돕고 작동 용이성을 제공하는, 간단한 선형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슬라이더는 제1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탄성 바이어스에 대해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미사용 카트리지는 에어로졸화 구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 바이어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에어로졸화 구역 내에 카트리지를 위치시킨 후에 슬라이더를 제1 위치로 재설정할 수 있게 한다. 탄성 바이어스는 또한, 슬라이더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제1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유지한다. 탄성 바이어스는 스프링 또는 탄성 부재와 같은 탄성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가열 요소와 전기 접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더가 커넥터 또는 스위치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하여, 슬라이더의 특정 위치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와 전력 공급부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허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슬라이더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경우, 예를 들어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에 위치할 경우에만 전력이 가열 요소에 공급되도록 전력 공급이 제어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소모품 내의 다른 카트리지를 부주의하게 가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한 번에 단일 카트리지에만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배열을 제공한다.
에어로졸 유출구와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는 가요성일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유출구와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 경로의 일부가 변형되거나 압축되어 장치, 예를 들어 슬라이더 내의 이동 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에어로졸 유출구와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는 주름진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류 경로의 가요성 부분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주름진 튜브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압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유출구와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는 직선 측벽을 갖는 가요성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류 경로의 가요성 부분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가요성 튜브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구부리거나 달리 변형될 수 있다. 가요성 튜브는 중합체 또는 탄성중합체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튜브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유출구와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의 제1 단부는 에어로졸 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로졸 유출구와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의 제2 단부는 슬라이더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 내로 로딩될 경우에 슬라이더가 기류 경로를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일례로, 홀더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한 스풀을 포함할 수 있다. 스풀은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포함한 소모품을 보관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인 것으로 밝혀졌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소정의 거리로 전진시키기 위한 인덱싱 스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이 전진하는 소정의 거리는, 소모품의 길이 방향으로 단일 카트리지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인덱싱 메커니즘의 단일 작동이 에어로졸화 구역에서 카트리지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단일 카트리지를 위치시키기 위해 인덱싱 메커니즘을 여러 번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용이성을 개선한다.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은 인덱싱 스풀 및 장력 스풀 주위에 연속 루프로서 권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보관하기 위한 제1 스풀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된 카트리지를 보관하기 위한 제2 스풀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카세트의 일부일 수 있다. 소모품은 카세트의 일부일 수 있다. 카세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가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 또는 전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임의의 적절한 전력 공급부, 예를 들어 DC 전압원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전력 공급부는 리튬-이온 배터리이다. 대안으로, 전력 공급부는 니켈-금속 하이브리드 배터리, 니켈 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계 배터리, 예를 들어 리튬-코발트, 리튬-철-인산염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소모품에 대해 후술하는 임의의 가열 요소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소모품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소모품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터는 유도 코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들 사이에 잡기에 편안한 손에 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이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또는 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전자 회로일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전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는 센서, 스위치, 디스플레이 요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의 사용자 퍼프 또는 압력 강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은, 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PWM)에 의해 전류의 펄스 형태로 가열 요소에 공급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장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재료는 경량이며 비-취성이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소모품이 제공되어 있다. 소모품은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는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소모품이 제공되어 있다. 소모품은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트리지는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가열될 때,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재료 또는 조성을 지칭한다.
유리하게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포함하는 소모품을 제공함으로써, 소모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전진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더 간단한 작동을 위해 단순 선형 액추에이터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은 더 부피가 큰 유형의 다른 소모품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를 따라 보관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인접한 카트리지는 서로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피봇 연결부는, 카트리지를 상호 연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이 공간 절약 구성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해 유도될 수 있도록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평면일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평면일 수 있다. 프레임은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애퍼처는 프레임의 두께를 통과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요소는 애퍼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프레임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지지하는 콤팩트하고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프레임 내의 애퍼처는 에어로졸화될 때까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관하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애퍼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화될 경우에 카트리지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애퍼처를 통한 기류 경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 경로와 연통하거나 그의 일부일 수 있다.
소모품은 복수의 지지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케이싱은 카트리지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케이싱은 소모품의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인접한 지지 케이싱은 피봇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소모품의 다른 카트리지에 대한 카트리지의 피봇 이동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카트리지는 그의 인접한 카트리지에 직접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케이싱은 지지 케이싱에 대해 카트리지를 정확하게 배향하기 위한 배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배향 요소는, 카트리지가 지지 케이싱 내에 잘못 위치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은 연속적인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속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섹션은 카트리지를 정의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소모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비선형 경로를 따를 수 있도록, 하나의 카트리지가 다른 카트리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유체 투과성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유체 투과성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 내에 함침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유체 투과성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 상에 침착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유체 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유체가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배열에서, 유체 투과성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하지만, 또한 공기가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통과하여 기류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연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한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를 정의하는 필름의 각각의 섹션은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요소는 애퍼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는, 가요성의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배열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소모품이 제공되어 있다. 소모품은 연속적인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의 각각의 섹션은 카트리지를 정의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소모품이 제공되어 있다. 소모품은 연속적인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된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의 각각의 섹션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카트리지를 정의한다.
유리하게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포함하는 소모품을 제공함으로써, 소모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전진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더 간단한 작동을 위해 단순 선형 액추에이터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은 더 부피가 큰 유형의 다른 소모품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를 따라 보관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유체 투과성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유체 투과성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 내에 함침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유체 투과성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 상에 침착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유체 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유체가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배열에서, 유체 투과성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하지만, 또한 공기가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통과하여 기류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연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한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이 메쉬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메쉬 내에 함침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메쉬 상에 침착될 수 있다. 메쉬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지지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재료인 것으로 밝혀졌다. 메쉬 스트랜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대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한다. 메쉬 내의 간극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관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메쉬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화되고 기류 경로가 메쉬를 통해 유도될 수 있을 경우, 유체 투과성이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의 각각의 섹션은 카트리지를 정의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요소는 애퍼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필름은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에 효과적인 재료인 것으로 밝혀졌다. 필름 내의 애퍼처는 에어로졸화될 때까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관하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애퍼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화될 경우에 필름을 통한 기류 경로를 제공한다. 애퍼처를 통한 기류 경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 경로와 연통하거나 그의 일부일 수 있다.
세장형 가용성 스트립은 임의의 적절한 가요성 재료 또는 가요성 재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적절한 내열성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섬유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종이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패브릭을 포함할 수 있다. 패브릭은 직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카트리지를 정의하는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의 섹션이 저항 가열될 수 있도록, 전기 저항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서셉터"는 자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할 수 있는 재료를 지칭한다. 서셉터가 인덕터에 의해 발생된 가변 자기장과 같은 가변 자기장 내에 위치하는 경우, 서셉터는 가열된다. 서셉터의 가열은 서셉터 재료의 전기 및 자기 특성에 따라, 서셉터 재료에 유도된 히스테리시스 손실 및 와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일 수 있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유도 가열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100, 150, 200 또는 25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전기 전도성일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 재료는 흑연, 몰리브덴, 탄화규소, 스테인리스 스틸, 니오븀, 알루미늄, 니켈, 니켈 함유 화합물, 티타늄, 및 금속 재료의 복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강자성, 예를 들어 페라이트 철, 강자성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강자성 합금, 강자성 입자, 및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재료는 강자성 또는 상자성 물질의 적어도 5%, 적어도 20%,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9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400 시리즈 스테인리스 스틸, 예를 들어 AISI 410, 420, 또는 430을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서셉터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는 분말 또는 입자, 스트립, 로드, 와이어, 튜브, 블록 또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는 유체 투과성일 수 있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에 배열 또는 접촉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층은 적층체로서 배열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의 복수의 층의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은 유체 투과성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은,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의 두 개의 다른 층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과 같은 전기 저항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의 두 개의 다른 층은 적어도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영역에서 유체 투과성일 수 있다.
소모품은 인덱싱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덱싱 구성 요소는 세장형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전진시키도록 체결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 요소(들)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저항 가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 가열 와이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걸쳐 곡선형 또는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근위에 또는 직접 접촉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소모품 카트리지의 제1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를 래핑함으로써, 소모품 카트리지의 두 대향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필라멘트의 어레이 또는 필라멘트의 패브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는 직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메쉬는 상이한 유형의 직조 또는 격자 구조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와이어 메쉬로 형성된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애퍼처의 어레이가 형성된 가열 플레이트 또는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애퍼처는, 임의의 적절한 공정, 예를 들어 에칭 또는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요소(들)는 전기 저항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전기 저항성 재료는, 도핑된 세라믹과 같은 반도체, 전기 "전도성" 세라믹(예를 들어, 몰리브덴 디실리사이드와 같은), 탄소, 흑연, 금속, 금속 합금, 및 세라믹 재료와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복합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합 재료는 도핑된 세라믹 또는 도핑되지 않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도핑된 세라믹의 예는 도핑된 탄화규소를 포함한다. 적합한 금속의 예는 티타늄, 지르코늄, 탄탈륨 및 백금족의 금속을 포함한다. 적합한 금속 합금의 예는 스테인리스 강, 니켈-, 코발트-, 크롬-, 알루미늄-,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븀-, 몰리브덴-, 탄탈륨-,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금- 및 철-함유 합금, 및 니켈, 철, 코발트, 스테인리스 강, TimetalTM, KanthalTM 및 다른 철-크롬-알루미늄 합금에 기초한 초합금 및 철-망간-알루미늄계 합금을 포함하고 있다. 복합 재료에 있어서, 전기 저항성 재료는 에너지 전달 역학 및 요구되는 외부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연 재료에 매립되거나, 절연 재료로 캡슐화되거나 코팅되거나, 그 반대로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온도와 저항 사이의 정의된 관련성을 갖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가열 요소는 작동 중에 가열 요소를 가열하고 가열 요소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유도 가열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100, 150, 200 또는 25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전기 전도성일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 재료는 흑연, 몰리브덴, 탄화규소, 스테인리스 스틸, 니오븀, 알루미늄, 니켈, 니켈 함유 화합물, 티타늄, 및 금속 재료의 복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강자성, 예를 들어 페라이트 철, 강자성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강자성 합금, 강자성 입자, 및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재료는 강자성 또는 상자성 물질의 적어도 5%, 적어도 20%,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9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재료는 400 시리즈 스테인리스 스틸, 예를 들어 AISI 410, 420, 또는 430을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태블릿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열에 이용 가능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기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유체 투과성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에어로졸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여 기류 내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연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겔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액체 및 겔 중 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 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 니코틴 유도체 또는 니코틴 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하나 이상의 니코틴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니코틴 염은 니코틴 시트르산염, 니코틴 젖산염, 니코틴 피루브산염, 니코틴 중타르타르산염, 니코틴 펙틴산염, 니코틴 알긴산염, 및 니코틴 살리실산염으로 이루어진 목록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조밀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온도에서 열적 감성에 실질적으로 내성이 있는, 임의의 적합한 알려진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비제한적으로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다가 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 예컨대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향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향미제는 휘발성 향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제는 멘톨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멘톨'은 임의의 이성질 형태의 화합물 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사놀을 나타내고 있다. 향미제는 멘톨, 레몬, 바닐라, 오렌지, 윈터그린, 체리, 계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향미를 제공할 수 있다. 향미제는 가열시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 또는 담배를 함유하는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 잎, 담배 줄기 조각, 재생 담배, 균질화 담배, 압출 담배, 담배 슬러리, 캐스트 리프 담배 및 팽화 담배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불활성 재료, 예를 들어, 유리 또는 세라믹 또는 다른 적절한 불활성 재료로 압축된 담배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액체 또는 겔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일부 구현예에서, 카트리지는 흡수성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흡수성 담체 상에 코팅되거나 흡수성 담체 내에 함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화합물 및 에어로졸 형성제는 액체 제형으로서 물과 조합될 수 있다. 액체 제형은, 일부 구현예에서, 향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액체 제형은 흡수성 담체에 의해 흡수되거나 담체의 표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흡수성 담체는 니코틴 화합물과 에어로졸 형성제가 코팅되거나 흡수될 수 있는 셀룰로오스계 물질의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담체는 종이 시트 또는 스트립일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단일 정량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정량"은 측정된 또는 미리 결정된 양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지칭한다. 정량은 단일 흡입 또는 퍼프 동안 사용자에게 전달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투여량에 대응한다.
성인 사용자에 대한 평균 퍼프 부피는 사용되는 장치 및 소모품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상적으로는 약 35 ml 내지 550 ml의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2 내지 30 mg의 담배, 보다 구체적으로 약 3 내지 20 mg의 담배, 보다 구체적으로 약 3 내지 9 mg의 담배,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4 내지 8 mg의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80 내지 120 μg,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90 내지 110 μg,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약 100 μg의 니코틴, 니코틴 유도체 또는 니코틴 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6 내지 20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300 내지 1250 μg,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675 내지 875 μg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일 퍼프 또는 흡입 또는 투여량에 대해 각각 적절한 양의 담배, 니코틴 및 에어로졸 형성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단일 정량을 포함하는 각각의 카트리지에 의해, 사용자는, 그들이 수용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양을 정확하게 결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트리지가 얼마나 많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지, 따라서 단일 흡입 또는 퍼프 동안 얼마나 많은 에어로졸 또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구성 요소가 얼마나 많이 전달되는지를 알고 있다. 발생된 에어로졸 및 이에 따른 에어로졸 구성 요소의 양은 정량 또는 소정의 양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갖는 카트리지에 의해 고정된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일회용 카트리지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일회용'은 폐기되기 전에 단 한 번의 퍼프 또는 흡입에만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를 지칭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해 퍼프 또는 흡입할 때마다, 새로운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이는 고도로 반복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을 제공하고, 일회 초과의 사용을 위해 충분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속적인 사용에 걸쳐 접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의 가변성을 감소시킨다. 일회용 카트리지는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거나 잔류물로 코팅될 수 있는, 가열 요소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을 유지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한 요건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소모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정의된다. 그러나, 아래에 비제한적인 예의 비포괄적인 목록이 제공된다. 이들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본원에 기재된 다른 예, 구현예, 또는 양태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Ex1: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공기 유입구 및 에어로졸 유출구(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유체 연통함); 각각의 카트리지에 포함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구역(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류 경로 내에 배열됨);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 실시예 Ex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 내의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 실시예 Ex1 또는 Ex2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켜 각각의 카트리지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에 연속적으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인덱싱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 실시예 Ex1 내지 Ex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소모품의 길이 방향으로 단일 카트리지의 길이에 대응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 실시예 Ex1 내지 Ex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기류 채널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카트리지를 배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6: 실시예 Ex1 내지 Ex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경로는, 카트리지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에 위치한 경우에 카트리지의 기류 경로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7: 실시예 Ex1 내지 Ex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의 제1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세장형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미사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8: 실시예 Ex7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가이드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유도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9: 실시예 Ex1 내지 Ex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의 제2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세장형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사용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0: 실시예 Ex9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장형 가이드는 사용된 카트리지를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으로부터 멀리 유도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1: 실시예 Ex9 또는 Ex10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은 상기 제1 및 제2 세장형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2: 실시예 Ex10 또는 Ex1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가이드는 상기 미사용 카트리지를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2 세장형 가이드는 상기 사용된 카트리지를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으로부터 멀리 제2 방향으로 유도하되,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3: 실시예 Ex1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4: 실시예 Ex9 내지 Ex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장형 가이드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5: 실시예 Ex1 내지 Ex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메커니즘은, 상기 소모품 상의 인덱싱 구성 요소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카트리지를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내로 전진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6: 실시예 Ex1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제1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미사용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 내에 위치하는 제2 위치로 상기 탄성 편향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7: 실시예 Ex15 또는 Ex1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가열 요소와 전기 접촉하기 위한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8: 실시예 Ex1 내지 Ex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는 가요성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9: 실시예 Ex1 내지 Ex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는 물결 주름 튜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0: 실시예 Ex15 내지 Ex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의 제1 단부는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의 제2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1: 실시예 Ex1 내지 Ex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한 스풀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2: 실시예 Ex2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소정의 거리로 전진시키기 위한 인덱싱 스풀을 추가로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3: 실시예 Ex22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은 상기 인덱싱 스풀 및 장력 스풀 주위에 연속 루프로서 권취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4: 실시예 Ex21 또는 Ex22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보관하기 위한 제1 스풀, 및 사용된 카트리지를 보관하기 위한 제2 스풀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5: 실시예 Ex1 내지 Ex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카세트 내에 포함되고, 상기 카세트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6: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소모품으로서, 상기 소모품은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소모품.
실시예 Ex27: 실시예 Ex2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는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하는, 소모품.
실시예 Ex28: 실시예 Ex27에 있어서, 인접한 카트리지는 서로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소모품.
실시예 Ex29: 실시예 Ex26 내지 Ex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프레임의 두께를 통과하는 애퍼처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성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애퍼처 내에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0: 실시예 Ex29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화되는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정의하는, 소모품.
실시예 Ex31: 실시예 Ex29 또는 Ex30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 케이싱을 포함하되, 각각의 지지 케이싱은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소모품.
실시예 Ex32: 실시예 Ex31에 있어서, 인접한 지지 케이싱은 피봇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소모품.
실시예 Ex33: 실시예 Ex31 또는 Ex32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케이싱은 상기 지지 케이싱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를 정확하게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 요소를 포함하는, 소모품.
실시예 Ex34: 실시예 Ex26 내지 Ex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은 그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된 연속적인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하되, 각각의 섹션은 카트리지를 정의하는, 소모품.
실시예 Ex35: 실시예 Ex34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유체 투과성이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유체 투과성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 내에 함침되거나 그 위에 침착되는, 소모품.
실시예 Ex36: 실시예 Ex34 또는 Ex35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메쉬를 포함하는, 소모품.
실시예 Ex37: 실시예 Ex34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필름을 포함하고, 카트리지를 정의하는 상기 필름의 각각의 섹션은 애퍼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애퍼처 내에 배열되는, 소모품.
실시예 Ex38: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소모품으로서, 상기 소모품은 연속적인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되고,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의 각각의 섹션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카트리지를 정의하는, 소모품.
실시예 Ex39: 실시예 Ex38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유체 투과성이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유체 투과성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 내에 함침되거나 그 위에 침착되는, 소모품.
실시예 Ex40: 실시예 Ex38 또는 Ex39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메쉬를 포함하는, 소모품.
실시예 Ex41: 실시예 Ex38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필름을 포함하고, 카트리지를 정의하는 상기 필름의 각각의 섹션은 애퍼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애퍼처 내에 배열되는, 소모품.
실시예 Ex42: 실시예 Ex26 내지 Ex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은, 상기 세장형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의 스트립을 전진시키도록 체결될 수 있는, 인덱싱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소모품.
실시예 Ex43: 실시예 Ex26 내지 Ex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소모품.
실시예 Ex44: 실시예 Ex26 내지 Ex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소모품.
실시예 Ex45: 실시예 Ex4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저항 가열 와이어 또는 메시를 포함하는, 소모품.
실시예 Ex46: 실시예 Ex26 내지 Ex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단일 정량을 포함하는, 소모품.
실시예 Ex47: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실시예 Ex1 내지 Ex2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실시예 Ex26 내지 Ex4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소모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이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소모품용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a에서, 카트리지는 분해된 형태로 나타나 있다.
도 1b는, 조립된 형태의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 1a의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소모품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소모품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소모품의 카트리지를 상호 연결하는 상이한 방법을 나타낸다.
도 4a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소모품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에서 A로 라벨링된 원에 의해 둘러싸인 소모품의 부분의 확대도이며, 두 개의 카트리지 사이의 상호 연결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의 개략적인 길이 방향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를 위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홀더가 소모품을 유지하고 있는, 도 6a의 홀더의 근위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7a는, 제1 위치에 있는 인덱싱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 5a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의 절단 측면도이다.
도 7b는, 제2 위치에 있는 인덱싱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 5a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의 절단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구역을 통한 소모품의 두 카트리지의 전진을 나타내는 개략도의 시퀀스이다.
도 9a는 마우스피스가 제거된 도 5a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단부로부터의 도면이다.
도 9b는 카트리지의 가열 요소와 전기 접촉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에 따른 소모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소모품은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에 따른 소모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소모품은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도 12a는, 카세트가 도 11의 소모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세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b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적인 절단 사시도를 나타내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도 12a의 카세트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분해된 형태의 카트리지(1)가 나타나 있다. 카트리지(1)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적 지지체 또는 지지 요소로서 작용하는 프레임(4),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2)의 단일 정량을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의 단일 정량은 단일 흡입 또는 퍼프 동안 사용자에게 전달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투여량에 대응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는, 가열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기화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평탄화 또는 태블릿 형태로 제공된다. 프레임(4)은 평탄화 또는 팔레트 형상이며, 이 예시에서는 휴대폰용 SIM(가입자 ID 모듈) 카드와 형상 및 크기가 유사하다. 프레임(4)은, 프레임(4)의 두께를 통과하여 프레임(4)의 제1 주요 측면(4a)과 프레임(4)의 제2 주요 측면(4b)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애퍼처(6)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가 조립되는 경우, 에어로졸 형성 기재(2)는 애퍼처(6) 내에 수용된다.
도 1a는, 애퍼처(6) 내로 삽입하기 위한 미리 형성된 태블릿으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를 나타내지만,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이한 방식으로 애퍼처(6) 내에 수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애퍼처는 몰드로서 작용할 수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는 액체 슬러리로서 몰드 내에 부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고체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 또는 경화될 수 있거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그 자체의 점도에 의해 또는 카트리지(1)에 의해 애퍼처 내에 유지되는 점성 액체 또는 겔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애퍼처(6)는 분말 또는 비드 형태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2)를 수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1)는 또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2)를 기화시키기 위한 가열 요소(8)를 포함한다. 도 1a에서, 가열 요소(8)는, 프레임(4)의 제1(4a) 및 제2(4b) 주 표면 모두를 덮도록 카트리지(1)의 측면 주위에 래핑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메쉬이다. 이러한 배열은, 가열 요소(8)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2)의 양 측면을 가열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2)의 기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한다. 다른 형태의 가열 요소, 예를 들어 저항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가열 요소(8)는 또한, 카트리지(1)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2)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적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홈 또는 오목부(10)가 프레임(4)의 측면 중 하나에 형성된다. 홈(10)은 소모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다른 부분 또는 구성 요소 상에 형성된 배향 요소와 연동하여 소모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해 카트리지를 정확하게 배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1b는 조립된 형태의 도 1a의 카트리지(1)를 나타낸다. 가열 요소(8)는 프레임(4) 주위에 래핑되어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 및 프레임(4)를 유지하는 애퍼처(6)를 덮고 있고, 홈(10)을 포함한 프레임(4)의 부분은 제외된다. 도 1b의 예시에서, 애퍼처(6)는 프레임 내 중심에 배열되지 않고 프레임(4)의 에지를 향해 오프셋된다. 가열 요소(8)는, 가열 요소(8)와 전기 접촉하기 위한 전기 접촉 영역(12)을 포함한다. 가열 요소(8)의 전기 접촉 영역(12)은, 홈(10)과 애퍼처(6) 사이의 프레임(4)의 일부분 위에 놓여 있다.
도 2a는, 카트리지(1)의 세장형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된 복수의 카트리지(1)를 포함하는, 소모품(100)의 사시도이다. 소모품(100)은 복수의 카트리지 케이싱 또는 지지 케이싱(102)을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체 케이싱은, 상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을 유지하지만, 카트리지(1)의 가열 요소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명확성을 위해 도 2a에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도 2a에서, 하나의 카트리지(1)만이 지지 케이싱(102)의 세부 사항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지지 케이싱(102)이 카트리지(1)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덟 개의 지지체 케이싱(102)이 있으며, 따라서 이 특정 실시예의 소모품은 여덟 개의 카트리지(1)를 유지하고 사용자에게 여덟 번의 에어로졸 흡입 또는 퍼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소모품(100)의 일부의 확대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카트리지(1)는 지지 케이싱(102a) 내에 배열된다. 도 2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카트리지만이 도 2b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지지 케이싱(102)이 카트리지(1)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명확성을 위해, 도 2b의 카트리지(1)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가열 요소 없이 나타나 있다.
각각의 지지체 케이싱(102)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평면인 구조 또는 트레이형 구조를 포함하고, 이는 그의 주변부 주위에 배열된 상승된 림(103)을 갖는다. 상승된 림(103)은, 카트리지(1)를 수용하기 위한 침지 또는 함몰 영역(105)을 정의한다. 각각의 카트리지(1)의 주변부는, 각각의 지지체 케이싱(102)의 상승된 림의 내부 표면과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여 카트리지(1)를 지지체 케이스(102)에 고정한다. 각각의 지지 케이싱(102)은, 카트리지가 지지 케이싱(102) 내에 수용될 경우에 카트리지(1)에 위치한 애퍼처(6)와 정렬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싱 애퍼처(104)를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체 케이싱(102)의 선단 에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인덱싱 메커니즘과 체결하거나 연동하도록 배열되어 소모품(100)이 카트리지(1)의 세장형 스트립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전진될 수 있는, 인덱싱 구성 요소(106)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선단 에지"는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 최전방 에지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후단 에지"는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부터 등지는 후방 에지를 지칭한다. 각각의 지지체 케이싱(102)은 또한, 각각의 카트리지(1)를 각각의 지지체 케이싱(102)에 대해 정확하게 배향하기 위한 배향 요소(108)를 포함한다. 각각의 배향 요소(108)는, 각각의 지지 케이싱의 상승된 림(103)에 형성된 키 또는 스플라인을 포함하고, 각각의 카트리지(1)에 형성된 홈(10)과 체결하거나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배향 요소(108)는, 카트리지(1)가 부정확한 배향으로 지지 케이싱(102)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향 요소(108)는 또한, 카트리지(1)를 향해 내측 압력을 가하고 각각의 지지체 케이싱(102) 내에 이를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각각의 지지 케이싱(102)은 피봇(110)에 의해 인접한 지지 케이싱(10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임의의 쌍의 인접한 지지 케이싱(102)에서, 하나의 지지 케이싱(102)의 선단 에지는 피봇에 의해 인접한 지지 케이싱(102)의 후단 에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인접하는 지지 케이싱(102) 사이의 피봇 연결부는, 지지 케이싱(102)이 지지 케이싱(102)의 상호 연결된 선단 및 후단 에지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지지 케이싱(102)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소모품(100)이 공간 효율적인 방식으로 변형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해 유도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피봇(110)의 일부는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성 요소와 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돌출부를 제공하도록 소모품의 측면으로부터 측방향 바깥으로 연장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소모품의 지지 케이싱 또는 카트리지를 상호 연결하는 상이한 방법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는 카트리지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이들 기술은 카트리지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싱을 지지하도록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a는, 피봇(206)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 카트리지(202) 및 제2 카트리지(204)를 포함하는, 배열(200)의 일부를 나타낸다. 제2 카트리지(204)의 선단 에지는, 제2 카트리지(204)의 선단 에지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된 한 쌍의 아암(208)(도 3a에 단지 하나의 아암으로 나타냄)을 갖는다. 아암(208)은, 제1 카트리지(202)의 후단 에지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오목부(도 3a에 단지 하나의 오목부가 나타남)와 연동한다. 피봇(206)은, 아암(208)과 제1 카트리지(202)의 후단부를 통과하는, 핀의 형태이다.
도 3b는, 피봇(306)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 카트리지(302) 및 제2 카트리지(304)를 포함하는, 배열(300)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3b에서, 제1 카트리지(302)는 피봇(306)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윤곽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2 카트리지(304)의 선단 에지는, 제2 카트리지(304)의 선단 에지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310)(도 3b에 단지 하나의 아암으로 나타냄)를 갖는다. 제1 카트리지(302)는 제1 카트리지(302)의 후단 에지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되고 오목부(310)와 연동하는 한 쌍의 아암(도 3b에 하나의 아암만 나타냄)을 갖는다. 피봇(306)은, 오목부(310)의 측방향 바깥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아암(308)의 측방향 안쪽 대향 표면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오목부와 체결하는, 반구형 돌출부의 형태를 취한다.
도 3c는, 카트리지의 양 측면 상의 별도의 링크(403)(도 3c에 하나의 링크만 나타남)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 카트리지(402) 및 제2 카트리지(404)를 포함하는, 배열(400)의 일부를 나타낸다. 후단 에지 또는 제1 카트리지(402)의 어느 한 측면은 오목부(408)(도 3c에 하나의 오목부만 나타남)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오목부(410)(도 3c에 하나의 오목부만 나타남)는 제2 카트리지(404)의 선단 에지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다. 링크(403)의 일 단부는 오목부(408)에 위치하고 링크의 다른 단부는 오목부(410)에 위치한다. 링크(403)의 각 단부는 피봇 핀(406)에 의해 각각의 카트리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도 3d는, 가요성 스트립(606)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 카트리지(502) 및 제2 카트리지(504)를 포함하는, 배열(500)의 일부를 나타낸다. 가요성 스트립(506)은 적합한 중합체 또는 탄성중합체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가요성 스트립(506)의 일 단부는 제1 카트리지(502)의 후단 에지에 연결되고, 가요성 스트립(506)의 다른 단부는 제2 카트리지(504)의 선단 에지에 연결된다. 가요성 스트립은 변형될 수 있고, 따라서 제1(502) 및 제2(504) 카트리지의 상호 연결 축을 중심으로 피봇 이동을 제공한다.
도 4a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카트리지(602)를 포함하는 소모품(600)의 다른 예시의 개략도이다. 각각의 카트리지(602)의 하부 표면(미도시)은 가요성 세장형 스트립 또는 웹 배킹 상에 장착된다. 임의의 적합한 장착 기술, 예를 들어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웹 배킹은 카트리지(602)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요성이며, 카트리지 사이의 상호 연결선에 대한 카트리지의 피봇 이동을 제공한다.
도 4b는, 도 4a에서 A로 라벨링된 원에 의해 둘러싸인 소모품의 부분의 확대도이며, 두 개의 카트리지 사이의 상호 연결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602)는, 소모품(600)의 길이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카트리지 사이에 피봇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소모품(600)이 변형될 수 있게 하는, 웹 배킹(604) 상에 장착된다.
도 5a는, 카트리지(1)의 세장형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카트리지(1)를 포함하는 소모품(10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내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a의 예시에서 사용되는 소모품(100)은 도 2a 및 2b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는 메인 하우징 또는 본체부(702) 및 마우스피스(704)를 포함한다. 본체부(702)는 카트리지(1)의 세장형 스트립을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홀더(706)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는 본체부(702)의 원위 단부에 배열된 공기 유입구(708), 및 마우스피스(704)의 근위 단부에 배열된 에어로졸 유출구(710)를 포함하고 있다. 기류 채널(712)은 공기 유입구(708)와 에어로졸 유출구(710)를 연결하고 공기 유입구(708)와 에어로졸 유출구(710)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기류 채널(712)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를 통한 기류 경로(713)를 정의한다. 카트리지(1) 각각의 가열 요소(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714)가 또한 본체부(702) 내에 제공된다. 이 예시에서, 전력 공급부(714)는 리튬 이온 배터리이지만, 다른 적절한 유형의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력 공급부(714)로부터 카트리지 각각의 가열 요소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채널(712)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중심 길이 방향 축 X-X로부터 오프셋된다. 이는, 전력 공급부(714)가 홀더(706) 내의 기류 채널(712) 옆에 수용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각각의 카트리지(1)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미도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구역(716)이 홀더(706)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화 구역(716)은 기류 경로(713) 내에 배열되고 기류 채널(712)과 유체 연통한다.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류 채널(712)은 각 카트리지(1)의 애퍼처(6)와 정렬된다. 카트리지(1)가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위치할 경우, 카트리지의 애퍼처(6)는 기류 채널(712) 내에 배열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기류 내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연행하도록 에어로졸화될 때 공기는 애퍼처(6)를 통해 흐를 수 있다. 그 다음, 에어로졸은 기류 채널(712)을 따라 마우스피스(704) 내의 에어로졸 유출구(710)로 운반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길이 방향 축 X-X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1)을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향해 홀더(706)를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켜 각각의 카트리지(1)가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연속적으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인덱싱 메커니즘(718)을 추가로 포함한다. 인덱싱 메커니즘(718)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의 세장형 스트립과 체결하여 카트리지를 단계적으로 에어로졸화 구역(716) 내로 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72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720)는, 슬라이더(72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버튼(722)을 포함한다. 버튼(722)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길이 방향 축 X-X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본체부(702)의 하우징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는, 슬롯(724)(도 5a에 점선 윤곽으로 나타냄) 내에 수용된다. 버튼(722)은 슬롯(724)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한되고, 홀더(706)를 따라 카트리지(100)의 세장형 스트립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액추에이터로서 작용한다.
에어로졸화 구역(716)과 에어로졸 유출구(710) 사이의 공기 채널(712)의 최종 섹션은 가요성 물결 주름 튜브(726)로서 형성된다. 가요성 물결 주름 튜브(726)의 원위 단부는 슬라이더(720)에 연결되어 있다. 가요성 물결 주름 튜브(726)는 압축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슬라이더(722)의 선형 이동을 수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가요성 주름 튜브 이외의 가요성 도관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리콘 튜브와 같은 직선형 가요성 튜브도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도 5b는, 도 5a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의 개략적인 길이 방향 도면이다. 홀더(706)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소모품(도 5b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도 5a를 참조 바람)의 일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세장형 가이드(728)를 포함한다. 제1 세장형 가이드(728)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706)의 상부에 배열되고, 미사용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향해 유도하도록 배열된다. 홀더(706)는 또한, 사용된 카트리지를 포함한 소모품의 일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세장형 가이드(730)를 포함한다. 제2 세장형 가이드(730)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706)의 하부에 배열되고, 사용된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716)으로부터 멀리 유도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일단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716) 내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함으로써 사용되었다면, 카트리지는 에어로졸화 구역(716)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고, 사용된 카트리지는, 소모품 내의 모든 카트리지가 소모될 때까지 제2 세장형 가이드(730)를 따라 보관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기류 채널(712)은, 에어로졸화 구역(716)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이 홀더(706)의 제1 세장형 가이드(728) 상에 유지되고 있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오염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에어로졸화 구역(716)은 제1 세장형 가이드(728)의 하류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는 에어로졸화 구역(716)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이, 제1 세장형 가이드(728) 상에 유지되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오염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추가로 보조한다. 또한, 사용된 카트리지는, 제1 세장형 가이드(728)로부터 분리되고 이격된 제2 세장형 가이드(730) 상에 보관되며, 이는, 사용된 카트리지가 제1 세장형 가이드(728) 상에 유지되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오염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제1(728) 및 제2(730) 세장형 가이드는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소모품(100)의 가요성 성질로 인해, 카트리지(1)가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통과하면, 이동 방향은 역전되고, 카트리지는 제1 세장형 가이드(728)를 따라 이동한 반대 방향으로 제2 세장형 가이드(730)를 따라 통과한다. 이는 특히 공간 효율적인 배열을 나타내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슬라이더(720)는 스프링(732)에 의해 제1 위치 또는 휴지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슬라이더(720)는 스프링(732)의 탄성 바이어스에 역행해, 미사용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716) 내에 위치하는 제2 위치 또는 전진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조치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다. 슬라이더(720)의 버튼(722)은 본체부(702)의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 위로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6a는, 도 5a 및 도 5b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홀더(706)의 위로부터의 사시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홀더(706)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미사용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향해 유도하도록 홀더(706)의 상부에 배열되는, 제1 세장형 가이드(728)를 포함한다. 홀더(706)는, 사용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사용된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716)으로부터 멀리 유도하도록 홀더(706)의 하부에 배열되는, 제2 세장형 가이드(730)(도 6a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한다. 에어로졸화 구역(716)은, 홀더(706)를 통과하는 기류 채널(712)의 부분의 근위 단부에서 제1(728) 및 제2(730) 세장형 가이드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에어로졸화 구역에서, 카트리지(미도시)는 홀더(706)를 통과하는 기류 채널(712)의 부분의 근위 단부와 체결한다.
제1 세장형 가이드(728)는, 미사용 소모품 카트리지(미도시)를 지지하는 제1 또는 상부 지지 표면(734)을 포함한다. 제2 세장형 가이드(728)는, 사용된 소모품 카트리지(미도시)를 지지하는 제2 또는 하부 지지 표면(미도시)을 포함한다. 홀더(706)의 측벽(736)은 제1 지지 표면(734) 위와 제2 지지 표면 아래로 연장되어 홀더(706)의 주변부 주위에 한 쌍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을 제공하며, 이는 제1(734) 및 제2(736) 지지 표면 상에 소모품을 고정하는 것을 보조한다. 제1(734) 및 제2(736) 지지 표면 위아래로 각각 연장되는 측벽(736)의 내측 대향 표면은, 측벽(736)의 주변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나타내지 않으나 도 7a를 참조 바람)을 포함한다. 홈은, 도 2b의 소모품(10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봇(110)을 수용하고 홀더(706) 주위의 경로로 소모품을 안내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 6b는 도 6a의 홀더(706)의 근위 단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홀더는 소모품(100)을 유지하고 있다. 도 6b에서, 소모품(100)의 다섯 개의 지지체 케이싱(102, 102b)이 보일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지지 케이싱(102) 중 두 개만이 카트리지(1, 1b)를 유지한다. 지지 케이싱(102) 중 네 개는 제1 세장형 가이드(728)의 제1 지지 표면(734) 상에 놓여 있고, 에어로졸화 구역(보이지 않지만 도 6a를 참조 바람) 내로 전진 대기 중이다. 제5 지지체 케이싱(102b)은 에어로졸화 구역 내에 위치하여 그의 카트리지가 홀더(706)를 통과하는 기류 채널(보이지 않음)에 연결된다. 에어로졸화 구역에서, 카트리지(1b)는 기류 채널(712)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카트리지(1b)의 애퍼처(6)는 기류 채널(712)과 정렬하여 기류에 에어로졸을 연행한다. 카트리지(1b)의 애퍼처(6)는, 가열 요소(8)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도 6b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인덱싱 메커니즘(718)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5a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의 절단 측면도이다. 도 7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호 연결된 카트리지(1, 1b)를 포함하는 소모품(100)은, 홀더(706)의 제1 지지 표면(734) 상에 놓여 있고, 제1 최근위 카트리지(1b)는 에어로졸화 구역(716)으로의 전진 대기 중이다.
도 7a에서, 인덱싱 메커니즘(718)의 슬라이더(720)는 제1 위치 또는 휴지 위치에 나타나 있다. 도 5a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720)는 스프링(도 7a에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제1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슬라이더(720)는, 소모품(100)의 인덱싱 구성 요소(106)와 체결하도록 배열된 폴(738)을 포함한다. 폴(738)은 치형부 형상이며 정사각형 선단 에지와 테이퍼형 후단 에지를 갖는다. 도 7a에서, 폴(738)의 정사각형 선단 에지는 제1 카트리지(1b)의 후단 에지 상의 인덱싱 구성 요소(106)와 체결된다. 슬라이더(720)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근위 단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720)의 상부 측면 상의 버튼(722)을 작동시킴으로써, 소모품(100)은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향해 전진할 수 있다. 소모품(10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봇(110)은, 홀더(706)의 측벽(736)의 내측 대향 표면에 형성된 홈(740) 내에 수용된다. 소모품(100)이 슬라이더(720)에 의해 전진함에 따라, 소모품(10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봇(110)은, 홀더(706) 주위의 경로로 소모품을 안내하는, 홈(740)을 따른다.
도 7b에서, 인덱싱 메커니즘(718)의 슬라이더(720)는 제2 위치 또는 완전 전진 위치에 나타나 있다. 슬라이더(720)는,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편향에 역행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완전 전진 위치로 이동되었고, 제1 카트리지(1b)는 에어로졸화 구역(716) 내에 위치한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라이더(720)의 제1 위치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라이더(720)의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나의 카트리지(1)의 길이에 대응한다. 에어로졸화 구역(716)에서, 카트리지(1b)는 기류 채널(712)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카트리지(1b)의 애퍼처(6)는 기류 채널(712)과 정렬하여 기류에 에어로졸을 연행한다.
카트리지(1, 1b)가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위치하면, 슬라이더(720)는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작용 하에서 제1 위치 또는 안착 위치로 복귀하고, 폴(738)의 정사각형 선단 에지는 다음 카트리지(1)의 인덱싱 구성 요소(106)와 체결하여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진입한다. 슬라이더(720)의 제1 위치로의 복귀는, 폴(738)의 테이퍼형 에지에 의해 용이해지며, 이는 폴(738)과 슬라이더(720)가 복귀할 때 다음 카트리지의 인덱싱 구성 요소(106 )위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더(720)는 가요성 물결 주름 튜브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는 하향 연장 슬라이더 아암(742)을 가지며(도 5a 및 도 5b 참조), 따라서 슬라이더(720)와 함께 이동한다. 슬라이더 아암(742)은, 슬라이더(720)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카트리지(1, 1b)가 에어로졸화 구역(716)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때, 가요성 물결 주름 튜브를 압축한다. 가요성 물결 주름 튜브는, 슬라이더(720)가 그의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그의 미압축 상태로 복귀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통한 소모품의 두 카트리지(1a, 1b)의 단계별 전진을 나타내는 개략도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8a에서, 제1(1a) 및 제2(1b) 카트리지는 사용되지 않고 제1 카트리지(1a)는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5a의 슬라이더(720)를 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1a)의 선단 에지는 홀더(706)의 만곡된 홈(740)을 따르고 있으며,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향해 피봇 지점(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 제2 카트리지(1b)는 제1 세장형 가이드(728)에 유지되고 있으며 에어로졸화 구역(716)에서 전진 대기 중이다.
도 8b에서, 제1 카트리지(1a)는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체결되고 기류 채널(미도시)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1 카트리지(1a)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사용자가 제1 흡입 또는 퍼프를 취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화될 수 있다.
도 8c에서, 제2 카트리지(1b)는 사용되지 않고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5a의 슬라이더(720)를 두 번째 시간에 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1b)의 전진은 에어로졸화 구역(716)으로부터 제1 카트리지(1a)를 분리시킨다. 제1 카트리지(1a)가 사용되었다. 제1 카트리지(1a)는 에어로졸화 구역(716)을 빠져나가기 시작하고 제2 세장형 가이드(730)를 향해 유도되는 중이다. 피봇 지점(110)은 홀더(706)의 만곡된 홈(740)을 따른다.
도 8d에서, 제2 카트리지(1b)는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체결되고 기류 채널(미도시)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2 카트리지(1b)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사용자가 제2 흡입 또는 퍼프를 취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화될 수 있다. 사용된 제1 카트리지(1a)는, 제2 세장형 가이드(730) 상에 유지되고 있다.
도 9a는 마우스피스(704)가 제거된 도 5a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의 근위 단부로부터의 도면이다. 도 5a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는 각 카트리지(1)의 가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714), 및 전력 공급부(714)로부터 가열 요소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744)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부(714) 및 제어 회로(744)는 함께, 인덱싱 메커니즘(718)과 협력하여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위치할 경우에 카트리지(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전달 시스템을 형성한다.
도 7a 및 도 7b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720)는, 슬라이더의 대향 측면 상의 슬라이더(720)로부터 버튼(722)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 아암(742)을 포함한다. 슬라이더 아암(742)은, 슬라이더 아암(742)의 원위 대향 측면, 즉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위치할 경우에 카트리지를 대향하는 슬라이더 아암(742)의 측면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746)를 갖는다. 전기 커넥터(746)는 카트리지(1) 상의 전기 접촉 영역, 예를 들어 도 1b의 카트리지(1)의 전기 접촉 영역(12)과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전기 커넥터(746)가 스프링-장착 슬라이더(720) 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일단 사용자가 슬라이더(720)를 도 7b에 나타낸 제2 위치로 전진시킴으로써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카트리지(1)를 위치시키면, 스프링(미도시)은 슬라이더를 도 7a에 나타낸 제1 위치로 다시 압박하여 전기 커넥터(746)가 에어로졸화 구역(716)에 위치한 카트리지(1)의 가열 요소와 전기적 연결을 확립시킨다. 이 상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
도 9b는 카트리지의 가열 요소와 전기 접촉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746)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전기 커넥터(746)는 커넥터 지지체(748), 및 커넥터 지지체(748)를 따라 라인에 배열되는 복수의 전기 접촉부(750)를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전기 접촉부(750)는 포고 핀이다.
사용 시, 사용자는 제1 세장형 가이드(728)에 수용되고 유지되는 소모품(100)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700) 내에 삽입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슬라이더(720)의 버튼(722)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인덱싱 메커니즘(718)을 작동시켜 소모품(100)의 카트리지(1)를 에어로졸화 구역(716) 내로 전진시킨다. 이는, 카트리지(1)의 애퍼처(6)이 기류 채널(712)과 정렬되도록 카트리지(1)를 에어로졸화 구역(716) 내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마우스피스(704)를 자신의 입 안에 넣고, 예를 들어 버튼을 누름으로써 또는 사용자 흡입 또는 퍼프를 감지하는 장치에 의해, 전력 공급부(714)로부터 카트리지의 가열 요소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고 마우스피스(704)를 통해 사용자의 입 안으로 흡인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화될 경우, 공기는 기류 채널(712)을 통해, 사용자의 흡입 또는 퍼프의 작용에 의해 카트리지(1)의 애퍼처(6)를 통해 마우스피스(704) 내의 에어로졸 유출구(716)로 흡인될 수 있다. 인덱싱 메커니즘(718)의 후속 작동은, 사용된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716)으로부터 토출하고 다른 사용자 흡입 또는 퍼프를 위해 준비된 미사용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716) 내로 로딩할 것이다. 사용된 카트리지는 제2 세장형 가이드(730) 상에 보관될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에 따라 소모품(8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소모품(800)은 연속적인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802)을 포함한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802)은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된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802)의 각 섹션은 카트리지(804)를 정의하고, 단일 정량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808)를 함유한 애퍼처(806)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배열에서,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802)은 메쉬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808)는 도 10의 예시에서 애퍼처에 의해 점유된 영역의 메쉬 상에 함침되어 침착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또한, 애퍼처(806) 내에 또는 그 위에 배열된 저항 와이어 또는 메쉬의 형태일 수 있는 가열 요소(미도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소모품(800)은 카트리지(804)용 가열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소모품(800)은, 세장형 스트립(802)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카트리지(804)의 세장형 스트립(802)을 전진시키도록 체결될 수 있는, 인덱싱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도 10의 예시에서, 인덱싱 구성 요소는, 가요성 세장형 스트립(802)의 일 측면 상에 형성되고 인덱싱 스풀(812) 상에 형성된 치형부(미도시)와 체결하도록 배열되는, 일련의 구멍(810)을 포함한다. 간략화를 위해, 단지 몇 개의 구멍(810)만이 도 10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구멍(10)은 가요성 세장형 스트립(802)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802)은 효과적인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권취될 수 있고 인덱싱 스풀(812), 및 권취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스풀에 부합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다. 도 10의 예시에서, 소모품(800)은 인덱싱 스풀(812) 및 장력 스풀(814)에 대해 권취되고 연속 루프로서 형성된다. 인덱싱 스풀(812)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카트리지(804)를 에어로졸화 구역(816)에 배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인덱싱 스풀(812)은, 공기가 인덱싱 스풀(812)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채널 또는 도관을 갖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808)가 에어로졸화되는 경우, 공기는 사용자 흡입 또는 퍼프의 작용에 의해 스풀을 통해 흡인되고 화살표 D 방향으로 에어로졸화 구역에 위치한 카트리지(804)의 애퍼처(806)를 통과한다. 인덱싱 스풀(812)은 여러 번 인덱싱될 수 있으며, 이 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808)를 포함하는 애퍼처(806)의 수에 대응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에 따른 소모품(9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소모품(900)은, 소모품이 연속 루프로서 형성되지 않고 대신에 이중 코일 배열에 권취된 단일 이산 길이로서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것과 동일한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902)을 포함한다. 간략화를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함유한 하나의 애퍼처(906)만이 도 11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카트리지가 각각 애퍼처를 함유하고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902)의 길이를 따라 배열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1의 예시에서, 미사용 카트리지는 제1 코일(904)에 저장되고 제1 코일(904)에 감겨져 화살표 E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구역(910)을 향해 전진할 수 있다. 사용된 카트리지는 제2 코일(908)에 보관되고, 화살표 F 방향으로 에어로졸화 구역(910)을 통과한 후 제2 코일(908)에 권취된다. 제1(904) 및 제2(908) 코일은 스풀에 권취되고, 명확성을 위해 도 11에서 생략되었다. 인덱싱 스풀(미도시)은 또한, 도 10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화 구역(910)을 향해 소모품을 전진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인덱싱 스풀은 제1 코일(904) 또는 제2 코일(908) 또는 에어로졸화 구역(910)의 영역에 권취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2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세트(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카세트(1000)는 도 11의 소모품(900), 및 카세트 하우징(1002)을 포함한다. 소모품(900)의 제1 및 제2 코일(미도시)은 카세트 하우징(1002) 내에 유지된다. 소모품(900)의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902)은, 카세트 하우징(1002)의 근위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홀더(1004) 상에 지지된다. 홀더(1004)는 상부 또는 제1 세장형 가이드(1006), 및 하부 또는 제2 세장형 가이드(1008)를 포함한다. 제1(1006) 및 제2(1008)) 가이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홀더(1004)는 그의 근위 단부에서 만곡되어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902)이 홀더(1004)의 단부 주위를 부드럽게 따를 수 있게 한다.
카세트(1000)는 공기 유입구(미도시) 및 공기 유출구(1010)를 포함하고, 이는 카세트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정의하는 기류 채널(미도시)에 의해 서로 유체 연통한다. 공기 유출구(1010)는 홀더(1004)의 근위 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902)을 전진시키기 위한 인덱싱 메커니즘(미도시)이 제공된다.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902)의 카트리지가 에어로졸화 구역에 배열될 경우, 카트리지의 애퍼처(906)는 카세트(1000)의 공기 유출구(1010)와 정렬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카트리지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사용자가 흡입 또는 퍼프를 취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화될 경우, 공기는 공기 유출구(1010) 및 애퍼처(906)를 통해 흘러 발생된 에어로졸을 기류 내에 연행한다.
도 12b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100)의 개략적인 절단 사시도를 나타낸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100)는 도 12a의 카세트(1000)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카세트(1000)의 일부가 절단되었고, 카세트(1000)의 홀더(1004)는 도 12b에서 제거되어서,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902)을 볼 수 있다. 도 12b는 개략도이며, 따라서 전력 공급부, 제어 회로 및 인덱싱 메커니즘과 같은 특정 특징부가 생략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100)는, 카세트(1000)를 수용하기 위해 원위 단부에 배열된 공동(1104)을 갖는, 본체부(1102)를 포함한다. 카세트(1000)가 공동(1104) 내에 수용되는 경우, 카세트(1000)의 홀더(1004)의 근위 단부가 에어로졸화 구역(1110)에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에어로졸화 구역(1110)은 공동(1104)의 근위 단부에 배열된다. 에어로졸 유출구(1108)를 갖는 마우스피스(1106)는, 본체부(1102)의 근위 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에어로졸 유출구(1108)는 카세트(1000)의 공기 유출구(1010)와 유체 연통한다. 미사용 및 사용된 카트리지를 각각 보관하는 소모품(900)의 제1(904) 및 제2(908) 코일은 카세트 하우징(1002) 내에 유지된다.
사용 시, 사용자는 카세트(1000)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1100)의 공동(1104) 내로 삽입하고, 인덱싱 메커니즘(미도시)을 작동시켜 소모품(900)의 미사용 카트리지를 제1 코일(904)로부터 에어로졸화 구역(1110) 내로 전진시킨다. 이는 카트리지의 애퍼처(906)를 공기 유출구(1010)와 정렬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마우스피스(1106)를 자신의 입 안에 넣고, 예를 들어 버튼을 누름으로써 또는 사용자 흡입 또는 퍼프를 감지하는 장치에 의해, 전력 공급부로부터 카트리지의 가열 요소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고 마우스피스(1106)를 통해 사용자의 입 안으로 흡인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화될 경우, 공기는 카세트를 통해, 공기 유출구(1010)를 통해 그리고 화살표 G 방향으로 애퍼처90를 통해 사용자의 흡입 또는 퍼프의 작용에 의해 마우스피스(1106) 내의 에어로졸 유출구(1108)로 흡인될 수 있다. 인덱싱 메커니즘의 후속 작동은, 사용된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1110)으로부터 토출하고 다른 사용자 흡입 또는 퍼프를 위해 준비된 미사용 카트리지를 에어로졸화 구역(1110) 내로 로딩할 것이다. 사용된 카트리지는 제2 코일(908) 상에 보관될 것이다.
본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목적을 위해, 달리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양, 수량, 백분율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범위는 개시된 최대 및 최소 지점을 포함하고,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열거될 수 있거나 열거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중간 범위를 그 안에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숫자 A는 A ± A의 5% 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맥락 내에서, 숫자 A는 숫자 A가 수정하는 특성의 측정을 위한 일반적인 표준 에러 내에 있는 수치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일부 경우에, A가 벗어나는 양이 청구된 발명의 기본 및 신규한 특징(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숫자 A는 위에서 열거된 백분율만큼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모든 범위는 개시된 최대 및 최소 지점을 포함하고,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열거될 수 있거나 열거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중간 범위를 그 안에 포함한다.

Claims (22)

  1.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 내의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 및 에어로졸 유출구(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유체 연통함);
    각각의 카트리지에 포함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구역(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기류 경로 내에 배열됨);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홀더;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시켜 각각의 카트리지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에 연속적으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인덱싱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기류 경로를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카트리지를 배열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의 제1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세장형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미사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가이드는 미사용 카트리지를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을 향해 유도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의 제2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세장형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사용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장형 가이드는 사용된 카트리지를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으로부터 멀리 유도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은 상기 제1 및 제2 세장형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장형 가이드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메커니즘은, 상기 소모품 상의 인덱싱 구성 요소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카트리지를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내로 전진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가열 요소와 전기 접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는 가요성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는 물결 주름 튜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의 제1 단부는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 유출구와 상기 에어로졸화 구역 사이의 기류 경로의 제2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한 스풀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경로는 상기 홀더를 통과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5.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소모품으로서, 상기 소모품은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는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형성하며, 각각의 카트리지는, 프레임의 두께를 통과하는 애퍼처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애퍼처 내에 배열되는, 소모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인접한 카트리지는 서로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소모품.
  17.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소모품으로서, 상기 소모품은 연속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그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되고,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의 각각의 섹션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카트리지를 정의하고, 상기 세장형 가요성 스트립은 필름을 포함하고, 카트리지를 정의하는 필름의 각각의 섹션은 애퍼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애퍼처 내에 배열되는, 소모품.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소모품.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저항 가열 와이어 또는 메쉬를 포함하는, 소모품.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은 상기 세장형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세장형 카트리지 스트립을 전진시키도록 체결될 수 있는 인덱싱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소모품.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단일 정량을 포함하는, 소모품.
  22.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모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47001192A 2021-06-18 2022-06-17 복수의 카트리지를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23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80427.3 2021-06-18
EP21180427 2021-06-18
PCT/EP2022/066606 WO2022263653A1 (en) 2021-06-18 2022-06-17 An aerosol-generating device for use with a consumable having a plurality of cartrid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109A true KR20240023109A (ko) 2024-02-20

Family

ID=7653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192A KR20240023109A (ko) 2021-06-18 2022-06-17 복수의 카트리지를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55143A1 (ko)
KR (1) KR20240023109A (ko)
CN (1) CN117460432A (ko)
WO (1) WO20222636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88585B (sv) * 1972-03-28 1976-10-11 J O Johansson Portionsforpackning for snus
US9010336B2 (en) * 2009-10-09 2015-04-21 Philip Morris Usa Inc. Coil packaging for smokeless tobacco
GB201320231D0 (en) * 2013-11-15 2014-01-0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devices including the same
MX2017000057A (es) * 2014-06-30 2017-06-30 Syqe Medical Ltd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vaporizacion e inhalacion de sustancias aisladas.
US10506829B2 (en) * 2016-02-26 2019-12-17 Freelander Innovations USA, LLC System and method for a vaporizer
US20220395025A1 (en) * 2019-10-29 2022-12-15 Jt International S.A. Consumabl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Consum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60432A (zh) 2024-01-26
WO2022263653A1 (en) 2022-12-22
EP4355143A1 (en)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3409B (zh) 具有连续功率调节的电操作气溶胶生成装置
EP3113637B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for delivering nicotine salt particles
EP3397095B1 (en) Multi-part electrically heated aerosol-generating system
JP7391876B2 (ja) 液体供給源から分離されたヒーター要素を有するヒーター組立品
JP6734838B2 (ja) たばこ含有材料を含むエアロゾル形成カートリッジ
KR102485097B1 (ko) 액체 니코틴 공급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카트리지
KR101690389B1 (ko) 액체 저장 부분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되는 흡연 시스템
JP7128215B2 (ja) 適合可能な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RU2527351C2 (ru) Ингалятор
CN110267556B (zh) 气溶胶生成系统和具有两部分液体存储隔室的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筒
KR20190035683A (ko) 겔을 담고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N112074200B (zh) 模制筒组件
CN112790443A (zh) 加热器管理
KR20160012983A (ko) 전자 흡연 제품
CN113556949B (zh) 具有制品位置检测器的气溶胶生成装置
CN112384090B (zh) 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可感应加热筒以及包括可感应加热筒的气溶胶生成系统
CN113631057A (zh) 用于蒸汽供应系统的加热器
CN114901093A (zh) 具有适应周围环境的气溶胶生成装置
KR20210032987A (ko) 개별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개선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40023109A (ko) 복수의 카트리지를 갖는 소모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637987B1 (ko) 보호된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10012310A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