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987B1 - 보호된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보호된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987B1
KR102637987B1 KR1020217033106A KR20217033106A KR102637987B1 KR 102637987 B1 KR102637987 B1 KR 102637987B1 KR 1020217033106 A KR1020217033106 A KR 1020217033106A KR 20217033106 A KR20217033106 A KR 20217033106A KR 102637987 B1 KR102637987 B1 KR 102637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device
recess
air inlet
form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693A (ko
Inventor
로버트 에멧
에바 사데 라토레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1013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7/02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detachable connecting memb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화 챔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주변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흐를 수 있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에어로졸화 챔버와 유체 연결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오목부 내에 배열된다.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을 방지하도록 치수화된다.

Description

보호된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흡입 가능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태우지 않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휘발되는 온도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챔버와 같은,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위한 로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챔버 내로 삽입되면,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챔버 내에 또는 그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상적으로 주변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외부의 주변 환경으로부터 가열 챔버 내로 흡인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사용 동안,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또는 손으로 공기 유입구를 우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장치를 통한 기류의 손상으로 인해 에어로졸 발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다 신뢰성 있는 에어로졸 발생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손이나 손가락 또는 사용자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우스피스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공기 유입구의 차단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챔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된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가열 챔버일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주변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흐를 수 있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에어로졸화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오목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오목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을 방지하도록 치수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을 방지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을 방지하도록 치수화되는 것 및 형상화되는 것 둘 모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화 챔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된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주변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흐를 수 있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에어로졸화 챔버와 유체 연결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오목부 내에 배열된다. 오목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 내에 제공된다.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을 방지하도록 치수화된다.
오목부 내에 공기 유입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치를 임의의 위치에 유지하고, 공기 유입구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차단되는 것 없이 장치의 임의의 위치에 자신의 손가락을 배치할 수 있다. 오목부는 리세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슬롯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슬릿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밸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공기 유입구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공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상화되거나, 치수화되거나, 형상화 및 치수화 둘 모두 된다. 따라서, 오목부, 특히 공기 유입구는 실질적으로 사용자로부터 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오목부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 작용해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 작용해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흡연 장치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흡연 물품일 수 있다. 에어로졸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흡입 가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 속으로 흡입 가능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휴대용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일 수 있다. 장치는 한 손으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한 손으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한 손으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2개의 손가락으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2개의 손가락으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2개의 손가락으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홀더일 수 있다. 홀더는 충전 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충전 장치는 포켓 충전기일 수 있다 충전 장치는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 충전 장치는 충전 장치의 전력 저장 수단으로부터 홀더의 전력 저장 수단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공동일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원통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타원형, 다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세장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화 챔버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화 챔버 내에 발생될 수 있다.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무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화기는 에어로졸화 챔버 내에 배열되거나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무화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무화시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무화기는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화기는 가열 요소로서 표시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화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무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무화시키기 위해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기초하여 연무기(nebulizer) 또는 무화기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무화는 비-열적 에어로졸화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진동 요소, 진동 메시, 피에조 구동식 연무기 또는 표면 탄성파 에어로졸화를 갖는 기계적으로 진동하는 기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화 챔버는 가열 챔버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력이 공급되는 가열 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장치, 에어로졸 발생 기재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어느 것도 가열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에어로졸은 에어로졸화 챔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주변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해 흐르게 하거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흡인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상에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는 하우징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유입구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공기의 흡입만을 가능하게 하는 일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기류 경로는 공기 유입구와 에어로졸화 챔버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기류 경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기류 경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기류 경로는 직선형 기류 경로일 수 있다. 기류 경로는 만곡된 기류 경로일 수 있다. 기류 경로는 구불구불한 기류 경로일 수 있다. 추가 요소는 공기 유입구와 에어로졸화 챔버 사이의 기류 경로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검출 시스템은 기류 경로 내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퍼프 검출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의 상이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별도의 퍼프 검출 시스템이 없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가열 요소의 작동은 퍼프 검출 시스템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 요소는 온-오프 버튼을 누름으로써 트리거링되며, 이러한 누름은 사용자의 퍼프 지속 동안 유지될 수 있다. 퍼프 검출 시스템은 센서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기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류 센서로서 구성될 수 있다. 기류 속도는 사용자에 의해 시간 당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경로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의 양을 특징화하는 파라미터이다. 퍼프의 개시는 기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기류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개시는 또한 사용자가 버튼을 활성화할 때에도 검출될 수 있다.
센서는 또한, 퍼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장치의 기류 경로를 통해 흡인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측의 주변 공기의 압력과 사용자에 의해 장치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 또는 압력 강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의 압력은 공기가 흐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의 공기 유입구, 에어로졸화 챔버 또는 임의의 다른 통로 또는 챔버에서 검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흡인할 때, 음압이나 진공이 장치 내측에 발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부압(negative pressure)은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용어 ‘부압’은 주변 공기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압력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장치를 흡인할 때, 장치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는 장치 외측의 주변 공기의 압력보다 더 낮은 압력을 가진다. 퍼프의 개시는 압력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오목부는 베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목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구는 베이스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구는 측벽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구는 베이스와 측벽 사이의 전이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 또는 측벽 내에 공기 유입구를 배열하는 것은 공기 유입구가 보호된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기 유입구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편평한 외측 표면 상에 직접 위치되면,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유지 동안 비자발적으로 공기 유입구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의 베이스 또는 측벽에 배치됨으로써 보호되지 않는 공기 유입구는 막혔거나 원하지 않는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오목부의 베이스 또는 측벽 내에 공기 유입구를 배치함으로써 방지되거나 감소된다. 공기 유입구가 오목부의 측벽 내에 배열되면, 공기 유입구가 손가락에 의해 차단되는 것으로 측벽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오목부는 인간 손가락의 폭보다 더 큰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측벽의 표면은 베이스에 수직일 수 있다. 베이스에 수직인 측벽을 배열하는 것은 측벽 내에 배열된 공기 유입구의 확실한 보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파지하는 것은 공기 유입구가 측벽 내에 배열되고 측벽이 수직 배열로 배열되면, 자신의 손가락에 의해 공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측벽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 예를 들어 하우징의 표면에 수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벽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오목부의 베이스 사이에 단차를 생성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부 표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할 수 있다. 오목부의 베이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할 수 있다. 측벽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일 수 있다.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오목부 내로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는 u-형상의 측면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는 밸리의 측면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 형상으로, 오목부는 손가락이 U 또는 밸리 형상으로 관통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가락은 공기 유입구를 완전히 밀봉할 수 없다.
오목부의 측벽은 베이스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측벽은 베이스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베이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대해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측벽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측 표면과 오목부의 베이스 사이의 전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와 측벽 사이의 각도는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일 수 있다. 각도는 베이스의 표면과 측벽의 표면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즉, 측벽이 베이스에 대해 완전히 수직하지 않도록 측벽은 베이스로부터 멀리 경사질 수 있다. 이는 베이스와 측벽 사이에 원치 않는 오염 물질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베이스와 측벽 사이의 전이부가 브러시와 같은 세척 도구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오목부의 세척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단일 공기 유입구는 베이스 내에, 측벽 내에 또는 오목부의 베이스와 측벽 사이의 전이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공기 유입구는 베이스, 측벽 및 오목부의 베이스와 측벽 사이의 전이부를 따라 상이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공기 유입구를 제공함으로써, 공기 유입구의 차단이 훨씬 더 안전하게 방지된다.
공기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슬릿으로서 세장형 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의 차단은 세장형 형상을 공기 유입구에 제공함으로써 더 어려울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오목부는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의 길이는 오목부의 가장 긴 치수일 수 있다. 오목부의 길이는 오목부의 최원위 단부에서 오목부의 최근위 단부까지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의 길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의 높이는 오목부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의 높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축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높이는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는 깊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의 깊이는 오목부의 높이에 수직이고 오목부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의 깊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오목부의 최내측 부분,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로의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의 깊이는 반경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의 최내측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접촉될 수 있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의 길이는 평균 인간 손가락보다 더 클 수 있다. 오목부의 길이는 인간 손가락의 평균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본원에서 인간 손가락의 길이 및 인간 손가락의 폭을 참조하는 경우,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유지할 때, 이는 바람직하게는 인간 손가락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접촉 면적의 통상적인 길이 및 폭으로 지칭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목부의 길이는 10 mm 초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목부의 길이는 15 mm 초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오목부의 길이는 20 mm 초과일 수 있다.
이러한 길이를 오목부에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로, 공기는 여전히 주변 환경으로부터 사용자 손가락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의 오목부 내로 그리고 공기 유입구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여전히 사용자의 손가락의 어느 한 측면에 노출된 오목부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구 자체의 표면적에 가까운 총 표면적, 더 바람직하게는 이 표면적 이상의 총 표면적을 가져야 한다. 이는 바람직한 범위 내의 장치의 RTD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오목부의 높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평균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오목부의 높이는 2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7 m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4 mm 미만일 수 있다.
이러한 높이를 오목부에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가 오목부 위에 손가락을 배치할 때 오목부의 베이스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의 높이는 오목부의 측벽에서 측벽까지 측정될 수 있다. 측벽이 수직이 아니면, 오목부의 높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측벽 사이의 전이부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측벽 사이의 오목부의 반대 전이부까지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의 높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통상적인 폭보다 더 작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오목부 위에 손가락을 배치하면 오목부의 베이스에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높이를 오목부에 제공함으로써, 오목부의 베이스 내의 공기 유입구의 배열이 가능해진다. 공기 유입구는 오목부의 베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공기 유입구가 제공되면, 이들은 또한 오목부의 베이스 내에 또는 오목부의 측벽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오목부는 적어도 0.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m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m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는 적어도 1.5 mm 내지 2.0 mm의 깊이를 갖는다.
오목부의 깊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에 의해 공기 유입구를 우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깊이가 충분히 깊게 선택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에 의해 오목부의 베이스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오목부의 깊이는 오목부의 높이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 있다. 높이가 증가되면, 깊이가 또한 증가해야 한다. 높이가 증가하면, 사용자는 오목부 위에 손가락을 배치할 때 오목부 내로 더 깊게 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높이의 함수로서 깊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오목부 위에 손가락을 배치할 때 이유 부분의 베이스에 도달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오목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가 오목부의 베이스 또는 측벽 내에 제공되면, 주변 공기는 공기 유입구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흡인될 수 있다.
오목부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는 오목부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오목부는 에어로졸화 챔버의 형상 주위에 만곡되는 만곡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은 만곡된 외부 표면일 수 있고, 오목부는 만곡된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오목부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가 만곡된 형상, 또는 외부 하우징을 갖는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지칭되는 오목부의 길이는 오목부의 접선 길이일 수 있다. 일부 이러한 구현예에서, 접선 길이는 1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mm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5 mm 초과일 수 있다. 접선 길이는 12 mm 내지 20 mm 초과일 수 있다. 오목부의 접선 길이가 평균 손가락 폭보다 크면, 손가락은 오목부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손가락이 곡선 주위에서 쉽게 변형될 수 없기 때문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내부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내부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외부 가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외부 가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열 요소가 외부 가열을 위해 배열되는 경우, 일부 구현예에서,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화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가열 요소가 외부 가열을 위해 배열되는 경우, 일부 구현예에서,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화 챔버의 적어도 일부분을 라이닝(lining)하도록 배열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요소는 외부 가열 요소로서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부 가열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양태에서, 상기 가열 요소는 전기 저항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전기 저항성 재료는 도핑된 세라믹과 같은 반도체, 전기 “전도성” 세라믹(예를 들어, 몰리브덴 디실리사이드 등), 탄소, 그래파이트, 금속, 금속 합금, 및 세라믹 재료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복합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합 재료는 도핑된 세라믹 또는 도핑되지 않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도핑된 세라믹의 예는 도핑된 탄화규소를 포함한다. 적합한 금속의 예는 티타늄, 지르코늄, 탄탈륨, 백금, 금 및 은을 포함한다. 적합한 금속 합금의 예는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코발트-, 크롬-, 알루미늄-,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븀-, 몰리브덴-, 탄탈륨-,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금- 및 철-함유 합금, 및 니켈, 철, 코발트, 스테인리스 강, Timetal® 및 철-망간-알루미늄계 합금에 기초한 초합금을 포함한다. 복합 재료에 있어서, 전기 저항성 재료는 에너지 전달 역학 및 요구되는 외부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연 재료에 매립되거나, 절연 재료로 캡슐화되거나 코팅되거나, 그 반대로 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내부 가열 요소 또는 외부 가열 요소, 또는 내부 및 외부 가열 요소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내부’ 및 ‘외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지칭한다. 내부 가열 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가열 요소는 가열 블레이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부 히터는 상이한 도전부를 갖는 케이싱이나 기재, 또는 전기 저항성 금속 튜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부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중심을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니들(needle) 또는 로드(rod)일 수 있다. 다른 대안은 가열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 예를 들어 니켈-크롬(Ni-Cr), 백금, 텅스텐 또는 합금 와이어 또는 가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내부 가열 요소는 경질성 캐리어 재료 내에 또는 위에 증착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구현예에서, 전기 저항성 가열 요소는 온도와 비저항 간의 정의된 관계를 갖는 금속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장치에서, 금속은 세라믹 재료와 같은 적합한 절연 재료 상에 트랙으로서 형성된 다음 유리와 같은 다른 절연 재료 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히터는 작동 중에 가열 요소를 가열하는 것, 및 가열 요소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것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외부 가열 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가열 요소는 폴리이미드 같은 유전체 기재 상의 하나 이상의 가요성 가열 포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가요성 가열 포일은 에어로졸화 챔버의 주연부에 맞추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가열 요소는 금속 그리드 또는 그리드들,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몰딩식 상호연결 장치(MID), 세라믹 히터, 가요성 탄소 섬유 히터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적합한 형상의 기재 상에 플라즈마 기상 증착과 같은 코팅 기술을 사용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가열 요소는 온도와 비저항 간의 정의된 관계를 갖는 금속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장치에서, 금속은 적합한 절연 재료의 2개 층 사이에 트랙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외부 가열 요소는 외부 가열 요소를 가열하는 것 및 작동 중에 외부 가열 요소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것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내부 또는 외부 가열 요소는, 열을 흡수 및 저장하고 차후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대하여 어떠한 시간을 걸쳐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히트 싱크, 또는 열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는 적합한 금속 또는 세라믹 재료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재료는 높은 열용량(현열 축열 재료(sensible heat storage material))를 갖거나, 고온 위상 변화 같은 가역 공정을 통하여 열을 흡수하고 차후에 방출할 수 있는 재료이다. 적합한 현열 축열 재료는 실리카 겔, 알루미나, 탄소, 유리 매트(glass mat), 유리 섬유, 미네랄, 알루미늄, 은 또는 납과 같은 금속 또는 합금, 및 종이와 같은 셀룰로스 재료를 포함한다. 가역적 상변화(reversible phase change)를 통하여 열을 방출하는 다른 적합한 재료는 파라핀, 아세트산나트륨, 나프탈렌, 왁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금속, 금속염, 공융염(eutectic salt)의 혼합물 또는 합금을 포함한다. 히트 싱크 또는 열 저장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직접 접촉하고 저장된 열을 기재에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트 싱크 또는 열 저장소에 저장된 열은 금속 튜브 같은 열 전도체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전달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유리하게는 전도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한다. 가열 요소는 기재 또는 기재가 증착되는 캐리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부 또는 외부 가열 요소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열은 열 전도성 요소에 의해 기재에 전도될 수 있다.
전기 저항성 가열 요소로서 구성되는 가열 요소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열 요소는 유도 가열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열 요소는 서셉터 요소를 둘러싸는 유도 코일을 포함한다. 서셉터 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또는 내부 히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도 코일의 교번 전자기장 내에 위치될 때, 통상적으로 서셉터 요소에 와전류가 유도되고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발생하여 서셉터 요소의 가열을 일으킨다.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인덕터, 예를 들어 유도식 가열 요소의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의 변경은 서셉터 요소를 가열한 다음, 열을 주변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전달하여 에어로졸이 형성된다. 열 전달은 주로 열의 전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서셉터 요소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밀착 열 접촉하면, 이러한 열 전달이 가장 양호하다.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유도 가열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요소는 강자성 재료, 예를 들어 강자성 합금, 페라이트 철 또는 강자성 강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 요소는 알루미늄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요소는 25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요소는 금속 서셉터 요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그러나, 서셉터 재료는 또한 그래파이트, 몰리브덴, 탄화규소, 알루미늄, 니오븀, 인코넬 합금(오스테나이트계 니켈-크롬 기반의 초합금), 금속화 필름, 예를 들어 지르코니아와 같은 세라믹, 예를 들어, 철, 코발트, 니켈과 같은 전이 금속, 또는 예를 들어 붕소, 탄소, 규소, 인, 알루미늄과 같은 준금속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셉터 재료는 금속성 서셉터 재료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마우스피스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에어로졸화 챔버의 하류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에어로졸화 챔버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단부와 유체 연결하는 관통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 내에 발생된 에어로졸은 커넥터 요소를 향해 그리고 이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 요소를 둘러싸면, O-링과 같은 밀봉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밀봉 요소는 커넥터 요소를 둘러싸서 제공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커넥터 요소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밀봉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밀봉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어 커넥터 요소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연결을 밀봉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넥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에어로졸화 챔버의 근위 단부에 바로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에어로졸화 챔버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커넥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부착되고 그것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에어로졸화 챔버 내에 고정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커넥터 요소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부이다. 커넥터 요소는 마우스피스의 일체형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요소는 별도의 요소로서 제공된다. 별도의 커넥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다수의 상이한 마우스피스가 단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마우스피스는 종래의 궐련, 슬림 궐련 또는 슈퍼슬림 궐련의 사용자의 입술 사이의 느낌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상이한 치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이한 마우스피스는 상이한 유형의 에어로졸 또는 상이한 사용 경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마우스피스는 강한 사용 경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추가 마우스피스는 매끄러운 사용 경험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챔버 내에서 완전히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화 챔버 내에서 기화되고, 기화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공기 유입구 및 기류 경로를 통해 에어로졸화 챔버 내로 흡인된 주변 공기의 혼합물은 마우스피스를 향해 전달된다. 마우스피스 내에서, 기화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주변 공기의 혼합물의 냉각, 가압 및 팽창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한 세트의 마우스피스가 제공된다.
장치의 마우스피스 또는 마우스 단부 내에 또는 그에 근접하기 보다는, 장치 하우징의 오목부 상에 공기 유입구를 제공함으로써, 개선된 기류 관리 및 흡인 저항(RTD)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단일 마우스피스 또는 다수의 마우스피스가 제공되면, 상기 또는 각각의 마우스피스는 벤츄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벤츄리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벤츄리 요소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벤츄리 요소는 유체가 벤츄리 요소를 통해 흐를 때, 벤츄리 효과가 일어나도록 치수화될 수 있다. 벤츄리 요소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거나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벤츄리 요소는 벤츄리 요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거나 이에 평행한 기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채널은 중앙 기류 채널일 수 있다. 벤츄리 요소는 공기 유입부, 중앙부 및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에서, 기류 채널의 단면은 중앙부를 향해 감소할 수 있다. 기류 채널의 단면은 중앙부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기류 채널의 단면은 배출부에서 증가할 수 있다. 유입부는 중앙부의 상류에 배열될 수 있다. 배출부는 중앙부의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벤츄리 효과는 수축된 기류 통로를 통한 유체의 흐름 동안 유체의 압력의 감소이다. 벤츄리 요소는 또한 중앙부로 지칭되는 수축된 기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벤츄리 요소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공기, 기화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비말동반된 공기 및 에어로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벤츄리 요소의 중앙부를 빠져나온 후, 유체는 팽창하고 가속되어 결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공기의 냉각은 액적 형성 및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장치의 마우스피스 또는 마우스 단부 내에 또는 그에 근접하기 보다는, 장치 하우징의 오목부 상에 공기 유입구를 제공함으로써, 벤츄리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기류 관리 및 흡인 저항(RTD)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커넥터 요소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커넥터 요소와 마우스피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마우스피스 또는 별도의 마우스피스들이 제공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기 유입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주변 공기를 흡인하기 위해 유익하게 이용된다. 따라서, 별도의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외부의 주변 환경과 직접 연통하는 공기 유입구를 가질 필요가 없다. 대신에, 마우스피스의 기류 채널은 에어로졸화 챔버와 연통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컨트롤러의 일부일 수 있다. 전기 회로는 추가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가열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활성화 후에 연속적으로 가열 요소에 공급될 수 있거나 간헐적으로, 예컨대 개개의 퍼핑(puff-by-puff basis)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력은 전류 펄스의 형태로 가열 요소에 공급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가열 요소의 전기 저항을 모니터링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열 요소의 전기 저항에 따라 가열 요소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주 본체 내에 전력 공급부,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력 공급부는 커패시터와 같은 전하 저장 장치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을 요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사용 경험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력 공급부는 약 6분의 기간 동안, 또는 6분의 배수인 기간 동안 에어로졸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 공급부는 미리 결정된 수의 퍼프 또는 가열 요소의 개별적인 활성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지칭한다.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에어로졸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흡입 가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 속으로 흡입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흡연 물품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이의 적어도 일부는 일회용일 수 있다. 담배를 포함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은 담배 스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실질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길이 및 이 길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한 길이 및 이 길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30 mm 내지 약 100 mm의 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5 mm 내지 약 12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필터는 일 구현예에서 길이가 약 7 mm이지만, 약 5 mm 내지 약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류', '하류', ‘근위’ 및 ‘원위’는 사용자가 사용 동안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흡입하는 방향에 관련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부분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류 단부 또는 근위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가열 챔버는 마우스피스의 상류에 배열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가열 챔버의 상류에 배열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마우스피스의 상류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45 mm의 총 길이를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7.2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12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직경은 약 5 mm 내지 약 12 mm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외부 종이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필터 사이의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는 대략 18 mm일 수 있으나, 대략 5 mm 내지 대략 25 mm 범위 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지칭한다.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휘발성 화합물은 화학 반응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편의상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흡연 물품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및 액체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및 겔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겔 및 액체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액체 및 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열 시에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을 함유하는 담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비-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에어로졸, 예를 들어 조밀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의 예는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인 경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허브 잎, 담뱃잎, 담배 리브 단편, 재구성 담배, 균질화된 담배, 압출 담배, 캐스트 리프 담배 및 팽화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분말, 과립, 펠릿,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말아피는 형태(loose form)일 수 있거나, 적합한 용기 또는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추가의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기재의 가열 또는 기재와 반응물의 반응 시 방출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추가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캡슐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동안 용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균질화된 담배는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켜서 형성된 재료를 지칭한다. 균질화된 담배는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를 초과하는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대안적으로 가질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시트는 담배 잎몸(leaf lamina) 및 담배 잎자루(leaf stem)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분쇄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합하여 얻어진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균질화 담배 재료의 시트는, 예를 들어 담배의 처리, 취급 및 배송 동안 형성된 담배 가루, 담배 미분 및 다른 미립자 담배 부산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시트는 미립자 담배 응집을 돕는 담배 내인성 결합제인 하나 이상의 내재성 결합제, 담배 외인성 결합제인 하나 이상의 외재성 결합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시트는 담배 및 비-담배 섬유, 에어로졸 형성제, 습윤제, 가소제, 향미제, 충진제, 수성 및 비수성 용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열적으로 안정적인 캐리어 상에 제공되거나 캐리어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캐리어는 분말, 과립, 펠릿,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리어는 고체 기재의 박층이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둘 모두에 증착된 관형 캐리어일 수 있다. 이러한 관형 캐리어는, 예를 들어 종이, 종이류 재료, 부직포 탄소 섬유 매트, 저질량 오픈 메시 금속 스크린, 또는 천공된 금속 포일 또는 임의의 다른 열적으로 안정적인 폴리머 매트릭스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주름지고 크림핑된 시트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크림핑된 시트(crimped sheet)’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지(ridge) 또는 물결주름을 갖는 시트를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조립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지 또는 물결주름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또는 그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크림핑된 시트의 주름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포함되기 위한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크림핑된 시트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조립되었을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방향 축에 예각 또는 둔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지 또는 물결주름을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질감이 형성되어 있는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주름진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시트의 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지 또는 물결주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주름지고 크림핑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시트, 발포체, 겔 또는 슬러리 형태로 캐리어의 표면에 증착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캐리어의 전체 표면에 증착되거나, 대안적으로 사용 중 불균일한 향미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패턴으로 증착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이다.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방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식물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열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을 함유하는 담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대안적으로 비-담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된 식물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조밀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시스템의 작동 온도에서 열적 열화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저항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dodecanedioate)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tetradecanedioate)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향미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 및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물, 용매, 에탄올, 식물 추출물, 및 천연 또는 인공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0.5%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2%의 니코틴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액체 저장부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카트리지로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마우스피스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제2 마우스피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우스피스 요소 및 제2 마우스피스 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커넥터 요소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술한 바와 같은 한 세트의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전술한 바와 같은 한 세트의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전술한 바와 같은 마우스피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전술한 바와 같은 한 세트의 마우스피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전술한 바와 같은 한 세트의 마우스피스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도 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오목부의 예시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오목부의 측벽 내에 배열된 공기 유입구를 갖는 오목부의 예시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과하는 기류 채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오목부 및 공기 유입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하우징(10)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에어로졸화 챔버(12)가 제공된다. 에어로졸화 챔버(12)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4)은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외부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화 챔버(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라이닝하여 제공된다. 주변 공기는 공기 유입구(16)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기류 채널(34)을 통해 에어로졸화 챔버(12) 내로 흡인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6)는 오목부(18) 내에 제공된다. 오목부(18)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10)의 외부 표면에 대해 오목하게 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18)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단차는 오목부(18)의 측벽(22)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10)의 외부 표면과 오목부(18) 사이에 형성된다. 오목부(18)의 측벽(22) 및 베이스(20)는 아래에 설명된 도 3 및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이러한 단차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유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공기 유입구(16)의 원치 않는 차단으로부터 공기 유입구(16)를 보호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더하여, 마우스피스(24)가 도시된다. 마우스피스(24)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별도의 요소로서 제공된다. 마우스피스(24)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연결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요소(26)에 의해 제공된다. 커넥터 요소(26)는 O-링과 같은 밀봉 요소가 배열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홈(28)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요소(26)는 에어로졸화 챔버(12)의 근위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26)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4)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챔버(1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고, 후속하여, 커넥터 요소(26)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4)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챔버(12) 내에 단단히 유지하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4)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분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공기 유입구(16)를 제공하고 마우스피스(24) 내에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최적화된다. 이러한 분리에 의해, 에어로졸이 에어로졸화 챔버(12)로부터 마우스피스(24)로 그리고 마우스피스(24)를 통해 사용자의 입 안으로 흡인되는 기류 경로를 제외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화 챔버(12)와 마우스피스(24) 사이에 기류 경로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마우스피스(24)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동시에, 공기 유입구(16)의 원하지 않는 차단은 공기 유입구(16)를 오목부(18) 내에 배치함으로써 방지된다. 마우스피스(24)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분리의 추가 장점은 다수의 상이한 마우스피스(24)가 연결 요소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부착될 수 있어 상이한 사용 경험이 적절한 마우스피스(24)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에서, 오목부(18) 및 공기 유입구(16)의 예시적인 측면도가 도시된다. 오목부(18)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10)의 외부 표면에 대해 오목하게 된다. 오목부(18)는 길이(L)를 갖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18)는 베이스(20) 및 측벽(22)을 포함한다. 측벽(22)은,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배향된다. 베이스(20)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평면으로 배향된다. 베이스(20)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10)의 외부 표면과 비교하여 방사상 내부로 오목하게 된다. 공기 유입구(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기 유입구(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2) 내에 또는 베이스(20)와 측벽(22) 사이의 전이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오목부(18)는, 바람직하게는 만곡된다. 오목부(18)의 곡률 및 오목부(18)의 길이(L)는 사용자가 오목부(18) 위에 손가락을 배치했을지라도 공기가 오목부(18) 내로 그리고 공기 유입구(16) 내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오목부(18)의 곡률 및 길이(L)로 인해, 공기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어느 한 측면의 오목부 내로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아래서 유입구(16) 내로 흐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는 손가락이 오목부에 의해 생성된 외부 하우징 내의 갭을 충진하기 보다는 가교하는 역할을 하도록 충분히 짧은 최대 높이(H)를 갖는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 대신에 측벽(22) 내의 공기 유입구(16)의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16)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16)는 측벽(2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16)는 베이스(2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16)가 베이스(20)와 측벽(22) 사이의 전이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한 기류 채널(34)에 대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서, 공기 유입구(16)를 포함하는 오목부(18)는 에어로졸화 챔버(12)에 인접하여 도시된다. 그러나, 오목부(18) 및 공기 유입구(16)는 또한 에어로졸화 챔버(12)의 상류에 배열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6)는 기류 채널(34)에 의해 에어로졸화 챔버(12)와 유체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기류 채널(34)은 공기 유입구(16)를 에어로졸화 챔버(12)의 베이스(36)에 유체 연결한다. 따라서, 에어로졸화 챔버(12)의 베이스(36)에서, 주변 공기가 에어로졸화 챔버(12)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에어로졸화 챔버(12) 내에,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4)이 배치될 수 있다. 기화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비말동반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한 후, 에어로졸은 배출구(38)를 통해 에어로졸화 챔버(12) 밖으로 흐를 수 있다. 배출구(38)를 통해, 기화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공기는 마우스피스(24)를 향해 흐를 수 있다(도 5에 도시되지 않음).
도 6은 공기 유입구(16)를 포함하는 오목부(18)의 보다 상세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오목부(18)의 치수가 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오목부(18)는 높이(H) 및 깊이(D)를 포함한다. 높이(H) 및 깊이(D)는 둘 모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8)의 길이(L)에 수직으로 측정된다. 높이(H)는 사용자가 오목부(18) 위에 손가락을 배치할 때 공기 유입구(16)를 차단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의 폭보다 더 작게 구성된다. 깊이(D)는 높이(H)의 관점에서, 손가락이 공기 유입구(16)를 차단하기 위해 변형하지 않고 오목부를 충진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대신에, 손가락은 갭(H)을 가교하는 기능을 할 것이다.
도 6의 우측 부분에, 배터리(30) 및 전기 회로(32)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본체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O-링의 형태인 밀봉 요소가 수용되는 홈(28)을 포함하는 연결부(26)를 갖는 마우스피스(24)를 도시한다. O-링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해, 마우스피스(24)의 외부 부분을 중심으로 밀봉하도록 배열된다. 마우스피스(24)는, 일부 구현예에서, 벤츄리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치에 대한 마우스피스의 밀봉이 가장 중요하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Figure 112021117569792-pct00001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화 챔버;
    Figure 112021117569792-pct00002
    주변 공기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흐를 수 있는 공기 유입구; 및
    Figure 112021117569792-pct00003
    상기 공기 유입구를 상기 에어로졸화 챔버와 유체 연결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 표면의 오목부 내에 배열되고, 상기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공기 유입구의 차단을 방지하도록 10 mm 초과의 길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15 mm 초과의 길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은 만곡된 외부 표면이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만곡된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베이스 내에, 상기 측벽 내에 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측벽 사이의 전이부 내에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측벽 사이의 각도는 90° 미만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20 mm 미만인 높이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적어도 0.5 mm의 깊이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슬릿 형상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화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이닝(lining)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마우스피스를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3.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제1 마우스피스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 마우스피스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우스피스 요소 및 제2 마우스피스 요소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시스템.
KR1020217033106A 2019-04-25 2020-04-24 보호된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637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1003.7 2019-04-25
EP19171003 2019-04-25
PCT/EP2020/061546 WO2020216943A1 (en) 2019-04-25 2020-04-24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protected air in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693A KR20210138693A (ko) 2021-11-19
KR102637987B1 true KR102637987B1 (ko) 2024-02-19

Family

ID=6628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106A KR102637987B1 (ko) 2019-04-25 2020-04-24 보호된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202095A1 (ko)
EP (1) EP3958697B1 (ko)
JP (1) JP7350086B2 (ko)
KR (1) KR102637987B1 (ko)
CN (1) CN113660874B (ko)
BR (1) BR112021018000A2 (ko)
IL (1) IL287399A (ko)
MY (1) MY195506A (ko)
PL (1) PL3958697T3 (ko)
WO (1) WO20202169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898351U (zh) * 2022-06-15 2023-04-25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供电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244A (ja) * 2003-03-19 2004-10-14 Canon Inc 液剤吐出装置
JP2014519850A (ja) * 2011-06-24 2014-08-21 エヌダブリュ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携帯型たばこ気化器
JP2017500100A (ja) * 2013-12-11 2017-01-05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JT International S.A. 吸入器用の加熱システム及び加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89739A (en) 2014-05-02 2022-02-28 Japan Tobacco Inc Non-burning-type flavor inhaler
JP6641351B2 (ja) * 2014-07-11 2020-02-0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改良された空気の流れ制御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RU2701846C2 (ru) * 2014-12-15 2019-10-01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Образ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использующая эффект вентури для доставки субстрата к нагревательному элементу
TR201816540T4 (tr) * 2014-12-15 2018-11-21 Philip Morris Products Sa Hareket ettirilebilir kartuş içeren aerosol üretici sistem.
US10039323B2 (en) * 2015-07-16 2018-08-07 Njoy, Llc Vaporizer tank with atomizer
GB2559535A (en) * 2015-09-22 2018-08-15 Nicoventures Holding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with remote air inlet
CN206354436U (zh) * 2016-11-29 2017-07-28 深圳市艾维普思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
IL270613B (en) * 2017-07-14 2022-09-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 system for creating a spray with hidden ventilation
CN109619698B (zh) * 2019-01-29 2022-02-15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电池装置及电子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244A (ja) * 2003-03-19 2004-10-14 Canon Inc 液剤吐出装置
JP2014519850A (ja) * 2011-06-24 2014-08-21 エヌダブリュ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携帯型たばこ気化器
JP2017500100A (ja) * 2013-12-11 2017-01-05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JT International S.A. 吸入器用の加熱システム及び加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60874A (zh) 2021-11-16
MY195506A (en) 2023-01-27
WO2020216943A1 (en) 2020-10-29
PL3958697T3 (pl) 2023-09-18
EP3958697A1 (en) 2022-03-02
CN113660874B (zh) 2024-02-06
EP3958697B1 (en) 2023-05-31
BR112021018000A2 (pt) 2021-11-16
US20220202095A1 (en) 2022-06-30
JP2022529134A (ja) 2022-06-17
KR20210138693A (ko) 2021-11-19
JP7350086B2 (ja) 2023-09-25
IL287399A (en)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4642B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n inductor coil with reduced separation
KR101679489B1 (ko) 개선된 공기류를 가진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US20220015434A1 (en) An atomiser and an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n atomiser
TW202100040A (zh) 氣溶膠產生系統及用於氣溶膠產生系統之觸覺輸出元件
KR102665038B1 (ko) 물품 위치 검출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20220015433A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cartridge with leakage protection
EP3462932A1 (en) Heater and wick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621313B1 (ko) 마우스피스 검출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EP3890530B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cartridge with leakage protection
KR102637987B1 (ko) 보호된 공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EP3890528B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KR102611636B1 (ko) 가열을 위한 물품 잠금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RU27773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 систем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JP7478242B2 (ja) エアロゾル発生装置のための風味カートリッジ
JP7494176B2 (ja) 漏れ保護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7494175B2 (ja) 漏れ保護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およびカートリッジ
NZ627174B2 (e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air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