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90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2909A KR20240022909A KR1020220101582A KR20220101582A KR20240022909A KR 20240022909 A KR20240022909 A KR 20240022909A KR 1020220101582 A KR1020220101582 A KR 1020220101582A KR 20220101582 A KR20220101582 A KR 20220101582A KR 20240022909 A KR20240022909 A KR 202400229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display device
- signal input
- control unit
- receiv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GJWAPAVRQYYSTK-UHFFFAOYSA-N [(dimethyl-$l^{3}-silanyl)amino]-dimethylsilicon Chemical compound C[Si](C)N[Si](C)C GJWAPAVRQYYSTK-UHFFFAOYSA-N 0.000 claims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6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제1 신호 입력부, 제2 신호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소스 장치로부터 제1 신호 입력부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소스 장치로부터 제2 신호 입력부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한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개시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신호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 이다.
외부의 소스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Interface)에는 D-SUB, DVI, HDMI, DP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각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여러 종류의 신호 입출력 포트가 마련되어 있고,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여러 종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마다 정해진 규약과 규격이 다르고, 그에 따라 각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의 형태와 구조, 내용 등도 달라진다.
한편, 하나의 소스 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서로 다른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이 서로 다른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다른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의 입력 시간이 다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제1 신호 입력부, 제2 신호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소스 장치로부터 제1 신호 입력부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소스 장치로부터 제2 신호 입력부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한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스 장치로부터 제1 신호 입력부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소스 장치로부터 제2 신호 입력부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소스 장치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다른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동기화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1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 S910 및 S920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동작 S930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함에 따라 케이블 변경을 안내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함에 따라 케이블 변경을 안내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의 동기화 모드 실행 후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부팅 동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부팅 동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동기화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1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 S910 및 S920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동작 S930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함에 따라 케이블 변경을 안내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함에 따라 케이블 변경을 안내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의 동기화 모드 실행 후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부팅 동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부팅 동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팅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하나의 소스 장치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다른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예를 들어,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PC, 게임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소스 장치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이고, 그 외에도 호스트 장치, 컨텐츠 제공 장치, 전자 장치, 컴퓨팅 장치 등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인터넷 TV, 웹 TV, IPTV, PC 등과 같이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측면이라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이고, 그 외에도 컨텐츠 수신 장치, 싱크 장치, 전자 장치, 컴퓨팅 장치 등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컨텐츠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케이블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케이블 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신호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D-SUB, DVI, HDMI, 디스플레이포트, 타입-C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주고받는 영상 신호가 다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신호 입출력 포트는, 접속된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의 규격에 대응한 영상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 HDMI 케이블로 구현된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에 구비된 HDMI 포트를 통해 HDMI 영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HDMI 규격에 대응한 HDMI 영상 신호를 전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HDMI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 디스플레이포트 케이블로 구현된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포트 영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소스 장치(500)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소스 장치(500)로부터 복수 개의 영상 신호 각각을 전달받아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이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은, 소스 장치(500),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지칭될 수 있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각각 서로 다른 케이블을 통해 하나의 소스 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의 제1 신호 입출력 포트(50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의 제2 신호 입출력 포트(5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블(300)과 제2 케이블(400)은, 예를 들어, D-SUB 케이블, DVI 케이블, HDMI 케이블, 디스플레이포트 케이블, 타입-C 케이블일 수 있다. 제1 케이블(300)은 소스 장치(500)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케이블(400)은 소스 장치(5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제1 영상(105)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2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제2 영상(605)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케이블(300)과 제2 케이블(400)은 같은 종류의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제1 케이블(300)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연결된 제2 케이블(400)과 서로 다른 종류의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인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케이블(300)은 디스플레이포트 케이블이고, 제2 케이블(400)은 HDMI 케이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200A),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200B), 및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해제 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200C, 200D)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200A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소스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제1 신호에 따라 제1 영상(105)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소스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에 따라 제2 영상(605)을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신호의 전송을 위한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는 제1 신호의 전송을 위한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와 다를 수 있다.
도 2의 200A에서,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복수의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예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절전 메뉴(201)를 선택함에 따라, 소스 장치(500)는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도 2의 200B과 같이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도 2의 200B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각각 소스 장치(500)로부터 서로 다른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다가,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200B를 참조하면,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소스 장치(5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 역시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영상을 표시 하지 않는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블랙 화면(106)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블랙 화면(606)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의 200C와 200D는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다시 소스 장치(5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2의 200C는 일반적인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의 200D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소스 장치(5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부팅을 통해 절전 모드에서 해제될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시 소스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200C는, 동기화 모드 실행 전에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서 해제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200C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소스 장치(500)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서 해제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표시된 영상들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 진입 전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표시되었던 제2 영상(605)는 절전 모드 진입 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도 2의 200C를 참조하면,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서 해제되는 경우, 서로 다른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수신되는 신호들 간에 입력 시간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 시간은 제2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입력된 시간보다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후 해제(또는, 절전 모드의 진출입)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이 상이한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부팅 시점이 상이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느리게 부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케이블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케이블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인식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 신호를, 케이블 연결이 유지된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시점이 다른 경우, 소스 장치(500)는 느리게 부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 신호를 빠르게 부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시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케이블을 통해 소스 장치(500)에 HPD 신호(Hot Plug Detect 신호)를 제공하는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HPD 신호를 통해 소스 장치(500)에 연결 해제(Unplug), 연결/재연결(Plug/Re-Plug), 및 부팅 완료 등의 이벤트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이 탈거되는 경우, 소스 장치(500)의 어느 하나의 신호 입출력 포트는 하이(high) 레벨의 HPD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받지 못하므로, 로우(low) 레벨의 HPD 신호를 가질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로우 레벨의 HPD 신호를 통해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케이블 연결이 끊어졌음을 인식하고, 케이블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인식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신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하이 레벨의 HPD 신호를 수신한 다른 하나의 신호 입출력 포트를 통해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케이블 연결이 유지된 것으로 인식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복수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해제에 따라,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팅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스 장치(500)에 HPD 신호를 제공하여 부팅 완료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절전 모드 해제에 따라, 부팅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소스 장치(500)에 알리는 HPD 신호 토글(toggl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HPD 신호 토글 동작은, 하이 레벨의 HPD 신호를 로우 레벨의 HPD 신호로 전환하는 동작일 수 있다. HPD 신호 토글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음을 소스 장치(500)에 알리는 준비 동작일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하나의 소스 장치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 중 서로 다른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는 각각 그 특성이 다르므로 소스 장치(500)가 동일한 시점에 신호를 전송한다고 해도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하는 신호 입력 시간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서 수신하는 신호 입력 시간이 상이한 경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부팅 시점이 다를 수 있다. 부팅 시점이 다른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HPD 신호 토글 동작 시점이 다를 수 있다. HPD 신호 토글 동작 시점이 다르면 소스 장치(500)는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상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장치(500)는 절전 모드가 해제되면 상술한 케이블 탈거와 유사하게,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영상을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이동시키는 동작을 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부팅 시점이 달라지면서, 소스 장치(5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지만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케이블은 탈거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 진입 전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제2 영상(605)은 절전 모드 진입 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 제1 신호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입력된 제2 신호보다 빠르게 입력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부팅이 늦어진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하므로 별도의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모두 수신하므로, 절전 모드 진입 전 표시하던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영상(105)뿐만 아니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표시하던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영상(605)까지 모두 표시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전에는 제1 영상(105)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2 영상(605)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표시되었지만, 절전 모드 진입 및 해제 후에는 제1 영상(105) 및 제2 영상(605) 모두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므로, 절전 모드 해제 후에 영상의 위치가 달라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혼동을 줄 수 있고, 또한 제2 영상(605)을 다시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표시되게 하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하기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동기화 모드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의 200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모드 실행 후에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서 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동기화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서 해제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영상들의 위치가 절전 모드 진입 전의 상태를 유지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동기화 모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서 수신하는 신호 입력 시간이 다른 경우, 부팅 시점을 동기화 시키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모드를 실행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 시점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부팅 시점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입력 시간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입력 시간보다 빠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부팅 시점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입력 시간이 더 빠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 시점을 지연시킴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 시점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부팅 시점과 동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는 제1 신호의 입력 시간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수신하는 제2 신호의 입력 시간이 다르더라도, 부팅 시점이 동기화되고 제1 신호의 출력 시간과 제2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기화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제1 영상(105) 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제2 영상(605)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절전 모드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 입력부(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입력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소스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연결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입력부(110)는 제1 신호 입력부(111) 및 제2 신호 입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입력부(111)는 D-SUB 신호 입력부, DVI 신호 입력부, HDMI 신호 입력부, 디스플레이포트 신호 입력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신호 입력부(112)는 D-SUB 신호 입력부, DVI 신호 입력부, HDMI 신호 입력부, 디스플레이포트 신호 입력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소스 장치(5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수신한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어부(12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제1 신호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입력되는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이 다르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영상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절전 모드를 사용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영상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은,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제1 신호의 신호 출력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부팅 시점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HPD 토글 동작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출력 시간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수신한 제2 신호의 출력 시간의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1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2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1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2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제1 신호 입력부(111)와 제2 신호 입력부(112)가 소스 장치(500)에 연결됨에 따라,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후 해제에 따라,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느린 입력 신호인 제2 신호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입력될 수 있도록 소스 장치(5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는 Aux 채널을 통해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수신되고, 제2 신호는 TMDS 클럭 신호에 따라 TMDS 라인을 통해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수신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 입력부(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에 더해, 입력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영상 처리부(160), 및 OSD 처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제어부(510), 메모리(520), 및 전송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소스 장치(500)는 제1 케이블(300) 및/또는 제2 케이블(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입력부(11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연결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여 이를 영상 처리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입력부(110)는 제1 신호 입력부(111) 및 제2 신호 입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 진입 전 또는 절전 모드 해제 후 고속 클록 신호를 갖는 제1 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저속 클록 신호를 갖는 제2 전력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2 전력 모드는 제1 전력 모드보다 낮은 소비 전력을 갖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팅 동작은, 절전 모드 해제에 따라 제어부(120)가 제2 전력 모드에서 제1 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저전력 제어부와 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저전력 제어부가 활성화되고, 주 제어부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저전력 제어부는 신호 입력부(110)에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절전 모드 해제에 따라 신호 입력부(110)에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주 제어부에 활성화 신호(또는, wake-up 신호)를 통해 주 제어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팅 동작은, 절전 모드 해제에 따라 저전력 제어부가 주 제어부에 활성화 신호를 제공하여 주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처리부(16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과 OSD 처리부(170)로부터 수신된 OSD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일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적외선 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수신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수신된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차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신호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60)는 영상 신호의 종류에 따라 화질 및 스케일링을 처리할 수 있다.
OSD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실행 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처리부(17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OSD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처리부(170)는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소스 장치(5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OSD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처리부(170)는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OSD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OSD 처리부(17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신호 입력 지연이 발생한 케이블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OSD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소스 장치(500)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510)는 소스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영상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고, 처리된 영상 신호가 전송부(5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소스 장치(500)의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 소스 장치(5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전송부(5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처리할 수 있는 해상도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5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지원 가능한 해상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읽어올 수 있다. 전송부(530)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입출력 포트, 예를 들어, 도 1의 제1 신호 입출력 포트(501) 또는 제2 신호 입출력 포트(502)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신호 입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가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고,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가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케이블(300)은 제1 신호 입력부(111)로부터 제1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신호 라인(310),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HPD 라인(320)(Hot Plug Detect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블(300)이 디스플레이포트 케이블인 경우, 제1 신호 라인(310)은 제1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메인 링크 및 Aux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메인 링크를 통해 전달될 제1 영상 신호를 특정 형태로 변환하여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전달할 수 있다. Aux 채널은 메인 링크의 관리 및 장치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HPD 라인(320)은 소스 장치(500)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을 알려주기 위한 신호 라인이다. HPD 라인(320)은 소스 장치(500)로 HPD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PD 라인(320)을 통해 하이 레벨의 전압을 갖는 HPD 신호를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에 전송할 수 있다. HPD 신호는 소스 장치(500)에 연결 해제(Unplug), 연결/재연결(Plug/Re-Plug), 및 부팅 완료 등의 이벤트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는 HPD 라인(320)을 통해 수신한 하이 레벨의 HPD 신호를 통해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는 HPD 라인(320)을 통해 수신한 로우 레벨의 HPD 신호를 통해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 해제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HPD 신호를 수신한 소스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관한 EDID 요청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보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를 소스 장치(5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영상 처리된 제1 영상 신호를 제1 신호 라인(31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케이블(400)은 제2 신호 입력부(112)로부터 제2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신호 라인(410),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HPD(Hot Plug Detect) 라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블(400)이 HDMI 케이블인 경우, 제2 신호 라인(410)은 제2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TMDS 라인을 통해 영상 신호를 특정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영상 신호는 TMDS 클럭 신호에 따라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입력될 수 있다.
HPD 라인(420)은 소스 장치(500)로 HPD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PD 라인(420)을 통해 하이 레벨의 전압을 갖는 HPD 신호를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에 전송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는 HPD 라인(420)을 통해 수신한 하이 레벨의 HPD 신호를 통해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HPD 신호를 수신한 소스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관한 EDID 요청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보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EDID를 소스 장치(5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의 전송부(530)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영상 처리된 제2 영상 신호를 제2 신호 라인(41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 신호가 제1 신호 라인(310)을 통해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입력된 시간은 제2 영상 신호가 제2 신호 라인(410)을 통해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입력된 시간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신호가 Aux 채널을 통해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수신된 시간은 제2 영상 신호가 TMDS 클럭 신호에 따라 TMDS 라인을 통해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수신된 시간보다 빠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동작의 흐름도이다.
동작 S510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Aux 채널을 통해 전달된 디스플레이포트 영상 신호이고, 제2 신호는 TMDS 라인을 통해 전달된 HDMI 영상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는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한 제2 신호보다 빠르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신호 입력 시간차를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S520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와 연결되어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와 연결되어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이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제2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보다 빠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2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과 동기화시키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을,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제1 신호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입력되는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이 다르더라도, 제1 신호의 출력과 제2 신호의 출력이 동기화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영상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절전 모드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동기화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도 2의 210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의 동기화 모드 실행 전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소스 장치(500)가 절전 모드에서 해제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211)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2 신호 입력부(미도시)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215)할 수 있다.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부팅 시작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212). 활성화된 제어부(120)는 소스 장치(500)에 부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13). HPD 신호 토글 동작은 하이 레벨의 HPD 신호를 로우 레벨의 HPD 신호로 전환하여 소스 장치(500)에 제공하는 동작일 수 있다. HPD 신호는 소스 장치(500)에 부팅 완료 이벤트를 알려준다. 소스 장치(500)는 HPD 신호 토글 동작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수신한 제1 신호를 출력(21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부(160)를 통해 제1 신호를 처리하여 얻어진 제1 영상(도 2의 105)을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가 제1 신호를 수신(211)하는 시간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2 신호 입력부(미도시)가 제2 신호를 수신(215)하는 시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신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시간과 제2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입력되는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신호 입력 시간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부팅(212)되는 시점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부팅(216)되는 시점과 다를 수 있다. 부팅 시점이 다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213) 시점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217) 시점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장치(5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하이 레벨의 HPD 신호를 수신받는 동안,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로부터는 로우 레벨의 HPD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소스 장치(500)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에 따라 로우 레벨의 HPD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소스 장치(500)는 제2 케이블(400)의 탈거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장치(5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신호와 함께 제2 신호를 제공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제2 신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동기화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일반적인 동작에서,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면, 절전 모드 진입 전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표시되던 제2 영상(도 2의 605)이 절전 모드 해제 후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이동되어 제1 영상(105)과 함께 표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동기화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1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7에는 도 5의 동작 S510에 관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과정이 예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5의 동작 S520에 관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장치(500)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다른 영상 인터페이스인 제1 케이블(300) 및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는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는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한다(S510).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해제시, 제1 신호 입력부(111)는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11). 그 다음, 제2 신호 입력부(112)는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12). 제어부(120)는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수신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수신된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할 수 있다(S513).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는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느린 입력 신호가 제2 신호인 것을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Aux 채널을 통해 전달된 디스플레이포트 영상 신호이고, 제2 신호는 TMDS 라인을 통해 전달된 HDMI 영상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에 연결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에 연결된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어부(120)는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메모리(150)에 저장된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을 지연(S521)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 시점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부팅 시점이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지연(S522)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 시점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 시점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장치(5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로부터 동시에 하이 레벨의 HPD 신호를 수신받고, 동시에 로우 레벨의 HPD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소스 장치(5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과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부팅 동작 지연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지연(S523)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출력 시간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2 신호 출력 시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제1 신호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입력되는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이 다르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시점이 동기화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제1 영상(도 2의 105)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제2 영상(도 2의 605)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더라도,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 S910 및 S920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동작 S930 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하나의 소스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시점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동기화 모드 선택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동기화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부팅 시점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하,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동기화 모드 실행 과정을 안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 S910에서, 제어부(120)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출력 시간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수신한 제2 신호의 출력 시간의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동기화 모드를 설정하시겠습니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를 통해 동기화 모드 선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를 통해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음성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GUI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OSD 처리부(170)를 통해 OSD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될 수 있다.
동작 S920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1 신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2 신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소스 장치(500)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제어부(120)는 "두개의 케이블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해 주세요."의 안내 메시지(1002)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내 메시지(1002)를 통해 제1 케이블(300) 및 제2 케이블(400)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다.
동작 S930에서,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소스 장치(50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가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에 연결되고, 제2 신호 입력부(112)가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소스 장치(500)가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후술할 도 12의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의 진입 및 해제를 유도한 뒤,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여 동기화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축하도록 케이블 변경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함에 따라 케이블 변경을 안내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함에 따라 케이블 변경을 안내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한 뒤 동기화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축하도록 케이블 변경을 안내할 수 있다. 이하,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 S1210에서, 제어부(120)는 제1 신호 입력부(111)와 제2 신호 입력부(112)가 소스 장치(500)에 연결됨에 따라,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1과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는 제1 케이블(3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에 연결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는 제2 케이블(400)을 통해 소스 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제어부(120)는 "절전 모드에 진입 후 절전 모드를 해제해주세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301)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GUI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OSD 처리부(170)를 통해 OSD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 절전 모드에 진입한 뒤 해제될 수 있다.
절전 모드에 진입한 소스 장치(5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신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 및 제2 신호 입력부(112)에 별도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전력 모드에서 제2 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전력 모드는 고속 클록 신호를 갖는 일반 모드이고, 제2 전력 모드는 저속 클록 신호를 갖는 저전력 모드일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 및 제2 신호 입력부(112)에 별도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의 저전력 제어부는 활성화되지만, 주 제어부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동작 S1220에서, 제어부(120)는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후 해제에 따라,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S1220은, 도 7의 설명과 중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전 모드가 해제된 소스 장치(5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복수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는 빠른 입력 신호인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신호 입력부(112)는 느린 입력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신호의 입력 시간과 제2 신호의 입력 시간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느린 입력 신호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절전 모드가 해제되면, 제어부(120)는 제2 전력 모드에서 제1 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의 저전력 제어부는 주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 해제에 따라 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S1230에서, 제어부(120)는 측정한 신호 입력 시간차를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느린 입력 신호 타입을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메모리(150)에 저장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신호 입력부(110)에서 수신한 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킬 수 있다.
동작 S1240에서, 제어부(12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느린 입력 신호인 제2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입력될 수 있도록 소스 장치(5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2 케이블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세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1)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1)가 GUI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OSD 처리부(170)를 통해 OSD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1)에 따라 제2 케이블(400)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연결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한 뒤, 빠른 입력 신호인 제1 신호를 출력 지연시킴으로써, 제1 신호의 출력을 느린 입력 신호인 제2 신호의 출력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빠른 입력 신호인 제1 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키기 위해, 제어부(120)는 빠른 입력 신호인 제1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케이블(300)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을 유지하고, 느린 입력 신호인 제2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케이블(400)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연결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신호 입력 시간차를 메꾸기 위한 동기화 제어 동작을 할 수 있을 것이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빠른 입력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 느린 입력 신호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수신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신호와 제2 신호 간의 신호 입력 시간차를 저장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신호의 출력을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시킬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부팅이 동기화되고,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기화될 수 있으므로,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영상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장치(5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정보를 갖는 경우, 동기화 모드 설정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500)에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의 정보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연결된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지 않고도, 소스 장치(500)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부팅 동작이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에 따른 부팅 시간 정보를 갖는 경우, 동기화 모드 설정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 마다의 부팅 시간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데이터화된 부팅 시간 정보를 통해 부팅 동기화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의 동기화 모드 실행 후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시간이 빠른 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에 따른 신호의 출력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동작 S1510에서, 제어부(12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중 빠른 입력 신호인 제1 신호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고, 느린 입력 신호인 제2 신호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입력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동작 S1520을 진행할 수 있다.
동작 S1520에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제1 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S1520은 도 8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한 뒤, 빠른 입력 신호인 제1 신호의 출력을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제1 신호의 출력을 느린 입력 신호인 제2 신호의 출력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부팅이 동기화되고,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출력 시간이 동기화될 수 있으므로, 절전 모드에 진입 후 해제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영상 이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20)가 저전력 제어부(121)와 주 제어부(122)를 포함하는 경우, 부팅 동작에 따른 저전력 제어부(121)와 주 제어부(12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부팅 동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모드가 실행된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부팅 동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저전력 제어부(121)와 주 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전력 제어부(121)는 절전 모드에서 활성화될 수 있지만, 주 제어부(122)는 절전 모드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제어부(121)는 신호 입력부(110)가 수신한 신호 입력을 확인하고,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고, 메모리(150)에 신호 입력 시간차를 저장할 수 있다. 저전력 제어부(1121)는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해제에 따라 신호 입력부(110)의 신호 입력을 확인하고, 주 제어부(122)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활성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 제어부(122)는 저전력 제어부(121)의 활성화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부팅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주 제어부(122)는 부팅 완료에 따라 HPD 신호 레벨을 토글하여 소스 장치(500)에 부팅 완료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주 제어부(122)는 수신한 신호를 영상 처리부(160)를 통해 처리하고,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가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을 지연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 S1710에서, 저전력 제어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제1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주 제어부(122)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 S1720에서, 주 제어부(122)는,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전력 제어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제1 신호 입력부(111)의 제1 신호가 입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저전력 제어부(12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주 제어부(122)의 활성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저전력 제어부(121)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읽어들이고,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주 제어부(122)에 제공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동시에 부팅시킬 수 있다.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주 제어부(122)의 부팅 동작이 지연되므로, HPD 신호 토글 동작 또한 지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과 동기화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팅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영상 이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가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을 지연시키는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 S1810에서, 저전력 제어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제1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활성화 신호를 주 제어부(122)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 S1820에서, 주 제어부(122)는,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전력 제어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부팅시키기 위해 주 제어부(122)에 활성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활성화된 주 제어부(122)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읽어들이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HPD 신호 토글 동작과 동기화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팅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영상 이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제어부(120)가 제1 전력 모드와 제2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부팅 동작 지연을 위해 전력 모드의 전환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저속 클록 신호의 제2 전력 모드로 동작하다가,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고속 클록 신호의 제1 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부팅 동작 지연을 위해 제2 전력 모드에서 제1 전력 모드로의 전환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제1 신호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입력되는 제2 신호의 신호 입력 시간이 다르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영상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절전 모드를 사용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영상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들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제1 신호의 신호 출력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출력 시간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수신한 제2 신호의 출력 시간의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를 통한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1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2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소스 장치(5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1002)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1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제2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제1 신호 입력부(111)와 제2 신호 입력부(112)가 소스 장치(500)에 연결됨에 따라,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1)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후 해제에 따라,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느린 입력 신호인 제2 신호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입력될 수 있도록 소스 장치(5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1)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토글 동작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저전력 제어부(12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제1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주 제어부(122)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제어부(122)가,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토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저전력 제어부(12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제1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활성화 신호를 주 제어부(122)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제어부(122)가,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제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또는 제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3 장치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디바이스 및 제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제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3 장치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3 장치는 프리로드 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실시예들 및 특징들은, 이들의 결합이 명백한 기술적 충돌을 초래하지 않는 한 결합될 수 있다.
Claims (20)
-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30);
제1 신호 입력부(111);
제2 신호 입력부(112); 및
제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소스 장치(500)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은,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출력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의 출력 시간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수신한 상기 제2 신호의 출력 시간의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상기 소스 장치(5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1002)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12)가 상기 소스 장치(50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1)를 제공하고,
상기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후 해제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중 느린 입력 신호인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소스 장치(500)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1)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HPD 토글 동작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저전력 제어부(121) 및 주 제어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저전력 제어부(12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122)에 제공하고,
상기 주 제어부(122)는, 상기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저전력 제어부(121), 및 주 제어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저전력 제어부(12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활성화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122)에 제공하고,
상기 주 제어부(122)는, 상기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중 더 느린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신호인 것을 메모리(150)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Aux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수신되고, 상기 제2 신호는 TMDS 클럭 신호에 따라 TMDS 라인을 통해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1 신호 입력부(111)에 의해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 제2 신호 입력부(112)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측정된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 제12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출력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출력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 제12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의 출력 시간과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수신한 상기 제2 신호의 출력 시간의 동기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1)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동기화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상기 소스 장치(5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1002)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 제12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에서 수신되고 상기 소스 장치(500)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12)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112)가 상기 소스 장치(50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1)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장치(500)의 절전 모드 진입 후 해제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시간의 차이인,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 제12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중 느린 입력 신호인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소스 장치(500)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연결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1)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 제12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토글 동작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 제12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제어부(121) 및 주 제어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저전력 제어부(121)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122)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 제어부(122)가, 상기 지연된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토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 제12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전력 제어부(121), 및 주 제어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상기 저전력 제어부(121)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활성화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122)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 제어부(122)가, 상기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신호 입력 시간차에 대응한 시간만큼 HPD 신호를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토글시키는 HPD 신호 토글 동작을 지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1582A KR20240022909A (ko) | 2022-08-12 | 2022-08-1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PCT/KR2023/008936 WO2024034843A1 (ko) | 2022-08-12 | 2023-06-27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1582A KR20240022909A (ko) | 2022-08-12 | 2022-08-1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2909A true KR20240022909A (ko) | 2024-02-20 |
Family
ID=8985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1582A KR20240022909A (ko) | 2022-08-12 | 2022-08-1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2909A (ko) |
WO (1) | WO2024034843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35345B2 (ja) * | 2006-12-25 | 2012-05-23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150026069A (ko) * | 2013-08-30 | 2015-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컨텐츠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KR20150037372A (ko) * | 2013-09-30 | 2015-04-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컨텐츠 동기화 서버 및 그 동작방법 |
KR20160003400A (ko) * | 2014-07-01 | 2016-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220014519A (ko) * | 2020-07-29 | 2022-0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장치들이 출력하는 컨텐츠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
2022
- 2022-08-12 KR KR1020220101582A patent/KR20240022909A/ko unknown
-
2023
- 2023-06-27 WO PCT/KR2023/008936 patent/WO2024034843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34843A1 (ko) | 2024-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042144A1 (en) | Video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 |
EP2324632B1 (en) | Video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ideo control apparatus | |
US8692892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ed for transmitting video data to an external apparatus | |
JP4596052B2 (ja) | コンテンツ出力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US10031710B2 (en) | Display device constituting multi-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817242B2 (en) | Image display device, connection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and multi-display system | |
US9942512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3603059B1 (en) | Display diagnostics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display devices | |
KR20160131673A (ko) |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5414262B2 (ja) |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4620594A (zh) | 能够识别多个外围设备并且允许选择和显示多个外围设备中之一的内容的电视机 | |
TW201418971A (zh) | 影音播放系統之控制方法 | |
CN106933524B (zh) | 增加显示埠相容性的方法 | |
KR2024002290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
WO2024012030A1 (zh) | 一种显示设备和用于显示设备的控制方法 | |
JP5921575B2 (ja) |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EP3461137B1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a | |
JP2010034656A (ja) |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JP2015115670A (ja) | 送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693676B2 (ja) |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 |
US20230136873A1 (en) |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apparatus | |
US9172948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video | |
KR101069020B1 (ko) |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edid 통신 방법 | |
JP6031804B2 (ja) |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及び投射方法 | |
KR2023007999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