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88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883A
KR20240022883A KR1020220101522A KR20220101522A KR20240022883A KR 20240022883 A KR20240022883 A KR 20240022883A KR 1020220101522 A KR1020220101522 A KR 1020220101522A KR 20220101522 A KR20220101522 A KR 20220101522A KR 20240022883 A KR20240022883 A KR 20240022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vacuum
case
refrigerato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우
서국정
유수철
이인섭
최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883A/ko
Priority to PCT/KR2023/008100 priority patent/WO2024034820A1/ko
Publication of KR2024002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7Pressure equal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creating a vacuum in a stor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밀폐 박스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밀폐 박스를 포함한다. 밀폐 박스는 저장용기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와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 부재와, 저장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을 하강시키는 진공기를 포함하고,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진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개시는 음식물 보관을 위한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 용기가 진공 상태가 됨에 따라 용기 내부의 부피가 변화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데에 요구되는 일정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저장실은 그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평상 시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저장실 내부에는 내부공간에 음식물 등을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저장용기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식으로 마련된다.
저장용기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산화를 방지하여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에는 내부를 밀폐하도록 밀봉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저장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밀폐 박스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저장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밀폐 박스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저장용기 내부가 진공상태가 됨에 따라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밀폐 박스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밀폐 박스를 포함한다. 밀폐 박스는, 저장용기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와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박스는, 저장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을 하강시키는 진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진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부는 내부 압력에 따라 변형 가능한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막은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 1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막은 제 1 막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2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막과 제 2 막의 사이에 음식물이 저장될 수 있다.
진공부는 진공부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도록 진공기와 연결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의 후벽은 후방 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는 진공기와 후방 결합 홈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상부 개구를 둘러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제 1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제 1 실링 부재와 저장용기를 밀폐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 2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막은 제 1 실링 부재와 테두리부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제 2 막은 제 2 실링 부재와 케이스의 내측 상면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케이스에 출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레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레일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가 케이스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상승하도록 레일의 전단보다 레일의 후단이 더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케이스의 전방 개구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부는 손잡이에 의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체크 밸브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연동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박스는 진공기가 작동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도록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는 팽창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공기는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케이스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진공기가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저장용기가 출입하기 위한 전방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전방 개구 주위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케이스의 전방 개구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밀폐박스를 밀폐하도록 플랜지에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의 전면패널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의 전면패널은 외부와 진공부를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은 손잡이와 결합되어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저장용기와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밀폐박스를 포함한다. 밀폐 박스는 저장용기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제 1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박스는 저장용기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 2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박스는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을 하강시키도록 마련되는 진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도록 마련되는 비닐재질의 막을 포함하는 진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부는 진공기에 의해 하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1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부는 손잡이가 가압하는 연동 핀이 밀폐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제 2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케이스에 출납될 수 있도록 저장용기의 좌우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레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레일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가 인입됨에 따라 상승하도록 레일의 전단보다 레일의 후단이 더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막은 상기 제 2 실링 부재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밀폐 박스를 포함한다. 밀폐 박스는, 저장용기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와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박스는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진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비닐재질의 막을 포함하는 진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케이스의 전면 개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은 저장용기의 내부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 통로가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은 상기 손잡이와 연동되어 상기 공기 통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저장용기가 케이스에 수용될 때 저장용기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저장용기는 경사진 레일에 의하여 케이스에 인입될수록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기밀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저장용기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될 때, 내부 부피가 감소하여 내부 산소량이 감소하므로 음식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체크 밸브가 손잡이와 연동되어 있어 저장용기의 개방과 함께 내부 밀폐 상태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밀폐 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도시된 밀폐 박스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B 부분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박스에서 진공 전 상태에서 밀폐 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박스에서 진공 후 상태에서 밀폐 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밀폐 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2은 도 10의 밀폐 박스의 손잡이 연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박스에서 진공 전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박스에서 진공 후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방, 후방,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방향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명세서 전반에 걸쳐 통일적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서로 수직한 X축, Y축, Z축 방향이 표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은 냉장고의 전후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냉장고의 좌우 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은 냉장고의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인 "진공", "진공 상태"는 엄밀히 말하면, 어떠한 물질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나, 대기압보다 작은 상태의 공기의 압력을 가지는 경우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서술하는 "진공", "진공 상태"는 어떠한 물질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대기압에 비하여 낮은 압력을 가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실(11)을 갖는 본체(10)와 저장실(11)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와, 저장실(11)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11)을 형성하는 내상(12)과, 내상(12)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13)과, 내상(12)과 외상(13)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상(12)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상(13)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11)을 냉장실(15)과 냉동실(16)로 구획하는 중간벽(17)을 가질 수 있다.
저장실(11)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15)과, 대략 섭씨 영하 30 ~ 0 도로 유지되어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16)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실(15)은 냉장실 도어(21)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냉동실(16)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15)에는 채소 등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밀폐 박스(100)가 마련될 수 있다. 밀폐 박스(1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밀폐 박스(100)는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용기(200)와, 저장용기(200)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박스(100)는 냉장실(1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케이스(300)에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에는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220)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사용자가 인출 시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211)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11)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211)는 저장용기(200)의 전면 패널(210)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211)는 회전축(212, 도 4)을 중심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를 예로 들어 도시한다.
냉장고(1)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미도시)는 도어(20)에 위치한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기는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인식하여 진공기(500, 도 7)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 박스의 구성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밀폐 박스(100)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200)와, 저장용기(200)를 수용하는 케이스(300)와, 저장용기(200)와 케이스(300)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는 실링 부재(400)와, 저장용기(200)와 연결되는 진공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기(500)는 진공기 박스(502)에 수용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220, 도 2)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공간(22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공간(220)은 저장용기(200)의 전면 패널(210), 후벽(221), 좌우 측벽(222, 223), 하벽(2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저장공간(220)은 저장용기(200)가 케이스(300)에 수용될 때, 케이스(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저장용기(2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할 수 있는 진공부(600, 도 8)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부(600)는 저장용기(2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막(610)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부(600)에는 음식물이 저장될 수 있다. 진공부(600)에 저장된 음식물은 진공부(600)가 진공 상태가 됨에 따라 내부 산소량이 감소하여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막(610)은 고무 또는 비닐 재질일 수 있다. 그 밖에도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막(610)으로 이용될 수 있다.
막(610)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막(611)과, 제 1 막(6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 막(611)을 커버하는 제 2 막(6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막(611)과 제 2 막(612) 사이에는 음식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후방 결합 홈(227, 도 7)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후벽(221)에 후방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부(600)는 진공부(600)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도록 체크 밸브(622)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622)는 진공기와 연결될 수 있다. 체크 밸브(622)는 진공부(600)의 막(610)에 형성될 수 있다. 체크 밸브(622)는 진공부(600)의 제 1 막(611)에 형성될 수 있다. 체크 밸브(622)는 제 1 막(611)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진공부(600)는 진공부(600) 내부의 밀폐 상태를 해제하도록 체크 밸브(621)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621, 도 6)는 진공부(600)의 막(610)에 형성될 수 있다. 체크 밸브(621)는 제 1 막(611)에 형성될 수 있다. 체크 밸브(621)는 제 1 막(61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300)는 저장용기(200)가 케이스(30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전방 개구(315a)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의 전방에는 전방 개구(315a)를 커버하도록 전면 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210)에는 사용자가 저장용기(200)를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210)에는 손잡이(2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손잡이 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전면 패널(2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에는 저장용기(200)이 케이스에 출납될 수 있도록 레일(230)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은 저장용기(200)의 좌우 측벽(222, 22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23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레일(230)은 저장용기(2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레일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일(230)은 후방으로 향할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230)의 전단(231)보다 후단(232)이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230)에는 저장용기의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바퀴(233)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음식물을 저장 및 반출하기 위한 상부 개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상부 개구(225)를 둘러 싸는 테두리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226)에는 실링 부재(401)가 부착될 수 있다.
케이스(300)는 실링부재(40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00)는 내측 상면(301)에 실링부재(40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402)는 저장용기(200)의 테두리부(226)에 부착된 실링부재(402)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는 테두리부(226)에 마련되는 제 1 실링부재(401)와, 케이스(300)의 내측 상면(301)에 마련되는 제 2 실링부재(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200)가 케이스(300)에 인입됨에 따라, 제 1 실링부재(401)와 제 2 실링부재(402)는 기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제 1 실링부재(401)와 제 2 실링부재(402)는 함께 밀폐 박스(100)을 밀폐할 수 있다.
저장용기(200)에는 진공기(500)가 연결될 수 있다. 진공기(500)는 저장용기(2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저장용기(200)가 실링 부재(400)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진공기(500)에 의해 저장용기(200)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다. 진공기(500)는 케이스(3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300)에는 가이드 레일(320)이 포함될 수 있다. 케이스(300)의 좌우측 내벽(322, 323)에는 가이드 레일(320)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20)은 저장용기(200)의 레일(230)이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레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밀폐 박스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장용기(200)는 전방에 전면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210)은 케이스(300)의 전면개구(315a, 도 4)를 커버할 수 있도록 테두리부(226)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좌우측벽(222, 223)의 외측에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230)은 저장용기(200)가 케이스(300)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상승하도록 레일(230)의 전단(231)보다 레일의 후단(232)이 더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230)에는 저장용기의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바퀴(233)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230)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저장용기(200)는 케이스(300) 내부로 인입될수록 상승하여 실링부재(400)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후방에 진공기 박스(502)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기 박스(502)는 진공기(500, 도 7)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기 박스(502)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손잡이 연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210)에는 이동 가능한 손잡이(211)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211)는 손잡이 홈(213)에 수용될 수 있다. 전면 패널(210)은 내부에 회전축(212)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11)는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패널(210)은 저장용기(200)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도록 전방 결합 홈(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210)은 체크 밸브(621)가 결합되도록 전방 결합 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621)는 전방 결합 홈(214)에 결합됨으로써, 막(610)의 잦은 변형에도 불구하고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전면 패널(210)은 내부에 연동 핀(215)을 포함할 수 있다. 연동 핀(215)은 손잡이(211)가 사용자에 의하여 들어올려짐에 따라 체크 밸브(621)를 가압할 수 있다. 연동 핀(215)이 체크 밸브(621)를 가압하면, 밀폐 상태가 해제되면서 진공 상태이던 저장용기(200)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과 같아질 수 있다.
손잡이(211)의 연결부(211a)에는 돌기(211b)가 형성될 수 있다. 연동 핀(215)은 걸림 홈(215a)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11)의 돌기(211b)는 연동 핀(215)의 걸림 홈(215a)에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211)가 들어 올려짐에 따라, 돌기(211b)가 삽입된 걸림 홈(215a)을 포함하는 연동 핀(215)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결합 홈(214)에 결합된 체크 밸브(62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저장용기(200)의 개방을 위해서 손잡이(211)를 들어올림으로써, 저장용기(200) 내부의 진공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손잡이(211)와 연동 핀(215)의 연동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B부분의 진공기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진공기(500)는 진공기 박스(502)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진공기(500)는 저장용기(200)의 후벽(2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기(500)는 호스(501)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501)는 저장용기(200)의 후벽(221)을 통해 저장용기(20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호스(501)는 저장용기(200)의 후방 결합 홈(227)에 연결될 수 있다.
진공기(500)는 후방 결합 홈(227)을 통해 진공부(600)의 체크 밸브(622)와 연결될 수 있다. 후방 결합 홈(227)에 결합된 체크 밸브(622)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체크 밸브(622)는 후방 결합 홈(227)에 결합됨으로써 막(610)의 잦은 변형에도 불구하고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다.
체크 밸브(622)는 진공기(500)가 작동하여 진공부(600)가 진공상태가 된 후,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진공 상태가 되기 전의 밀폐 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진공 상태가 된 후의 밀폐 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진공부(600)의 막(610)은 실링 부재(4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막(611)은 테두리부(226)에 부착되는 제 1 실링 부재(401)와 테두리부(226)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 2 막(612)은 케이스(300)의 내측 상면(301)에 부착되는 제 2 실링 부재(402)와 케이스(300)의 내측 상면(30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진공부(600)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 1 막(611)과 제 2 막(612)에 의해 형성되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은 실링 부재(401, 402) 의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막(610)에는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210) 측에 체크 밸브(621)가 마련될 수 있다. 체크 밸브(621)는 전면 패널(210)의 전방 결합 홈(214, 도 6)에 결합될 수 있다.
막(610)은 저장용기(200)의 후벽(221) 측에 체크 밸브(622)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622)는 저장용기(200)의 후벽(221)의 후방 결합 홈(227)에 결합될 수 있다. 체크 밸브(622)는 진공기(500)와 후방 결합 홈(227, 도 7)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밀폐 박스(100)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기 전 진공부(600)의 막(610)은 본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진공기(500)가 작동하여 진공 상태가 된 후, 진공부(600)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 압력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진공부(600)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플라스틱 재질의 일반적인 밀폐 박스는 내부 압력이 감소하더라도 부피가 감소할 수 없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부(600)는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막(610)을 포함하므로, 내부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다음 [표 1]는 기존의 밀폐 박스와 공간 가변형 밀폐 박스의 내부가 동일 진공도를 갖도록 설정한 뒤, 내부 절대 산소 용량을 비교한 표이다.
일반 밀폐 박스 공간 가변형 밀폐 박스
내부 진공도 500mmHg (1기압 = 760mmHg)
내체적(진공 전) 25L 25L
내체적(진공 후) 25L 10L
내부 절대 산소 용량 3.45L 1.38L
진공기 성능 Rate of flow: >2.8L/min
Max Pressure: > 600mmHg
Vacuum: > 400mmHg
기존 밀폐 박스는 진공 상태가 된 뒤에도 내부 부피가 변할 수 없게 되는 반면, 공간 가변형 밀폐 박스는 진공 상태가 된 뒤 내부 부피가 기존 밀폐 박스에 비하여 작아지므로, 내부 절대 산소용량 또한 적을 수 있다. 음식물의 부패는 음식물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됨으로써 일어나므로, 내부 절대 산소용량이 적을수록 음식물을 더욱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 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밀폐 박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밀폐 박스(100)는 케이스(3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진공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기(500)는 밀폐 박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케이스(300)는 저장용기(8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팽창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부재(700)는 진공 상태가 되기 전, 즉 대기압 상태에서는 수축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팽창부재(700)는 진공기(500)가 작동하여, 밀폐 박스(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되면 밀폐 박스(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작아지므로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팽창부재(700)는 고무 또는 비닐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팽창부재(700)를 형성할 수 있다.
팽창부재(700)는 케이스(300)의 내측 상면(301)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팽창부재(7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밀폐 박스(100)는 저장용기(800) 내부에 진공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부(600)는 저장용기(800)와 케이스(30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서 팽창부재(700)를 제외한 공간이다. 진공부(600)는 케이스(300)에 부착된 팽창부재(700)가 팽창 또는 수축함에 따라, 부피가 변화할 수 있다. 팽창부(700)의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진공부(600)의 부피가 감소할 수 있고, 팽창부(700)의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진공부(600)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진공부(600)에는 음식물이 저장될 수 있다.
케이스(300)는 저장용기(800)가 출입하기 위하여 전방 개구(315a)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개구(315a) 주위에는 플랜지(315)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15)에는 밀폐 박스(100)를 밀폐하기 위하여 실링 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800)가 케이스(300) 내부로 인입되면 실링 부재(400)에 의하여 케이스(300)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저장용기(800)는 통기구(828)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구(828)는 저장용기(800)의 후벽(821)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828)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기(500)가 작동함에 따라, 저장용기(800)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828)를 통하여 진공기(500)로 흡입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밀폐 박스의 손잡이 연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면 패널(810)은 외부와 저장용기(800) 내부를 연통하는 공기 통로(817)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로(817)는 개폐 장치(816)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개폐 장치(816)는 손잡이(811)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공기 통로(817)를 개방하고, 내려진 상태에서 공기 통로(817)를 폐쇄한다.
공기 통로(817)는 손잡이(811)의 회전부(811a)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통로(817)는 두 개의 손잡이의 회전부(811a)의 상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장치(816)는 공기 통로(817)의 개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장치(816)는 홈(816a)을 포함한다. 손잡이(811)의 연결부(811a)에 형성된 돌기(811b)가 개폐 장치(816)의 홈(816a)에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811)의 연결부(811a)에 형성된 돌기(811b)와 개폐 장치(816)의 홈(816a)의 연결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811)를 들어올려 저장용기(800)를 인출하는 때, 공기 통로(817)가 개방되어 저장용기(80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제된 후 저장용기(800)가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용기(800)를 인입하기 위하여 손잡이(811)를 내리는 경우, 공기 통로(817)는 개폐 장치(816)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내부가 밀폐되고, 저장용기(800)가 인입된 후, 진공기(500)가 작동하여 내부가 진공상태로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저장용기(800)의 개방을 위해서 손잡이(811)를 들어올림으로써, 저장용기(800) 내부의 진공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3은 진공 상태가 되기 전의 밀폐 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진공 상태가 된 후의 밀폐 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밀폐 박스(100)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기 전 밀폐 박스(100)의 팽창부재(700)는 수축된 상태로 존재하고, 진공기가 작동하여 진공 상태가 된 후, 팽창부재(700)는 팽창하여 진공부(600)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기존의 밀폐 박스는, 내부 압력이 감소하더라도 부피가 감소할 수 없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부(600)는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팽창부재(700)를 포함하므로, 저장용기(80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팽창부재(700)의 부피가 증가하므로 진공부(600)의 부피는 감소할 수 있다.
진공부(600)는 진공기(500)에 의해 하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1 체크밸브(622)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부(600)는 손잡이와 연동되어 밀폐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제 2 체크 밸브(6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0: 본체
20: 도어
100: 밀폐 박스
200, 800: 저장 용기
210: 전면 패널
220: 저장공간
230: 레일
300: 케이스
320: 가이드 레일
400: 실링부재
401, 402: 제1, 2실링부재
500: 진공기
600: 진공부
610: 막
700: 팽창부

Claims (20)

  1.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밀폐 박스; 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박스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 부재와,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을 하강시키는 진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진공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변형 가능한 막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상기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 1 막과,
    상기 제 1 막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2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막과 상기 제 2 막의 사이에 상기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부는 상기 진공부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진공기와 연결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후벽은 후방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진공기와 상기 후방 결합 홈을 통해 연결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부 개구를 둘러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제 1 실링 부재와,
    상기 저장용기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 2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막은 상기 제 1 실링 부재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 2 막은 상기 제 2 실링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출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레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상승하도록 상기 레일의 전단보다 상기 레일의 후단이 더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 개구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손잡이에 의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크 밸브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연동 핀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박스는 상기 진공기가 작동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는 팽창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진공기가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저장용기가 출입하기 위한 전방 개구 및 상기 전방 개구 주위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 개구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밀폐박스를 밀폐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마련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전면패널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와,
    외부와 상기 진공부를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은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어 상기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고, 상부 개구와 상기 상부 개구 주위의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밀폐 박스; 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박스는,
    상기 저장용기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제 1 실링 부재와,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 2 실링 부재 및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을 하강시키도록 마련되는 진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도록 마련되는 진공부로서, 상기 진공부는 비닐재질의 막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진공기에 의해 하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1 체크 밸브와,
    상기 손잡이와 연동되어 밀폐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제 2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케이스에 출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의 좌우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레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가 인입됨에 따라 상승하도록 상기 레일의 전단보다 상기 레일의 후단이 더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상기 제 1 실링 부재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냉장고.
  19.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밀폐 박스; 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박스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 부재와,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진공기 및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진공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의 전면 패널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와,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손잡이와 연동되어 상기 공기 통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20101522A 2022-08-12 2022-08-12 냉장고 KR20240022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522A KR20240022883A (ko) 2022-08-12 2022-08-12 냉장고
PCT/KR2023/008100 WO2024034820A1 (ko) 2022-08-12 2023-06-1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522A KR20240022883A (ko) 2022-08-12 2022-08-1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883A true KR20240022883A (ko) 2024-02-20

Family

ID=8985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522A KR20240022883A (ko) 2022-08-12 2022-08-12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2883A (ko)
WO (1) WO20240348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282A (ko) * 1998-08-19 2000-03-06 츠타에 미토 진공식 김치저장장치 및 그 저장방법
KR100632016B1 (ko) * 2004-11-09 200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음식물 장기보관장치
KR20080001232U (ko) * 2006-11-17 2008-05-21 주식회사 제로팩 진공개폐밸브 및 수납형 진공보관장치
KR100704554B1 (ko) * 2007-01-11 2007-04-09 이승호 김치냉장고용 김치 보관 비닐팩
KR100901024B1 (ko) * 2007-09-21 2009-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탈기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4820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204582U (zh) 冰箱
CN212179334U (zh) 冰箱
KR20070076980A (ko) 냉장고
JP7433466B2 (ja) 冷蔵庫
CN111578587A (zh) 冰箱
CN101424473B (zh) 冰箱
CN211716944U (zh) 一种冰箱
KR20240022883A (ko) 냉장고
JP5103320B2 (ja) 冷蔵庫
JP2024020550A (ja) 冷蔵庫
CN106766623B (zh) 冰箱及用于冰箱的储物容器
CN113551467A (zh) 冰箱
JP7408800B2 (ja) 冷蔵庫
CN106766624B (zh) 冰箱及用于冰箱的储物容器
WO2021217779A1 (zh) 冰箱
CN212378332U (zh) 在门体上设置密封抽屉的冰箱
CN112984892A (zh) 一种冰箱及其气调保鲜方法
CN111207553A (zh) 冰箱
WO2022057611A1 (zh) 在门体上设置密封抽屉的冰箱
CN111207554A (zh) 冰箱
CN218442938U (zh) 冰箱
US20230152031A1 (en) Modular appliance bin
JPH0531083Y2 (ko)
CN212253307U (zh) 冰箱
US20230079270A1 (en)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