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794A -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794A
KR20240022794A KR1020220101272A KR20220101272A KR20240022794A KR 20240022794 A KR20240022794 A KR 20240022794A KR 1020220101272 A KR1020220101272 A KR 1020220101272A KR 20220101272 A KR20220101272 A KR 20220101272A KR 20240022794 A KR20240022794 A KR 20240022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bar
bars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석
Priority to KR102022010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794A/ko
Publication of KR2024002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의 두께방향에서 폭이 동일한 수평바와 수직바를 준비하고, 수직바의 양측벽 중 어느 한 측벽에 수평바의 일단이 맞닿음되게 한 상태에서, 그리고 수평바의 윗면과 밑면에 외벽의 두께방향에서 막혀 형성된 암형부에 2개의 앵글의 수평부 각각이 숫형부가 되어 암수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바에 상기 2개의 앵글의 수평부가 면접촉하여 체결고정되고, 그리고 수직바에 상기 2개의 앵글의 수직부가 면접촉하여 체결고정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between vertical bar and horizontal bar of exterior finish frame mounted to outer wall of beui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바의 측벽에 수평바의 일단이 맞닿음한 상태에서, 그리고 수평바에 형성된 단차면에 앵글이 수평부가 암수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바에 앵글의 수평부가 면접촉하여 체결고정되고 수직바에 앵글의 수직부가 면접촉하여 체결고정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또는 상업용 빌딩 같은 각종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 외벽면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건축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면에 설치하여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건축 외장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몰탈과 같은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접착제만을 이용하여 건축 외장재를 고정시키는 경우 시공 후 일정 시간이 경과 하게 되면 접착력이 저하되어 건축 외장재의 무게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축 외장재 시공 시 별도의 외벽마감틀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외벽마감틀은 내부가 빈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각형바를 건축물 벽면에 교차하게 설치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형성된 외벽마감틀 전면에 장식용 판넬을 고정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외벽마감틀은, 수평바와 수직바가 마련되어, 우선 수평바가 앵커볼트에 의해 외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설치됨으로써 건축물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바 전면에 수직바가 체결클립에 의해 교차하게 고정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외벽마감틀은 외벽의 두께방향에서 수평바와 수직바가 적층되어 서로 교차하기 때문에,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점유한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외벽마감틀이 한국 등록특허 제133666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외벽마감틀은,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수직바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수평바가 관통되어 수직바와 수평바가 교차된 상태에서, 체결클립을 통하여 이들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공간을 종래보다 적게 점유하지만, 수평바가 수직바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하중에 버티는 힘이 종래보다 취약하고, 수직바에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가 상승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직바의 일측면에 수평바의 일단이 면접촉한 상태에서, 앵글의 개재하여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지만, 앵글의 수직부와 수평부를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수직바의 중앙과 수평바의 중앙에 작업자가 위치결정되게 하는 작업이 고소작업에서는 매우 어려워서 작업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외력이 앵글에 인가될 경우에는 오로지 앵글을 수직바 및 수평바에 결합시키는 볼트에 응력이 집중되어 볼트가 파손되어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이 해체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외벽의 두께방향에서 폭이 동일한 수평바와 수직바를 준비하고, 수직바의 양측벽 중 어느 한 측벽에 수평바의 일단이 맞닿음되게 한 상태에서, 그리고 수평바의 윗면과 밑면에 외벽의 두께방향에서 막혀 형성된 암형부에 2개의 앵글의 수평부 각각이 숫형부가 되어 암수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바에 상기 2개의 앵글의 수평부가 면접촉하여 체결고정되고, 그리고 수직바에 상기 2개의 앵글의 수직부가 면접촉하여 체결고정된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의 측벽에 수평바의 일단이 맞닿음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바가 하중에 버티는 힘을 취약하게 하지 않고서도,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공간을 적게 점유하게 하고, 그리고 수직바에 대한 별도의 가공을 가하지 않고서도 앵글만에 의해 수직바에 수평바를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가 현저하게 감소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바에 형성된 암형부에 앵글의 수평부가 암수결합만 되게 하면, 자연스럽게 앵글의 수직부와 수평부가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수직바의 중앙과 수평바의 중앙에 위치결정되게 되어, 고소작업을 하는 자업자가 편안하게 앵글의 수직부와 수평부를 수직바와 수평바에 볼트에 의해 체결고정시키게 하여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외력이 앵글에 인가될 경우에도 앵글을 수직바 및 수평바에 결합시키는 볼트 이외에도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상기 암형부의 벽부에 응력이 분산되어 볼트가 파손되지 않아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이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수직바와 수평바에 앵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결합구조를 가진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이 부호 10으로서 지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외벽마감틀의 수직바와 수평바에 개재된 앵글이 부호 2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외벽마감틀(10)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건축물의 도시되지 않은 외벽에 고정되고, 장방형 틀의 단면을 가진 철재질의 복수개의 수직바(11); 수평방향에서 그리고 수직방향에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수직바(11) 중 서로에 인접하여 마주하는 수직바(11)의 측벽에 양단이 접촉되고, 상기 외벽의 두께방향에서 상기 수직바(1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서 장방형 틀의 단면을 가진 알루미늄 재질의 복수개의 수평바(12); 및 상기 복수개의 수평바(12)의 양단에 수평부(22)가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바(12)의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수직부(21)가 결합된 철재질의 복수개의 앵글(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앵글(20)은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수평바(12)의 폭보다 작은 수평부(22)와 수직부(21)를 일체로 구비하고, 볼트(B)가 관통하는 구멍(23)이 적어도 하나가 상기 수직부(21)와 수평부(22)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바(12)의 윗면과 밑면 각각에는, 상기 앵글(20)의 수평부(22)가 숫형부가 되어 상기 수평부(22)와 끼워맞춤되어 암수결합될 수 있는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그리고 상기 수평바(12)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돌출편(12a)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암형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22)의 두께는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a)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수평바(12)를 알루미늄재로 한 것은, 상기 암평부(12b)을 형성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먼저, 재단된 복수개의 수직바(11)를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도시되지 않은 브래킷을 개재하여 고정시킨다.
그 다음, 재단된 수평바(12)의 양단을 서로에 인접한 수직바(11)들 사이에 배치하여 서로에 인접한 수직바(11)들의 측벽에 맞닿음시킨다.
이때에, 상기 수평바(12)가 상기 외벽의 두께방향에서 상기 수직바(1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상기 수직바(11)의 양측벽과 상기 수평바(12)의 양측벽을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하면, 손쉽게 상기 수평바(12)의 수평자세를 위치결정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수평바(12)의 윗면에 형성된 암형부(12b)에 2개의 앵글(20)의 수평부(22)에 암수결합시키면서 상기 2개의 앵글(20)을 서로에 등을 진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2개의 앵글(20)의 수직부(21)가 해당 수직바(11)의 측벽에 맞닿음시킨다.
그 다음, 상기 2개의 앵글(20)의 수직부(21)에 형성된 구멍(23)에 볼트(B)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B)를 체결방향으로 돌리면, 볼트(B)가 상기 수직바(11)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2개의 앵글(20)이 상기 수직바(11)에 결합된다.
그 다음, 상기 2개의 앵글(20)의 수평부(22)에 형성된 구멍(23)에 볼트(B)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B)를 체결방향으로 돌리면, 볼트(B)가 상기 수평바(12)의 윗벽을 관통하여 상기 2개의 앵글(20)이 상기 수평바(12)에 결합된다.
그 다음, 상기 수평바(12)의 밑면에 형성된 암형부(12b)에 다른 2개의 앵글(20)의 수평부(22)에 암수결합시키면서 상기 다른 2개의 앵글(20)을 서로에 등을 진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다른 2개의 앵글(20)의 수직부(21)가 해당 수직바(11)의 측벽에 맞닿음시킨다.
그 다음, 상기 다른 2개의 앵글(20)의 수직부(21)에 형성된 구멍(23)에 볼트(B)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B)를 체결방향으로 돌리면, 볼트(B)가 상기 수직바(11)의 측벽을 관통하여 앵글(20)이 상기 수직바(11)에 결합된다.
그 다음, 상기 다른 2개의 앵글(20)의 수평부(22)에 형성된 구멍(23)에 볼트(B)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B)를 체결방향으로 돌리면, 볼트(B)가 상기 수평바(12)의 윗벽을 관통하여 상기 2개의 앵글(20)이 상기 수평바(1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재단된 복수개 수평바(12)의 양단이 수평방향에서 그리고 수직방향에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서로에 이웃하는 상기 수직바(11)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결합되는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벽마감틀(10)에 구비된 수직바(11)의 측벽에 수평바(12)의 일단이 맞닿음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바(12)가 하중에 버티는 힘을 취약하게 하지 않고서도,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공간을 적게 점유하게 하고, 그리고 수직바(11)에 대한 별도의 가공을 가하지 않고서도 앵글(20)만에 의해 수직바(11)에 수평바(12)를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가 현저하게 감소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결합되는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수평바(12)에 형성된 암형부(12b)에 앵글(20)의 수평부(22)가 암수결합만 되게 하면, 자연스럽게 앵글(20)의 수직부(21)와 수평부(22)가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수직바(11)의 중앙과 수평바(12)의 중앙에 위치결정되게 되어, 고소작업을 하는 자업자가 편안하게 앵글(20)의 수직부(21)와 수평부(22)를 수직바(11)와 수평바(12)에 볼트(B)에 의해 체결고정시키게 하여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외력이 앵글(20)에 인가될 경우에도 앵글(20)을 수직바(11) 및 수평바(12)에 결합시키는 볼트(B) 이외에도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상기 암형부(12B)의 한 쌍의 돌출편(12a)에 응력이 분산되어 볼트(B)가 파손되지 않아 수직바(11)와 수평바(12) 간의 결합이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외벽마감틀, 11: 수직바, 12: 수평바, 12a: 돌출편, 12b: 암형부, 20: 앵글, 21: 수직부, 22: 수평부, 23: 구멍, B: 볼트

Claims (5)

  1.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고, 장방형 틀의 단면을 가진 복수개의 수직바(11);
    수평방향에서 그리고 수직방향에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수직바(11) 중 서로에 인접하여 마주하는 수직바(11)의 측벽에 양단이 접촉되고, 장방형 틀의 단면을 가진 복수개의 수평바(12); 및
    상기 복수개의 수평바(12)의 양단에 수평부(22)가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바(12)의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수직부(21)가 결합된 복수개의 앵글(20)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외벽마감틀(10)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2)의 윗면과 밑면 각각에는, 상기 앵글(20)의 수평부(22)가 숫형부가 되어 상기 수평부(22)와 끼워맞춤되어 암수결합될 수 있는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건축물의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그리고 상기 수평바(12)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돌출편(12a)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암형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볼트(B)가 관통하는 구멍(23)이 상기 수직부(21)와 수평부(22)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2)는 상기 외벽의 두께방향에서 상기 수직바(1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20)은 외벽의 두께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수평바(12)의 폭보다 작은 수평부(22)와 수직부(21)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22)의 두께는 상기 한 쌍의 돌출편(12a)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1)와 상기 앵글(20)은 철재질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상기 수평바(12)는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 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KR1020220101272A 2022-08-12 2022-08-12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KR20240022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272A KR20240022794A (ko) 2022-08-12 2022-08-12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272A KR20240022794A (ko) 2022-08-12 2022-08-12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794A true KR20240022794A (ko) 2024-02-20

Family

ID=9005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272A KR20240022794A (ko) 2022-08-12 2022-08-12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7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075B1 (ko) 무용접 하지 트러스 철물
KR102271453B1 (ko)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KR101463222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 구조체
KR101168137B1 (ko) 건축용 패널 결합구조
KR101447360B1 (ko) 결합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패널 횡벽 설치방법
KR102258311B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240022794A (ko) 건축물의 외벽마감틀에 구비된 수직바와 수평바 간의 결합구조
JP4945428B2 (ja) 補強構造
JP5904052B2 (ja) 薄板軽量形鋼造の上下階の連結構造
US11879254B2 (en) Securing member and wall structure
KR102344554B1 (ko) 프레임 구조물 체결 구조
KR102112551B1 (ko)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장치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20080051395A (ko) 알루미늄 폼의 높이조절용 스페이스 필러
KR100724525B1 (ko) 건축용 조립식 흙막이 구조
JP2016113839A (ja) 大判化外壁パネル
JPH1143994A (ja) Rc造の扁平梁
KR102582701B1 (ko) 일방향 설치가 가능한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102590550B1 (ko)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102530366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KR200493607Y1 (ko) 건축용 복합 유로폼
RU2752379C1 (ru) Одностенная панель
KR200336132Y1 (ko) 데크플레이트
CN217840834U (zh) 钢结构外脚手架连墙结构及外脚手架
KR102406336B1 (ko) 벽체 고정용 프레임 보강재 구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