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351A -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 - Google Patents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351A
KR20240022351A KR1020220100922A KR20220100922A KR20240022351A KR 20240022351 A KR20240022351 A KR 20240022351A KR 1020220100922 A KR1020220100922 A KR 1020220100922A KR 20220100922 A KR20220100922 A KR 20220100922A KR 20240022351 A KR20240022351 A KR 2024002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rungji
powder
activity
fermented
sl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봉근
Original Assignee
베큘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큘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큘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351A/ko
Publication of KR2024002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로 굼벵이를 발효하여 제조된 굼벵이 발효 분말을 누룽지 도포하여, 굼벵이가 가지는 단백질, 불포화 지방신, 식이 섬유 등의 영양 성분이 강화되며, 특히 단백질은 발효 균주의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소화흡수가 용이한 형태의 저분자 펩티드 형태로 함유된 누룽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간 기능 개선 당뇨병 개선, 혈전증 개선 등에 굼벵이가 가지는 다양한 생리 활성을 누룽지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이토카인(TNF-α, IFN-γ, IL1-β, IL-10, IL-12 등) 분비, NK cell 활성도 및 세포증식률, 대식세포의 탐식능(Phagocytic Activity)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우수한 면역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살아 있는 상태로 함유하도록 하여 면역 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Nurungji with probiotic activity}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백질, 불포화 지방신, 식이 섬유 등의 영양 성분이 강화됨과 동시에 면역 기능 증진의 프로바이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누룽지는 밥을 지을 때 밥의 일부가 솥 바닥에 눌어붙어 생성되는 것을 말하며, 눌은밥이라고도 하며, 물을 추가로 첨가해 누룽지탕으로도 먹기도 한다.
상기한 누룽지는 건조하게 되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소하고 바삭한 간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누룽지 그대로 또는 누룽지탕으로 하여 간편식으로 이용할 수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누룽지는 백미, 현미, 보리, 귀리 등 곡물로 이루어져 있어 주요 영양성분이 탄수화물일 수밖에 없어 영양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하나로 단백질을 보강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것입니다.
그 예로는 밥에 쌍별 귀뚜라미 분말을 첨가한 후에 누룽지를 제조하여 누룽지에 단백질 성분을 보강하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20-0071478호의 발명, 오징어, 문어, 낙지, 닭 가슴살, 소고기, 오리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및 칠면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백질 칩을 밥에 부가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단백질 성분을 보강하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21-0046949호의 발명을 들 수 있다.
또한, 영양성분이 아닌 기능성 성분을 누룽지에 보강하여 기능성 누룽지를 개시하고 있는데, 그 예로는 홍삼과 함께 취반하여 홍삼 밥을 제조하고, 홍삼 밥에 콩, 율무, 깨, 건 버섯, 건 당근, 건 케일, 건 호두, 건 잣 및 견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선식 가루를 부가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능성을 부가하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3489호의 발명 및 천년초 액상 즙을 밥에 부가하여 천년초의 활성을 누룽지에 부가하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21-0039769호의 발명을 들 수 있다.
다만, 적당량을 섭취했을 때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유익 균(菌)을 누룽지에 함유시켜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가지는 누룽지는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단백질원을 공급하면서 누룽지가 유효한 활성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 또한 개발되어 있지 않다.
1.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20-0071478호 2.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21-0046949호 3.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3489호 4.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21-0039769호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영양성분으로 단백질, 불포화 지방산, 식이섬유 등을 보강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생리 기능 활성. 특히 면역 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TC14828BP인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굼벵이를 발효하여 건조한 굼벵이 발효 분말을 누룽지의 표면에 도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에 있어서, 상기 건조 굼벵이 발효 분말의 도포 중량은 상기 누룽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는 상기 건조 굼벵이 발효 분말에 프리바이오틱스 분말을 더 포함하여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분말의 도포 중량은 상기 누룽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로 굼벵이를 발효하여 제조된 굼벵이 발효 분말을 누룽지 도포하여, 굼벵이가 가지는 단백질, 불포화 지방신, 식이 섬유 등의 영양 성분이 강화되며, 특히 단백질은 발효 균주의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소화흡수가 용이한 형태의 저분자 펩티드 형태로 함유된 누룽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간 기능 개선 당뇨병 개선, 혈전증 개선 등에 굼벵이가 가지는 다양한 생리 활성을 누룽지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이토카인(TNF-α, IFN-γ, IL1-β, IL-10, IL-12 등) 분비, NK cell 활성도 및 세포증식률, 대식세포의 탐식능(Phagocytic Activity)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우수한 면역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살아 있는 상태로 함유하도록 하여 면역 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는 탄수화물뿐만 아니라, 소화흡수 용이한 저분자 펩티드 형태의 단백질, 불포화 지방산, 식이 섬유, 미네랄, 비타민을 함유하여 영양 측면에서 완전체 형태의 간식 내지 간편식으로 이용되면서, 동시에 간 기능 개선 당뇨병 개선, 혈전증 개선 등에 굼벵이가 가지는 다양한 생리 활성 및 면역력이 증강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여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1 내지 4는 논문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일반성분 및 유해물질 분석( 연구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정미연, 권은영, 황재삼, 구태원, 윤은영, 발간일: 2013.05.07)"에서 확인되는 굼벵이 영양성분, 아미노산 함량, 지방 구성 및 미네랄 함량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누룽지 영양성분의 보강을 위하여 단백질원을 누룽지에 부가하면서 부가된 단백질원이 체내에서 소화 흡수를 위하여 저분자 펩티드 내지 아미노산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누룽지를 섭취하였을 때 섭취자의 면역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에 완성된 것으로서, 단백질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굼벵이를 발효한 후 발효균주가 살이 있는 상태에서 분말로 제조하여 이 분말을 누룽지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이를 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 굼벵이 발효 분말의 제조 및 제조된 누룽지표면에 굼벵이 발효 분말 도포를 통하여 목적하는 누룽지를 제조한다.
상기 누룽지의 제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이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발효 균주가 살아 있어야 하므로 열이 가해지는 누룽지 성형이 완료된 후에 굼벵이 발효 분말을 도포하게 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누룽지 제조 방법을 수정할 필요가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방법의 예로는, 백미, 현미, 보리, 귀리 등 다양한 곡물을 씻어준 뒤, 물에 2~4시간 정도 담가 불린 후, 상기 물에 불린 곡물을 1.2~1.5배 중량의 물을 넣고 밥을 짓은 다음에 밥을 성형 틀에 고르게 펴 넣고 170∼220℃의 온도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백질 등 영양 성분이 강화되고 섭취자의 면역 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가지는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누룽지에 후술하는 방법으로 발효한 발효 굼벵이 분말을 누룽지에 도포하게 되는데, 이 도포는 상온으로 식혀진 누룽지의 표면에 발효 굼벵이 분말을 뿌린 다음에 포장하는 법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누룽지의 표면에 분말을 묻힐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제조된 누룽지의 표면은 매끈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표면의 요철 등 굴곡이 있는 사이에 굼벵이 발효 분말이 들어가 유통 과정에서도 표면에 충분한 양의 분말이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유통 과정에서 분말이 누룽지와 분리되는 경우에도 포장 내부에 있으므로 이는 유통 과정에서 부스러진 누룽지에 함께 있으므로 섭취자에게 떨어져 있는 분말도 섭취하도록 하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굼벵이 발효 분말의 도포량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장내 균총의 변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등을 고려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복용 용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시험 결과, 건조 굼벵이 발효 분말의 도포 중량은 누룽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이다.
이어서, 굼벵이 발효 분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으로, 단백질이 풍부하고 간 기능 개선 당뇨병 개선, 혈전증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약리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기능성 식품의 대체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굼벵이의 유효성분으로는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등의 불포화 지방산, 동물성 식이섬유인 키틴질, 각종 미네랄 또는 비타민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발효 분말은 사이토카인(TNF-α, IFN-γ, IL1-β, IL-10, IL-12 등) 분비, NK cell 활성도 및 세포증식률, 대식세포의 탐식능(Phagocytic Activity)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우수한 면역기능 증진 효과를 가지도록 굼벵이 분변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굼벵이를 발효하여 분말로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굼벵이 분변을 배양하여 분리 동정한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16S r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한 결과 Genome이 99% 이상 일치하여 이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PB2441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2021년 12월 15일자로 한국생물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였으며, 그 기탁번호는 KCTC14828BP이며, 또한, 이 균주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발효 방법 및 발효 굼벵이 분말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발효 굼벵이 분말과 함께 프리바이오틱스 분말을 누룽지 표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프리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강화할 수 있는 유익 균의 먹이가 되는 영양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프리바이오틱스로 알려진 성분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며, 그 예로는 난소화성(難消化性) 탄수화물, 즉 프락토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리바이오틱스 분말의 도포량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장내 균총의 변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등을 고려하여 프리바이오틱스 복용 용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시험 결과, 프리바이오틱스 분말의 도포 중량은 누룽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이다.
본 발명과 같이 굼벵이 분말을 누룽지에 함유하였을 때 누룽지에 포함될 수 있는 영양성분은 논문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일반성분 및 유해물질 분석( 연구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정미연, 권은영, 황재삼, 구태원, 윤은영, 발간일: 2013.05.07)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굼벵이 100g 당 영양성분은 도 1 내지 4에 표시한 바와 같으며, 굼벵이 분말을 도포함에 의해 단백질, 불포화지방산,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성분이 함유됨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시험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 굼벵이 분말 도포
본 발명에 사용된 건조 굼벵이는 에이치엠오 건강드림(태안,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냉장보관하였으며, 굼벵이의 발효에는 기탁번호 KCTC14828BP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PB2441 균주를 사용하였다.
동결하여 보관된 상기 균주를 30℃, 100rpm 조건하에 1일 동안 OD 660nm 값이 1.7~1.8이 될 때까지 전 배양한 후, 균주의 활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30℃, 100rpm 조건하에 1일 동안 OD 660nm 값이 1.7~1.8이 될 때까지 1차 계대 배양하였다. 그 후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pellet)만 획득한 후 멸균수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균체를 현탁하였다.
그 후 멸균한 굼벵이 시료 300g에 균주 300㎖를 접종한 후 촉촉해질 정도로 멸균수를 추가하였으며, 중간 중간 멸균수로 버무려주며 30℃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굼벵이 발효물은 2일 동안 자연 건조한 다음에 분말로 제조하여 이 분말을 제조하여 상온으로 식혀 둔 누룽지 표면에 도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누룽지는 백미 1,000g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물에 2~4시간 정도 담가 불린 후, 압력 밭 솥에 넣고 물 1.5L를 부어서 밥을 지은 다음 온도를 210℃로 세팅한 누룽지 기계의 원형 틀에 밥을 4g씩 펼친 다음에 기계를 작동하여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굼벵이 발효 분말의 도포량은 누룽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8중량부 이었다.
<시험예 1: 대식세포 사용 면역증진 효능 평가>
1-1) 세포 독성 평가( LDH leakage and CCK -8 assay)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 264.7 cell line을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세포 농도가 5Х105 cells/㎖가 되도록 현탁하고, 96-well plate에 100㎖씩 분주하여 실시예 1의 누룽지를 분말로 한 시료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처리 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 독성은 CCK-8 assay kit 및 Cytotoxicity LDH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
(mg/ml)
LDH
(Fold of control)
(24 hr)
MTT
(% of control)
(24 hr)
정상군 - 1.00±0.02 100.0±2.85
실시예 1 100 0.98±0.02 98.9±3.3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우스 Raw 264. 7 대식세포에 100mg/ml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한 후 LDH assay와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1-2) 사이토카인 분비능 측정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 264.7 cell line을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세포 농도가 5Х105cells/㎖가 되도록 현탁하여 96-well plate에 100㎖씩 분주하였다.
시료를 100m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TNF-α 3시간, IFN-γ 30시간, IL-1β 30시간, IL-10 20시간, IL-12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 상층액에서 배양 배지로 분비된 사이토카인(TNF-α, IFN-γ, IL1-β, IL-10, IL-12)의 양을 ELISA kit(R&D system)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old
TNF-α IFN-γ IL-1β IL-10 IL-12
정상군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 23.75 187.21 2.59 3.94 10.55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사이토카인 분비를 현저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1-3) 대식세포 탐식능(Phagocytic Activity) 측정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 264.7 cell line을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세포 농도가 5Х105[0135] cells/㎖가 되도록 현탁하여 96-well plate에 100㎖씩 분주하였다.
시료를 100mg/ml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한 후, 100㎕의 fluorescein-5-isothiocyanate(FITC)-labeled E. coli (Molecular Probe, Eugene, OR, U.S.A.)를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상층액 중에 남아있는 탐식 되지 않은 세포를 세척하여 제거하고, 형광분석기로 FITC를 분석하여 탐식된 E.coli를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력을 cck-8 assay로 측정하여 대식세포 활성도를 보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었다.
대식세포 탐식능(Phagocytic activity)
NA 361.5±2.77
실시예 608.3±2.51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Phagocytic Activity를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ICR mouse의 비장 세포 사용 면역증진 효능 평가>
2-1) ICR mouse의 비장 세포 증식능 측정
비장 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ICR mouse에서 무균적으로 비장을 적출한 후 RPMI 1640 용액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분리된 세포 현탁액을 200 mesh stainless steel sieve에 통과시 후 4℃, 1,2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였다.
cell pellet을 ACK buffer에 5분간 현탁시켜 적혈구를 제거하고, 유출된 비장세포는 10% fetalbovine serum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하고 있는 RPMI 1640에 세포의 농도가 1Х105cell/㎖가 되도록 현탁하여 96 well plate에 각각 200㎖씩을 분주하였다.
시료를 100mg/ml의 농도로 72시간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비장세포의 증식을 CCK-8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WST-1 (72 hr)
정상군 100.0±1.8
실시예 136.5±5.2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장 세포 증식률을 현저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사이토카인 분비능 측정
비장 세포의 농도가 5Х105cells/㎖가 되도록 현탁하여 96-well plate에 200㎖씩 분주하였다.
시료를 100m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TNF-α 3시간, IFN-γ 30시간, IL-1β 30시간, IL-10 20시간, IL-12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 상층액에서 배양 배지로 분비된 사이토카인(TNF-α, IFN-γ, IL1-β, IL-10, IL-12)의 양을 ELISA kit(R&D syste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old
TNF-α IFN-γ IL-1β IL-10 IL-12
정상군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95.34 1100.48 3.79 11.71 37.21
상기 표 5의 결과를 보면 사이토카인 분비를 현저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시험예 3: 면역억제제인 Cyclophosphamide 유도 면역억제 동물모델에서 시료의 면역증진 효능 측정(in vivo assay)>
3-1) 실험 방법
6주령 SPF ICR mouse(체중: 20 ± 2 g)를 ㈜ 샘타코로부터 구입하여, 면역억제제인 cyclophosphamide를 80mg/kg 농도로 3일 동안(1회/day) 복강 투여한 후, 100mg/ml농도로 16일 간 경구로 1 일 1 회 투여하였다.
3-2) NK cell 활성도 및 세포증식률 측정
NK cell 활성도는 CCK-8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3-1)의 실험 종료 후 비장을 적출하고, 비장에서 분리한 Splenocytes(1 Х 106cells/mL)를 분리하여 100㎕를 96 well plate에서 배양하였다.
T-cell mitogen인 conA(2㎍/ml)를 처리한 후 target 세포인 YAC-1 cells (1 Х 104cells/mL)을 100 ㎕ 혼합하여 20시간 세포배양기에 배양하였다. 배양 후 CCK-8을 첨가한 후 4시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Cytotoxicity of Spleen NKcells(%) Stimulation Index
정상군 41.2±1.7 1.35±0.2
Cyclophosphamide 28.3±1.6 0.83±0.1
실시예 40.4±1.5 1.32±0.2
표 6의 결과를 보면, Cyclophosphamide 투여군에서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NK 세포 활성도 및 세포증식 정도가 감소했지만 실시예 투여군에서는 Cyclophosphamide(CTX)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NK 세포 활성도 및 세포증식능이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로 굼벵이를 발효하여 제조된 굼벵이 발효 분말을 누룽지 도포하여, 굼벵이가 가지는 단백질, 불포화 지방신, 식이 섬유 등의 영양 성분이 강화되며, 특히 단백질은 발효 균주의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소화흡수가 용이한 형태의 저분자 펩티드 형태로 함유된 누룽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간 기능 개선 당뇨병 개선, 혈전증 개선 등에 굼벵이가 가지는 다양한 생리 활성을 누룽지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이토카인(TNF-α, IFN-γ, IL1-β, IL-10, IL-12 등) 분비, NK cell 활성도 및 세포증식률, 대식세포의 탐식능(Phagocytic Activity)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우수한 면역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살아 있는 상태로 함유하도록 하여 면역 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는 탄수화물뿐만 아니라, 소화흡수 용이한 저분자 펩티드 형태의 단백질, 불포화 지방산, 식이 섬유, 미네랄, 비타민을 함유하여 영양 측면에서 완전체 형태의 간식 내지 간편식으로 이용되면서, 동시에 간 기능 개선 당뇨병 개선, 혈전증 개선 등에 굼벵이가 가지는 다양한 생리 활성 및 면역력이 증강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여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4828BP 20211215

Claims (4)

  1. 기탁번호 KCTC14828BP인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굼벵이를 발효하여 건조한 굼벵이 발효 분말을 누룽지의 표면에 도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단백질이 보강되고 면역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굼벵이 발효 분말의 도포 중량은 상기 누룽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이 보강되고 면역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굼벵이 발효 분말에 프리바이오틱스 분말을 더 포함하여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이 보강되고 면역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분말의 도포 중량은 상기 누룽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이 보강되고 면역기능 증진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보이는 누룽지.



KR1020220100922A 2022-08-11 2022-08-11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 KR20240022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922A KR20240022351A (ko) 2022-08-11 2022-08-11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922A KR20240022351A (ko) 2022-08-11 2022-08-11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351A true KR20240022351A (ko) 2024-02-20

Family

ID=9005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922A KR20240022351A (ko) 2022-08-11 2022-08-11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35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478A (ko) 2018-12-11 2020-06-19 박종갑 기능성 단백질을 함유한 누룽지 도우의 제조방법
KR20210039769A (ko) 2019-10-02 2021-04-12 굿데이영농조합법인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20210046949A (ko) 2019-10-21 2021-04-29 김진우 단백질 누룽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478A (ko) 2018-12-11 2020-06-19 박종갑 기능성 단백질을 함유한 누룽지 도우의 제조방법
KR20210039769A (ko) 2019-10-02 2021-04-12 굿데이영농조합법인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20210046949A (ko) 2019-10-21 2021-04-29 김진우 단백질 누룽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9578A (zh) 一种益生菌制品及其制备方法
CN104886572A (zh) 一种果蔬酵素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814502A (zh) 一种益生菌谷物饮料与粉剂及其制备方法
CN105053866B (zh) 一种润肠通便的复合胚芽粉及其制备方法
CN103271274B (zh) 一种营养保健粥
KR101386879B1 (ko) 현미 및 모링가를 주재로 하여 복합유산균 발효에 의해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유산균 발효식품
CN110013027A (zh) 一种糙米酵素粉的发酵生产方法
CN106804718A (zh) 一种提高免疫力的牦牛酸奶粉及其制备方法
CN105754876B (zh) 一种青稞米曲、青稞米曲产品及其制备方法
CN102742653B (zh) 一种健脑安神益生菌羊奶片及其制备方法
KR101286214B1 (ko)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KR102087050B1 (ko) 닭 가슴살 육질 개선용 구기자 유산균 발효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닭가슴살 연화처리 방법
KR20240022351A (ko)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누룽지
KR101220131B1 (ko) 효소 현미 및 효소 현미의 제조 방법
CN102160640B (zh) 地龙食疗营养食品生产方法
Noomhorm et al. Functional foods, nutraceuticals and probiotics as functional food components
KR101165955B1 (ko) 당귀, 지황, 홍삼이 함유된 한방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청국장 분말?환의 제조방법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8478B1 (ko) 기능성 매실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4009508A (zh) 一种调理肠胃健康改善肥胖的营养组合奶粉及其制备方法
CN113287699A (zh) 一种沙枣酵素及其制备工艺
KR20120122532A (ko) 미생물이 첨가된 맛김의 제조방법
Ayyadurai et al. Beneficial role of fermented rice in healthy lifestyle
KR20200113720A (ko)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10800965A (zh) 一种便携即食酵素鹿汤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