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720A -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720A
KR20200113720A KR1020190034313A KR20190034313A KR20200113720A KR 20200113720 A KR20200113720 A KR 20200113720A KR 1020190034313 A KR1020190034313 A KR 1020190034313A KR 20190034313 A KR20190034313 A KR 20190034313A KR 20200113720 A KR20200113720 A KR 20200113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fermented
onggi
yaktangg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실
Original Assignee
이은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실 filed Critical 이은실
Priority to KR102019003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720A/ko
Publication of KR2020011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소재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식물성 소재의 분말을 옹기약탕기에 물과 함께 넣어 열수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가하고 발효하여 유산균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healthful beverage}
본 발명은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추출효율이 높고,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효유, 치즈, 김치, 된장과 같은 발효식품은 인류가 기원전 3000년경부터 섭취해 왔는데 각 지역의 토착미생물이 식품원료에 자연 접종된 결과 생성된 것으로 독특한 관능특성을 갖는 지역 고유의 식문화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게다가 발효식품의 생리활성 작용이 알려지면서 이제 발효식품은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성 노화예방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및 비피도박테리움과 같은 유산균은 당류를 발효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서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는 사람의 장내에서 우세균으로 분포하여 체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생균 활성제(probiotics)로서 위장기능 개선,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저해, 면역조절, 영양소의 흡수 및 이용율을 높히는 등 다양한 질병 예방효과와 생리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진 각광받는 건강기능성 식품소재이다(참조: Goldin, B.R., Br. J. Nutr., 80:203-207, 1998; Fuller R., J. Applied Bacteriology, 66:365-378, 1989).
과거에는 주로 우유를 이용하여 유산균 발효음료로서 제조하여 왔으나 유당 불내증 환자나 우유의 콜레스테롤함량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참조: Shah N.P., J. Dairy Sci., 83:894-907, 2000; Shah N.P., Food Technol., 55:46-53, 2005), 최근 캡슐, 타블렛, 동결건조제품 등 다양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수요가 증가하면서 인삼, 콩, 쌀, 감자, 양배추, 알로에, 매실, 한약재, 녹차, 비타민A와 C 등 여러가지 식품소재를 이용하여 발효하거나 또는 첨가하여 식품의 기능성 강화는 물론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킨 발효식품으로서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발효되지 않아 발효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관능적인 품질 역시 하락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어왔다. 더욱이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효를 수행한 경우에도 전초를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 추출효율이 떨어져 대량의 원료가 필요하고 관능적인 품질 역시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추출효율이 높고,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식물성 소재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식물성 소재의 분말을 옹기약탕기에 물과 함께 넣어 열수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가하고 발효하여 유산균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2) 상기 (1)에 있어서,
분쇄는 극저온분쇄법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3) 상기 (1)에 있어서,
식물성 소재는 야관문, 민들레, 및 헛개열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4) 상기 (1)에 있어서,
식물성 소재는 야관문, 민들레, 및 헛개열매의 혼합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옹기약탕기는 일측에 적어도 1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가 매설되어 내부로 초음파를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옹기약탕기의 내측면에는 초음파 진동자의 아래 위치에 와류형성 돌기가 형성되어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7)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옹기약탕기는 약탕기 소재에 적어도 5중량% 이상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8) 상기 (1) 내지 (7)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발효 건강음료.
본 발명에 의하면 추출효율이 높고, 항산화활성 및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유산균발효 건강음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약탕기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은 식물성 소재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식물성 소재의 분말을 옹기약탕기에 물과 함께 넣어 열수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가하고 발효하여 유산균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 1에 도시한 과정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험에 사용되는 원료는 식물성 소재로는 예를 들어, 야관문, 민들레, 헛개열매, 작두콩, 결명자, 황기, 인삼, 개똥쑥, 노니, 초석잠, 석창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소재는 분쇄하여 200 mesh 이하의 분말상태로 준비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수행하는 분쇄는 미분쇄, 일반분쇄, 및 극저온분쇄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극저온분쇄법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저온분쇄법은 -120~-180℃에서 통상적인 방식에 따라 수행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분쇄된 식물성 소재는 옹기약탕기로 열수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옹기약탕기에 의해 열수추출하는 경우 기존의 스테인레스 추출기에 의한 추출방법에 비하여 추출효율이 높고 생리활성물질을 다량으로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기약탕기(100)는 일측에 적어도 1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10)가 매설되어 내부로 초음파를 전파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추출과정에서 잔여 세포벽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하여 추출효율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옹기약탕기(100)는 내측면에 초음파 진동자(10)의 아래 위치에 와류형성 돌기(20)가 형성되어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추출과정에서 대류로 인해 추출액이 중심부근에서 하강하여 내벽면을 타고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류형성 돌기(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초음파를 보다 오랜 시간동안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와류형성으로 인한 균질한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추출효율을 보다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옹기약탕기(100)는 황토를 재질로 하면서 약탕기 소재에 적어도 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중량%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좋다. 황토로 만든 약탕기에서 내뿜는 원적외선 효과와 일정량 이상 함유된 게르마늄의 효능이 특별한 것은 게르마늄이 다량의 산소를 머금고 있다는 것이다. 게르마늄은 산소의 효율적인 활용을 돕는 산소촉매제의 역할을 하며, 특히, 인체에 유기 게르마늄을 공급할 경우 여분의 산소는 혈액에 생명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만성산소결핍 현상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사실이 현대 의학에 의해 밝혀지게 되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기약탕기는 분쇄된 식물성 소재의 사용으로 추출효율을 높이고 발효시 더욱 활발한 산소공급과 대류현상으로 인하여 스테인레스 약턍기 뿐만이 아니라 다른 옹기형 약탕기보다도 우수한 관능적 품질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열수추출은 식물성 소재의 중량 대비 1∼10배의 물을 가하여 80∼120℃하에 1∼12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옹기약탕기를 통해 얻은 추출물은 유산균 발효과정에 제공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L. plantarum, L. casei, L. rhamnosus, L. acidophilus, L. acidophilus, L. reuteri, L. fermentum, Bi. longum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균주로써 이루어지고 특별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추출물의 중량 대비 0.01∼1.00 중량% 접종하여 발효한다. 상기 발효과정은 30∼38℃의 온도 범위에서 산도(pH)가 3.5∼4.5가 될 때까지 10∼20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과정은 바람직하게는 옹기약탕기에서 추출과정이 종료된 이후에 후속하여 진행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배양물은 각종 당질, 유화제, 비타민, 산미료, 감미료, 과즙, 물, 향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당질로는 포도당, 과당, 서당, 봉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유화제로는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배양물을 건조하여 유산균을 함유하는 분말상, 정제상 등의 식품 또는 제제로서도 좋다. 이들 배양물 가공수단 및 가공제품의 형태에는 이들이 균을 사멸시키지 않는 한 어떠한 제한도 없다.
고상 발효물의 제조를 위해 상기 과정에 의해 얻어진 액상 배양물을 급속 동결실에서 -35℃∼-40℃의 온도로 20∼25시간동안 급속 동결시킨 다음 진공 동결 건조기내에서 1∼0.1토르(Torr)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발효물의 초기 품온이 -25℃∼-35℃에서부터 최종 품온이 40∼50℃에 이를 때까지 30∼50시간동안 동결 건조한 다음 일정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면 최종 제품인 고형의 유산균 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얻어지는 발효물은 갈변현상이 억제되고, 다양한 유기산의 함량이 풍부하고 생리활성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관능성 및 기능성에서 우수한 발효물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야관문 전초를 -180℃에서 극저온분쇄법을 이용하여 200 mesh 이하의 분말상태로 준비하였다. 상기 분말을 시판 옹기약탕기에 넣고 여기에 중량 대비 6배의 물을 가하여 90℃하에 10시간 추출하였다.
옹기약탕기 내의 추출물에 L. plantarum, L. casei, L. rhamnosus, L. acidophilus, L. acidophilus, L. reuteri, L. fermentum, Bi. longum으로 이루어진 혼합균주를 추출물의 중량 대비 0.50 중량% 접종하여 35℃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실시예 2]
민들레 전초를 -160℃에서 극저온분쇄법을 이용하여 200 mesh 이하의 분말상태로 준비하였다. 상기 분말을 옹기약탕기에 넣고 여기에 중량 대비 8배의 물을 가하여 80℃하에 12시간 추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옹기약탕기를 통해 얻은 추출물을 회수하여 L. plantarum, L. casei, L. rhamnosus, L. acidophilus, L. acidophilus, L. reuteri, L. fermentum, Bi. longum으로 이루어진 혼합균주를 추출물의 중량 대비 1.00 중량% 접종하여 35℃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실시예 3]
헛개열매를 -180℃에서 극저온분쇄법을 이용하여 200 mesh 이하의 분말상태로 준비하였다. 상기 분말을 옹기약탕기에 넣고 여기에 중량 대비 10배의 물을 가하여 90℃하에 12시간 추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옹기약탕기를 통해 얻은 추출물을 회수하여 L. plantarum, L. casei, L. rhamnosus, L. acidophilus, L. acidophilus, L. reuteri, L. fermentum, Bi. longum으로 이루어진 혼합균주를 추출물의 중량 대비 1.00 중량% 접종하여 35℃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실시예 4]
야관문 전초, 민들레 전호, 및 헛개열매를 -180℃에서 극저온분쇄법을 이용하여 200 mesh 이하의 혼합분말상태로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분말을 옹기약탕기에 넣고 여기에 중량 대비 6배의 물을 가하여 90℃하에 10시간 추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옹기약탕기를 통해 얻은 추출물을 회수하여 L. plantarum, L. casei, L. rhamnosus, L. acidophilus, L. acidophilus, L. reuteri, L. fermentum, Bi. longum으로 이루어진 혼합균주를 추출물의 중량 대비 0.50 중량% 접종하여 35℃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실시예 5]
작두콩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6]
결명자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7]
황기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8]
인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9]
개똥쑥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10]
노니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초석잠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석창포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13]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옹기약탕기(황토재질)를 제작하여, 상기 옹기약탕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14]
게르마늄의 함량이 5중량% 함유된 옹기약탕기(황토재질)를 제작하여, 이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액상 발효물을 얻었다.
[실험예 1] 관능검사
실시예 1 내지 14에 의해 얻어진 액상의 배양물을 대상으로 미각이 발달한 젊은 20대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수행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은 분말상태의 소재가 아닌 야관문 전초를 분쇄하지 않고 추출한 것이고, 비교예 2는 일반분쇄 방법에 의해 분쇄된 분말상태의 야관문을 대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의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으로 하였다.
품질특성
구분 전반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5 4.6 4.7 4.6
실시예 2 4.5 4.6 4.6 4.6
실시예 3 4.5 4.6 4.7 4.6
실시예 4 4.6 4.7 4.8 4.7
실시예 5 4.5 4.6 4.7 4.6
실시예 6 4.5 4.6 4.6 4.6
실시예 7 4.5 4.6 4.7 4.6
실시예 8 4.5 4.5 4.6 4.5
실시예 9 4.6 4.7 4.7 4.7
실시예 10 4.5 4.5 4.6 4.5
실시예 11 4.5 4.6 4.6 4.6
실시예 12 4.6 4.6 4.6 4.6
실시예 13 4.7 4.8 4.9 4.8
실시예 14 4.9 5.0 5.0 4.9
비교예 1 3.5 3.5 3.6 3.5
비교예 2 3.4 3.4 3.5 3.4
♪-1. 아주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좋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검사항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양 발효물은 관능적 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예 2] 추출효율
실시예 1 내지 14에 의해 얻어진 각 추출물의 고형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고형분(%) 8.5 8.7 8.6 9.1 10.3 8.7
구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고형분(%) 8.6 8.7 8.7 8.8 8.4 8.5
구분 실시예 13 실시예 14 비교예 2 비교예 2
고형분(%) 11.6 12.5 7.3 7.2
♪-1. 아주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좋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검사항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양 발효물의 추출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실시예 13 및 14의 경우 세포벽의 파쇄 및 균질한 혼합으로 인해 추출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3] 항산화능 실험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추출한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1,1-다이페닐 1-2 피크릴하이드라일(DPP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에 DPPH 용액을 혼합한 후, 효소면역분석기(Microplate reader)(VERSAmax, Molecular Device, CA, USA)를 이용하여 5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과 같이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험 결과 아래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여준다.
샘플 항산화 활성(%)
실시예 1 74.56
실시예 2 74.63
실시예 3 74.58
실시예 4 76.32
실시예 5 75.10
실시예 6 74.86
실시예 7 74.37
실시예 8 72.19
실시예 9 75.33
실시예 10 76.02
실시예 11 74.61
실시예 12 75.43
실시예 13 79.37
실시예 14 81.52
비교예 1 46.22
비교예 2 59.34
[실험예 4] 발효물의 품질측정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얻은 발효물의 pH, 유산균수, 및 유기산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pH는 발효개시 후 6시간 이후 5.23~4.98로 감소한 후 배양 12시간에 3.78~3.89로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유산균 총수는 실시예 모두 접종 후 12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12시간 이후 완만하게 증가하여 배양 18시간에는 2.01x108 ~3.21x108 CFU/g까지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유산균 발효물인 요구르트의 성분 규격은 신선한 액상과 호상 요구르트의 생균수는 각각 107과 108 CFU/ml 이상으로 되어 있어 본 실험 결과를 활용하여 액상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경우 생균수 측면에서 매우 적합한 것임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14의 경우 3.21x108 CFU/g로 가장 좋은 결과가 관측되었다.
배양시간에 따라 유기산의 농도를 HPLC로 분석한 결과, 젖산과 초산은 배양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유기산 농도는 젖산이 0.198~0.273%, 초산이 0.186~0.240%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유기산이 발효물의 관능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실시예 13 및 14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관측되었다.
배양시간에 따른 유기산의 생성
샘플 유기산
실시예 1 젖산 초산
실시예 2 0.201 0.196
실시예 3 0.198 0.186
실시예 4 0.215 0.192
실시예 5 0.205 0.197
실시예 6 0.203 0.190
실시예 7 0.205 0.188
실시예 8 0.208 0.201
실시예 9 0.204 0.200
실시예 10 0.201 0.198
실시예 11 0.212 0.197
실시예 12 0.209 0.197
실시예 13 0.242 0.210
실시예 14 0.273 0.240
비교예 1 0.077 0.062
비교예 2 0.142 0.151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얻어진 발효액이 비교에에 비하여 다량의 유기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또한 그 발효물은 관능적으로도 우수하여 이를 이용한 발효제품, 음료, 기타 식품 등의 제조에 원료로 충분히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8)

  1. 식물성 소재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식물성 소재의 분말을 옹기약탕기에 물과 함께 넣어 열수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가하고 발효하여 유산균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분쇄는 극저온분쇄법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식물성 소재는 야관문, 민들레, 및 헛개열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식물성 소재는 야관문, 민들레, 및 헛개열매의 혼합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기약탕기는 일측에 적어도 1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가 매설되어 내부로 초음파를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옹기약탕기의 내측면에는 초음파 진동자의 아래 위치에 와류형성 돌기가 형성되어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기약탕기는 약탕기 소재에 적어도 5중량% 이상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발효 건강음료.
KR1020190034313A 2019-03-26 2019-03-26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200113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13A KR20200113720A (ko) 2019-03-26 2019-03-26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13A KR20200113720A (ko) 2019-03-26 2019-03-26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20A true KR20200113720A (ko) 2020-10-07

Family

ID=7288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313A KR20200113720A (ko) 2019-03-26 2019-03-26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3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0384A (zh) * 2021-06-22 2022-12-23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草本风味发酵乳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0384A (zh) * 2021-06-22 2022-12-23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草本风味发酵乳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8806B (zh) 一种益生菌发酵南瓜、胡萝卜蔬菜粉的制备方法
US20100098728A1 (en) Immunostimulating composition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CN109123295A (zh) 一种益生菌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542977A (zh) 一种含山药提取物和两歧双歧杆菌的保健饮品及制备方法
CN107530387B (zh) 含有双歧杆菌和十字花科蔬菜的经口组合物
JP2003335695A (ja) 大豆発酵物よりなる免疫増強剤、抗腫瘍剤、加工食品および大豆発酵物の製造方法
CN104489092A (zh) 一种含罗汉果提取物和活性长双歧杆菌的保健饮品及其制备方法
US20180116268A1 (en) Synbiotic comprising miracle fruit and probiotics, tablet thereof,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U2009220403B2 (en) Agents for promoting secretion and/or suppressing decrease of adiponectin
CN109566760A (zh) 一种具有溶栓作用的植物蛋白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WO2005032568A1 (ja) 大豆発酵物よりなる免疫増強剤、抗潰瘍剤、加工食品および大豆発酵物の製造方法
KR102305931B1 (ko)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07996708A (zh) 含神秘果与益生菌的共生质、其锭剂及其制备方法
KR20100074382A (ko) 인삼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4634B1 (ko) 체중 조절 효과를 지닌 유산균 발효액
JP2023000116A (ja) 蜂蜜発酵物の製造方法
KR101193338B1 (ko) 고구마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20200113720A (ko) 유산균발효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11248384A (zh) 一种复合益生菌酵素饮品及其制备方法
KR20200145127A (ko) 보리를 포함하는 gaba 함유량이 높은 요구르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요구르트
KR101945207B1 (ko)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4528A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Maldonado et al. Kefir and Kombucha Beverages:: New Substrates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KR101266080B1 (ko) 미생물이 첨가된 맛김의 제조방법
KR20180113002A (ko)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