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991A - 손목 또는 발목용 붕대 - Google Patents

손목 또는 발목용 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991A
KR20240021991A KR1020247004089A KR20247004089A KR20240021991A KR 20240021991 A KR20240021991 A KR 20240021991A KR 1020247004089 A KR1020247004089 A KR 1020247004089A KR 20247004089 A KR20247004089 A KR 20247004089A KR 20240021991 A KR20240021991 A KR 20240021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trap element
region
elastic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베. 바우어파인트
토니 홀터
Original Assignee
바우어파인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어파인트 아게 filed Critical 바우어파인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2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랩 요소를 구비한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영역과 상기 두 개의 탄성 영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튜브 요소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40cm의 길이이다.

Description

손목 또는 발목용 붕대
본 발명은 스트랩 요소를 갖는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에 관한 것이다.
접합대(zygopodium)(즉, 팔뚝 또는 하부 다리)를 바시포듐(basipodium) 및 메타포듐(Metapodium)(즉, 손 또는 발)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말단 관절, 즉 손목 및 발목은 과부하 및 퇴행성 질환에 취약하며, 예를 들어 스포츠 중이나 노화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절은 예방적 또는 치료적 수단으로 분대를 감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손목 및 발복 붕대가 최신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종종, DE 20 2012 004 652 U1 또는 EP 2090 273 A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손목 주위를 둘러싸는 짧은 압축 스트랩이 편직물과 연관될 수 있는 관형 편직물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붕대에는 종종 굴곡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해 관련 안정화 바(bar)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붕대의 경우, 안정화의 높은 정도와 동시에 움직임의 높은 자유도 사이에 항상 불일치가 존재한다. 안정화 바는 또한 종종 성가신 것으로 인식된다. 특히 배구 또는 핸드볼과 같은 일시적인 스포츠 활동 중뿐만 아니라, 자전거 타기와 운전과 같은 일상 활동 중에도 이러한 바는 방해된다.
본 발명은 향상된 기능성을 가지며, 특히 관절의 안정화의 높은 정도를 허용하는 동시에 움직임의 높은 자유도를 보장하는 관절 붕대, 특히 손목 붕대 및 발목 붕대를 제공하는 기술적 과제의 기초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붕대는 가능한 한 단순해야 하며, 특히 붕대를 붙일 때 관리 용이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독립항의 주제에 의해 근본적인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에 관한 것으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영역과 상기 두 개의 탄성 영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튜브 요소에 체결되거나 또는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탄성 튜브 요소와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는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에 관한 것이며, 상기 튜브 요소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튜브 하프와 제2 단부를 갖는 제2 튜브 하프를 가지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거나 체결 가능하며,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고 접합대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 관절을 넘어 바시포듐(basipodium)으로 이어지고, 내부의 상기 바시포듐 또는 메타포듐(metapodium) 주위로 이어지고, 상기 말단 단부 관절을 넘어 상기 접합대까지 등쪽으로 이어져 스스로 교차하고, 상기 접합대 주위로 이어지며, 상기 접합대의 영역에서 제2 단부와 함께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제1 튜브 하프에 가역적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말단 단부 관절, 즉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에 관한 것이며, 탄성 튜브 요소 및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요소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튜브 하프와 제2 단부를 갖는 제2 튜브 하프를 가지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거나 체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거나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40cm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붕대의 스트랩 요소는 관절의 유리한 안정화가 스트랩 요소 자체에 의해 달성되는 방식으로 손목 또는 발목에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한 경우 안정화 바를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안정화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움직임의 자유도를 허용한다. 상기 스트랩 요소에 의해 허용된 제한/지지 영역으로 손이나 발이 움직이는 것은 붕대에 의해 생성된 반력(counterforce)을 극복하기 위해 증가하는 일의 양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붕대의 스트랩 요소는 유리한 방향으로 팔뚝/손 또는 하부 다리/발에 적용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안정화 바 없이도 단순히 관절 주위를 달리는 스트랩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된 안정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말단 단부 관절은 손목 및 발 관절로도 알려진 발목을 요약한다. 접합대(zygopodium)는 팔뚝과 하부 다리를 요약하고, 바시포듐(basipodium)은 손목(carpus)과 발목(tarsus)를 요약하며, 메타포듐(metapodium)은 중수골(metacarpus)과 중족골(metatarsus)을 요약한다. 본 발명은 인간용 붕대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다른 포유동물용 붕대와도 관련된다.
본 발명은 의료용 관절 붕대 및 스포츠 붕대 모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목 붕대 및/또는 발목 붕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붕대는 튜브 요소가 제공되거나 튜브 요소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붕대는 튜브 요소 없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랩 요소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특히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에 관한 것으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영역과 상기 두 개의 탄성 영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에 체결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접합대, 특히 팔뚝 또는 하부 다리 주위를 둘러쌀 수 있는 고정 영역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에는 두 개의 상호 연결 가능한 영역이 있으므로, 상기 두 영역을 연결하여 상기 고정 영역을 상기 접합대, 특히 팔뚝 또는 하부 다리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손목의 링 형성/링 붕대에 의해 그 자체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스트랩 요소를 그 자체로 고정하기 위한 자체 “앵커(anchor)”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고정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합대에 체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고,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고정 영역에 의해 상기 접합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 관절을 넘어 바시포듐(basipodium)으로 이어지고, 내부의 바시포듐 또는 메타포듐(metapodium) 주위로 이어지고, 손목 또는 발목을 지나 상기 접합대까지 등쪽으로 이어져 스스로 교차하고, 상기 접합대 주위로 이어지며, 상기 접합대의 영역에서 상기 제2 단부와 함께 상기 스트랩 요소에 가역적으로 체결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튜브 요소는 상기 스트랩 요소와 연관된다. 이러한 튜브 요소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요소는 손목 또는 발목을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튜브 요소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는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에 관한 것이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영역과 상기 두 개의 탄성 영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튜브 요소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탄성 튜브 요소와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는 관절 붕대에 관한 것이며, 상기 튜브 요소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튜브 하프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2 튜브 하프를 가지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거나 체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40cm의 길이이다.
본 발명은 또한 탄성 튜브 요소와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는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에 관한 것이며, 상기 튜브 요소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튜브 하프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2 튜브 하프를 가지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거나 체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되,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고 상기 접합대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상기 말단 단부 관절을 넘어 상기 바시포듐으로 이어지고, 내부의 상기 바시포듐 또는 상기 메타포듐 주위로 이어지고, 상기 말단 단부 관절을 넘어 상기 접합대까지 등쪽으로 이어져 스스로 교차하고, 상기 접합대 주위로 이어지며, 상기 접합대의 영역에서 제2 단부와 함께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가역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네오프렌(neoprene), 직물(woven fabric) 또는 니트웨어(knitwear), 예를 들어 편직물(knitted fabric) 또는 편물(knitting)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요소는 근위 오프닝(proximal opening)을 갖는다. 원위측에, 상기 튜브 요소는 원위 개구부를 갖거나 장갑이나 스타킹으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요소는 엄지 또는 엄지 발가락을 위한 별도의 오프닝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관절 붕대는 안정화 바를 가지지 않는다. 놀랍게도, 특히 튜브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붕대는, 안정화 바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요소에 의해 가능해진 스트랩 가이드 덕분에 여전히 충분한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적어도 일시적으로 관절 붕대, 특히 튜브 요소에 안정화 바를 삽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관절 붕대는 튜브 요소에 인장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인장 요소는 튜브 요소가 더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튜브 요소의 바디를 사전 형성 및/또는 인장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장 요소가 바(bar)로서 설계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안정화 바가 아니며, 상기 인장 요소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그것의 형태와 상기 관절 붕대 상의 위치로 인해 관절의 안정화 기능을 수행해서는 안되며 수행할 수도 없고, 다만 상기 튜브 요소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형되는 것, 특히 압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튜브 요소에는 필요한 경우 패드를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40cm 길이이다. 상기 관절 붕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길이가 적어도 40cm인 스트랩 요소는 본 발명에 따라 팔뚝/하부 다리, 손/발 및 그 사이에 위치한 관절 주위에 스트랩 코스를 허용한다.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상기 튜브 요소에 체결되거나 상기 접합대의 영역에서 그 자체에 체결된다. 제1 스트랩 요소의 체결은 예를 들어 벨크로 패스너 또는 프레스 스터드를 통해 가역적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스트랩 요소가 상기 튜브 요소에 제1 단부로 영구적으로 체결되거나 또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영구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스트랩 요소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로 말단 관절 주위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튜브 요소에 가역적으로 고정 가능하다. 가역적인 체결은, 예를 들어 상기 스트랩 요소 및/또는 상기 튜브 요소 상에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가 다르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영역, 예를 들어 벨크로 고정 영역이 제공되는 경우, 체결을 느슨하게 하고, 유리한 방식으로, 상기 스트랩 요소를 조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영역과 상기 두 개의 탄성 영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교번하는 탄성 영역과 비탄성 영역들을 갖는다. 완전히 탄성적인 신축성 있는 스트랩 요소의 경우, 특히 엄지 손가락이나 엄지 발가락 부분에서 불쾌한 수축이 발생할 수 있다. 완전히 탄성적이지 않은 스트랩 요소를 사용하면, 손 또는 발이 너무 단단히 고정되고 안전성의 조절이 보장될 수 없다. 상기 스트랩 요소의 탄성 및 비탄성 영역들의 조합은 이러한 문제들을 유리한 방식으로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탄성 영역은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다.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영역은 붕대가 적용될 때 스트랩 요소를 당겨서 장력을 가하면 상기 스트랩 요소가 특정 영역에서 팽창하도록 하고, 붕대를 벗으면 상기 스트랩 요소는 이완된 기본 상태로 돌아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은 영향을 받는 손목 또는 발목의 피봇 축에 직각이 아닌 방향으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은 피봇 축에 대해 30 내지 18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70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도, 특히 대략 45도 각도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탄성 영역은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까지 또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에 있는 부착 영역까지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은 손등 위로, 손바닥 위로, 발등 위로 또는 발바닥으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은 손등 위로, 손바닥으로, 발등 위로 또는 발바닥으로 이어지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은 손의 가장자리 또는 발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은 손의 가장자리 또는 발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진다.
상기 스트랩 요소와 상기 스트랩 요소의 탄성 및 비탄성 영역을 위한 적합한 재료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진 영역을 갖는다. 상기 테이퍼진 영역은 착용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또는 엄지 발가락의 영역에 놓이도록 스트랩 요소에 위치한다. 따라서 테이퍼진 영역은 엄지와 검지 손가락 또는 엄지 발가락과 그 인접한 발가락 사이에 위치되며, 테이퍼로 인해 유리한 방식으로 손가락이나 발가락 사이의 좁은 공간에 적응된다. 상기 테이퍼는 절개된 아치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스트랩의 좁은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트랩 요소는 또한 엄지 손가락 또는 엄지 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이 위치에 가질 수 있다.
상기 테이퍼진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비탄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평행사변형, 곡률 또는 꼬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평행사변형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갖는다. 평행사변형, 곡률 또는 꼬임 형태의 영역은 상기 스트랩 요소의 경로에서 경사진 영역을 형성하며, 이는 관절 부분에서 특히 적응된 경로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평행사변형, 곡률 또는 꼬임 형태의 영역은 비탄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테이퍼 영역과 평행사변형, 곡률 또는 꼬임 형태의 비탄성 영역 사이에 탄성 영역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진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평행사변형, 곡률 또는 꼬임 형태의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탄성 영역, 제1 비탄성 영역, 제2 탄성 영역, 제2 비탄성 영역 및 제3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비탄성 영역은 평행사변형, 곡률 또는 꼬임 형태의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비탄성 영역은 테이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사전-영역이 상기 제1 탄성 영역에 추가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가역적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스트랩 부분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스트랩 부분 요소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2 스트랩 부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는 탄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트랩 부분 요소와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는 상기 제1 스트랩 부분 요소 상의 제3 단부와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 상의 제4 단부를 통해 가역적으로 상호 연결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 상의 제4 단부는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가 상기 제1 스트랩 부분 요소 없이 상기 튜브 요소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한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는 상기 제1 스트랩 부분 요소 없이, 예를 들어 손목 또는 발목 주위에 배치되는 커프(cuff)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붕대가, 재활과는 독립적으로, 환자의 재활 과정 또는 착용자의 운동 강도에 대해, 예를 들어, 제1 치료 단계에서 현재 기술된 바와 같은 두 개의 스트랩 부분 요소를 사용한 다음, 제2 선택적인 치료 단계에서 손목 또는 발목 주위의 커프로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만을 사용하고, 제3 선택적인 치료 단계에서 상기 튜브 요소를 압박 커프로 사용함으로써, 유리하게 적응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스트랩 요소를 이용한 붕대의 이러한 적용 및 제거는 또한, 예를 들어 스포츠 또는 운전 중에 다른 방식으로도 유리하다.
물론,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스트랩 코스를 통한 예방 또는 치료만이 필요한 경우, 스트랩 요소는 단일 부품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의 추가 실시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영역과 상기 두 개의 탄성 영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에 체결되거나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튜브 요소는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엄지 손가락/엄지 발가락과 검지 손가락/두 번째 발가락 사이를 지나 손이나 발 주위로 이어질 수 있는 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스트랩의 상기 탄성 영역은 손바닥이나 손의 바깥 면 또는 발의 안쪽 면이나 발의 바깥 면에 위치하고, 두 개의 상기 비탄성 영역은 손의 가장자리 또는 발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므로, 위치가 고정되고 절단이 방지된다. 상기 루프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를 상기 스트랩 요소의 중간 부분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연결 영역으로부터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1 단부까지, 상기 스트랩 요소는 관절을 지나 팔뚝 또는 하부 다리까지 이어진다. 팔뚝 또는 하부 다리에서,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또한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는 튜브 요소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고정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는 팔뚝 또는 하부 다리에 직접 체결 가능하다. 상기 스트랩의 상기 연결 영역은 제한하려는 움직임 방향에 따라 손이나 발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붕대의 다양한 실시예에 설명된 요소들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실시예, 도면 및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는 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스트랩 요소에 의해 허용된 제한/지지 영역으로 손이나 발이 움직이는 것은 붕대에 의해 생성된 반력을 극복하기 위한 일의 양이 증가하는 것과 연결된다. 제한/지지 방향으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지점까지 필요한 힘이 증가한다. 특정 관절 위치로부터, 올가미(lasso)와 유사한, 스트랩 가이드에 의해 반력이 생성되어, 스트레스 하에서 더 조여져 대상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요소를 갖는 손목 붕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요소의 제1 영역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스트랩 요소의 제2 영역을 보여준다.
도 4는 스트랩 요소의 두 가지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3의 스트랩 요소의 제2 부분 영역을 보여준다.
도 6 내지 도 10은 스트랩 요소를 튜브 요소에 고정하는 다양한 단계를 보여준다.
도 11은 손을 움직일 때의 힘의 전달을 보여준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목 붕대의 개략적인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도 17은 손목 붕대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8은 도 17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추가 가능한 사용을 보여준다.
도 1은 오른쪽 손목(1000)에 튜브 요소(50)를 갖는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붕대(100)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요소(10)는 손목(1000), 손목(1000) 및 손(1002)에 인접한 팔뚝(1001)의 영역 주위에 배치되어 손목(1000)을 안정화시키는 튜브 요소(50)에 체결된다. 도 1a는 손등 상의 손목 붕대(100)를 나타내고, 도 1b는 손바닥 상의 손목 붕대(100)를 나타낸다. 튜브 요소(50)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튜브 하프(51) 및 엄지 손가락을 위한 추가적인 오프닝(53)을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제2 튜브 하프(52)를 가지며, 스트랩 요소(10)는 제1 단부(11)와 제2 단부(12)를 갖고, 스트랩 요소(10)의 제1 단부(11)는 벨크로 연결을 통해 제1 튜브 하프(51)에 고정되고, 스트랩 요소(10)의 제2 단부(12)는 벨크로 연결을 통해 스트랩 요소(10) 또는 제1 튜브 하프(51)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고, 현재 스트랩 요소(10)에 체결되어 있다. 스트랩 요소(10)의 제1 단부는 제1 튜브 하프(51)에 고정되고 팔뚝(1001)에 위치된다. 스트랩 요소(10)는 손목(1000)을 가로질러 손등(1002)까지 말단으로 주행되고, 손 안쪽의 손(1002) 주위를 주행한 후, 엄지와 검지 사이의 공간을 주행한다. 거기서부터, 스트랩 요소(10)는 손목(1000) 위에서 팔뚝(1001)까지 등쪽으로(dorsally) 돌아가며, 그에 따라 스스로 교차한다. 그런 다음 스트랩 요소(10)는 팔뚝(1001) 주위를 감싸고, 손목 근처 팔뚝 영역에서 제2 단부(12)와 함께 벨크로로 고정된다. 스트랩 요소(1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스트랩 요소(10)에 장력을 가하고 이에 따라 제2 단부(12)를 위치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 붕대에는 안정화 바가 필요하지 않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붕대의 스트랩 요소(10)를 도시한다. 도 2a는 스트랩 요소(10)의 외부를 도시하고, 도 2b는 스트랩 요소(10)의 내부를 도시한다. 스트랩 요소(10)는 펴지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가 대략 64cm이고, 몇 개의 교번하는 탄성 및 비탄성 부분을 갖는다. 제1 단부(11)에는 제1 비탄성 영역(13)이 있고, 이 부분을 통해 스트랩 요소가 벨크로 요소(11a)를 통해 튜브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제1 탄성 영역(14)이 이어진다. 그 다음에는 제2 비탄성 영역(15)이 있는데, 이 영역은 평행사변형 형태로 설계되고 스트랩 코스의 이동을 유도한다. 그 다음에는 짧은 제2 탄성 영역(16)이 있고, 그 다음에는 컷-아웃 아치(17c) 형태의 테이퍼를 갖는 제3 비탄성 영역(17)이 이어진다. 적용된 상태에서, 이 테이퍼는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에 위치하여 스트랩 요소(10)가 이 영역에 편안하게 놓이게 된다. 그 다음에는 다시 짧은 제3 탄성 영역(18)이 이어지고, 이는 벨크로 연결부(19)를 통해 긴 제4 탄성 영역(20)에 연결된다. 제4 탄성 영역(20)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 스트랩 요소(10)의 제2 단부(12)에서 벨크로 요소로 끝난다.
스트랩 요소(10)는 벨크로 연결부(19)에 의해 제1 부분 요소(21)와 제2 부분 요소(22)로 분할될 수 있다.
스트랩 요소(10)의 탄성 영역들(14, 16, 18, 20)은 적용된 상태에서 스트랩 요소(10)의 필요한 신축을 허용하며, 비탄성 스트랩 영역들(13, 15, 17, 19)은 붕대에 필요한 힘 전달을 제공하여 손목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비탄성 부분은 특히 손이 바람직하지 않은, 특히 건강에 해로운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거나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붕대의 스트랩 요소(10)를 도시한다. 도 3a는 스트랩 요소(10)의 외부를 도시하고, 도 3b는 스트랩 요소(10)의 내부를 도시한다. 스트랩 요소(10)의 제2 단부(12)와 벨크로 요소(12a)에서 끝나는 제4 탄성 영역(20)을 갖는 전체 제2 부분 영역(22)을 볼 수 있다. 제4 탄성 영역(20)은 제1 부분 영역(21)의 벨크로 요소(19b)에 의해 가역적으로 연결되는데, 전체 모습은 도시되지 않고, 제3 탄성 영역(18) 및 제3 비 탄성 영역(17)의 단부만이 보이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스트랩 요소의 대안적이고 단순화된 제1 및 제2 실시예(10a, 10b)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에서, 스트랩 요소(10a)는 제1 탄성 영역(14a), 제2 탄성 영역(20a) 및 손가락 사이의 공간을 위한 테이퍼를 갖는 중간 비탄성 영역(17a)만을 포함한다. 도 4b는 제1 탄성 영역(14b),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된 제1 비탄성 영역(15b), 짧은 중간 탄성 영역(16b), 테이퍼를 갖는 제2 비탄성 영역(17b) 및 탄성 단부 영역(20b)을 갖는 스트랩 요소(10b)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제4 탄성 영역(20)을 갖는 스트랩 요소의 제2 부분 영역(22)을 보여주며, 제4 탄성 영역(20)의 일 단에는 제2 부분 영역(22)을 제1 부분 영역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어구(fish-mouth) 벨크로를 갖는 벨크로 요소(19a)가 있고, 타 단에는 스트랩 요소 또는 튜브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 요소(12a)를 갖는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12)가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붕대(10)의 튜브 요소(50)에 스트랩 요소(10)를 적용하는 다양한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에는, 스트랩 요소(10)가 스트랩 요소(10)의 제1 단부(11)의 벨크로 요소를 통해 튜브 요소(50)의 제1 하프(51)에 체결되는 제1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비탄성 영역(13)은 손목 방향으로 원위로 비스듬하게 이어진다. 편직물에 삽입되거나 편직물에 적용되는 인장 요소(54)도 볼 수 있는데, 이는 늘어난 튜브가 서로 잡아당기는 것을 방지하지만, 관절을 안정화하는 데는 기여하지 않는다.
스트랩 요소(10)의 제1 단부(11)는 손목의 피봇 점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떨어져 고정된다. 따라서, 이 고정 지점은 굴곡 움직임을 매우 잘 제한하는 큰 레버(lever)를 만들 수 있다. 스트랩 시스템의 프리텐션은 이 시점에서 다소 강한 등쪽 확장에 의해 이미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단계에서 등쪽 확장 상태에 있을수록 손이 안정화된다. 기본 요소(10)를 더 단단하게 팽팽하게 할수록 손이 휘거나 넘어지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스트랩 요소(10)가 손등 상의 제1 비탄성 영역(13)과 제1 탄성 영역(14) 및 손의 외측 가장자리 상이 제2 비탄성 영역(15)에 의해 어떻게 손등 위로 더 안내되는지를 보여준다. 스트랩 요소(10)는 새끼 손가락의 중수지골(metacarpophalangeal) 관절에 가능한 한 가깝게 손바닥 안으로 편향된다. 이것은 손목에 더 나은 힘 전달을 유도한다. 이것은 레버리지 효과를 극대화한다. 동시에, 제2 비탄성 영역(15)이 예리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손가락의 베이스 관절에 있는 스트랩 요소(10)의 위치는 방해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손등 상의 제1 탄성 영역(14)은 또한 요골(radial)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작은 정도로 제한한다.
도 8은 손의 내부를 보여주며, 여기서 베이스 요소(10)는 좌측으로부터 제2 비탄성 영역(15)과 함께 나와 손바닥을 통과하고, 제2 탄성 영역(16)을 갖는 튜브 요소(50)의 제2 하프(52)를 통과한다. 그 다음에는 제3 비탄성 영역(17)이 이어지는데, 이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곡선형 테이퍼(17c)가 손등 방향으로 감겨진다. 테이퍼(17c)에도 불구하고, 이 영역은 충분히 넓고 탄력이 없기 때문에 잘리지 않는다. 굴곡 및 펴는 동안 발생하는 인장 하중은 가능한 가장 넓은 영역에 분산된다. 대안적으로, 제3 비탄성 영역(17)은 엄지 손가락 오프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생하는 힘은 엄지 근육에 분산된다. 제3 비탄성 영역(17)은 또한 엄지 손가락에 바람직한 보호 자세를 제공한다.
도 9는 손의 외부를 보여준다. 제3 비탄성 영역(17)에는 제3 탄성 영역(18)이 뒤따른다. 이는 요골 및 제한된 척골(ulnar) 움직임을 허용하고 굴곡 중 하중 흡수에도 기여한다. 따라서, 제1 부분 요소(21)는 굴곡 움직임을 흡수하는 손 영역에 삼각형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부분 요소(21)는 손등에서 끝나고, 벨크로 연결부(19)를 통해 제4 탄성 영역(20)을 포함하는 제2 부분 요소(22)에 연결된다.
제3 탄성 영역(18), 벨크로 요소(19) 및 제4 탄성 영역(20)이 제1 비탄성 영역(13)과 제1 탄성 영역(14)을 어떻게 교차하는지 볼 수 있다.
도 10은 제4 탄성 영역(20)이 팔뚝의 척골 가장자리를 어떻게 감싸는지 보여준다. 제2 부분 요소(22)의 이러한 방사상(radial) 적용은 추가적인 압축 및 안정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수근관(carpal tunnel)과 수근인대(carpal ligament)를 안정시키고 완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제2 부분 요소(22)는 제2 단부(12)에서 벨크로 요소(12a)와 함께 스트랩 요소(10) 또는 튜브 요소(50)에 체결 가능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요소 코스가 얻어진다.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으로의 분할은 손바닥 굴곡 운동 동안 힘 전달을 제한하며, 여기서 등쪽 확장에서 손 움직임의 제한은 없다. 따라서 손은 제한 없이 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1은 요골(도 11a) 또는 척골(11b) 손 움직임 동안 스트랩 요소(10)의 힘 전달(70)을 보여준다. 요골 이동의 경우, 제1 탄성 영역에 의해 힘이 완충된다. 이는 요골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하고 단지 안정화 방식으로 이를 제한할 뿐이다. 손이 척골 방향에서 움직이는 경우, 제3 탄성 영역과 제4 탄성 영역에 의해 힘이 완충된다. 이는 척골 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고 안정화 방식으로만 제한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오른쪽 발목(2000)에 튜브 요소(250)를 갖는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발목 붕대(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요소(210)는 발목(2000), 발목(2000) 및 발(2002)에 인접한 하부 다리(2001)의 영역 주위에 배치되어 발목(2000)을 안정화시키는 튜브 요소(250)에 체결된다. 튜브 요소(250)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튜브 하프(251)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2 튜브 하프(252)를 가지며, 스트랩 요소(210)는 제1 단부(211)와 제2 단부(212)를 갖고, 스트랩 요소(210)의 제1 단부(211)는 벨크로 연결을 통해 제1 튜브 하프(251)에 고정되고, 스트랩 요소(210)의 제2 단부(212)는 벨크로 연결을 통해 스트랩 요소(210) 또는 제1 튜브 하프(251)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고, 현재 스트랩 요소(210)에 체결되어 있다. 스트랩 요소(210)의 제1 단부는 제1 튜브 하프(51)에 체결되고 하부 다리(2001)에 위치된다. 스트랩 요소(210)는 제1 단부로부터 발목(2000)을 가로질러 발등(2002)까지 원위로 이어지며, 발바닥(2003) 상의 발(2002) 주위로 이어진다. 거기서부터, 스트랩 요소(210)는 발목(2000) 위에서 하부 다리(2001)까지 등쪽으로 돌아가며, 그에 따라 스스로 교차한다. 그런 다음 스트랩 요소(210)는 하부 다리(2001) 주위를 감싸고, 발목 근처의 하부 다리 영역에서 제2 단부(212)와 함께 벨크로로 고정된다.
따라서 여기에 도시된 스트랩 요소(210)의 경로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손 상의 스트랩 요소의 경로에 대응하지만, 스트랩 요소는 엄지 발가락과 인접한 발가락 사이의 공간에 작동하지 않으며, 이러한 구성도 가능하다. 스트랩 요소(210)는 다시 탄성 영역과 비탄성 영역을 가지며, 발과 다리에 대한 위치는 위에 표시된 손과 팔에 대한 부분의 위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발바닥 부분은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 부위와 마찬가지로 탄성이지만, 발 측면 상의 영역은 비탄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 요소(210)는 단일 부품이고 분리 가능한 서브-요소들을 갖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시된 예시적인 손목 붕대(100)의 다른 모든 측면을 발목 붕대(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오른쪽 손목(1000)에 짧은 튜브 요소(350)가 있는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붕대(300)의 추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 요소(310)는 튜브 요소(350)에 고정된다. 도 17a 및 도 18a는 손등 상의 손목 붕대(300)를 나타내고, 도 17b 및 도 18b는 손바닥 상의 손목 붕대(300)를 나타낸다. 스트랩 요소(310)는 제1 단부(311) 및 제2 단부(312)를 갖고, 스트랩 요소(310)의 제1 단부(311)는 벨크로 연결을 통해 튜브 요소(350)에 체결되고, 스트랩 요소(310)의 제3 단부(312)는 스트랩 요소(310)에 체결된다. 이 붕대에도 안정화 바가 필요하지 않다.
스트랩 요소(310)는 다시 탄성 및 비탄성 영역을 가지며, 이는 손 및 팔에 대한 위치에 있어서, 스트랩 요소의 경로가 상이하더라도 원칙적으로 도 1 내지 도 11의 손목 붕대의 위치에 상응한다. 예를 들어, 도 17b의 손바닥 상 및 도 18b의 손 등 상의 영역은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 부위와 마찬가지로 탄성이지만, 손의 측면 상의 영역은 비탄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 요소(210)는 단일 부품이고 분리 가능한 서브-요소들을 갖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예시적인 손목 붕대(100)의 다른 모든 측면을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300)에 전달할 수 있다.

Claims (15)

  1.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는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로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 영역과 상기 두 개의 탄성 영역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튜브 요소에 체결되거나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한, 관절 붕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접합대, 특히 팔뚝 또는 하부 다리 주위를 둘러쌀 수 있는 고정 영역을 갖고, 상기 고정 영역은 두 개의 상호 연결 가능한 영역을 가지므로, 상기 고정 영역은 상기 두 영역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접합대, 특히 상기 팔뚝 또는 상기 하부 다리에 고정되는, 관절 붕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고정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합대에 체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고,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고정 영역에 의해 상기 접합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말단 단부 관절을 넘어 바시포듐(basipodium)으로 이어지고, 내부의 바시포듐 또는 메타포듐(metapodium) 주위로 이어지고, 손목 또는 발목을 지나 상기 접합대까지 등쪽으로 이어져 스스로 교차하고, 상기 접합대 주위로 이어지며, 상기 접합대의 영역에서 상기 제2 단부와 함께 상기 스트랩 요소에 가역적으로 체결되는, 관절 붕대.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에 체결되거나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한, 관절 붕대.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목 또는 발목용 관절 붕대로서, 탄성 튜브 요소 및 스트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요소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튜브 하프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2 튜브 하프를 가지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거나 체결 가능하고,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2 단부는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하되,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제1 단부는 제1 튜브 하프에 체결되고 상기 접합대에 위치하며, 상기 스트랩 요소는 상기 말단 단부 관절을 넘어 상기 바시포듐으로 이어지고, 내부의 상기 바시포듐 또는 상기 메타포듐 주위로 이어지고, 상기 말단 단부 관절을 넘어 상기 접합대까지 등쪽으로 이어져 스스로 교차하고, 상기 접합대 주위로 이어지며, 상기 접합대의 영역에서 제2 단부와 함께 상기 스트랩 요소 또는 상기 제1 튜브 하프에 가역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붕대.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영역은 손 등 또는 손바닥 위로, 또는 발등 또는 발바닥 위로 이어지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영역은 손의 가장자리 또는 발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관절 붕대.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진 영역을 갖는, 관절 붕대.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평행사변형, 곡률 또는 꼬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갖는, 관절 붕대.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교번하는 탄성 영역과 비탄성 영역을 갖는, 관절 붕대.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제1 탄성 영역, 제1 비탄성 영역, 제2 탄성 영역, 제2 비탄성 영역 및 제3 탄성 영역을 연속적으로 가지며, 상기 제1 비탄성 영역은 평행사변형, 곡률 또는 꼬임 형태의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비탄성 영역은 테이퍼를 갖는, 관절 붕대.
  11. 제10 항에 있어서, 비탄성 사전 영역이 상기 제1 탄성 영역에 추가로 결합되는, 관절 붕대.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가역적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스트랩 부분 요소를 포함하는, 관절 붕대.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요소는 상기 제1 단부를 갖는 제1 스트랩 부분 요소 및 상기 제2 단부를 갖는 제2 스트랩 부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는 탄성인, 관절 붕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부분 요소와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는 상기 제1 스트랩 부분 요소 상의 제3 단부와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 상의 제4 단부를 통해 가역적으로 상호 연결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스트랩 부분 요소 상의 상기 제4 단부는 상기 제2 스트랩 부분이 상기 제1 스트랩 부분 요소 없이 상기 튜브 요소에 가역적으로 체결 가능한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관절 붕대.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붕대에는 안정화 바가 없는, 관절 붕대.
KR1020247004089A 2021-07-06 2022-07-01 손목 또는 발목용 붕대 KR20240021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07095.7 2021-07-06
DE102021207095.7A DE102021207095A1 (de) 2021-07-06 2021-07-06 Bandage für das Handgelenk oder das Sprunggelenk
PCT/EP2022/068301 WO2023280718A1 (de) 2021-07-06 2022-07-01 Bandage für das handgelenk oder das sprunggele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991A true KR20240021991A (ko) 2024-02-19

Family

ID=8261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089A KR20240021991A (ko) 2021-07-06 2022-07-01 손목 또는 발목용 붕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40285423A1 (ko)
EP (1) EP4366669A1 (ko)
JP (1) JP2024526301A (ko)
KR (1) KR20240021991A (ko)
CN (1) CN117693328A (ko)
AU (1) AU2022306749A1 (ko)
BR (1) BR112023024828A2 (ko)
CA (1) CA3223120A1 (ko)
DE (1) DE102021207095A1 (ko)
IL (1) IL309954A (ko)
MX (1) MX2024000393A (ko)
TW (1) TW202339693A (ko)
WO (1) WO20232807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746A (en) 1976-09-20 1978-04-25 Lenox Hill Brace Shop, Inc. Ankle wrap
US4495942A (en) * 1981-12-04 1985-01-29 Palumbo Pasquale M Dynamic ankle brace
DE20005742U1 (de) 2000-03-28 2001-08-02 Bauerfeind Holding GmbH, 07937 Zeulenroda Sprunggelenkbandage
JP2010509947A (ja) * 2006-11-17 2010-04-02 ニール モティア 損傷した軟組織の負荷を支持するための器具
DE102008009635B4 (de) 2008-02-15 2012-08-16 Otto Bock Healthcare Gmbh Bandage
DK2612631T3 (en) 2009-06-16 2015-01-05 Bock Healthcare Gmbh The casting
ES2556402T3 (es) 2011-02-28 2016-01-15 Bsn Medical Gmbh Ortesis tobillo-pie (OTP)
DE202012004652U1 (de) 2012-05-11 2013-08-12 Julius Zorn Gmbh Bandage mit einer Öffnung zum Durchführen einer Gliedmaßenspitze
DE202014005449U1 (de) * 2014-07-04 2014-07-25 Spörer AG Handgelenkbandage zur Stabilisierung und/oder Entlastung des proximalen Handgelenkes bei der Durchführung von Montagearbeiten
WO2020068908A1 (en) * 2018-09-25 2020-04-02 Ossur Iceland Ehf Ankl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3024828A2 (pt) 2024-02-20
JP2024526301A (ja) 2024-07-17
CN117693328A (zh) 2024-03-12
DE102021207095A1 (de) 2023-01-12
MX2024000393A (es) 2024-01-29
AU2022306749A1 (en) 2024-01-04
US20240285423A1 (en) 2024-08-29
TW202339693A (zh) 2023-10-16
IL309954A (en) 2024-03-01
WO2023280718A1 (de) 2023-01-12
CA3223120A1 (en) 2023-01-12
EP4366669A1 (de) 202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731B2 (en) Orthosis for movement damping
US6776769B2 (en) Anatomically configured tubular body of woven or knitted fabric for pressure support of articulating joint
US10758395B2 (en) Dynamic hallux tension device for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KR102518097B1 (ko) 사지 보조기, 특히 무릎 보조기
EP3253340B1 (en) Orthopedic device
JP2020519414A (ja) 足関節による足運動を制動するための足運動制動装置及び靴
US20180303651A1 (en) Wrist brace for protecting integrity of the carpal tunnel
US20200093628A1 (en) Ankle support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KR20240021991A (ko) 손목 또는 발목용 붕대
US5348531A (en) Wrap-on finger hooks
KR200461181Y1 (ko) 레포츠용 토시
KR20190086326A (ko)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JP2620700B2 (ja) ベルト押さえ付膝蓋骨装具
US7361154B2 (en) Strap for treating medical ailments
US20190053930A1 (en) Deflection element for deflecting tie cables in or on orthopedic or medical instruments or sports instruments
KR101927593B1 (ko)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JP7522108B2 (ja) 柔軟な手首装具
JP6606752B2 (ja) 腱鞘炎用サポーター
JP2018123451A (ja) サポータ
RU2024102728A (ru) Бандаж для лучезапястного сустава или голеностопного сустава
JPH04502419A (ja) 調整副子アッセンブリ
TWM542495U (zh) 加壓型關節護具(二)
CZ31226U1 (cs) Hlezenní ortéza s plantárním ta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