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628A -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628A
KR20240021628A KR1020220100202A KR20220100202A KR20240021628A KR 20240021628 A KR20240021628 A KR 20240021628A KR 1020220100202 A KR1020220100202 A KR 1020220100202A KR 20220100202 A KR20220100202 A KR 20220100202A KR 20240021628 A KR20240021628 A KR 20240021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tiles
manufacturing
attached
backgroun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애
Original Assignee
장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애 filed Critical 장경애
Priority to KR102022010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628A/ko
Publication of KR2024002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1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used as wall covering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판 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고, 지류로 형성된 장식조각; 및 상기 몸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타일에 장식조각 및 장식부재를 부착시켜 장식함으로써, 장식품이나 아트타일로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우수하며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ORNAMENTS USING TI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류의 장식조각 및 장식부재로 타일을 꾸며 장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일은 건축용 마감재로서 이미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이제는 타일이 공공미술 분야 등 다양한 미술 분야의 예술적 표현 소재로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타일의 시공에 있어서도 기존의 건축업 관련 전문 시공자들로부터, 자신의 공간 연출에 적극적인 주부는 물론 여가시간 증가에 따른 일반인들까지 자신이 직접 타일을 시공하는 자가 시공자의 비율도 점차 늘고 있다.
그런데, 타일은 지금까지 재질적 측면의 발전과 심미적인 측면의 디자인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시공자의 미적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기존 타일의 경우 시공의 간편성과 대량생산에 따른 대중성은 장점이나, 타일 생산 구조나 유통구조와 더불어 전문 시공자에 의해 시공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소비자가 직접 자신의 예술적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타일은 대게 주방이나 욕실에 시공되어, 타일을 꾸미더라도 습기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871976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324096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20-1996-0013635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3006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타일을 꾸며 장식이나 시공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누구나 용이하게 타일을 경제적이며, 간편하게 꾸밀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은, 판 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고, 지류로 형성된 장식조각; 및 상기 몸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표면에는 지류로 형성된 배경층이 형성되고, 상기 배경층 표면에 상기 장식조각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경층의 표면에는 장식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의 제조방법은, 판 형상의 가지는 몸체를 구비하는 제1 준비단계; 장식조각을 상기 몸체에 부착하는 부착단계; 및 상기 장식조각이 부착된 몸체의 표면에 바니시를 코팅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준비단계 이후, 상기 몸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 이후, 장식무늬가 형성된 지류로부터 상기 장식무늬를 제외한 나머지를 제거하여 상기 장식조각을 형성하는 제2 준비단계; 및 상기 제2 준비단계 이후, 상기 장식조각을 물에 적시는 침관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타일에 장식조각 및 장식부재를 부착시켜 장식함으로써, 장식품이나 아트타일로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우수하며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류의 장식조각 및 장식부재를 침관 후 타일에 부착함으로써, 지류의 장식조각 및 장식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울지 않고 밀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은 장식무늬가 형성된 지류를 타일에 부착하여 꾸며 타일의 활용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100)은, 몸체(110), 배경층(120), 장식조각(130), 코팅층(140) 및 장식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타일로, 다각 판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석기질, 토기질, 도기질, 자기질 타일 뿐만 아니라, 목재 및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경층(120)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 표면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일측 표면에 전체적으로 도포 또는 부착된다.
예컨대, 상기 배경층(120)은 페인트나, 배경무늬가 형성된 지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경층(120)은 페인트로 형성될 경우, 상기 몸체(110)의 일측 표면에 도포된다.
또한, 상기 배경층(120)은 지류로 형성될 경우,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배경층(120)은 물에 침관되어 젖은 상태로 상기 몸체(110)의 일측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일측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배경층(120)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경층(120)이 접착제에 의해 울어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배경층(120)은 물 뿐만 아니라, 접착제에 침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경층(120)은 상기 몸체(110)인 타일에 형성된 표면 색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장식조각(130)은 상기 배경층(120)에 부착되는 것으로, 장식무늬가 형성된 지류로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장식조각(130)은 장식무늬가 형성된 지류에서 장식무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조각(130)은 지류로 형성되어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장식조각(130)은 물에 침관되어 젖은 상태로 상기 배경층(120)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경층(120)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배경층(120)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식조각(130)이이 접착제에 의해 울어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장식조각(130)은 물 뿐만 아니라, 접착제에 침관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140)은 바니시로, 상기 몸체(110)의 일측 표면에 도포 또는 부착된 상기 배경층(120) 및 장식조각(130)을 고정하기 위해 코팅된다.
또한, 상기 코팅층(140)은 상기 몸체(110)에 도포 또는 부착된 상기 배경층(120) 및 장식조각(130)에 다회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코팅층(140)은 배경층(120)을 제외하고 상기 장식조각(130) 부분에만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장식부재(150)는 상기 코팅층(140)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예컨대, 상기 장식부재(150)는 비즈(Beads)로 작은 구슬이나 큐빅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장식부재(150)는 비즈 뿐만 아니라 장식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것들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리 재질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장식부재(150)는 상기 코팅층(140)이 형성된 후에 부착될 수 있으나, 상기 배경층(120)과 장식조각(130)과 함께 상기 몸체(110)에 부착된 후 상기 코팅층(140)에 의해 코팅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몸체(110)는 거치대(160)에 의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60)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몸체(110)를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161)가 결합된다.
상기 받침대(161)는 전방에 단턱(162)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62)의 내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6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63)의 양측에는 상기 받침대(161)에 거치된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64)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164)는 상기 가이드홈(163)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서로 탄성체(16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탄성체(165)는 상기 고정부재(164)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탄성을 가지며, 이러한 탄성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110)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탄성체(165)는 중앙이 상기 가이드홈(163)의 중앙에 고정되어 양측이 서로 동일한 탄성을 가지며, 동일한 탄성을 통해 상기 몸체(110)가 상기 받침대(161)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64)는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과 밀착되는 부분에 고무패킹(166)이 결합된다.
상기 고무패킹(166)은 탄성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몸체(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단턱(162)의 내벽 상단에는 마찰 및 탄성에 의해 상기 몸체(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무 재질의 마찰패드(167)가 결합된다.
상기 마찰패드(167)는 상기 몸체(110)가 상방으로부터 상기 받침대(161)에 안착 시 상기 몸체(110)의 표면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 탄성 및 마찰에 의해 상기 몸체(110)의 표면과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160)에 상기 몸체(110)가 결합 시 상기 고정부재(164) 및 마찰패드(167)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100)의 제조방법은, 제1 준비단계(S110), 제1 도포단계(S120), 제1 침관단계(S130), 제1 부착단계(S140), 제2 준비단계(S150), 제2 도포단계(S160), 제2 침관단계(S170), 제2 부착단계(S180), 코팅단계(S190) 및 제3 부착단계(S200)를 포함한다.
제1 준비단계(S110)는 다각 판 형상을 가지며, 석기질, 토기질, 도기질, 자기질 뿐만 아니라 목재 및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 몸체(11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도포단계(S120)는 상기 몸체(110)에 배경층(120)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경층(120)을 부착하지 아니하고 상기 몸체(110)의 타일 색상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도포단계(S120) 및 후술될 제1 침관단계(S130) 및 제1 부착단계(S140)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1 침관단계(S130)는 상기 배경층(120)을 침관하는 것으로, 상기 배경층(120)을 물이나 접착제에 침관시킨다.
상기 제1 부착단계(S140)는 상기 제1 침관단계(S130)에 의해 물이나 접착제에 젖은 상기 배경층(120)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몸체(110)에 부착시킨다.
상기 제2 준비단계(S150)는 상기 배경층(120)이 부착된 몸체(110)의 표면을 꾸미기 위한 장식조각(130)을 구비하는 단계로, 장식무늬가 형성된 지류로부터 장식무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여 장식무늬만 남겨 형성된 장식조각(1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도포단계(S160)는 상기 몸체(110) 중 상기 장식조각(130)이 부착될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제2 침관단계(S170)는 상기 장식조각(130)을 침관하는 것으로, 상기 장식조각(130)을 물이나 접착제에 침관시킨다.
상기 제2 부착단계(S180)는 상기 제2 침관단계(S170)에 의해 물이나 접착제에 젖은 상기 장식조각(130)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몸체(110)에 부착시킨다.
상기 코팅단계(S19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 표면에 부착된 배경층(120) 및 장식조각(130)을 고정하기 위해 바니시를 도포하여 코팅층(140)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바니시를 다회 도포하여 코팅한다.
상기 제3 부착단계(S200)는 상기 코팅단계(S190)에 의해 코팅된 상기 몸체(110)에 비즈로 형성된 장식부재(150)를 부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타일에 장식조각 및 장식부재를 부착시켜 장식함으로써, 장식품이나 아트타일로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우수하며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류의 장식조각 및 장식부재를 침관 후 타일에 부착함으로써, 지류의 장식조각 및 장식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울지 않고 밀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장식품 110: 몸체
120: 배경층 130: 장식조각
140: 코팅층 150: 장식부재
160: 거치대 161: 받침대
162: 단턱 163: 가이드홈
164: 고정부재 165: 탄성체
166: 고무패킹 167: 마찰패드

Claims (5)

  1. 판 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고, 지류로 형성된 장식조각; 및
    상기 몸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표면에는 지류로 형성된 배경층이 형성되고, 상기 배경층 표면에 상기 장식조각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층의 표면에는 장식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4. 판 형상의 가지는 몸체를 구비하는 제1 준비단계;
    장식조각을 상기 몸체에 부착하는 부착단계; 및
    상기 장식조각이 부착된 몸체의 표면에 바니시를 코팅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준비단계 이후, 상기 몸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 이후, 장식무늬가 형성된 지류로부터 상기 장식무늬를 제외한 나머지를 제거하여 상기 장식조각을 형성하는 제2 준비단계; 및
    상기 제2 준비단계 이후, 상기 장식조각을 물에 적시는 침관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0100202A 2022-08-10 2022-08-10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21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202A KR20240021628A (ko) 2022-08-10 2022-08-10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202A KR20240021628A (ko) 2022-08-10 2022-08-10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628A true KR20240021628A (ko) 2024-02-19

Family

ID=9005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202A KR20240021628A (ko) 2022-08-10 2022-08-10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62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635U (ko) 1994-10-05 1996-05-17 장식용 타일
KR200300604Y1 (ko) 2002-10-21 2003-01-14 우수석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타일
KR101324096B1 (ko) 2011-12-14 2013-10-31 주식회사 에이치디데칼 피스타일 구조체를 이용한 구조물의 표면 장식방법
KR101871976B1 (ko) 2016-05-13 2018-07-02 김규희 아트 타일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635U (ko) 1994-10-05 1996-05-17 장식용 타일
KR200300604Y1 (ko) 2002-10-21 2003-01-14 우수석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타일
KR101324096B1 (ko) 2011-12-14 2013-10-31 주식회사 에이치디데칼 피스타일 구조체를 이용한 구조물의 표면 장식방법
KR101871976B1 (ko) 2016-05-13 2018-07-02 김규희 아트 타일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674B1 (en) Magnetic tile
KR20240021628A (ko) 타일을 이용한 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36330B1 (ko) 흡음 기능을 갖는 uv 인쇄 금속 천장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흡음 기능을 갖는 uv 인쇄 금속 천장재
US6228194B1 (en) Method of decorating and redecorating a ceramic tile surface
KR100791755B1 (ko) 장식 벽면 구축 공법
KR101089689B1 (ko) 상감 장식품 및 그 제조방법
IT8146845A1 (it) Piastrella parzialmente decorata a smalto con decori incassati nella stessa
KR200291272Y1 (ko) 자개타일
KR101525422B1 (ko) 서로 다른 색상의 석재와 광섬유를 이용한 조형물 및 그 제조방법
ITMO940029A1 (it) Elemento associabile a rivestimenti murali
KR200389597Y1 (ko) 자연 노화형의 나이테 요철무늬합판 및 판재
CN101054041B (zh) 石材锈色染花工艺
KR100972726B1 (ko) 건축마감재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960015779B1 (ko) 의장판의 제조방법
KR20090118661A (ko) 습식시공에 적합한 건축용 데코레이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H0647096B2 (ja) タイル張調化粧板の塗装方法
US321724A (en) Tile for walls
Rothery Present Day Practice
KR200346095Y1 (ko) 교체가 가능한 모자이크 벽화
KR20020092045A (ko) 장식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장식판재를 이용한벽면장식 방법
KR20100023252A (ko) 원목무늬 인쇄문양과 금박무늬선이 도금된 장식용 타일
KR20040018039A (ko) 황토 유골함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른 황토 유골함
CN204820865U (zh) 贴片艺术装饰制品
JP3204023U (ja) 陶器用転写シールキット
JP2023004502A (ja) 表面凹凸状壁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