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245A - 흡인기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흡인기용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245A
KR20240021245A KR1020247000959A KR20247000959A KR20240021245A KR 20240021245 A KR20240021245 A KR 20240021245A KR 1020247000959 A KR1020247000959 A KR 1020247000959A KR 20247000959 A KR20247000959 A KR 20247000959A KR 20240021245 A KR20240021245 A KR 20240021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threshold
display
remaining amount
threshol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오 후지나가
하지메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2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 가능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를 가지는 무화기(霧化器)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상기 전원의 잔량에 관한 지표를 표시하는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와, 상기 전원의 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면 상기 지표를 변경하고, 상기 전원의 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1 문턱값과는 상이한 제2 문턱값을 웃돌면 상기 지표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흡인기용 컨트롤러
본 발명은, 흡인기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흡인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1회의 충전당 몇 회의 퍼프 동작(흡인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느냐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지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가지는 표시부 등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는,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전자 담배의 표시부에 전자 페이퍼(e-ink)를 채용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밖에,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도, 흡인기의 표시부에 e-ink를 채용할 수 있음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 3은, 어떠한 타이밍 또는 조건에서 전자 페이퍼의 표시를 갱신하는지에 대해 개시하는 것은 아니므로, 표시 디바이스로서 전자 페이퍼를 사용하는 것 이상의 기술적인 의의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1: 중국 실용신안등록 제203505584호 명세서 특허문헌 2: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7/0304567호 명세서 특허문헌 3: 미국 특허 제8851068호 명세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흡인기용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의 적합한 제어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충전 가능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에 관련되며, 상기 흡인기용 컨트롤러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를 가지는 무화기(霧化器)를 보지(保持, 보유 지지)하는 보지부와, 상기 전원의 잔량에 관한 지표를 표시하는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와, 상기 전원의 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면 상기 지표를 변경하고, 상기 전원의 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1 문턱값과는 상이한 제2 문턱값을 웃돌면 상기 지표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의 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1 문턱값을 밑돌면 상기 지표를 제1 지표로부터 제2 지표로 변경하고, 상기 전원의 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2 문턱값을 웃돌면 상기 지표를 상기 제2 지표로부터 상기 제1 지표로 변경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의 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1 문턱값보다 작은 제3 문턱값을 밑돌면 상기 제2 지표를 제3 지표로 변경하고, 상기 전원의 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2 문턱값보다 작은 제4 문턱값을 웃돌면 상기 제3 지표를 상기 제2 지표로 변경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문턱값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크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문턱값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작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문턱값과 상기 제1 문턱값의 차는, 적어도 1회의 퍼프에 대응하는 상기 히터의 가열에 의한 상기 잔량의 변화보다 크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원의 잔량에 관한 상기 지표로서, 상기 제1 지표 또는 상기 제2 지표를 택일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지표는, 상기 잔량이 충분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지표는, 상기 잔량이 불충분한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잔량의 최대값과 상기 제2 문턱값의 차는, 상기 제2 문턱값과 상기 제1 문턱값의 차보다 작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량이 소정값을 밑돈 경우에, 상기 전원의 방전을 억제하고, 상기 제2 문턱값과 상기 제1 문턱값의 차는, 상기 제1 문턱값과 상기 소정값의 차보다 크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문턱값과 상기 소정값의 차는, 상기 잔량의 최대값과 상기 제2 문턱값의 차보다 크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도 제어 정보에 따른 상기 에어로졸원의 가열의 개시부터 종료까지가 하나의 시퀀스이며, 상기 제2 문턱값과 상기 제1 문턱값의 차는, 적어도 1회의 상기 시퀀스의 실행에 의한 상기 잔량의 변화보다 크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충전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충전 중인 것을 나타내는 화상이 상기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충전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변경한다.
[도 1] 흡인기의 분해 사시도.
[도 2] 흡인기의 조립 완성도.
[도 3] 흡인기의 내부 구성도.
[도 4] 흡인기에 삽입되는 전기 부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흡인기 혹은 전원 유닛 상태 천이도 및 디스플레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디스플레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전지 잔량 지표의 천이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전지 잔량 지표의 천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전지 잔량 지표의 천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에 관한 프로세서(207)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에 관한 프로세서(207)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에 필수의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고 있는 복수의 특징 중 2개 이상의 특징은 임의로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동일 혹은 비슷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한 형태인 흡인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는, 흡인기(100)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고, 도 2에는, 흡인기(100)의 조립 완성도(정면도, 측면도, 사시도)가 나타나고, 도 3에는, 흡인기(100)의 내부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흡인기(100)는,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 등의 에어로졸의 생성을 요구하는 동작(이하에서는 「무화 요구」라고도 말한다.)에 따라, 에어로졸, 또는,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 또는, 에어로졸 및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 또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이 흡구(吸口)부(130)를 통하여 유저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인기(100)는, 흡인기용 컨트롤러로서의 전원 유닛(102)과, 무화기(104)와, 캡슐 홀더(105)와, 캡슐(106)을 구비할 수 있다.
무화기(104)는, 에어로졸원의 발생원으로부터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글라이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의 액체일 수 있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액체여도 되고, 고체여도 되고, 액체 및 고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에어로졸원을 대신하여, 물 등의 증기원이 사용되어도 된다. 무화기(104)는, 전원 유닛(10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무화기(104)는, 전원 유닛(102)에 대하여 착탈 불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된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무화기(104)는, 카트리지(104)라고 기재되는 경우도 있다. 전원 유닛(102)은, 무화기(104)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 무화기(104)를 보지하는 보지체, 또는, 무화기(104)를 기능시키는 본체 등으로서 이해되어도 된다.
전원 유닛(102)은, 무화기(104)를 보지하는 보지부(103)를 가질 수 있다. 보지부(103)는, 무화기(104)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지부(103)는, 또한, 캡슐 홀더(105)를 보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혹은, 캡슐 홀더(105)는, 무화기(104)에 의해 보지되어도 된다. 캡슐 홀더(105)는, 캡슐(106)을 보지한다. 캡슐 홀더(105)는, 보지부(103)와 협동하여 무화기(104)를 고정하도록 기능해도 된다.
보지부(103)는, 캡슐 홀더(105)가 보지부(103)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포함해도 된다. 그 잠금 기구는, 캡슐 홀더(105)에 설치될 수 있는 제1 계합(係合)부와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잠금 기구가 작용한 상태, 즉, 그 잠금 기구에 의해 캡슐 홀더(105)가 잠긴 상태로, 무화기(104)의 접속부(113, 114)가 전원 유닛(102)의 접속부(111, 112)에 대하여 각각 눌려, 접속부(113, 114)와 접속부(111, 112)의 각각의 전기적 접속이 제공될 수 있다.
캡슐 홀더(105)는, 무화기(104) 혹은 전원 유닛(102)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캡슐(106)이 캡슐 홀더(105)의 개구(開口)부에 삽입되면, 무화기(104)와 캡슐(106)의 사이에 기체가 유통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캡슐(106)은, 향미원(131)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원(131)은, 예를 들면, 담배 재료를 성형한 성형체일 수 있다. 혹은, 향미원(131)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한방(漢方), 커피콩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원(131)은, 에어로졸원에 첨가되어도 된다. 유저는, 캡슐(106)의 선단에 형성된 흡구부(130)를 입으로 물고,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전원 유닛(102)은, 전기 부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부품(110)은, 유저 인터페이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전원 유닛(102)은, 전기 부품(110) 및 유저 인터페이스(11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도 된다. 유저 인터페이스(116)는,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로서의 액션 버튼(B)을 포함할 수 있다. 액션 버튼(B)은, 전원 유닛(102)의 기동, 정보의 표시 등의 동작을 위한 트리거로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16)는, 또한, 제1 알림부인 제1 디스플레이(D1)와, 제2 알림부인 제2 디스플레이(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D1)와 제2 디스플레이(D2)는 표시 원리가 서로 상이해도 되고, 이 경우, 소비 전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D1)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이며, 제2 디스플레이(D1)는 전자 페이퍼(e-ink)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자 페이퍼(e-ink) 디스플레이는,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의 일종이다. 제1 디스플레이(D1)로서 채용될 수 있는 OLED 디스플레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스스로 발광하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요구되는 백 라이트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2 디스플레이(D2)로서 채용될 수 있는 전자 페이퍼 디스플레이는, 화상을 계속 보지하기 위해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 페이퍼 디스플레이는, OLED 디스플레이보다 소비 전력이 작다. 다만, 전자 페이퍼 디스플레이는,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자체 발광 기능이 없고, OLED 디스플레이와 비교하면, 어두운 환경하에서의 시인성은 뒤떨어진다.
유저 인터페이스(116)는, 또한, 제1 디스플레이(D1) 및 제2 디스플레이(D2)와는 별도로, 제3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알림부는, 제3 디스플레이(D3) 및/또는 진동 발생부(V)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D3)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LED 디스플레이는, 일례에 있어서, 10개 이하, 20개 이하 또는 30개 이하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LED 디스플레이는, 전자 페이퍼 디스플레이에 비하면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은 적기는 하지만, 높은 휘도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높다. 혹은, LED 디스플레이는, LED 어레이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여도 된다.
진동 발생부(V)는, 전원 유닛(102)의 케이스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에 의해 케이스를 진동시킴으로써 그것을 손에 들고 있는 유저에게 전원 유닛(102)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D1)의 소비 전력 및 제3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은, 제2 디스플레이(D2)의 소비 전력보다 크고, 제1 디스플레이(D1)의 소비 전력은, 제3 디스플레이(D3) 또는 진동 발생부(V)의 소비 전력보다 크다.
도 2에는, 액션 버튼(B), 제1 디스플레이(D1), 제2 디스플레이(D2) 및 제3 디스플레이(D3)의 배치예가 나타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D1)는 전원 유닛(102)의 상면(上面)에 배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D2) 및 제3 디스플레이(D3)는 전원 유닛(102)의 서로 상이한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D1, D2, D3)의 배치 개소(箇所)는 서로 바뀌어 있어도 되고, 도시되어 있는 개소와는 상이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3 디스플레이(D3)(예를 들면, LED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도 2 중의 측면도에 나타나듯이, 무화기(104) 내의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보기 위한 창부(窓部)의 주위에 배치되어도 된다. 혹은, 제3 디스플레이(D3)는, 액션 버튼(B)의 주위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액션 버튼(B)의 배치 개소도 도시의 예에 한하지 않고, 다른 개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원 유닛(102)은, 제1 접속부(111) 및 제2 접속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지부(103)에 의해 무화기(104)가 보지되어 캡슐 홀더(105)가 보지부(103)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접속부(111)는 무화기(104)의 제3 접속부(1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제2 접속부(112)는, 무화기(104)의 제4 접속부(1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속부(111), 제2 접속부(112), 제3 접속부(113) 및 제4 접속부(114)는, 전기 접점 혹은 커넥터일 수 있다. 전원 유닛(102)은, 제1 접속부(111) 및 제2 접속부(112)를 통하여 무화기(10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화기(104)는, 제3 접속부(113) 및 제4 접속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화기(104)는, 에어로졸원의 발생원으로부터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127)와, 에어로졸원을 보지하는 용기(125)와, 용기(125)에 의해 보지된 에어로졸원을 히터(127)에 의한 가열 영역으로 수송하고, 또한 가열 영역에서 보지하는 수송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가열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무화기(104) 내에 설치된 유로(128)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속부(111), 제3 접속부(113), 히터(127), 제4 접속부(114), 및 제2 접속부(112)는, 히터(127)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수송부(126)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와 같은 섬유 소재 또는 세라믹과 같은 다공질 소재 또는 이들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송부(126)는 위크(wick)라고도 불릴 수 있다. 다만, 용기(125) 내의 에어로졸원을 가열 영역으로 수송하는 수단은 위크에 한하지 않고, 스프레이와 같은 분무 장치 또는 펌프와 같은 수송 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유저가 흡구부(130)를 물고 흡인 동작을 실시하면, 파선 화살표로 예시되듯록, 도시하지 않은 개구를 통하여 무화기(104)의 유로(128)에 공기가 유입되고, 히터(127)가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증기화 및/또는 에어로졸화된 에어로졸원이 그 공기에 의해 흡구부(130)를 향하여 수송된다. 흡구부(130)를 향하여 수송되는 과정에 있어서, 증기화된 에어로졸원이 냉각되어 미소(微小)한 액적(液滴)이 형성됨으로써, 에어로졸화가 촉진될 수 있다. 그리고, 향미원(131)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그 에어로졸에 향미원(131)이 발생하는 향미 물질이 첨가되고, 이에 의해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이 흡구부(130)로 수송되어 유저의 입에 빨려 들여간다. 향미원(131)이 발생하는 향미 물질은 에어로졸에 동반되기 때문에, 유저의 구강 내에 머물지 않고, 효율적으로 유저의 폐까지 효율적으로 향미 물질을 수송할 수 있다.
도 4에는, 전기 부품(110)의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전기 부품(110)은, 전원(205)과, 충전 회로(206)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205)은, 리튬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 가능한 전지(이차 전지)일 수 있다. 혹은, 전원(205)은, 리튬이온 캐패시터와 같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로 구성되어도 된다. 전원(205)은, 예를 들면, Vbus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Vbus 포트에는, 케이블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급전 기기(외부 전원)가 접속될 수 있다. Vbus 포트, 케이블, 및 급전 기기는, 예를 들면, 유니버설·시리얼·버스(USB)의 Type-A, Type-B, Type-C 등의 규격에 준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전 기기는, 케이블 및 Vbus 포트를 통하여, 전원(20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급전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PC), 휴대용 배터리 등의 충전기일 수 있다. 전원 유닛(102)이 Vbus 포트 및 케이블을 통하여 충전기와 접속되면, 전원 유닛(102)과 충전기가 서로 통신을 실시하고, 그 후, 충전기로부터 전원(205)으로의 충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전원 유닛(102)과 급전 기기와의 접속은 USB 인터페이스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데이터 통신과 전력 공급이 가능한 여러 가지 통신 방식이 적용되어도 된다.
충전 회로(206)는, 급전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단자(IN)에 전력을 사용하여 충전 단자(BAT)로부터 전원(205)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전원(205)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충전 회로(206)는, 급전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전압 출력 단자 OUT로부터 전력 혹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회로(206)에 의한 전원(205)의 충전 중에 있어서도, 충전 회로(206)로부터 전압 변환기(202, 203, 204)에 전력 혹은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충전 회로(206)는, Vbus 포트에 급전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205)으로부터 충전 단자(BAT)로부터에 공급되는 전원(205)의 전력을 사용하여 전압 출력 단자(OUT)로부터 전력 혹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회로(206)에 의한 전원(205)의 충전 중 이외에 있어서도, 충전 회로(206)로부터 전압 변환기(202, 203, 204)에 전력 혹은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전기 부품(110)은, 1 또는 복수의 전압 변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전기 부품(110)이 복수의 전압 변환기를 구비하는 경우, 그들 중 적어도 2개의 전압 변환기는, 서로 상이한 전압, 또는, 서로 동일한 전압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구성예에서는, 전기 부품(110)은, 전압 변환기(202, 203, 204)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부품(110)은, 전압 변환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이 경우에는, 전기 부품(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에는, 전원(205)이 출력하는 전압이 배선 저항에 의한 근소한 전압 강하를 수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구성예에서는, 전압 변환기(202, 203)는, DC/DC 컨버터와 같은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적어도 한쪽은, LDO(Low DropOut)로 구성되어도 되고, 다른 방식의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구성예에서는, 전압 변환기(204)는, LDO(Low DropOut)로 구성되어 있지만, DC/DC 컨버터와 같은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다른 방식의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전기 부품(110)은, 미리 내장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207)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207)는, 전기 부품(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7)는, 예를 들면,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7)는, ASIC 등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치환되어도 된다. 프로세서(207)에는, 전압 변환기(204)에 의해 전압(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207)는, 전기 부품(110)을 구성하는 소자인 드라이버(211, 212, 213, 214)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211, 212, 213, 214)는, 각각 디스플레이(D1, D2, D3), 진동 모터(V)를 구동한다. 따라서, 프로세서(207)는, 디스플레이(D1, D2, D3), 진동 모터(V)를 구동 혹은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이해되어도 된다.
드라이버(211, 212, 213, 214)에는, 전압 변환기(204)에 의해 전압(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전압 변환기(204)는, 액션 버튼(B)에 대해서도 전압(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액션 버튼(B)은, 유저에 의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되면, 액티브 레벨(예를 들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프로세서(207)에 공급할 수 있다. OLED로 구성될 수 있는 제1 디스플레이(D1)에는, 전압 변환기(203)에 의해 전압(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D2, D3), 진동 모터(V)에는, 각각 드라이버(212, 213, 214)로부터 전압(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이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D2, D3), 진동 모터(V)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압 변환기(202, 203, 20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압(전력)이 공급되어도 된다.
전원 유닛(102)은,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 즉 퍼프를 검출하는 퍼프 센서(209)를 구비해도 되고, 전압 변환기(204)는, 퍼프 센서(209)에 대해서도 전압(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퍼프 센서(209)는, 예를 들면, 압력, 소리, 온도(예를 들면, 전술의 개구를 통하여 무화기(104)의 유로(128)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히터(127)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함으로써 퍼프를 검출할 수 있다.
전기 부품(110)은, 무화기(104)의 부하(負荷)인 히터(127)에 대한 통전(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201)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201)는, 예를 들면, 바디 다이오드를 가지는 MOSFET일 수 있지만, 다른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어도 된다. 전압 변환기(202)는, 스위치(201)를 통하여 히터(127)에 전압(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201) 및 히터(1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회로 혹은 전류 경로에는, 션트 저항(Rshunt)이 배치되어도 된다.
전기 부품(110)은, 히터(127)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회로(210)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127)는, 자신의 온도에 따라 저항값(RHTR)이 변화하는 양 또는 음의 온도 계수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히터(127)의 저항값(RHTR)은 히터(127)의 온도에 대하여 강한 상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측정 회로(210)는, 히터(127)의 저항값(RHTR)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이며, 예를 들면, 오피 앰프(op-amp, Operational Amplifier)에 의해 히터(127)의 양단(兩端)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 회로(210)의 출력은, 프로세서(207)에 제공되고, 프로세서(207)는, 측정 회로(210)의 출력 및 히터(127)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값에 근거하여 저항값(RHTR)을 계산할 수 있다. 그 전류값은, 예를 들면, 션트 저항(Rshunt)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그 검출 회로는, 예를 들면, 션트 저항(Rshunt)의 양단의 전위값을 검출하는 회로이면 되고, 예를 들면, AD 변환기로서, 프로세서(207)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07)는, 측정 회로(210)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히터(127)의 온도에 근거하여, 히터(127)의 온도를 피드백 제어, 예를 들면 PID 제어하도록, 스위치(201)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 부품(110)은, 카트리지(104)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지하는 제1 센서(221), 및, 캡슐(106)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지하는 제2 센서(222)를 구비해도 된다. 제1 센서(221) 및 제2 센서(222)의 출력은, 프로세서(207)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센서(221) 및 제2 센서(222)에는, 전압 변환기(204)에 의해 전압(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제1 센서(221) 및 제2 센서(222)는, 예를 들면, 포토 인터럽터, 근접 센서, RFID 시스템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카트리지(104)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지하는 스위치는, 보지부(103)에 대한 카트리지(104)의 삽입에 의해 온(또는 오프)하고, 보지부(103)로부터의 무화기(104)의 분리에 의해 오프(또는 온)할 수 있다. 캡슐(106)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지하는 스위치는, 보지부(103)에 대한 캡슐(106)의 삽입에 의해 온(또는 오프)하고, 보지부(103)로부터의 캡슐(106)의 분리에 의해 오프(또는 온)할 수 있다.
도 5 상태 천이도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102) 혹은 흡인기(100)의 상태 천이 및 각 상태에 있어서의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예를 설명한다. 전원 유닛(102)은, 슬립 모드, 액티브 모드, 에어로졸 생성 모드, 및 충전 모드의 4개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D1)도, 제2 디스플레이(D2)와 동일한 표시를 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혹은, 제1 디스플레이(D1) 및 제3 디스플레이(D3)는,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간략화한 표시를 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혹은, 제1 디스플레이(D1) 및 제3 디스플레이(D3)는, 제2 디스플레이(D1)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보충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슬립 모드는, 전원 유닛(102)이 주요한 동작을 휴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슬립 모드에서는, 무화기 혹은 카트리지(104)의 히터(127)에 대하여 에어로졸원의 가열을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일은 없다. 슬립 모드에서는, 전원 유닛(102)이 소비하는 전력이 최소한으로 억제될 수 있다. 슬립 모드는, 전력 절약 모드 혹은 스탠바이 모드라고도 불릴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는, 전원 유닛(102)은 에어로졸의 제공 기능이 잠금 되어 있으며, 유저는 에어로졸의 흡인을 실시할 수 없다.
슬립 모드에 있어서 액션 버튼(B)에 대한 소정의 조작이 실시되면, 잠금이 해제되어 전원 유닛(102)은 액티브 모드로 이행한다. 소정의 조작이란, 예를 들면, 액션 버튼(B)을 소정 횟수(예를 들면 3회)에 걸쳐서 반복하여 누르는 조작, 액션 버튼(B)을 규정 시간(예를 들면 3초) 이상에 걸쳐서 길게 누르는 조작 등일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모드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이 없는 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 유닛(102) 혹은 흡인기(100)는 슬립 모드로 되돌아올 수 있다.
액티브 모드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흡인(퍼프)이 퍼프 센서(209)에 의해 검지되면, 전원 유닛(102)은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모드로 이행한다. 흡인이 종료되었을 때, 또는, 1회의 흡인 시간이 규정의 상한 시간에 도달했을 때는, 전원 유닛(102)은 액티브 모드로 되돌아올 수 있다. 액티브 모드 및 에어로졸 생성 모드는, 전원(205)으로부터 히터(127)로의 방전을 제어 가능한 제1 모드로서, 슬립 모드는, 제1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모드로서 이해되어도 된다. 액션 버튼(B)의 조작에 따라, 전원 유닛(102)은, 액티브 모드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모드로 이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원 유닛(102)은, 에어로졸 생성 모드에 있어서의 소정 횟수의 흡인의 검지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액티브 모드로 되돌아올 수 있다.
슬립 모드 또는 액티브 모드에 있어서 외부 전원(충전기)이 Vbus 포트에 접속되면, 흡인기(100)는 충전 모드로 이행하고, 전원(205)의 충전이 실시된다. 외부 전원이 Vbus 포트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혹은, 만충전 상태가 되었을 때, 흡인기(100)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만충전 상태는, SOC(State Of Charge(충전 상태))) 혹은 충전율이 100% 또는 그에 가까운 소정값(예를 들면, 98%, 95% 또는 9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전원 유닛(102) 혹은 흡인기(100)는, 만충전 상태라고 간주하는 기준을 유저에게 설정시키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도 5 중의 b에는, 액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예가 나타나 있다. 이 표시예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D2)에는, 캡슐(106)에 있어서의 향미원(131)의 잔량(이하 「캡슐 잔량」이라고 한다.)과, 카트리지(104)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원의 잔량(이하 「카트리지 잔량」이라고 한다.)과, 전원(205)이 방전 가능한 전력의 잔량, 즉 전원(205)의 잔량(이하 「전지 잔량」이라고 한다.)을 나타내는 지표가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예에서는, 캡슐 잔량은, 6 단계의 바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고, 카트리지 잔량은, 6 단계의 바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고, 전지 잔량은, 5 단계의 바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원(205)의 잔량 혹은 전지 잔량은, 예를 들면, SOC(State Of Charge(충전 상태)) 또는 충전율 등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도 5 중의 a에는,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예가 나타나 있다. 충전 모드에 있어서도, 캡슐 잔량, 카트리지 잔량 및 전지 잔량이 표시될 수 있다. 전지 잔량이 표시되는 영역에는, 충전 중인 것을 나타내는 충전 마크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 중의 c에는, 에어로졸 생성 모드에 있어서의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예가 나타나 있다. 에어로졸의 생성에 의해, 캡슐 잔량, 카트리지 잔량, 전지 잔량은 각각 감소하는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도 5 중의 c의 좌측 부분에 나타내듯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 그래프에 있어서의 바의 길이가 짧아진다. 도 5 중의 c의 우측 부분은, 캡슐 잔량이 적은 것을 나타내고, 또한, 전지 잔량이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D2)는,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해서 소비되는 요소, 예를 들면, 캡슐 잔량, 카트리지 잔량 및 전지 잔량의 적어도 하나, 적어도 2개, 또는, 이들 모두에 관한 표시를 포함하도록 프로세서(20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5 중의 a 내지 c에 나타난 표시 태양(態樣)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캡슐 잔량, 카트리지 잔량 및 전지 잔량의 표시 태양은, 다른 태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 중의 a1, b1, c1와 같이, 복수의 요소의 각각의 잔량의 유무만을 알 수 있는 아이콘 표시여도 된다. 도 6 중의 a1, b1, c1에 예시되듯이,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태양은,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2개의 상태 중 어느 것인지를 특정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2개의 상태는,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능력이 충분한 것을 나타내는 제1 상태, 및, 향미를 가지는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능력이 불충분한 것을 나타내는 제2 상태일 수 있다. 도 6 중의 a1, b1, c1에 있어서의 예에서는, 「!」마크가 없는 아이콘이 제1 상태를 나타내고, 「!」마크가 있는 아이콘이 제2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중의 a1는, 캡슐 잔량 및 카트리지 잔량이 제1 상태이며, 전지 잔량이 제2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중의 b1는, 캡슐 잔량과 카트리지 잔량과 전지 잔량이 제1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중 c1는, 카트리지 잔량이 제1 상태이며, 캡슐 잔량과 전지 잔량이 제2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중의 b1, b2, b3에 예시되듯이,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태양은, 각 잔량이 수치로 나타나는 것이어도 된다.
도 7에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표시되는 전지 잔량을 나타내는 지표(이하, 전지 잔량 지표)의 천이의 하나의 예가 나타나 있다. 전원(205)을 충전하고 있는 충전 상태와 전원(205)을 방전하고 있는 방전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서, 충전 상태에서는, 충전 중인 것을 나타내는 화상인 충전 마크(CM)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되듯이, 프로세서(207)는, 전원(205)의 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면 전지 잔량 지표를 변경하고, 전원(205)의 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제1 문턱값과는 상이한 제2 문턱값을 웃돌면 전지 잔량 지표를 변경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원(205)의 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면 전지 잔량 지표를 제1 지표로부터 제2 지표로 변경하고, 전원(205)의 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제2 문턱값을 웃돌면 전지 잔량 지표를 제2 지표로부터 제1 지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에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표시되는 전지 잔량 지표의 천이의 다른 예가 나타나 있다. 도 8에 예시되듯이, 프로세서(207)는, 전원(205)의 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제1 문턱값보다 작은 제3 문턱값을 밑돌면 제2 지표를 제3 지표로 변경하고, 전원(205)의 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제2 문턱값보다 작은 제4 문턱값을 웃돌면 제3 지표를 제2 지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난 예에서는, 전지 잔량은 5 단계로 표시되어 있으며, 전지 잔량 지표는, 여기서 언급된 문턱값 이외의 문턱값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잔량 지표는, 제1 지표(만충전), 제2 지표, 제3 지표, 제4 지표, 제5 지표(잔량 없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표와 제2 지표 사이의 천이는 제1 문턱값(방전시) 및 제2 문턱값(충전시)에 따라, 제2 지표와 제3 지표 사이의 천이는 제3 문턱값(방전시) 및 제4 문턱값(충전시)에 따라, 제3 지표와 제4 지표 사이의 천이는 제5 문턱값(방전시) 및 제6 문턱값(충전시)에 따라, 제4 지표와 제5 지표 사이의 천이는 제7 문턱값(방전시) 및 제8 문턱값(충전시)에 따를 수 있다. 제1 문턱값과 제2 문턱값은 서로 상이하고, 제3 문턱값과 제4 문턱값은 서로 상이하고, 제5 문턱값과 제6 문턱값은 서로 상이하고, 제7 문턱값과 제8 문턱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원(205)의 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 지표를 변경하기 위한 판정 기준인 문턱값과 전원(205) 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 지표를 변경하기 위한 판정 기준인 문턱값을 상이하게 하는 것은, 전지 잔량 지표의 변화에 히스테리시스를 가지게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도 된다. 도 7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제2 문턱값은 제1 문턱값보다 크다. 도 8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제2 문턱값은 제1 문턱값보다 크고, 제4 문턱값은 제3 문턱값보다 크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충전에 있어서 전지 잔량 지표가 변화한 직후에 충전을 정지하고, 또는 방전을 개시한 경우에, 전지 잔량 지표가 즉석에서 다시 변화한다고 하는 유저에게 있어서의 불쾌감을 해소하기 위해서 유리하다. 또한,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는 표시 제어는, 표시의 변경(고쳐 쓰기)의 횟수를 감소시켜,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데 유리하다.
이상과는 반대로, 충전시에 있어서의 문턱값(제2i 문턱값(i는 자연수))이 방전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문턱값(제(2i-1) 문턱값)보다 작아도 된다. 환언하면, 방전시에 있어서의 문턱값이 충전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문턱값보다 커도 된다. 이 경우, 제2 문턱값이 제1 문턱값보다 작고, 제4 문턱값이 제3 문턱값보다 작다. 예를 들면, 가능한 한 충전율이 높은 상태(만충전시에 가까운 상태)로 외출하고 싶은 유저에게 있어서는, 충전율이 저하한 경우에, 즉석에서 그것을 인식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그러한 유저에게 있어서는, 충전시에 있어서의 문턱값이 방전시에 있어서의 문턱값보다 작은 것이 편리하다.
제2 문턱값과 제1 문턱값의 차는, 예를 들면, 적어도 1회, 적어도 3회, 적어도 5회, 또는, 적어도 10회의 퍼프에 대응하는 히터(127)의 가열에 의한 전지 잔량의 변화보다 크다. 혹은, 충전시에 있어서의 문턱값(제2i 문턱값(i는 자연수))과 방전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문턱값(제(2i-1) 문턱값)의 차는, 예를 들면, 적어도 1회, 적어도 3회, 적어도 5회, 또는, 적어도 10회의 퍼프에 대응하는 히터(127)의 가열에 의한 전지 잔량의 변화보다 크다.
혹은, 어느 형태에 있어서, 흡인기(100), 전기 부품(110) 혹은 프로세서(207)는, 미리 설정된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도록 히터(127)의 가열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온도 제어 정보에 따른 에어로졸원의 가열의 개시부터 종료까지를 하나의 시퀀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2 문턱값과 제1 문턱값의 차는, 예를 들면, 적어도 1회, 적어도 3회, 적어도 5회, 또는, 적어도 10회의 그 시퀀스의 실행에 의한 전지 잔량의 변화보다 크다. 혹은, 충전시에 있어서의 문턱값(제2i 문턱값(i는 자연수))과 방전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문턱값(제(2i-1) 문턱값)의 차는, 예를 들면, 적어도 1회, 적어도 3회, 적어도 5회, 또는, 적어도 10회의 그 시퀀스의 실행에 의한 전지 잔량의 변화보다 크다. 그 온도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히터(127)의 온도, 또는, 히터(127)에 공급하는 전력의 시간적인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그 온도 제어 정보는, 온도 프로파일로 불려도 된다. 그 온도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히터(127)의 온도가 제어되는 기간은, 예를 들면, 적어도 1회, 또는, 적어도 2회의 승온(昇溫) 기간과, 적어도 1회의 강온(降溫)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승온 기간 및 그 강온 기간에서는, 히터(127)의 온도는, 피드백 제어 혹은 피드 포워드 제어될 수 있다.
도 9에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표시되는 전지 잔량 지표의 천이의 또 다른 예가 나타나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D2)는, 전지 잔량 지표로서, 제1 지표 또는 제2 지표를 택일적으로 표시한다. 즉, 도 9의 예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표시되는 전지 잔량 지표는, 제1 지표 및 제2 지표의 2종류만을 가진다. 제1 지표는, 전지 잔량이 충분한 것을 나타내고, 제2 지표는, 전지 잔량이 불충분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전지 잔량의 최대값과 제2 문턱값의 차(A)는, 제2 문턱값과 제1 문턱값의 차(B)보다 작다.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이 소정값을 밑돈 경우에 전원(205)의 방전을 억제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제2 문턱값과 제1 문턱값의 차(B)는, 제1 문턱값과 소정값의 차(C)보다 커도 된다. 제1 문턱값과 소정값의 차(C)는, 전지 잔량의 최대값과 제2 문턱값의 차(A)보다 커도 된다.
전원 유닛(102)은, 예를 들면 전술의 Vbus 포트와 같은, 전원(205)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충전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고, 프로세서(207)는, 충전 커넥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원(205)의 충전 중에 있어서도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0에는,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에 관한 프로세서(207)의 동작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10에 나타나는 동작은, 도 7, 도 8, 도 9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의 제1 지표와 제2 지표 사이의 표시의 천이에 적용될 수 있다. 스텝 S101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을 취득한다. 프로세서(207)는, 예를 들면, 전원(205)의 출력 전압을 취득함으로써 전지 잔량을 취득할 수 있다. 혹은, 전원(205)을 관리하는 관리 회로를 전원 유닛(102)이 구비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207)는, 그 관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102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현재 상태가 전원(205)을 방전하고 있는 방전 상태인지, 전원(205)을 충전하고 있는 충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207)는, 현재의 모드가 충전 모드이면, 충전 상태라고 판단하고, 그 이외의 모드이면, 방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방전 상태이면,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충전 상태이면, 처리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고 있으면, 스텝 104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린다. 스텝 S104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의한 현재의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1 지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1 지표이면, 스텝 S105에 있어서 제1 지표를 제2 지표로 변경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101로 진행한다(제1 지표를 유지한다).
충전 상태인 경우, 스텝 S106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이 제2 문턱값을 웃돌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이 제2 문턱값을 웃돌고 있으면, 스텝 107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린다. 스텝 S107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의한 현재의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2 지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2 지표이면, 스텝 S108에 있어서 제2 지표를 제1 지표로 변경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101로 진행한다(제2 지표를 유지한다).
도 11에는,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에 관한 프로세서(207)의 동작의 다른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동작은, 도 8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의 제1 지표와 제2 지표 사이의 표시의 천이, 및, 제2 지표와 제3 지표 사이의 표시의 천이에 적용될 수 있다. 스텝 S201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을 취득한다. 프로세서(207)는, 예를 들면, 전원(205)의 출력 전압을 취득함으로써 전지 잔량을 취득할 수 있다. 혹은, 전원(205)을 관리하는 관리 회로를 전원 유닛(102)이 구비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207)는, 그 관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202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현재 상태가 전원(205)을 방전하고 있는 방전 상태인지, 전원(205)을 충전하고 있는 충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207)는, 현재의 모드가 충전 모드이면, 충전 상태라고 판단하고, 그 이외의 모드이면, 방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방전 상태이면, 처리는 스텝 S203으로 진행되고, 충전 상태이면, 처리는 스텝 S209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고 있으면, 스텝 204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린다. 스텝 S204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의한 현재의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1 지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1 지표이면, 스텝 S205에 있어서 제1 지표를 제2 지표로 변경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제1 지표를 유지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이 제3 문턱값을 밑돌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이 제3 문턱값을 밑돌고 있으면, 스텝 207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린다. 스텝 S207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의한 현재의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2 지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2 지표이면, 스텝 S208에 있어서 제2 지표를 제3 지표로 변경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린다(제2 지표를 유지한다).
충전 상태인 경우, 스텝 S209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이 제4 문턱값을 웃돌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이 제4 문턱값을 웃돌고 있으면, 스텝 210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린다. 스텝 S210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의한 현재의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3 지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3 지표이면, 스텝 S211에 있어서 제3 지표를 제2 지표로 변경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12로 진행한다(제3 지표를 유지한다).
스텝 S212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전지 잔량이 제2 문턱값을 웃돌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이 제2 문턱값을 웃돌고 있으면, 스텝 213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린다. 스텝 S213에 있어서, 프로세서(207)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의한 현재의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2 지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지 잔량 지표의 표시가 제2 지표이면, 스텝 S214에 있어서 제2 지표를 제1 지표로 변경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린다(제1 지표를 유지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지 잔량 지표가 제2 디스플레이(D2)에 표시되지만, 전지 잔량 지표는, 다른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D1) 및 제3 디스플레이(D3)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되어도 된다. 혹은, 전지 잔량 지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D1, D2, D3 사용하여 표시되어도 된다. 혹은, 복수의 디스플레이(D1, D2, D3)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전지 잔량 지표의 하나의 지표(예를 들면, 제1 지표)가 표시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D1, D2, D3) 외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전지 잔량 지표의 다른 하나의 지표(예를 들면, 제2 지표)가 표시되어도 된다.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100: 흡인기, 102: 흡인기용 컨트롤러, 103: 보지부, 104: 무화기, 125: 용기, 126: 수송부, 127: 히터, D1, D2, D3: 디스플레이, 207: 프로세서

Claims (13)

  1. 충전 가능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로서,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를 가지는 무화기(霧化器)를 보지(保持)하는 보지부와,
    상기 전원의 잔량에 관한 지표를 표시하는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와,
    상기 전원의 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제1 문턱값을 밑돌면 상기 지표를 변경하고, 상기 전원의 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1 문턱값과는 상이한 제2 문턱값을 웃돌면 상기 지표를 변경하는 프로세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의 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1 문턱값을 밑돌면 상기 지표를 제1 지표로부터 제2 지표로 변경하고, 상기 전원의 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2 문턱값을 웃돌면 상기 지표를 상기 제2 지표로부터 상기 제1 지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의 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1 문턱값보다 작은 제3 문턱값을 밑돌면 상기 제2 지표를 제3 지표로 변경하고, 상기 전원의 충전에 있어서 상기 잔량이 상기 제2 문턱값보다 작은 제4 문턱값을 웃돌면 상기 제3 지표를 상기 제2 지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턱값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턱값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턱값과 상기 제1 문턱값의 차는, 적어도 1회의 퍼프에 대응하는 상기 히터의 가열에 의한 상기 잔량의 변화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온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도 제어 정보에 따른 상기 에어로졸원의 가열의 개시부터 종료까지가 하나의 시퀀스이며,
    상기 제2 문턱값과 상기 제1 문턱값의 차는, 적어도 1회의 상기 시퀀스의 실행에 의한 상기 잔량의 변화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원의 잔량에 관한 상기 지표로서, 상기 제1 지표 또는 상기 제2 지표를 택일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지표는, 상기 잔량이 충분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지표는, 상기 잔량이 불충분한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잔량의 최대값과 상기 제2 문턱값의 차는, 상기 제2 문턱값과 상기 제1 문턱값의 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량이 소정값을 밑돈 경우에, 상기 전원의 방전을 억제하고,
    상기 제2 문턱값과 상기 제1 문턱값의 차는, 상기 제1 문턱값과 상기 소정값의 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문턱값과 상기 소정값의 차는, 상기 잔량의 최대값과 상기 제2 문턱값의 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충전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충전 중인 것을 나타내는 화상이 상기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충전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불휘발성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KR1020247000959A 2021-06-21 2021-06-21 흡인기용 컨트롤러 KR20240021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3447 WO2022269701A1 (ja) 2021-06-21 2021-06-21 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245A true KR20240021245A (ko) 2024-02-16

Family

ID=8454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959A KR20240021245A (ko) 2021-06-21 2021-06-21 흡인기용 컨트롤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9394A1 (ko)
EP (1) EP4360482A1 (ko)
JP (1) JPWO2022269701A1 (ko)
KR (1) KR20240021245A (ko)
CN (1) CN117500395A (ko)
WO (1) WO202226970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1068B2 (en) 2009-04-21 2014-10-07 Aj Marketing Llc Personal inhala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5966A (ja) * 2009-07-30 2011-02-17 Canon Inc 電子機器システム
CN203505584U (zh) 2013-08-15 2014-04-02 深圳市万机创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E-Ink电子纸显示的电子烟
US20170150756A1 (en) * 2015-11-30 2017-06-01 National Concessions Group Inc. Dual-activation for vaporizer devices
US20170251724A1 (en) * 2016-03-04 2017-09-07 Rai Strategic Holdings, Inc. Flexible display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1068B2 (en) 2009-04-21 2014-10-07 Aj Marketing Llc Personal inhal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99394A1 (en) 2024-03-28
CN117500395A (zh) 2024-02-02
JPWO2022269701A1 (ko) 2022-12-29
WO2022269701A1 (ja) 2022-12-29
EP4360482A1 (en)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879B1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および電源装置
CN111463845B (zh) 用于气雾吸入器的电源单元
JP7254735B2 (ja) エアロゾル吸引器、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制御方法、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制御プログラム
US10051891B2 (en) Capacitive sensing input devi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TW202027630A (zh) 蒸發器電源系統
KR102184443B1 (ko)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EP3977876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EP3874977B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nd aerosol inhaler
CN111109688B (zh) 气雾剂吸入器的电源单元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EP3979456B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JP6617189B1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制御方法、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制御プログラム
JP2020195297A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US20220095678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JP2020195295A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EP3874974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KR20240021245A (ko) 흡인기용 컨트롤러
JP6813701B2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
WO2022269704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US20240100275A1 (en) Controller for inhalation apparatus
WO2022269702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RU2774104C1 (ru) Блок питания дл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а
KR20240021230A (ko) 흡인기용 컨트롤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