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230A - 흡인기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흡인기용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230A
KR20240021230A KR1020247000808A KR20247000808A KR20240021230A KR 20240021230 A KR20240021230 A KR 20240021230A KR 1020247000808 A KR1020247000808 A KR 1020247000808A KR 20247000808 A KR20247000808 A KR 20247000808A KR 20240021230 A KR20240021230 A KR 2024002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ments
display
processor
controller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오 후지나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2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에어로졸원의 무화(霧化) 요구의 수신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여 무화하는 무화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흡인기용 컨트롤러는, 상기 무화 처리에 사용되는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한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2 이상의 요소에 대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된 경우여도,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선택된 하나의 요소에 대해 상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인기용 컨트롤러
본 발명은, 흡인기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디스플레이(GUI)를 구비한 흡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7/0304567호 명세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흡인기용 컨트롤러)에서는, 에어로졸원의 무화(霧化) 처리에 사용되는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해 잔량 부족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에, 소비 전력을 저감하면서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키는 것이 유저의 편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잔량 부족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의 소비 전력의 저감 및 시인성의 향상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유리한 흡인기용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는, 에어로졸원의 무화 요구의 수신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여 무화하는 무화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흡인기용 컨트롤러로서, 상기 무화 처리에 사용되는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한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2 이상의 요소에 대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된 경우여도,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선택된 하나의 요소에 대해 상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2 이상의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우선순위에 관한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에서 상기 하나의 요소를 선택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잔량을 회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 긴 요소를 상기 하나의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유저가 시인할 수 없는 요소를 상기 하나의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상기 무화 처리에서 생성되는 기체의 향미에 대한 영향도가 높은 요소를 상기 하나의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된 타이밍이 빠른 요소를 상기 하나의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요소에 있어서의 잔량이 회복된 경우, 상기 하나의 요소에 대한 상기 정보를 대신하여,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다른 하나의 요소에 대한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해, 현재의 잔량으로 상기 무화 요구에 응할 수 있는 횟수가 문턱값 이상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2개의 요소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용 컨트롤러에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보지(保持, 보유 지지)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무화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요소는, 상기 히터에 급전(給電)하기 위한 전원인 제1 요소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인 제2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문턱값인 제2 문턱값은, 상기 제1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문턱값인 제1 문턱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용 컨트롤러에는, 향미원을 포함하는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요소는, 상기 캡슐 내의 상기 향미원인 제3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문턱값인 제3 문턱값은, 상기 제2 문턱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용 컨트롤러에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보지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무화기, 및, 향미원을 포함하는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요소는, 상기 히터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인 제1 요소,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인 제2 요소, 및, 상기 캡슐 내의 상기 향미원인 제3 요소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자 페이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잔량 부족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의 소비 전력의 저감 및 시인성의 향상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유리한 흡인기용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혹은 비슷한 구성에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붙인다.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고, 그 기술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 일 실시 형태의 흡인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2] 일 실시 형태의 흡인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3] 일 실시 형태의 흡인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 컨트롤러의 전기 부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 제2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잔량 부족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각 요소에 대한 흡인 가능 횟수와 문턱값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개서(改書) 처리#1(교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개서 처리#2(충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개서 처리#3(잔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b] 개서 처리#3(잔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각 요소의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하나의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개서에 관한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개서에 관한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에 필수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고 있는 복수의 특징 중 2개 이상의 특징이 임의로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동일 혹은 비슷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일 실시 형태의 흡인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흡인기(100)의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도 1에는 흡인기(100)의 분해도가 나타나고 있으며, 도 2에는 흡인기(100)의 외관도가 나타나 있다. 도 2에는, 흡인기(100)의 정면도, 흡인기(100)의 측면도, 및 흡인기(100)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에는 흡인기(100)의 모식도가 나타나 있다.
흡인기(100)는,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 등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요구하는 동작(이하, 무화 요구라고도 한다)에 따라,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기체, 또는, 에어로졸 및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 또는, 에어로졸, 또는,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흡구부(130)를 통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인기(100)는, 흡인기용 컨트롤러(102)와, 무화기(104)를 구비할 수 있다. 무화기(104)는, 흡인기용 컨트롤러(102)에 설치된 보지부(103)에 의해 분리 가능(착탈 가능)하게 보지되고, 흡인기용 컨트롤러(102)의 제어하에 있어서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글라이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의 액체 일수 있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액체여도 되고, 고체여도 되고, 액체 및 고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에어로졸원을 대신하여, 물 등의 증기원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흡인기용 컨트롤러(102)를 단지 컨트롤러(10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으며, 무화기(104)를 카트리지(104)하고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흡인기(100)는, 향미원(131)을 포함하는 캡슐(106)을 분리 가능(착탈 가능)한 상태로 보지하는 캡슐 홀더(105)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홀더(105)는, 예를 들면, 도 1이나 도 3에 나타나듯이, 통상(筒狀)의 보지부(103)에 계합(係合)(나합(螺合))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보지부(103)의 내부에 카트리지(104)가 삽입된 상태로 보지부(103)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104)가 컨트롤러(102)의 보지부(103)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컨트롤러(102)의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104)의 전기 접점이 접촉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캡슐 홀더(105)는, 컨트롤러(102)의 보지부(103)에 카트리지(104)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기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향미원(131)은, 예를 들면, 담배 재료를 성형한 성형체일 수 있다. 혹은, 향미원(131)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한방(漢方), 커피콩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원(131)은, 에어로졸원에 첨가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104)와 캡슐 홀더(105)가 별체(別體)로 구성되어 있지만, 일체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컨트롤러(102)는, 배터리(전원)(BAT)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110)을 구비할 수 있다. 배터리(BAT)는, 리튬이온 이차 전지와 같은 이차 전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리튬이온 커패시터와 같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기 부품(110)은, 유저 인터페이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컨트롤러(102)는, 전기 부품(110) 및 유저 인터페이스(11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102)에는, 도 2에 나타나듯이, 광투과 부재에 의해 구성된 창(窓)부(W)가 외면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보지부(103)에 의해 보지된 카트리지(104) 내의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창부(W)를 통하여, 컨트롤러(102)의 외관으로부터 시인(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16)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B)와,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D1~D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B)는, 예를 들면 버튼 스위치(이하에서는 버튼(B)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지만, 다른 스위치나 터치 디스플레이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제공부(D1)는, 배터리(BAT),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잔량 정보를 단계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표시부)이며, 이하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D1)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디스플레이(D1)로서는, 예를 들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EL)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D1)는, 도 2에 나타나듯이, 컨트롤러(102)의 외면에 있어서의 버튼(B)과 보지부(10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지만, 그에 한하지 않고, 컨트롤러(102)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102)가 제1 디스플레이(D1)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공부(D2)는, 배터리(BAT),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표시부)이며, 이하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D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2 디스플레이(D2)로서는, 전자 페이퍼(예를 들면 e-ink(등록상표)) 등, 표시 내용의 개서에만 전력을 소비하는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D2)는, 도 2에 나타나듯이, 컨트롤러(102)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그에 한하지 않고, 컨트롤러(102)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컨트롤러(102)의 보지부(103)는, 제1 전기 접점(111) 및 제2 전기 접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지부(103)에 의해 카트리지(104)가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보지부(103)의 제1 전기 접점(111)은, 카트리지(104)의 제3 전기 접점(113)에 접하고, 또한, 보지부(103)의 제2 전기 접점(112)은, 카트리지(104)의 제4 전기 접점(114)에 접할 수 있다. 컨트롤러(102)는, 제1 전기 접점(111) 및 제2 전기 접점(112)을 통하여 카트리지(104)의 히터(HT)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카트리지(104)는, 전술한 것처럼, 제3 전기 접점(113) 및 제4 전기 접점(1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04)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하여 무화하기 위한 히터(HT)와, 에어로졸원을 보지(수용)하는 용기(125)와, 용기(125)에 의해 보지된 에어로졸원을 히터(HT)에 의한 가열 영역에 수송하고 또한 가열 영역에서 보지하는 수송부(위크)(1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가열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104) 내에 설치된 유로(128)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기 접점(111), 제3 전기 접점(113), 히터(HT), 제4 전기 접점(114) 및 제2 전기 접점(112)은, 히터(HT)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수송부(126)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와 같은 섬유 소재 또는 세라믹과 같은 다공질 소재 또는 이들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125)에 보지된 에어로졸원을 가열 영역으로 수송하는 수단은, 위크에 한하지 않고, 스프레이와 같은 분무 장치나 또는 펌프와 같은 수송 수단이 대신 사용되어도 된다.
캡슐(106)은, 컨트롤러(102)의 보지부(103)에 장착된 캡슐 홀더(105)에 일부가 수용되고, 흡구부(130)를 포함하는 다른 일부가 노출되도록, 컨트롤러(102)(또는 카트리지(104))에 장착된다. 유저는, 흡구부(130)를 입으로 물고, 에어로졸을 함유하는 기체 또는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구부(130)가 분리 가능한 캡슐(106)을 구비함으로써, 흡인기(100)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저가 흡구부(130)를 물고 흡인 동작을 실시하면, 도 3에 있어서 파선 화살표로 예시되듯이, 도시하지 않은 개구(開口)를 통하여 카트리지(104)의 유로(128)에 공기가 유입되고, 히터(HT)가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증기화 및/또는 에어로졸화된 에어로졸원이 그 공기에 의해 흡구부(130)를 향하여 수송된다. 흡구부(130)를 향하여 수송되는 과정에 있어서, 증기화 및/또는 에어로졸화된 에어로졸원이 냉각되어 미소한 액적(液滴)이 형성됨으로써, 에어로졸화가 촉진될 수 있다. 그리고, 향미원(131)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향미원(131)이 발생하는 향미 물질이 에어로졸에 첨가되어 흡구부(130)로 수송되고, 유저의 입에 빨려 들여간다. 향미원(131)이 발생하는 향미 물질은 에어로졸에 첨가되기 때문에, 유저의 구강 내에 머물지 않고, 유저의 폐까지 효율적으로 향미 물질을 수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트롤러(102)의 전기 부품(1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는, 컨트롤러(102)의 전기 부품(110)의 구성예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4에서는, 컨트롤러(102)에 장착되는 카트리지(104)의 히터(HT)도 도시되어 있으며, 컨트롤러(102)의 제1 전기 접점(111)과 카트리지(104)의 제3 전기 접점(113)의 접속부가 「RC +」, 컨트롤러(102)의 제2 전기 접점(112)과 카트리지(104)의 제4 전기 접점(114)의 접속부가 「RC -」라고 표기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전원(예를 들면 충전기)에 접속되는 커넥터(예를 들면 USB 포트)의 VBUS 단자 및 GND 단자도 도시되어 있다. VBUS 단자 및 GND 단자는, 도면 중에 있어서, 「VBUS」 및 「GND」라고 각각 표기되어 있다.
전기 부품(110)은, 예를 들면, 배터리(BAT)와, 카트리지(104)(의 히터(HT))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히터(HT)의 저항값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해당 검출부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따라 히터(HT)의 통전을 제어하는 통전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부품(110)은, 유저의 조작 및 무화 요구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유저에 대한 정보의 통지를 제어하는 통지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HT)는, 히터(HT)의 온도에 의해 변화하는 저항값(RHTR)을 가진다. 해당 저항값(RHTR)은, 히터(HT)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대하는 양의 온도 계수 특성(소위, PTC 특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히터(HT)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대하는 음의 온도 계수 특성(소위, NTC 특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히터(HT)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BAT)의 플러스 단자로부터 히터(HT)로의 전력 공급 라인상에 배치된 전원 회로(11)와 전압 변환기(12)와 스위치(SW)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회로(11)는, 예를 들면 차지 IC를 포함하고, 배터리(BAT)의 플러스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한다. 전원 회로(11)는, 외부 전원이 접속된 경우에 있어서, VBUS 단자를 통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배터리(BAT)에 공급하도록도 구성될 수 있다. 전압 변환기(12)는, 예를 들면 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전원 회로(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히터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압 변환기(12)로부터 출력된 히터 구동 전압은, 접속부(RC+)(제1 전기 접점(111), 제3 전기 접점(113))에 공급된다. 한편, 접속부(RC-)(제2 전기 접점(112), 제4 전기 접점(114))은, 배터리(BAT)의 마이너스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전압 변환기(12)의 출력 단자와 배터리(BAT)의 마이너스 단자의 사이에, 히터(HT)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전류 경로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SW)는, 예를 들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포함하고, 스위치(SW)의 개폐(오프, 온)는, 프로세서(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치(SW)는, 전압 변환기(12)의 출력 단자와 히터(HT)(접속부(RC +))를 연결하는 라인(전류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히터(HT)(접속부(RC-))와 배터리(BAT)의 마이너스 단자를 연결하는 라인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스위치(SW)에 부착되어 있는 다이오드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바디(기생) 다이오드를 나타내고 있다.
히터(HT)의 저항값(RHTR)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는, 션트 저항(Rshunt)과 증폭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션트 저항(Rshunt)은, 션트 저항(Rshunt)의 온도가 변화해도 저항값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증폭기(13)는, 예를 들면, 비반전 입력 단자, 반전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 오피 앰프(op-amp, Operational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13)의 양측 전원 단자는 전압 변환기(12)의 출력 단자에, 스위치(SW) 및 션트 저항(Rshunt)을 통하여 접속되고, 음측 전원 단자는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증폭기(13)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접속부(RC+)(제1 전기 접점(111))에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는 접속부(RC-)(제2 전기 접점(112))에 접속된다. 따라서, 증폭기(13)는, 접속부(RC+)와 접속부(RC-)의 전위차, 즉, 히터(HT)에 발생하는 전압(VHTR)을 증폭하여, 출력 전압(VAMP)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서(10)는,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에 근거하여, 히터(HT)의 온도(THTR)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0)는,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과 증폭기(13)의 증폭률에 근거하여 히터(HT)의 저항값(RHTR)을 계산하고, 히터(HT)의 온도 계수[ppm/℃]에 근거하여 해당 저항값(RHTR)을 히터(HT)의 온도(THTR)로 환산할 수 있다.
히터(HT)의 통전 제어를 실시하는 통전 제어부는, 프로세서(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예를 들면,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성될 수 있으나, MCU와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프로세서(10)의 전원 단자에는, LDO(Low DropOut) 등의 전압 변환 회로(14)의 출력 전압이 공급된다. 전압 변환 회로(14)는, 전원 회로(11)의 출력 전압을 프로세서(10) 등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전술한 것처럼, 프로세서(10)는,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에 근거하여 히터(HT)의 온도(THTR)를 산출하거나, 산출한 히터(HT)의 온도(THTR)에 근거하여 스위치(SW)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히터(HT)의 통전을 제어하거나 할 수 있다.
유저 조작 및 무화 요구를 검지하는 검지부는, 버튼(B)과 퍼프 센서(15)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B) 및 퍼프 센서(15)에는 전압 변환 회로(14)의 출력 전압이 공급된다. 전술한 것처럼, 버튼(B)은, 유저 인터페이스(116)의 일부로서 컨트롤러(102)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저 조작(버튼(B)의 누름 동작)을 검지한 경우에, 그 검지 신호를 프로세서(10)에 공급한다. 또한, 퍼프 센서(15)는, 예를 들면 압력 센서나 마이크로폰 콘덴서 등을 포함하고, 유저의 퍼프 동작(흡인 동작)을 검지한 경우에, 그 검지 신호를 프로세서(10)에 공급한다. 버튼(B)을 사용한 유저 조작(날인 동작)의 검지, 및/또는 퍼프 센서(15)를 사용한 퍼프 동작의 검지는, 전술한 무화 요구의 구체적 일례이다.
또한, 검지부는, 카트리지(104)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지하는 제1 센서(26), 및, 캡슐(106)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지하는 제2 센서(27)를 포함해도 된다. 제1 센서(26) 및 제2 센서(27)에는, 전압 변환 회로(14)의 출력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제1 센서(26) 및 제2 센서(27)는, 예를 들면, 포토 인터럽터, 근접 센서, RFID 시스템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카트리지(104)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지하는 스위치는, 보지부(103)에 대한 카트리지(104)의 삽입에 의해 온(또는 오프)하고, 보지부(103)로부터의 카트리지(104)의 분리에 의해 오프(또는 온)할 수 있다. 캡슐(106)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지하는 스위치는, 보지부(103)(캡슐 홀더(105))에 대한 캡슐(106)의 삽입에 의해 온(또는 오프)하고, 보지부(103)(캡슐 홀더(105))로부터의 캡슐(106)의 분리에 의해 오프(또는 온)할 수 있다.
유저에 대한 정보의 통지를 제어하는 통지 제어부는, 제1 디스플레이(D1)와, 제2 디스플레이(D2)와, 진동 모터(16)(바이브레이션 모터)와, 발광 소자(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D1)는, 전술한 것처럼, 예를 들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EL)이며, 배터리(BAT),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잔량 정보를 단계적으로 표시한다. 제1 디스플레이(D1)에는, DC/DC 컨버터 등의 전압 변환기(18)의 출력 전압이 공급된다. 제2 디스플레이(D2)는, 전술한 것처럼, 예를 들면 전자 페이퍼 등, 표시하는 내용의 개서에만 전력을 소비하는 디스플레이이며, 배터리(BAT),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진동 모터(16)는, 진동자가 장착된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컨트롤러(102)에 진동을 준다. 발광 소자(17)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이며, 점등이나 점멸 등에 의해 유저에게 정보를 통지한다. 발광 소자(17)는, 예를 들면, 버튼(B)의 주위나 창부(W)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통지 제어부는, 제1 디스플레이(D1)를 구동하는 제1 구동 회로(21)(제1 드라이버)와, 제2 디스플레이(D2)를 구동하는 제2 구동 회로(22)(제2 드라이버)와, 진동 모터(16)를 구동하는 제3 구동 회로(23)(제3 드라이버)와, 발광 소자(17)를 구동하는 제4 구동 회로(24)(제4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회로(21) 내지 제4 구동 회로(24)는, 전압 변환 회로(14)의 출력 전압에 의해 동작하고, 프로세서(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디스플레이(D2)는, 에어로졸원의 무화 처리에 사용되는 복수의 요소 중 선택된 하나의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이하, 잔량 부족 정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디스플레이(D2)는, 복수의 요소 중 2 이상의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된 경우여도, 해당 2 이상의 요소 중 선택된 하나의 요소에 대한 잔량 부족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D2)의 면적을 저감(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내용을 개서(변경)할 때에 있어서의 제2 디스플레이(D2)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D2)에는, 선택된 하나의 요소의 잔량 부족 정보만이 크게 표시되기 때문에, 제2 디스플레이(D2)의 면적을 저감했다고 해도 유저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제2 디스플레이(D2)의 구성에서는, 잔량 부족 정보를 표시할 때의 소비 전력의 저감 및 시인성의 향상을 양립시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무화 처리에 사용되는 복수의 요소는, 예를 들면, 히터(HT)에 급전하기 위한 배터리(BAT)(의 잔량)인 제1 요소, 카트리지(104)의 용기(125) 내의 에어로졸원(의 잔량)인 제2 요소, 및, 캡슐(106) 내의 향미원(의 잔량)인 제3 요소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해당 복수의 요소가 제1 요소 내지 제3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요소를 배터리 잔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으며, 제2 요소를 카트리지 잔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으며, 제3 요소를 캡슐 잔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5에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있어서의 잔량 부족 정보의 표시예가 나타나 있다. 제2 디스플레이(D2)에 있어서의 표시의 개서는,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있어서 제2 구동 회로(22)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도 5의 표시예 5a는, 복수의 요소의 전부에 있어서 잔량이 충분(문턱값 이상)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D2)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도 5의 표시예 5b는, 캡슐(106)(향미원)의 잔량 부족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표시예 5c는, 카트리지(104)(에어로졸원)의 잔량 부족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표시예 5d는, 배터리(BAT)의 잔량 부족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D2)는, 외부 전원에 의해 배터리(BAT)가 충전 중이라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5의 표시예 5e는, 배터리(BAT)의 충전 중을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0)의 동작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는, 프로세서(10)의 동작 모드의 예가 나타나 있다. 프로세서(10)는, 동작 모드로서, 예를 들면, 액티브 모드(31), 슬립 모드(32), 에어로졸 생성 모드(33) 및 충전 모드(34)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31)는, 유저의 무화 요구의 수신에 따라, 히터(HT)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가열하여 무화하는 무화 처리(가열 처리라고도 불린다)를 실행 가능한 모드이다. 구체적으로는, 액티브 모드(31)는, 유저의 무화 요구의 수신이 개시되었을 때에 무화 처리를 개시할 수 있도록, 무화 요구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고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액티브 모드(31)의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가 흡구부(130)를 통해 흡인 동작을 개시하여 퍼프 센서(15)로부터의 검지 신호의 수신이 개시되면, 프로세서(10)는, 무화 요구가 개시되었다고 하여, 액티브 모드(31)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모드(33)로 이행한다. 에어로졸 생성 모드(33)는, 히터(HT)에 급전함으로써 무화 처리를 실시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모드이다. 유저의 흡인 동작이 종료하여 퍼프 센서(15)로부터의 검지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면, 프로세서(10)는, 무화 요구가 종료되었다고 하여, 에어로졸 생성 모드(33)로부터 액티브 모드(31)로 이행한다.
액티브 모드(31)에 있어서 무조작 기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6분)에 도달한 경우, 프로세서(10)는, 액티브 모드(31)로부터 슬립 모드(32)로 이행한다. 슬립 모드(32)는, 액티브 모드(31)보다 소비 전력을 작게 한 모드이다.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버튼(B)의 조작(누름)이 검지된 경우에, 프로세서(10)는, 슬립 모드(32)로부터 액티브 모드(31)로 이행한다. 또한, 액티브 모드(31) 및/또는 슬립 모드(32)에 있어서 외부 전원(충전기)의 접속을 검지한 경우, 프로세서(10)는, 충전 모드(34)로 이행한다. 충전 모드(34)는, 배터리(BAT)의 충전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외부 전원의 분리가 검지된 경우, 프로세서(10)는, 충전 모드(34)로부터 슬립 모드(32)로 이행한다. 또한, 배터리(BAT)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도, 프로세서(10)는, 충전 모드(34)로부터 슬립 모드(32)로 이행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제어에 대해, 프로세서(10)의 동작 모드에 관련시키면서 설명한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는,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제어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가 나타나 있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나는 표시 제어 처리는, 프로세서(10)가 슬립 모드(32)인 상태에 있어서 개시되는 것으로 하고, 프로세서(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의 스텝 S101에서는, 프로세서(10)는, 외부 전원(충전기)에 의한 배터리(BAT)의 충전이 개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는, 컨트롤러(102)의 커넥터(VBUS 단자, GND 단자)에 외부 전원이 접속된 경우에, 배터리(BAT)의 충전이 개시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충전이 개시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02로 진행하고, 슬립 모드(32)로부터 충전 모드(34)로 이행하여 배터리(BAT)의 충전을 개시한 후, 스텝 S103에서 개서 처리#2(충전)를 실행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0)는, 스텝 S104에 있어서 충전 모드(34)로부터 슬립 모드(32)로 이행한 후, 스텝 S101로 진행한다. 개서 처리#2(충전)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고쳐 쓰는 처리이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101에서 충전이 개시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는, 프로세서(10)는, 유저 조작(수동)에 따라 기동을 실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는, 유저에 의해 버튼(B)의 조작(누름)이 있었을 경우에 기동을 실시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기동을 실시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하고, 슬립 모드(32)로부터 액티브 모드(31)로 이행한 후, 도 8a의 스텝 S201로 진행한다. 한편, 수동에서의 기동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스텝 S107에서는, 프로세서(10)는, 자동으로 기동을 실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는, 예를 들면 수 시간마다 혹은 1일마다 등, 소정의 주기마다 자동으로 기동을 실시한다고 판단해도 되고, 전회의 기동(수동 또는 자동)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자동으로 기동을 실시한다고 판단해도 된다. 자동으로 기동을 실시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08로 진행하고, 슬립 모드(32)로부터 액티브 모드(31)로 이행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0)는, 스텝 S109에서 개서 처리#1(교환)을 실행하고, 스텝 S110에서 개서 처리#3(잔량)을 실행한 후, 스텝 S111에 있어서 액티브 모드(31)로부터 슬립 모드(32)로 이행하고 나서 스텝 S101로 진행한다. 개서 처리#1(교환) 및 개서 처리#3(잔량)은 각각, 제2 디스플레이(D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고쳐 쓰는 처리이며, 그들의 상세에 대해는 후술한다. 스텝 S109와 스텝 S110의 순서는 바꿔도 된다.
도 8a 스텝 201에서는, 프로세서(10)는, 외부 전원(충전기)에 의한 배터리(BAT)의 충전이 개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는, 컨트롤러(102)의 커넥터(VBUS 단자, GND 단자)에 외부 전원이 접속된 경우에, 배터리(BAT)의 충전이 개시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충전이 개시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02로 진행하고, 액티브 모드(31)로부터 충전 모드(34)로 이행하여 배터리(BAT)의 충전을 개시한 후, 개서 처리#2(충전)를 실행한다. 한편, 충전이 개시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프로세서(10)는,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교환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는, 제1 센서(26) 및/또는 제2 센서(27)에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교환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에 근거하여,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교환을 검지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104)를 분리하거나 장착하거나 할 경우에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이 소정의 변동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프로세서(10)는,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이 소정의 변동을 나타낸 경우에 카트리지(104)가 교환되었다고 검지할 수 있다. 상술(詳述)하면, 카트리지(104)가 장착되어 있을 때, 증폭기(13)는, 션트 저항(Rshunt)과 히터(HT)에 의해 분압된 히터 구동 전압을 출력 전압(VAMP)으로서 출력한다. 카트리지(104)가 분리되어 있을 때, 증폭기(13)는, 히터 구동 전압을 출력 전압(VAMP)으로서 출력한다. 캡슐(10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캡슐(106)의 교환을 검지할 수 있다. 상술하면, 캡슐(106)을 교환할 때에는, 제1 전기 접점(111) 및 제3 전기 접점(113)의 사이와, 제2 전기 접점(112) 및 제4 전기 접점(114)의 사이에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접속부(RC+)와 접속부(RC-)의 전기 저항값이 변동된다. 이 전기 저항값의 변동은,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에 소정의 변동을 초래한다.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교환을 검지한 경우에는, 스텝 S204에서 개서 처리#1(교환)을 실행하고, 스텝 S205에서 개서 처리#3(잔량)을 실행한 후, 스텝 S201로 진행한다. 스텝 S204와 스텝 S205의 순서는 바꿔도 된다. 한편, 카트리지(104) 및/또는 캡슐(106)의 교환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6에서는, 프로세서(10)는, 프로세서(10)는, 무화 처리에 사용되는 각 요소의 잔량(배터리 잔량, 카트리지 잔량, 캡슐 잔량)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는, 배터리 잔량, 카트리지 잔량, 및 캡슐 잔량의 각각을, 각 잔량으로 퍼프 동작(흡인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횟수(이하, 흡인 가능 횟수)로서 구할 수 있다. 흡인 가능 횟수는, 현재의 잔량으로 무화 요구에 응할 수 있는 횟수로서 이해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나듯이, 프로세서(10)는, 만충전된 배터리(BAT)의 잔량(배터리 잔량 100%)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를 기준 횟수(예를 들면 250회)로 하고, 그로부터 퍼프 동작을 실시한 횟수를 뺀 값을, 현재의 배터리 잔량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교환 직후의 카트리지(104)의 잔량(카트리지 잔량 100%)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를 기준 횟수(예를 들면 250회)로 하고, 그로부터 퍼프 동작을 실시한 횟수를 뺀 값을, 현재의 카트리지 잔량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동일하게, 프로세서(10)는, 교환 직후의 캡슐(106)의 잔량(캡슐 잔량 100%)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를 기준 횟수(예를 들면 50회)로 하고, 그로부터 퍼프 동작을 실시한 횟수를 뺀 값을, 현재의 캡슐 잔량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스텝 S207에서는, 프로세서(10)는, 개서 처리#3(잔량)을 실행한다.
스텝 S208에서는, 프로세서(10)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 관리 회로를 사용하여, 배터리(BAT)의 잔량을 전압값으로서 취득한다. 이어서, 스텝 S209에서는, 프로세서(10)는, 스텝 S208에서 취득한 배터리(BAT)의 잔량(전압값)이 하한값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한값은, 예를 들면, 배터리(BAT)가 방전될 수 있는 전압(방전 가능 전압)의 하한값, 혹은 히터(HT)를 가열할 수 있는 전압의 하한값이며, 방전 종지 전압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배터리(BAT)의 잔량(전압값)이 하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S210으로 진행하고, 슬립 모드(32)로 이행하고 나서 도 7의 스텝 S101로 진행한다. 한편, 배터리(BAT)의 잔량(전압값)이 하한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11로 진행한다.
스텝 S211에서는, 프로세서(10)는, 버튼(B)을 사용한 유저 조작의 검지, 및/또는 퍼프 센서(15)를 사용한 퍼프 동작(흡인 동작)의 검지에 근거하여, 유저의 무화 요구가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회의 무화 요구는, 1회의 버튼(B)의 누름에 상당하는 것이라고 해도 되고, 이 경우, 유저에 의한 버튼(B)의 누름이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하고, 그 누름이 종료되었을 때에 종료한다. 또는, 유저에 의한 버튼(B)의 누름이 개시되고 나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1회의 무화 요구가 종료되었다고 해도 된다. 또한, 1회의 무화 요구는, 1회의 퍼프 동작(흡인 동작)에 상당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퍼프 동작이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하고, 그 퍼프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에 종료한다. 무화 요구가 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2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슬립 모드(32)로 이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 즉, 무조작 기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6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210으로 진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1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11에 있어서 무화 요구가 개시된 경우에는 도 8b의 스텝 S2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13에서는, 프로세서(10)는, 스위치(SW)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히터(HT)로의 급전을 개시한다. 스텝 S214에서는, 프로세서(10)는, 유저의 무화 요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화 요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4를 반복하여 실시하고, 무화 요구가 종료된 경우에 스텝 S215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214가 반복하여 실시되고 있는 동안, 히터(HT)로의 급전은 계속되고 있다. 스텝 S215에서는, 프로세서(10)는, 스위치(SW)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히터(HT)로의 급전을 정지(종료)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0)는, 스텝 S216에 있어서, 무화 처리에 사용되는 각 요소의 잔량(배터리 잔량, 카트리지 잔량, 캡슐 잔량)을 취득하고, 스텝 S217에 있어서, 개서 처리#3(잔량)을 실행한다. 스텝 S216은, 스텝 S206과 동일한 공정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218에서는, 프로세서(10)는, 스텝 S216에서 구한 배터리 잔량(즉, 해당 배터리 잔량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이 문턱값(THB)(제1 문턱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미만인 경우에는, 배터리(BAT)가 잔량 부족이라고 하여 스텝 S210으로 진행하고, 슬립 모드(32)로 이행하고 나서 도 7의 스텝 S101로 진행한다. 한편,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219로 진행한다. 스텝 S219에서는, 프로세서(10)는, 스텝 S216에서 구한 카트리지 잔량(즉, 해당 카트리지 잔량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이 문턱값(THCT)(제2 문턱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트리지 잔량이 문턱값(THCT) 미만인 경우에는, 카트리지(104) 내의 에어로졸원이 잔량 부족이라고 하여 스텝 S210으로 진행하고, 슬립 모드(32)로 이행하고 나서 도 7의 스텝 S101로 진행한다. 한편, 카트리지 잔량이 문턱값(THCT)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2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20에서는, 프로세서(10)는, 스텝 S216에서 구한 캡슐 잔량(즉, 해당 캡슐 잔량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이 문턱값(THCP)(제3 문턱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캡슐 잔량이 문턱값(THCP) 미만인 경우에는, 캡슐(106) 내의 향미원이 잔량 부족이라고 하여 스텝 S210으로 진행하고, 슬립 모드(32)로 이행하고 나서 도 7의 스텝 S101로 진행한다. 한편, 캡슐 잔량이 문턱값(THCP)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201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218 내지 S220의 순서는 임의일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잔량의 문턱값(THB), 카트리지 잔량의 문턱값(THCT), 및 캡슐 잔량의 문턱값(THCP)은, 각각 흡인 가능 횟수의 문턱값으로서 규정되고, 도 9에 나타나듯이, 각각의 특성에 따른 값, 즉, 서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BAT)에 관해서는, 배터리 잔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배터리(BAT)의 성능 저하가 촉진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문턱값(THB)은 비교적 높은 값(예를 들면, 30회의 흡인 가능 횟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04)에 관해서는, 가능한 한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문턱값(THCT)은, 배터리 잔량의 문턱값(THB)보다 작은 값(예를 들면, 15회의 흡인 가능 횟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캡슐(106)에 관해서는, 카트리지(104)보다 가능한 한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문턱값(THCP)은, 카트리지 잔량의 문턱값(THCT)보다 작은 값(예를 들면, 10회의 흡인 가능 횟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서 처리#1(교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는, 개서 처리#1(교환)이 나타나 있다. 전술대로, 개서 처리#1(교환)은, 제2 디스플레이(D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고쳐 쓰는 처리이며, 프로세서(10)가 제2 구동 회로(22)를 제어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스텝 S301에서는, 프로세서(10)는, 유저에 의한 캡슐(106)의 교환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것처럼, 프로세서(10)는, 캡슐(106)의 교환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제2 센서(27)에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고 판단해도 되고,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에 근거하고 판단해도 된다. 캡슐(106)의 교환이 개시된 경우에는 스텝 S302로 진행하고, 캡슐(106)의 교환이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2에서는, 프로세서(10)는, 히터(HT)로의 급전을 금지한다. 이어서, 스텝 S303에서는, 프로세서(10)는, 유저에 의한 캡슐(106)의 교환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것처럼, 프로세서(10)는, 캡슐(106)의 교환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제2 센서(27)에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고 판단해도 되고,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에 근거하고 판단해도 된다. 프로세서(10)는, 캡슐(106)의 교환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304로 진행하고, 캡슐(106)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표시를 소거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하고 나서, 스텝 S305에 있어서 히터(HT)로의 급전의 금지를 해제한다. 그 후, 프로세서(10)는 플로우를 종료한다.
스텝 S306에서는, 프로세서(10)는, 유저에 의한 카트리지(104)의 교환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것처럼, 프로세서(10)는, 카트리지(104)의 교환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제1 센서(26)에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고 판단해도 되고,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에 근거하고 판단해도 된다. 카트리지(104)의 교환이 개시된 경우에는 스텝 S307로 진행하고, 캡슐(106)의 교환이 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플로우를 종료한다.
스텝 S307에서는, 프로세서(10)는, 히터(HT)로의 급전을 금지한다. 이어서, 스텝 S308에서는, 프로세서(10)는, 유저에 의한 카트리지(104)의 교환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것처럼, 프로세서(10)는, 카트리지(104)의 교환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제1 센서(26)에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고 판단해도 되고, 증폭기(13)의 출력 전압(VAMP)에 근거하고 판단해도 된다. 프로세서(10)는, 카트리지(104)의 교환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309로 진행하고, 카트리지(104)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표시를 소거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하고 나서, 스텝 S310에 있어서 히터(HT)로의 급전의 금지를 해제한다. 그 후, 프로세서(10)는 플로우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개서 처리#2(충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는, 개서 처리#2(충전)가 나타나 있다. 전술대로, 개서 처리#2(충전)는, 제2 디스플레이(D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고쳐 쓰는 처리이며, 프로세서(10)가 제2 구동 회로(22)를 제어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스텝 S401에서는, 프로세서(10)는, 도 5의 표시예 5e에 나타나듯이, 배터리(BAT)가 충전 중인 것을 통지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한다. 이어서, 스텝 S402에서는, 프로세서(10)는, 외부 전원(충전기)에 의한 배터리(BAT)의 충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는, 컨트롤러(102)의 커넥터(VBUS 단자, GND 단자)로부터 외부 전원이 분리된 경우에, 배터리(BAT)의 충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BAT)의 충전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02를 반복하여 실시하고, 배터리(BAT)의 충전이 종료된 경우에는 스텝 S4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3에서는, 프로세서(10)는, 배터리(BAT)가 충전 중이라는 통지를 소거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한다. 이어서, 스텝 S404에서는, 프로세서(10)는, 배터리 잔량을 취득한다. 배터리 잔량의 취득 방법은, 스텝 S206에서 전술했던 대로이다. 스텝 S405에서는, 프로세서(10)는, 스텝 S404에서 취득한 배터리 잔량에 근거하여,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406으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도 5의 표시예 5d에 나타나듯이, 배터리(BAT)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하고 나서 종료한다. 한편,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407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배터리(BAT)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표시를 소거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하고 나서 종료한다. 또한, 배터리(BAT)의 잔량 부족의 통지가 제2 디스플레이(D2)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07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개서 처리#3(잔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b에는, 개서 처리#3(잔량)이 나타나 있다. 전술대로, 개서 처리#3(잔량)은, 제2 디스플레이(D2)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고쳐 쓰는 처리이며, 프로세서(10)가 제2 구동 회로(22)를 제어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스텝 S501에서는, 프로세서(10)는,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502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통지용 배열에 있어서의 배터리(BAT)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요소(이하, 통지용 배열의 배터리 요소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값을 「FALSE」로 설정한다. 한편,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503으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통지용 배열의 배터리 요소의 값을 「TRUE」로 설정한다.
스텝 S504에서는, 프로세서(10)는, 캡슐 잔량이 문턱값(THCP)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캡슐 잔량이 문턱값(THCP)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505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통지용 배열에 있어서의 캡슐(106) 내의 향미원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요소(이하, 통지용 배열의 캡슐 요소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값을 「FALSE」로 설정한다. 한편, 캡슐 잔량이 문턱값(THCP)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506으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통지용 배열의 캡슐 요소의 값을 「TRUE」로 설정한다.
스텝 S507에서는, 프로세서(10)는, 카트리지 잔량이 문턱값(THCT)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트리지 잔량이 문턱값(THCT)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508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통지용 배열에 있어서의 카트리지(104) 내의 에어로졸원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요소(이하, 통지용 배열의 카트리지 요소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값을 「FALSE」로 설정한다. 한편, 카트리지 잔량이 문턱값(THCT)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509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통지용 배열의 카트리지 요소의 값을 「TRUE」로 설정한다.
스텝 S510에서는, 프로세서(10)는, 무화 처리에 사용되는 복수의 요소(배터리(BAT), 카트리지(104), 캡슐(106)) 중, 통지용 배열의 값이 「TRUE」로 설정된 요소가 하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RUE」의 값이 설정된 요소가 하나 미만인 경우에는 종료하고,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511로 진행한다.
스텝 S511에서는, 프로세서(10)는, 통지용 배열의 값이 「TRUE」로 설정된 요소가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RUE」의 값이 설정된 요소가 하나인 경우에는 스텝 S512로 진행하고, 프로세서(10)는, 「TRUE」의 값이 설정된 해당 요소에 대한 잔량 부족을 통지하도록, 통지용 배열에 근거하여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한다. 한편, 「TRUE」의 값이 설정된 요소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13에서는, 프로세서(10)는, 「TRUE」의 값이 설정된 2 이상의 요소 중에서, 소정의 조건에 따라 하나의 요소를 선택한다. 이어서, 스텝 S514에서는, 프로세서(10)는, 스텝 S513에서 선택된 하나의 요소에 대한 잔량 부족을 통지하도록, 통지용 배열에 근거하여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한다. 여기서, 스텝 S513에 있어서 하나의 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소정의 조건은, 복수의 요소 중에서, 제2 디스플레이(D2)에 잔량 부족을 통지하는 하나의 요소(이하에서는, 대상 요소라고 칭한다) 선택하기 위한 우선순위에 관한 조건이다. 이하에, 소정의 조건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에는, 배터리(BAT), 카트리지(104), 및 캡슐(106)의 각각에 대해, 「잔량 100%에서의 흡인 가능 횟수」, 「잔량 0%에서 100%까지의 회복에 필요한 시간」, 및 「시각을 통한 잔량 확인의 유무」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4에는, 소정의 조건으로서의 각 조건예에 대해, 배터리(BAT), 카트리지(104), 및 캡슐(106)에 있어서의 우선순위가 나타나 있다. 도 14로 거론된 복수의 조건예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어도 되고, 복수의 조건예의 중 2 이상의 조건예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소정의 조건은, 도 14의 조건예 1에 나타나듯이, 「TRUE」의 값이 설정된 2 이상의 요소 중, 잔량의 회복에 필요한 시간이 긴(가장 긴) 요소를 대상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배터리(BAT), 카트리지(104), 및 캡슐(106) 각각의 잔량의 회복에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잔량 0%에서 100%까지의 회복에 필요한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나듯이, 배터리(BAT)에서는, 외부 전원을 사용한 충전에 의해 잔량의 회복이 실시되고, 잔량 0%로부터 잔량 100까지의 회복에 필요한 시간(회복 시간)은 약 90분이다. 한편, 카트리지(104)에서는, 유저가 카트리지(104)를 교환함으로써 잔량의 회복이 실시되고, 그 회복 시간은 약 1분이다. 동일하게, 캡슐(106)에서는, 유저가 캡슐(106)을 교환함으로써 잔량의 회복을 실시하고, 그 회복 시간이 약 1분이다. 따라서, 잔량의 회복 시간에 관한 조건에서는, 배터리(BAT), 카트리지(104), 캡슐(106)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조건예 1에서는, 교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캡슐(106)보다 카트리지(104) 쪽이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소정의 조건은, 도 14의 조건예 2에 나타나듯이, 「TRUE」의 값이 설정된 2 이상의 요소 중, 컨트롤러(102)의 외관으로부터 유저가 잔량을 시인할 수 없는 요소를 대상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나듯이, 카트리지(104)에 대해서는, 컨트롤러(102)의 외면에 설치된 창부(W)를 통하여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유저가 시인(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인의 가부에 관한 조건에서는, 창부(W)를 통하여 잔량을 유저가 시인할 수 있는 카트리지(104) 이외의 요소(배터리(BAT), 캡슐(106))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은, 잔량의 회복 시간에 관한 조건예 1과, 시인의 가부에 관한 조건예 2를 합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4의 조건예 3에 나타나듯이, 배터리(BAT), 캡슐(106), 카트리지(104)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은, 도 14의 조건예 4에 나타나듯이, 「TRUE」의 값이 설정된 2 이상의 요소 중, 무화 처리에서 생성된 기체의 향미에 대한 영향도가 높은(가장 높은) 요소를 대상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화 처리에서 생성된 기체의 향미에 대한 영향도는, 카트리지(104) 내의 에어로졸원의 부족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캡슐(106) 내의 향미원의 부족이 높다. 따라서, 향미에 대한 영향도에 관한 조건에서는, 카트리지(104), 캡슐(106), 배터리(BAT)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건은, 도 14의 조건예 5에 나타나듯이, 「TRUE」의 값이 설정된 2 이상의 요소 중,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된 타이밍이 빠른(가장 빠른) 요소를 대상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해도 된다. 조건예 5에서는,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된 타이밍에 따라 우선순위가 변동하기 때문에, 도 14에 있어서는 각 요소의 순위를 편의상 「?」로서 기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104) 내의 에어로졸원의 부족이 가장 빨리 판단되고, 캡슐(106) 내의 향미원의 부족이 다음으로 판단되고, 배터리(BAT)의 부족이 마지막에 판단되고, 배터리(BAT)의 부족이 더 판단된 타이밍에서 카트리지(104) 내의 에어로졸원 및 캡슐(106) 내의 향미원의 부족이 계속 판단되고 있는 경우, 카트리지(104), 캡슐(106), 배터리(BAT)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5에는,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의 개서에 관한 실시예 1이 나타나 있다. 도 15에 나타나는 실시예 1에서는, 초기 상태로서, 모든 요소(배터리(BAT), 카트리지(104), 캡슐(106))에 대해 잔량이 충분히 있는 상태, 즉, 각 요소의 잔량이 문턱값 이상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초기 상태에서는, 모든 요소에 대한 통지용 배열의 값이 「FALSE」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D2)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그 후, 캡슐(106)의 잔량만이 부족한 경우, 즉, 캡슐 잔량이 문턱값(THCP) 미만이 된 경우, 통지용 배열의 캡슐 요소의 값이 「TRUE」로 설정되기 때문에, 캡슐(106)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할 수 있다.
캡슐(106)의 교환에 의해 캡슐(106)의 잔량이 충분(문턱값(THCP) 이상)하게 된 경우, 통지용 배열의 캡슐 요소의 플래그가 「FALSE」로 설정되기 때문에, 캡슐(106)의 잔량 부족의 통지를 소거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할 수 있다. 그 후, 배터리(BAT)의 잔량만이 부족한 경우, 즉,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미만이 된 경우, 통지용 배열의 배터리 요소의 값이 「TRUE」로 설정되기 때문에, 배터리(BAT)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할 수 있다.
도 16에는,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의 개서에 관한 실시예 2가 나타나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실시예 2에서는, 초기 상태로서, 모든 요소(배터리(BAT), 카트리지(104), 캡슐(106))에 대해 잔량이 충분히 있는 상태, 즉, 각 요소의 잔량이 문턱값 이상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초기 상태에서는, 모든 요소에 대한 통지용 배열의 값이 「FALSE」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D2)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그 후, 배터리(BAT)의 잔량 및 캡슐(106)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즉,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THB) 미만이 되고 또한 캡슐 잔량이 문턱값(THCP) 미만이 된 경우, 통지용 배열의 배터리 요소 및 캡슐 요소의 값의 양쪽이 「TRUE」로 설정된다. 이 경우, 전술한 소정의 조건에 따라, 배터리(BAT) 및 캡슐(106) 중 하나의 요소가 대상 요소로서 선택된다. 일례로서, 잔량의 회복 시간에 관한 조건(도 14의 조건예 1)이 채용되는 경우, 배터리(BAT)가 대상 요소로서 선택되고, 배터리(BAT)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할 수 있다.
배터리(BAT)가 충전됨으로써 배터리 잔량이 충분(문턱값(THB) 이상)하게 된 경우, 통지용 배열의 배터리 요소의 값이 「FALSE」로 설정되기 때문에, 배터리(BAT)의 잔량 부족의 통지를 소거하고, 또한, 캡슐(106)의 잔량 부족을 통지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할 수 있다. 그 후, 캡슐(106)의 교환에 의해 캡슐(106)의 잔량이 충분(문턱값(THCP) 이상)하게 된 경우, 통지용 배열의 캡슐 요소의 값이 「FALSE」로 설정되기 때문에, 캡슐(106)의 잔량 부족의 통지를 소거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D2)의 표시 내용을 개서할 수 있다.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에어로졸원의 무화(霧化) 요구의 수신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여 무화하는 무화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흡인기용 컨트롤러로서,
    상기 무화 처리에 사용되는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한 잔량 부족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2 이상의 요소에 대해 상기 프로세서에서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된 경우여도,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선택된 하나의 요소에 대해 상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요소 중 2 이상의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우선순위에 관한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에서 상기 하나의 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잔량을 회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 긴 요소를 상기 하나의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유저가 시인할 수 없는 요소를 상기 하나의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상기 무화 처리에서 생성되는 기체의 향미에 대한 영향도가 높은 요소를 상기 하나의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잔량 부족이라고 판단된 타이밍이 빠른 요소를 상기 하나의 요소로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는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요소에 있어서의 잔량이 회복된 경우, 상기 하나의 요소에 대한 상기 정보를 대신하여, 상기 2 이상의 요소 중 다른 하나의 요소에 대한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요소의 각각에 대해, 현재의 잔량으로 상기 무화 요구에 응할 수 있는 횟수가 문턱값 이상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은, 상기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2개의 요소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용 컨트롤러에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보지(保持)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무화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요소는, 상기 히터에 급전(給電)하기 위한 전원인 제1 요소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인 제2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문턱값인 제2 문턱값은, 상기 제1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문턱값인 제1 문턱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용 컨트롤러에는, 향미원을 포함하는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요소는, 상기 캡슐 내의 상기 향미원인 제3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요소에 대해 잔량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문턱값인 제3 문턱값은, 상기 제2 문턱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용 컨트롤러에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보지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무화기, 및, 향미원을 포함하는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요소는, 상기 히터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인 제1 요소,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에어로졸원인 제2 요소, 및, 상기 캡슐 내의 상기 향미원인 제3 요소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자 페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기용 컨트롤러.
KR1020247000808A 2021-06-21 2021-06-21 흡인기용 컨트롤러 KR20240021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3449 WO2022269703A1 (ja) 2021-06-21 2021-06-21 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230A true KR20240021230A (ko) 2024-02-16

Family

ID=8454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808A KR20240021230A (ko) 2021-06-21 2021-06-21 흡인기용 컨트롤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08077A1 (ko)
EP (1) EP4360483A1 (ko)
JP (1) JPWO2022269703A1 (ko)
KR (1) KR20240021230A (ko)
CN (1) CN117479854A (ko)
WO (1) WO202226970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04567A1 (en) 2016-04-22 2017-10-26 Resolve Digital Health Inc. Inha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7296B1 (ru) * 2017-01-24 2021-03-05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Ингаля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программа для его работы
JP6834052B1 (ja) * 2020-09-30 2021-02-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04567A1 (en) 2016-04-22 2017-10-26 Resolve Digital Health Inc. Inha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60483A1 (en) 2024-05-01
WO2022269703A1 (ja) 2022-12-29
JPWO2022269703A1 (ko) 2022-12-29
CN117479854A (zh) 2024-01-30
US20240108077A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879B1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および電源装置
CN112006335B (zh) 气溶胶吸入器用的控制装置及气溶胶吸入器
EP3399877B1 (en) Capacitive sensing input devi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112006337B (zh) 气溶胶吸入器用的控制装置及气溶胶吸入器
CN109689142A (zh) 用于气溶胶递送设备的射频到直流转换器
KR20190039208A (ko) 에어로졸 송달 장치용 부스트 컨버터
CN109068731A (zh) 电池组件、香味吸入器、控制电池组件的方法、及程序
CN108882749A (zh) 电池组件、香味吸入器、控制电池组件的方法、及程序
CN111109689A (zh) 用于气雾剂吸入器的电源单元及其控制方法和控制程序
EP3979456B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US11445764B2 (en) Aerosol generation system
JP2021136939A (ja) 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
KR20240021230A (ko) 흡인기용 컨트롤러
JP6813701B2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
WO2022269701A1 (ja) 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
KR10239141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US20240100275A1 (en) Controller for inhalation apparatus
WO2022269702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CN117545383A (zh) 气溶胶生成装置的电源单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