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182A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182A
KR20240021182A KR1020237043421A KR20237043421A KR20240021182A KR 20240021182 A KR20240021182 A KR 20240021182A KR 1020237043421 A KR1020237043421 A KR 1020237043421A KR 20237043421 A KR20237043421 A KR 20237043421A KR 20240021182 A KR20240021182 A KR 2024002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temple
modern
glasse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나카이
Original Assignee
라인-인더스트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인더스트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인더스트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0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w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장착감, 피트감이 뛰어나고, 장시간에 걸쳐서 장착하였을 경우나 장착자가 운동하였을 경우에도, 장착자에게 아픔을 느끼게 하거나, 프런트부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거나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착하였을 때의 외관이 양호한 안경을 제공한다. 안경(G)의 프레임(1)은, 각 모던부(4a, 4b)가,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까지의 부분과 맞닿도록 상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템플부(3a, 3b)를 장착자의 협골궁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시키기 위해서, 각 모던부(4a, 4b)와 각 템플부(3a, 3b)와의 접속 부분이 하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모던부(4a, 4b)의 기단측에는, 각각 장착자의 협골궁의 후단 부근의 상부를 압압하기 위한 압압 돌기(13)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안경
본 발명은, 시력을 교정할 목적이나 햇볕을 차단할 목적 외, 패션 아이템으로서도 이용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안경은, 좌우 한쌍의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프런트 부분(소위, 브릿지 부분)과, 프런트 부분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템플 부분과, 템플 부분의 후방에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모던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장착시에 프런트 부분이 어긋나 떨어지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코벽에 맞닿게 하기 위한 코패드(혹은 코 맞닿음)가 프런트 부분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그와 같이 코패드를 마련한 안경은, 장시간에 걸쳐서 장착하고 있으면, 코벽에 프런트 부분의 하중이 계속 가해지기 때문에, 장착자에게 불쾌감을 주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떼어냈을 때에, 코벽에 코패드의 장착 자국이 형성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어, 미용의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그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프런트 부분에 코패드를 마련하지 않고, 템플부의 내측에 장착자의 관자놀이에 맞닿게 하는 템플 패드를 돌출하여 마련하고, 당해 템플 패드에 의해서 프런트 부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안경이 개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2020-95243호 공보
그렇지만, 관자놀이는, 장착자가 입을 벌리는 동작을 행할 때에 근육이 크게 움직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특허 문헌 1과 같이 관자놀이에 맞닿게 하는 템플 패드에 의해서 프런트 부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안경은, 장착감이 양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장착자가 입을 벌리는 동작을 반복할 때마다 어긋나 떨어져 버리기 쉽다. 또한, 특허 문헌 1과 같은 안경은, 템플 패드의 내측으로의 돌출 정도나 템플 패드의 특성(탄성 등)에 따라서는, 장착자에게 아픔을 주어 버리거나, 반대로, 장착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어 어긋나 떨어지거나 한다. 이에 더하여, 특허 문헌 1과 같은 안경에서는, 프런트 부분의 하중을 템플 패드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템플 패드를 크게 하지 않을 수 없고, 그와 같이 템플 패드를 크게 하면, 장착하였을 때의 외관의 악화를 일으켜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특허 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안경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코패드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도 상관없이, 장착감, 피트감이 뛰어나고, 장착자에게 아픔을 느끼게 하거나 하지 않고, 두부(頭部)로의 장착 강도(어긋나 떨어지기 어려운 정도)가 높고, 장시간에 걸쳐서 장착하였을 경우나 장착자가 운동하였을 경우에도, 프런트부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거나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착하였을 때의 외관이 양호하고 실용적인 안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좌우 한쌍의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렌즈 유지부와, 그 렌즈 유지부의 좌우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한 템플부와, 그들 템플부의 각 선단 부근에 마련된 모던부를 가지는 안경으로서, 상기 각 모던부가,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까지의 부분과 맞닿도록 상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기 각 템플부를 장착자의 협골궁(頰骨弓)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각 모던부와 상기 각 템플부와의 접속 부분이 하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된 상태(즉, 각 모던부의 기단 부근(전단 부근)이 각 템플부의 직선 모양의 부분에 대해서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각 모던부의 기단측(상향으로 볼록 모양의 굴곡 부분보다 전측)에, 장착자의 협골궁의 후단 부근의 상부(즉, 이주(耳珠)의 상측의 전방)를 압압하기 위한 압압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각 모던부와 각 템플부와의 접속 부분에서의 굴곡 형상(하향의 볼록 모양의 굴곡 형상)은, 장착자의 두부(頭部)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굴곡점(굴곡의 중심 부분)과 각 모던부의 최상 위치와의 높이의 차(즉, 변곡점끼리의 상하차)가 15mm 이상 40mm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모던부와 각 템플부와의 접속 부분을 그와 같이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각 템플부를 보다 정확하게 장착자의 협골궁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모던부와 각 템플부와의 접속 부분에서의 굴곡점과 각 모던부의 최상 위치와의 높이의 차가 20mm 이상 30mm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 돌기가, 상기 각 모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향으로 돌출한 대략 반원기둥 모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템플부의 내측에, 장착자의 협골궁의 전단 부근의 외측에 맞닿게 하기 위한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안경은, 각 모던부가,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까지의 부분과 맞닿도록 상향의 볼록 모양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모던부의 기단측에, 장착자의 협골궁의 후단 부근의 상부를 압압하기 위한 압압 돌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코패드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도 상관없이, 매우 피트성이 높고, 장착자가 개구 동작을 반복했을 경우에도 장착감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어긋나 떨어지기 어렵다. 또, 장시간에 걸쳐서 장착하였을 경우나 장착자가 운동하였을 경우에도, 장착자에게 아픔을 느끼게 하거나 프런트부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안경은, 각 모던부와 각 템플부와의 접속 부분이 하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고, 장착시에 각 템플부가 장착자의 협골궁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각 템플부의 내면에 돌기체를 내향의 수평 모양으로 돌출하도록(즉, 좌우의 템플부를 포함하는 수평면 내에서 내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하고, 그들 돌기체의 선단을 장착자의 협골궁의 상부 가장자리에 대고 누르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템플부의 내면에 돌기체를 내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하여 장착자의 협골궁의 상부 가장자리에 대고 누르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그들 돌기체가 변형하기 어려운 것이 되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메인터넌스를 하지 않고, 그 높은 피트성을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안경은, 압압 돌기가 각 모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향으로 돌출한 대략 반원기둥 모양체이며, 장착자의 협골궁의 후단 부근의 상부를 넓은 면적으로 압압하므로,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주위에 걸려진 각 모던부의 기단 부근(전단 부근)의 부분이 높은 구속력으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극히 피트성이 높고, 어긋나 떨어지기 매우 어렵다.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압 돌기가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렵기 때문에, 디자인성이 뛰어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안경은, 장착시에, 맞닿음부가 장착자의 협골궁의 전단 부근의 외측에 맞닿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좌우의 렌즈를 유지하는 기능이 뛰어나고, 좌우의 렌즈를 올바른 아이포인트(통상, 렌즈의 내면이 안구면으로부터 12mm의 거리가 되는 위치)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안경을 나타내는 설명도(정면도)이다.
도 2는 안경을 나타내는 설명도(배면도)이다.
도 3은 안경을 나타내는 설명도(평면도)이다.
도 4는 안경을 나타내는 설명도(우측면도)이다.
도 5는 템플부의 연결 부재의 설치 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a는 평면도이며, b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두부의 뼈의 구조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측면도)이다.
도 7은 압압 돌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연직 단면도)이다(a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이고, b는 도 1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맞닿음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a는 정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장착자가 안경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평면도)이다.
도 10은 장착자가 안경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우측면도)이다.
도 11은 안경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a는 맞닿음부의 설치 부분의 평면도이고, b는 맞닿음부의 설치 부분을 템플부의 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맞닿음부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a는 맞닿음부의 설치 부분을 내측에서 본 측면도(도 1에서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b는 맞닿음부의 설치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안경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모던부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안경의 구조>
도 1~도 4는, 각각, 안경의 정면, 배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안경(G)은, 좌우 한쌍의 렌즈(L1, L2)와, 그들을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은, 렌즈(L1, L2)를 유지하기 위한 렌즈 유지부(2)와, 그 렌즈 유지부(2)의 좌우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한 템플부(3a, 3b)와, 그들 템플부(3a, 3b)의 각 후단 부근에 연설(連設)된 모던부(4a, 4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렌즈 유지부(2)는, 소위, 브릿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금속(티탄)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암(5), 좌우의 렌즈(L1, L2)를 유지하기 위한 림인 유지틀(6a, 6b), 좌우의 템플부(3a, 3b)와 연결시키기 위한 엔드 피스(7a, 7b), 좌우의 템플부(3a, 3b)를 절곡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힌지(8, 8)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연결암(5)은, 중앙 부분을 전방으로 팽출시킨 만곡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틀(6a, 6b)은, 각 렌즈(L1, L2)의 외주연(상하 및 좌우의 단부 가장자리)을 따르도록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암(5)의 좌우에 고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유지틀(6a, 6b)에 의해서, 렌즈(L1, L2)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각 유지틀(6a, 6b)의 외측에는, 대략 '〈'자 모양으로 굴곡된 엔드 피스(7a, 7b)가 연설되어 있고, 각각의 선단이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엔드 피스(7a, 7b)의 내측에는, 힌지(8, 8)가 고착되어 있다.
한편, 좌우의 템플부(3a, 3b)는, 모두, 금속(티탄)에 의해서 대략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즉, 우측의 템플부(3b)는, 상하로 폭이 넓은 띠모양의 전측 부재(31b)의 후단에, 당해 전측 부재(31b)보다 약간 폭이 넓은 띠모양의 연결 부재(33b)가 고착되어 있고, 그 연결 부재(33b)에 의해서, 상하로 폭 좁은 대략 막대 모양의 후측 부재(32b)가,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좌측의 연결 부재(33b)의 설치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연결 부재(33b)는, 후단 부근에, 길이 방향을 따른 삽입 구멍(34)이 뚫려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면에는, 삽입 구멍(34)에 이르도록 나사 구멍(35)이 뚫려 마련되어 있고, 그 나사 구멍(35)에 누름 볼트(36)가 나사 결합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의 템플부(3b)에서는, 후측 부재(32b)의 전단 가장자리 부근의 부분을, 연결 부재(33b)의 삽입 구멍(34)에 임의의 길이만큼 삽입한 상태에서, 누름 볼트(36)를 연결 부재(33b)의 하면으로부터 돌려 넣어 후측 부재(32b)의 전단 가장자리 부근의 부분을 밀어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후측 부재(32b)의 전단 가장자리 부근의 부분을 연결 부재(33b)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템플부(3a)에도, 우측의 템플부(3b)와 마찬가지의 길이 조절 기구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 각 템플부(3a, 3b)의 전측 부재(32b)의 전단의 내측에는, 렌즈 유지부(2)의 좌우의 엔드 피스(7a, 7b)에 마련된 힌지(8, 8)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편(9, 9)이 고착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각 템플부(3a, 3b)의 후측 부재(32a, 32b)의 후단 부근의 부분은, 각각, 상향으로 굴곡되어 모던부(4a, 4b)의 심체(11)를 구성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좌우의 모던부(4a, 4b)는, 좌우의 템플부(3a, 3b)의 후단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신장한 심체(11)의 외측에, 합성 수지(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측면시에서 상향으로 볼록의 원호 모양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4 참조). 또, 좌우의 모던부(4a, 4b)의 기단 부근(즉, 템플부(3a, 3b)와의 접속 부분)는, 각각, 약 15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굴곡점(P)). 그리고, 안경(G)의 좌우에서, 모던부(4a(4b))와 템플부(3a(3b))와의 접속 부분에서의 각 굴곡점(P)과 모던부(4a(4b))의 최상 위치(S)와의 높이의 차(D)가 약 25mm로 되어 있다.
도 6은, 사람의 두개골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협골궁(C)은, 협골(A)의 측두 돌기와 측두골(B)의 협골 돌기로 이루어지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궁(弓) 모양의 뼈(골부)이며, 측두골(B)의 하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안경(G)의 좌우의 템플부(3a, 3b)는,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당해 협골궁(C)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좌우의 모던부(4a, 4b)는, 상향의 볼록 모양으로 크게 굴곡된 상태로 되어 있고, 장착하였을 경우에,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주위의 부분(즉, 귓바퀴의 뿌리의 후측의 부위(약간 패인 부위)로부터 귓바퀴의 뿌리의 최상부를 지나 귓바퀴의 뿌리의 전측의 부위(협골궁(C)의 후단 부근의 상부)에 이르기까지의 대략 원호 모양의 부분)에 피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모던부(4a, 4b)의 기단 부근의 전방으로 내려가게 경사진 부분에는, 각각, 장착자의 협골궁의 후단 부근의 상부를 압압하기 위한 반원기둥 모양의 압압 돌기(13)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7의 (a)는, 우측의 모던부(4b)의 압압 돌기(13)의 설치 부분의 연직 단면(길이 방향에 대해서 직교한 연직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b)는, 모던부(4b)의 압압 돌기(13)의 설치 부분 이외의 부분의 연직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좌우의 모던부(4a, 4b)의 기단 부근의 부분은, 각각, 템플부(3a, 3b)의 선단의 심체(11)에 대해서, 다른 부분 보다도 소정의 길이(도 6에서의 d)만큼 내향(장착자의 측두골(B)의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팽출 부분이 압압 돌기(13)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좌우의 모던부(4a, 4b)는, 장착자의 후두부의 형상을 따르도록(피트하도록), 전단(기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평면시에서 내향으로 약간 만곡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좌우의 템플부(3a, 3b)의 연결 부재(33a, 33b)의 내측에는, 각각, 장착자의 협골궁(C)의 전단 부근(도 6에 있어서의 α부분)의 외측에 맞닿게 하기 위한 맞닿음부(14a, 14b)가 고착되어 있다. 그들 맞닿음부(14a, 14b)는, 장착시에, 안구의 위치에 대해서 렌즈(L1, L2)의 표면을 적정한 아이포인트(통상, 렌즈의 내면이 안구면으로부터 12mm의 거리가 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기능과, 가능한 한 안구에 가까운 위치에서 렌즈(L1, L2)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도 8은, 우측의 맞닿음부(14b)를 나타낸 것이며, 맞닿음부(14b)는, 반투명 상태로 유연성(탄성)을 가지는 실리콘계 고무에 의해서, 코너를 둥글게 모따기한 전후로 긴 직방체 모양(전후의 길이×좌우의 폭×높이=15.0mm×5.0mm×5.0mm)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맞닿음부(14b)의 본체부(15)의 전방에는, 나사 홈을 새긴 금속제의 너트(16)가 축방향을 본체부(15)의 내면과 직교시킨 상태에서 고착되어 있고, 본체부(15)의 후방에는, 선단을 대경(大徑)으로 한 원기둥 모양의 맞물림 구멍(17)이, 본체부(15)의 내면과 직교하도록 뚫려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우측의 연결 부재(33b)의 내면의 전측(前側)에는, 볼트(18)가 내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연결 부재(33b)의 내면의 후측에는, 선단을 대경으로 한 원기둥 모양의 맞물림체(19)가 내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맞닿음부(14b)는, 전측의 너트(16)에, 연결 부재(33b)의 볼트(18)를 나사 결합시킴과 아울러, 탄성을 이용하여, 후측의 맞물림 구멍(17)에, 템플부(3b)의 연결 부재(33b)의 맞물림체(19)를 삽입하여 맞물림시키는(착탈 가능하게 맞물림시키는) 것에 의해서, 연결 부재(33b)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너트(16)와 볼트(18)와의 나사 장착 정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내측으로의 돌출량(도 5의 (a)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맞닿음부(14a)도, 앞서 설명한 우측의 맞닿음부(14b)와 마찬가지의 구조에 의해서, 좌측의 템플부(3a)에 좌우 대칭으로 고착되어 있고, 내측으로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경의 이용 방법 및 작용>
도 9, 도 10은, 안경(G)을 사용자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안경(G)은,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의 모던부(4a, 4b)를, 장착자의 귀의 후측으로부터 이주의 상측의 전방의 부분까지 따르게 하여(즉,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까지의 부분과 맞닿게 하여) 장착한다. 그와 같이, 좌우의 모던부(4a, 4b)를 장착자의 귀의 상측의 대략 절반을 따르게 하도록 하여 장착하면, 좌우의 모던부(4a, 4b)의 후단이, 귀 뒤의 뼈의 패임부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됨과 아울러, 좌우의 모던부(4a, 4b)의 전단(기단)의 압압 돌기(13, 13)가, 장착자의 협골궁(C)의 후단 부근의 상부(즉, 이주의 상측의 전방)를 압압한 상태로 고정된다(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좌우의 모던부(4a, 4b)가, 장착자의 귀의 주위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안경(G)이 장착되면, 좌우의 템플부(3a, 3b)가 대략 수평상태로 되어 장착자의 협골궁(C)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고(도 6 참조), 좌우의 템플부(3a, 3b)의 선단측(후단측, 즉, 도 4, 도 10에서의 우측)의 부분이 장착자의 측두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된다.
이에 더하여, 좌우의 템플부(3a, 3b)의 대략 중앙(전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내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맞닿음부(14a, 14b)가, 장착자의 협골궁(C)의 전단 부근의 외측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좌우의 템플부(3a, 3b)의 기단측(전단측, 즉, 도 4, 도 10에서의 좌측)의 부분이 장착자의 측두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됨과 아울러, 렌즈 유지부(2)가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된다. 또, 안경(G)은, 렌즈 유지부(2)에 코에 맞닿게 하기 위한 패드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좌우의 렌즈의 하단은, 장착자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안경(G)은, 좌우의 모던부(4a, 4b) 전체, 및 맞닿음부(14a, 14b)의 부분에 있어서, 장착자의 두부의 피부에 맞닿은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높은 장착 강도(장착시의 고정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안경의 효과>
안경(G)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모던부(4a, 4b)가,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까지의 부분과 맞닿도록 상향의 볼록 모양(상향의볼록의 원호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모던부(4a, 4b)의 기단측에, 장착자의 협골궁(C)의 후단 부근의 상부를 압압하기 위한 압압 돌기(13)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안경(G)은, 코 패드가 마련되지 않음에도 상관없이, 매우 피트성이 높고, 장착자가 개구 동작을 반복하였을 경우에도 장착감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어긋나 떨어지기 어렵다. 또, 장시간에 걸쳐서 장착하였을 경우나 장착자가 운동하였을 경우에도, 장착자에게 아픔을 느끼게 하거나, 프런트부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거나 하지 않는다.
또, 안경(G)은, 각 모던부(4a, 4b)와 각 템플부(3a, 3b)와의 접속 부분이 하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고, 장착시에 각 템플부(3a, 3b)가 장착자의 협골궁(C)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각 템플부(3a, 3b)의 내측에 맞닿음부(14a, 14b)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시에, 그들 맞닿음부(14a, 14b)가 장착자의 협골궁(C)의 전단 부근(도 6에 있어서의 α부분)의 외측에 맞닿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좌우의 렌즈(L1, L2)의 위치를 유지하는 기능이 뛰어나고, 좌우의 렌즈(L1, L2)를 올바른 아이포인트(통상, 렌즈의 내면이 안구면으로부터 12mm의 거리가 되는 위치)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메인터넌스를 하지 않고, 그 피트성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안경(G)은, 압압 돌기(13, 13)가 각 모던부(4a, 4b)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향으로 돌출한 대략 반원기둥 모양체이며, 장착자의 협골궁의 후단 부근의 상부를 넓은 면적으로 압압하므로,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주위에 걸려진 각 모던부(4a, 4b)의 기단 부근(전단 부근)의 부분이 높은 구속력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안경(G)은, 극히 피트성이 높고, 어긋나 떨어지기 매우 어렵다.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압 돌기(13, 13)가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렵기 때문에, 디자인성이 뛰어나다.
이에 더하여, 안경(G)은, 각 모던부(4a, 4b)가, 상향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좌우의 템플부(3a, 3b)가 좌우의 모던부(4a, 4b)의 기단과, 좌우의 렌즈(L1, L2)를 유지한 유지틀(6a, 6b)의 외측의 중앙보다 상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맞닿음부(14a, 14b)가 템플부(3a, 3b)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눈에 띄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시의 외관이 매우 양호하다.
또, 안경(G)은, 좌우의 맞닿음부(14a, 14b)가, 내측으로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맞닿음부(14a, 14b)의 측두부로의 압압 강도(즉, 피트성)를 (장착자 자신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안경(G)은, 좌우의 템플부(3a, 3b)가,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두부의 형상에 맞추어 (장착자 자신이) 맞닿음부(14a, 14b)의 맞닿음 위치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안경의 변경예>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의 태양으로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렌즈, 렌즈 유지부(연결암, 유지틀), 템플부, 맞닿음부, 모던부, 압압 돌기 등의 형상, 구조, 재질 등의 구성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렌즈 유지부 및 템플부가 금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렌즈 유지부가 금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템플부가 합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나, 렌즈 유지부 및 템플부가 합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것 등이라도 괜찮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모던부가 템플부의 후방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금속제의 좌우의 템플부의 후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심체의 외측에 합성 수지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서 모던부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모던부와 템플부가 별개로 마련된 것 등이라도 괜찮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맞닿음부가 실리콘 고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맞닿음부의 재질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맞닿음부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전후로 긴 직방체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뿔 모양(선단을 둥글게 모따기한 것), 원뿔대 모양, 타원 기둥 모양이나 삼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것(높이 방향을 템플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시킨 것)나, 내향으로 돌출한 테이퍼인 설편(舌片) 모양인 것 등이라도 괜찮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맞닿음부를 전후로 긴 직방체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맞닿음부를 전후로 긴 영역에서 장착자의 협골궁의 전단 부근의 외측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서 (예기치 않게 움직이지 않도록) 강고하게 고정하기 쉽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맞닿음부의 장착자의 측두부(협골궁의 전단 부근의 외측)와의 맞닿음면이 템플부의 내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당해 맞닿음면이 경사 모양(예를 들면, 전방측을 후방측 보다도 내측으로 돌출시킨 경사 모양)인 것 등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의 템플부에, 장착자의 협골궁의 전단 부근의 외측에 맞닿게 하기 위한 좌우 1세트의 맞닿음부를 마련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좌우 2세트 이상의 맞닿음부를 마련한 것이라도 괜찮다.
또한, 맞닿음부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볼트·너트에 의한 나사 고정 등의 방법에 의해서 템플부에 고정된 것(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포함함)으로 한정되지 않고, 합성 수지의 탄성(변형 후의 복원성)을 이용하여 템플부에 고정되는 것(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포함함)이라도 괜찮다. 또한, 맞닿음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했을 경우에는, 맞닿음부의 사이즈가 장착자에 합치하지 않을 때에, 다른 사이즈의 것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의 템플부의 내측에 맞닿음부를 직접적으로 고착시킨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철사 등의 금속제의 암을 이용하여, 맞닿음부를 좌우의 템플부의 내측에 간접적으로 고착시킨 것 등이라도 괜찮다. 도 11은, 맞닿음부를 좌우의 템플부의 내측에 간접적으로 고착시킨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맞닿음부(14b')는, 금속제의 고착 부재(21)를 매개로 하여 템플부(3b)의 내측에 나사 장착되어 있다. 고착 부재(21)는, 선단에 마련된 타원형의 링체(22)와 타원형의 판 모양의 베이스부(23)를 U자 모양으로 굴곡된 철사 모양의 암(24)에 의해서 연결한 것으로, 베이스부(23)가 템플부(3b)의 내측에 나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재료(실리콘 고무 등)에 의해서 평평한 타원 모양으로 형성된 맞닿음부(14b')가, 고착 부재(21)의 선단의 링체(22)에 끼워 넣어져 있고, 맞닿음부(14b')의 내면(맞닿음면)이 전방측을 후방측 보다도 내측으로 돌출시킨 경사 모양으로 되어 있다(또한, 좌측의 템플부(3a)에도 대칭 형상의 맞닿음부(14a')가 마찬가지로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고착 부재(21)의 암(24)의 굴곡 각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서 맞닿음부(14b')의 측두부로의 압압 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맞닿음부가, 내측으로의 돌출량을 조절 가능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내측으로의 돌출량이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도 괜찮다. 이에 더하여, 맞닿음부는, 후측에 마련된 맞물림 구멍을 템플부의 내면에 마련된 맞물림체에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서 템플부의 내측에 고착(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결합 기구에 의해서 템플부의 내측에 고착되는 것이라도 괜찮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다른 결합 기구에 의해서 템플부의 내측에 고착되는 맞닿음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템플부(3b(3a))에는, 볼트(41)가 내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측을 벌린 두 갈래 모양의 맞물림체(42)가, 템플부(3b)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또, 맞닿음부(14b"(14a"))는, 실리콘계 고무 등에 의해서 편평한 대략 타원 기둥 모양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 편평한 판 모양의 맞물림부(43)가, 연결부(44)를 매개로 하여, 본체(45)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상태로 부설(付設)되어 있다. 또, 본체(45)의 후방의 내면에는, 나사 홈을 새긴 너트(46)가 고착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된 맞닿음부(14b"(14a"))도, 상기 실시 형태의 맞닿음부와 마찬가지로, 너트(46)와 볼트(41)와의 나사 장착 정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내측으로의 돌출량(도 12의 (b)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돌출량)를 조정할 수 있고, 원하는 돌출량에 있어서, 맞물림부(43)의 전단 부근을, 템플부(3b)의 내면에 고착된 맞물림체(42)에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서 템플부(3b)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였을 경우도, 상기 실시 형태의 안경과 마찬가지로, 맞닿음부(14b"(14a"))의 측두부로의 압압 강도를 (장착자 자신이)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의 모던부와 좌우의 템플부와의 접속 부분을, 각각, 15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시킨 형상으로 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좌우의 모던부와 좌우의 템플부와의 접속 부분에서의 굴곡 각도를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굴곡 각도를 대체로 100°~165°의 범위로 조정하면, 각 템플부를 (어긋나지 않도록) 충분한 압압력을 발현 가능한 길이로 장착자의 협골궁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람직하고, 120°~155°의 범위로 조정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좌우의 모던부는, 원호 모양(측면시에서 상향으로 볼록의 원호 모양)이면 되고,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상향으로 볼록의 대략 반원호 모양(대략 역U자 모양)으로 굴곡시킨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13과 같이, 상향으로 볼록한 약 1/4의 원호 모양(ヘ자 모양)으로 굴곡시켜, 선단 부근의 수평선에 대한 경사 각도를 작게 한 것(경사 각도를 0°~20°정도로 한 것) 등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의 모던부의 기단측에, 장착자의 협골궁의 후단 부근의 상부를 압압하기 위한 압압 돌기를 마련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압압 돌기가 없는 것이라도 괜찮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의 모던부의 기단측에 압압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압압 돌기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좌우의 모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좌우의 모던부와 별개로 형성되고 좌우의 모던부의 기단측에 부설된 것 등이라도 괜찮다. 이에 더하여, 압압 돌기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다른 부분보다 좌우로 폭광(幅廣)이 (대경이) 되도록 팽출한 형상을 가지는 것(즉, 대략 반원기둥 모양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뿔형(선단을 둥글게 모따기 한 것)이나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된 것 등이라도 괜찮다. 또한, 압압 돌기의 높이(내측으로의 돌출량)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6.0mm의 범위 내로 조정하면, 장착자의 관자놀이의 부분을 압압 정도가 양호한 것이 되고, 장착자의 귀부에의 좌우의 모던부의 구속력이 매우 높은 것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시력을 교정할 목적, 햇볕을 차단할 목적이나, 패션 아이템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G : 안경 1 : 프레임
2 : 렌즈 유지부 3a, 3b : 템플부
4a, 4b, 4b' : 모던부 13 : 압압 돌기
14a, 14b, 14b', 14b" : 맞닿음부
P : 하향으로 볼록 모양의 굴곡 부분

Claims (3)

  1. 좌우 한쌍의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렌즈 유지부와, 그 렌즈 유지부의 좌우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한 템플부와, 그들 템플부의 각 선단 부근에 마련된 모던부를 가지는 안경으로서,
    상기 각 모던부가, 장착자의 귓바퀴의 뿌리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까지의 부분과 맞닿도록 상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기 각 템플부를 장착자의 협골궁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각 모던부와 상기 각 템플부와의 접속 부분이 하향의 볼록 모양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각 모던부의 기단측에, 장착자의 협골궁의 후단 부근의 상부를 압압하기 위한 압압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 돌기가, 상기 각 모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향으로 돌출한 대략 반원기둥 모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템플부의 내측에, 장착자의 협골궁의 전단 부근의 외측에 맞닿게 하기 위한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237043421A 2021-06-16 2022-06-02 안경 KR20240021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0457A JP2022191931A (ja) 2021-06-16 2021-06-16 眼鏡
JPJP-P-2021-100457 2021-06-16
PCT/JP2022/022498 WO2022264828A1 (ja) 2021-06-16 2022-06-02 眼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182A true KR20240021182A (ko) 2024-02-16

Family

ID=8452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421A KR20240021182A (ko) 2021-06-16 2022-06-02 안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39693A1 (ko)
JP (1) JP2022191931A (ko)
KR (1) KR20240021182A (ko)
WO (1) WO20222648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5243A (ja) 2018-12-04 2020-06-18 株式会社アイゾーンジャパン 眼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22U (ja) * 1993-09-24 1995-04-25 繁次郎 木村 眼鏡のバッドレスフレーム
US7011406B1 (en) * 2005-01-28 2006-03-14 Byung Suk Kim Eyeglass structures having mounting supports in temple members
JP4072864B2 (ja) * 2005-09-05 2008-04-09 アイテック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用モダン
JP6511601B1 (ja) * 2018-11-05 2019-05-15 英太郎 寺川 眼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5243A (ja) 2018-12-04 2020-06-18 株式会社アイゾーンジャパン 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4828A1 (ja) 2022-12-22
JP2022191931A (ja) 2022-12-28
EP4339693A1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406B1 (en) Eyeglass structures having mounting supports in temple members
KR20180063726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US20100283959A1 (en) Eyeglass frame without nose pad and eyeglass supporting method thereof
US755964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astening articles to face or head
US20060098160A1 (en) Eyeglasses with temple arm supports
US11281021B2 (en) Eyeglasses
KR20200125741A (ko) 안경
KR20240021182A (ko) 안경
KR20080070211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JP2016206388A (ja) メガネフレーム
ATE442608T1 (de) Längenverstellbarer brillenbügel
KR20160003557U (ko) 안경테
JP2022123254A (ja) 眼鏡
US5627609A (en) Temple for eyeglass frame
US20060077339A1 (en) Eyeglass frames with lateral supports
CN205157903U (zh) 一种功能性镜架
CN211985897U (zh) 一种可拆式简易护目镜
KR200332390Y1 (ko) 안경
KR200348930Y1 (ko) 코받침과 귀걸이가 없는 패션안경
KR200475958Y1 (ko) 플라스틱 안경테
JP7422993B2 (ja) 眼鏡フレーム、眼鏡フレーム型身体姿勢矯正具
EP1912092A1 (en) Side-piece for eyeglasses
JP7301099B2 (ja) ノーズパッド及びアイウエア
KR200224554Y1 (ko) 안경의 코받침
KR200321285Y1 (ko) 두부 착용식 안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