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089A -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089A
KR20240021089A KR1020220182344A KR20220182344A KR20240021089A KR 20240021089 A KR20240021089 A KR 20240021089A KR 1020220182344 A KR1020220182344 A KR 1020220182344A KR 20220182344 A KR20220182344 A KR 20220182344A KR 20240021089 A KR20240021089 A KR 20240021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ensor
case
clea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현
서동필
이재복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713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34793A1/ko
Priority to US18/210,811 priority patent/US20240052546A1/en
Publication of KR2024002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Abstract

필터장치는 세탁기의 외부에 배치되며 세탁기의 배수 장치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장치는, 케이스 유입부 및 케이스 배출부를 갖는 필터 케이스,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필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 및 배수 장치로부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세탁기와 연결 가능한 필터장치와,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터브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 물, 세제를 함께 교반시킴으로써 상호간의 마찰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세탁기가 수행하는 행정은 세탁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세탁물이 수용된 터브에 세제 및 물을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과, 터브에 물을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헹구어 내는 헹굼 행정과,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또는 탈수 행정을 수행할 때, 터브의 물을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는 세탁 행정 및/또는 헹굼 행정을 수행할 때,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다시 터브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관리가 용이한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필터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세탁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여 필터를 청소할 수 있는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필터장치는 세탁기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배수 장치와 연결 가능하다. 상기 필터장치는, 케이스 유입부 및 케이스 배출부를 갖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필터;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 및 상기 배수 장치로부터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세탁기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배수 장치와 연결 가능하고, 필터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와,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장치의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하우징과,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상기 배수 장치와 연결 가능한 필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장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필터;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 가능한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필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필터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터장치를 도 7과 상이한 방향에서 도시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필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필터장치에 물이 유입됨에 따라 제2 센서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4 센서가 도 16과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는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센서를 도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측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도시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 헹굼, 배수 및 탈수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탈수가 완료된 세탁물에 대해 건조 행정를 수행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도 있다. 세탁기는 의류처리장치의 일 예일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탑 로딩(top-loading) 세탁기 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가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프런트 로딩(front-loading)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탑 로딩 세탁기와 프런트 로딩 세탁기 이외의 다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탑 로딩 세탁기의 경우, 펄세이터와 같은 회전체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프런트 로딩 세탁기의 경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프런트 로딩 세탁기의 경우, 세탁물을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로딩 세탁기는 드럼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겸용 세탁기는 고온의 공기를 위한 가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겸용 세탁기는 건조한 공기를 위한 응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 겸용 세탁기는 히트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상술한 세탁 방식 이외의 다른 세탁 방식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처리 장치(1)의 세탁기(10)는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세탁기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 하우징(11)은 세탁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세탁기 하우징(11)은 일 부분이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탁기 하우징(11)은 드럼(30)의 내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개구(12)는 대략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세탁기(10)는 세탁기 하우징(11)에 마련되는 하우징 개구(1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3)는 힌지(14)에 의해 세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13)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세탁기 하우징(11)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0)는 물을 저수하도록 세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세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20)는 하우징 개구(12)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터브 개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 개구(22)는 대략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터브(20)는 세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터브(20)는 일 측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20)는 댐퍼(80)에 의해 세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댐퍼(80)는 세탁기 하우징(11)과 터브(20)를 연결할 수 있다. 댐퍼(80)는 드럼(3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 및/또는 세탁기 하우징(11)으로 전달될 때, 터브(20) 및 세탁기 하우징(11) 사이에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0)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드럼(30)은 드럼(30)의 내부 공간과 터브(2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통공(34)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일 측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35)가 설치될 수 있다.
드럼(30)은 하우징 개구(12) 및 터브 개구(22)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드럼 개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은 하우징 개구(12), 터브 개구(22), 및 드럼 개구(32)를 통해 드럼(30)에 투입되거나, 드럼(3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세탁기(10)는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세탁기 구동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 구동장치(40)는 구동 모터(41)와, 구동 모터(4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드럼(30)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샤프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42)는 터브(20)를 관통하여 드럼(30)에 연결될 수 있다.
세탁기(10)는 회전 샤프트(42)가 구동 모터(41)에 직접 연결되어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직접 구동 타입과 구동 모터(41)와 회전 샤프트(42) 사이에 풀리(43)를 연결하여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직접 구동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회전 샤프트(42)는 일 단이 드럼(30)에 연결되고, 타 단이 구동 모터(4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풀리(43)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모터(41)의 회전 축에는 모터 풀리(41a)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 풀리(41a)와 풀리(43) 사이에는 구동 벨트(44)가 마련되어 구동 벨트(44)에 의해 회전 샤프트(42)가 구동할 수 있다.
터브(20)의 후측 일부에는 회전 샤프트(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45)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45)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측 일부에 인서트될 수 있다.
세탁기 구동장치(40)는 드럼(3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또는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0)는 급수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터브(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터브(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급수관(51)과, 급수관(51)에 마련되는 급수밸브(56)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51)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51)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공급장치(60) 및/또는 터브(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은 세제 공급장치(60)를 거쳐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물은 세제 공급장치(60)를 경유하지 않고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밸브(56)는 제어부(90)의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급수관(51)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급수밸브(56)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터브(2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급수밸브(56)는, 예를 들면,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는 터브(20)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60)는 급수과정에서 터브(2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수관(5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60)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혼합된 물은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는 세탁용 세제뿐 아니라 건조기용 린스, 탈취제, 살균제 또는 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60)는 연결관(61)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세탁기(10)는 배수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70)는 터브(2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수장치(70)는 터브(20)의 물을 세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73)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 펌프(7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 펌프(73)를 연결하는 연결호스(71)와, 배수 펌프(73)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7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70)는 연결호스(71)를 개폐하도록 연결호스(71)에 마련되는 배수밸브(7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는 사용자와 세탁기(10)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를 제공할 수 있다.
세탁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세탁기(10)의 배수장치(70)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필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로부터 배출되는 물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에서 여과 가능한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의 배수장치(70)에서 여과 가능한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에에서, 세탁기(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와, 구동장치(40)와, 급수장치(50)와, 배수장치(70)와, 센서부(95)와, 통신 모듈(96)과,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는, 사용자와 세탁기(10)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각 정보(sensory information)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는 전원 버튼과, 동작 버튼과, 코스 선택 다이얼(또는 코스 선택 버튼)과, 세탁/헹굼/탈수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는,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다이얼,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는 감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세탁기(10)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는 세탁 코스 및 세탁기(10)의 동작 시간, 세탁 설정/헹굼 설정/탈수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세탁기(10) 동작에 관한 정보는 스크린, 인디케이터, 음성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40)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40)는 제어부(9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공급장치(60) 및/또는 터브(20)까지 연장되는 급수관(5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56)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밸브(56)는 제어부(9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될 수 있다.
배수장치(70)는 터브(20)의 물을 세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펌프(73)는 제어부(9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센서부(95)는 세탁기(1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95)는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구동장치(4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급수장치(50)를 통해 터브(20)로 유입되는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또는 배수장치(7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4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는, 일 예로, 구동모터(41)로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수장치(7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는, 일 예로, 배수펌프(73)로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탁기(1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96)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96)은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96)은 외부 장치(예: 서버, 사용자 기기, 가전기기, 및/또는 필터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96)은 서버 및/또는 사용자 기기 및/또는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립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96)은 외부 장치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6)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LAN(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UWB(ultrawideband) 통신 모듈, Ant+ 통신 모듈,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은 주변의 접속 중계기(AP: Access point)를 통해 서버, 사용자 기기, 다른 가전 기기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접속 중계기(AP)는 세탁기(10) 또는 사용자 기기가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LAN)를 서버가 연결된 광역 네트워크(WAN)에 연결시킬 수 있다. 세탁기(10) 또는 사용자 기기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세탁기(10)의 각종 구성 요소(예: 구동장치(40), 급수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급수,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수행하도록 세탁기(10)의 각종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0)는 드럼(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동 모터(41)를 제어하거나, 터브(20)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장치(50)의 급수밸브(5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CPU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와,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0)는 세탁기(1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2),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2)와 프로세서(91)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91)는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2)는 1 또는 2 이상의 메모리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 이상의 메모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2)와 프로세서(91)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처리 장치(1a)의 세탁기(10a)는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세탁기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 하우징(11a)은 세탁기(10a)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세탁기 하우징(11a)은 일 부분이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탁기 하우징(11a)은 드럼(30a)의 내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12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개구(12a)는 대략 상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세탁기(10a)는 세탁기 하우징(11a)에 마련되는 하우징 개구(12a)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3a)는 힌지에 의해 세탁기 하우징(11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13a)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세탁기 하우징(11a)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0a)는 물을 저수하도록 세탁기 하우징(11a)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a)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a)는 세탁기 하우징(1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20a)는 하우징 개구(12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터브 개구(22a)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 개구(22a)는 대략 상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터브(20a)는 세탁기 하우징(11a)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터브(20a)는 일 측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20a)는 댐퍼(80a)에 의해 세탁기 하우징(11a)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댐퍼(80a)는 세탁기 하우징(11a)과 터브(20a)를 연결할 수 있다. 댐퍼(80a)는 드럼(30a)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a) 및/또는 세탁기 하우징(11a)으로 전달될 때, 터브(20a) 및 세탁기 하우징(11a) 사이에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0a)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드럼(30a)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a)은 터브(20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a)은 터브(20a)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드럼(30a)은 드럼(30a)의 내부 공간과 터브(20a)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통공(34a)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a)은 일 측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30a)의 상부에는 세탁물에 의한 하중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밸런싱 유닛(36a)이 설치될 수 있다. 밸런싱 유닛(36a)은 환형의 채널을 갖는 하우징과, 채널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볼 또는 유체의 질량체를 포함하고, 드럼(30a)의 회전에 따라 볼 또는 유체가 움직이면서 드럼(30a)의 하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펄세이터(37a)는 드럼(30a)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 수류를 생성할 수 있다. 펄세이터(37a)에 의해 생성된 세탁 수류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드럼(30a)은 하우징 개구(12a) 및 터브 개구(22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드럼 개구(32a)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은 하우징 개구(12a), 터브 개구(22a), 및 드럼 개구(32a)를 통해 드럼(30a)에 투입되거나, 드럼(30a)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세탁기(10a)는 드럼(30a) 및 펄세이터(37a)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세탁기 구동장치(40a)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 구동장치(40a)는 구동 모터(41a)와, 구동 모터(41a)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드럼(30a) 및 펄세이터(37a)에 전달하기 위한 축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41a)는 고정된 스테이터(48a)와, 스테이터(48a)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49a)를 포함할 수 있다.
축계는 구동 모터(41a)의 구동력을 드럼(30a)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탈수축(47a)과, 구동 모터(41a)의 구동력을 펄세이터(37a)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세탁축(46a)과, 구동 모터(41a)와 탈수축(47a)을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클러치 장치(45a)를 포함할 수 있다.
탈수축(47a)은 중공을 갖도록 형성되고, 세탁축(46a)은 탈수축(47a)의 중공에 마련될 수 있다. 세탁축(46a)은 구동 모터(41a)의 로터(49a)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탈수축(47a)은 클러치 장치(45a)에 의해 구동 모터(41a)의 로터(49a)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클러치 장치(45a)가 탈수축(47a)과 구동 모터(41a)의 연결을 해제하면 세탁축(46a)에만 동력이 전달되어 펄세이터(37a)만 회전하고, 클러치 장치(45a)가 탈수축(47a)과 구동 모터(41a)를 연결시키면 탈수축(47a)과 세탁축(46a)에 모두 동력이 전달되어 드럼(30a)과 펄세이터(37a)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펄세이터(37a)만 회전하는 경우에 펄세이터(37a)의 회전에 의해 세탁 수류가 생성되고 생성된 세탁 수류에 의해 세탁물이 회전하면서 드럼(30a)과 마찰하여 세탁물의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펄세이터(37a)와 드럼(30a)이 동시에 회전하는 경우에 드럼(30a) 내부의 세탁물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의 수분이 이탈되어 세탁물의 탈수가 수행될 수 있다.
세탁기(10a)는 급수장치(50a)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50a)는 터브(20a)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장치(50a)는 터브(20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급수장치(50a)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마련되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공급장치(60a) 및/또는 터브(20a)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은 세제 공급장치(60a)를 거쳐 터브(20a)로 공급될 수 있다. 물은 세제 공급장치(60a)를 경유하지 않고 터브(20a)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밸브는 제어부(90a)의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급수밸브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터브(20a)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급수밸브는, 예를 들면,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a)는 터브(20a)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장치(60a)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60a)는 급수과정에서 터브(20a)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60a)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혼합된 물은 터브(20a)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는 세탁용 세제뿐 아니라 건조기용 린스, 탈취제, 살균제 또는 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a)는 배수장치(70a)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70a)는 터브(20a)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브(20a)의 하부에는 터브(20a)에 저수된 물을 터브(20a)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21a)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21a)에는 배수호스(74a)가 연결될 수 있으며, 배수호스(74a)에는 배수호스(74a)를 개폐하기 위한 배수밸브(72a)가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0a)는 사용자와 세탁기(10a)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a)를 제공할 수 있다.
세탁기(10a)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a)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a)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a)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a)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각 정보(sensory information)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a)는 전원 버튼과, 동작 버튼과, 코스 선택 다이얼(또는 코스 선택 버튼)과, 세탁/헹굼/탈수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a)는,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다이얼,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a)는 감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세탁기(10a)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a)는 세탁 코스 및 세탁기(10a)의 동작 시간, 세탁 설정/헹굼 설정/탈수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세탁기(10a) 동작에 관한 정보는 스크린, 인디케이터, 음성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a)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필터장치(100)와 동일한 필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는 프런트 로딩 세탁기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탑 로딩 세탁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a)의 배수장치(70a)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a)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a)로부터 배출되는 물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a)에서 여과 가능한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a)의 배수장치(70a)에서 여과 가능한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의류 처리 장치(1a)의 세탁기(10a)는 도 3에 도시된 세탁기(10)의 제어 구성과 동일한 제어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필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필터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터장치를 도 7과 상이한 방향에서 도시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필터장치(100)는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필터 하우징(101)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01)은 하우징 바디(102)와, 하우징 커버(103)와, 하우징 브라켓(10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바디(102)와, 하우징 커버(103)와, 하우징 브라켓(104)은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바디(102)는 하우징 커버(10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바디(102)는 하우징 브라켓(10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커버(103)는 하우징 브라켓(10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바디(102)는 하우징 커버(103) 및 하우징 브라켓(10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02)는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02)는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120)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대략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바디(102)는 전면과, 후면과,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바디(102)는 하우징 커버(103) 및/또는 하우징 브라켓(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02)는 필터장치(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하우징 유입부(102a)와, 필터장치(100)의 내부의 물을 필터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우징 배출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유입부(102a) 및/또는 하우징 배출부(102b)는 하우징 바디(10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유입부(102a)는 세탁기(10, 10a)의 배수호스(74, 74a)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배출부(102b)는 배수라인(105)과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03)는 하우징 바디(102)의 개방된 전면과 상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03)는 하우징 바디(102) 및/또는 하우징 브라켓(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03)는 필터(120)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 개구(10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가 설치되는 설치부(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는 적어도 일 부분이 설치부(103b)를 통해 필터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 브라켓(104)은 하우징 바디(102)의 개방된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브라켓(104)은 하우징 바디(102) 및/또는 하우징 커버(10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브라켓(104)은 파워 케이블(109)이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개구(104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브라켓(104)은 세탁기(10) 등을 포함한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커넥터(108)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장착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는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이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는 필터(120)를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케이스(110)는 케이스 바디(111)와, 케이스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11)는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12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11)는 필터(120)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개구(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개구(111a)는 커버 개구(103a)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개구(111a)는 케이스 유입부(112a)보다 케이스 배출부(111b)에 가깝게 위치하며, 필터(120)가 통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11)는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물을 필터 케이스(110)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케이스 배출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1b)는 케이스 바디(1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1b)는 케이스 개구(111a)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1b)는 필터(120)의 필터 개구(120a)가 위치하는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1b)는 필터(120)의 제1 필터부(121)보다 제2 필터부(12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1b)는 하우징 배출부(102b)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케이스 배출부(111b)와 하우징 배출부(102b)를 연결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배출부(111b)는 배출 가이드(107)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배출부(111b)와, 배출 가이드(107)와, 하우징 배출부(102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 커버(112)는 케이스 바디(111)의 케이스 개구(111a)가 위치하는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 커버(112)는 케이스 바디(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 커버(112)는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케이스 유입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는 하우징 유입부(102a)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케이스 유입부(112a)와 하우징 유입부(102a)를 연결하기 위한 유입 가이드(1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유입부(112a)는 유입 가이드(106)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유입부(112a)와, 유입 가이드(106)와, 하우징 유입부(102a)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 커버(112)는 필터 청소장치(130)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 장착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12b)는 케이스 유입부(112a)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12b)에는 필터 청소장치(130)의 청소 모터(136)가 장착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필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20)는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120)는 크기가 대략 5mm 이하인 미세 플라스틱을 여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120)는 메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20)는 대략 케이스 유입부(112a)와 케이스 배출부(111b)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필터(120)는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된 때, 케이스 유입부(112a)를 향해 개방되는 필터 개구(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 개구(120a)를 통해 필터(12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120)는 제1 필터부(121) 및 제2 필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121)는 제2 필터부(122)보다 케이스 유입부(112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물은 제1 필터부(121)에서 이물질이 여과되거나, 제1 필터부(121)에서 이물질이 여과되지 않고 제1 필터부(121)를 통과한 후 제2 필터부(122)에서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제1 필터부(121)와 제2 필터부(122)는 필터(12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부(122)에는 필터 청소장치(130)에 의해 제1 필터부(121)로부터 이송되는 이물질이 수집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120)가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된 때, 필터 하우징(101)의 외부로 적어도 일 부분이 노출되는 핸들(129)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9)은 필터(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129)이 필터(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필터(120)는 유지 및/또는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핸들(129)은 커버 개구(103a) 및/또는 케이스 개구(111a)에 회전하며 결합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120)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필터(120)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청소부재(131)를 구동시키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135)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의 제1 필터부(121)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131a)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131a)는 청소부재(131)의 회전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청소부재(131)는 복수의 브러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청소부재(131)는 청소 구동장치(135)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 케이스 유입부(112a)에 가까운 필터(120)의 일 부분에서 여과되는 이물질을 필터(120)의 케이스 배출부(111b)에 가까운 필터(120)의 일 부분으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제1 필터부(121)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2 필터부(122)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유연한 재질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며 필터(120)에서 여과된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에 접촉된 상태로 구동되는 동안, 필터(120)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긁으며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부재(131)의 외경은 필터(12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131a)의 외경은 필터(12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의 구동 시 청소부재(131)와 필터(120)가 중첩됨에 따라,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에 포집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청소부재(131)는 필터(120)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청소부재(131)가 제1 필터부(121)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2 필터부(122)로 이송시키도록 마련되며,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물이 제1 필터부(121)로부터 제2 필터부(122)로 흐름에 따라, 제1 필터부(121)에 여과된 이물질은 제2 필터부(122)에 효율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청소 구동장치(135)는 청소 모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 구동장치(135)는 모터 축(137)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터(136)는 청소부재(131)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 축(137)은 청소부재(131)와 연결될 수 있다. 청소 모터(136)는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청소 모터(136)는 케이스 배출부(111b)보다 케이스 유입부(112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장부(190,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부(190)는 필터 하우징(101)의 내부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장부(190)는 필터 케이스(11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장부(190)는 필터 케이스(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장부(190)는 필터(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부(190)에는 필터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91)가 마련될 수 있다(도 21 참조). 전장부(190)에는 세탁기(10, 10a)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99)가 마련될 수 있다(도 21 참조).
필터장치(100)는 전장부(190)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는 적어도 일 부분이 필터 하우징(101)의 설치부(103b)를 통해 필터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는 필터장치(10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는 제1 버튼(197a) 또는 제2 버튼(197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197a)은 전원 버튼과, 와이파이(WiFi) 연결 버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튼(197b)은 전원 버튼과, 와이파이(WiFi) 연결 버튼 중 제1 버튼(197a)과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장치(100)와 관련된 시각화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9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8)는 필터장치(10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9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1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필터 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센서(150)는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센서(150)는 필터 케이스(1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 센서(150)는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되는 필터(120)의 제2 필터부(122)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 센서(150)는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 센서(150)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센서(150)는 센서(150)로 지칭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장치(10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급수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센서(200)로 지칭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필터 케이스(110)는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의 잔수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잔수 가이드(119)를 포함할 수 있다. 잔수 가이드(119)는 중력 방향으로 필터(1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잔수 가이드(119)는 케이스 배출부(111b)로부터 케이스 유입부(112a)를 향해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잔수 가이드(119)는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g)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잔수 가이드(119)에 의해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의 물이 케이스 배출부(111b)를 통해 필터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1b)의 입구의 중력 방향에 따른 하단의 위치는 케이스 유입부(112a)의 중력 방향에 따른 하단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에 잔수가 발생하는 경우, 잔수는 중력에 의해 케이스 배출부(111b)의 주변으로부터 케이스 유입부(112a)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 배출부(111b)의 입구와 케이스 유입부(112a) 사이의 필터 케이스(110)의 바닥면은 단차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는 필터(12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의 중력 방향에 따른 최상단은 필터(120)의 중력 방향에 따른 최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의 중력 방향에 따른 최하단은 필터(120)의 중력 방향에 따른 최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1b)의 입구는 필터(12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는 연결구(118)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118)는 잔수 가이드(119)의 케이스 유입부(112a)에 가까운 일 단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구(118)는 잔수 가이드(119)에 의해 가이드되는 물을 케이스 유입부(112a)를 향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필터 케이스(11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118)는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후술할 우회 유로(117)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필터 케이스(110)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연결구(118)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장치(140)는 연결 도어(141)와, 연결 도어(141)를 작동시키기 위한 도어 모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도어(141)는 연결구(118)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도어(141)는 연결구(118)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 및/또는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도어(141)는 필터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도어(141)는 잔수 가이드(119)로부터 케이스 유입부(112a)로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도어(141)는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연결구(118)로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도어(141)는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연결구(118)를 개방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 모터(142)는 연결 도어(141)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장치(140)는 도어 모터(142)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연결 도어(141)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장치(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모터(142)에서 발생되는 동력은 동력 전달장치(143)를 통해 연결 도어(141)로 전달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필터(120)를 통과하는 필터링 유로(116)와, 필터(120)를 우회하는 우회 유로(117)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필터링 유로(116)를 통해 케이스 배출부(111b)로 이동하거나, 우회 유로(117)를 통해 케이스 배출부(111b)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 도어(141)가 연결구(118)를 개방하는 동안,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필터링 유로(116)를 거치지 않고 우회 유로(117)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연결구(118)를 통해 우회 유로(117)의 내부로 유입된 후, 케이스 배출부(111b)를 통해 필터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터(120)의 일 부분이 막히게 되더라도, 필터장치(100)로부터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장치(100)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도어(141)가 연결구(118)를 개방하는 동안, 우회 유로(117)의 물은 필터링 유로(116)를 거치지 않고 케이스 유입부(112a)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 내부의 잔수는 연결구(118)를 통해 케이스 유입부(112a)를 향해 이동한 후,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필터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터장치(100)에 발생되는 잔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연결구(118)는 우회 유로(117)의 물이 케이스 유입부(112a)로 이동 가능하거나, 케이스 유입부(112a)로 유입되는 물이 우회 유로(117)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유입부(102a)를 통해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은 유입 가이드(106)에 의해 필터 케이스(110)로 가이드될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 개구(120a)를 통해 필터(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링 유로(116)로 흐를 수 있다. 연결 도어(141)가 연결구(118)를 닫고 있으므로,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물은 연결구(118)를 통해 우회 유로(117)로 흐를 수 없다. 필터(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120)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필터(120)를 통과한 물은 케이스 배출부(111b)를 통해 필터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케이스 배출부(111b)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배출 가이드(107) 및 하우징 배출부(102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필터장치(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배수라인(105)을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로의 물의 유입이 중단된 때,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잔수가 발생할 수 있다. 잔수는 중력에 의해 필터 케이스(110)의 바닥에 저장될 수 있다. 잔수는 우회 유로(117)에 저장될 수 있다.
연결 도어(141)가 연결구(118)를 개방함에 따라, 필터 케이스(110)의 바닥에 저장되어 있던 잔수는 케이스 유입부(112a)로 흐를 수 있다. 케이스 유입부(112a)로 흐르는 잔수는 유입 가이드(106) 및 하우징 유입부(10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필터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잔수는 배수호스(74, 74a)에 의해 세탁기(10, 10a)의 배수장치(70, 70a)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필터 케이스(110)는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S1)에는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공간(S2)은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유입되어 제1 공간(S1)을 향해 유동하는 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공간(S2)은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120)를 통과하기 전의 물을 집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간(S2)은 제1 공간(S1)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간(S2)은, 연결 도어(141)가 연결구(118)를 폐쇄된 상태에서, 필터(120)의 최하단부(L), 연결 도어(141) 및 케이스 유입부(112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필터장치(100)는 급수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필터장치(10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세탁기(10, 10a)의 배수 장치(70, 70a)로부터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는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의 유무,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필터장치(100)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의 유량, 또는 필터장치(100)에 수용된 물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 하우징(101)으로 유입되는 물, 필터 하우징(101)의 하우징 유입부(102a)로 유입되는 물,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물, 필터 케이스(110)의 케이스 유입부(112a)로 유입되는 물, 또는 유입 가이드(106)로 유입되는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 외에도, 급수 센서(200)는 필터장치(100)로 공급되는 다양한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0, 10a)의 배수 동작 시, 터브(20)의 물은 배수 장치(70, 70a)에 의해, 세탁기 하우징(11, 11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탁기 하우징(11, 11a)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배수호스(74, 74a)를 통해, 필터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 세탁기(10, 10a)의 배수 동작에 의해 세탁기(10, 10a)로부터 배출된 물은, 필터장치(10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이때, 급수 센서(200)는, 세탁기(10, 10a)로부터 배출되어 필터장치(100)로 향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비접촉 센서일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물과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도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접촉 센서일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물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급수 센서(200)가 세탁기(10, 10a)의 배수 동작에 의해 세탁기(10, 10a)의 배수 장치(70, 70a)로부터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필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필터장치(100)가 제1 센서(200a)를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센서(200a)는 급수 센서(200)의 일 예에 해당한다.
필터장치(100)는 제1 센서(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200a)는 비접촉 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200a)는 물과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도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200a)는 필터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00a)는 제2 공간(S2)과 대응되는 필터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00a)는 제2 공간(S2)에 수용된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00a)는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된 물이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서 소정의 수위에 도달한 경우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00a)는 필터 케이스(11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필터(120)의 최하단부(L)의 높이 이상인 경우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00a)는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00a)는 콘덴서를 포함하며,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 주기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센서(200a)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물과의 물리적 접촉 없이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1 센서(200a)가 필터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장착된 경우만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00a)는 필터 하우징(101)의 하우징 유입부(102a)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00a)는 유입 가이드(106)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센서(200a)가 세탁기(10, 10a)의 배수 장치(70, 70a)로부터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면, 그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필터장치에 물이 유입됨에 따라 제2 센서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필터장치(100)가 제2 센서(200b)를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센서(200b)는 급수 센서(200)의 일 예에 해당한다.
필터장치(100)는 제2 센서(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200b)는 접촉 센서일 수 있다. 제2 센서(200b)는 물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200b)는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필터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00b)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00b)는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00b)는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된 물이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서 소정의 수위에 도달한 경우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00b)는 필터 케이스(11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필터(120)의 최하단부(L)의 높이 이상인 경우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00b)는 플로트(float)(20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트(202)는 적어도 일부가 제2 공간(S2)에 배치되며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00b)는 플로트(202)로부터 연장되는 스템(stem)(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S2)으로 물이 유입됨에 따라, 플로트(202)는 스템(20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트(20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트(202)는 자석을 포함하고, 스템(201)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트(202)가 부유함에 따라 플로트(202)의 자석이 스템(201)의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는 스템(201)을 고정하기 위한 스템 고정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템 고정부(115)는 스템(201)의 둘레 방향에 대해 스템(201)을 구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템 고정부(115)는 스템(20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스템(201)을 구속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플로트(202)는 제2 공간(S2)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스템(20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필터장치(100)가 제3 센서(200c)를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센서(200c)는 급수 센서(200)의 일 예에 해당한다.
필터장치(100)는 제3 센서(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200c)는 접촉 센서일 수 있다. 제3 센서(200c)는 물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3 센서(200c)는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3 센서(200c)는 필터장치(100)의 적어도 일 구성을 통과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3 센서(200c)는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200c)는 필터 하우징(101)의 하우징 유입부(102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200c)는 하우징 유입부(102a)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200c)는 회전체(20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03)는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체(203)는 하우징 유입부(102)를 통과하는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체(203)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03)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203)에 구비된 자석의 자성이 바뀔 수 있다. 회전체(203)에 구비된 자석의 자성이 변화함에 따라, 센서(200c)의 센서 출력 역시 변할 수 있다. 센서(200c)는, 센서 출력에 기초하여, 회전체(203)를 회전시키는 물의 유무, 회전체(203)를 회전시키는 물의 속도, 또는 회전체(203)를 회전시키는 물의 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제3 센서(200c)가 하우징 유입부(102a)에 장착된 경우만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200c)는 유입 가이드(106)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3 센서(200c)의 회전체(203)는 유입 가이드(106)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200c)는 필터 케이스(110)의 케이스 유입부(112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3 센서(200c)는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200c)는 제2 공간(S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3 센서(200c)는 제2 공간(S2)을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센서(200c)가 세탁기(10, 10a)의 배수 장치(70, 70a)로부터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면, 그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4 센서가 도 16과 상이한 위치에 마련되는 필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센서를 도시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필터장치(100)가 제4 센서(200d)를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센서(200d)는 급수 센서(200)의 일 예에 해당한다.
필터장치(100)는 제4 센서(20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접촉 센서일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물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필터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필터 케이스(11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필터장치(100)의 적어도 일 구성을 통과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사이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사이의 단락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모두 물과 접촉하는 경우,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제4 센서(200d)는 필터장치(10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면, 제4 센서(200d)의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는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는 제2 공간(S2)에 배치되고, 제2 전극부(2051)는 제1 전극부(204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센서(200d)는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해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어 제1 공간(S1)을 향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제4 센서(200d)의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는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는 케이스 유입부(112a)에 배치되고, 제2 전극부(2051)는 제1 전극부(204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센서(200d)는 케이스 유입부(112a)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센서(200d)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중 어느 하나는 제2 공간(S2)에 배치되고,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중 나머지 하나는 케이스 유입부(112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는 모두 유입 가이드(106)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중 어느 하나는 유입 가이드(106)에 배치되고,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중 나머지 하나는 케이스 유입부(112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중 어느 하나는 유입 가이드(106)에 배치되고,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 중 나머지 하나는 하우징 유입부(112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와 제2 전극부(2051)는 모두 하우징 유입부(102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 센서(200d)가 세탁기(10, 10a)의 배수 장치(70, 70a)로부터 필터장치(100)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면, 그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제4 센서(200d)는 제1 전극 유닛(204)과 제2 전극 유닛(2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유닛(204)은 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전극부(20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2041)는 피복이 벗겨진 전극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부(2041)는 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부(2041)는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 유입 가이드(106)의 내부, 또는 하우징 유입부(102b)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극 유닛(204)은 필터장치(100)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2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042)는 제1 전극부(204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042)는 필터 케이스(110)의 외측면, 유입 가이드(106)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 유입부(102b)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전극 유닛(204)는 제1 센서 케이블(20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케이블(2044)은 전장부(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 유닛(204)은 제1 센서 케이블(2044)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20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 유닛(205)은 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전극부(20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부(2051)는 피복이 벗겨진 전극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부(2051)는 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부(2051)는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 유입 가이드(106)의 내부, 또는 하우징 유입부(102b) 내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극 유닛(205)은 필터장치(100)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20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052)는 제2 전극부(205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052)는 필터 케이스(110)의 외측면, 유입 가이드(106)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 유입부(102b)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 유닛(205)는 제2 센서 케이블(20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케이블(2054)은 전장부(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 유닛(205)은 제2 센서 케이블(2054)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20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센서를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측면을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필터장치(100)가 제5 센서(200e)를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센서(200e)는 급수 센서(200)의 일 예에 해당한다.
필터장치(100)는 제5 센서(20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센서(200e)는 필터장치(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5 센서(200e)는 필터 케이스(110) 내의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센서(200e)는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센서(200e)는 필터 케이스(11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연결 배관(20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배관(206)은 필터 케이스(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6)은 필터 케이스(110) 내부의 물이 유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6)의 일 측은 필터 케이스(110)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6)의 일 측은 필터 케이스(110)에 형성된 연통구(205)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6)의 타 측은 센서(200e)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 내부의 물은, 연통구(205)를 통해, 연결 배관(206)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로부터 연통구(205)를 통해 유출된 물은, 연결 배관(206)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 내부의 물의 수위가 변화함에 따라, 연결 배관(206)의 내의 압력이 변할 수 있다.
제5 센서(200e)는 연결 배관(206)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센서(200e)는 페라이트 코어와 페라이트 코어를 감싸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배관(206) 내의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페라이트 코어가 이동할 수 있고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변할 수 있다. 이로써,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함에 따라 센서(200e)의 출력 주파수가 변할 수 있다. 결국, 센서(200e)는 출력 주파수에 기초하여 필터 케이스(110)의 내의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구(205)는 필터(120)의 센터 라인(C)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0e)는 필터(120)의 센터 라인(C)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 라인(C)은 필터(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필터(120)의 중심을 지나는 라인일 수 있다.
연결 배관(206)과 제5 센서(200e)는 센싱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급수 센서(200)의 예들(200a, 200b, 200c, 200d, 200e) 각각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도시한다.
도 20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a)를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된 필터장치(100a)를 설명함에 있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필터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급수 센서(200)의 예들(200a, 200b, 200c, 200d, 200e)는, 필터장치(100a)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0를 참조하면, 필터장치(100a)는 하우징 유입부(202a) 및 하우징 배출부(202b)의 위치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필터장치(100)의 하우징 유입부(102a) 및 하우징 배출부(102b)의 위치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0를 참조하면, 하우징 유입부(202a)는 필터장치(100a)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유입부(202a)는 하우징 브라켓(204)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필터장치(100)의 하우징 유입부(102a)는 하우징 바디(102)에 위치하는 반면, 도 20에 도시된 필터장치(100a)의 하우징 유입부(202a)는 하우징 브라켓(204)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유입부(202a)는 필터 케이스(110)의 케이스 유입부(112a)와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 유입부(202a)는 케이스 유입부(112a)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유입부(202a)와 케이스 유입부(112a) 사이에는 유입 가이드(106)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유입부(202a)와 케이스 유입부(112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배출부(202b)는 필터장치(100a)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배출부(202b)는 하우징 브라켓(204)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필터장치(100)의 하우징 배출부(102b)는 하우징 바디(102)에 위치하는 반면, 도 20에 도시된 필터장치(100a)의 하우징 배출부(202b)는 하우징 브라켓(204)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우징 배출부(202b)는 케이스 배출부(111b)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배출부(202b)와 케이스 배출부(111b) 사이에는 배출 가이드(107)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배출부(202b)와 케이스 배출부(11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터장치는 도 20에 도시된 하우징 유입부(202a)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하우징 배출부(102b)의 조합도 가능하며,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하우징 유입부(102a)와 도 20에 도시된 하우징 배출부(202b)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구성들과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 100a)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와, 필터 센서(150)와, 급수 센서(200)와, 필터 청소장치(130)와, 개폐 장치(140)와, 디스플레이(198)와, 통신부(199)와, 필터장치(100, 100a)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청소 모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140)는 도어 모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91a)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9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1)는 필터장치(100, 100a)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또는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91a),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91a)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91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1a)와 프로세서(191b)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91b)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서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1a)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91a)와 프로세서(191b)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9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필터장치(100, 100a)의 각종 구성 요소(예: 필터 청소장치(130), 개폐장치(140), 디스플레이(198))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는 제1 버튼(197a)과, 제2 버튼(197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91)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필터 센서(150)는 필터(120)에 수집된 이물질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필터 센서(150)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191)로 전달할 수 있다. 필터 센서(150)는 센서 데이터를 제어부(191)로 전달할 수 있다. 필터 센서(150)는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191)로 전달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센서 데이터를 제어부(191)로 전달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케이스 유입부(112a)에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유입 가이드(106)에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하우징 유입부(102a)에 장착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급수 센서(200)로 채택될 수 있다.
제어부(191)는 필터 센서(150) 및/또는 급수 센서(200)를 통해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센서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필터장치(100, 100a)의 각종 구성 요소(예: 필터 청소장치(130), 개폐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필터(12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청소부재(131)와, 청소부재(131)를 회전시키기 위한 청소 모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필터 청소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청소 모터(136)를 동작시키거나, 청소 모터(136)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청소 모터(136)에 구동전류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 회로는 제어부(191)의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청소 모터(136)에게 구동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구동 회로는 외부 전원의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정류된 전력의 리플을 제거하고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직류 링크 회로와, 직류 전력을 정현파 형태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고 구동전류를 청소 모터(136)로 출력하는 인버터 회로와, 청소 모터(136)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와, 제어부(191)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 회로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턴온/턴오프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장치(140)는 연결구(118)를 개폐하는 연결 도어(141)와, 연결 도어(141)를 작동시키기 위한 도어 모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개폐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연결구(118)를 개방하거나 연결구(118)를 폐쇄하도록 도어 모터(14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8)는 필터장치(100, 100a)와 관련된 시각화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9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와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9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통신부(199)는 제어부(191)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95)는 서버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또는 세탁기(10, 10a)를 포함한 가전기기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통신부(199)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또는 가전기기)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99)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99)는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부(199)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댁 내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통신을 수립한 것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청소 구동장치(13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청소 모터(13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청소 모터(136)를 동작시키거나 청소 모터(136)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청소 구동장치(13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청소 모터(136)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은, 세탁기(10, 10a)로부터 배출된 물이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은,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된 물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은, 필터 케이스(11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필터(120)의 최하단부(L)의 높이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20)의 최하단부(L)의 높이는, 필터(120)가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최저 수위를 의미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에 수용된 물이 필터(120)의 최하단부(L)의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필터(120)는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120)가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동안, 필터 청소장치(130)는 필터(120)를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를 통해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경우, 세탁기(10, 10a)의 배수 동작이 시작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세탁기(10, 10a)의 배수 동작이 시작되었다고 판단한 것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세탁기(10, 10a)로부터 배출된 물이 필터장치(100, 100a)의 필터(120)에 의해 여과되는 동안, 필터 청소장치(130)는 필터(120)를 청소할 수 있다. 필터(120)에 쌓이는 이물질은, 필터 청소장치(130)에 의해 즉시 청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제2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제2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청소 구동장치(135)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 의해 제2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청소 모터(136)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미리 설정된 조건은, 필터장치(100, 100a)로의 물의 유입이 중단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미리 설정된 조건은,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된 후 소정 시간 동안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를 통해 제2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경우, 세탁기(10, 10a)의 배수 동작이 개시된 후 배수 동작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배수 동작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것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세탁기(10, 10a)로부터 배출된 물이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것이 중단된 경우, 필터 청소장치(130)는 필터(120)를 청소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세탁기(10, 10a)의 배수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1100). 세탁기(10, 10a)의 배수 행정이 시작됨에 따라 터브(12) 내의 물은 배수호스(74, 74a)를 통해 세탁기 하우징(11, 11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탁기(10, 10a)로부터 배출된 물은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다(1200).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는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의 유무,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의 수량, 및/또는 필터장치(100, 100a)에 수용된 물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1300).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가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91)는 필터 청소장치(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급수 센서(200)가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91)는 청소 구동장치(135)를 동작시킬 수 있다. 급수 센서(200)가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91)는 청소 모터(136)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필터(120)를 청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가 필터장치(100, 100a)로의 물이 유입이 중단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91)는 필터 청소장치(13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급수 센서(200)가 필터장치(100, 100a)로의 물이 유입이 중단된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91)는 청소 구동장치(135)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급수 센서(200)가 필터장치(100, 100a)로의 물이 유입이 중단된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91)는 청소 모터(136)를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필터장치(100, 100a)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중단된 경우, 필터(120)를 청소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필터장치(100, 100a)의 일 구성을 통한 물의 유입 또는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의 집수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필터장치(100, 100a)의 일 구성을 통한 물의 유입 또는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의 집수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의 청소 구동장치(13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필터장치(100, 100a)의 일 구성을 통한 물의 유입 또는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의 집수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필터 청소장치(130)의 청소 모터(136)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순서도는 각각의 단계들(1100, 1200, 1300)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각각의 단계들(1100, 1200, 1300)의 순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계들(1100, 1200, 1300) 중 적어도 두 개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계들(1100, 1200, 1300) 중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세탁기(10, 10a)의 배수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2100). 세탁기(10, 10a)의 배수 행정이 시작됨에 따라 터브(12) 내의 물은 배수호스(74, 74a)를 통해 세탁기 하우징(11, 11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탁기(10, 10a)로부터 배출된 물은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 센서(200)는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91)로 송신할 수 있다(2200). 급수 센서(200)를 통해 획득된 정보는 제어부(191)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의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2300). 제어부(191)는 급수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191)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세탁기(10, 10a)의 배수 시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400). 제어부(191)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세탁기(10, 10a)의 배수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가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을 최초로 감지한 경우, 제어부(191)는 세탁기(10, 10a)의 배수 행정이 시작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가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을 계속해서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91)는 세탁기(10, 10a)의 배수 행정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가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을 감지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제1 미리 설정된 조건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191)는 세탁기(10, 10a)의 배수 행정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센서(200)가 제2 미리 설정된 조건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91)는 세탁기(10, 10a)의 배수 행정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필터 청소장치(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2500).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필터 청소장치(130)의 동작을 위해 필터 청소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청소 구동장치(135)에 구동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청소 모터(136)에 구동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제어부(191)에 의해 동작하여 필터(120)를 청소할 수 있다(2600). 필터 청소장치(130)는 제어부(191)로부터 전달받은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가 동작함에 따라, 필터(120)에 포집된 이물질은 필터(12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모터(136)가 동작함에 따라, 블레이드(131a)는 회전하면서 필터(120)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순서도는 각각의 단계들(2100, 2200, 2300, 2400, 2500, 2600)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각각의 단계들(2100, 2200, 2300, 2400, 2500, 2600)의 순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계들(2100, 2200, 2300, 2400, 2500, 2600) 중 적어도 두 개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계들(2100, 2200, 2300, 2400, 2500, 2600) 중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된 경우, 필터 청소장치(130)는 동작할 수 있다.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에 대응하여 청소 구동장치(135)는 동작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의 동작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되어 종료되기 전까지, 청소 구동장치(135)는 온(ON)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세탁기(10, 10a)의 배수 행정 동안, 필터(120)는 필터 청소장치(130)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된 경우, 필터 청소장치(130)는 동작할 수 있다.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에 대응하여 필터 청소장치(130)는 반복적으로 동작 및 동작 중단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의 동작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되어 종료되기 전까지, 청소 구동장치(135)는 온(ON) 상태 및 오프(OFF) 상태가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된 경우, 필터 청소장치(130)는 소정의 제1 시간(a) 동안 동작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소정의 제1 시간(a) 동안 동작한 후 소정의 제2 시간(b) 동안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소정의 제2 시간(b) 동안 동작이 중단된 후 소정의 제3 시간(c) 동안 동작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소정의 제3 시간(c) 동안 동작한 후 소정의 제4 시간(d) 동안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130)는, 소정의 제1 시간(a) 동안 동작하고 소정의 제2 시간(b) 동안 동작하지 않은 후, 소정의 제5 시간(e)의 주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소정의 제5 시간(e)은 소정의 제3 시간(c)과 소정의 제4 시간(d)을 더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1 시간(a)은 소정의 제3 시간(c)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 세탁기(10, 10a)의 배수 행정 초반에 세탁기(10, 10a)의 배수량이 많을 수 있는 바, 필터 청소장치(130)는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된 후 상대적으로 긴 시간인 소정의 제1 시간(a) 동안 필터(120)를 청소할 수 있다. 이후, 세탁기(10, 10a)의 배수량이 줄어들 수 있는 바, 필터 청소장치(130)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인 소정의 제3 시간(c) 동안 필터(120)를 청소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제1 시간(a)과 소정의 제3 시간(c)은 동일한 시간이거나, 또는 소정의 제3 시간(c)이 소정의 제1 시간(a)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
상술한 소정의 시간들(a, b, c, d, e)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소정의 시간들(a, b, c, d, e) 각각은 일부가 동일한 시간일 수 있다. 소정의 시간들(a, b, c, d, e) 각각은 서로 상이한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를 통해 소정의 시간들(a, b, c, d, e) 각각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된 경우, 필터 청소장치(130)는 동작할 수 있다.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되어 종료되기 전까지, 청소 구동장치(135)에 인가되는 구동전류(A)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청소 구동장치(135)로 공급되는 구동전류(A)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구동장치(135)로 공급되는 구동전류(A)의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청소 모터(136)의 출력이 변할 수 있다. 청소 모터(136)의 출력이 변화함에 따라, 청소 모터(136)와 연결된 청소부재(131a)의 회전 속도가 변할 수 있다. 결국, 필터 청소장치(130)의 청소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을 참조하면, 세탁기(10, 10a)의 배수가 시작된 경우, 청소 구동장치(135)에 소정의 제6 시간(f)동안 제1 구동전류(A1)가 인가될 수 있다. 이후, 청소 구동장치(135)에 소정의 제7 시간(g)동안 제2 구동전류(A2)가 인가될 수 있다. 도 26에서는 제1 구동전류(A1)가 제2 구동전류(A2)보다 큰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구동전류(A2)가 제1 구동전류(A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제6 시간(f)과 소정의 제7 시간(g)은 동일한 시간이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시간일 수 있다.
상술한 소정의 시간들(f, g)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97)를 통해 소정의 시간들(a, b, c, d, e) 각각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6에서는 청소 구동장치(135)의 구동전류(A)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예에 대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청소 구동장치(135)의 구동전류(A)는 시간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소 구동장치(135)의 구동전류(A)는 소정의 구간에서 규칙적으로 변하고, 소정의 다른 구간에서 불규칙적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도 24 내지 도 26에서 도시된 세탁기의 배수 시작 시점은, 필터장치(100)의 제어부(19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세탁기의 배수 종료 시점은, 필터장치(100)의 제어부(19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장치(100)는 세탁기(10, 10a)와 통신함에 따라, 세탁기의 배수 시작 시점 및/또는 세탁기의 배수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 100a)는 세탁기(10, 10a)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배수 장치(70, 70a)와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100, 100a)는, 케이스 유입부 및 케이스 배출부를 갖는 필터 케이스(110), 상기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필터(120),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135)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130), 및 상기 배수 장치로부터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필터장치(100, 100a)가 세탁기(10, 10a)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필터장치(100, 100a)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필터장치(100, 100a)는 필터 청소장치(130)를 포함하므로, 필터(120)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필터장치(100, 100a)는 필터장치(100, 100a)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91)를 포함하므로, 필터장치(100, 100a)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필터장치(100, 100a)는 필터장치(100, 100a)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여 필터(120)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필터(120)의 청소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상기 필터의 최하단부(L)의 높이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110)는,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제1 공간(S1)과, 상기 제1 공간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유동하는 물을 수용 가능한 제2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200)는,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과하는 물 또는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되는 물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청소 구동장치는 청소 모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청소장치는 상기 청소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필터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면과 접촉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부재의 외경은 상기 필터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유하도록 마련되는 플로트(float)(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케이스 유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과하는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체(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케이스 유입부에 배치되는 제1 전극부(2041) 및 상기 제1 전극부와 이격되는 제2 전극부(2051)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사이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전극부(2041) 및 상기 제1 전극부와 이격되는 제2 전극부(20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상기 제2 전극부 사이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의 물이 유동 가능하도록, 일 측이 상기 필터 케이스와 연통되며, 타 측이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연결 배관(2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연결 배관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세탁기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배수 장치와 연결 가능하고, 필터(120)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135)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130)와,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장치의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 1a)는, 세탁기(10, 10a) 및 필터장치(100, 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세탁기 하우징과,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상기 배수 장치와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는, 필터 케이스(110), 상기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필터(120),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135)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130),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 가능한 센서(200) 및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배수 장치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케이스 유입부(112a);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케이스 배출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1)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한 물의 유입 또는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에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의 집수가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장치(130)의 상기 청소 구동장치(13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a; 의류 처리 장치
10, 10a; 세탁기
70, 70a; 배수장치
100,100a; 필터장치
110; 필터 케이스
111b; 케이스 배출부
112a; 케이스 유입부
120; 필터
130; 필터 청소장치
200; 센서
190; 전장부
191; 제어부

Claims (20)

  1. 세탁기(10, 10a)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배수 장치(70, 70a)와 연결 가능한 필터장치(100, 100a)로서,
    케이스 유입부 및 케이스 배출부를 갖는 필터 케이스(110);
    상기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필터(120);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135)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130); 및
    상기 배수 장치로부터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200);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1);를 더 포함하는 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동작시키는 필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필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상기 필터의 최하단부(L)의 높이 이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제1 공간(S1)과,
    상기 제1 공간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공간을 향해 유동하는 물을 수용 가능한 제2 공간(S2)을 형성하는 필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과하는 물 또는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되는 물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필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구동장치는 청소 모터(136)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청소장치는 상기 청소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필터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면과 접촉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부재(131)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의 외경은 상기 필터의 내경보다 큰 필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물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필터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유하도록 마련되는 플로트(float)(202)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케이스 유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과하는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체(203)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케이스 유입부에 배치되는 제1 전극부(2041); 및
    상기 제1 전극부와 이격되는 제2 전극부(2051);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사이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필터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전극부(2041); 및
    상기 제1 전극부와 이격되는 제2 전극부(20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상기 제2 전극부 사이의 통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필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의 물이 유동 가능하도록, 일 측이 상기 필터 케이스와 연통되며, 타 측이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연결 배관(20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연결 배관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필터장치.
  16. 세탁기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배수 장치와 연결 가능한 필터장치(100, 100a)로서, 필터(120)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135)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130)와,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00)를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장치의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구동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필터장치의 제어 방법.
  19. 세탁기 하우징과,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10, 10a); 및
    상기 세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기의 상기 배수 장치와 연결 가능한 필터장치(100, 100a);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는,
    필터 케이스(110);
    상기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필터(120);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구동장치(135)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장치(130);
    상기 필터장치로 유입되는 물을 감지 가능한 센서(200); 및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1);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배수 장치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케이스 유입부(112a);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케이스 배출부(111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91)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케이스 유입부를 통한 물의 유입 또는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에 소정 수위 이상의 물의 집수가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장치(130)의 상기 청소 구동장치(135)를 동작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220182344A 2022-08-09 2022-12-22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KR20240021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7134 WO2024034793A1 (ko) 2022-08-09 2023-05-25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US18/210,811 US20240052546A1 (en) 2022-08-09 2023-06-16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534 2022-08-09
KR20220099534 2022-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089A true KR20240021089A (ko) 2024-02-16

Family

ID=9005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344A KR20240021089A (ko) 2022-08-09 2022-12-22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0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892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58402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78153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EP274644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US20060191078A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KR2018005319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20505201A (ja) 洗濯機から乾燥機へ、および乾燥機から外側の洗濯物かごへ衣服を自動的に移動させることができる遠隔制御可能な洗濯乾燥機システム
EP333623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815663B1 (ko) 세탁기
KR20240021089A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US20240052546A1 (en)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40021087A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US20240052548A1 (en)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40021088A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US20240052545A1 (en)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30416964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KR20070075487A (ko) 직립식 세탁기의 탈수방법
KR20240021090A (ko) 필터장치
US10100452B2 (en) Impeller having a sweeper
JP2008104494A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240026593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2262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40002121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240052547A1 (en) Filter apparatus
KR20240002120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