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262A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262A
KR20240012262A KR1020220159662A KR20220159662A KR20240012262A KR 20240012262 A KR20240012262 A KR 20240012262A KR 1020220159662 A KR1020220159662 A KR 1020220159662A KR 20220159662 A KR20220159662 A KR 20220159662A KR 20240012262 A KR20240012262 A KR 20240012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motor
stroke
cleaning
washing machine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훈
김정남
이완희
이재풍
전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529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19267A1/ko
Priority to US18/204,067 priority patent/US20240026593A1/en
Publication of KR2024001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드럼; 상기 터브 내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모터, 상기 펌프모터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상기 터브 내부로 가이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펌프모터의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개시된 발명은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터브와 터브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고, 터브 내부에서 세탁물이 담긴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 세탁된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 행정,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기의 터브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세제(유연제)가 급수되는 물에 고르게 섞여서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세제가 액체 세제(또는 액체 유연제)인 경우 직접 터브 내부로 액체 세제 또는 액체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제(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과 수용함에 수용된 세제(유연제)를 펌핑하는 펌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용함에 수용된 세제는 소정의 환경에서 고형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소가 필요하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세제공급장치의 수용부가 세척되어야 함을 사용자에게 공지함으로써 수용부의 세척을 유도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드럼; 상기 터브 내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모터, 상기 펌프모터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상기 터브 내부로 가이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펌프모터의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중에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터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제1 펌프모터와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제2 펌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 중에 상기 제1 펌프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헹굼행정 중에 상기 제2 펌프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고, 상기 제2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터브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펌프모터, 상기 급수장치,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배수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은,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하는 펌프행정; 상기 급수장치를 구동하는 급수행정; 상기 드럼을 교반하는 교반행정; 상기 배수장치를 구동하는 배수행정;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배수장치를 구동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이 시작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펌프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펌프행정이 종료되기 이전에 상기 급수행정과 상기 교반행정 각각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행정, 상기 배수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각각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터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제1 펌프모터와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제2 펌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은 상기 제1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 상기 제2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모두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행정은 상기 제1 펌프모터를 구동하는 제1 펌프행정, 상기 제2 펌프모터를 구동하는 제2 펌프행정 및 상기 제1 펌프모터와 상기 제2 펌프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3 펌프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용도를 세제함 또는 유연제함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수용부의 용도가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모터, 상기 펌프모터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터브 내부로 가이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모터의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고;
상기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모터의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은,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중에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제공급장치의 세척이 필요한지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제함으로 사용하던 수용부를 유연제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제함으로 사용하던 수용부를 유연제함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용부에 남아있던 세제와 새로 투입되는 유연제의 결합으로 인한 세제의 고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세제공급장치의 후방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사이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세제공급장치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수용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수용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수용부의 세척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터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수용부의 세척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터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수용부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하나의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수용부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수용부의 용도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가적인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세탁기(1)의 구성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드럼(30)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일 수도 있고, 드럼(30)이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전동식 세탁기일 수도 있다.
세탁기(1)는 세탁물을 드럼(30)에 넣는 방향에 따라 분류가 될 수도 있다. 세탁기(1)는 세탁물을 전방에서 드럼(30)으로 수용시키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와 세탁물을 상측에서 드럼에 수용시키는 탑 로딩 방식의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세탁기(1)는 드럼식 세탁기 또는 전동식 세탁기일 수 있고, 본 개시에 따른 세탁기(1)의 제어방법은 드럼식 세탁기 및 전동식 세탁기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가 드럼식 세탁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 헹굼, 배수 및 탈수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탈수가 완료된 세탁물에 대해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도 있다.
세탁기는 의류처리장치의 일 예일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건조 겸용 세탁기는 드럼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히트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상술한 세탁 방식 이외의 다른 세탁 방식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16a)와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의 위치가 캐비닛(10)의 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드럼(30)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 힌지 부재에 의해 캐비닛(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드럼(30) 내부의 공간은 세탁실(32)로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실(32)로 세탁물을 투입한 후 도어(40)를 폐쇄한 후 세탁물의 세탁을 시작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탁기(1)의 터브(2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세제공급장치(100)가 세탁기(1)의 좌측 상방에 마련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제공급장치(100)와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1)의 상세한 구성을 이하에서 더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내측에는 물과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도록 마련되는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세탁실(32)을 형성하는 드럼(30)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럼(30)은 캐비닛(10)의 내측에 마련되고, 내측에 세탁실(32)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터브(20)와 드럼(30)에는 캐비닛(10)의 전방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터브(20)와 드럼(30)의 개구는 캐비닛(10) 전면의 개구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캐비닛(10) 전면에 마련되는 개구는 도어(4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 도어 프레임(41)과 도어 글라스(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글라스(43)는 캐비닛(1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상부에는 급수관(14a)과, 급수관(14a)을 개폐하는 급수밸브(14b)를 포함하는 급수장치(1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전방 상부에는 급수과정에서 터브(2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공급관(17)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4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되며, 물과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가 액체세제인 경우 급수관(14a)은 별도의 제어 밸브(미도시)를 통하여 직접 터브(2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액체세제는 세제공급장치(100)를 거쳐 세제공급관(17)을 통하여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에어관(18)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에어관(18)은 세제공급장치(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 및/또는 유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관(18)은 세제공급장치(1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30)의 후방에는 구동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장치(60)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모터(61) 및 구동모터(6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6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 샤프트(67)에 전달하여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모터(61)는 고정된 스테이터(63)와, 스테이터(63)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65)로 구성되어 전기력을 기계력 회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터브(20)는 물과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12)와 터브(20)는 다이어프램(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50)의 일측에는 순환 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순환되는 혼합수를 드럼(30)의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분사 노즐은 드럼(30)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 전체에 고르게 혼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순환 호스는 터브(20)의 하부에서 저수된 혼합수를 펌핑하기 위한 순환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상승 및 낙하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에는 복수의 리프터(31)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71, 75)과, 배수관(71)을 개폐하는 배수밸브(72)와, 배수관(71)의 물을 배수관(75)을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펌핑하는 배수펌프(73) 등을 포함하는 배수장치(70)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는 상부의 스프링(미도시) 및 하부의 댐퍼(80)들에 의해 캐비닛(10)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프링과 댐퍼(80)들은 드럼(3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 및 캐비닛(10)으로 전달될 때, 터브(20) 및 캐비닛(10) 사이에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제공급장치(100)의 구성에 관하여 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도 2의 세제공급장치의 후방 분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100)는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는 하우징(140)과 함께 세제공급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110)는 급수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급수 플레이트(120)를 밀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110)는 급수 플레이트(120)와 결합하여 급수장치(14)로부터 공급된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110)는 급수장치(14)와 연결되는 급수챔버(또는 세탁수 유입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챔버(111)를 통하여 세탁수가 세제공급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커버(110) 및 하우징(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110)에 결합되는 급수 플레이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120)는 세탁수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구획하는 가이드 격벽(121)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120)는 커버(110)와 함께 급수장치(14)로부터 공급된 세탁수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120)는 급수장치(14)로부터 커버(110) 및 급수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 세탁수가 급수챔버(111)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세탁수 이동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수 이동홀(122)은 급수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탁수 이동홀(122)은 급수챔버(111)에 대응하도록 급수 플레이트(12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탁수 이동홀(122)은 급수챔버(111)와 마주하는 급수 플레이트(12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120)는 세제펌프(170)의 세제 배출부(172)에 의하여 혼합챔버(144)로 배출된 세제가 혼합챔버(144)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급수장치(14)로부터 공급된 세탁수 중 일부가 통과할 수 있게 마련되는 관통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3)은 급수장치(14)로부터 공급된 세탁수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세탁수 이동홀(122)보다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통홀(123)은 급수챔버(111)에 인접하도록 급수 플레이트(120)에 형성될 수 있다. 급수장치(14)로부터 공급된 세탁수 중 일부는 세탁수 이동홀(122)을 통해 급수챔버(111)로 배출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관통홀(123)을 통해 혼합챔버(144)로 배출될 수 있다. 혼합챔버(144)로 배출된 혼합수는 배출구(142)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커버(110)와 함께 세제공급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하우징(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내부에 세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101)를 형성하는 세제용기(150)가 인출 가능하도록 세제용기(150)와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101)는 복수의 수용부(101a, 101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하부에는 세탁수 및 세제 중 적어도 하나가 세제공급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42)는 세제공급관(17; 도 2 참조)과 연결되며, 배출구(142)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 및 세제 중 적어도 하나는 세제공급관(17; 도 2 참조)을 거쳐 터브(20)의 내부로 이동된다. 세탁수 및 세제 중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140)의 하부에 쌓이지 않고 배출구(142)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우징(140)의 하부는 배출구(142)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우징(140)은 일측에 공기가 통하게하여 하우징(140) 내부에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부(143)는 에어관(18; 도 2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가 수용 될 수 있는 수용부(101)를 포함하는 세제용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세제용기(150)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세제용기(150)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01)를 형성하는 함(미도시)과 함을 수용할 수 있는 이너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는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는 서로 독립된 하우징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세제용기(150)는 하우징(14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 각각에는 액체 상태의 세제가 수용될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세제는 세제, 린스, 섬유 유연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용기(150)의 상측에는 세제용기(150)를 커버하도록 세제용기커버(130)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용기커버(130)는 세제용기(150) 상측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급수 플레이트(120)의 세탁수 이동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세제용기커버(13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용기커버(130)의 전방에는 세제를 수용부(101)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세제용기 캡(131)이 마련될 수 있다. 세제용기 캡(131)은 세제용기커버(1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세제용기 캡(131)은 제1 수용부(101a)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세제용기커버(130)와 분리 가능한 제1 캡(131a)과, 제2 수용부(101b)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세제용기커버(130)와 분리 가능한 제2 캡(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탁수 이동홀(122)을 통과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세제용기(150)에 형성되는 급수챔버(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챔버(111)는 세제용기(150)의 급수 챔버 프레임(15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세탁수 이동홀(122)을 통과한 세탁수는 급수챔버(111)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커버(110) 및 급수 플레이트(120) 사이로 공급된 세탁수는 중력에 의해 세탁수 이동홀(122)을 쉽게 통과하여 급수챔버(111)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챔버(111)에는 경우에 따라 가루 형태의 세제가 투입될 수도 있다. 급수챔버(111)에 가루 형태의 세제가 투입된 경우, 가루 형태의 세제는 세탁수 이동홀(122)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와 함께 혼합챔버(144)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챔버(111)의 하측에는 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급수챔버(111) 및 혼합챔버(144)는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급수챔버(111)로부터 배출된 세탁수 및 세제용기(150)로부터 배출된 세제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과하여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혼합챔버(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챔버(144)는 세제용기(150) 및 하우징(14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용기(150)로부터 세제를 흡입하여 혼합챔버(144)로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세제펌프(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프(170)는 하우징(140)의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 돌기(145)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펌프(170)는 수용부(101)에 저장된 세제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모터(171)와, 수용부(101)에 저장된 세제를 세제펌프(17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세제 흡입부(174)와, 세제펌프(170)의 내측으로 안내된 세제를 혼합챔버(144)로 배출하는 세제 배출부(172)와,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세제감지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흡입부(174)는 수용부(101)와 연통된 흡입구(174a, 174b)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세제 흡입부(174)는 제1 수용부(101a)와 연통된 제1 흡입구(174a) 및 제2 수용부(101b)와 연통된 제2 흡입구(174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흡입부(174)는 세제함 밸브(160)를 가압하여 세제가 세제펌프(17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펌프모터(171)는 제1 흡입구(174a)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제1 펌프모터(171a)와, 제2 흡입구(174b)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제2 펌프모터(17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배출부(172)는 제1 수용부(101a)로부터 제1 흡입구(174a)를 통해 흡입된 액체를 혼합챔버(144)로 안내하는 제1 토출구(172a)와, 제2 수용부(101b)로부터 제2 흡입구(174b)를 통해 흡입된 액체를 혼합챔버(144)로 안내하는 제2 토출구(172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감지센서(173)는 제1 수용부(101a)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제1 센서(173a)와, 제2 수용부(101b)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제2 센서(173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73a)와 제2 센서(173b) 각각은 한 쌍의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는 전기가 통하는 전해질로, 세제와 접촉하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는 전류가 통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수용부(101) 내의 액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세제감지센서(173)가 전극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한 없이 세제감지센서(173)의 일 구성으로 채용될 수 있다.
펌프모터(171)가 동작하면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가 세제 흡입부(174)를 통해 세제펌프(170) 내부로 유입되고, 세제펌프(170)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세제 배출부(172)를 통해 혼합챔버(144)로 배출되고, 혼합챔버(144)로 배출된 액체가 배출구(142)를 통해 터브(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펌프모터(171a)가 동작하면 제1 수용부(101a)에 수용된 액체가 제1 흡입구(174a)를 통해 세제펌프(170) 내부로 유입되고, 세제펌프(170)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제1 토출구(172a)를 통해 혼합챔버(144)로 배출되고, 혼합챔버(144)로 배출된 액체가 배출구(142)를 통해 터브(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펌프모터(171b)가 동작하면 제2 수용부(101b)에 수용된 액체가 제2 흡입구(174b)를 통해 세제펌프(170) 내부로 유입되고, 세제펌프(170)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제2 토출구(172b)를 통해 혼합챔버(144)로 배출되고, 혼합챔버(144)로 배출된 액체가 배출구(142)를 통해 터브(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는 급수챔버(111)로 급수된 세탁수와 혼합되어 배출구(142)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는 급수장치(14)와 연결되어 수용부(10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관(미도시)과 그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설명하겠지만, 세제공급장치(100)가 수용부(10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사용자의 명령 만으로 수용부의 세척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세탁기(1)는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설명된 구성들뿐만 아니라 다음에 설명되는 전기/전자적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여기부터 도번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와, 구동장치(60)와, 급수장치(14)와, 배수장치(70)와, 세제공급장치(100)와,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사용자와 세탁기(1)가 상호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a)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a)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각 정보(sensory information)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a)는 전원 버튼과, 동작 버튼과, 코스 선택 다이얼(또는 코스 선택 버튼)과, 세탁/헹굼/탈수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a)는,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다이얼,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6b)는 감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세탁기(1)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6b)는 세탁 코스 및 세탁기(1)의 동작 시간, 세탁 설정/헹굼 설정/탈수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세탁기(1) 동작에 관한 정보는 스크린, 음성 등의 감각적 인디케이터로 출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6b)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16c)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c)은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c)은 외부 장치(예: 서버, 사용자 기기 및/또는 가전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6c)은 서버(2; 도 8 참조) 및/또는 사용자 기기(3; 도 8 참조) 및/또는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립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16c)은 외부 장치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6c)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LAN(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UWB(ultrawideband) 통신 모듈, Ant+ 통신 모듈,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실시예에서, 통신 모듈(16c)은 주변의 접속 중계기(AP: Access point)를 통해 서버, 사용자 기기, 다른 가전 기기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접속 중계기(AP)는 세탁기(1) 또는 사용자 기기가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LAN)를 서버가 연결된 광역 네트워크(WAN)에 연결시킬 수 있다. 세탁기(1) 또는 사용자 기기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장치(60)는 구동모터(61)와, 구동모터(6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드럼(30)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샤프트(6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67)는 터브(20)를 관통하여 드럼(3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장치(60)는 드럼(3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또는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장치(14)는 급수관(14a)과, 급수관(14a)에 마련되는 급수밸브(14b)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4a)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공급장치(100) 및/또는 터브(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거쳐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지 않고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밸브(14b)는 제어부(200)의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급수밸브(14b)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터브(2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급수밸브(14b)는, 예를 들면,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70)는 터브(2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수장치(70)는 터브(20)의 하부로부터 캐비닛(10)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배수관(71, 75)과, 배수관(71, 75)을 개폐하도록 배수관(71, 75)에 마련되는 배수밸브(72), 배수관(71, 75) 상에 마련되는 배수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73)는 터브(20) 내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급수과정에서 터브(2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수관(14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혼합된 물은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는 세탁용 세제뿐 아니라 유연제, 건조기용 린스, 탈취제, 살균제 또는 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모터(171)와, 펌프모터(171)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터브(20) 내부로 가이드하는 토출구(172a, 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세제감지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것은,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의 양이 임계값보다 적은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것은,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의 종류를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제감지센서(173)가 한 쌍의 전극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한 쌍의 전극센서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값에 기초하여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의 양이 임계값보다 적은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세제감지센서(173)는 한 쌍의 전극센서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값에 기초하여 수용부(101)에 수용된 액체의 종류가 세제인지 또는 물인지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는 펌프모터(171)의 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제공급장치(100)는 펌프모터(17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값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센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센서(175)는 제1 펌프모터(171a)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값을 감지하는 제1 전압센서와, 제2 펌프모터(171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값을 감지하는 제2 전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모터(171)의 부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제한 없이 전압센서(175)와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센서(175)는 펌프모터(17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값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구동 전압값을 감지하는 것은 펌프모터(171)의 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구동 전류값을 감지하는 것과 동일하게 생각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세탁기(1)의 각종 구성 요소(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 구동장치(60), 급수장치(14), 배수장치(70), 세제공급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급수,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수행하도록 세탁기(1)의 각종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드럼(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모터(61)를 제어하거나, 터브(20)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장치(14)의 급수밸브(14b)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터브(20)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세제공급장치(100)를 제어하거나, 터브(2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장치(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CPU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와,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세탁기(1)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20),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와 프로세서(210)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서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와 프로세서(210)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사이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세탁기(1)의 세탁 사이클(laundry cycle; 1000)은 세탁 행정(wash process; 1010), 헹굼 행정(1020) 및 탈수 행정(10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세탁 행정(1010), 헹굼 행정(1020) 및 탈수 행정(1030)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세탁 행정(1010)에 의하여, 세탁물은 세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의 화학적 작용 및/또는 낙하 등의 기계적 작용에 의하여 세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세탁 행정(1010)은 세탁물의 양을 측정하는 세탁물 측정(1011)과, 터브(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1012)와, 드럼(30)을 저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척하는 세척(1013)과, 터브(20)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배수(1014)와, 드럼(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중간 탈수(101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1013)을 위하여, 제어부(200)는 구동모터(6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장치(60)를 제어할 수 있다. 드럼(30)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은 드럼(3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며, 낙하에 의하여 세탁물이 세척될 수 있다.
중간 탈수(1015)를 위하여, 제어부(200)는 구동모터(61)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장치(60)를 제어할 수 있다. 드럼(30)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드럼(30)에 담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되고,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중간 탈수(1015) 중에 드럼(30)의 회전 속도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구동모터(61)를 제1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장치(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61)가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구동모터(61)의 구동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구동모터(61)의 회전 속도가 제2 회전 속도로 증가하도록 구동모터(61)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모터(61)가 제1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제어부(200)는 구동모터(61)의 구동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구동모터(61)의 회전 속도가 제3 회전 속도로 증가하도록 구동모터(61)를 제어하거나 또는 구동모터(61)의 회전 속도가 제2 회전 속도로 감소하도록 구동모터(61)를 제어할 수 있다.
헹굼 행정(1020)에 의하여, 세탁물은 헹궈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물에 남겨진 세제 또는 이물질이 물에 의하여 씻겨질 수 있다.
헹굼 행정(1020)은 터브(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1021)와, 드럼(30)을 구동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1022)과, 터브(20)에 담긴 물을 배출하는 배수(1023)와, 드럼(30)을 구동하여 세탁물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중간 탈수(1024)를 포함할 수 있다.
헹굼 행정(1020)의 급수(1021), 배수(1023) 및 중간 탈수(1024)는 각각 세탁 행정(1010)의 급수(1012), 배수(1014) 및 중간 탈수(1015)와 동일할 수 있다. 헹굼 행정(1020) 중에 급수(1021), 헹굼(1022), 배수(1023) 및 중간 탈수(1024)는 한 차례 또는 여러 차례 수행될 수 있다.
탈수 행정(1030)에 의하여, 세탁물이 탈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30)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물이 세탁물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물은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탈수 행정(1030)은 드럼(30)을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최종 탈수(1031)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탈수(1031)로 인하여 헹굼 행정(1020)의 마지막 중간 탈수(1024)는 생략될 수 있다.
최종 탈수(1031)를 위하여, 제어부(200)는 구동모터(61)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장치(60)를 제어할 수 있다. 드럼(30)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드럼(30)에 담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되고,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61)의 회전 속도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최종 탈수(1031)에 의하여 세탁기(1)의 동작이 종료되므로, 최종 탈수(1031)의 수행 시간은 중간 탈수(1015, 1024)의 수행 시간보다 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탁 행정(1010) 중 급수(1012) 단계에서 세제공급장치(100)에 수용된 세제가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세탁 행정(1010) 중 급수(1012) 단계에서 펌프모터(171)를 구동함으로써 수용부(101)에 수용된 세제가 터브(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제1 펌프모터(171a)를 구동함으로써 제1 수용부(101a)에 수용된 세제가 터브(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헹굼 행정(1020) 중 급수(1021) 단계에서 세제공급장치(100)에 수용된 세제(유연제)가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헹굼 행정(1020) 중 급수(1021) 단계에서 펌프모터(171)를 구동함으로써 수용부(101)에 수용된 세제(유연제)가 터브(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제2 펌프모터(171b)를 구동함으로써 제2 수용부(101b)에 수용된 세제(유연제)가 터브(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세제공급장치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펌프모터(171)의 부하에 기초하여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1100).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은, 펌프모터(171)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은,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한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 또는 펌프모터(171)의 세척이 필요한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세탁 행정(1010) 중 급수(1012) 단계에서 제1 펌프모터(171a)를 구동하고, 제1 펌프모터(171a)의 구동 중에 제1 펌프모터(171a)의 부하에 기초하여 제1 수용부(101a)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헹굼 행정(1020) 중 급수(1021) 단계에서 제2 펌프모터(171b)를 구동하고, 제2 펌프모터(171b)의 구동 중에 제2 펌프모터(171b)의 부하에 기초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펌프모터(171)의 동작 중 소정의 시간 동안 펌프모터(171)의 부하가 미리 설정된 부하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220)는 펌프모터(171)의 동작 중 소정의 시간 동안 펌프모터(171)의 부하가 미리 설정된 부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펌프모터(171)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 값을 측정하는 전압센서(175)로부터 펌프모터(171)의 구동 전압값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펌프모터(171)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펌프모터(171)의 동작 중 소정의 시간 동안 펌프모터(171)의 구동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 값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세탁 행정(1010) 중 급수(1012) 단계에서 제1 펌프모터(171a)를 구동하고, 제1 펌프모터(171a)의 구동 중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펌프모터(171a)의 구동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제1 수용부(101a)(또는 제1 펌프모터(171a))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헹굼 행정(1020) 중 급수(1021) 단계에서 제2 펌프모터(171b)를 구동하고, 제2 펌프모터(171b)의 구동 중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펌프모터(171b)의 구동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또는 제2 펌프모터(171b))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세탁행정(1010) 및/또는 헹굼행정(1020) 중에 펌프모터(171)를 구동하고, 펌프모터(171)의 구동 전압값에 기초하여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1200).
즉, 제어부(200)는 세탁행정(1010) 및/또는 헹굼행정(1020) 중에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세탁 사이클(1000)이 종료된 이후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도 있고,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곧바로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세탁 행정(1010) 중에 제1 수용부(101a)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제1 수용부(101a)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헹굼 행정(1020) 중에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는, 시각적 인디케이터와 청각적 인디케이터와 같은 다양한 감각적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는 복수의 수용부(101) 중에서 세척이 필요한 수용부(101)가 어떤 수용부(101)에 해당하는지, 해당 수용부(101)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수용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K1)를 제공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6b)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인디케이터(K1)는 시각적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시각적 인디케이터(K1)를 표시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16b)(예: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문구, 도형, 텍스트, 아이콘 등을 포함하는 스크린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출력 인터페이스(16b)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인디케이터는 청각적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청각적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16b)(예: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청각적 인디케이터는 음성, 경고음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용부(101)의 청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8은 수용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통신 모듈(1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기기(3)에게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6c)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기기(3)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등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통신 모듈(16c)을 통해 사용자 기기로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서버(2)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3)에게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탁기(1)와 사용자 기기(3) 사이의 근거리 통신이 수립된 경우, 세탁기(1)는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기기(3)에게 직접적으로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3)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시각적 인디케이터(K1)를 출력하거나, 청각적 인디케이터(또는 촉각적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촉각적 인디케이터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3)를 통해 세탁기(1)의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다른 가전 기기에게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6c)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가전 기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주 확인할 수 있는 곳에 배치된 냉장고,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가전 기기가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예: 디스플레이, 스피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다른 가전 기기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제공급장치의 수용부(또는 펌프모터)를 어느 시점에 청소하여야 할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았다.
반면에,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제공급장치(100)의 수용부(101)(또는 펌프모터(171))를 청소하는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수용부(101) 내의 세제가 고형화 되기 이전에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세제공급장치(100)의 수용부(101)(또는 펌프모터(171))를 청소하는 시점을 알았더라도, 수용부(101)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수용부(101) 내에 저장된 세제를 전부 덜어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수용부(101)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수용부(101) 내를 비우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6의 단계 1200은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세제감지센서(173)를 통해 수용부(101)에 저장된 액체의 양이 임계값보다 적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용부(101)에 저장된 액체를 감지하도록 세제감지센서(17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에 응답하여 세제감지센서(17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세제감지센서(173)가 전극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세제감지센서(173)를 동작시키는 것은 전극센서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세탁기(1)의 전원 버튼이 가압된 것에 응답하여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면 세제감지센서(173)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하우징(140)으로부터 세제용기(150)가 인출되었다가 장착된 것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세제감지센서(17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용기(150)의 인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세탁 사이클(1000)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세제감지센서(173)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이 감지되고 세제감지센서(173)에 의해 수용부(101) 내의 액체 감지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함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1300).
세척이 가능함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는 수용부(101)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함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함을 알리는 인디케이터와 구별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은 세척이 필요함과 동시에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은 수용부(101)에 액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을 하려면 수용부(101)를 비워야 하지만, 현재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세척 필요 조건과 세척 가능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세척이 가능함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함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는, 시각적 인디케이터와 청각적 인디케이터와 같은 다양한 감각적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는 복수의 수용부(101) 중에서 세척이 필요한 수용부(101)가 어떤 수용부(101)에 해당하는지, 해당 수용부(101)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는 수용부(101)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수용부(101)의 세척이 필요하고 가능한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수용부의 세척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터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K2)를 제공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6b)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인디케이터(K2)는 시각적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시각적 인디케이터(K2)를 표시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16b)(예: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문구, 도형, 텍스트, 아이콘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시각적 인디케이터(K2)는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인디케이터(K2)는 "수용부의 세척을 진행하시려면 'OK'를 선택해주세요"와 같은 문구일 수 있다. 즉, 시각적 인디케이터(K2)는 세척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16a)의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시각적 인디케이터(K2)를 확인한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조작함으로써 수용부(101)의 세척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인디케이터(K2)가 출력 인터페이스(16b)에 출력된 상태에서 입력 인터페이스(16a)에 포함된 소정의 버튼이 가압되면, 출력 인터페이스(16b) 상에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수용부의 세척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터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통신 모듈(1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기기에게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16c)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등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통신 모듈(16c)을 통해 사용자 기기로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이 감지되고 수용부(101)가 빈 것에 기초하여 서버(2)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3)에게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탁기(1)와 사용자 기기(3) 사이의 근거리 통신이 수립된 경우, 세탁기(1)는 수용부(101)의 세척 조건이 감지되고 수용부(101)가 빈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기기(3)에게 직접적으로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3)는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시각적 인디케이터(K2)를 출력하거나, 청각적 인디케이터(또는 촉각적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촉각적 인디케이터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3)를 통해 세탁기(1)의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101)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수용부(101)에 물을 채울 필요가 있다.
수용부(101)의 청소 행정은, 수용부(101)에 물이 찬 상태에서 펌프모터(171)를 동작시키는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이 찬 상태에서 펌프모터(171)를 동작시키는 경우, 물이 세제공급장치(100)의 내부를 세척하며 고형화된 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은 수용부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수용부 세척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스크린(B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린(B1)은 수용부(101)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K2)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수용부(101) 중에서 세척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01)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스크린(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출력 인터페이스(16b)에서 제1 스크린(B1)이 출력되는 중에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통해 수용부 세척 의도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기초하여 제2 스크린(B2)을 제공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스크린(B2)은 복수의 수용부(101)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자(예: 명칭 또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크린(B2)은 제1 수용부(101a)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 제2 수용부(101b)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 및/또는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 모두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복수의 수용부(101) 중에서 세척 조건이 감지된 수용부(101)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를 디폴트 엘리먼트로 설정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통해 제1 스크린(B1)이 제공되기 이전에 제1 수용부(101a)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경우, 제2 스크린(B2)에서 제1 수용부(101a)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스크린(B2)에서 제1 수용부(101a)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가 디폴트 엘리먼트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확인 버튼만 선택한다면 세척의 대상이 되는 수용부(101)를 제1 수용부(101a)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통해 제1 스크린(B1)이 제공되기 이전에 제2 수용부(101b)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경우, 제2 스크린(B2)에서 제2 수용부(101b)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가 디폴트 엘리먼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통해 제1 스크린(B1)이 제공되기 이전에 제1 수용부(101a) 및 제2 수용부(101b)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경우, 제2 스크린(B2)에서 제1 수용부(101a) 및 제2 수용부(101b)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가 디폴트 엘리먼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복수의 수용부(101) 중에서 세척 조건이 감지되고,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수용부(101)를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를 디폴트 엘리먼트로 설정할 수도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세척의 대상이 되는 수용부(101)로의 급수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3 스크린(B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크린(B3)을 본 사용자는 세척의 대상이 되는 수용부(101)에게 급수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가 수용부(10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제3 스크린(B3)에서 사용자에게 급수를 요청하는 엘리먼트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출력 인터페이스(16b)에서 제2 스크린(B2)이 출력되는 중에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통해 세척의 대상이 되는 수용부(101)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기초하여 제3 스크린(B3)을 제공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출력 인터페이스(16b)에서 제3 스크린(B3)이 출력되는 중에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통해 선택된 수용부(101)의 세척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수용부(101)의 세척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수용부(101)의 세척 진행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제4 스크린(B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행정이 시작된 경우, 제4 스크린(B4)을 통해 사용자는 세척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스크린(B4)은 수용부 세척행정의 잔여 시간, 현재 행정 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101)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수용부(101)의 세척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세척의 대상이 되는 수용부(101)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용부(101)의 세척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1)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101)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통신 모듈(16c)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 수용부(101)의 세척을 요청하는 명령을 세탁기(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용부(101)의 세척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1400).
수용부(101)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이하 '수용부 세척행정')은 펌프모터(171)를 구동하는 펌프행정, 급수장치(14)를 구동하는 급수행정, 드럼(30)을 교반하는 교반행정, 배수장치(70)를 구동하는 배수행정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며 배수장치(70)를 구동하는 탈수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행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급수 행정과 펌프 행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용부 세척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펌프모터(171), 급수장치(14), 구동장치(60) 및 배수장치(70)를 제어할 수 있다.
펌프행정은 펌프모터(171)를 구동함으로써 세제공급장치(100) 내부의 펌프모터(171)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이다.
펌프행정은 제1 펌프모터(171a)를 구동하는 제1 펌프행정, 제2 펌프모터(171b)를 구동하는 제2 펌프행정 및 제1 펌프모터(171a)와 제2 펌프모터(171b)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3 펌프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펌프행정 중에, 제어부(200)는 제1 펌프모터(171a)와 제2 펌프모터(171b)를 모두 구동할 수 있고, 제1 펌프모터(171a)만을 구동할 수도 있고, 제2 펌프모터(171b)만을 구동할 수도 있다.,
급수행정은 터브(20) 내부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세제공급장치(100)에서 제거된 세제가 터브(20) 내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행정이다.
제어부(200)는 급수행정 시 터브(20)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장치(14)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기(1)는 터브(2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행정은 세제공급장치(100)에서 제거된 세제가 터브(20) 저면으로 가라 앉은 것을 방지하기 위한 행정이다. 즉, 교반행정은 급수행정에서 터브(20) 내부로 급수된 물과 펌프행정에서 터브(20) 내부로 제거된 세제를 혼합하기 위한 행정이다.
제어부(200)는 교반행정 시 드럼(30)을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교반행정 시 드럼(30)을 시계 방향으로 n번(n은 자연수) 회전시키고, 반시계 방향으로 n번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행정이 종료된 후 드럼(30)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배수행정은 급수행정에서 터브(20) 내부로 급수된 물과 펌프행정에서 터브(20) 내부로 제거된 세제가 혼합된 액체를 세탁기(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행정이다.
탈수행정은 배수행정 이후 터브(20) 내부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행정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펌프행정, 급수행정, 교반행정, 배수행정 및 탈수행정을 통해 터브(20) 내부를 오염시키지 않고 세제공급장치(100)를 세척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용부 세척행정이 시작된 것에 응답하여 펌프행정을 시작하고, 세제감지센서(173)에 의해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펌프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수용부 세척행정이 시작되면 수용부(101) 내의 물이 다 없어질 때까지 펌프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수용부 세척행정이 시작된 후 펌프행정이 종료되기 이전에 급수행정과 교반행정 각각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세제공급장치(100)로부터 고형화된 세제가 제거되는 중에 터브(2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펌프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급수행정, 배수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각각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터브(20) 내부를 반복적으로 세척함으로써 터브(2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수용부 세척행정 이후 터브(20) 내부가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 세척행정은 제1 수용부(101a)만을 세척하는 제1 세척행정과, 제2 수용부(101b)만을 세척하는 제2 세척행정과,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 모두를 세척하는 제3 세척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가 수용부(10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수용부 세척행정은 수용부(101)에 물을 공급하는 수용부(101) 급수행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용부(101) 급수행정은 펌프행정에 대해 선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3 세척행정을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통해 제3 세척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3 세척행정(2000)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3 펌프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2100). 즉, 제어부(200)는 제3 세척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1 펌프모터(171a)와 제2 펌프모터(171b)를 모두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3 펌프행정을 수행하는 중에, 세제감지센서(17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3 펌프행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1 수용부(101a)에서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2410의 예)에 기초하여 제1 펌프모터(171a)를 정지시킬 수 있다(2415).
마찬가지로, 제어부(200)는 제3 펌프행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2 수용부(101b)에서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2420의 예)에 기초하여 제2 펌프모터(171b)를 정지시킬 수 있다(2425).
즉, 제어부(200)는 제1 수용부(101a)에 수용된 물이 제2 수용부(101b)에 수용된 물보다 먼저 없어진다면 소정의 구간 동안은 제2 펌프모터(171b)만을 구동할 수 있으며, 제2 수용부(101b)에 수용된 물이 제1 수용부(101a)에 수용된 물보다 먼저 없어진다면 소정의 구간 동안은 제1 펌프모터(171a)만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1 펌프모터(171a)와 제2 펌프모터(171b)를 모두 정지시키기 전에 급수행정과 교반행정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2200, 23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3 펌프행정 중에 제1 펌프모터(171a)는 지속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제2 펌프모터(171b)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펌프모터(171a)와 제2 펌프모터(171b)를 동시에 동작시킨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펌프모터(171a)만을 동작시키고,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은 제1 펌프모터(171a)와 제2 펌프모터(171b)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급수장치(14)를 동작시키는 중에 제2 펌프모터(171b)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제1 펌프모터(171a), 제2 펌프모터(171b) 및 급수밸브(14b)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 모두에서 액체가 감지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2400의 예) 제3 펌프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2500).
제어부(200)는 제3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 배수행정 및 탈수행정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2600, 2700, 2800, 2900).
일 예로, 제어부(200)는 제3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제3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을 반복적으로 적어도 2회 수행할 수 있다.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이 반복됨에 따라, 터브(20) 내부가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마지막 배수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탈수행정을 수행한 후 배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2800, 2900).
본 개시에 따르면 터브(2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하나의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제1 세척행정을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통해 제1 세척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세척행정(3000)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1 펌프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3100). 즉, 제어부(200)는 제1 세척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1 펌프모터(171a)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펌프행정을 수행하는 중에, 세제감지센서(17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펌프행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1 수용부(101a)에서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3400의 예)에 기초하여 제1 펌프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3500).
즉, 제어부(200)는 제1 펌프모터(171a)를 구동하는 중에 제1 수용부(101a)에서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3400의 예)에 기초하여 제1 펌프모터(171a)를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1 펌프모터(171)를 정지시키기 전에 급수행정과 교반행정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3200, 33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펌프행정 중에 제1 펌프모터(171a)를 지속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 배수행정 및 탈수행정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3600, 3700, 3800, 3900).
일 예로, 제어부(200)는 제1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제1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을 반복적으로 적어도 2회 수행할 수 있다.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이 반복됨에 따라, 터브(20) 내부가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마지막 배수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탈수행정을 수행한 후 배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3800, 3900).
본 개시에 따르면 터브(2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을 참조하여 제2 세척행정을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통해 제2 세척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세척행정(4000)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2 펌프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4100). 즉, 제어부(200)는 제2 세척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2 펌프모터(171b)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펌프행정을 수행하는 중에, 세제감지센서(17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펌프행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2 수용부(101b)에서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4400의 예)에 기초하여 제2 펌프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4500).
즉, 제어부(200)는 제2 펌프모터(171b)를 구동하는 중에 제2 수용부(101b)에서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4400의 예)에 기초하여 제2 펌프모터(171b)를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2 펌프모터(171)를 정지시키기 전에 급수행정과 교반행정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4200, 43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2 펌프행정 중에 제2 펌프모터(171b)를 지속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 배수행정 및 탈수행정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할 수 있다(4600, 4700, 4800, 4900).
일 예로, 제어부(200)는 제2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제2 펌프행정을 종료한 이후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을 반복적으로 적어도 2회 수행할 수 있다.
급수행정과 배수행정이 반복됨에 따라, 터브(20) 내부가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마지막 배수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탈수행정을 수행한 후 배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4800, 4900).
본 개시에 따르면 터브(2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 각각은 서로 상이한 세제를 저장하는 용도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101a)는 세탁행정(1010)에서 터브(20) 내로 유입되는 세제(세탁세제)를 저장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제2 수용부(101b)는 헹굼행정(1020)에서 터브(20) 내로 유입되는 세제(유연제)를 저장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101a)는 세제함에 해당하고 제2 수용부(101b)는 유연제함에 해당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세탁행정(1010)에서 세제함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20) 내부로 제공하고 헹굼행정(1020)에서 유연제함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20) 내부로 제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제함에 대응되는 수용부에 세제(세탁세제)만을 투입하여야 하고, 유연제함에 대응되는 수용부에 세제(유연제)만을 투입하여야 했다.
그러나, 세탁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만큼, 수용부의 용도 변경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수용부(101)의 용도 변경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용부(101a)는 세제함 용도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수용부(101b)는 유연제함 용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는 세제함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220)는 수용부(101)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수용부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가 수용부(101)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한 과정(5000)을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를 세제함 또는 유연제함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를 세제함 또는 유연제함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5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 변경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5200).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가 세제함에서 유연제함으로 또는 유연제함에서 세제함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가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을 요청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가 세제함에서 유연제함으로 설정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을 요청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가 유연제함에서 세제함으로 설정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을 요청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가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을 요청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5300).
이후, 제어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5400).
제2 수용부(101b)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 제2 수용부(101b)에 잔여 중인 세탁세제 또는 유연제가 새롭게 투입될 유연제 또는 세탁세제와 결합되며 고착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제2 수용부(101b)를 한번 청소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 제2 수용부(101b)를 청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용도가 변경된 제2 수용부(101b) 내에서 세제가 고착화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수용부의 용도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수용부(101b)의 용도 변경 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스크린(C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C1)은 제2 수용부(101b)의 용도 변경 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출력 인터페이스(16b)에서 스크린(C1)이 출력되는 중에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 변경 의사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기초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를 선택하기 위한 스크린(C2)을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를 선택하기 위한 스크린(C2)은 세제함 또는 유연제함을 선택하기 위한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출력 인터페이스(16b)에서 스크린(C2)이 출력되는 중에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를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을 요청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수용부(101b)로의 급수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크린(C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C3)을 본 사용자는 제2 수용부(101b)에 급수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가 수용부(10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C3)에서 사용자에게 급수를 요청하는 엘리먼트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공지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출력 인터페이스(16b)에서 스크린(C3)이 출력되는 중에, 입력 인터페이스(16a)를 통해, 제2 수용부(101b)의 세척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의 세척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수용부(101b)의 세척 진행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스크린(C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기기(3)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00)는 통신 모듈(16c)을 통해 사용자 기기(3)로부터 제2 수용부(101b)의 용도 변경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수용부(101b)의 용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모듈(16c)을 통해 사용자 기기(3)로부터 제2 수용부(101b)의 용도 변경 명령을 수신한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16b)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숭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세제공급장치(100)가 수용부(10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통신 모듈(16c)을 통해 사용자 기기(3)로부터 제2 수용부(101b)의 용도 변경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수용부(101b)의 세척행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수용부(101)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수용부(101)의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세제가 고착화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1)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수용부(101)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90: 센서부 91: 전류 센서
92: 전압 센서 93: 전력 센서
94: 위치 센서 140: 구동부
144: 모터 150: 급수부
152: 급수밸브 160: 배수부
162: 배수 펌프 190: 제어부
191: 프로세서 192: 메모리
150: 구동 회로 230: 인버터 회로

Claims (20)

  1.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드럼;
    상기 터브 내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모터, 상기 펌프모터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상기 터브 내부로 가이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펌프모터의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중에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터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제1 펌프모터와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제2 펌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 중에 상기 제1 펌프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헹굼행정 중에 상기 제2 펌프모터를 구동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고,
    상기 제2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터브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펌프모터, 상기 급수장치,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배수장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은,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하는 펌프행정;
    상기 급수장치를 구동하는 급수행정;
    상기 드럼을 교반하는 교반행정;
    상기 배수장치를 구동하는 배수행정;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배수장치를 구동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이 시작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펌프행정을 시작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행정을 종료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이 시작된 후 상기 펌프행정이 종료되기 이전에 상기 급수행정과 상기 교반행정 각각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하는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행정, 상기 배수행정 및 상기 탈수행정 각각을 적어도 일 회 수행하는 세탁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터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제1 펌프모터와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제2 펌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은 상기 제1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 상기 제2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모두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행정은 상기 제1 펌프모터를 구동하는 제1 펌프행정, 상기 제2 펌프모터를 구동하는 제2 펌프행정 및 상기 제1 펌프모터와 상기 제2 펌프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3 펌프행정을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용도를 세제함 또는 유연제함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수용부의 용도가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
  16.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모터, 상기 펌프모터에 의해 펌핑된 액체를 터브 내부로 가이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모터의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고;
    상기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를 세척하기 위한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모터의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은,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중에 상기 펌프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펌프모터의 구동 전압값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의 세척 조건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220159662A 2022-07-20 2022-11-24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40012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5292 WO2024019267A1 (ko) 2022-07-20 2023-04-19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8/204,067 US20240026593A1 (en) 2022-07-20 2023-05-31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89887 2022-07-20
KR1020220089887 2022-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262A true KR20240012262A (ko) 2024-01-29

Family

ID=8971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662A KR20240012262A (ko) 2022-07-20 2022-11-24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2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5277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550065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10017892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412822B9 (en) Drum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tub thereof
JP2018000856A (ja) 洗濯機
JP2022164790A (ja) 洗濯機用管理装置
JP2008055016A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20004050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240012262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240026593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571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50567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178057A1 (ja) 洗浄方法、洗濯機
CN114008261B (zh) 控制洗衣机的方法和洗衣机
KR20240075633A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의 관리방법
US20240052547A1 (en) Filter apparatus
KR20240021088A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KR20240021087A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US20240165544A1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US20240052548A1 (en)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40052545A1 (en)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40021089A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KR10195930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40076644A (ko) 세탁기
US20240052546A1 (en)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