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597A -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 Google Patents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597A
KR20240020597A KR1020220098849A KR20220098849A KR20240020597A KR 20240020597 A KR20240020597 A KR 20240020597A KR 1020220098849 A KR1020220098849 A KR 1020220098849A KR 20220098849 A KR20220098849 A KR 20220098849A KR 20240020597 A KR20240020597 A KR 20240020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linear
golf club
protrusion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선
Original Assignee
임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선 filed Critical 임창선
Priority to KR102022009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597A/ko
Publication of KR20240020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4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handles, e.g. sleeves or ribb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그립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 그립은 속이 빈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그립 몸체(11); 및 그립 몸체(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A Golf Club Grip with a Linearly arranged Protrusions}
본 발명은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그립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외부 표면에 선열 배열 돌기가 형성되어 스윙 과정에서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는 선열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그립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의 손잡이 기능을 하는 골프 클럽 그립은 견고하게 손에 잡힐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다. 또한 그립은 스윙 과정에서 미끄러짐 또는 이와 유사한 원하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되는 소재 또는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그립은 그립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필요에 따라 표면에 다양한 패턴이 만들어진다. 특허공개번호 10-2018-0136392는 사용자의 파지형상이 전사된 그립 및 그 그립제조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73604는 투명골프채그립에 지압돌기를 장착하여 손바닥의 경혈자극 효과와 미끄럼 방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압돌기가 장착된 골프채 고무그립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6745는 투명골프채 그립에 돌기를 이용하여 손바닥의 경혈자극 효과와 미끄럼 방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직선형으로 양각과 음각이 형성된 투명골프채 그립에 대하여 개시한다. 견고한 그립 또는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그립의 소재가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고 이와 함께 그립이 그와 같은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형태의 그립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10-2018-0136392(주식회사 신풍이엠에스, 2018.12.24. 공개) 사용자의 파지형상이 전사된 골프그립 및 그 그립제조장치 선행기술2: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73604(서윤종, 2005.01.21. 공고) 지압돌기가 장착된 골프채 고무그립 선행기술3: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6745(대한민국, 2006.01.24. 공고) 직선형으로 양각과 음각이 형성된 투명골프채 그립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 클럽의 외부 표면에 선형 배열 돌기가 형성되어 스윙 과정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견고한 그립감이 형성되도록 하는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골프 그립은 속이 빈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그립 몸체; 및 그립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돌기 배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형 돌기 배열은 그립 몸체의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립 몸체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소재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형 돌기 배열의 각각의 돌기는 반구형, 돔형 또는 다면체형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은 그립의 외부 표면에 일정한 형상의 돌기기 형성되어 스윙 과정에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견고한 그립감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그립은 퍼터 클럽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골프 클럽을 위한 그립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그립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그립의 기하학적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립 그립이 다양한 종류의 골프 클럽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그립의 돌기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은 속이 빈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그립 몸체(11); 및 그립 몸체(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을 포함한다.
그립 몸체(11)는 클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퍼팅 클럽, 드라이버 클럽, 우드 클럽, 아이언 클럽 또는 유틸 클럽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립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닫힌 끝(111) 및 열린 입구(112)를 포함한다. 그립 몸체(11)는 닫힌 끝(111)으로 열린 입구(112)로 갈수록 점차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립 몸체(11)에 적어도 하나의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은 선형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돌기(13_1 내지 14_M)를 포함한다. 그립 몸체(11)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실린더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되면서 위쪽 면, 아래쪽 면 및 양쪽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터 클럽의 경우 그립 몸체(11)의 단면은 각각의 변이 곡선 형상이 되면서 위쪽 변이 아래쪽 변에 비하여 큰 길이를 가지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역 사다리꼴 형상이 될 수 있다.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은 위쪽 면에 닫힌 끝(111)으로부터 열린 입구(112)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은 위쪽 면과 아래쪽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은 위쪽 면, 아래쪽 면 및 양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N)은 서로 분리된 다수 개의 돌기(13_1 내지 14_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클럽 그립은 퍼터 그립이 될 수 있고,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은 위쪽 면과 아래쪽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쪽 면에 형성된 제1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과 아래쪽 면(L)에 형성된 제2 선형 돌기 배열(14_1 내지 14_M)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개수의 돌기(13_1 내지 14_M)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돌기(13_1 내지 14_M)가 위쪽 면과 아래쪽 면(L)에서 상하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에서 다수 개의 돌기(13_1 내지 14_M)는 균일한 간격으로 서로 분리되어 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에 포함되는 돌기(13_1 내지 13_N)는 제2 선형 돌기(14_1 내지 14_M)에 포함되는 돌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면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선형 돌기(13_1 내지 13_N) 사이의 분리 간격은 제2 선형 돌기(14_1 내지 14_M) 사이의 분리 간격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몸체(11)의 위쪽 면에 형성되는 제1 선형 돌기(13_1 내지 13_N)는 그립 몸체(11)의 아래쪽 면에 형성되는 제2 선형 돌기(14_1 내지 14_M)에 비하여 큰 부피를 가질 수 있고, 전체 개수가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제1 선형 돌기(13_1 내지 13_N)의 분리 간격은 서로 다른 제2 선형 돌기(14_1 내지 14_M)의 분리 간격과 동일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제1 선형 돌기(13_1 내지 13_N)와 제2 선형 돌기(14_1 내지 14_M)가 위쪽 면과 아래쪽 면에서 상하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에 의하여 클럽 또는 퍼터 클럽을 잡은 상태에서 안정감이 생기면서 미끄러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그립의 기하학적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골프 그립 또는 퍼터 골프 그립은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위쪽 면(113);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는 아래쪽 면(114); 및 양쪽 측면(115, 116)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위쪽 면과 아래쪽 면에 각각 선형 돌기(13_1, 13_2, 14_1, 14_2)를 포함하는 선형 돌기 배열이 형성될 수 있다. 선형 돌기(13_1 내지 14_2)는 전체적으로 반구형, 볼록 렌즈 형상, 돔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고, 제1 선형 돌기(13_1 내지 13_2)와 제2 선형 돌기(14_1, 14_2)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피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선형 돌기(13_1, 13_2) 사이의 분리 간격은 제2 선형 돌기(14_1, 14_2) 사이의 분리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선형 돌기(13_1, 13_2) 또는 제2 선형 돌기(14_1, 14_2) 사이의 분리 간격(L)은 전체 그립의 길이의 1/15 내지 1/40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선형 돌기(13_1, 13_2)의 돌출 높이(H)는 제1 선형 돌기(13_1 내지 13_2) 또는 제2 선형 돌기(14_1, 14_2)의 분리 간격(L)의 1/20 내지 1/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 간격(L) 또는 돌출 높이(H)에 의하여 그립감이 안정되면서 미끄러짐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선형 돌기(13_1 내지 14_2)는 퍼터 클럽을 위한 그립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클럽을 위한 그립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립 그립이 다양한 종류의 골프 클럽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퍼터 클럽이 아닌 일반 클럽의 경우 그립 몸체(31,41)는 전체적으로 속인 빈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닫힌 끝(311, 411)으로 열린 입구(312, 412)로 가면서 점차로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닫힌 끝(311, 411)과 열린 입구(312, 412)는 전체적으로 원형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의 위쪽에 도시된 것처럼, 그립 몸체(31)의 외부 표면이 적어도 하나의 평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라고 할지라도 내부 단면은 원형이 될 수 있다. 외부 표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3개 또는 4개의 선형 돌기 배열(33_1 내지 33_N; 34_1 내지 34_M; 35_1 내지 35_P)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선형 돌기 배열((33_1 내지 33_N; 34_1 내지 34_M; 35_1 내지 35_P)이 형성되는 경우 위쪽 면, 아래쪽 면 및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립 몸체(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리고 둘레 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선형 돌기(33_1 내지 35_P)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개의 선형 돌기 배열(33_1 내지 33_N; 34_1 내지 34_M; 35_1 내지 35_P)이 배치되는 경우 위쪽 면에 제1 선형 돌기 배열(33_1 내지 33_N)이 형성되고, 그립 몸체(31)의 둘레 면을 따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120도 만큼 이동된 위치에서 닫힌 끝(311)으로부터 열린 끝(312)을 향하여 제2 및 제3 선형 돌기 배열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4개의 선형 돌기 배열(33_1 내지 33_N; 34_1 내지 34_M; 35_1 내지 35_P)이 형성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위쪽 면, 아래쪽 면, 양쪽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립 몸체(31)의 둘레 면을 따라 90도씩 이동된 위치에서 선형으로 선형 돌기(33_1 내지 35_P)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 내지 8개의 선형 돌기 배열이 그립 몸체(31, 41)의 둘레 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지만 선형 돌기 배열이 5개를 넘는 경우 그립 안정감이 감소되면서 실질적으로 미끄러짐 효과가 감소될 수 있고, 그러므로 선형 돌기 배열의 개수는 2 내지 4개가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선형 돌기 배열(43_1 내지 43_N; 45_M)이 그립 몸체(41)의 위쪽 면 아래쪽 면에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립 몸체(41)의 위쪽 면에 클럽을 잡는 위치 표지(414, 415)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선형 돌기 배열(43_1 내지 43_N)은 그립 몸체(41)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로 배치된 한 쌍의 위치 표지(414, 415)를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그립 몸체(41)의 위쪽 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2 선형 돌기 배열(45_M)은 제1 선형 돌기 배열(43_1 내지 43_N)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 또는 그립 몸체(41)의 둘레 면을 따라 180도가 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제1, 2 선형 돌기 배열(43_1 내지 43_N; 45_M)에 포함되는 각각의 선형 돌기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그립의 돌기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형 돌기(13, 13a)는 반구형, 반구형 유사 형상, 볼록 렌즈 형상, 돔 형상, 다면체 뿔, 다면체 뿔대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형 돌기(13)가 반구형이 되는 경우 높이(H1)는 직경(D1)의 1/2가 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반구형 유사 형상이 되는 경우 높이(H1)>(1/2)*직경(D1)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립 안정감 및 미끄러짐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선형 돌기(13a)가 다면체 뿔대 형상이 되는 경우 정사면체 뿔대, 정오면체 뿔대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다면체 뿔대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바닥 면이 한 변의 길이(D3)가 뿔대 높이(H2)에 비하여 크고, 위쪽 면의 한 변이 길이(D2)는 뿔대의 높이(H2)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선형 돌기(13, 13a)가 다면체 뿔이 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형 돌기(13, 13a)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그립 몸체 13_1 내지 14_M: 선형 돌기 배열

Claims (4)

  1. 골프 클럽 그립에 있어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그립 몸체(11); 및
    그립 몸체(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을 포함하는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은 그립 몸체(11)의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립 몸체(11)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소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선형 돌기 배열(13_1 내지 13_N; 14_1 내지 14_M)의 각각의 돌기는 반구형, 돔형 또는 다면체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KR1020220098849A 2022-08-08 2022-08-08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KR20240020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849A KR20240020597A (ko) 2022-08-08 2022-08-08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849A KR20240020597A (ko) 2022-08-08 2022-08-08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597A true KR20240020597A (ko) 2024-02-15

Family

ID=8989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849A KR20240020597A (ko) 2022-08-08 2022-08-08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59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604Y1 (ko) 2004-06-22 2005-01-21 대한민국 지압돌기가 장착된 골프채 고무그립
KR200406745Y1 (ko) 2005-03-23 2006-01-24 대한민국 직선형으로 양각과 음각이 형성된 투명골프채 그립
KR20180136392A (ko) 2017-06-14 2018-12-24 김일희 사용자의 파지형상이 전사된 골프그립 및 그 그립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604Y1 (ko) 2004-06-22 2005-01-21 대한민국 지압돌기가 장착된 골프채 고무그립
KR200406745Y1 (ko) 2005-03-23 2006-01-24 대한민국 직선형으로 양각과 음각이 형성된 투명골프채 그립
KR20180136392A (ko) 2017-06-14 2018-12-24 김일희 사용자의 파지형상이 전사된 골프그립 및 그 그립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1533A (en) Screwdriver with enhanced grip handle
US20070082748A1 (en) Micropattern grip surface
USD953452S1 (en) Reformer exercise apparatus
CN102581827B (zh) 具有部分地形成纹理结构的表面的柔性握把及其制造方法
CA1140084A (en) Carrying handle
CA2436121A1 (en) Plastic bottle with champagne base
USD445831S1 (en) Bingo ball dauber cap
JP2003117026A (ja) 9個乃至12個のカバーパネルを有するバスケットボール
USD915204S1 (en) Bottle with cap
USD987003S1 (en) Kickboard
USD467803S1 (en) Cap
USD956564S1 (en) Perfume bottle
CA101070S (en) Putter head
KR20240020597A (ko) 선형 배열 돌기 구조의 골프 클럽 그립
USD1022527S1 (en) Mat
USD517308S1 (en) Bladder with a tethered top and hose
EP3275772B1 (en) Articles for holding or resting
CA100898S (en) Umbrella handle
USD950660S1 (en) Golf club grip
USD983919S1 (en) Inflatable towable raft
CA119975S (en) Steering wheel
JP3135523U (ja) 高強度で低空気抵抗のラケット
USD1010935S1 (en) Crown grip
USD1027071S1 (en) Training device
USD966856S1 (en) Hand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