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354A - 약제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354A
KR20240020354A KR1020220097968A KR20220097968A KR20240020354A KR 20240020354 A KR20240020354 A KR 20240020354A KR 1020220097968 A KR1020220097968 A KR 1020220097968A KR 20220097968 A KR20220097968 A KR 20220097968A KR 20240020354 A KR20240020354 A KR 2024002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nozzle
spray
uni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케이씨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케이씨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케이씨에이
Priority to KR1020220097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354A/ko
Publication of KR2024002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6Hand-operated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공급유닛의 동력 용량과 무관하게 액상의 약제를 원거리 또는 광역으로 분무해줄 수 있는 약제 분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약제가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약제를 이송호스 측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펌프를 가지는 약제 공급유닛; 및 상기 이송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호스로부터 가압 이송되는 약제를 분무하는 약제 분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 분무유닛은, 전방 토출구와 후방 흡입구를 연결하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전방 토출구로 공급하는 송풍팬; 및 상기 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호스로부터 가압 이송되는 약제를 상기 전방 토출구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약제 분무장치{SPRAYING APPARATUS OF A DISINFECTANT}
본 발명은 약제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탱크에 저장된 액상의 약제를 효과적으로 분무해 줄 수 있는 약제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농지나 가축을 키우기 위한 축사에는 내부 온도나 습도 및 작물의 성장이나 전염병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물이나 소독약 등의 약제를 주기적으로 뿌려주게 된다.
약제 분무장치는 약제의 살포량이나 해당 분무장치가 담당하여야 하는 영역의 면적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짊어지거나 등에 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약제 분무장치이다.
휴대용 약제 분무장치는 또한 수동식 및 자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수동식 약제 분무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분무질을 하면서 약제를 살포하는 장치이고, 자동식 약제 분무장치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멜빵이 설치되는 탱크와, 탱크의 하부에 모터와 펌프가 설치됨으로써 펌프의 작용에 의해 탱크 내 약제를 흡입 및 압송시켜 노즐을 통해 자동으로 분무하여 살포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휴대용 약제 분무장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7882호(이하 선행특허 1이라 함)에는 자동교반 가능한 휴대용 농약살포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약제탱크; 약제탱크와 연결되어 약제탱크에 저장된 약제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 전력공급용 배터리로 구성되는 펌프부; 펌프부의 펌프와 연결되어 약제탱크로부터 인입되는 약제의 흐름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기관; 분기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분무호스; 분무호스의 타단부에 설치되 분무노즐; 및 분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순환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행특허 1은 펌프의 작동 시 순환호스를 이용하여 내부의 약제를 순환시키면서 약제탱크 내부에 약제의 흐름을 형성하여, 둘 이상의 약제가 자연스럽게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선행특허 1은 분무호스를 통하여 분무되는 약제의 분무력이 펌프의 동력 용량에만 의존하게 되므로 펌프의 동력 용량에 따라 약제의 분무력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약제 분무를 필요로 하는 원거리의 영역이나 광역의 영역으로 약제를 분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7882호 (2016.02.17.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약제 공급유닛의 동력 용량과 무관하게 액상의 약제를 원거리 또는 광역으로 분무해줄 수 있는 약제 분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는 약제가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약제를 이송호스 측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펌프를 가지는 약제 공급유닛; 및 상기 이송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호스로부터 가압 이송되는 약제를 분무하는 약제 분무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약제 분무유닛은 전방 토출구와 후방 흡입구를 연결하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전방 토출구로 공급하는 송풍팬; 및 상기 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호스로부터 가압 이송되는 약제를 상기 전방 토출구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유닛에서 분사되는 약제가 상기 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전방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분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분무유닛은 상기 송풍팬 및 상기 노즐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을 지나 상기 노즐유닛 측으로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노즐유닛의 중심축선으로 안내하는 유로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안내부재는 상기 노즐유닛 방향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축소되는 콘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분무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송풍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공기유로의 중심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1유로의 후단부는 상기 이송호스에 결합된 인입관이 결합되고, 상기 제1유로의 전단부에는 제1노즐결합부가 구비되는 노즐마운트; 일단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노즐마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노즐마운트를 고정 지지하는 마운트지지부재; 및 상기 공기유로의 중심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유로의 후단부는 상기 제1노즐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노즐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의 전단부에는 약제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구비되는 노즐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는 상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본체의 외면을 따라 이송되는 공기의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분사홀의 전방 영역에서 압력 강하가 이루어져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 속도를 높이고,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무를 활성화하기 위한 와류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분무유닛에 구비된 펌프의 동력 용량과 무관하게 약제 분무유닛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이용한 공기압을 통하여, 노즐유닛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약제를 상대적으로 원거리 또는 광역의 영역으로 분무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팬을 지나 노즐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안내부재를 통하여 약제의 분사 속도 및 분무 효과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노즐유닛의 조립 구조를 통하여, 보수나 교체 등 유지 관리에 큰 이점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노즐유닛은 약제 공급유닛에 구비된 펌프의 동력 용량에 알맞은 것을 사용하여야 효과적인데, 만일 펌프의 동력 용량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노즐유닛을 사용하게 되면 높은 압력에 의하여 노즐유닛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팬에 의하여 가압 이송되는 공기압을 통하여 노즐유닛에서 분사되는 약제가 효과적으로 분무될 수 있으므로, 약제 공급유닛의 동력 용량과 무관하게 다양한 종류의 노즐유닛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제의 종류나 약제 분무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노즐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의 전체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노즐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는 약제 공급유닛(100) 및 약제 분무유닛(200)을 포함한다.
약제 공급유닛(100)은 탱크(110), 격실(120), 펌프(140) 및 모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110)는 내부에 액상의 약제(S)가 저장될 수 있다. 탱크(110)는 상부 개폐구(111)를 개방하여 내부에 액상의 약제(S)를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탱크(110)는 하부에 이송호스(141,142)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탱크(110) 내부에 저장된 약제(S)는 이송호스(141,14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이송호스(141,142)의 단부에는 약제 분무유닛(200)의 인입관(201) 연결을 위한 접속구(143)가 구비될 수 있다.
격실(120)은 탱크(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격실(120)은 탱크(110)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격실(120)에는 모터(130) 및 펌프(140)가 설치될 수 있다.
펌프(140)는 이송호스(141,142)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탱크(110)에 저장된 약제(S)를 가압하여 이송호스(141,142) 측으로 가압 이송시킬 수 있다.
모터(130)는 펌프(140)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공급유닛(100)은 탱크(110) 또는 격실(120)에 결합되는 어깨끈(112)을 포함하는 배낭식 약제 공급유닛(100)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약제 공급유닛(100)은 이동레일이나 이동바퀴가 추가적으로 장착된 가반식이나 주행식 등 다양한 방식의 약제 공급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약제 분무유닛(200)은 약제 공급유닛(100)의 이송호스(141,142)에 연결되며, 약제 공급유닛(100)에 의하여 가압 이송되는 약제(S)를 전달 받아 외부로 약제(S)를 분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분무유닛(20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쉽게 들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약제 분무유닛(200)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약제 분무유닛(200)을 손에 들고 약제 분무를 필요로 하는 영역에 손쉽게 약제(S)를 분무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 분무유닛(200)은 약제 공급유닛(100)의 펌프(140)의 동력 용량과 무관하게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약제 분무를 필요로 하는 원거리 또는 광역의 영역으로 약제(S)를 효과적으로 분무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제 분무유닛(200)은 본체(210), 송풍팬(240), 모터 및 노즐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전방 토출구(212)와 후방 흡입구(211)를 연결하는 공기유로(200a)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210)는 제1본체 및 제2본체를 가질 수도 있다.
제1본체는 후방 흡입구(211)를 가지는 본체의 후방 영역을 형성한다. 후방 흡입구(211)에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메쉬망이 구비될 수 있고, 개방된 전단부에는 제2본체가 결합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본체의 내부에는 송풍팬(240), 모터 및 노즐유닛(26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본체는 전방 토출구(212)를 가지는 본체의 전방 영역을 형성한다. 개방된 후단부에는 제1본체의 제1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삽입과 동시에 걸림 지지되는 탄성클립 등에 의한 원터치식 탈부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1본체 및 제2본체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면, 공기유로(200a) 상에 장착되는 송풍팬(240), 모터 및 노즐유닛(260)의 유지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송풍팬(240)은 공기유로(200a) 상에 설치되며, 후방 흡입구(211)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전방 토출구(212)로 가압하여 공급할 수 있다.
모터는 송풍팬(240)을 회전시킨다. 모터는 송풍팬(240)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공기유로(200a)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는 배터리(2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터리(23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노즐유닛(260)은 공기유로(200a) 상에 배치되되 송풍팬(2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유닛(260)은 이송호스(141,142)로부터 가압 이송되는 약제(S)를 전방 토출구(212)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유닛(260)은 노즐마운트(261), 마운트지지부재(263) 및 노즐본체(26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마운트(261)는 내부에 공기유로(200a)의 중심축선(CL)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유로(261a)를 가진다. 제1유로(261a)의 후단부는 이송호스(141,142)에 연장하여 결합되는 인입관(201)의 단부가 결합된다. 또한, 제1유로(261a)의 전단부에는 제1노즐결합부(26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노즐결합부(262)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마운트지지부재(263)는 일단부는 본체(21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노즐마운트(26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서, 본체(210)로부터 노즐마운트(261)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지지부재(263)는 공기유로(200a)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최소 단면적을 유지하면서 방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노즐본체(265)는 내부에 공기유로(200a)의 중심축선(CL)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유로(266a)를 가지는 몸체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266a)의 후단부에는 제1노즐결합부(262)에 결합되는 제2노즐결합부(26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노즐결합부(267)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가공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본체(265)는 노즐마운트(261)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266a)의 전단부(268)에는 분사홀(268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본체(265)의 분사홀(268a)은 본체(210)의 전방 토출구(2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전방 토출구(212) 영역에서의 발생되는 공기압의 압력 강하에 의하여 분사홀(268a)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약제(S)의 유속이 증대될 수 있고 공기와 함께 대기 중에 곧바로 분무될 수 있다.
노즐본체(265)는 분사홀(268a)의 크기 또는 수량을 달리하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약제 공급유닛(100)의 펌프(140)의 동력 용량이나 약제 분무를 필요로 하는 영역에 따라서 복수 개의 노즐본체(265) 중 임의의 노즐본체(265)를 노즐마운트(261)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약제가 굳어 노즐본체(265)의 분사홀(268a)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노즐마운트(261)로부터 노즐본체(265)를 분리하여 노즐본체(265)에 대한 보수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노즐본체(265)는 와류발생부(269)를 더 가질 수 있다.
와류발생부(269)는 분사홀(268a)이 형성되는 노즐본체(265)의 전단부(268)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류발생부(269)는 노즐본체(265)의 외주면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공기의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분사홀(268a)이 형성되는 전단부(268)의 외주면에서 와류가 발생되면, 분사홀(268a)의 전방 영역에서 압력 강하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분사홀(268a)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제의 분무 거리가 더욱 길어질 수 있다.
또한, 분사홀(268a)이 형성되는 전단부(268)의 외주면에서 와류가 발생되면, 분사홀(268a)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무 효과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전방 토출구(212)에서 외부로 약제의 분무 시 보다 균일한 입자 상태를 유지하면서 광역으로 분무될 수 있다.
한편, 약제 분무유닛(200)은 유로안내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안내부재(250)는 공기유로(200a) 상에 배치되되, 송풍팬(240) 및 노즐유닛(2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안내부재(250)는 송풍팬(240)을 지나 노즐유닛(260) 측으로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노즐유닛(260)의 중심축선(CL)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유로안내부재(250)는 노즐유닛(260) 방향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축소되는 콘(Cone)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콘 형상의 유로안내부재(250)는 콘지지부재(251)를 통하여 본체(210)로부터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콘지지부재(251)는 공기유로(200a)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최소 단면적을 유지하면서 방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240)을 지난 공기는 콘 형상의 유로안내부재(250)의 표면을 따라 그 흐름이 유도되면서 공기유로(200a)의 중심축선(CL)과 일치하는 노즐유닛(260)의 중심축선(CL)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240)을 지난 공기는 노즐유닛(260) 방향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축소되는 콘 형상의 유로안내부재(25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점차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약제 분무유닛(200)은 손잡이(230) 및 배터리(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30)는 본체(2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손잡이(230)에는 송풍팬(240) 및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작동스위치(231)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235)는 작동스위치(231) 및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배터리(235)는 손잡이(230) 또는 본체(2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235)는 24V, 40V, 48V 등 다양한 용량의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스위치(231)의 조작 여부에 따라, 약제 분무유닛(200)의 송풍팬(240)의 작동을 손쉽게 온오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처럼 약제 분무유닛(200)의 송풍팬(240)의 작동 여부는 약제(S)의 종류 또는 약제 분무를 필요로 하는 영역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약제의 분무가 필요하면 작동스위치(231)를 온(On)시켜 공기압을 통하여 약제를 분무하고, 만일 단순 약제(S)의 분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동스위치(231)를 오프(Off)시켜 공기압 없이 순수 약제(S)를 분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분무장치는 약제 분무유닛(200)에 구비된 펌프(140)의 동력 용량과 무관하게 약제 분무유닛(200)에 구비되는 송풍팬(240)을 이용한 공기압을 통하여, 노즐유닛(260)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약제(S)를 상대적으로 원거리 또는 광역의 영역으로 분무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분무유닛(200)은 송풍팬(240)을 지나 노즐유닛(26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안내부재(250)를 통하여 약제(S)의 분사 속도를 증대하여 분무 효과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분무유닛(200)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본체(210) 또는 노즐유닛(260)의 조립 구조를 통하여, 보수나 교체 등 유지 관리에 큰 이점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노즐유닛은 약제 공급유닛에 구비된 펌프의 동력 용량에 알맞은 것을 사용하여야 효과적인데, 만일 펌프의 동력 용량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노즐유닛을 사용하게 되면 높은 압력에 의하여 노즐유닛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팬(240)에 의하여 가압 이송되는 공기압을 통하여 노즐유닛(260)에서 분사되는 약제(S)가 효과적으로 분무될 수 있으므로, 약제 공급유닛(100)의 동력 용량과 무관하게 다양한 종류의 노즐본체(265)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제의 종류나 약제 분무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이점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약제 공급유닛
200: 약제 분무유닛
210: 본체
240: 송풍팬
260: 노즐유닛

Claims (6)

  1. 약제가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약제를 이송호스 측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펌프를 가지는 약제 공급유닛; 및
    상기 이송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호스로부터 가압 이송되는 약제를 분무하는 약제 분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 분무유닛은,
    전방 토출구와 후방 흡입구를 연결하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전방 토출구로 공급하는 송풍팬; 및
    상기 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호스로부터 가압 이송되는 약제를 상기 전방 토출구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유닛에서 분사되는 약제가 상기 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전방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분무유닛은,
    상기 송풍팬 및 상기 노즐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을 지나 상기 노즐유닛 측으로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노즐유닛의 중심축선으로 안내하는 유로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안내부재는 상기 노즐유닛 방향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축소되는 콘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분무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송풍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공기유로의 중심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1유로의 후단부는 상기 이송호스에 결합된 인입관이 결합되고, 상기 제1유로의 전단부에는 제1노즐결합부가 구비되는 노즐마운트;
    일단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노즐마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노즐마운트를 고정 지지하는 마운트지지부재; 및
    상기 공기유로의 중심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유로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노즐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노즐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의 전단부에는 약제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구비되는 노즐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는,
    상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본체의 외면을 따라 이송되는 공기의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분사홀의 전방 영역에서 압력 강하가 이루어져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 속도를 높이고,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무를 활성화하기 위한 와류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무장치.
KR1020220097968A 2022-08-05 2022-08-05 약제 분무장치 KR20240020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68A KR20240020354A (ko) 2022-08-05 2022-08-05 약제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68A KR20240020354A (ko) 2022-08-05 2022-08-05 약제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354A true KR20240020354A (ko) 2024-02-15

Family

ID=8989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968A KR20240020354A (ko) 2022-08-05 2022-08-05 약제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3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882A (ko) 2014-08-07 2016-02-17 김민기 자동교반 가능한 휴대용 농약분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882A (ko) 2014-08-07 2016-02-17 김민기 자동교반 가능한 휴대용 농약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040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 fluid
KR101230753B1 (ko) 휴대용 분무기
UA8709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вед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го или химического вещества на относительно большой объем культуры, фуражно-косильный агрегат, который содержит эту систему, способ введения относительно малого объема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го или химического вещества в относительно большой объем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культуры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фуража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добавок
KR101130490B1 (ko) 농약 분무기
KR101834661B1 (ko) 송풍덕트 내부에 분사노즐을 설치한 약액분무용 분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분무장치
CN111888556A (zh) 一种血液透析机
KR20240020354A (ko) 약제 분무장치
KR100647421B1 (ko) 다목적 방제기
KR20090090706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트랙터용 비료살포장치
US20200367485A1 (en) Modular spraying leg
KR200469289Y1 (ko)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KR200416318Y1 (ko) 다목적 방제기
JP2013090592A (ja) 送風式薬剤散布機
NZ536065A (en)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forage additive and method
KR20230114089A (ko)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KR100927792B1 (ko) 약제 분무장치
KR200488096Y1 (ko)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KR200301376Y1 (ko) 차량소독장치
KR101397917B1 (ko) 물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물 살포기
CN219812613U (zh) 一种果树病患组织精准消杀设备
KR200174079Y1 (ko) 연무, 분무 및 입제와 분제 살포가 가능한 휴대형 동력 살포기
JPH0425980Y2 (ko)
JPS599706Y2 (ja) フオ−ムミストノズル
US4269353A (en) Exhaust operated vaporizer
CN214910995U (zh) 一种车载过氧化氢消毒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