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662A -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662A
KR20240018662A KR1020247001148A KR20247001148A KR20240018662A KR 20240018662 A KR20240018662 A KR 20240018662A KR 1020247001148 A KR1020247001148 A KR 1020247001148A KR 20247001148 A KR20247001148 A KR 20247001148A KR 20240018662 A KR20240018662 A KR 20240018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members
conductors
vi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바사 사사키
히데타카 이시토비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6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복수의 접속 부재(10, 20)는 전기 기기에 접속되며, 연직 방향에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단자 부재(30, 40)는 복수의 접속 부재(10, 20)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의 전선이 각각 접속된다. 복수의 단자 부재(30, 40)의 각각은 고정부(31, 41)와, 접속부(32, 42)를 포함한다. 고정부(31, 41)는 접속 부재(10, 20)에 장착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속부(32, 42)는 고정부(31, 4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접합되며, 전선이 접속된다. 접속부(32, 42)는 고정부(31, 41)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 부재(30, 40)의 각각은, 접속부(32, 42)가 연직 방향의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자세와, 접속부(32, 42)가 연직 방향의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접속 부재(10, 20)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
본 개시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6-208601 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전기 기기와 전선을 접속하는 접속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접속 장치는 전기 기기의 U상 단자에 접속되는 제 1 접속 도체와, 전기 기기의 V상 단자에 접속되는 제 2 접속 도체와, 전기 기기의 W상 단자에 접속되는 제 3 접속 도체와, 제 1 접속 도체에 장착되며, U상 전선이 접속되는 제 1 단자 도체와, 제 2 접속 도체에 장착되며, V상 전선이 접속되는 제 2 단자 도체와, 제 3 접속 도체에 장착되며, W상 전선이 접속되는 제 3 단자 도체를 갖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6-208601 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접속 장치에 의하면, 전선이 상방 및 하방의 어느 방향으로 접속 장치의 하우징 내로 인입되는 경우에도, 전선을 굽히는 일이 없이, 전선을 단자 도체에 접속할 수 있다.
그 한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접속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3 접속 도체는,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해지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내지 제 3 접속 도체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내지 제 3 단자 도체도,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부가 좌우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접속 도체 및 단자 도체의 가공비가 커져 버리는 것이 염려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접속 장치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단자 도체의 접속부가,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접속 장치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공간이 커지는 것이 염려된다.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간편한 구성에 의해 가공의 용이화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는, 전기 기기와 복수의 전선을 접속하는 접속 장치로서, 복수의 접속 부재와, 복수의 단자 부재를 구비한다. 복수의 접속 부재는 전기 기기에 접속되며, 연직 방향에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단자 부재는 복수의 접속 부재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의 전선이 각각 접속된다. 복수의 단자 부재의 각각은 고정부와, 접속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접속 부재에 장착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속부는 고정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접합되며, 전선이 접속된다. 접속부는 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 부재의 각각은, 접속부가 연직 방향의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자세와, 접속부가 연직 방향의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접속 부재에 장착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에 의해 가공의 용이화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순저 보상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3은 하방으로부터 전선이 접속 장치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접속 도체 및 단자 도체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와는 상이한 자세로, 접속 도체에 단자 도체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방으로부터 전선이 접속 장치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단자 도체를 접속 도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전기 장치의 구성>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장치(100)는 순저 보상 장치(Multiple Power Compensator)(110)와, 접속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장치(1)는 순저 보상 장치(110)와 복수의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접속 장치(1)를 적용 가능한 전기 기기의 일 예로서, 순저 보상 장치(110)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개시에 따른 접속 장치(1)는 전력 변환 장치 또는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임의의 전기 기기와 복수의 전선을 접속하는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순저 보상 장치(110)는 하우징(19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90)의 내부에는, 순저 보상 장치(110)를 구성하는 각종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190)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하우징(190)은 천정면(191)과, 전면(192)과, 도시하지 않은 측면 및 저면을 갖고 있다.
하우징(190)의 전면(192)에는, 개구부(19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95)는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냉각 팬이 운전하는 것에 의해, 개구부(195)를 경유하여, 하우징(190)의 전방으로부터 하우징(19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190)의 전면(192)에는, 사용자가 순저 보상 장치(110)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198)이 마련되어 있다.
접속 장치(1)는 하우징(9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90)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하우징(90)은 천정면(91)과, 전면(92)과, 좌측면(93)과, 도시하지 않은 저면(94)을 갖고 있다. 하우징(90)의 전면(92)에는, 개구부(9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95)는 하우징(9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하우징(90) 및 하우징(190)은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90)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19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1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전방향을,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전방향으로 한다. 도 1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후방향을,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후방향으로 한다. 도 1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우방향을,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우방향으로 한다. 도 1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좌방향을,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좌방향으로 한다.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상하방향은 "연직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좌우방향은 연직 방향에 수직인 "제 1 방향"의 일 실시예에 대응하며,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전후방향은 연직 방향 및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전후방향을 "제 1 방향"으로 하고, 순저 보상 장치(110) 및 접속 장치(1)의 좌우방향을 "제 2 방향"으로 하여도 좋다.
<순저 보상 장치의 구성>
도 2는 순저 보상 장치(110)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순저 보상 장치(110)는 입력 단자(T1), 출력 단자(T2), 직류 단자(T3), VCB(Vacuum Circuit Breaker)(61, 65, 66, 81), 고속 스위치(62), 전력 변환기(67), 변압기(80), 조작부(82), 및 제어 장치(83)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T1)는 상용 교류 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압(VI)을 받는다. 교류 전압(VI)의 순시값은 제어 장치(83)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 장치(83)는 교류 전압(VI)이 하한값보다 저하한 경우에, 순저(순시 전압 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별한다.
출력 단자(T2)는 부하(52)에 접속된다. 부하(52)는 출력 단자(T2)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VO)에 의해 구동된다. 교류 전압(VO)의 순시값은 제어 장치(83)에 의해 검출된다. 교류 전압(VI) 및 교류 전압(VO)은 3상 교류 전압(U상 전압(Vu), V상 전압(Vv), W상 전압(Vw))이지만, 도면 및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도 2에서는 1상에 관련되는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직류 단자(T3)는 전력 저장 장치(53)에 접속된다. 전력 저장 장치(53)는 배터리여도 좋으며, 콘덴서여도 상관없다. 직류 단자(T3)의 직류 전압(VDC)은 제어 장치(83)에 의해 검출된다.
VCB(61), 고속 스위치(62) 및 VCB(65)는 입력 단자(T1)와 출력 단자(T2)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VCB(61, 65)는 순저 보상 장치(110)의 통상 운전시에 온되며, 예를 들면, 고속 스위치(62)의 메인터넌스시 또는 바이패스 급전시에 오프된다.
고속 스위치(62)는 직렬 접속된 반도체 스위치(63) 및 기계 스위치(64)를 포함한다. 반도체 스위치(63) 및 기계 스위치(64)의 각각은 제어 장치(83)에 의해 제어되며, 교류 전압(VI)이 정상적인 경우에 온되고, 교류 전압(VI)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순저시)에 오프된다.
VCB(66)는 입력 단자(T1)와 출력 단자(T2) 사이에 접속된다. VCB(66)는 순저 보상 장치(110)의 통상 운전시에 오프되며, 예를 들면, 바이패스 급전시에 온된다. VCB(66)가 온되면, 상용 교류 전원(51)으로부터 VCB(66)를 거쳐서 부하(52)에 교류 전압(VI)이 공급되고, 부하(52)가 구동된다.
전력 변환기(67)는 쌍방향 컨버터(68), 퓨즈(69), 전류 검출기(70), 리액터(71), 및 콘덴서(72)를 포함한다. 쌍방향 컨버터(68)의 직류 단자(68a)는 직류 단자(T3)에 접속되며, 그 교류 단자(68b)는 퓨즈(69) 및 리액터(71)를 거쳐서 변압기(80)의 1차 권선(80a)에 접속된다. 변압기(80)의 2차 권선(80b)은 VCB(81)를 거쳐서, 고속 스위치(62) 및 VCB(65) 사이의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쌍방향 컨버터(68)는 복수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 및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주지의 것이다, 제어 장치(83)에 의해, 예를 들면,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된다. 쌍방향 컨버터(68)에 포함되는 각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소정의 스위칭 주파수로 온 및 오프시키는 것에 의해,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퓨즈(69)는 쌍방향 컨버터(68) 등을 과전류로부터 보호한다. 전류 검출기(70)는 리액터(71)에 흐르는 전류(IL)를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나타내는 신호(ILf)를 제어 장치(83)에 부여한다.
리액터(71) 및 콘덴서(72)는 교류 필터를 구성한다. 교류 필터는 저역 통과 필터이며, 쌍방향 컨버터(68)의 출력 전압을 정현파 형상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변압기(80)는 노드(N1)와 전력 변환기(67) 사이에서 교류 전력을 주고받는다. VCB(81)는 순저 보상 장치(110)의 통상 운전시에 온되며, 예를 들면 고속 스위치(62), 전력 변환기(67) 등의 메인터넌스시에 오프된다.
조작부(82)는 조작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시를 받고, 받은 사용자의 지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장치(83)에 부여한다. 제어 장치(83)는 조작부(82)로부터의 신호, 교류 전압(VI, VO, VAC), 직류 전압(VDC), 전류 검출기(70)의 출력 신호(ILf) 등에 기초하여, 순저 보상 장치(110) 전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용 교류 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VI)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어 장치(83)는 교류 전압(VAC), 직류 전압(VDC) 및 전류 검출기(70)의 출력 신호(ILf)에 기초하여, 직류 단자(T3)의 직류 전압(VDC)이 소정의 참조 직류 전압(VDCr)이 되도록 쌍방향 컨버터(68)를 제어한다.
상용 교류 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VI)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83)는 출력 단자(T2)의 교류 전압(VO) 및 전류 검출기(70)의 출력 신호(ILf)에 기초하여, 교류 전압(VO)이 소정의 참조 교류 전압(VOr)이 되도록 쌍방향 컨버터(68)를 제어한다.
<접속 장치의 구성>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접속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하방으로부터 전선이 접속 장치(1)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의, 하우징(90)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상방으로부터 전선이 접속 장치(1)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의, 하우징(90)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6에는, 도 1에 도시하는 하우징(90, 190)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판형상의 부재를 분리하고, 접속 장치(1)의 하우징(9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으로 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6에서는, 순저 보상 장치(110)를 구성하고 있는 도 2에 도시하는 각종 기기를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직사각형상의 상자로 하고,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 장치(1)는 하우징(9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2)을 갖고 있다. 순저 보상 장치(110)는 하우징(19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2)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90) 및 하우징(190)은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프레임(2) 및 프레임(102)도 또한, 일체의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후술하는 도 6에서는, 하우징(90)의 내부의 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프레임(2)을 구성하고 있는 기둥 부재 중 1개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프레임(2)의 후측의 기둥 부재에, 지지 부재(3, 4)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 4)는 각각, 프레임(2)의 후측의 한쌍의 기둥 부재 사이에 걸쳐지며, 한쌍의 기둥 부재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3, 4)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며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지지 부재(3, 4)는 대략 평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지지 부재(3, 4)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프레임(2)의 전측의 기둥 부재에도, 지지 부재(3, 4)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 4)는 각각, 프레임(2)의 전측의 한쌍의 기둥 부재 사이에 걸쳐지며, 한쌍의 기둥 부재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3, 4)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지지 부재(3, 4)는 대략 평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부재(3)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 부재(3)와 대향하고 있다. 지지 부재(4)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 부재(4)와 대향하고 있다.
지지 부재(3)에, 지지 부재(5, 6)가 장착되어 있다(도 4 참조). 지지 부재(5, 6)는 각각, 한쌍의 지지 부재(3) 사이에 걸쳐지며, 한쌍의 지지 부재(3)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5, 6)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지지 부재(5, 6)는 대략 평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지지 부재(5, 6)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부재(4)에, 지지 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도 4 참조). 지지 부재(7)는 한쌍의 지지 부재(4) 사이에 걸쳐지며, 한쌍의 지지 부재(4)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7)는 대략 평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부재(6)는 접속 도체(10U, 10V, 10W)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5)는 단자 도체(30U, 30V, 30W)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7)는 접속 도체(20U, 20V, 20W)를 지지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접속 도체(10U, 10V, 10W, 20U, 20V, 20W) 및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접속 도체(10U)는,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포함되는 U상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10V)는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포함되는 V상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10W)는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포함되는 W상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세장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상하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접속 도체(10U, 10V, 10W)의 각각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은 접속 도체(10U, 10V, 10W)와, 단자 도체(30U, 30V, 30W)를 각각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접속 도체(10U, 10V, 10W)의 각각과 지지 부재(6)는 연결 부재(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8)는, 예를 들면 애자를 갖고 있으며, 접속 도체(10U, 10V, 10W)와 지지 부재(6)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지지 부재(6)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는,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에 포함되는 U상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20V)는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에 포함되는 V상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20W)는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에 포함되는 W상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와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접속 도체(10U, 10V, 10W)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세장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상하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후측로부터 전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접속 도체(20U, 20V, 20W)의 각각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은 접속 도체(20U, 20V, 20W)와, 단자 도체(40U, 40V, 40W)를 각각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접속 도체(20U, 20V, 20W)의 각각과 지지 부재(7)는 연결 부재(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8)는, 예를 들면 애자를 갖고 있으며, 접속 도체(20U, 20V, 20W)와 지지 부재(7)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지지 부재(7)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접속 도체(10U, 10V, 10W)에 각각 장착된다. 접속 장치(1)의 하우징(90)의 내부에 인입된 전선(U1, V1, W1)은 단자 도체(30U, 30V, 30W)에 각각 접속된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 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는 고정부(31)와, 접속부(32)를 갖고 있다. 고정부(31) 및 접속부(32)는 각각 세장 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고정부(3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31)는 접속 도체(10U)에 장착된다. 고정부(3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고정부(3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고정부(3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양쪽을 관통하여 볼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단자 도체(30U)가 접속 도체(10U)에 고정된다.
접속부(32)는 고정부(3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32)는 고정부(31)의 좌측의 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한장의 판재가 굽힘 변형되며, 고정부(31) 및 접속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접속부(32)는 고정부(31)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32)는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32)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3)은 전선(U1)을 접속부(32)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32)와 전선(U1)의 접속에는, 압착 단자(34)를 이용할 수 있다. 압착 단자(34)는 전선(U1)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압착 단자(34)에는, 접속부(32)에 형성된 관통 구멍(33)과 동일한 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의 접속부(32)에 형성된 관통 구멍(33)과 압착 단자(34)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양쪽을 관통하여 볼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전선(U1)이 단자 도체(30U)에 고정된다.
단자 도체(30V) 및 단자 도체(30W)도 단자 도체(30U)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 도체(30V)의 고정부(31)는 접속 도체(10V)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30V)의 접속부(32)는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전선(V1)이 접속된다. 단자 도체(30W)의 고정부(31)는 접속 도체(10W)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30W)의 접속부(32)는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전선(W1)이 접속된다.
단자 도체(30U, 30V, 30W)의 각각과 지지 부재(5)는 연결 부재(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8)는, 예를 들면 애자를 갖고 있으며, 단자 도체(30U, 30V, 30W)와 지지 부재(5)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지지 부재(5)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접속 도체(20U, 20V, 20W)에 각각 장착된다. 접속 장치(1)의 하우징(90)의 내부에 인입된 전선(U2, V2, W2)은 단자 도체(40U, 40V, 40W)에 각각 접속된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 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는 고정부(41)와 접속부(42)를 갖고 있다. 고정부(41) 및 접속부(42)는 각각 세장 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고정부(4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41)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단자 도체(30U)의 고정부(31)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짧다. 고정부(41)는 접속 도체(20U)에 장착된다. 고정부(4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고정부(4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고정부(4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양쪽을 관통하여 볼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단자 도체(40U)가 접속 도체(20U)에 고정된다.
접속부(42)는 고정부(4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42)는 고정부(41)의 좌측의 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한장의 판재가 굽힘 변형되어, 고정부(41) 및 접속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접속부(42)는 고정부(41)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42)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4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단자 도체(30U)의 접속부(3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짧다. 단, 접속부(42)와 접속부(32)는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도 좋으며, 접속부(4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접속부(3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길게 하여도 좋다.
접속부(42)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3)은 전선을 접속부(42)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42)와 전선의 접속에는, 압착 단자(44)를 이용할 수 있다. 압착 단자(44)는 전선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압착 단자(44)에는, 접속부(42)에 형성된 관통 구멍(43)과 동일한 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의 접속부(42)에 형성된 관통 구멍(43)과 압착 단자(44)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양쪽을 관통하여 볼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전선(U2)이 단자 도체(40U)에 고정된다.
단자 도체(40V) 및 단자 도체(40W)도 단자 도체(40U)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 도체(40V)의 고정부(31)는 접속 도체(20V)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40V)의 접속부(42)에는 전선(V2)이 접속된다. 단자 도체(40W)의 고정부(41)는 접속 도체(20W)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40W)의 접속부(42)에는 전선(W2)이 접속된다.
도 3에는, 단자 도체(30U, 30V, 30W)에 전선(U1, V1, W1)을 각각 접속하며, 또한 단자 도체(40U, 40V, 40W)에 전선(U2, V2, W2)을 각각 접속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선(U1, V1, W1, U2, V2, W2)은 저면(94)을 관통하며, 하방으로부터 하우징(90)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다. 전선(U1, V1, W1, U2, V2, W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선(U1)은 접속 도체(10U)에 접속된 단자 도체(30U)의 접속부(32)에, 압착 단자(3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선(U1)으로부터 단자 도체(30U) 및 접속 도체(10U)를 경유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U상 전압(Vu)이 공급된다.
전선(V1)은 접속 도체(10V)에 접속된 단자 도체(30V)의 접속부(32)에, 압착 단자(3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선(V1)으로부터 단자 도체(30V) 및 접속 도체(10V)를 경유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V상 전압(Vv)이 공급된다.
전선(W1)은 접속 도체(10W)에 접속된 단자 도체(30W)의 접속부(32)에, 압착 단자(3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선(W1)으로부터 단자 도체(30W) 및 접속 도체(10W)를 경유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W상 전압(Vw)이 공급된다.
단자 도체(30U, 30V, 30W)의 각각의 접속부(32)가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부터 하우징(90)의 내부에 인입된 전선(U1, V1, W1)을 굽히는 일이 없이, 또한 짧은 배선 길이로 전선(U1, V1, W1)을 단자 도체(30U, 30V, 30W)에 각각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선(U2)은 접속 도체(20U)에 접속된 단자 도체(40U)의 접속부(42)에, 압착 단자(4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로부터, 접속 도체(20U) 및 단자 도체(40U)를 경유하여, 전선(U2)에 U상 전압(Vu)이 출력된다.
전선(V2)은 접속 도체(20V)에 접속된 단자 도체(40V)의 접속부(42)에, 압착 단자(4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로부터, 접속 도체(20V) 및 단자 도체(40V)를 경유하여, 전선(V2)에 V상 전압(Vv)이 출력된다.
전선(W2)은 접속 도체(20W)에 접속된 단자 도체(40W)의 접속부(42)에, 압착 단자(4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로부터, 접속 도체(20W) 및 단자 도체(40W)를 경유하여, 전선(W2)으로 W상 전압(Vw)이 출력된다.
단자 도체(40U, 40V, 40W)의 각각의 접속부(42)가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부터 하우징(90)의 내부에 인입된 전선(U2, V2, W2)을 굽히는 일이 없이, 또한 짧은 배선 길이로 전선(U2, V2, W2)을 단자 도체(40U, 40V, 40W)에 각각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도 3과는 상이한 자세로,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를 접속 도체(10U, 10V, 10W, 20U, 20V, 20W)에 각각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접속 도체(20U, 20V, 20W)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접속 도체(10U, 10V, 10W)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의 고정부(31)는 접속 도체(20U)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30U)의 접속부(32)는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자 도체(30V)의 고정부(31)는 접속 도체(20V)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30V)의 접속부(32)는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자 도체(30W)의 고정부(31)는 접속 도체(20W)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30W)의 접속부(32)는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의 각각과 지지 부재(5)는 연결 부재(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8)는, 예를 들면 애자를 갖고 있으며, 단자 도체(30U, 30V, 30W)와 지지 부재(5)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지지 부재(5)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5)는 지지 부재(4)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5)는 한쌍의 지지 부재(4) 사이에 걸쳐지며, 한쌍의 지지 부재(4)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의 고정부(41)는 접속 도체(10U)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40U)의 접속부(42)는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자 도체(40V)의 고정부(41)는 접속 도체(10V)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40V)의 접속부(42)는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자 도체(40W)의 고정부(41)는 접속 도체(10W)에 장착된다. 단자 도체(40W)의 접속부(42)는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에 전선(U1, V1, W1, U2, V2, W2)을 각각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선(U1, V1, W1, U2, V2, W2)은 천정면(91)을 관통하며, 상방으로부터 하우징(90)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다. 전선(U1, V1, W1, U2, V2, W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선(U1)은 접속 도체(10U)에 접속된 단자 도체(40U)의 접속부(42)에, 압착 단자(3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선(U1)으로부터 단자 도체(40U) 및 접속 도체(10U)를 경유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U상 전압(Vu)이 공급된다.
전선(V1)은 접속 도체(10V)에 접속된 단자 도체(40V)의 접속부(42)에, 압착 단자(3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선(V1)으로부터 단자 도체(40V) 및 접속 도체(10V)를 경유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V상 전압(Vv)이 공급된다.
전선(W1)은 접속 도체(10W)에 접속된 단자 도체(40W)의 접속부(42)에, 압착 단자(3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선(W1)으로부터 단자 도체(40W) 및 접속 도체(10W)를 경유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입력 단자(T1)에 W상 전압(Vw)이 공급된다.
단자 도체(40U, 40V, 40W)의 각각의 접속부(42)가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하우징(90)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U1, V1, W1)을 굽히는 일이 없이, 또한 짧은 배선 길이로 전선(U1, V1, W1)을 단자 도체(40U, 40V, 40W)에 각각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선(U2)은 접속 도체(20U)에 접속된 단자 도체(30U)의 접속부(32)에, 압착 단자(4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로부터, 접속 도체(20U) 및 단자 도체(30U)를 경유하여, 전선(U2)에 U상 전압(Vu)이 출력된다.
전선(V2)은 접속 도체(20V)에 접속된 단자 도체(40V)의 접속부(42)에, 압착 단자(4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로부터, 접속 도체(20V) 및 단자 도체(30V)를 경유하여, 전선(V2)에 V상 전압(Vv)이 출력된다.
전선(W2)은 접속 도체(20W)에 접속된 단자 도체(30W)의 접속부(42)에, 압착 단자(44)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출력 단자(T2)로부터, 접속 도체(20W) 및 단자 도체(30W)를 경유하여, 전선(W2)에 W상 전압(Vw)이 출력된다.
단자 도체(30U, 30V, 30W)의 각각의 접속부(32)가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하우징(90)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U2, V2, W2)을 굽히는 일이 없이, 또한 짧은 배선 길이로 전선(U2, V2, W2)을 단자 도체(40U, 40V, 40W)에 각각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 장치(1)는 전기 기기의 일 예로서의 순저 보상 장치(110)와 전선(U1, V1, W1, U2, V2, W2)을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7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접속 장치(1)의 사시도 중, 접속 도체(10U, 10V, 10W, 20U, 20V, 20W) 및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접속 장치(1)에 있어서의 접속 도체(10U, 10V, 10W, 20U, 20V, 20W) 및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를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순저 보상 장치(110)의 출력 단자(T2)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하방향(연직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후방향(제 2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순저 보상 장치(110)의 입력 단자(T1)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하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전선(U1, V1, W1, U2, V2, W2)이 접속 장치(1)에 인입되는 상태(이하, "제 1 상태"라고도 칭함)에 있어서는,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접속 도체(20U, 20V, 20W)에 각각 장착된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접속 도체(10U, 10V, 10W)에 각각 장착된다. 전선(U1, V1, W1)은 단자 도체(40U, 40V, 40W)에 각각 접속된다. 전선(U2, V2, W2)은 단자 도체(30U, 30V, 30W)에 각각 접속된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접속 도체(20U, 20V, 20W)는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접속 도체(10U, 10V, 10W)는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전선(U1, V1, W1)은 "제 1 내지 제 3 전선"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전선(U2, V2, W2)은 "제 4 내지 제 6 전선"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는,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접속부(32)가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자세로, 접속 도체(20U, 20V, 20W)에 각각 장착된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접속부(42)가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자세로, 접속 도체(10U, 10V, 10W)에 각각 장착된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상태에서는,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상하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상태에서는,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상하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의 (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접속 장치(1)에 있어서의 접속 도체(10U, 10V, 10W, 20U, 20V, 20W) 및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를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전선(U1, V1, W1, U2, V2, W2)이 접속 장치(1)에 인입되는 상태(이하, "제 2 상태"라고도 칭함)에 있어서는,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접속 도체(10U, 10V, 10W)에 각각 장착된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접속 도체(20U, 20V, 20W)에 각각 장착된다. 전선(U1, V1, W1)은 단자 도체(30U, 30V, 30W)에 각각 접속된다. 전선(U2, V2, W2)은 단자 도체(40U, 40V, 40W)에 각각 접속된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상태에서는,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접속부(32)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자세로, 접속 도체(10U, 10V, 10W)에 각각 장착된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접속부(42)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자세로, 접속 도체(20U, 20V, 20W)에 각각 장착된다.
제 2 상태에서는,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상하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상하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장치(1)는 전선(U1, V1, W1, U2, V2, W2)의 인입방향에 따라서,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의 자세를 제 1 자세 및 제 2 자세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선(U1, V1, W1, U2, V2, W2)의 인입방향이 상방 및 하방의 어느 방향이어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U1, V1, W1, U2, V2, W2)을 굽히는 일이 없이, 전선(U1, V1, W1, U2, V2, W2)을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의 접속부(32, 42)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3상 교류 전압을 받는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마다의 단자 도체를 공통화할 수 있다. 3상 교류 전압을 받는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마다의 단자 도체를 공통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하는 제 1 상태, 및 도 7의 (B)에 도시하는 제 2 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단자 도체(30U, 30V, 3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좌우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도체(30U, 30V, 30W)를 좌우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단자 도체(30U, 30V, 30W)의 하우징(90)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점유 공간을 저감할 수 있다. 단자 도체(40U, 40V, 40W)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좌우방향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도체(40U, 40V, 40W)를 좌우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단자 도체(40U, 40V, 40W)의 하우징(90)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점유 공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도체(30U, 30V, 30W)의 고정부(3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단자 도체(40U, 40V, 40W)의 고정부(4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3상 교류 전압을 받는 접속 도체(20U, 20V, 20W)와 제 2 3상 교류 전압을 받는 접속 도체(10U, 10V, 10W)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단자 도체(30U, 30V, 30W, 40U, 40V, 40W)의 하우징(90)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점유 공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장치(1)는 단자 도체(30U, 30V, 30W)를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단자 도체(30U, 30V, 30W)를 외팔보 지지하는 길이를 저감할 수 있어서, 접속 장치(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5)는 전후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하방향에 있어서 단자 도체(30U, 30V, 30W)의 접속부(3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에서 지지 부재(5)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전선(U1, V1, W1, U2, V2, W2)의 인입방향이 상방 및 하방의 어느 방향이어도 지지 부재(5)를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장치(1)는 단자 도체(30U, 30V, 30W)를 지지 부재(5)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8)는 애자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단자 도체(30U, 30V, 30W) 간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이 개시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접속 장치 2, 102: 프레임
3 내지 7: 지지 부재 8: 연결 부재
10U, 10V, 10W, 20U, 20V, 20W: 접속 도체
30U, 30V, 30W, 40U, 40V, 40W: 단자 도체
31, 41: 고정부 32, 42: 접속부
33, 43: 관통 구멍 34, 44: 압착 단자
51: 상용 교류 전원 52: 부하
53: 전력 저장 장치 61, 65, 66: VCB
62: 고속 스위치 63: 반도체 스위치
64: 기계 스위치 68: 쌍방향 컨버터
69: 퓨즈 70: 전류 검출기
71: 리액터 72: 콘덴서
80: 변압기 82: 조작부
83: 제어 장치 90, 190: 하우징
91, 191: 천정면 92, 192: 전면
93: 좌측면 94: 저면
95, 195: 개구부 100: 전기 장치
110: 순저 보상 장치 198: 조작 패널
U1, V1, W1, U2, V2, W2: 전선 T1: 입력 단자
T2: 출력 단자 T3: 직류 단자

Claims (12)

  1. 전기 기기와 복수의 전선을 접속하는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전기 기기에 접속되며, 연직 방향에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속 부재와,
    상기 복수의 접속 부재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전선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 부재의 각각은,
    접속 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접합되며,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자 부재의 각각은, 상기 접속부가 상기 연직 방향의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자세와, 상기 접속부가 상기 연직 방향의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상기 접속 부재에 장착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선은 제 1 3상 교류 전압을 전송하는 제 1 내지 제 3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3상 교류 전압을 받는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 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연직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연직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는, 상기 제 1 자세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에 각각 장착되며,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선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의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를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선은 제 2 3상 교류 전압을 전송하기 위한 제 4 내지 제 6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3상 교류 전압을 받는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 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보다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고,
    상기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연직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보다 상기 연직 방향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는, 상기 제 1 자세로, 상기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에 각각 장착되며, 또한 상기 제 4 내지 제 6 전선은 상기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는, 상기 제 2 자세로, 상기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에 각각 장착되며, 또한 상기 제 4 내지 제 6 전선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 부재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의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를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는, 상기 제 2 자세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속 부재에 각각 장착되며,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선은 상기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단자 부재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내지 제 6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12. 상기 전기 기기와,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 장치.
KR1020247001148A 2022-05-31 2022-05-31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 KR20240018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2/022194 WO2023233542A1 (ja) 2022-05-31 2022-05-31 電気機器の接続装置および電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662A true KR20240018662A (ko) 2024-02-13

Family

ID=8832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148A KR20240018662A (ko) 2022-05-31 2022-05-31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62944B1 (ko)
KR (1) KR20240018662A (ko)
CN (1) CN117693875A (ko)
WO (1) WO202323354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8601A (ja) 2015-04-17 2016-12-08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641A (en) * 1998-11-09 1999-09-07 Eaton Corporation Mounting arrangement for neutral bus in switchgear assembly
JP3933974B2 (ja) * 2001-03-30 2007-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圧変動補償装置
US20080055822A1 (en) * 2006-09-05 2008-03-06 Valere Power, Inc. Scalable plant with top or bottom entry flexibility
JP5699492B2 (ja) * 2010-03-31 2015-04-08 株式会社ダイヘン 電気機器の口出し部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8601A (ja) 2015-04-17 2016-12-08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3542A1 (ja) 2023-12-07
JPWO2023233542A1 (ko) 2023-12-07
CN117693875A (zh) 2024-03-12
JP7362944B1 (ja)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5739B2 (en) High density power/lighting panelboard
EP1369983B1 (en) Inverter
US8947899B2 (en) Split laminated DC bus structure
US10389268B2 (en) AC-DC power conversion device including helically cascaded unit cells
EP2611273A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housing
JP6403273B2 (ja) 電気機器の接続装置
US20080055822A1 (en) Scalable plant with top or bottom entry flexibility
WO2013051475A1 (ja) 電力変換装置
WO2013051476A1 (ja) 電力変換装置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US11469679B2 (en) Power converter device with non-overlapping bus bars
US20210021152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240018662A (ko) 전기 기기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장치
EP3855587B1 (en) Power supply apparatus
JP6390806B1 (ja) インバータ装置
WO2015182009A1 (ja) 母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電盤
JP6658915B2 (ja) 電力変換装置
JP2015076944A (ja) 盤用機器の配線構造
CN113632364B (zh) 电力变换单元
CN109565944B (zh) 用于大功率变流器的相位模块
KR101931786B1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AU2016217603B2 (en) Circuit module and inverter device using same
JP7115449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7224730B2 (ja) 分電盤
JP4550307B2 (ja) 電力変換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