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449A -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449A
KR20240017449A KR1020220095219A KR20220095219A KR20240017449A KR 20240017449 A KR20240017449 A KR 20240017449A KR 1020220095219 A KR1020220095219 A KR 1020220095219A KR 20220095219 A KR20220095219 A KR 20220095219A KR 20240017449 A KR20240017449 A KR 20240017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torage unit
prevention system
spread preven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욱래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드케이
조욱래
김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드케이, 조욱래, 김민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드케이
Priority to KR102022009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449A/ko
Publication of KR2024001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수납된 소방포, 상기 보관부에 연결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방포를 방사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Fire suppression and spread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충전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데, 전기자동차가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차량 화재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거나 전기자동차로 화재가 번지게 되면 배터리 폭발, 지하주차장의 특성상 수십~수백대의 차량이 손상을 받을 수 있는 등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소방 안전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열폭주로 인해 건물 구조 또는 건물에 설치된 배관 등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방수처리가 된 수많은 이차전지를 묶어 형성되어 있어 일반 소화기로는 소화가 어렵고 배터리가 전부 소각되어야만 화재가 진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대응하도록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된 종래의 화재진압장비는 차량 화재 발생시 화재발생 차량과 인근 차량의 외부에만 소화수를 분사하게 되어 차량 내부에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화염이나 화재 복사열에 의한 인근 차량으로 확산되는 화재 및 연료탱크 폭발과 같은 2차 피해를 방지하는데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데이터 처리를 위해 데이터센터가 많이 생기고 있다. 데이터센터에는 열발생이 큰 서버장치 또는 이차전지 등과 같은 전기기기가 안착되는 스토리지가 설치 된다. 이때, 어느 한 서버장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일반 소화기는 소화가 어렵기에 다른 스토리지에 불이 옮겨 붙어 2차 피해 또는 대형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
더해서, 상기의 일반 소화기는 소화가스 또는 포말이 살포되는 소화기로서 일회 사용후는 소화제를 재충전하여야 하고 취급 방법이 누구나 알 수 있게 보편화되지 않아 비상시 원활한 소화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으로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은 질식 소화의 신속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인근 차량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수납된 소방포, 상기 보관부에 연결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방포를 방사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은 질식 소화의 신속성을 향상시키고, 인근 차량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주차공간에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와이어롤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무게중심봉을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캐비닛 설치구획에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주차공간에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보관부(100), 소방포(200), 감지부(300) 및 작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1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부(100)는 지면으로부터 약 3m 이격된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관부(100) 하부에 자동차, 캐비닛 및 화재의 위험이 있는 물건을 보다 용이하게 놓을 수 있다. 또한, 빈공간에 소방포(200)가 넉넉하게 들어갈 수 있음으로써, 소방포(200)를 방사할 때 소방포(200)가 보관부(100) 내부에 끼이거나 걸리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보관부(100)는 주차공간(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부(100)는 지하 주차장 각각의 주차구역마다 개별로 위치하고, 주차공간(2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형성된 주차공간(2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하 주차장의 한 주차구역에 주차된 전기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소방포(200)는 보관부(1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포(200)는 보관부(100) 내부에 지그재그로 개켜서 보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는 보관부(100)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보관될 수 있음으로써, 소방포(200)가 펼쳐질 때, 보다 수월하게 전개될 수 있다.
감지부(300)는 보관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00)는 보관부(100)로부터 주차구역(20)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구역(20)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화재나 연기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해낼 수 있다.
작동부(400)는 감지부(300)의 작동에 의해 소방포(200)를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400)는 감지부(300)가 화재를 감지하면 보관부(100)에 보관된 소방포(200)를 방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는 보다 신속하게 화재가 일어나는 물체를 한번에 덮음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소방포(200)는 하부가이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포(200)는 하부가이드(250)에 안착되어 보관부(100)에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포(200)는 하부가이드(250) 내부에 안착되어 지그재그로 겹겹이 쌓여 보관부(100)에 보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는 보관부(100) 내부에서 헝크러지지 않고 깔끔하게 보관될 수 있음으로써, 화재 시, 소방포(200)가 펼쳐질 때 겹겹이 쌓여진 소방포(200)가 순차적으로 수월하게 펼쳐질 수 있다.
하부가이드(250)는 보관부(1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가이드(250)는 보관부(100) 내부의 개구부(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가이드(250)는 개구부(410)가 화재구획으로 개방될 때에 맞춰 하부로 하강할 수 있음으로써, 화재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하부가이드(250)는 소방포(200) 하측에 연결되는 1~5kg의 합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가이드(250)는 소방포(200) 하측에 핀으로 연결되고, 3kg의 합판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가이드(250)의 무게가 가중된 소방포(200)는 화재 시 중력가속도를 받아 더욱 빠르게 하강될 수 있음으로써, 화재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작동부(400)는 개구부(410), 롤(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410)는 보관부(100)에서 화재구획을 향하는 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410)는 보관부(100)에서 화재구획을 향하는 면 모서리에 4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410)는 힌지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410)는 보관부(100) 일면에 형성되어, 개구부(410) 모서리에 형성된 힌지(경첩)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구부(410)의 열림과 닫힘이 가능해짐으로써, 화재 시 소방포(200)가 화재구획으로 정확하게 하강할 수 있다.
롤(420)은 소방포(200)가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420)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비율의 사각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소방포(200)가 권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의 보관이 보다 용이할 수 있고, 개구부(410)가 회동되며 열릴 때, 롤(420)의 회전운동을 통해 소방포(200)가 보다 빠르고 매끄럽게 펼쳐질 수 있다.
제어부(430)는 개구부(410)를 회동하고 롤(4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00)가 화재를 작동한 경우, 제어부(430)는 개구부(410)를 회동하고 롤(420)을 회전시킴으로써, 소방포(200)를 화재구역에 보다 정확하게 방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화재 이후에 물건의 소각이 끝나고 화재가 잠식되어 감지부(300)가 화재연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430)는 개구부(410)를 회동하고 롤(420)을 회전시켜 소방포(200)를 보관부(100)에 다시 수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끝난 후에 재를 처리하거나 화재의 원인을 감식하기 위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사람이 직접 제거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소방포(200)를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버튼과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버튼으로 전동되고 손잡이를 조작해 롤(420)을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소방포(200)가 롤(420)에서 권취되거나 펼쳐질 수 있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시에 인명피해없이 보다 안전하게 소방포(20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소방포(200)는 탄성연결부(210), 야광띠(220), 손잡이(230) 및 하부가이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는 화재가 발생한 공간을 외부영역과 경계를 형성해줌으로써, 주변에 불이 옮기지 않고, 화재의 연속성을 예방할 수 있다. 더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가 유출되지 않아 지하주차장, 캐비닛이 설치되는 건물 내부, 복잡한 전선이 엉켜 있고 밀폐된 서버관리실과 같은 환기가 어렵고 2차 화재 위험도가 높은 곳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재연기로 인한 질식사고 또는 화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잠식된 후에 소각된 물체가 내부에 남아있기에 화재조사 감식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주차장에 적용한 소방포(200)는 다른 차량으로의 화재 확산 또는 주차 차량으로의 화재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탄성연결부(210)는 서로 인접한 소방포의 끝단이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소방포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연결부(210)는 소방포(200)가 L1 길이로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소방포(2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부위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가 보관부(100)에서 방사되어 펼쳐질 때, 소방포(200)가 들춰져 틈새가 벌어질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야광띠(220)는 소방포(200) 내부를 향하는 면에 야광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광띠(220)는 소방포(200)의 내부 면에 야광소재로 형성되고, 'EXIT'와 같은 문구와 탈출구를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공간(20)에서 자동차(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탈출하려는 탑승자는 소방포(200)가 펼쳐져 어두운 공간에서 야광띠(220)를 육안으로 보다 확실하게 살필 수 있음으로써, 탈출이 수월해지고,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손잡이(230)는 야광띠(22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230)는 야광띠(220)에서 지면으로 약 30cm 떨어진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공간(20)에서 자동차(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탈출하려는 탑승자가 어린이거나 노약자일 경우에 무거운 소방포(200)를 손잡이(230)로 잡고 젖혀 나갈 수 있게됨으로써, 탈출이 수월해지고,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하부가이드(250)는 내부리브(250a) 및 외부리브(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가이드(250)는 화재구획 방향으로 약 280mm의 내부리브(250a)가 형성되고, 외부영역 방향으로 약 50mm의 외부리브(25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리브(250a)와 외부리브(250b) 사이에 소방포(200)가 위치할 수 있음으로써, 화재 시 바닥으로 유출될 수 있는 매연 또는 불씨를 보다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하부가이드(250)는 마찰부(251) 및 스프링(25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251)는 하부가이드(250)와 주차공간(20)이 맞닿는 면 또는 하부가이드(250)와 설치공간(40)이 맞닿는 면에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시, 소방포(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하부가이드(250)가 소방포(200) 내부에서 폭발이나 화염에 의해 움직여도 고무재질의 마찰부(251)로 인해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소방포(200)가 들춰지거나 날라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스프링(252)은 하부가이드(250)와 보관부(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252)은 보관부(100) 내부에 이격되어 위치한 하부가이드(250)와 보관부(100) 내면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관부(100)에 하부가이드(250)가 보관되어 있을 때에는 스프링(252)은 압축된 상태이고, 하부가이드(250)가 하강하며 소방포(200)가 펼쳐지면 스프링(252)은 인장된 상태일 수 있다.결국, 스프링(252)은 외부리브(250b)를 덮고있는 소방포(200)를 밀어낼 수 있음으로써, 소방포(200)는 보다 넓은 면적을 화재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이는 화재의 안정성을 높이고 소방포(200)를 펼치기 위한 인력을 요하지 않기에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스프링(252) 단부에는 고리(25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254)는 하부가이드(250)의 스프링(252)을 매개로 연결되며, 하부가이드(250) 외부에 덮혀진 소방포(200)보다 더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가이드(250)가 자동차 또는 지면에 적치된 적치물로 인해, 자동차를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없을 경우, 고리(254)에 물체를 걸어 하부가이드(2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결국, 하부가이드(250)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다가가는 소방대원 또는 주변 사람이 소방포(200)에 손을 가까이 대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안정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연장봉(253)은 하부가이드(250)의 외부리브(250b)에 복수개 형성된 봉일 수 있다.
고리(254)는 연장봉(253)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254)는 하부가이드(250)의 연장봉(253)을 매개로 연결되며, 하부가이드(200) 외부에 덮혀진 소방포(200)보다 더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가이드(250)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다가가는 소방대원 또는 주변 사람이 소방포(200)에 손을 가까이 대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안정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더해서, 고리(254)만 형성될 경우, 고리(254)는 소방포(200) 덮혀져 필요할 때 사용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을 연장봉(253)으로 인해 고리(254)는 하부가이드(250)로부터 더욱 이격되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소방포(200)는 보관부(100)와 화재구획 바닥 간의 거리보다 500mm 이상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포(200)는 보관부(100)와 화재구획 바닥 간의 거리보다 600mmm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시, 소방포(200)가 펼쳐지며 여분의 소방포(200)는 외부리브(250b)를 덮을 수 있다. 결국, 소방포(200)는 하부가이드(250)가 막지 못한 연기 또는 불꽃의 유출을 한 번 더 막을 수 있고, 소화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질 수 있다.
소방포(200)는 보관부(100) 외면의 개수와 대응되게 개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 단면의 보관부(100)에 형성된 4개의 측면과 대응되게 소방포(200)는 개별로 4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가 보관부(100)에서 방사될 때, 움직임이 보다 자연스러워지고, 소방포(200) 내부에서 탈출하려는 사람이 소방포(200)를 밀고 탈출할 수 있음으로써, 안정성이 높고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작동부(400)는 와이어(440) 및 고리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40)는 긴 줄로 형성되어 소방포(2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를 롤(420)에 감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재에 노출될 위험 없이, 소방포(200)를 펼치거나 롤(420)에 권취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440)는 끝단이 하부가이드(250)에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가 펼쳐져도 하부가이드(250)가 이탈되지 않고, 주차공간(20), 설치공간(40) 등 화재 구획에 정확히 대응되게 펼쳐질 수 있다.
고리부(460)는 소방포(200) 외면에 복수개가 나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부(460)는 소방포(200) 외면에 3개가 나열되어 와이어(440)를 걸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440)는 3개의 고리부(460)에 걸려 소방포(200)와의 연결이 보다 튼튼할 수 있다.
와이어(440)는 고리부(460) 걸려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440)는 고리부(460)에 걸려 3개의 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를 보다 수월하게 펼치고 접을 수 있다.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질식소화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질식소화부(500)는 방사된 소방포(200)의 내부구획으로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식소화부(500)는 방사된 소방포(200)의 내부로 Co2, 분말, 할론1211, 할론1301 등의 전기기계기구에 사용되는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일어나면 소방포(200)로 질식 후 소화제로 질식 및 냉각시킴으로써, 질식소화와 냉각소화가 동시에 일어나 소화 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질식소화부(500)는 배관(510), 노즐(520) 및 소화탱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510)은 보관부(100) 내부를 가로질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510)은 보관부(100) 내부를 가로질러 2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510)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외부 온도나 충격에 의해 배관(510) 냉각되거나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배관(510)을 통해 이동하는 Co2, 분말, 할론1211, 할론1301 등의 전기기계기구에 사용되는 소화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520)은 배관(510)에 연통되고 보관부(100)에서 소화구획을 향해 관통하는 방향으로 한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520)은 배관(510)에 연통되고, 보관부(100)에서 주차공간(20)을 향해 관통되는 방향으로 2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즐(520)은 주차공간(20)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소화탱크(530)는 배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탱크(530)는 보관부(100) 상부에 위치하고, 배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화탱크(530)에 저장된 Co2, 분말, 할론1211, 할론1301 등의 전기기계기구에 사용되는 소화제를 보다 신속하게 배관(5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화탱크(53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보관부(100) 상부를 지나며,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하주차장과 같이 천장에 많은 배관이 지나는 밀폐된 공간에서 소화탱크(530)가 배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심미적으로 미관을 해치지 않고, 소화탱크(530)의 보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소화탱크(530)는 Co2, 물 또는 소화약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탱크(530) 내에는 배관(510)를 통해 노즐(520)로 분사되는 Co2, 물 또는 소화약제가 채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는 구획에 소화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소방포(200)의 질식소화에 이어 2차 화재 진압이 가능해진다. 결국,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소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와이어롤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와이어(440)는 복수개의 줄로 형성되어 고리부(460)를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롤러(450)는 연장된 와이어(440)가 교차되고, 도르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된 와이어(440)가 와이어롤러(450)에서 만나 도르래 기능을 하는 와이어롤러(450)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440)의 수직운동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의 상하 운동 제어가 가능해진다. 결국, 주차공간(20) 또는 설치공간(40)에서 화재가 끝나, 소방포(200)를 철회하기 위한 인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소방포(200)를 사람이 철수하게 될 때, 잔여 연기 또는 불씨로 인해 인명 피해를 당할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소방포(200)는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포(200)는 이중으로 형성되어 한 개는 약 3000mm의 길이로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약3500mm의 길이로 외부에 형성되어 하부가이드(250)를 덮을 수 있다. 약 3000mm 길이의 소방포(200)에는 와이어(4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와 연기는 이중으로 차단됨으로써, 소화에 대한 안정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무게중심봉을 적용한 사시도이다.
무게중심봉(240)은 소방포(200) 중앙부근에 원통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중심봉(240)은 4개의 소방포(200) 각각 중앙에 원통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무게중심봉(240)의 무게로 인해 소방포(200)의 무게가 무거워짐으로써, 보관부(100)에서 소방포(200)가 방사될 때, 중력가속도를 더욱 받아 소방포(200)가 빠르게 펼쳐질 수 있다.
무게중심봉(240)은 수평추(241) 및 탄성부(24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추(241)는 무게중심봉(240) 내부에 형성되고, 5~10kg의 무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추(241)는 무게중심봉(240)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내부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5kg의 무게로 양측이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평추(241)는 무게중심봉(240)의 기울기에 따라 무게중심봉(240)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해진다.
탄성부(242)는 무게중심봉(240) 양 끝단 내부에 압축되어 형성된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242)는 무게중심봉(240) 양 끝단 내부에 압축되어 억지끼움으로 끼워진 스프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공간(20)을 이탈하여 주차한 자동차(10)나 설치공간(40)을 벗어나 설치된 캐비닛(30)에 소방포(200)가 방사된다면 완전히 펼쳐지는 것이 아니라 한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거나 들려서 펼쳐질 수 있다. 이는 소방포(200)가 외부영역으로부터 화재가 일어나는 영역을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다만, 수평추(241)와 탄성부(242)의 구성으로 인해 소방포(200)는 화재 영역을 차단할 수 있다. 자세히는, 무게중심봉(240)이 기울어지면 수평추(241)가 내부에서 기울어진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중력가속도를 받은 수평추(241)는 무게중심봉(240) 끝단에 위치한 탄성부(242)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242)는 수평추(241)를 튕겨내게 된다. 결국 수평추(241)의 운동으로 인해 무게중심봉(240)이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이와 대응되게 소방포(200)가 들썩이면서 수평을 찾아갈 수 있다. 결국, 소방포(200)는 화재가 발생하는 차량(10) 또는 캐비닛(30)을 완전히 도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공간(20) 또는 설치공간(40)에 딱 맞춰 화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다른 차량으로 화재가 번지거나 대형화재가 일어날 위험성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무게중심봉(240)은 소방포(200)의 질식소화가 이루어지는 면과 외부에 노출되는 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무게중심봉(240)은 화재가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져도 소방포(200)에서 결합이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무게중심봉(240)은 소방포(200)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다른 무게중심봉(240)과 양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중심봉(240)은 4개의 소방포(200)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다른 무게중심봉(240)과 양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단, 겹쳐지는 소방포(200)는 연결되지 않고 무게중심봉(240)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2개의 소방포(200)가 제대로 펼쳐지지 않은 상태일 경우는 2개의 무게중심봉(240)이 수평을 이루지 않기에 2개의 무게중심봉(240)이 수평추(241)에 의해 무게가 가중된 운동을 함으로써, 소방포(200)에 보다 큰 힘이 작용돼 보다 수월하게 도포될 수 있다. 예시로 개수를 지정했을 뿐, 이는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와이어(440)은 소방포(200)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440)은 소방포(200)의 모서리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롤러(450)는 연장된 와이어(440)가 교차되고, 도르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겹쳐진 소방포(200)에서 와이어(440)이 형성된 소방포(200) 상부 모서리 부분은 와이어(440)에 의해 그 면적만 결합될 수 있다. 즉, 4개의 소방포(200) 각 모서리에 형성된 와이어(440)은 총 8개여야 하지만, 2개의 소방포(200)와 와이어(440)이 겹쳐지는 부분은 와이어(440)의 형성으로 인해 결합됨으로써, 4개의 와이어(440)로도 소방포(200)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확산방지장치(1000)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무게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부(100)가 보관하는 소방포(200)의 하중을 줄여 장시간 설치가 가능하다.
제어부(430)는 감지부(300)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와이어롤러(4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0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제어부(430)는 와이어롤러(450)를 회전시켜 와이어(440)를 연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440)에 연결된 소방포(200)는 아래로 하강해 화제구획에 펼쳐질 수 있음으로써, 외부 영역으로부터 화재를 차단할 수 있다. 결국, 화재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의 캐비닛 설치구획에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보관부(100)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부(100)는 ESS 캐비닛, 이차전지충전 캐비닛 또는 서버데이터 케비닛(30) 등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비닛(30) 내부의 전자기계 또는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 소화기는 소화가 어렵기에 다른 캐비닛에 불이 옮겨 붙어 2차 피해 또는 대형 화재의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다. 결국, 방수처리가 되어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질식 및 냉각 과정을 통해 소화시킴으로써, 화재진압의 신속성을 향상시키고 비전문가도 소화 과정을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0: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10: 자동차 20: 주차공간
30: 캐비닛 40: 설치공간
100: 보관부 200: 소방포
210: 탄성연결부 220: 야광띠
230: 손잡이 240: 무게중심봉
241: 수평추 242: 탄성부
250: 하부가이드 251: 마찰부
252: 스프링 253: 연장봉
254: 고리
300: 감지부 400: 작동부
410: 개구부 420: 롤
430: 제어부 440: 와이어
450: 와이어롤러 460: 고리부
500: 질식소화부 510: 배관
520: 노즐 530: 소화탱크

Claims (9)

  1.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수납된 소방포;
    상기 보관부에 연결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방포를 방사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된 상기 소방포의 내부구획으로 소화제를 분사하는 질식소화부를 더 포함하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자동차의 주차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배터리 또는 서버 캐비닛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포는,
    인접한 소방포와 끝단이 겹쳐지고, 각각의 소방포는 탄성연결부로 연결되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포는,
    내부를 향하는 면에 야광소재로 형성되는 야광띠; 및
    상기 야광띠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포는,
    중앙부근에 원통 형태의 무게중심봉이 끼워져 있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소방포 모서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보관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롤러;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롤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질식소화부는,
    상기 보관부에 연결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가스탱크를 포함하는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
KR1020220095219A 2022-08-01 2022-08-01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KR20240017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219A KR20240017449A (ko) 2022-08-01 2022-08-01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219A KR20240017449A (ko) 2022-08-01 2022-08-01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449A true KR20240017449A (ko) 2024-02-08

Family

ID=8990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219A KR20240017449A (ko) 2022-08-01 2022-08-01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4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JP7472375B2 (ja) 防災設備
KR101784290B1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102598716B1 (ko) 차량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59797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CN213063077U (zh) 防火防震防盗多用安全仓
KR20200110872A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20240017449A (ko)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JP2023106386A (ja) 防災設備
JP7496456B2 (ja) 防災設備のシート展開装置
KR102640998B1 (ko)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CN212593638U (zh) 公寓火灾安全系统
CN212957875U (zh) 立体停车系统
CN216319619U (zh) 一种适合电动汽车充电车位的消防装置
CN211724446U (zh) 加油机火情自动应急系统
JP2010119516A (ja) 建物及び建物の設計装置
JP2003117011A (ja) 避難具
CN114370194A (zh) 防火防震安全屋
KR20120086525A (ko) 비상 탈출 시스템
JPH09290031A (ja) 据置定置したロボット式消火法及びその装置。
KR102678299B1 (ko) 전기차 소화장치
KR102619702B1 (ko) 화재진압 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재기기
KR102550444B1 (ko)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