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998B1 -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998B1
KR102640998B1 KR1020230085027A KR20230085027A KR102640998B1 KR 102640998 B1 KR102640998 B1 KR 102640998B1 KR 1020230085027 A KR1020230085027 A KR 1020230085027A KR 20230085027 A KR20230085027 A KR 20230085027A KR 102640998 B1 KR102640998 B1 KR 10264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ctric vehicle
unit
fire extinguishing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욱래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드케이
조욱래
김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드케이, 조욱래, 김민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드케이
Priority to KR102023008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화재에 대한 신속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인근 차량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 분사장치를 통해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Fire prevention system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lower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화재에 대한 신속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인근 차량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 분사장치를 통해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충전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데, 전기자동차가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차량 화재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거나 전기자동차로 화재가 번지게 되면 배터리 폭발, 지하주차장의 특성상 수십~수백대의 차량이 손상을 받을 수 있는 등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소방 안전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열폭주로 인해 건물 구조 또는 건물에 설치된 배관 등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방수처리가 된 수많은 이차전지를 묶어 형성되어 있어 일반 소화기로는 소화가 어렵고 배터리가 전부 소각되어야만 화재가 진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대응하도록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된 종래의 화재진압장비는 차량 화재 발생시 화재발생 차량과 인근 차량의 외부에만 소화수를 분사하게 되어 차량 내부에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화염이나 화재 복사열에 의한 인근 차량으로 확산되는 화재 및 연료탱크 폭발과 같은 2차 피해를 방지하는데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상부 또는 측면에서 소화수를 분사하게 되더라도 차체 하부로는 소화수가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를 완전히 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98280호(2019.07.0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화재에 대한 신속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인근 차량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 분사장치를 통해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자동차의 주차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수납된 소방포; 상기 보관부에 연결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방포를 방사하는 작동부; 및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전기자동차에 화재 발생시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하부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방포는, 내부를 향하는 면에 야광소재로 형성되는 야광띠; 상기 야광띠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중앙부근에 원통 형태로 끼워지는 무게중심봉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소방포 모서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보관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롤러;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롤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방사된 상기 소방포의 내부구획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질식소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질식소화부는, 상기 보관부에 연결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소화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분사장치는,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 하부에 설치되는 저수조;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분사되는 소화수를 저수조로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분사로; 상기 분사로의 하부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저수조의 하부 일측으로 타측 단부가 연결되어 소화수를 공급하는 분사라인; 상기 분사라인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분사로에 위치하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폭과 길이보다 더 큰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수로로 모여지는 소화수를 저수조로 배수하는 배수라인; 상기 배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플레이트는, 분사홀과 배수홀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되며, 상기 분사부를 통해 분사된 소화수가 배수로 측으로 곧바로 배수되도록 분사홀에서 배수홀 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는 배수안내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화재에 대한 신속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인근 차량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 분사장치를 통해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주차공간에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와이어 롤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무게중심봉을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하부 분사장치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하부 분사장치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바닥플레이트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바닥플레이트에 공기유입로가 형성된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은, 보관부(100), 소방포(200), 감지부(300), 작동부(400), 하부 분사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1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부(100)는 지면으로부터 3m 이격된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관부(100) 하부에 자동차, 캐비닛 및 화재의 위험이 있는 물건을 보다 용이하게 놓을 수 있다.
또한, 빈공간에 소방포(200)가 넉넉하게 들어갈 수 있음으로써, 소방포(200)를 방사할 때 소방포(200)가 보관부(100) 내부에 끼이거나 걸리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100)는 주차공간(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부(100)는 지하 주차장 각각의 주차구역마다 개별로 위치하고, 주차공간(2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형성된 주차공간(2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하 주차장의 한 주차구역에 주차된 전기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소방포(200)는 보관부(1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포(200)는 보관부(100) 내부에 지그재그로 개켜서 보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는 보관부(100)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보관될 수 있음으로써, 소방포(200)가 펼쳐질 때, 보다 수월하게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소방포(200)는 탄성연결부(210), 야광띠(220), 손잡이(230) 및 하부가이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는 화재가 발생한 공간을 외부영역과 경계를 형성해줌으로써, 주변에 불이 옮기지 않고, 화재의 연속성을 예방할 수 있다. 더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가 유출되지 않아 지하주차장, 캐비닛이 설치되는 건물 내부, 복잡한 전선이 엉켜 있고 밀폐된 서버관리실과 같은 환기가 어렵고 2차 화재 위험도가 높은 곳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재연기로 인한 질식사고 또는 화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잠식된 후에 소각된 물체가 내부에 남아있기에 화재조사 감식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주차장에 적용한 소방포(200)는 다른 차량으로의 화재 확산 또는 주차 차량으로의 화재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210)는 서로 인접한 소방포의 끝단이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소방포(20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연결부(210)는 소방포(200)가 L1 길이로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소방포(2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부위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가 보관부(100)에서 방사되어 펼쳐질 때, 소방포(200)가 들춰져 틈새가 벌어질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야광띠(220)는 소방포(200) 내부를 향하는 면에 야광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광띠(220)는 소방포(200)의 내부 면에 야광소재로 형성되고, 'EXIT'와 같은 문구와 탈출구를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공간(20)에서 전기자동차(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탈출하려는 탑승자는 소방포(200)가 펼쳐져 어두운 공간에서 야광띠(220)를 육안으로 보다 확실하게 살필 수 있음으로써, 탈출이 수월해지고,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30)는 야광띠(22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230)는 야광띠(220)에서 지면으로 30cm 떨어진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공간(20)에서 자동차(1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탈출하려는 탑승자가 어린이거나 노약자일 경우에 무거운 소방포(200)를 손잡이(230)로 잡고 젖혀 나갈 수 있게됨으로써, 탈출이 수월해지고,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250)는 내부리브(250a) 및 외부리브(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가이드(250)는 화재구획 방향으로 280mm의 내부리브(250a)가 형성되고, 외부영역 방향으로 50mm의 외부리브(25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리브(250a)와 외부리브(250b) 사이에 소방포(200)가 위치할 수 있음으로써, 화재 시 바닥으로 유출될 수 있는 매연 또는 불씨를 보다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리브(250a)의 높이로 인해 하부 분사장치(600)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주차공간 외측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250)는 마찰부(251) 및 스프링(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51)는 하부가이드(250)와 주차공간(20)이 맞닿는 면에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시, 소방포(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하부가이드(250)가 소방포(200) 내부에서 폭발이나 화염에 의해 움직여도 고무재질의 마찰부(251)로 인해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소방포(200)가 들춰지거나 날라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52)은 하부가이드(250)와 보관부(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252)은 보관부(100) 내부에 이격되어 위치한 하부가이드(250)와 보관부(100) 내면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관부(100)에 하부가이드(250)가 보관되어 있을 때에는 스프링(252)은 압축된 상태이고, 하부가이드(250)가 하강하며 소방포(200)가 펼쳐지면 스프링(252)은 인장된 상태일 수 있다. 결국, 스프링(252)은 외부리브(250b)를 덮고있는 소방포(200)를 밀어낼 수 있음으로써, 소방포(200)는 보다 넓은 면적을 화재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이는 화재의 안정성을 높이고 소방포(200)를 펼치기 위한 인력을 요하지 않기에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52) 단부에는 고리(25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254)는 하부가이드(250)의 스프링(252)을 매개로 연결되며, 하부가이드(250) 외부에 덮혀진 소방포(200)보다 더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가이드(250)가 전기자동차(10) 또는 지면에 적치된 적치물로 인해, 전기자동차(10)를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없을 경우, 고리(254)에 물체를 걸어 하부가이드(2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결국, 하부가이드(250)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다가가는 소방대원 또는 주변 사람이 소방포(200)에 손을 가까이 대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안정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연장봉(253)은 하부가이드(250)의 외부리브(250b)에 복수개 형성된 봉일 수 있다.
상기 고리(254)는 연장봉(253)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254)는 하부가이드(250)의 연장봉(253)을 매개로 연결되며, 하부가이드(200) 외부에 덮혀진 소방포(200)보다 더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가이드(250)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다가가는 소방대원 또는 주변 사람이 소방포(200)에 손을 가까이 대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안정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더해서, 고리(254)만 형성될 경우, 고리(254)는 소방포(200) 덮혀져 필요할 때 사용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을 연장봉(253)으로 인해 고리(254)는 하부가이드(250)로부터 더욱 이격되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소방포(200)는 보관부(100)와 화재구획 바닥 간의 거리보다 500mm 이상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포(200)는 보관부(100)와 화재구획 바닥 간의 거리보다 600mmm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시, 소방포(200)가 펼쳐지며 여분의 소방포(200)는 외부리브(250b)를 덮을 수 있다. 결국, 소방포(200)는 하부가이드(250)가 막지 못한 연기 또는 불꽃의 유출을 한 번 더 막을 수 있고, 소화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질 수 있다.
소방포(200)는 보관부(100) 외면의 개수와 대응되게 개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 단면의 보관부(100)에 형성된 4개의 측면과 대응되게 소방포(200)는 개별로 4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가 보관부(100)에서 방사될 때, 움직임이 보다 자연스러워지고, 소방포(200) 내부에서 탈출하려는 사람이 소방포(200)를 밀고 탈출할 수 있음으로써, 안정성이 높고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소방포(200)는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포(200)는 이중으로 형성되어 한 개는 3000mm의 길이로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3500mm의 길이로 외부에 형성되어 하부가이드(250)를 덮을 수 있다. 3000mm 길이의 소방포(200)에는 와이어(4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와 연기는 이중으로 차단됨으로써, 소화에 대한 안정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무게중심봉을 적용한 사시도이다.
상기 무게중심봉(240)은 소방포(200) 중앙부근에 원통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중심봉(240)은 4개의 소방포(200) 각각 중앙에 원통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무게중심봉(240)의 무게로 인해 소방포(200)의 무게가 무거워짐으로써, 보관부(100)에서 소방포(200)가 방사될 때, 중력가속도를 더욱 받아 소방포(200)가 빠르게 펼쳐질 수 있다.
무게중심봉(240)은 수평추(241) 및 탄성부(24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추(241)는 무게중심봉(240) 내부에 형성되고, 5~10kg의 무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추(241)는 무게중심봉(240)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내부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5kg의 무게로 양측이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평추(241)는 무게중심봉(240)의 기울기에 따라 무게중심봉(240)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탄성부(242)는 무게중심봉(240) 양 끝단 내부에 압축되어 형성된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242)는 무게중심봉(240) 양 끝단 내부에 압축되어 억지끼움으로 끼워진 스프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공간(20)을 이탈하여 주차한 전기자동차(10)에 소방포(200)가 방사된다면 완전히 펼쳐지는 것이 아니라 한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거나 들려서 펼쳐질 수 있다.
이는 소방포(200)가 외부영역으로부터 화재가 일어나는 영역을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다만, 수평추(241)와 탄성부(242)의 구성으로 인해 소방포(200)는 화재 영역을 차단할 수 있다.
자세히는, 무게중심봉(240)이 기울어지면 수평추(241)가 내부에서 기울어진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중력가속도를 받은 수평추(241)는 무게중심봉(240) 끝단에 위치한 탄성부(242)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242)는 수평추(241)를 튕겨내게 된다.
결국 수평추(241)의 운동으로 인해 무게중심봉(240)이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이와 대응되게 소방포(200)가 들썩이면서 수평을 찾아갈 수 있다. 결국, 소방포(200)는 화재가 발생하는 전기자동차(1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공간(20) 또는 설치공간(40)에 딱 맞춰 화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다른 차량으로 화재가 번지거나 대형화재가 일어날 위험성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무게중심봉(240)은 소방포(200)의 질식소화가 이루어지는 면과 외부에 노출되는 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무게중심봉(240)은 화재가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져도 소방포(200)에서 결합이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봉(240)은 소방포(200)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다른 무게중심봉(240)과 양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중심봉(240)은 4개의 소방포(200)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다른 무게중심봉(240)과 양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단, 겹쳐지는 소방포(200)는 연결되지 않고 무게중심봉(240)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2개의 소방포(200)가 제대로 펼쳐지지 않은 상태일 경우는 2개의 무게중심봉(240)이 수평을 이루지 않기에 2개의 무게중심봉(240)이 수평추(241)에 의해 무게가 가중된 운동을 함으로써, 소방포(200)에 보다 큰 힘이 작용돼 보다 수월하게 도포될 수 있다. 예시로 개수를 지정했을 뿐, 이는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감지부(300)는 보관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00)는 보관부(100)로부터 주차구역(20)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구역(20)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화재나 연기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해낼 수 있다.
상기 작동부(400)는 감지부(300)의 작동에 의해 소방포(200)를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400)는 감지부(300)가 화재를 감지하면 보관부(100)에 보관된 소방포(200)를 방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는 보다 신속하게 화재가 일어나는 물체를 한번에 덮음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작동부(400)는 개구부(410), 롤(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10)는 보관부(100)에서 화재구획을 향하는 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410)는 보관부(100)에서 화재구획을 향하는 면모서리에 4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10)는 힌지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410)는 보관부(100) 일면에 형성되어, 개구부(410) 모서리에 형성된 힌지(경첩)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구부(410)의 열림과 닫힘이 가능해짐으로써, 화재 시 소방포(200)가 화재구획으로 정확하게 하강할 수 있다.
롤(420)은 소방포(200)가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420)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비율의 사각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소방포(200)가 권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의 보관이 보다 용이할 수 있고, 개구부(410)가 회동되며 열릴 때, 롤(420)의 회전운동을 통해 소방포(200)가 보다 빠르고 매끄럽게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개구부(410)를 회동하고 롤(4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00)가 화재를 작동한 경우, 제어부(430)는 개구부(410)를 회동하고 롤(420)을 회전시킴으로써, 소방포(200)를 화재구역에 보다 정확하게 방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화재 이후에 물건의 소각이 끝나고 화재가 잠식되어 감지부(300)가 화재연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430)는 개구부(410)를 회동하고 롤(420)을 회전시켜 소방포(200)를 보관부(100)에 다시 수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끝난 후에 재를 처리하거나 화재의 원인을 감식하기 위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사람이 직접 제거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소방포(200)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버튼과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버튼으로 전동되고 손잡이를 조작해 롤(420)을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소방포(200)가 롤(420)에서 권취되거나 펼쳐질 수 있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시에 인명피해없이 보다 안전하게 소방포(20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상기 작동부(400)는 와이어(440) 및 고리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40)는 긴 줄로 형성되어 소방포(2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를 롤(420)에 감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재에 노출될 위험 없이, 소방포(200)를 펼치거나 롤(420)에 권취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40)는 끝단이 하부가이드(250)에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가 펼쳐져도 하부가이드(250)가 이탈되지 않고, 주차공간(20), 설치공간(40) 등 화재 구획에 정확히 대응되게 펼쳐질 수 있다.
상기 고리부(460)는 소방포(200) 외면에 복수개가 나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부(460)는 소방포(200) 외면에 3개가 나열되어 와이어(440)를 걸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440)는 3개의 고리부(460)에 걸려 소방포(200)와의 연결이 보다 튼튼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40)는 고리부(460) 걸려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440)는 고리부(460)에 걸려 3개의 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를 보다 수월하게 펼치고 접을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하부 분사장치(600)는 저수조(610), 분사부(620), 배수부(630), 바닥플레이트(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610)는 주차공간(20)의 바닥면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수조(610)는 바닥면 하부의 지중에 매립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면 하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저수조(610) 내부에는 분사부(620) 측으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펌프가 설치되어 분사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저수조(610)는 일정량의 소화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전기자동차(10)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분사부(620) 측으로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620)는 저수조(61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게 되고, 주차공간(20)의 바닥에서 소화수가 분사되어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장착된 배터리 부분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620)는 분사로(621), 분사라인(622), 노즐(6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로(621)는 주차공간(20)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주차공간(20)에 전기자동차(10)가 주차된 상태에서,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분사로(621)는 바닥면에서 일정 깊이를 가지면서 일정 길이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일정 깊이를 가지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속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라인(622)은 분사로(621)와 저수조(610)를 연결하게 되며, 일측 단부는 분사로(62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저수조(610)의 하부 일측으로 연결되어 저수조(6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분사라인(622)은 금속 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노즐(623)은 분사로(621)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분사라인(62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노즐(623)은 분사로(621)의 상부 즉,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수부(630)는 주차공간(2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분사되는 소화수를 모아서 저수조(610)로 배수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630)는 배수로(631), 배수라인(632), 여과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로(631)는 주차공간(20)에 주차되는 전기자동차의 크기에서 벗어난 위치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기자동차(10)의 크기보다 더 큰 폭과 길이를 가진 바닥면에 형성되며, 분사부(620)를 통해 전기자동차(10)의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더라도 소화수가 주차공간이 아닌 주차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한 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배수라인(632)는 배수로(631)로 모여진는 소화수를 저수조(610)로 배수하는 관체이다. 상기 배수라인(632)의 일측 단부는 배수로(6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소화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측 단부는 저수조(6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배수라인(632)은 배수로(631)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저수로(61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며, 다수로 연장된 배수라인의 끝 단부는 저수조(610)의 상부에서 하나의 관체로 모아져 저수조(610)의 상부로 연결된다.
상기 여과부(633)는 배수라인(63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여과부(633) 다수의 배수라인(632)이 하나의 관체로 모여지는 배수라인(63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633)는 배수라인(632)을 통해 배수되는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다층의 헤파필터 또는 역삼투압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640)는 주차공간(20)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분사부(620)와 배수부(630)를 덮게 된다.
상기 바닥플레이트(640)는 주차공간(20)으로 주차되는 전기자동차(10)를 지탱하게 된다.
상기 바닥프레이트(64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분사홀(641)과 배수홀(64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분사홀(641)을 통해 전기자동차(10) 하부에 소화수가 분사되고, 상기 배수홀(642)을 통해 소화수가 흘러들어가 저수조(610) 측으로 배수될 것이다.
상기 바닥플레이트(640)의 상면에는 소화수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배수안내면(6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안내면(643)은 분사부(620)를 통해 분사된 소화수가 배수로(631) 측으로 곧바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분사홀(641)에서 배수홀(642) 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플레이트(640)의 분사홀(641)은 배수홀(642) 보다 높게 형성되며,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한 후, 바닥플레이트(640)로 다시 떨어지는 수화수는 배수안내면(643)을 따라 흐름과 동시에 배수로(631)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사홀(641)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가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부 분사장치(600)는 분사부(620)를 통해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되고, 분사된 소화수는 배수부(630)로 흘러 저수조(610)로 배수되며, 저수조(610)로 배수된 소화수는 다시 분사부(620)를 통해 전기자동차(10)의 하부로 분사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저수조(610)에 저장된 소화수가 분사부(620)와 배수부(630)를 통해 반복순환되어 보다 수월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610)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650) 및 소화수 보충라인(66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620)를 통해 배터리가 위치한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소화수가 분사되면, 배터리의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소화수가 일부 증발하게 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650)는 배수부(630)를 통해 배수되어 저수조(610) 내부에 저장되는 소화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소화수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이면 저수조(610) 내부에 소화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소화수의 공급은, 하부 분사장치(600)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소화수 보충라인(660)은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게 되며, 상기 소화수 보충라인(660) 상에는 소화수의 공급을 ON/OFF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저수조(610) 내부에 열에 의해 증발된 양만큼 소화수가 공급되어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가 OFF되어 소화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640)에는 공기유입로(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로(670)는 바닥플레이트(6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유입로(67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가지며, 공기유입로(670)에는 외부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펌프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유입로(670)에는 분사홀(641)과 연통되도록 공급로(67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로(671)는 소화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로(671)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소화수와 혼합되면서 배터리가 배치된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분사된다.
이렇게 상기 분사부(620)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될 때, 소화수에 공기가 혼합되어 분사되므로 소화수에 더욱 활발한 액션을 부여하게 되므로 화재 진압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 시스템(1000)은 질식소화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식소화부(500)는 방사된 소방포(200)의 내부구획으로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식소화부(500)는 방사된 소방포(200)의 내부로 Co2, 분말, 할론1211, 할론1301 등의 전기기계기구에 사용되는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일어나면 소방포(200)로 질식 후 소화제로 질식 및 냉각시킴으로써, 질식소화와 냉각소화가 동시에 일어나 소화 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질식소화부(500)는 배관(510), 노즐(520) 및 소화탱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510)은 보관부(100) 내부를 가로질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510)은 보관부(100) 내부를 가로질러 2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510)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외부 온도나 충격에 의해 배관(510) 냉각되거나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배관(510)을 통해 이동하는 Co2, 분말, 할론1211, 할론1301 등의 전기기계기구에 사용되는 소화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노즐(520)은 배관(510)에 연통되고 보관부(100)에서 소화구획을 향해 관통하는 방향으로 한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520)은 배관(510)에 연통되고, 보관부(100)에서 주차공간(20)을 향해 관통되는 방향으로 2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즐(520)은 주차공간(20)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상기 소화탱크(530)는 배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탱크(530)는 보관부(100) 상부에 위치하고, 배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화탱크(530)에 저장된 Co2, 분말, 할론1211, 할론1301 등의 전기기계기구에 사용되는 소화제를 보다 신속하게 배관(5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화탱크(53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보관부(100) 상부를 지나며,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하주차장과 같이 천장에 많은 배관이 지나는 밀폐된 공간에서 소화탱크(530)가 배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심미적으로 미관을 해치지 않고, 소화탱크(530)의 보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소화탱크(530)는 Co2, 물 또는 소화약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탱크(530) 내에는 배관(510)를 통해 노즐(520)로 분사되는 Co2, 물 또는 소화약제가 채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는 구획에 소화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소방포(200)의 질식소화에 이어 2차 화재 진압이 가능해진다. 결국,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소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의 와이어 롤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와이어(440)는 복수개의 줄로 형성되어 고리부(460)를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롤러(450)는 연장된 와이어(440)가 교차되고, 도르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된 와이어(440)가 와이어롤러(450)에서 만나 도르래 기능을 하는 와이어롤러(450)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440)의 수직운동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소방포(200)의 상하 운동 제어가 가능해진다. 결국, 주차공간(20) 또는 설치공간(40)에서 화재가 끝나, 소방포(200)를 철회하기 위한 인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소방포(200)를 사람이 철수하게 될 때, 잔여 연기 또는 불씨로 인해 인명 피해를 당할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100: 보관부 200: 소방포
210: 탄성연결부 220: 야광띠
230: 손잡이 240: 무게중심봉
241: 수평추 242: 탄성부
250: 하부가이드 251: 마찰부
252: 스프링 253: 연장봉
254: 고리
300: 감지부 400: 작동부
410: 개구부 420: 롤
430: 제어부 440: 와이어
450: 와이어롤러 460: 고리부
500: 질식소화부 510: 배관
520: 노즐 530: 소화탱크
600: 하부 분사장치 610: 저수조
620: 분사부 630: 배수부
640: 고정프레이트 650: 수위 감지센서
660: 소화수 보충라인 670: 공기유입로

Claims (8)

  1. 충전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자동차의 주차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수납된 소방포;
    상기 보관부에 연결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소방포를 방사하는 작동부; 및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전기자동차에 화재 발생시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하부 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부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가이드는,
    화재구획 방향으로 280mm의 내부리브가 형성되고, 외부영역 방향으로 50mm의 외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리브와 외부리브 사이에 소방포가 위치하게 되어 화재 시 바닥으로 유출되는 매연 또는 불씨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고,
    상기 하부가이드와 주차공간이 맞닿는 면에 형성되며 소방포가 펼쳐진 상태에서 하부가이드가 소방포 내부에서 폭발이나 화염에 의해 움직여도 소방포가 들춰지거나 날아가지 않게 하는 마찰부;
    상기 하부가이드와 보관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에 하부가이드가 보관되어 있을 때에는 스프링이 압출된 상태이고, 하부가이드가 하강하여 소방포가 펼쳐지면 스프링이 인장되어 외부리브를 덮고 있느 소방포를 밀어내넓은 면적을 화재로부터 차단하게 되고,
    상기 하부 분사장치는,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 하부에 설치되는 저수조;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분사되는 소화수를 저수조로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하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로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가지며, 공기유입로에는 외부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펌프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입로에는 분사홀과 연통되도록 공급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로는 소화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공급로를 통해 외부 공기가 공급되어 소화수와 혼합되면서 배터리가 배치된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분사되며, 상기 분사부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될 때, 소화수에 공기가 혼합되어 분사되므로 소화수에 더욱 활발한 액션을 부여하여 화재 진압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방포는,
    내부를 향하는 면에 야광소재로 형성되는 야광띠;
    상기 야광띠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중앙부근에 원통 형태로 끼워지는 무게중심봉을 포함하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소방포 모서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보관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롤러;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롤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사된 상기 소방포의 내부구획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질식소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질식소화부는,
    상기 보관부에 연결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소화탱크를 포함하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분사로;
    상기 분사로의 하부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저수조의 하부 일측으로 타측 단부가 연결되어 소화수를 공급하는 분사라인;
    상기 분사라인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분사로에 위치하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전기자동차의 하부에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폭과 길이보다 더 큰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수로로 모여지는 소화수를 저수조로 배수하는 배수라인;
    상기 배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는,
    분사홀과 배수홀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되며,
    상기 분사부를 통해 분사된 소화수가 배수로 측으로 곧바로 배수되도록 분사홀에서 배수홀 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는 배수안내면이 형성되는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KR1020230085027A 2023-06-30 2023-06-30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KR10264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027A KR102640998B1 (ko) 2023-06-30 2023-06-30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027A KR102640998B1 (ko) 2023-06-30 2023-06-30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998B1 true KR102640998B1 (ko) 2024-02-28

Family

ID=9005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027A KR102640998B1 (ko) 2023-06-30 2023-06-30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9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816B1 (ko) * 2017-01-16 2017-05-18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열차단 효율을 높인 소방용 방화기구
KR101998280B1 (ko) 2018-12-04 2019-07-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
KR20220168824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자동차 하부 세차장치
KR102503331B1 (ko) *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KR20230077764A (ko) * 2021-11-25 2023-06-02 이기웅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816B1 (ko) * 2017-01-16 2017-05-18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열차단 효율을 높인 소방용 방화기구
KR101998280B1 (ko) 2018-12-04 2019-07-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
KR20220168824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자동차 하부 세차장치
KR20230077764A (ko) * 2021-11-25 2023-06-02 이기웅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KR102503331B1 (ko) *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223B1 (ko)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KR10167971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US6065546A (en) Fire extinguishing and smoke el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ater mist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93364B1 (ko)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JP7327926B2 (ja) 防災設備
KR102640998B1 (ko) 하부 분사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 방지시스템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20200110872A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2598716B1 (ko) 차량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278177B1 (ko) 화재 진압 능력을 높인 화재 진압 시스템
CN114667170B (zh) 灭火器具、灭火设备以及灭火方法
KR102396887B1 (ko)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1683442B1 (ko) 상하 분사형 소방 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9797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JP2023106386A (ja) 防災設備
KR20240017449A (ko)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CN109972728A (zh) 一种消防通道系统
KR20050075983A (ko) 박막 워터커튼을 이용한 화재 연기 및 화염의 확산방지장치
CN212957875U (zh) 立体停车系统
KR101605803B1 (ko) 질식사 방지장치
KR102419211B1 (ko) 안전형 소방용 제연기기
KR102678299B1 (ko) 전기차 소화장치
KR102619702B1 (ko) 화재진압 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