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001A - 가용형 clec2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법 - Google Patents

가용형 clec2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001A
KR20240017001A KR1020237044828A KR20237044828A KR20240017001A KR 20240017001 A KR20240017001 A KR 20240017001A KR 1020237044828 A KR1020237044828 A KR 1020237044828A KR 20237044828 A KR20237044828 A KR 20237044828A KR 20240017001 A KR20240017001 A KR 20240017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rrhagic stroke
concentration
patient
sclec2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와다
마사히데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이치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1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Abstract

출혈성 뇌졸중의 진료에 있어서, 혈액 검사로 간편하게 진단을 보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중에 존재하는 가용형 CLEC2 농도(또는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를 측정(또는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용형 CLEC2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법
본 발명은 가용형 CLEC2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의 진단방법,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은 뇌의 혈관이 막힘으로써 발증하는 허혈성 뇌졸중, 즉 뇌경색과, 뇌의 혈관이 끊어짐으로써 발증하는 출혈성 뇌졸중, 즉 뇌출혈, 지주막하 출혈을 포함하는 질환군으로, 세계의 사망 원인에서는 허혈성 심질환에 대하여 제2위를 차지한다. 뇌졸중은 사망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생명을 건진 후라도 중도의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가 많아 병간호가 필요해지는 큰 원인이 되고 있어, 환자의 부담, 또한 사회적 부담도 크므로 예방, 조기 진단, 진단 후의 신속한 대응과 폭넓은 많은 의료 관계자에 의한 케어나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는 체제가 필요하다.
출혈성 뇌졸중에는 뇌의 표면의 동맥에 생긴 동맥 혹이 파열되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주막하 출혈과 뇌 내의 가는 동맥이 찢어져서 발증하는 뇌출혈이 있다.
지주막하 출혈은 지주막이라 불리는 뇌 표면에 있는 막과 뇌와의 사이의 공간에 있는 혈관의 출혈이다. 지주막하 출혈의 증상은 대부분이 심한 두통으로서, "방망이로 세게 얻어맞은 듯한 두통" 혹은 "지금까지 체험한 적이 없는 두통" 등으로 표현될 정도의 것이다. 지주막하 출혈의 사망률은 30%에나 달하며, 곧바로 대처가 필요한 매우 중독한 급성기 질환으로서, 가능한 한 빨리 진단할 필요가 있다.
지주막하 출혈의 진단은 전형적인 임상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곧바로 CT 스캔(이하 CT라고 약칭함) 영상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확정할 수 있다. CT에 의한 영상 검사의 감도(환자의 양성률)는 발증 후 12시간에서는 98 내지 100%라고 일컬어져 진단 성능은 매우 양호하며, 그것만으로 진단 가능하다. 그러나, CT 검사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CT 검사 장치가 있는 시설로의 이송이 필요해지고, 지역에 따라서는 CT 검사 장치가 있는 병원이 적은 경우나 감도가 나쁜 CT 검사 장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지주막하 출혈 증례의 10 내지 15%는 도보로 내원하는 가벼운 증례이며, 이들 증례에서는 발증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했거나, 혹은 출혈이 경도인 등의 이유로 CT의 영상으로는 출혈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요추에 바늘을 찔러 수액을 채취하고, 그 속의 혈액의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 검사의 감도(환자의 양성률)는 거의 100%로서, CT 영상이 음성인 경우를 보완하는 매우 양호한 것인데, 요추에 바늘을 찌르기 때문에 침습성이 높아 환자에 대한 부담이 큰 검사법이다.
혈액 검사에 의해 지주막하 출혈을 진단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D-다이머 측정 등이 과거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수액 측정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감도(환자의 양성률)가 거의 100%여야 하는데, 수액 측정 뿐만 아니라 종래의 혈액 검사 항목에서도 그러한 감도를 달성한 적은 없어 현재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없다.
지주막하 출혈에서는 발증 후 초기에 구명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 후 뇌혈관 연축(攣縮)을 일으키는 등의 합병증도 치료 상의 큰 문제이다. 뇌혈관 연축은 발증 4일 후 정도부터 2 내지 3주일 후까지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환자의 경과 관찰은 매우 중요해진다. 지주막하 출혈의 진료를 함에 있어서는 단순히 지주막하 출혈인지 여부를 진단할 뿐만 아니라, 발증 후에 뇌혈관 연축 등의 중대한 합병증을 일으키는지 여부의 예측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지주막하 출혈의 합병증을 예측하고자 하는 생체표지자(biomarker)로는 수액을 샘플로 하는 것은 수많이 알려져 있다. 엔도셀린(endothelin), TNF-α, IL-8, IL-6, 트롬빈-안티트롬빈 복합체, HMGB1 등 많은 수액 중의 생체표지자가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합병증과 관련된다는 기재가 있는데, 이들은 요추로부터 수액을 채취할 필요가 있으므로 실용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만일 수행하였다고 해도 침습성이 높아 환자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검체의 채취는 1회뿐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한편, 뇌출혈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뇌의 혈관이 찢어져서 뇌 속에 출혈을 일으키는 급성 질환이다. 출혈로 인한 피 덩어리가 뇌를 압박하거나 뇌에 부종이 일어나 뇌의 기능이 장애된다. 출혈된 부위나 양에 따라 증상은 서로 다르다고 여겨지고 있으나, 증상은 두통, 구역질, 구토와 같은 감각의 증상인 경우나, 손이나 발의 운동 마비, 저림, 보행 장애와 같은 운동의 증상 등 다양하며, 뇌경색과 비슷한 증상도 포함되므로 분간하기 어렵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출혈량이 많은 경우에는 생명에 위험이 미치는 경우도 있다. 지주막하 출혈과 동일하게 CT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뇌출혈은 진단 후 혈압을 낮추는 등의 치료 등에 의해 출혈이 멈추면 좋지만, 멈추지 않는 경우에는 뇌에서의 혈종(血腫)의 증대가 일어나 증상은 악화된다. 혈종의 증대는 CT 영상을 몇 번이고 찍으면 확인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이상의 정밀도를 구비한 CT 검사 장치에 의한 CT 영상 검사를 빈번하게 수행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또한, 뇌출혈의 병태를 모니터링하는 생체표지자로는 S100β나 GFAP 등이 연구 레벨에서는 알려져 있으나, 그 임상적 유용성은 낮아 실제의 임상의 현장에서는 사용되고 있는 것은 없기 때문에 혈액 검사 등으로 간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검사는 없다.
C-type lectin-like receptor 2(CLEC2, C형 렉틴 유사 수용체)는 혈소판 활성화 사독(蛇毒, 뱀의 독) 로도사이틴(rhodocytin)의 수용체로서 혈소판 위에 동정되었다. CLEC2는 인간에서는 대부분 혈소판·거핵구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혈소판에 특이적인 분자라고 할 수 있다. 이 sCLEC2는 혈소판이 활성화될 때 가용형 CLEC2(soluble CLEC2, 이하 sCLEC2라고 약기)로서 혈액 중에 방출되는 것이 보고되었다(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07884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2020-032797 일본 특허 출원 2021-003671
F. Kazama et al., Platelets 2015; 26(8):711-719 Y. Yamashita et al., Thrombosis Research 178(2019) 54-58
출혈성 뇌졸중은 사망률도 높고, 또한 사망을 모면했다고 해도 후유증이 남을 가능성이 있는 중독한 급성기 질환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진단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고, 발증 후 짧은 시간에 의료 기관에서 진찰을 받아 CT, MRI 등의 영상 검사를 받아 뇌 내의 출혈이 확인된 경우에는 그것만으로 진단이 가능하지만, 경증이어서 출혈량이 적거나 경증이어서 시간이 지나고나서 전문적인 의료 기관에 도착한 경우 등에서는 CT 영상 등으로는 출혈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나라, 지역의 상황에 따라 감도가 높은 CT, MRI를 가진 의료 기관이 한정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 지주막하 출혈에서는 요추 천자(穿刺)에 의한 수액 검사라는 침습성이 높은 검사를 받게 된다. 뇌출혈에서는 요추 천자는 실시되지 않으나, CT 영상 등으로 확인을 할 수 없었던 경우 적확한 진단이 어려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지주막하 출혈은 초기 치료에 의해 죽음을 모면했다고 해도 뇌혈관 연축이라는 매우 위급한 합병증이 있기 때문에 환자는 초기 치료 후에도 당분간은 의사의 감시 하에서 신중한 요양이 필요해진다. 뇌혈관 연축을 예측할 수 있는 생체표지자는 문헌적으로는 수액을 사용한 것은 있으나, 혈액 검사로 간편하게 병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생체표지자로 실제의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것은 없다.
뇌출혈은 초기 치료는 CT, MRI 등으로 진단한 다음, 강압 등의 치료에 들어가는데, 그 치료가 성공하여 지혈이 되어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생체표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출혈성 뇌졸중의 진료에 있어서, 혈액 검사로 간편하게 진단을 보완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지주막하 출혈의 치료 중인 환자의 상태를 혈액 검사에 의해 간편하게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뇌출혈에 대해서는 혈액 검사로 간편하게 치료 효과를 판정하고, 병태를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출혈성 뇌졸중 환자의 혈중 sCLEC2 농도는 건강한 사람과 비교하여 거의 모든 환자에 있어서 상승하였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혈액 검사에 의해 간편하게 환자의 양성률인 감도가 매우 우수하고, 출혈성 뇌졸중 환자를 검출함으로써 지주막하 출혈, 뇌출혈의 진단을 하는 방법을 알아내었다.
나아가, 지주막하 출혈 환자, 뇌출혈 환자의 sCLEC2 농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하여 그 변동을 관찰함으로써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것도 알아내었다. 이에 따라,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뇌혈관 연축 등의 중독한 합병증의 예측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출혈성 뇌졸중 환자와 출혈성 뇌졸중이 아닌 환자를 sCLEC2를 사용하여 판정하려면 적절한 임계값, 즉 문턱값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혈중 sCLEC2 농도의 출혈성 뇌졸중의 임계값은 137 pg/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아내었다.
이들을 바탕으로 sCLEC2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罹患, morbidity, 병에 걸림)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중에 존재하는 가용형 CLEC2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2] [1]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환자에서 유래하는 혈액 시료를 제공하는 공정;
(2) 상기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를 결정하는 공정; 및
(3)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와 상기 환자에 있어서의 출혈성 뇌졸중의 존재 혹은 비존재 또는 전귀의 가능성을 상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3] [2]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와 상기 환자에 있어서의 출혈성 뇌졸중의 존재 혹은 비존재 또는 전귀의 가능성을 상관시키는 공정이,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리스크를 상기 환자가 갖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2] 또는 [3]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용형 CLEC2 농도와 출혈성 뇌졸중을 상관시키는 공정에서 그 임계값이 137 pg/mL인 방법.
[5] [1]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환자에서 유래하는 혈액 시료를 제공하는 공정;
(2) 상기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를 결정하는 공정;
(3) 상기 시료 중의 혈소판 수를 측정하는 공정;
(4)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누는 공정; 및
(5)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과 상기 환자에 있어서의 출혈성 뇌졸중의 존재 또는 비존재를 상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6] [5]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에 있어서의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과 출혈성 뇌졸중을 상관시키는 공정에서 상기 가용형 s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의 임계값이 0.7 내지 1.0인 방법.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이 지주막하 출혈 또는 뇌출혈 중 어느 하나인 방법.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용형 CLEC2 농도를 결정하는 공정이 고감도 면역 측정법, 예를 들면,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 전기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 형광 면역 측정법인 방법.
또한, 본 발명에는,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또는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를 측정(또는 결정)하는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또는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를 측정(또는 결정)하는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를 보조하는 방법,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를 위하여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또는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를 측정(또는 결정)하는 방법,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또는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를 측정(또는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혈성 뇌졸중의 in vitro 리스크 평가방법,
가용형 CLEC2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항체의,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용 키트의 제조에 있어서의 사용,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또는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를 측정(또는 결정)하는 방법
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인 출혈성 뇌졸중을 의심받는 환자 혈액 중에 존재하는 sCLEC2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출혈성 뇌졸중의 진단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주막하 출혈의 진단 후의 치료 경과의 모니터링에 있어서도 치료 효과의 판정이나 합병증 예측의 정밀도의 향상이 기대된다. 뇌출혈 환자에 대해서는 환자 혈액 중에 존재하는 sCLEC2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치료 효과의 판정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인간 sCLEC2 단백질을 표준품으로 사용하여 작성한 표준 곡선이다.
도 2는 지주막하 출혈 환자와 건강한 사람에서 sCLEC2의 혈장 중 농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뇌출혈 환자와 건강한 사람에서 sCLEC2의 혈장 중 농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지주막하 출혈 증례의 시간 경과에 따른 모니터링 예이다.
도 5는 뇌출혈 증례의 시간 경과에 따른 모니터링 예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용 방법의 구현예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CLEC2"란 C형 렉틴 패밀리에 속하는 혈소판 활성화 수용체로서, 통상적으로 혈소판의 막에 존재하는데, 혈소판의 활성화에 따라 혈액 중에 방출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용형 CLEC2(sCLEC2)"란 이러한 혈소판으로부터 유리(遊離)되고, 혈액 중에 검출되는 CLEC2 또는 CLEC2 유래 분자를 의미한다.
sCLEC2에는 환원 조건 하 SDS 폴리아크릴아미드겔 전기 영동(SDS-PAGE)에 있어서의 분자량 약 40 kDa의 단백질, 분자량 약 32 kDa의 단백질, 분자량 약 25 kDa의 단백질 등이 포함된다고 여겨진다(비특허문헌 1). 분자량 약 40 kDa의 단백질, 분자량 약 32 kDa의 단백질은 혈소판 막 표면에 존재하고, 혈소판 활성화에 따라 생산되는 마이크로 파티클에 포함된 상태로 방출된다고 추정된다. 이들에는 당쇄(糖鎖)가 부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분자량 약 25 kDa의 단백질은 혈소판의 활성화에 따라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을 받아 혈소판으로부터 유리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sCLEC2의 양을 측정한다. sCLEC2는 분자량 약 40 kDa의 단백질, 분자량 약 32 kDa의 단백질 및 분자량 약 25 kDa의 단백질을 통합하여 검출할 수도 있고, 분자량 약 25 kDa의 단백질만을 검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sCLEC2 농도는 sCLEC2 농도만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s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누어 얻어진 값(이하, C2PAC 인덱스라 칭할 수 있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sCLEC2 농도란 sCLEC2 농도를 사용한 경우, s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s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누어 TIA의 진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혈소판 수의 측정은 통상적으로는 자동 혈구 계산기(혈산계)를 사용하여 측정이 수행되는데, 혈구 계수판과 현미경을 사용하여 계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혈장 중의 sCLEC2 농도를 예를 들면 pg/mL로 표시하고, 혈중 혈소판 수를 예를 들면 1,000개/mm3로 표현하고, sCLEC2 농도/혈소판 수를 계산하는 C2PAC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데, 여기서 사용하는 sCLEC2의 농도는 ng/mL, ng/L 등 어느 임의의 단위를 사용할 수도 있도, 혈소판 수도 10,000개/mm3 등 임의의 단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비교에는 통일된 단위를 사용해야 한다. 다양한 단위를 사용함으로써 sCLEC2 농도/혈소판 수는 다양한 값을 취할 수 있는데,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비율의 계산은 sCLEC2 농도를 측정하는 임상 검사 기기로부터 나온 측정값과 혈소판 수를 측정하는 혈산계로부터 나온 측정값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고 예상할 수 있다. 이 계산은 양쪽의 측정기와 연결된 병원의 검사 시스템, 병원의 시스템, 혹은 전자 카르테 등의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계산하는 것이 일상 진료 상 적합한데, 2개의 측정기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고, sCLEC2 농도와 혈소판 수를 동시 계측할 수 있는 기계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두 데이터를 사용하여 손으로 직접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혈장 중의 sCLEC2 농도, 또는 sCLEC2 농도/혈소판 수와 혈소판 활성화의 정도나 각종 질환 간의 상관을 나타내는 것을, 예를 들면 판정용 임계값 혹은 판정용 임계값을 산출하기 위한 오리지널 데이터 또는 통계 처리 데이터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혈장 중 sCLEC2 농도를 혈중 혈소판 수로 나누어 혈소판 당 sCLEC2 방출량을 계산하여 이를 지표로 삼아 혈전성 질환의 진단을 수행하면, 혈중 혈소판 수에 의존하지 않고 혈소판의 활성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혈장 중 sCLEC2 농도를 pg/mL로 표시하고(A), 혈중 혈소판 수를 1,000개/mm3로 표시하고(B), A를 B로 나눈 숫자를 혈소판 활성화의 지표로 삼을 수 있다.
측정에 사용하는 시료는 인간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나, 실험 동물의 병태 파악 등을 위하여 인간 이외의 동물 유래의 시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험 동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기니피그, 랫트, 마우스, 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sCLEC2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sCLEC2를 인식하는 항체를 이용한 면역학적 방법이 바람직하다. 면역학적으로 단백질의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효소 면역 측정법(ELISA법),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 전기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 형광 면역 측정법, 방사 면역 측정법,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표지 항체를 이용한 면역 측정법, 혹은 웨스턴 블로팅법, 라텍스 응집법, 면역 비탁법(比濁法) 등의 그 자체 공지의 통상 사용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에서도 조작의 간편성이나 측정 정밀도의 점에서 표지 항체를 이용한 면역 측정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급 영역에서의 진단을 위해서는 신속하게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 요망되고 있기 때문에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이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대상인 피험자(특히는 환자)로부터, 예를 들면, 혈장 채혈용 채혈관으로 검체를 채취한다. 통상적으로는 잔존 혈소판이 적은 시트르산이 첨가된 채혈관이 적합하나, 헤파린, EDTA가 첨가된 것이라도 가능하다. 혈중 혈소판 수측정용으로는 EDTA가 첨가된 채혈관이 사용되는데, 동시 채혈이라면 각각 별개의 채혈관이어도 된다. 혈장 중 sCLEC2 농도는 예를 들면 2000g으로 20분 정도 원심 분리한 혈장을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원심의 조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전혈을 사용한 측정계(測定系)일 수도 있다. 이하, 혈장 중 sCLEC2 농도의 측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리스크 평가의 대상으로 하는 출혈성 뇌졸중이란 뇌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뇌출혈(뇌 내 출혈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및 뇌를 덮는 조직의 내측의 층인 연막과 외측의 층인 지주막 사이에서 일어나는 출혈인 지주막하 출혈을 의미하고, 두부 외상이 원인으로 발생한 뇌출혈은 포함하지 않는다. 뇌출혈의 원인으로는 고혈압증, 뇌동맥 혹 파열, 뇌동정맥 기형 파열, 정맥동 폐색, 경막 동정맥루, 아밀로이드 침착, 모야모야병 등에서 유래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뇌출혈은 특정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스크 평가의 실시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출혈성 뇌졸중(지주막하 출혈 또는 뇌출혈)이 의심되는 환자의 혈중 sCLEC2 농도의 값이 건강한 사람 혹은 뇌 내의 출혈이나 경색이 없는 신경성 질환군과 비교하여 높은 경우에는 출혈성 뇌출혈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교를 바탕으로 sCLEC2 농도를 출혈성 뇌졸중(지주막하 출혈 또는 뇌출혈)의 진단에 사용할 수 있다.
측정된 환자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와 출혈성 뇌졸중의 가능성 간의 상관에 대해서는 환자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와 비출혈성 뇌졸중자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 간의 비교로 임계값을 적당히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동일 환자에 있어서 발증 전에 sCLEC2 농도의 시간 경과적 기록으로부터 sCLEC2 농도의 현저한 변동이 검출된 경우에 평가를 수행하기로 할 수도 있다.
측정된 환자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와, TIA의 가능성 간의 상관에 대해서는 환자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와 건강한 사람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 간의 비교로 임계값을 적당히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계값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측정한 혈장 중의 sCLEC2의 값으로부터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작성하는 분석을 수행하여 진단의 감도와 특이도가 모두 80% 이상을 나타내는 농도를 임계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sCLEC2에 의한 출혈성 뇌졸중의 임계값은 137 pg/mL 이하에서 임의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더 적합한 구현예로서, s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인 C2PAC 인덱스를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분석을 수행하여 임계값을 산출할 수 있다. C2PAC 인덱스를 사용한 경우의 임계값은 0.7 내지 1.0 사이에서 임의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출혈성 뇌졸중이 의심되는 두통 환자로서, 혈중 sCLEC2 농도가 어느 한 임계값 이하이면 출혈성 뇌졸중을 부정하는 것과 같은 사용법도 가능하다.
혈중 sCLEC2 농도는 혈소판의 활성화에 따라 상승하므로, 혈중 sCLEC2 농도는 혈전의 형성과 관련될 것이라는 것이 시사되며, 뇌경색, 심근 경색의 진단에 이용 가능한 것이 보고되고 있으나, 출혈성 뇌졸중과의 관련은 알려지지 않아 sCLEC2 농도의 측정이 리스크 평가에 유용한 것은 뜻밖이었다.
종래에는 지주막하 출혈을 의심하고, 영상 진단으로 출혈성 뇌졸중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요추에 주사 바늘을 찔러 수액을 채취하는 요추 천자·수액 검사가 수행되고 있으나, 침습성이 높은 검사이고, 의료 종사자라면 누구라도 어디서나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혈액 검사로 그 대체를 할 수 있다면 매우 간편하고 유용하다. 만일 지주막하 출혈로 진단받은 경우에는 발증 직후에는 재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안정을 유지하고, 침습적인 검사나 처치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다라는 사실로도,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침습성이 높은 검사의 대체가 될 수 있음은 바람직하다.
지주막하 출혈로 진단받은 경우의 치료로는 주로 이하의 치료를 예로 들 수 있다. 발증 직후의 재출혈을 예방하는 치료로서 초기 단계에서는 안정을 유지하는(진정), 통증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진통) 것을 목적으로 한 통증 멈춤, 구역질 멈춤, 진통제의 사용, 재출혈 리스크 저감을 위하여 혈압을 낮추는(강압) 것을 목적으로 한 강압제 투여, 두개 내압 상승으로 인한 뇌에 대한 대미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액을 줄이는 만니톨이나 글레세올과 같은 이뇨제를 사용하는 치료이다. 한편으로, 중증례에 있어서는 강압에 의한 뇌관 유압의 저하 때문에 뇌 허혈이 증가할 가능성을 고려하는 등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케이스도 적지 않다.
뇌출혈로 진단받은 경우에 권장되는 치료법으로는 급성기의 혈압은 조기에 수축기 혈압을 강하시키고, 7일간 유지하는 것이 검토되고, 뇌출혈 급성기에 사용하는 강압제로서 칼슘 길항약, 질산약이 선택된다. 또한, 가능하면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조기에 칼슘 길항약,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ACE) 저해약,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약(ARB), 이뇨약을 이용한 경구 치료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지주막하 출혈, 뇌출혈 어느 경우라 하더라도 그 치료는 고도의 경험과 지식이 필요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가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지표가 될 것이 기대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로는 지주막하 출혈로 진단받은 환자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라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sCLEC2를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sCLEC2는 혈소판의 활성화의 상황을 나타낸다고 여겨지고 있으므로, sCLEC2는 높은 값을 유지한다면 출혈이 계속되어 지혈 혈전의 형성이 계속되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으며, 값을 낮추어 가면 지혈 혈전의 형성이 감소되어 있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중독한 합병증인 뇌혈관 연축은 혈관에서 샌 혈액으로 인해 야기된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므로, 혈중 sCLEC2에 의해 출혈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고 유용하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링에 의한 리스크 평가의 사용 방법으로는 sCLEC2 농도를 출혈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치료 전후에서 비교를 하여 리스크 예측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치료에 의해 sCLEC2 농도가 감소하면 혈소판의 활성화가 억제되는 방향인데, sCLEC2 농도가 높은 값을 지속하거나 또는 증가하는 경우에는 출혈이 계속되고 있음을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강압에 의한 치료가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는 추가로 강압을 수행하는 등의 치료법의 선택을 고려하는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과정에서는 혈중 혈소판 수의 변동이 보일 수도 있으므로 C2PAC 인덱스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것도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는 데에는 더 적합하다.
그 밖의 실시 형태로는, 뇌출혈로 진단받은 환자의 경우에도 시간 경과에 따라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sCLEC2를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sCLEC2는 혈소판의 활성화의 상황을 나타낸다고 여겨지고 있으므로, sCLEC2는 높은 값을 유지한다면 출혈이 계속되어 지혈 혈전의 형성이 계속되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고, 값을 낮추어 가면 지혈 혈전의 형성이 감소되어 있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출혈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뇌 내의 혈종이 증대되어 뇌를 압박하고 증상이 악화되기 때문에 혈중 sCLEC2에 의해 출혈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며 유용하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링에 의한 리스크 평가의 사용 방법으로는, sCLEC2 농도를 출혈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치료 전후에서 비교를 하여 리스크 예측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치료에 의해 sCLEC2 농도가 감소하면 혈소판의 활성화가 억제되는 방향인데, sCLEC2 농도가 높은 값을 지속하거나 또는 증가하는 경우에는 강압 요법의 검토도 고려할 수 있다.
모니터링 과정에서는 혈중 혈소판 수의 변동이 보일 수도 있으므로 C2PAC 인덱스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것도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는 데에는 더 적합하다.
모니터링에 의해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출혈성 뇌졸중(지주막하 출혈 또는 뇌출혈)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을 진술하고 있는 환자에 대하여 혈중 sCLEC2 농도의 측정을 수행하고, 그 값이 건강한 사람 등에 비해 높은 값이면 출혈성 뇌졸중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혈액을 시간 경과에 따라 채취하여, 그 sCLEC2 농도를 측정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비교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에 의해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측정된 환자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와 출혈성 뇌졸중의 가능성 간의 상관에 대해서는 환자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와 비출혈성 뇌졸중자 유래 시료 중의 sCLEC2 농도 간의 비교로 임계값을 적당히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동일 환자에 있어서 발증 전에 sCLEC2 농도의 시간 경과에 따른 기록으로부터 sCLEC2 농도의 현저한 변동이 검출된 경우에 평가를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sCLEC2는 혈소판의 활성화에 따라 혈중에 따라 달라진다. 기존의 혈소판 활성화 마커, 예를 들면, 혈소판 제4 인자(PF4), β 트롬보글로불린(thromboglobulin, βTG)은 채혈에 의한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혈소판이 자극되고, 질환에 대해 비특이적인 방출을 일으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으나, sCLEC2는 혈소판 활성화를 야기하는 신호 전달 의존적인 방출 기전이고, 생체 내의 혈소판의 활성화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는 마커가 될 수 있다. 또한, CLEC2는 인간에서는 혈소판·거핵구계로 발현이 대부분 한정되기 때문에, 위양성이 적은 혈소판 특이적인 마커가 된다. 따라서, sCLEC2를 측정함으로써 혈소판의 활성화 상태를 조기에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출혈성 뇌졸중의 진단, 병태의 모니터링에 이용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인간 혈장 중 sCLEC2의 측정》
혈장 중의 sCLEC2 농도를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용 시약의 제작과 피검시료의 조제)
·검체 희석액: 방부제를 포함하는 0.1 mol/L의 HEPES 완충액(pH 7.5)을 사용하여 옥탄산 나트륨 2%, n-옥틸-β-D-글루코사이드(OG) 0.5%가 되도록 조합하여 검체 희석액으로 하였다.
시약에 포함되는 항체는 일본 특허 제6078845호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항체를 사용하고, 이하와 같이 조제하였다.
·제1 항체 용액: 자성 라텍스 입자(JSR사)에 sCLEC2를 인식하는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11D5)를 결합시키고, 방부제를 포함하는 0.01 mol/L의 MES 완충액(pH 6.0)에 분산시켰다.
·제2 항체 용액: sCLEC2를 인식하는 다른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11E6)를 말레이미드법에 의해 알칼리포스파타아제(ALP) 표지하고, 방부제를 포함하는 0.01 mol/L의 MES 완충액(pH 6.5)에 분산시켰다.
·발광 기질 용액: 2-클로로-5-(4-메톡시스피로{1,2-디옥세탄-3,2'-(5'-클로로)-트리시클로[3.3.1.13,7] 데칸}-4-일)-1-페닐포스페이트·2나트륨(CDP-Star(등록 상표): 어플라이드 바이오 시스템사)을 사용하였다.
·B/F 세정액: 0.1 mol/L 시트르산(pH 6.5), 0.15 mol/L NaCl, 0.1% TritonX-100을 포함하는 완충액을 사용하였다.
·피검 시료: 재조합 hCLEC2 단백질을 완충액(0.025 mol/L HEPES, 0.14 mol/L NaCl, 0.1% 옥탄산 나트륨, 0.3% BSA)을 사용하여 희석한 것을 피검 시료 1, 시트르산 혈장을 사용하여 희석한 것을 피검 시료 2로 사용하였다.
(측정 시약에 의한 측정)
측정에는 전자동 임상 검사 시스템 STACIA(등록 상표, LSI 메디언스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STACIA 전용 보틀에 조제한 검체 희석액, 제1항체 용액(자성 라텍스 시약), 제2 항체 용액(효소 표지 항체 시약)을 각각 충전하고, 장치에 세팅하였다. 이하 상기 장치의 운전 방법을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료 10 μL에 검체 희석액 40 μL를 가하고, 37℃에서 몇 분 동안 가온한 다음, 제1 항체 용액(자성 라텍스 시약) 25 μL를 가하고, 37℃에서 몇 분 동안 가온하였다. 이어서, B/F 분리를 수행하고, 50 μL의 제2 항체 용액(효소 표지 항체 시약)을 가하여, 37℃에서 몇 분 동안 가온하고, 다시 B/F 분리를 행한 다음, 100 μL의 발광 기질 용액을 가하고, 37℃에서 몇 분 반응 후에 신호 강도(카운팅)를 측정하였다.
도 1에 hsCLEC2 단백질을 표준품으로 사용하여 작성한 표준 곡선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지주막하 출혈 환자, 뇌출혈 환자 및 건강한 사람의 혈장 검체 중의 sCLEC2의 측정》
외래 환자의 진찰에 의해 지주막하 출혈 또는 뇌출혈로 진단받은 환자로부터 얻어진 시트르산 혈장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혈장 중 sCLEC2 농도, 혈소판 값, sCLEC2/혈소판 비(C2PAC 인덱스)를 측정하였다(표 1, 표 2). 또한, 건강한 사람의 sCLEC 농도에 대해서도 측정을 실시하였다(표 3).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sCLEC 측정값 및 C2PAC 인덱스값
지주막하 출혈 증례 sCLEC2
(pg/mL)
혈소판 수
(X1000/ML)
C2PAC 인덱스
1 573.0 229 2.50
2 195.8 407 0.481
3 195.0 200 0.975
4 275.6 386 0.714
5 561.7 177 3.17
6 360.4 282 1.28
7 332.3 268 1.24
8 734.0 239 3.07
9 1045.8 360 2.91
10 138.3 317 0.436
뇌출혈 환자의 sCLEC 측정값 및 C2PAC 인덱스값
뇌출혈 증례 sCLEC2
(pg/mL)
혈소판 수
(X1000/ML)
C2PAC 인덱스
1 248.1 350 0.71
2 184.0 186 0.99
3 1154.0 497 2.32
4 696.8 654 1.07
5 474.2 223 2.13
6 263.8 312 0.85
7 234.8 284 0.83
8 703.1 226 3.11
9 196.4 222 0.88
10 168.9 229 0.74
11 272.2 191 1.43
12 147.2 128 1.15
13 258.5 267 0.97
14 408.5 209 1.95
15 245.1 221 1.11
16 161.7 104 1.55
17 505.1 186 2.72
18 365.2 227 1.61
19 162.8 286 0.57
20 216.2 261 0.83
21 442.0 282 1.57
22 199.0 263 0.76
23 251.8 251 1.00
24 169.3 130 1.30
건강한 사람의 sCLEC2 측정값
건강한 사람 sCLEC2 건강한 사람 sCLEC2 건강한 사람 sCLEC2
1 112.7 25 82.8 49 45.8
2 85.7 26 70.9 50 67.0
3 42.7 27 53.9 51 55.6
4 47.5 28 54.0 52 55.5
5 54.5 29 43.8 53 33.0
6 64.4 30 73.2 54 63.8
7 57.8 31 63.8 55 40.1
8 51.7 32 84.7 56 48.9
9 57.2 33 44.5 57 34.1
10 98.8 34 58.0 58 48.4
11 56.6 35 77.7 59 83.5
12 63.6 36 97.6 60 41.7
13 49.4 37 47.7 61 34.1
14 34.0 38 57.3 62 48.5
15 46.9 39 61.0 63 31.5
16 52.0 40 65.9 64 54.0
17 52.2 41 52.3 65 58.8
18 44.7 42 70.2 66 48.9
19 85.8 43 43.3 67 51.3
20 61.8 44 63.5 68 44.7
21 94.7 45 47.6 69 48.2
22 59.0 46 55.5 70 50.7
23 45.0 47 77.2 71 42.4
24 42.5 48 49.6
건강한 사람과 출혈성 뇌졸중의 sCLEC2 값의 통계 데이터
건강한 사람 (71개 예) 지주막하 출혈 증례
(10개 예)
뇌출혈 증례
(24개 예)
평균 57.6 440.9 338.7
표준편차 16.7 263.2 235.4
중앙값 54.6 348 250.0
지주막하 출혈, 뇌출혈 모두 출혈성 뇌졸중 환자의 sCLEC2 측정값(pg/mL)은 건강한 사람의 sCLEC 측정값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이었다(P<0.0001)(표 4). 각각의 측정값은 도 2(지주막하 출혈), 도 3(뇌출혈)에 나타내었다.
또한, 별도 측정한 C2PAC 인덱스의 건강한 사람의 상한값은 0.55였다.
《실시예 3: sCLEC2에 의한 출혈성 뇌졸중(지주막하 출혈 및 뇌출혈)의 진단의 감도 및 특이도》
임계값을 120 pg/mL로 설정하면, sCLEC2의 출혈성 뇌졸중의 진단 성능은 감도(34/34)=100%, 특이도(71/71)=100%, 정진율(105/105)=100%가 된다(표 5).
이상의 사실로부터, sCLEC2의 측정 및 sCLEC2/혈소판 비(C2PAC 인덱스)는 TIA의 진단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이 된다.
출혈성 뇌졸중 환자 건강한 사람
합계
sCLEC2>120 pg/mL 34 0 34
sCLEC2<120 pg/mL 0 71 71
합계 34 71 105
《실시예 4: sCLEC2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모니터링》
지주막하 출혈로 진단받은 한 증례의 제1 병일, 제8 병일, 제10 병일의 각종 검사값을 나타내었다(도 4). sCLEC2는 제1 병일부터 제8 병일에 걸쳐 약간 상승하였으나, 혈소판 수도 크게 상승하였으므로, C2PAC 인덱스는 약간의 감소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5: sCLEC2에 의한 뇌출혈 환자의 모니터링》
뇌출혈로 진단받은 한 증례의 제1 병일, 제2 병일, 제12 병일, 제14 병일의 각종 검사값을 나타내었다(도 5). sCLEC2 및 C2PAC 인덱스는 제12 병일에 상승하고 제14 병일에서 하강하였으나, D-다이머는 제12 병일부터 제14 병일에 걸쳐 상승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혈중 sCLEC2의 측정값 및 sCLEC2/혈소판 비는 출혈성 뇌졸중인 지주막하 출혈, 뇌출혈의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임상 검사가 되고, 출혈성 뇌졸중인 지주막하 출혈 환자, 뇌출혈 환자의 상태의 모니터링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sCLEC2 측정은 출혈성 뇌졸중 환자의 리스크 평가법으로 유용하다.

Claims (8)

  1.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중에 존재하는 가용형 CLEC2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환자에서 유래하는 혈액 시료를 제공하는 공정;
    (2) 상기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를 결정하는 공정; 및
    (3)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와 상기 환자에 있어서의 출혈성 뇌졸중의 존재 혹은 비존재 또는 전귀의 가능성을 상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와 상기 환자에 있어서의 출혈성 뇌졸중의 존재 혹은 비존재 또는 전귀의 가능성을 상관시키는 공정이,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리스크를 상기 환자가 갖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용형 CLEC2 농도와 출혈성 뇌졸중을 상관시키는 공정에서 그 임계값이 137 pg/mL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환자에서 유래하는 혈액 시료를 제공하는 공정;
    (2) 상기 시료 중의 가용형 CLEC2 농도를 결정하는 공정;
    (3) 상기 시료 중의 혈소판 수를 측정하는 공정;
    (4)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누는 공정; 및
    (5) 상기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과 상기 환자에 있어서의 출혈성 뇌졸중의 존재 또는 비존재를 상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의 이환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에 있어서의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가용형 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과 출혈성 뇌졸중을 상관시키는 공정에서 상기 가용형 sCLEC2 농도를 혈소판 수로 나눈 값의 임계값이 0.7 내지 1.0인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혈성 뇌졸중이 지주막하 출혈 또는 뇌출혈 중 어느 하나인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용형 CLEC2 농도를 결정하는 공정이 고감도 면역 측정법, 예를 들면,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 전기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 형광 면역 측정법인 방법.
KR1020237044828A 2021-05-31 2022-05-31 가용형 clec2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법 KR20240017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1607 2021-05-31
JPJP-P-2021-091607 2021-05-31
PCT/JP2022/022077 WO2022255349A1 (ja) 2021-05-31 2022-05-31 可溶型clec2を用いた出血性脳卒中のリスク評価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001A true KR20240017001A (ko) 2024-02-06

Family

ID=8432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828A KR20240017001A (ko) 2021-05-31 2022-05-31 가용형 clec2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0350A1 (ko)
JP (1) JPWO2022255349A1 (ko)
KR (1) KR20240017001A (ko)
CN (1) CN117769652A (ko)
WO (1) WO202225534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8845U (ja) 1983-11-04 1985-06-01 ライオン株式会社 食用廃油固化処理用具
JP2020032797A (ja) 2018-08-28 2020-03-05 スズキ株式会社 ニーエアバッグ取付け構造
JP2021003671A (ja) 2019-06-26 2021-01-14 稔 甲斐 閉塞防止機能付振動篩用網及び振動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59815A1 (en) * 2001-12-19 2003-07-09 Immunex Corporation C-type lectin polypeptide, polynucleotid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JP6078845B2 (ja) * 2012-09-28 2017-02-15 株式会社Lsiメディエンス 可溶型clec−2に基づく血小板活性化測定方法
JP6473418B2 (ja) * 2013-10-10 2019-02-20 幸成 加藤 抗ポドプラニン抗体
KR20220147624A (ko) * 2020-02-28 2022-11-03 가부시키가이샤 엘에스아이 메디엔스 가용성 clec-2와 혈소판 수에 기초한 혈소판 활성화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8845U (ja) 1983-11-04 1985-06-01 ライオン株式会社 食用廃油固化処理用具
JP2020032797A (ja) 2018-08-28 2020-03-05 スズキ株式会社 ニーエアバッグ取付け構造
JP2021003671A (ja) 2019-06-26 2021-01-14 稔 甲斐 閉塞防止機能付振動篩用網及び振動篩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 Kazama et al., Platelets 2015; 26(8):711-719
Y. Yamashita et al., Thrombosis Research 178(2019) 54-5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69652A (zh) 2024-03-26
JPWO2022255349A1 (ko) 2022-12-08
EP4350350A1 (en) 2024-04-10
WO2022255349A1 (ja)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68260A1 (en) Method for measuring platelet activation based on soluble clec-2 and platelet count
US20170261517A1 (en) NT-pro ANP and SFlt-1 For The Differentiation Between Circulatory And Ischemic Events
JP2009539080A (ja) 急性冠状動脈症候群のリスクを有する個体の識別のためのmrp8/14レベルの使用
Qi et al. The predictive and diagnostic ability of IL-6 for postoperative urosepsis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CN111602057A (zh) 使用降钙素原和中区肾上腺髓质素原的风险评估和患者管理的工作流程
US20140045198A1 (en) Method of predicting the evolution of a patient suffering of stroke
Ando et al. Elevated ratio of C-type lectin-like receptor 2 level and platelet count (C2PAC) aids in the diagnosis of post-operative venous thromboembolism in IDH-wildtype gliomas
Halil et al. Serum endocan level as a predictive marker for hemodynamically significant patent ductus arterios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P2008547002A (ja) Nr2ペプチドに基づく脳血管イベントを診断、及び治療する方法
Dempfle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quantitative point of care D-dimer assay using heparinized whole blood, in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deep vein thrombosis
Kong et al. Plasma level of D-dimer is an independent diagnostic biomarker for deep venous thrombosis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KR20240017001A (ko) 가용형 clec2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의 리스크 평가법
US20200147125A1 (en) Detection of high risk arterial thromboembolic diseases by markers of coagulation and hemostatic activation
Ibebuogu et al. Useful indices of thrombogenesis in the exclusion of intra‐cardiac thrombus
EP4350349A1 (en) Method for evaluating risk of acute cerebral vascular disease using soluble clec2
WO2022154045A1 (ja) 可溶型clec2を用いた癌患者における血栓症リスクの予測方法
JP7333384B2 (ja) 心房細動の評価における循環spon-1(スポンジン-1)
Abdullah et al. Diagnostic Value of D-Dimer’s Serum Level in Patients with Cerebral Venous Thrombosis
JP2023519654A (ja) 脳卒中の評価のためのret(トランスフェクション再編成)
Saadeldin et al. Soluble P-selectin Level in Patients with Deep Venous Thrombosis
Hsiao et al. D-dimer assay not adequate for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screening
KOCYIGIT et al. Raftlin, presepsin levels and thiol-disulphide homeostasis in acute appendicitis: A pilot study.
Dong et al. Prognostic Value of Admission Blood Urea Nitrogen/Creatinine Ratio in Patients with STEMI Undergoing Lat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Selek et al. Omer Faruk Ozer, Mehmet Yigit, 2 Eray Metin Guler, 3 Abdurrahim Kocyigit, 4 Ismail Meral, 5 Bilge Sumbul Gultepe, 6
EP3837549A1 (en) Circulating tfpi-2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2) in the assessment of atrial fibrillation and anticoagulation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