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85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854A
KR20240016854A KR1020220134053A KR20220134053A KR20240016854A KR 20240016854 A KR20240016854 A KR 20240016854A KR 1020220134053 A KR1020220134053 A KR 1020220134053A KR 20220134053 A KR20220134053 A KR 20220134053A KR 20240016854 A KR20240016854 A KR 2024001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subpixel
command data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652B1 (ko
Inventor
김도경
정현태
전종구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Priority to CN202310823098.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475831A/zh
Priority to US18/349,532 priority patent/US20240038138A1/en
Publication of KR2024001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멀티-드랍(Multi-drop)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들에 각각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 및 명령어 데이터(Command Data)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Multi-drop)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들에 각각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등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와 디바이스 특성 등에 따라 터치 방식의 입력 처리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터치 방식의 입력 처리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노트북, 모니터, 가전 제품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존의 모노크롬 백플레인(monochrome Backplane)의 인터페이스(Interface)는 SPI 또는 QSPI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한다. 하지만, SPI와 QSPI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제약이 있어 최대 수십 Mbps 단위의 속도의 구현이 가능할 뿐이며, 이렇게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해상도 및 낮은 프레임 속도(low frame late)로 구동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해상도 및 높은 프레임 속도(high frame rate)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최대 수백 Mbps 내지 수 Gbps 단위의 속도의 구현이 필요하지만, 아직 SPI와 QSPI 등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최대 수백 Mbps 내지 수 Gbps 단위의 속도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189928호(2020.12.04)
본 발명은 멀티-드랍(Multi-drop)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들에 각각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 및 명령어 데이터(command data)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Multi-drop)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들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픽셀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것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 및 명령어 데이터(command data)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Multi-drop)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들에 각각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고해상도 및 높은 프레임 속도로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종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다른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TX모드 및 RX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TX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TX모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RX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 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호스트(200), 외부 메모리 (262), 카메라(27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 30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합쳐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로 통칭한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비디오 스트림(예컨대, 정지 디스플레이 데이터 또는 동디스플레이 데이터)을 처리하고,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을 디스플레이 패널(3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또는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호스트(200)는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video stream interface)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는 것은 호스트(200)가 하드웨어적으로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경우, 또는 호스트(200)를 구동하는 펌웨어(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호스트(200)가 하드웨어적으로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일 예로서, 호스트(200)가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비디오 모드(video mode) 만을 지원할 때,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호스트(200)가 MIPI 비디오 모드(video mode)와 MIPI 명령 모드(command mode) 모두를 지원할 수 있을 때, 호스트(200)가 펌웨어(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MIPI 비디오 모드(video mode)만 지원하도록 설정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20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를 제어할 수 있다.
호스트(20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모바일(mobile) AP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200)는 버스(201), CPU(central processing unit; 210),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 이미지 처리 회로(230), 인터럽트 검출기(240), 송신 인터페이스(250), 메모리 컨트롤러(260) 및 카메라 인터페이스(270)를 포함한다.
CPU(210)는 버스(201)를 통해 각 구성 요소(220, 230, 240, 250, 260, 및/또는 270)를 제어할 수 있다.
CPU(210)는 호스트(200)가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호스트(200)를 설정할 수 있는 펌웨어(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execute)할 수 있다. 펌웨어는 외부 메모리(262)로부터 호스트(200)로 로드(load)될 수 있다. 일 예로서, CPU(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어들(core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로 전송될 이미지 데이터가 정지 영상(still image) 데이터인지 동영상(moving image) 데이터인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라고도 함)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 회로(230)로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미지 데이터 소스(262 또는 272)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가 정지 영상 데이터일 때,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 회로(2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미지 데이터 소스(262 또는 272)로부터 출력된 해당 이미지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일 때,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는 상기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 회로(2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에서 업데이트가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만을 이미지 처리 회로(230)로 보낼 수 있으므로, 이미지 종류 검출기 (220)는 불필요한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서는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가 버스(201)와 이미지 처리 회로 (230) 사이에 배치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 회로(230)는 버스와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미지 처리 회로(230)는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 인터페이스(250)가 처리할 수 있는 포맷(format)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인터럽트 검출기(24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로부터 출력된 인터럽트(INT)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출 신호는 인터럽트 (INT)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으나, 검출 신호는 인터럽트(INT)에 관련된 신호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검출 신호와 인터럽트를 동일하게 'INT'로 표시하고 인터럽트로 통칭한다.
일 예로서, 송신 인터페이스(250)는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 인터페이스(250)는 이미지 처리 회로(23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 스트림(DPAC)으로 변환하고, 인터럽트(INT)에 기초하여 비디오 스트림(DPAC)의 전송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스트림(DPAC)은 동기 신호들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들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에서 복원될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관련된 신호들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럽트(INT)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로 전송될 비디오 스트임(DPAC)의 전송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이 MIPI를 지원할 때, 인터럽트(INT)는 티어링 효과(tearing effect(TE))를 방지할 수 있는 TE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이 eDP(embedded DisplayPort)를 지원할 때, 인터럽트(INT)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로부터 출력되고 비디오 스트림(DPAC)의 전송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송신 인터페이스(250)는 MIPI, eDP 또는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high-speed serial interface)를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60)는 호스트(200)와 외부 메모리(262) 사이에서 주고받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 컨트롤러(260)의 제어에 따라, 호스트(20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외부 메모리(262)에 저장될 수 있고, 외부 메모리(262)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버스(201)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26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MMC(multimedia card), eMMC(embedded MMC), USB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UFS(universal flash storage)일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외부 메모리(262)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메모리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메모리(262)는 DRAM과 eMMC를 집합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운영 체제는 상기 eMMC로부터 상기 DRAM으로 로드되어 실행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262)가 메모리들의 집합을 의미할 때, 메모리 컨트롤러(260)도 서로 다른 종류의 메모리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 인터페이스(270)는 카메라(272)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버스(2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272)는 CMOS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200)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200)는 무선 인터페이스(들)를 통해 무선, 예컨대, Wi-Fi, 무선 인터넷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카메라 2.0을 지원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정된 호스트(20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로 비디오 스트림(DPAC)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로부터 출력된 인터럽트(INT)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DPAC)을 상기 비디오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로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200)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는 비디오 스트림(DPAC)을 전송하는 제1전송 라인(또는 레인(lane))과 클락(CLKm)을 전송하는 제2전송 라인(또는 레인)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 스트림(DPAC)은 클락 (CLKm)에 동기되어 전송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DPAC)과 클락(CLKm) 각각은 차동 신호들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는 수신 인터페이스(310), 데이터 컨트롤러 (320), 타이밍 컨트롤러(340) 및 오실레이터(350)를 포함한다.
수신 인터페이스(310)는 호스트(20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스트림(DPAC)과 클락(CLKm)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신 인터페이스(310)는 클락(CLKm)을 이용하여 데이터(DATA)를 복원할 수 있고, 클락(CLKm)은 데이터 컨트롤러(320)로 바이패스할 수 있다. 즉, 데이터(DATA) 및 클락(CLKm)은 데이터 컨트롤러(320)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 (Hsync)는 데이터(DATA)를 처리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신 인터페이스(310)는 클락(CLKm)을 이용하여 비디오 스트림(DPAC)으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데이터(DATA)를 복원하고, 클락(CLKm)은 데이터 컨트롤러(320)로 바이패스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유효(valid) 데이터를 지시하는 지시 신호로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가 활성화될 때 데이터는 유효하고 비활성화될 때 데이터는 무효(invalid)하다.
한편, 데이터 컨트롤러(320)는 클락(CLK)을 이용하여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생성하고,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와 데이터(DATA)를 타이밍 컨트롤러(340)로 전송한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데이터(DATA)의 유효 구간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실레이터(350)는 내부 클락(fosc)을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340)는, 내부 클락(fosc)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들(예를 들면, CLK, iVsync, 및 iHsync)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340)는 인터럽트 생성기(341), 제어 신호 생성기(343), 및 이미지 처리 모듈(345)을 포함한다.
인터럽트 생성기(341)는 내부 클락(fosc)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인터럽트 (INT)를 생성한다. 예컨대, 인터럽트(INT)의 주파수는 60Bps일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시스템(100)이 MIPI를 지원할 때, 인터럽트 생성기(341)는 인터럽트(INT)로서 TE 신호를 생성하는 TE 신호 생성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 신호 생성기(343)는 내부 클락(fosc)에 기초하여 클락(CLK)을 생성할 수 있다. 클락(CLK)은 내부 클락(fosc)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클락(CLK)의 주파수와 내부 클락(fosc)의 주파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 신호 생성기(343)는, 내부 클락(fosc)에 기초하여, 내부 수직 동기 신호(iVsync)와 내부 수평 동기 신호(iHsync)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내부 수직 동기 신호(iVsync)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ATA)의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수직 동기 신호이고, 내부 수평 동기 신호(iHsync)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ATA)의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수평 동기 신호일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345)은 클락(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데이터(DATA)를 수신하고, 클락(CLK)과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이용하여 리드 데이터(DATA)를 처리하고, 처리의 결과로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DE)와 디스플레이 데이터(D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DE)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ATA)의 유효 구간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처리 모듈(345)은 이미지 향상(image enhancement) 기능 및/또는 이미지 편집(image edi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처리 모듈(345)은 데이터(DATA)의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포화 (saturation), 또는 샤프니스(sharpness) 등을 조절하고, 조절의 결과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인 버퍼(360) 또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DE),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DDATA)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라인 버퍼(36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ATA)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라이트(write)할 수 있고, 라이트된 신호를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인 버퍼(360)는 클락(CLK)과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DE)에 응답하여 데이터(DDATA)를 라이트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라인 버퍼(36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DE)가 활성화 또는 온 되면 데이터(DDATA)를 라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라인 버퍼(360)는 내부 수직 동기 신호(iVsync), 내부 수평 동기 신호(iHsync)에 응답하여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캔 동작은 라인 버퍼(360)가 데이터(DATA)를 리드하고, 리드된 데이터(DATA)를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라인 버퍼(360)는 데이터(DDATA)를 라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인 버퍼(36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DE)가 활성화될 때마다, 데이터(DATA)를 라이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MIP(Memory Inside Pixel) 패널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포함된 픽셀들은 각각 내부에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라인 버퍼(360)는 내부 수평 동기 신호(iHsync)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DATA)를 스캔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인 버퍼(360)는 내부 수평 동기 신호(iHsync)가 비활성화될 때마다, 라이트된 데이터를 리드 및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데이터를 픽셀 내의 메모리에 라이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내부 수평 동기 신호(iHsync)에 응답하여 픽셀 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DATA)를 리드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내부 수평 동기 신호(iHsync)가 활성화될 때마다, 라이트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1 내지 2m 그레이 스케일들을 표시할 수 있는 m 비트 디지털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소정 패턴, 예를 들어, 매트릭스 형, 지그재그 형 등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는 하나의 색을 방출하며, 예를 들어, 적색, 청색, 녹색, 백색 중 하나의 색을 방출할 수 있다. 화소(PX)는 적색, 청색, 녹색, 백색 외의 다른 색을 방출할 수도 있다.
화소(PX)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자발광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소자는 마이크로 내지 나노 단위 크기의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소자는 단일 피크 파장을 발광하거나, 복수의 피크 파장을 발광할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소자와 연결된 화소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는 기판 상의 반도체 적층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화소(PX)는 프레임 단위로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Frame)은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서브프레임은 데이터 기입 기간 및 발광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기입 기간에 소정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가 화소(PX)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발광 기간에 저장된 소정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가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판독되고, 디지털 데이터는 PWM 신호로 변환되어 화소(PX)는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발광 기간은 디지털 데이터의 각 비트에 할당된 시간의 합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TFT-LCD(thin-film-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LED(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또는 플랙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 및 명령어 데이터(Command Data)를 처리하고, 처리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호스트(10)는 송신 인터페이스(11)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b에는 호스트(10)에 송신 인터페이스(11)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호스트(10)는 도 1b에서 도시하지 않은 버스, CPU, 이미지 종류 검출기, 이미지 처리 회로, 인터럽트 검출기, 메모리 컨트롤러, 및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b의 호스트(10), 송신 인터페이스(11)와 도시하지 않은 버스, CPU, 이미지 종류 검출기, 이미지 처리 회로, 인터럽트 검출기, 메모리 컨트롤러, 및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도 1a의 호스트(200), 버스(201), CPU(central processing unit; 210), 이미지 종류 검출기(220), 이미지 처리 회로(230), 인터럽트 검출기(240), 송신 인터페이스(250), 메모리 컨트롤러(260) 및 카메라 인터페이스(270)와 대응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호스트(10)는 송신 인터페이스(11)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는 수신 인터페이스(21)를 포함한다. 호스트(10)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는 고속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호스트(10)는 송신 인터페이스(11)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는 수신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이를 수신한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 및/또는 명령어 데이터(Command Dat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속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가 사용될 수 있다. MIPI는 프로세서와 주변 장치들을 연결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로서, MIPI 얼라이언스(MIPI Alliance)에서 제정하는 표준이다. 예를 들어, MIPI D-PHY는 고속의 디지털 시리얼 인터페이스이고, MIPI D-PHY DSI(Display Serial Interface)는 D-PHY 기반의 디스플레이 프로토콜 표준 스펙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는 수신 인터페이스(21) 및 로직 컨트롤러(22)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b에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에 수신 인터페이스(21) 및 로직 컨트롤러(22)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는 도 1b에서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컨트롤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b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 및 수신 인터페이스(21)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컨트롤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오실레이터는 도 1a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300), 수신 인터페이스(310), 데이터 컨트롤러 (320), 타이밍 컨트롤러(340) 및 오실레이터(350)와 대응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로직 컨트롤러(22)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로직 컨트롤러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들이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로직 컨트롤러(22)는 데이터 컨트롤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될 데이터 컨트롤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오실레이터의 동작이 단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로직 컨트롤러(22))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30), 스캔 구동 회로(130), 데이터 구동 회로(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도 1b의 디스플레이 패널(30)과 동일한 구성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b의 로직 컨트롤러(22)는 스캔 구동 회로(130), 데이터 구동 회로(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될 스캔 구동 회로(130), 데이터 구동 회로(140) 및 제어부(150)의 동작이 단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로직 컨트롤러(22))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복수의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은 m X n(m, n은 자연수)개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되는 패턴은 지그재그 형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80um이하의 크기를 가진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ED)일 수 있다. 하나의 픽셀은 서로 다른 색을 가진 복수의 발광소자를 통해 다양한 색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하나의 픽셀은 적색, 녹색, 청색으로 구성된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백색 발광소자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면, 백색 발광소자가 적색, 녹색, 청색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를 대체할 수도 있다. 하나의 픽셀에 복수의 발광소자가 포함되는 실시예에서, 하나의 픽셀에 포함된 각 발광소자를 '서브 픽셀(sub pixel, SP, 31)'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서브 픽셀은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 픽셀(SP, 31)은 한 개의 영상 프레임 동안 출력할 색의 밝기 즉, 계조(gradation)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픽셀에 포함된 발광소자 즉, 서브 픽셀(SP)을 구동시키는 픽셀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구동회로는 스캔 구동 회로(130) 및/또는 데이터 구동 회로(14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서브 픽셀의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픽셀 구동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 구동회로는 반도체 웨이퍼 상에 구현되어 발광소자와 적층 구조를 형성하여 연결되거나, 발광소자의 측면에 배열되어 연결됨으로써 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micro LED)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LED) 디스플레이, ECD(Electrochromic Display), DMD(Digital Mirror Device), AMD(Actuated Mirror Device), GLV(Grating Light Valv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그 밖에 다른 종류의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스캔 라인(SL1~SLm)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DL1~DL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은 행(row) 방향 또는 열(column)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은 열(column) 방향 또는 행(row) 방향을 의미한다. 일 예로서, 제1 방향이 행 방향이고 제2 방향이 열 방향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방향이 열 방향이고 제2 방향이 행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서브 픽셀(SP)은 하나 이상의 스캔 라인 (SL1~SLm)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DL1~DLn)의 교차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픽셀(SP)은 어느 하나의 스캔 라인(SLk) 및 어느 하나의 데이터 라인(DLk)과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캔 라인(SL1~SLm)은 스캔 구동 회로(130)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DL1~DLn)은 데이터 구동 회로(140)에 연결될 수 있다.
스캔 구동 회로(130)는 하나 이상의 스캔 라인(SL1~SLm)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SP)이 구동되도록 하는 신호(이하,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캔 구동 회로(130)는 하나 이상의 스캔 라인(SL1~SLm)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스캔 구동 기간 동안 제1 스캔 라인(SL1)에 연결된 서브 픽셀(SP)이 구동되고, 제2 스캔 구동 기간 동안 제2 스캔 라인(SL2)에 연결된 서브 픽셀(SP)이 구동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14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DL1~DLn)을 통해서 각각의 서브 픽셀(SP)로 계조(gradation)와 관련된 신호(이하,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라인은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SP)과 연결되어 있지만, 스캔 구동 회로(130)에 의해 선택된 스캔 라인과 연결된 서브 픽셀(SP)들에게만 계조와 관련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캔 구동 회로(130) 및 데이터 구동 회로(140)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스캔 구동 회로(130) 또는 데이터 구동 회로(14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한 프레임 구간 동안 LED의 발광 시구간을 나타내는 PWM 듀티 비율(PWM ON DUTY)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스캔 구동 회로(130) 및 데이터 구동 회로(140)는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스캔 구동 회로(130) 및 데이터 구동 회로(14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을 수 있는 C/C++, C#, JAVA, Python,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 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 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 (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저장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Multi-drop)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에 각각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310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획득한다. 일 예로서, 호스트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호스트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호스트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3202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Multi-drop)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들에 각각 전송한다. 일 예로서, 호스트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종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복수의 라인을 통해 각각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 및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호스트(10)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의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의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 및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의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 각각은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10)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응답 데이터는, 호스트가 전송한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종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에서는 데이터를 SPI 인터페이스 또는 Q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전송한다.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는 R 서브 픽셀에 대응되고,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는 G 서브 픽셀에 대응되고,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는 B 서브 픽셀에 대응된다.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은 서브 픽셀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 내의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로 제1 라인(1201)을 통해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 내의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로 제2 라인(1202)을 통해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 내의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로 제3 라인(1203)을 통해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호스트(10)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으로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으로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으로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만, SPI 인터페이스 또는 Q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종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최대 수십 Mbps 단위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한계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단일 라인을 통해 각각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 및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호스트(10)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의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의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 및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의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 각각은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BTA(Bus Turn Around)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10)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에서는 데이터를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멀티-드랍 방식을 이용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 내의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로 단일 라인(1204)을 통해 통합 데이터를 전송하고,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 내의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로 단일 라인(1204)을 통해 통합 데이터를 전송하고,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 내의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로 단일 라인(1204)을 통해 통합 데이터를 전송한다. 호스트(10)는 단일 라인(1204)을 통해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통합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 및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로 전송한다. 그리고, 호스트(10)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의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의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 및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의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 각각은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BTA(Bus Turn Around)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10)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이때, 단일 라인을 통해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10)에게 전송하므로 응답 데이터가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가 응답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 및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는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가 응답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 및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는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가 응답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 및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는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멀티-드랍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최대 수 GBps 단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호스트(10) 내의 송신 인터페이스(11)에서 단일 라인을 통해 각각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 및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호스트(10)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10)의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 제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20)의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 및 제3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30)의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 각각은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10)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도 5b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에서는, 제1 수신 인터페이스(2110), 제2 수신 인터페이스(2120) 및 제3 수신 인터페이스(2130) 각각이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포인트-투-포인트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에게 전송하므로, 동시에 응답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3303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가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로직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서브 픽셀을 제어한다.
한편, 종래 기술이 호스트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으로 복수의 라인을 사용하여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 라인을 사용하여 멀티 드랍 방식으로 데이터를 정송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하기 위해, 선택 데이터를 먼저 수신하여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하거나, 명령어 데이터의 구성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가 수신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가 멀티-드랍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하도록 하는 선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종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와는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단일 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동일한 데이터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송신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송신된 동일한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IC들 각각에 포함된 로직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신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하도록 하는 선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직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선택 데이터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가 전송받은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하도록 하는 패스워드 데이터(Password Data)일 수 있다.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내의 로직 컨트롤러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R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명령어 데이터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모두가 라이트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가 라이트하도록 하는 패스워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명령어 데이터를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만이 라이트함으로써 R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명령어 데이터는 서브 픽셀에 포함된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통 명령어 데이터, R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1 명령어 데이터, G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2 명령어 데이터 및 B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3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가 동일한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제1 명령어 데이터 내지 제3 명령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로직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서브 픽셀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명령어 데이터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만이 라이트할 수 있고, 제2 명령어 데이터는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만이 라이트할 수 있고, 제3 명령어 데이터는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만이 라이트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 인터페이스는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 인터페이스는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BTA(Bus Turn Around)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트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한 MIPI 인터페이스를, 수신 인터페이스가 동일하게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호스트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 인터페이스가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트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한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수신 인터페이스는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호스트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하도록 하는 선택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 인터페이스 각각은 호스트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한 MIPI 인터페이스를 동일하게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BTA(Bus Turn Around) 방식으로 호스트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하도록 하는 선택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 인터페이스 각각은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호스트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가 서브 픽셀에 포함된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통 명령어 데이터, R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1 명령어 데이터, G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2 명령어 데이터 및 B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3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 인터페이스 각각은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호스트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TX모드 및 RX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TX모드 및 RX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TX모드(401)는 호스트(10)에서 전송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21)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RX 모드(402)는 호스트(10)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 인터페이스(21)가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10)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응답 데이터는 수신 인터페이스(21)가 수신한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TX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스트(10)는 멀티-드랍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 인터페이스(21)로 전송한다. 수신 인터페이스가 수신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IC들 각각에 포함된 로직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서브 픽셀을 제어한다. 이하에서, 수신 인터페이스가 수신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IC들 각각에 포함된 로직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라이트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TX모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TX모드의 Case 1 내지 Case 7(801 내지 807)을 확인할 수 있다.
Case 1(801)의 경우, 제1 수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제1 로직 컨트롤러, 제2 수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제2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수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제3 로직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1 로직 컨트롤러, 제2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는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데이터는 {(Display Command 91h Send:Red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2h Send:Green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3h Send:Blue Chip Select Enable)}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및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가 모두 온(on)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로직 컨트롤러, 제2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는 서브 픽셀에 포함된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통 명령어 데이터, R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1 명령어 데이터, G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2 명령어 데이터 및 B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3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공통 명령어 데이터는 제1 로직 컨트롤러, 제2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가 모두 라이트함으로써 R, G, B 서브 픽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1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R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2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G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3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B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Case 2(802)의 경우, 제1 로직 컨트롤러 및 제2 로직 컨트롤러가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1 로직 컨트롤러 및 제2 로직 컨트롤러는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데이터는 {(Display Command 91h Send:Red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2h Send:Green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6h Send:Blue Chip Select Disable)}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온(on)되고,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off)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에 의해 라이트됨으로써, R 서브 픽셀 및 G 서브 픽셀이 제어된다.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되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하지 못하므로, B 서브 픽셀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제1 로직 컨트롤러 및 제2 로직 컨트롤러는 R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1 명령어 데이터 및 G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2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1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R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2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G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Case 3(803)의 경우, 제1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가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1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는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데이터는 {(Display Command 91h Send:Red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3h Send:Blue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5h Send:Green Chip Select Disable)}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온(on)되고,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off)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에 의해 라이트됨으로써, R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이 제어된다.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되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하지 못하므로, G 서브 픽셀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제1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는 R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1 명령어 데이터 및 B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3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1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R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3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B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Case 4(804)의 경우, 제2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가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2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는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데이터는 {(Display Command 92h Send:Green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3h Send:Blue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4h Send:Red Chip Select Disable)}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온(on)되고,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off)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는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에 의해 라이트됨으로써,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이 제어된다.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되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하지 못하므로, R 서브 픽셀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제2 로직 컨트롤러 및 제3 로직 컨트롤러는 G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2 명령어 데이터 및 B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3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1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G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2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B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Case 5(805)의 경우, 제1 로직 컨트롤러가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1 로직 컨트롤러는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데이터는 {(Display Command 91h Send:Red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5h Send:Green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6h Send:Blue Chip Select Disable)}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온(on)되고,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및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off)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에 의해 라이트됨으로써, R 서브 픽셀이 제어된다.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및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되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하지 못하므로,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제1 로직 컨트롤러는 R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1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1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R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Case 6(806)의 경우, 제2 로직 컨트롤러가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2 로직 컨트롤러는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데이터는 {(Display Command 92h Send:Green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4h Send:Red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6h Send:Blue Chip Select Disable)}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온(on)되고,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및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off)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는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에 의해 라이트됨으로써, G 서브 픽셀이 제어된다.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및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되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하지 못하므로, R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제2 로직 컨트롤러는 G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2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2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G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Case 7(807)의 경우, 제3 로직 컨트롤러가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3 로직 컨트롤러는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데이터는 {(Display Command 93h Send:Blue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4h Send:Red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5h Send:Green Chip Select Disable)}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온(on)되고,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및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off)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는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에 의해 라이트됨으로써, B 서브 픽셀이 제어된다. R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 및 G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로직 컨트롤러는 오프되어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하지 못하므로, R 서브 픽셀 및 G 서브 픽셀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제3 로직 컨트롤러는 B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3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3 명령어 데이터에 의해서는 B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3 로직 컨트롤러만 라이트함으로써 B 서브 픽셀만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RX모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RX모드의 Case 1 내지 Case 3(901 내지 903)을 확인할 수 있다.
Case 1(901)의 경우, 제1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일 예로서, 제1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BTA(Bus Turn Around)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때, 제2 수신 인터페이스 및 제3 수신 인터페이스는 제1 수신 인터페이스가 응답하는 동안에는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호스트의 응답 요청은 {(Display Command 91h Send:Red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5h Send:Green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6h Send:Blue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7h and para data 01h)}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때, 제2 수신 인터페이스 및 제3 수신 인터페이스는 제1 수신 인터페이스가 이용하는 SPI 인터페이스와 다른 라인을 통해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Case 2(902)의 경우, 제2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일 예로서, 제2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BTA(Bus Turn Around)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신 인터페이스 및 제3 수신 인터페이스는 제2 수신 인터페이스가 응답하는 동안에는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호스트의 응답 요청은 {(Display Command 92h Send : Green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4h Send : Red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6h Send:Blue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7h and para data 02h)}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신 인터페이스 및 제3 수신 인터페이스는 제2 수신 인터페이스가 이용하는 SPI 인터페이스와 다른 라인을 통해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Case 3(903)의 경우, 제3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응답 데이터를 호스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일 예로서, 제3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BTA(Bus Turn Around)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신 인터페이스 및 제2 수신 인터페이스는 제3 수신 인터페이스가 응답하는 동안에는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호스트의 응답 요청은 {(Display Command 93h Send : Blue Chip Select Enable), (Display Command 94h Send : Red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5h Send : Green Chip Select Disable), (Display Command 97h and para data 03h)}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3 수신 인터페이스는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라인을 통해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신 인터페이스 및 제2 수신 인터페이스는 제3 수신 인터페이스가 이용하는 SPI 인터페이스와 다른 라인을 통해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 및 명령어 데이터(Command Data)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Multi-drop)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들에 각각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고해상도 및 높은 프레임 속도로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픽셀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구동장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에 전송하는 호스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로직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권리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데이터(Display Data) 및 명령어 데이터(Command Data)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Multi-drop)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들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상기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일 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수신 인터페이스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에 포함된 로직 컨트롤러(Logic Controller)가 선택적으로 라이트(write)함으로써 상기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이트하도록 하는 선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상기 로직 컨트롤러가 선택적으로 라이트함으로써 상기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데이터는,
    상기 서브 픽셀에 포함된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통 명령어 데이터, 상기 R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1 명령어 데이터, 상기 G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2 명령어 데이터 및 상기 B 서브 픽셀에만 적용되는 제3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호스트의 응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인터페이스가 응답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게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MI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BTA(Bus Turn Around) 방식으로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인터페이스가 S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명령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픽셀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멀티-드랍 방식을 이용하는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에 전송하는 호스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들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상기 명령어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상기 서브 픽셀을 제어하는 로직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KR1020220134053A 2022-07-29 2022-10-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67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10823098.XA CN117475831A (zh) 2022-07-29 2023-07-06 显示驱动装置及其数据传输方法
US18/349,532 US20240038138A1 (en) 2022-07-29 2023-07-10 Display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378 2022-07-29
KR20220094378 2022-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854A true KR20240016854A (ko) 2024-02-06
KR102672652B1 KR102672652B1 (ko) 2024-06-0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928B1 (ko) 2019-07-03 2020-12-11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MIP(Memory Inside Pixel)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928B1 (ko) 2019-07-03 2020-12-11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MIP(Memory Inside Pixel)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0372B (zh) 显示器驱动电路和包括显示器驱动电路的显示装置
US10043492B2 (en) Display driver,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1140398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426668B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03105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202001607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269284B2 (en) Timing controller and display driving circuit including the same
KR102261962B1 (ko)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TWI444973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及驅動該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的方法
US10325549B2 (en)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system
JP2015177364A (ja) レシーバ回路、表示パネル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レシーバ回路の動作方法
US1132785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825379B (zh) 用於更新顯示在顯示器裝置上的影像的系統及方法
KR1026726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240016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202400381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s thereof
CN117475831A (zh) 显示驱动装置及其数据传输方法
JP2007213077A (ja) 表示装置及びそのための駆動装置及び方法
KR102189928B1 (ko) MIP(Memory Inside Pixel)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2101546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6915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54585B1 (ko) 픽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방법
US20230146402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53468A1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driver ic,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68695A1 (en) Display module, modular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