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733A -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733A
KR20220009733A KR1020200088305A KR20200088305A KR20220009733A KR 20220009733 A KR20220009733 A KR 20220009733A KR 1020200088305 A KR1020200088305 A KR 1020200088305A KR 20200088305 A KR20200088305 A KR 20200088305A KR 20220009733 A KR20220009733 A KR 20220009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device
content
tlis
input terminal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진
정진봉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733A/ko
Priority to US17/376,104 priority patent/US20220020302A1/en
Priority to CN202110805934.2A priority patent/CN113946049A/zh
Publication of KR2022000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4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selection purposes, e.g. logical AND for partial upd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10); 상기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일측에 탑재되어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표시 모듈(MD1); 상기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타측에 탑재되어 제2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2 표시 모듈(MD2); 및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모듈의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상기 제2 표시 모듈의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상기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상기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콘텐츠를 모두 전송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Wearable Display System Capable Of Augmented Reality}
이 명세서는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은 가상 현실의 한 분야로서 가상 현실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가진다. 가상 현실 기술에서 사용자는 가상의 환경에 몰입되므로 실제 환경을 볼 수 없는 반면, 증강현실 기술에서 사용자는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므로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중첩함으로써 현실 세계를 보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는 차별성을 가지며, 가상 현실에 비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종래의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양안(좌안 및 우안)에 증강 현실을 보여주기 위한 2개의 표시 모듈들과,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 모듈들에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이하 AP라 함)를 포함한다. AP는 제1 전송 레인들을 통해 제1 표시 모듈에 제1 객체 정보를 전송하고, 제2 전송 레인들을 통해 제2 표시 모듈에 제2 객체 정보를 전송한다. 제1 전송 레인들과 제2 전송 레인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의 경우 서로 독립적인 제1 전송 레인들과 제2 전송 레인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송 레인수가 많고 전력 소모량이 크며,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강 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전송 레인수 및 전력 소모량이 적고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이 간소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10); 상기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일측에 탑재되어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표시 모듈(MD1); 상기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타측에 탑재되어 제2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2 표시 모듈(MD2); 및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모듈의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상기 제2 표시 모듈의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상기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상기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콘텐츠를 모두 전송한다.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증강 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전송 레인수 및 전력 소모량이 적고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이 간소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표시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 서브 픽셀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AP와 표시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1개의 콘텐츠 식별 신호에 동기되어 전송되는 제1 및 제2 콘텐츠 신호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동작과 관련된 함수표(function tabl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AP와 표시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2개의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들에 동기되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콘텐츠 신호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동작과 관련된 함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AP와 표시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3의 주소 해석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콘텐츠 식별 신호들에 동기되어 전송되는 영상 프레임 신호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동작과 관련된 함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의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얼굴(또는, 눈)과 가까운 위치에 착용하는 표시 장치로서, 사용자의 시각 감각 기관에 컴퓨터로 생성한 정보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채용한다. 이 인퍼페이스 기술은 컴퓨터로 구성한 가상의 콘텐츠를 사용자의 체험 (experience)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실감 높은 가상의 존재감(virtual presence)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HMD(Head Mounted Display)라고 통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보다 경량화된 의미로 FMD(Face Mounted Display), EGD(Eye Glasses-type Display), NED(Near Eye Display)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EGD 또는 NED 타입의 HMD 구조물(10)에 장착될 수 있다. HMD 구조물(10)은 가상의 콘텐츠가 혼합된 실제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좌안 글래스(GL-L)와 우안 글래스(GL-R)를 포함할 수 있다.
좌안 글래스(GL-L)와 우안 글래스(GL-R)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과 전기적 및 광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증강 현실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좌안 및 우안 글래스들(GL-L, GL-R)을 통해 증강 현실이 구현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2개의 표시 모듈들(MD1,MD2)과,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 모듈들(MD1,MD2)에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이하 AP라 함)와, AP에 콘텐츠 소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HOST)을 포함할 수 있다.
좌안 및 우안 글래스들(GL-L, GL-R)에는 슬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광경로 가이드 부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광경로 가이드 부품은 표시 모듈들(MD1,MD2)로부터 출력된 빛을 좌안 및 우안 글래스들(GL-L, GL-R)의 적어도 일부 표면으로 투사시켜 광학적 투시(optical see-through)를 통해 콘텐츠를 표현할 수 있다. HMD 구조물(10)에서 광학적 투시법을 이용하면 인간의 시야각 범위와 같이 100도 이상의 광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다.
AP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의 구동에 필요한 OS(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동시켜, 표시 모듈들(MD1,MD2)과 인터페이스를 콘트롤한다. AP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의 기능, GPU(Graphics Processing Unit)의 기능, Modem의 기능, VPU(Video Processing Unit)의 기능,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기능, ISP(Image Signal Processor)의 기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칩셋 기능들이 탑재된 시스템 온 칩(system-on-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HOST)은 AP에 콘텐츠 소스를 제공한다. 콘텐츠 소스는 좌안용 디스플레이 정보와 우안용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HOST)은 AP와 함께 단일 칩 형태로 HMD 구조물(10)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시스템(HOST)은 HMD 구조물(10)과 독립되게 위치하여,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AP와 연결될 수 있다.
AP는 독립적인 제1 전송 레인들과 제2 전송 레인들을 통해 표시 모듈들(MD1,MD2)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공통 전송 레인들(common transmission lanes, TLIS)을 통해 표시 모듈들(MD1,MD2)에 연결된다. AP와 표시 모듈들(MD1,MD2)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전송 레인의 개수가 기존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증강 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전송 레인수 및 전력 소모량이 적고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AP의 송신 장치(TX)는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제1 표시 모듈 (MD1)의 수신 장치(RX)와 제2 표시 모듈(MD2)의 수신 장치(RX)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표시 모듈들(MD1,MD2)에서 필요로 하는 콘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정보는 클럭 내장형 데이터정보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클럭 분리형 데이터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클럭 내장형 데이터정보는 클럭 임베디드 인터페이스(Clock Embedded Interface) 방식, 예컨대 EPI (External Peripheral Interface), 브이 바이 원 인터페이스(Vx1), 디스플레이 포트 인터페이스(DP)등에서 사용될 수 있고, 클럭 분리형 데이터정보는 클럭과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송하는 LVDS 인터페이스, mini- LVDS 인터페이스,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클럭 임베디드 인터페이스 방식과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은 잡음에 강하고 고속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차동 전류 구동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LVDS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의 D-PHY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전송 레인수를 줄이기 위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은 인터페이스의 종류 및 형태 등에 제한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D-PHY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고, 고속 통신이 가능하며 비용 효율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D-PHY는 일반적인 물리 계층(PHY)이 담당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D-PHY는 실제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SoT(Start of packet)/EoT(End of packet)을 추가하고 송신을 위해 병렬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거나, 수신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D-PHY는 고속 영상 데이터 전송을 위한 클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클럭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AP는 공통 전송 레인들(TLIS)을 통해 멀티 드롭(Multi-Drop) 방식으로 표시 모듈들(MD1,MD2)에 연결된다. 멀티 드롭 방식은 멀티 포인트(Multi-Point, 다중 점) 방식이라고도 하며, 복수의 표시 모듈들(MD1,MD2)을 공통의 통신 회선(TLIS)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멀티 드롭 방식은 전송 레인(TLIS)을 공유하기 때문에 효용도가 높고 가격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표시 모듈들(MD1,MD2)은 멀티 드롭 방식으로 클럭 및 데이터 정보를 전송 받기 때문에, 주소 판단 기능과 데이터 블록을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버퍼 기억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멀티 드롭 방식에서, 클럭 및 데이터 정보에 대한 전송은 폴링(Polling)과 셀렉션(Selection)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콘텐츠 정보가 클럭이 내장된 데이터정보로 구성되는 경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클럭 전송을 위한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정보가 클럭이 분리된 데이터정보로 구성되는 경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 및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일 표시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표시모듈(MD)은 도 1의 표시 모듈들(MD1,MD2)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표시모듈(MD)은 가상 현실 기기, 증강 현실 기기 등의 전자기기들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구조나 우수한 디스플레이 성능을 갖는 마이크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픽셀 어레이(PXL), 소스 구동회로(SDC1,SDC2), 게이트 구동회로(GDC) 및 컨트롤러(CONT)는 기판(SUB) 상에 함께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SUB)은 실리콘 기판(또는 실리콘 반도체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마이크로(Micro)"의 의미는 표시 장치의 크기가 작다는 의미일 수 있고, 표시 장치의 크기가 작지 않더라도 제작 공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져 만들어졌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일 표시모듈(MD)은 기판(SUB) 상에 픽셀 어레이(PXL) 및 각종 구동회로들이 구성된 백 플레인(Backplan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판(SUB)은 p-타입 또는 n-타입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는 정공(Hole)을 의미하고, "n"은 전자(electron)를 의미한다.
기판(SUB)은 픽셀 어레이(PXL)가 배치되는 픽셀 어레이 구역(PAZ: Pixel Array Zone) 및 각종 구동회로들이 배치되는 회로 구역(CZ: Circuit Z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의 회로 구역(CZ)은 기판(SUB)의 픽셀 어레이 구역(PAZ)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로 구역(CZ)은 픽셀 어레이 구역(PAZ)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픽셀 어레이 구역(PAZ)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기판(SUB)의 픽셀 어레이(PXL) 상에는, 다수의 서브픽셀들(SP)이 배치됨과 아울러, 다수의 서브픽셀들(SP)로 각종 신호 및 전압을 공급해주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배선들은 콘텐츠 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신호(게이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PXL) 상에서 데이터 라인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게이트 라인들은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픽셀 어레이(PXL) 상에 배치되는 신호 배선들은 고전위 구동전압(EVDD)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압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기준 전압을 전달하거나 전압 센싱을 위한 센싱 라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픽셀 어레이(PXL) 상에 배치되는 신호 배선들은 기판(SUB)의 회로 구역(CZ)상에 배치된 구동회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픽셀 어레이(PXL)로는 기저전압(EVSS)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기저전압(EVSS)은 모든 서브픽셀들(SP)에 인가되는 일종의 공통 전압일 수 있다.
기판(SUB)의 회로 구역(CZ) 상에 배치되는 구동회로들은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스 구동회로(SDC1, SDC2)와,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회로(GDC)와, 소스 구동회로(SDC1, SDC2) 및 게이트 구동회로(GDC) 등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의 회로 구역(CZ) 상에 배치되는 구동회로들은 컨트롤러(CONT)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즉, 콘텐츠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소스 구동회로(SDC1, SDC2)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 메모리(L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인 메모리(LM)는 소스 구동회로(SDC1, SDC2)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 구동회로(SDC1, SDC2)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CONT)와 소스 구동회로(SDC1, SD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의 회로 구역(CZ) 상에 배치되는 구동회로들은 픽셀 어레이(PXL)에 배열된 서브픽셀들(SP)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각종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파워회로(PS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워회로(PSC)는 DC-DC 컨버터 등의 파워 제너레이터(Power Generator)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다양한 전원 전압으로부터 픽셀 어레이(PXL)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구동 전압(예컨대, EVDD, EVSS, VGH, VGL)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기판(SUB)의 회로 구역(CZ) 상에 배치되는 구동회로들은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부품들과의 신호 입출력, 또는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INF)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INF)는 LVDS (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의 일종인 MIPI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부(INF)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방식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SPI 방식은 외부 주변장치와 클럭을 통하여 동기화하는 동기식 통신 방식으로서, 프로토콜이 유연하고, 전송기가 불필요하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처리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
기판(SUB)의 회로 구역(CZ) 상에는 기판(SUB) 외부의 다른 전자 부품과 구동회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드부(PAD)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PAD)는 신호 입출력, 전원 공급 또는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패드부(PAD)가 기판(SUB) 상의 일측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패드부(PAD)은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패드부(PAD)가 기판(SUB) 상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부품과의 전기적 연결 및 구동회로들을 배치함에 있어, 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표시모듈(MD)의 경우, 픽셀 어레이(PXL) 뿐만 아니라 소스 구동회로(SDC1, SDC2), 게이트 구동회로(GDC), 컨트롤러(CONT) 및 파워회로(PSC) 등의 구동회로들이 모두 기판(SUB)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쉽고 빠른 장점이 있다.
한편,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픽셀 어레이(PXL)를 기준으로 일 측에만 위치하여 싱클 피딩(Single feeding) 방식으로 게이트라인들을 구동할 수도 있고, 픽셀 어레이(PXL)의 양 측에 위치하여 듀얼 피딩(Dual feeding) 방식으로 게이트라인들을 구동할 수도 있다. 소스 구동회로(SDC1, SDC2)는 픽셀 어레이(PXL)를 기준으로 일 측에만 위치하여 모든 데이터라인들을 구동할 수도 있고, 픽셀 어레이(PXL)의 양 측에 위치하여 데이터라인들을 분담하여 구동할 수도 있다.
전술한 표시모듈(MD)은 전체 또는 일부가 웨이퍼 제조 공정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정밀하고 편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표시모듈(MD)은 기판 상에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생산 수율이 높고 제조 비용을 저감되는 장점도 있다.
도 3의 도 2의 일 서브 픽셀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서브 픽셀(SP)은 발광 소자(EL), 구동 소자(D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스위치 트랜지스터(ST)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소자(DT)는 구동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스위치 트랜지스터(ST)는 n 타입 또는 p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 소자(EL)는 픽셀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발광 소자(EL)는 소스노드(N2)에 접속된 애노드전극과, 기저전압(EVSS)의 입력단에 접속된 캐소드전극과,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캐소드전극에 인가되는 기저전압(EVSS)에 비해 동작점 전압 이상으로 높아지면 발광 소자(EL)는 턴 온 된다. 발광 소자(EL)가 턴 온 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광을 발생하게 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게이트노드(N1)에 연결된 게이트와, 소스노드(N2)에 연결된 소스와, 구동전압 라인(DVL)을 통해 고전위 구동전압(EVDD)의 입력단에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게이트-소스 간 전압에 따른 픽셀 전류를 생성한다. 픽셀 전류는 게이트-소스 간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게이트노드(N1)와 소스노드(N2) 사이에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을 유지한다.
스위치 트랜지스터(ST)는 스캔신호(SCAN)에 따라 데이터라인(DL)과 게이트노드(N1)를 연결하여, 데이터라인(DL)에 충전된 데이터전압(Vdata)을 게이트노드(N1)에 인가한다. 데이터전압(Vdata)은 계조에 대응되는 값을 가진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은 데이터전압(Vdata)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데이터전압(Vdata)이 클수록 픽셀 전류가 증가할 수 있다. 스위치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데이터라인(DL)에 접속된 제1 전극(소스/드레인 중 어느 하나), 및 게이트노드(N1)에 접속된 제2 전극(소스/드레인 중 나머지 하나)을 구비한다.
도 3에 예시된 서브 픽셀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 모델, 패널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예로, 서브 픽셀(SP)은 구동 트랜지스터(DT) 및/또는 발광 소자(EL)의 구동 특성(문턱전압, 전자 이동도 등)을 센싱하는 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AP와 표시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1개의 콘텐츠 식별 신호에 동기되어 전송되는 제1 및 제2 콘텐츠 신호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동작과 관련된 함수표(function tabl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100)은 제1 표시 모듈(MD1), 제2 표시 모듈(MD2),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이하 AP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모듈(MD1)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일측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우안에 제1 콘텐츠(예컨대, 우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표시 모듈(MD2)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타측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좌안에 제2 콘텐츠(예컨대, 좌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AP는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제1 표시 모듈(MD1)의 제1 수신 장치(MD1 RX)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 표시 모듈(MD2)의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연결된다. AP도 헤드 마운트 구조물에 탑재된다. AP는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멀티 드롭(Multi-Drop) 방식으로, 제1 콘텐츠를 제1 수신 장치(MD1 RX)로 전송함과 아울러 제2 콘텐츠를 제2 수신 장치(MD2 RX)로 전송함으로써, 증강 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전송 레인수 및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100)은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을 포함한다. 또한,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을 포함한다.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AP의 송신 장치(AP TX)와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은 도 5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의 송신 장치(AP TX)는 전송되어질 클럭과 데이터를 디퍼런셜 타입으로 직렬화하는 프리 구동부와, 디퍼런셜 직렬 타입으로 가공된 클럭을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으로 출력하는 제1 송신기(TMC)와, 디퍼런셜 직렬 타입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으로 출력하는 제2 송신기(TMD)를 포함한다.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1 네거티브 클럭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1 수신기(RVC)를 갖는다. 또한,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를 갖는다. 또한,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종단 저항(Zp)과 제1 종단 스위치(S1), 제1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종단 저항(Zn)과 제2 종단 스위치(S2),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제1 노드(N1)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1 종단 커패시터(C1), 및 제2 노드(N2)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3 수신기(RVC')를 갖는다. 또한,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를 갖는다. 또한,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5 종단 저항(Zp)과 제5 종단 스위치(S1'),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6 종단 저항(Zn)과 제6 종단 스위치(S2'),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제3 노드(N3)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3 종단 커패시터(C1'), 및 제4 노드(N4)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100)은 클럭 내장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을 포함한다.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도 5에서 AP의 송신 장치(AP TX)의 제1 송신기(TMC),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제1 수신기(RVC),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제3 수신기(RVC'), 제1 종단 저항(Zp)과 제1 종단 스위치(S1), 제2 종단 저항(Zn)과 제2 종단 스위치(S2), 제5 종단 저항(Zp)과 제5 종단 스위치(S1'), 제6 종단 저항(Zn)과 제6 종단 스위치(S2')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및 제2 노드(N2)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및 제4 노드(N4)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100)에서, AP와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이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멀티 드롭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되는 콘텐츠 신호에 맞게 해당 수신 장치가 동작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P에서 제1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1 수신 장치(MD1 RX)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설계 되어야 하고, AP에서 제2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2 수신 장치(MD2 RX)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100)은 콘텐츠에 맞게 수신 장치가 선택될 수 있도록, 콘텐츠 식별 신호(SG-ID)와 모듈 식별 신호들(MD-ID1,MD-ID2)을 기반으로 생성된 인에이블 신호들(TE1,TE2)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P는 공통 콘트롤 라인(CCL)을 통해 제1 수신 장치(MD1 RX)에 더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더 연결되며, 제1 및 제2 콘텐츠들에 동기되는 콘텐츠 식별 신호(SG-ID)를 공통 콘트롤 라인(CCL)을 통해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제2 수신 장치(MD2 RX)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전압 레벨(Low)로 미리 설정된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의 입력 단자를 더 가질 수 있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제1 전압 레벨(Low)과 다른 제2 전압 레벨(High)로 미리 설정된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의 입력 단자를 더 가질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는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턴 온 시키고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를 온 동작시켜, 제1 콘텐츠가 제1 표시 모듈(MD1)에서 수신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이다. 그리고,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턴 온 시키고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를 온 동작시켜, 제2 콘텐츠가 제2 표시 모듈(MD2)에서 수신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이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어야 한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동시에 인에이블되면 각 수신기의 (+) 입력 단자 및 (-) 입력 단자 간의 종단 저항값이 정상 설정값의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수신기가 오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동시에 디스에이블되면 각 수신기의 (+) 입력 단자 및 (-) 입력 단자 간의 종단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기 때문에 수신기가 오동작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연산기(XNOR1)를 더 포함하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제2 연산기(XNOR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산기(XNOR1)는 콘텐츠 식별 신호(SG-ID)와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를 배타적 부정 논리합 연산하여 제1 인에이블 신호(TE1)를 생성하고, 제2 연산기(XNOR2)는 콘텐츠 식별 신호(SG-ID)와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를 배타적 부정 논리합 연산하여 제2 인에이블 신호(TE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는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에 구비된 게이트전극들에 인가됨과 아울러,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에 구비된 인에이블 단자(ENA)에도 인가된다. 그리고,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에 구비된 게이트전극들에 인가됨과 아울러,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에 구비된 인에이블 단자(ENA)에도 인가된다.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제2 수신 장치(MD2 RX)가 구별되도록,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는 로우 전압(예컨대, '0')으로 디폴트(default) 되어 있고,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는 하이 전압(예컨대, '1')으로 디폴트 되어 있을 수 있다.
콘텐츠 식별 신호(SG-ID)는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 콘텐츠들에 동기된다. 일 예로서, 콘텐츠 식별 신호(SG-ID)가 로우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에는 제1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고, 반대로 콘텐츠 식별 신호(SG-ID)가 하이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에는 제2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AP에서 콘텐츠 식별 신호(SG-ID)가 로우 전압('0')인 상태로 제1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1 연산기(XNOR1)의 출력인 제1 인에이블 신호(TE1)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된다. 왜냐하면,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가 하이 전압('1')으로 설정되어 있는 데 반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는 로우 전압('0')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1 인에이블 신호(TE1)가 인에이블 될 때,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이 턴 온 되고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제1 표시 모듈(MD1)이 제1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AP에서 콘텐츠 식별 신호(SG-ID)가 하이 전압('1')인 상태로 제2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2 연산기(XNOR2)의 출력인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된다. 왜냐하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가 로우 전압('0')으로 설정되어 있는 데 반해,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는 하이 전압('1')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인에이블 될 때,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이 턴 온 되고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제2 표시 모듈(MD2)이 제2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 및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AP와 표시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2개의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들에 동기되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콘텐츠 신호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동작과 관련된 함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200)은 제1 표시 모듈(MD1), 제2 표시 모듈(MD2), 및 A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모듈(MD1)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일측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우안에 제1 콘텐츠(예컨대, 우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표시 모듈(MD2)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타측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좌안에 제2 콘텐츠(예컨대, 좌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 모듈들(MD1,MD2)은 공통 콘텐츠에 해당하는 제3 콘텐츠를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AP는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제1 표시 모듈(MD1)의 제1 수신 장치(MD1 RX)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 표시 모듈(MD2)의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연결된다. AP도 헤드 마운트 구조물에 탑재된다. AP는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멀티 드롭(Multi-Drop) 방식으로, 제1 또는 제3 콘텐츠들을 제1 수신 장치(MD1 RX)로 전송함과 아울러 제2 또는 제3 콘텐츠들을 제2 수신 장치(MD2 RX)로 전송함으로써, 증강 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전송 레인수 및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200)은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을 포함한다. 또한,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을 포함한다.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AP의 송신 장치(AP TX)와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은 도 9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의 송신 장치(AP TX)는 전송 되어질 클럭과 데이터를 디퍼런셜 타입으로 직렬화하는 프리 구동부와, 디퍼런셜 직렬 타입으로 가공된 클럭을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으로 출력하는 제1 송신기(TMC)와, 디퍼런셜 직렬 타입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으로 출력하는 제2 송신기(TMD)를 포함한다.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1 네거티브 클럭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1 수신기(RVC)를 갖는다. 또한,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를 갖는다. 또한,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종단 저항(Zp)과 제1 종단 스위치(S1), 제1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종단 저항(Zn)과 제2 종단 스위치(S2),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제1 노드(N1)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1 종단 커패시터(C1), 및 제2 노드(N2)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3 수신기(RVC')를 갖는다. 또한,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를 갖는다. 또한,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5 종단 저항(Zp)과 제5 종단 스위치(S1'),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6 종단 저항(Zn)과 제6 종단 스위치(S2'),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제3 노드(N3)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3 종단 커패시터(C1'), 및 제4 노드(N4)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200)은 클럭 내장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을 포함한다.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도 9에서 AP의 송신 장치(AP TX)의 제1 송신기(TMC),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제1 수신기(RVC),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제3 수신기(RVC'), 제1 종단 저항(Zp)과 제1 종단 스위치(S1), 제2 종단 저항(Zn)과 제2 종단 스위치(S2), 제5 종단 저항(Zp)과 제5 종단 스위치(S1'), 제6 종단 저항(Zn)과 제6 종단 스위치(S2')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및 제2 노드(N2)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및 제4 노드(N4)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200)에서, AP와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이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멀티 드롭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되는 콘텐츠 신호에 맞게 해당 수신 장치가 동작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P에서 제1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1 수신 장치(MD1 RX)가 선택적으로 동작되어야 하고, AP에서 제2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2 수신 장치(MD2 RX)가 선택적으로 동작되어야 하며, AP에서 제3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이 동시에 동작 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3 콘텐츠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200)은 콘텐츠에 맞게 수신 장치가 선택될 수 있도록,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와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와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는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1')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동시에 하이 전압('1')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가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1')으로 전송되는 경우 제1 수신 장치(MD1 RX)가 온 동작되고,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가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1')으로 전송되는 경우 제2 수신 장치(MD2 RX)가 온 동작되고, 제1 및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들(DS1,DS2)이 모두 하이 전압('1')으로 전송되는 경우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이 동시에 온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AP는 제1 콘트롤 라인(CL1)을 통해 제1 수신 장치(MD1 RX)에 더 연결됨과 아울러 제2 콘트롤 라인(CL2)을 통해 제2 수신 장치(MD2 RX)에 더 연결될 수 있다. AP는 제1 내지 제3 콘텐츠들에 동기되는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를 제1 콘트롤 라인(CL1)을 통해 제1 수신 장치(MD1 RX)에 전송하고, 제1 내지 제3 콘텐츠들에 동기되는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를 제2 콘트롤 라인(CL2)을 통해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어야 한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동시에 인에이블되면 각 수신기의 (+) 입력 단자 및 (-) 입력 단자 간의 종단 저항값이 정상 설정값의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수신기가 오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동시에 디스에이블되면 각 수신기의 (+) 입력 단자 및 (-) 입력 단자 간의 종단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기 때문에 수신기가 오동작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가 하이 전압일 때 어드레스 신호(ADR)에 따라 제1 레지스터 정보(TRES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1 레지스터(RG1), 및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와 제1 레지스터 정보(TRES1)를 논리곱 연산하여 제1 인에이블 신호(TE1)를 생성하는 제1 연산기(AND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가 하이 전압일 때 어드레스 신호(ADR)에 따라 제2 레지스터 정보(TRES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2 레지스터(RG2), 및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와 제2 레지스터 정보(TRES2)를 논리곱 연산하여 제2 인에이블 신호(TE2)를 생성하는 제2 연산기(AN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드레스 신호(ADR)는 콘텐츠 신호들에 포함되어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AP에서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로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드레스 신호(ADR)는 제1 및 제2 콘트롤 라인들(CL1,CL2)을 통해 AP에서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시 말해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송수신 되기 위해서, 제1 레지스터 정보(TRES1)와 제2 레지스터 정보(TRES2)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하이 전압('1')이여야 한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는 제1 수신 장치(MD1 RX)에 구비된 종단 스위치들의 게이트전극들에 인가되어 이 종단 스위치들을 턴 온 시키는 제어 신호이다. 그리고,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제2 수신 장치(MD2 RX)에 구비된 종단 스위치들의 게이트전극들에 인가되어 이 종단 스위치들을 턴 온 시키는 제어 신호이다.
제1 및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들(DS1,DS2)은 도 10과 같이 제1 내지 제3 콘텐츠들에 동기된다. 일 예로서,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가 하이 전압이고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로우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에는 제1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가 로우 전압이고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하이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에는 제2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들(DS1,DS2)이 모두 하이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에는 제3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조건 하에서, 제1 및/또는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들(DS1,DS2)의 하이 전압에 대응되는 수신 장치(또는 수신 장치들)가 AP로부터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제1 내지 제3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것에 의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된다. 이때,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가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으로 전송되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제1 표시 모듈(MD1)이 제1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것에 의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된다. 이때,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가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으로 전송되면,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제2 표시 모듈(MD2)이 제2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것에 의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된다. 이때,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와 상기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가 동시에 하이 전압으로 전송되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와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모두 온 동작되어, 제1 및 제2 표시 모듈들(MD1,MD2)이 동일한 제3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 및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AP와 표시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3의 주소 해석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콘텐츠 식별 신호들에 동기되어 전송되는 영상 프레임 신호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13의 동작과 관련된 함수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300)은 제1 표시 모듈(MD1), 제2 표시 모듈(MD2), 및 A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모듈(MD1)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일측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우안에 제1 콘텐츠(예컨대, 우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표시 모듈(MD2)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타측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좌안에 제2 콘텐츠(예컨대, 좌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 모듈들(MD1,MD2)은 공통 콘텐츠에 해당하는 제3 콘텐츠를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AP는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제1 표시 모듈(MD1)의 제1 수신 장치(MD1 RX)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 표시 모듈(MD2)의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연결된다. AP도 헤드 마운트 구조물에 탑재된다. AP는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멀티 드롭(Multi-Drop) 방식으로, 제1 또는 제3 콘텐츠들을 제1 수신 장치(MD1 RX)로 전송함과 아울러 제2 또는 제3 콘텐츠들을 제2 수신 장치(MD2 RX)로 전송함으로써, 증강 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전송 레인수 및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인터페이스 연결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300)은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을 포함한다. 또한,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을 포함한다.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AP의 송신 장치(AP TX)와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은 도 1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의 송신 장치(AP TX)는 전송 되어질 클럭과 데이터를 디퍼런셜 타입으로 직렬화하는 프리 구동부와, 디퍼런셜 직렬 타입으로 가공된 클럭을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으로 출력하는 제1 송신기(TMC)와, 디퍼런셜 직렬 타입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으로 출력하는 제2 송신기(TMD)를 포함한다.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1 네거티브 클럭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1 수신기(RVC)를 갖는다. 또한,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를 갖는다. 또한,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종단 저항(Zp)과 제1 종단 스위치(S1), 제1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종단 저항(Zn)과 제2 종단 스위치(S2),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제1 노드(N1)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1 종단 커패시터(C1), 및 제2 노드(N2)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3 수신기(RVC')를 갖는다. 또한,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를 갖는다. 또한,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5 종단 저항(Zp)과 제5 종단 스위치(S1'),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6 종단 저항(Zn)과 제6 종단 스위치(S2'),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제3 노드(N3)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3 종단 커패시터(C1'), 및 제4 노드(N4)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300)은 클럭 내장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을 포함한다.
클럭 분리형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도 13에서 AP의 송신 장치(AP TX)의 제1 송신기(TMC),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제1 수신기(RVC),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제3 수신기(RVC'), 제1 종단 저항(Zp)과 제1 종단 스위치(S1), 제2 종단 저항(Zn)과 제2 종단 스위치(S2), 제5 종단 저항(Zp)과 제5 종단 스위치(S1'), 제6 종단 저항(Zn)과 제6 종단 스위치(S2')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수신 장치(MD1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및 제2 노드(N2)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 장치(MD2 RX)는,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및 제4 노드(N4)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300)에서, AP와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이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멀티 드롭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되는 콘텐츠 신호에 맞게 해당 수신 장치가 동작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P에서 제1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1 수신 장치(MD1 RX)가 선택적으로 동작되어야 하고, AP에서 제2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2 수신 장치(MD2 RX)가 선택적으로 동작되어야 하며, AP에서 제3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이 동시에 동작 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3 콘텐츠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300)은 콘텐츠에 맞게 수신 장치가 선택될 수 있도록, 제2 어드레스 신호(ADR2)에 따른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와, 제4 어드레스 신호(ADR4)에 따른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어드레스 신호(ADR2)와 제4 어드레스 신호(ADR4)는 콘텐츠 신호들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는 컴맨드 신호(command signal)로서, AP에서 제어 가능하다.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와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는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1')으로 인에이블 될 수 있고, 동시에 하이 전압('1')으로 인에이블 될 수도 있다.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경우 제1 수신 장치(MD1 RX)가 온 동작되고,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경우 제2 수신 장치(MD2 RX)가 온 동작되고, 제1 및 제2 콘텐츠 식별 신호들(DIS1,DIS2)이 모두 인에이블 되는 경우 제1 및 제2 수신 장치들(MD1 RX, MD2 RX)이 동시에 온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AP는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제2 어드레스 신호(ADR2)를 이용하여 제1 수신 장치(MD1 RX)에 구비된 레지스터들의 출력을 제어하고,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와 제4 어드레스 신호(ADR4)를 이용하여 제2 수신 장치(MD2 RX)에 구비된 레지스터들의 출력을 제어할 있다. 여기서,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제3 어드레스 신호(ADR3)도 콘텐츠 신호들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는 컴맨드 신호(command signal)로서, AP에서 제어 가능하다.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제2 수신 장치(MD2 RX)는 모듈 식별 신호들(MD-ID1,MD-ID2)에 의해 구분되어 동작될 수 있다.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전압 레벨(Low)로 미리 설정된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의 입력 단자와, AP로부터 전송되는 제1 내지 제4 어드레스 신호들(ADR1~ADR4) 중에서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에 따라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제2 어드레스 신호(ADR2)를 선택하는 제1 주소 선택기(ADRDEC1)와,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에 따라 제1 인에이블 신호(TE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1 레지스터(RG1)와, 제2 어드레스 신호(ADR2)에 따라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2 레지스터(RG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소 선택기(ADRDEC1)는 제1 선택기와 제2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택기는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에 따라 제1 및 제3 어드레스 신호들(ADR1,ADR3) 중에서 제1 어드레스 신호(ADR1)를 선택하여 제1 레지스터(RG1)에 공급한다. 그러면, 제1 레지스터(RG1)는 제1 선택 어드레스 신호(SADR1)에 따라 제1 인에이블 신호(TE1)를 출력한다. 제2 선택기는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에 따라 제2 및 제4 어드레스 신호들(ADR2,ADR4) 중에서 제2 어드레스 신호(ADR2)를 선택하여 제2 레지스터(RG2)에 공급한다. 그러면, 제2 레지스터(RG2)는 제2 선택 어드레스 신호(SADR2)에 따라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를 출력한다.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제2 전압 레벨(High)로 미리 설정된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의 입력 단자와, AP로부터 전송되는 제1 내지 제4 어드레스 신호들(ADR1~ADR4) 중에서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에 따라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와 제4 어드레스 신호(ADR4)를 선택하는 제2 주소 선택기(ADRDEC2)와,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에 따라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3 레지스터(RG3)와, 제4 어드레스 신호(ADR4)에 따라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4 레지스터(RG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소 선택기(ADRDEC2)는 제3 선택기와 제4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선택기는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에 따라 제1 및 제3 어드레스 신호들(ADR1,ADR3) 중에서 제3 어드레스 신호(ADR3)를 선택하여 제3 레지스터(RG3)에 공급한다. 그러면, 제3 레지스터(RG3)는 제3 선택 어드레스 신호(SADR3)에 따라 제2 인에이블 신호(TE2)를 출력한다. 제4 선택기는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에 따라 제2 및 제4 어드레스 신호들(ADR2,ADR4) 중에서 제4 어드레스 신호(ADR4)를 선택하여 제4 레지스터(RG4)에 공급한다. 그러면, 제4 레지스터(RG4)는 제4 선택 어드레스 신호(SADR4)에 따라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를 출력한다.
한편,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어야 한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동시에 인에이블되면 각 수신기의 (+) 입력 단자 및 (-) 입력 단자 간의 종단 저항값이 정상 설정값의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수신기가 오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동시에 디스에이블되면 각 수신기의 (+) 입력 단자 및 (-) 입력 단자 간의 종단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기 때문에 수신기가 오동작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제3 어드레스 신호(ADR3)는 반대 전압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는 제1 수신 장치(MD1 RX)에 구비된 종단 스위치들의 게이트전극들에 인가되어 이 종단 스위치들을 턴 온 시키는 제어 신호이다. 그리고,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제2 수신 장치(MD2 RX)에 구비된 종단 스위치들의 게이트전극들에 인가되어 이 종단 스위치들을 턴 온 시키는 제어 신호이다.
제1 및 제2 콘텐츠 식별 신호들(DIS1,DIS2)은 도 15와 같이 제1 내지 제3 콘텐츠들에 동기된다. 일 예로서,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가 하이 전압이고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로우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에는 제1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가 로우 전압이고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하이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에는 제2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콘텐츠 식별 신호들(DIS1,DIS2)이 모두 하이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 동안에는 제3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조건 하에서, 제1 및/또는 제2 콘텐츠 식별 신호들(DIS1,DIS2)의 하이 전압에 대응되는 수신 장치(또는 수신 장치들)가 AP로부터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대응 제1 내지 제3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것에 의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된다. 이때,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가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으로 인에이블 되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제1 표시 모듈(MD1)이 제1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것에 의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된다. 이때,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가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으로 인에이블 되면,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제2 표시 모듈(MD2)이 제2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것에 의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된다. 이때,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와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가 동시에 하이 전압으로 인에이블 되면,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와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모두 온 동작되어, 제1 및 제2 표시 모듈들(MD1,MD2)이 동일한 제3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헤드 마운트 구조물(10); 상기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일측에 탑재되어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표시 모듈(MD1); 상기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타측에 탑재되어 제2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2 표시 모듈(MD2); 및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모듈의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상기 제2 표시 모듈의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상기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하여 상기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콘텐츠를 모두 전송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 상기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상기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및 상기 제2 노드(N2)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 상기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상기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및 상기 제4 노드(N4)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상기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상기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1 네거티브 클럭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1 수신기(RVC);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 상기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종단 저항(Zp)과 제1 종단 스위치(S1); 상기 제1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종단 저항(Zn)과 제2 종단 스위치(S2); 상기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상기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상기 제1 노드(N1)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1 종단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2 노드(N2)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상기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3 수신기(RVC');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 상기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5 종단 저항(Zp)과 제5 종단 스위치(S1'); 상기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6 종단 저항(Zn)과 제6 종단 스위치(S2'); 상기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상기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상기 제3 노드(N3)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3 종단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4 노드(N4)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공통 콘트롤 라인(CCL)을 통해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에 더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더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콘텐츠들에 동기되는 콘텐츠 식별 신호(SG-ID)를 상기 공통 콘트롤 라인(CCL)을 통해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전압 레벨(Low)로 미리 설정된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의 입력 단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 신호(SG-ID)와 상기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를 배타적 부정 논리합 연산하여 제1 인에이블 신호(TE1)를 생성하는 제1 연산기(XNOR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제1 전압 레벨(Low)과 다른 제2 전압 레벨(High)로 미리 설정된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의 입력 단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 신호(SG-ID)와 상기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를 배타적 부정 논리합 연산하여 제2 인에이블 신호(TE2)를 생성하는 제2 연산기(XNOR2)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가 인에이블 될 때,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이 턴 온 되고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상기 제1 표시 모듈(MD1)이 상기 제1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인에이블 될 때,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이 턴 온 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상기 제2 표시 모듈(MD2)이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제1 콘트롤 라인(CL1)을 통해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에 더 연결됨과 아울러 제2 콘트롤 라인(CL2)을 통해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더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콘텐츠들과 제3 콘텐츠에 동기되는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를 상기 제1 콘트롤 라인(CL1)을 통해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콘텐츠들과 상기 제3 콘텐츠에 동기되는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를 상기 제2 콘트롤 라인(CL2)을 통해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전송하며, 상기 제3 콘텐츠는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공통으로 제공공통으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상기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가 하이 전압일 때 어드레스 신호(ADR)에 따라 제1 레지스터 정보(TRES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1 레지스터(RG1); 및 상기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와 상기 제1 레지스터 정보(TRES1)를 논리곱 연산하여 제1 인에이블 신호(TE1)를 생성하는 제1 연산기(AND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가 하이 전압일 때 상기 어드레스 신호(ADR)에 따라 제2 레지스터 정보(TRES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2 레지스터(RG2); 및 상기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와 상기 제2 레지스터 정보(TRES2)를 논리곱 연산하여 제2 인에이블 신호(TE2)를 생성하는 제2 연산기(AND2)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와 상기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는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으로 전송 되거나 또는, 동시에 하이 전압으로 전송 되고,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가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으로 전송될 때,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되고,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상기 제1 표시 모듈(MD1)이 상기 제1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가 선택적으로 하이 전압으로 전송될 때,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온 동작되어, 상기 제2 표시 모듈(MD2)이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와 상기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가 동시에 하이 전압으로 전송될 때,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되고,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와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모두 온 동작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들(MD1,MD2)이 동일한 상기 제3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제2 어드레스 신호(ADR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에 구비된 레지스터들의 출력을 제어하고,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와 제4 어드레스 신호(ADR4)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구비된 레지스터들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상기 제3 어드레스 신호(ADR3)는 반대 전압 레벨로 설정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전압 레벨(Low)로 미리 설정된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의 입력 단자; 상기 AP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어드레스 신호들(ADR1~ADR4) 중에서 상기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에 따라 상기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상기 제2 어드레스 신호(ADR2)를 선택하는 제1 주소 선택기(ADRDEC1); 선택된 상기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에 따라 제1 인에이블 신호(TE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1 레지스터(RG1); 및 선택된 상기 제2 어드레스 신호(ADR2)에 따라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2 레지스터(RG2)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제1 전압 레벨(Low)과 다른 제2 전압 레벨(High)로 미리 설정된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의 입력 단자; 상기 AP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어드레스 신호들(ADR1~ADR4) 중에서 상기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에 따라 상기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와 상기 제4 어드레스 신호(ADR4)를 선택하는 제2 주소 선택기(ADRDEC2); 선택된 상기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에 따라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3 레지스터(RG3); 및 선택된 상기 제4 어드레스 신호(ADR4)에 따라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4 레지스터(RG4)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와 상기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거나 또는, 동시에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될 때,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되고,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가 동작되어, 상기 제1 표시 모듈(MD1)이 상기 제1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될 때,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동작되어, 상기 제2 표시 모듈(MD2)이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TE1)와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와 상기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가 동시에 인에이블 될 때,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종단 스위치들을 포함한 제2 스위치 그룹 중 어느 한 스위치 그룹만이 턴 온 되고,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의 수신기와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의 수신기가 모두 동작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들(MD1,MD2)이 동일한 제3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은, 제1 표시 모듈(MD1); 제2 표시 모듈(MD2); 및 동일한 전송 레인을 통해 제1 표시 모듈(MD1)과 제2 표시 모듈(MD2)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동일한 전송 레인은 상기 제1 표시 모듈(MD1)을 위한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표시 모듈(MD2)을 위한 제2 콘텐츠를 모두 전송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콘텐츠는 교번적으로 전송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동일한 전송 레인은 상기 제1 표시 모듈(MD1)과 상기 제2 표시 모듈(MD2)을 위한 제3 콘텐츠를 더 전송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헤드 마운트 구조물 MD1: 제1 표시 모듈
MD2: 제1 표시 모듈 AP: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Claims (12)

  1. 헤드 마운트 구조물(10);
    상기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일측에 탑재되어 제1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표시 모듈(MD1);
    상기 헤드 마운트 구조물의 타측에 탑재되어 제2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2 표시 모듈(MD2); 및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모듈의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상기 제2 표시 모듈의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상기 공통 전송 레인(TLIS)을 통하여 상기 제1 콘텐츠와 상기 제2 콘텐츠를 모두 전송하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과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을 포함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
    상기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상기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및
    상기 제2 노드(N2)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
    상기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상기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및
    상기 제4 노드(N4)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송 레인(TLIS)은,
    디퍼런셜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을 위해,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과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을 더 포함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상기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상기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1 네거티브 클럭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1 수신기(RVC);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2 포지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2 네거티브 데이터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2 수신기(RVD);
    상기 제1 포지티브 클럭 입력 단자(+,CKP)와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종단 저항(Zp)과 제1 종단 스위치(S1);
    상기 제1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1 노드(N1)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종단 저항(Zn)과 제2 종단 스위치(S2);
    상기 제2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 종단 저항(Zp)과 제3 종단 스위치(S3);
    상기 제2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2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 종단 저항(Zn)과 제4 종단 스위치(S4);
    상기 제1 노드(N1)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1 종단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2 노드(N2)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포지티브 클럭 전송 레인(CKP-TLIS)에 연결된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상기 네거티브 클럭 전송 레인(CKN-TLIS)에 연결된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를 갖는 제3 수신기(RVC');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P-TLIS)에 연결된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상기 네거티브 데이터 전송 레인(DN-TLIS)에 연결된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를 갖는 제4 수신기(RVD');
    상기 제3 포지티브 입력 단자(+,CKP)와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5 종단 저항(Zp)과 제5 종단 스위치(S1');
    상기 제3 네거티브 입력 단자(-,CKN)와 상기 제3 노드(N3)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6 종단 저항(Zn)과 제6 종단 스위치(S2');
    상기 제4 포지티브 입력 단자(+,DP)와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7 종단 저항(Zp)과 제7 종단 스위치(S3');
    상기 제4 네거티브 입력 단자(-,DN)와 상기 제4 노드(N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8 종단 저항(Zn)과 제8 종단 스위치(S4');
    상기 제3 노드(N3)와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3 종단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4 노드(N4)와 상기 기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4 종단 커패시터(C2')를 포함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공통 콘트롤 라인(CCL)을 통해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에 더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더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콘텐츠들에 동기되는 콘텐츠 식별 신호(SG-ID)를 상기 공통 콘트롤 라인(CCL)을 통해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로 전송하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전압 레벨(Low)로 미리 설정된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의 입력 단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 신호(SG-ID)와 상기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를 배타적 부정 논리합 연산하여 제1 인에이블 신호(TE1)를 생성하는 제1 연산기(XNOR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제1 전압 레벨(Low)과 다른 제2 전압 레벨(High)로 미리 설정된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의 입력 단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 신호(SG-ID)와 상기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를 배타적 부정 논리합 연산하여 제2 인에이블 신호(TE2)를 생성하는 제2 연산기(XNOR2)를 더 포함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제1 콘트롤 라인(CL1)을 통해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에 더 연결됨과 아울러 제2 콘트롤 라인(CL2)을 통해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더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콘텐츠들과 제3 콘텐츠에 동기되는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를 상기 제1 콘트롤 라인(CL1)을 통해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콘텐츠들과 상기 제3 콘텐츠에 동기되는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를 상기 제2 콘트롤 라인(CL2)을 통해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전송하며,
    상기 제3 콘텐츠는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와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상기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가 하이 전압일 때 어드레스 신호(ADR)에 따라 제1 레지스터 정보(TRES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1 레지스터(RG1); 및
    상기 제1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1)와 상기 제1 레지스터 정보(TRES1)를 논리곱 연산하여 제1 인에이블 신호(TE1)를 생성하는 제1 연산기(AND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가 하이 전압일 때 상기 어드레스 신호(ADR)에 따라 제2 레지스터 정보(TRES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2 레지스터(RG2); 및
    상기 제2 콘텐츠/모듈 식별 신호(DS2)와 상기 제2 레지스터 정보(TRES2)를 논리곱 연산하여 제2 인에이블 신호(TE2)를 생성하는 제2 연산기(AND2)를 더 포함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제2 어드레스 신호(ADR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에 구비된 레지스터들의 출력을 제어하고,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와 제4 어드레스 신호(ADR4)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에 구비된 레지스터들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상기 제3 어드레스 신호(ADR3)는 반대 전압 레벨로 설정된 착용형 표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장치(MD1 RX)는,
    제1 전압 레벨(Low)로 미리 설정된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의 입력 단자;
    상기 AP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어드레스 신호들(ADR1~ADR4) 중에서 상기 제1 모듈 식별 신호(MD-ID1)에 따라 상기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와 상기 제2 어드레스 신호(ADR2)를 선택하는 제1 주소 선택기(ADRDEC1);
    선택된 상기 제1 어드레스 신호(ADR1)에 따라 제1 인에이블 신호(TE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1 레지스터(RG1); 및
    선택된 상기 제2 어드레스 신호(ADR2)에 따라 제1 콘텐츠 식별 신호(DIS1)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2 레지스터(RG2)를 더 포함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장치(MD2 RX)는,
    상기 제1 전압 레벨(Low)과 다른 제2 전압 레벨(High)로 미리 설정된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의 입력 단자;
    상기 AP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어드레스 신호들(ADR1~ADR4) 중에서 상기 제2 모듈 식별 신호(MD-ID2)에 따라 상기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와 상기 제4 어드레스 신호(ADR4)를 선택하는 제2 주소 선택기(ADRDEC2);
    선택된 상기 제3 어드레스 신호(ADR3)에 따라 제2 인에이블 신호(TE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3 레지스터(RG3); 및
    선택된 상기 제4 어드레스 신호(ADR4)에 따라 제2 콘텐츠 식별 신호(DIS2)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4 레지스터(RG4)를 더 포함한 착용형 표시 시스템.
KR1020200088305A 2020-07-16 2020-07-16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KR20220009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05A KR20220009733A (ko) 2020-07-16 2020-07-16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US17/376,104 US20220020302A1 (en) 2020-07-16 2021-07-14 Wearable display system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CN202110805934.2A CN113946049A (zh) 2020-07-16 2021-07-16 用于实施增强现实的可穿戴显示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05A KR20220009733A (ko) 2020-07-16 2020-07-16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733A true KR20220009733A (ko) 2022-01-25

Family

ID=7929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305A KR20220009733A (ko) 2020-07-16 2020-07-16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20302A1 (ko)
KR (1) KR20220009733A (ko)
CN (1) CN113946049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4977B2 (en) * 2012-08-24 2014-11-11 Analogix Semiconductor, Inc. Panel self refreshing with changing dynamic refresh rate
US9479310B2 (en) * 2013-08-06 2016-10-25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communicate with a device
KR20160039389A (ko) *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라온텍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EP4235391A3 (en) * 2016-08-22 2023-10-25 Magic Leap, Inc.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US10454725B1 (en) * 2018-09-27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C-PHY receiver equalization
US11431531B2 (en) * 2020-03-18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Termination for high-frequency transmission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20302A1 (en) 2022-01-20
CN113946049A (zh)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476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TWI695359B (zh) 顯示驅動器及驅動顯示面板的方法
CN108288452B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013482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80082692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20065139A (ko) 표시 장치를 위한 화소,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483649B2 (ja) Oled表示装置
US8196059B2 (en) Switch and on-scree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KR20150101025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0726764B2 (en)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00071297A (ko)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방법
US20210241700A1 (en)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Display Device
CN105721848B (zh) 显示立体图像的方法及显示设备
KR102551131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KR1019577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7389A (ko)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휘도 제어 방법
CN113744694A (zh) 全局控制的局部调光
KR20220009733A (ko)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착용형 표시 시스템
KR20190016831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422036B1 (ko) 낮은 레이턴시 가상 현실을 구동 및 보상하는 표시장치
KR102391480B1 (ko)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17501A (ko) 데이터 구동회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20230178029A1 (en) Display device and virtual reality device
US20240096266A1 (en) Data driver, display device having data dri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data driver
KR20210077338A (ko) 내부 인터페이스를 갖는 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