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131B1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131B1
KR102551131B1 KR1020180109602A KR20180109602A KR102551131B1 KR 102551131 B1 KR102551131 B1 KR 102551131B1 KR 1020180109602 A KR1020180109602 A KR 1020180109602A KR 20180109602 A KR20180109602 A KR 20180109602A KR 102551131 B1 KR102551131 B1 KR 102551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eye image
data
left eye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844A (ko
Inventor
이상린
이호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1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spect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7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96Synchronisation or controlling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헤더 데이터,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및 중복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헤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DISPLAY DEVICE AND HEAD MOUNTED DEVICE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장치는 안경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며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에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서 헤드 마운트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헤드 마운트 장치는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 표시 장치를 통해 두 개의 영상, 즉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두 눈의 시선이 이루는 각도차(양안 시차)로 인해서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마운트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의 예시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장치를 통해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외부 장치와 헤드 마운트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장치 내에서 영상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량을 줄임으로써 헤드 마운트 장치의 구동 성능을 높이는 동시에 영상 지연 및 잔상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헤더 데이터,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및 중복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헤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헤더 데이터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크기 정보, 단위 프레임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개수 정보,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블록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을 조합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라인 데이터 단위로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헤더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라인 데이터 내에서 영상 블록 및 중복 영상 블록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일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패킷에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는,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헤더 데이터,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및 중복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헤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헤더 데이터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크기 정보, 단위 프레임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개수 정보,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블록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을 조합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라인 데이터 단위로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헤더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라인 데이터 내에서 영상 블록 및 중복 영상 블록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일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패킷에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장치를 통해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외부 장치와 헤드 마운트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장치 내에서 영상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량을 줄임으로써 헤드 마운트 장치의 구동 성능을 높이는 동시에 영상 지연 및 잔상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가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위 블록으로 구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가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영상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가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영상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도 9는 종래의 외부 장치에 의해서 헤드 마운트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와 본 발명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서 헤드 마운트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각각 나타낸다.
도 10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동일할 때 종래의 외부 장치에 의해서 헤드 마운트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와 본 발명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서 헤드 마운트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 장치(102)는 소스(Source) 영상을 렌더링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각각 생성한다. 이 때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의 해상도에 따라서 외부 장치(102)의 연산량 및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의 크기가 달라진다.
헤드 마운트 장치(104)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외부 장치(102)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즉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수신한다. 헤드 마운트 장치(104)의 내부에는 표시 장치(106)가 구비되며, 표시 장치(106)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108)을 통해서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가 각각 표시된다.
헤드 마운트 장치(104)를 장착한 사용자는 도면과 같이 표시 패널(108)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시청하게 되며, 좌안과 우안의 시차, 즉 양안 시차에 의해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시인된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르면 외부 장치(102)는 소스 영상을 기초로 헤드 마운트 장치(104)에 전달될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각각 생성한다. 이 때 생성되는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생성하기 위한 외부 장치(102)의 영상 처리 시간 및 연산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의 크기가 증가한다. 이처럼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외부 장치(102)가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헤드 마운트 장치(104)로 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통신 대역폭이 증가하게 되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 장치(102)의 영상 처리 시간 및 연산 부하가 증가하고 외부 장치(102)와 헤드 마운트 장치(104) 간의 대역폭이 증가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게 되면, 헤드 마운트 장치(104)에 구비된 표시 패널(108)을 통해 영상이 표시될 때 영상이 실제로 표시되어야 하는 타이밍보다 지연된 타이밍으로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외부 장치(102)의 영상 처리 시간 및 연산 부하가 증가하고 외부 장치(102)와 헤드 마운트 장치(104) 간의 대역폭이 증가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게 될 경우, 표시 패널(108)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이 움직일 때 사용자의 눈에 잔상이 남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생성할 때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중복 영역을 고려함으로써 외부 장치(102)의 영상 처리 시간 및 연산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 장치(102)에서 생성된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가 패킷 형태로 헤드 마운트 장치(104)에 전송되며 헤드 마운트 장치(104)에 구비된 표시 장치(106)가 패킷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외부 장치(102)의 영상 처리 시간 및 연산 부하를 줄이는 동시에 외부 장치(102)와 헤드 마운트 장치(104) 간의 대역폭을 줄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장치(2)는 케이스(20), 표시 패널(22), 좌안 렌즈(242), 우안 렌즈(244), 스트랩(26)을 포함한다.
케이스(20)는 헤드 마운트 장치(2)의 외관을 형성하며 표시 패널(22), 좌안 렌즈(242), 우안 렌즈(244)와 같은 각종 부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케이스(20)는 제1 케이스(202) 및 제2 케이스(204)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202)는 제2 케이스(204)와 결합되어 밀폐된다. 제1 케이스(202)와 제2 케이스(204)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표시 패널(22)이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제1 케이스(202) 및 제2 케이스(204)의 구조 및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표시 패널(22)은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22)은 좌안 영상이 표시되는 좌안 영상 표시 영역(222) 및 우안 영상이 표시되는 우안 영상 표시 영역(224)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표시 패널(22)이 단일 패널로 구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안 영상용 표시 패널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안 영상용 표시 패널이 각각 별도의 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와 물리적 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 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은 도 3을 통해서 후술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케이스(204)에는 좌안 렌즈(242) 및 우안 렌즈(244)가 배치된다. 좌안 렌즈(242) 및 우안 렌즈(244)는 각각 표시 패널(22)의 좌안 영상 표시 영역(222) 및 우안 영상 표시 영역(2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장치(2)를 착용하게 되면 좌안 렌즈(242) 및 우안 렌즈(244)에 의해서 좌안 및 우안의 초점이 조절되어 표시 패널(22)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제2 케이스(204)의 양 측면에는 스트랩(26)이 연결된다. 스트랩(26)은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장치(2)를 착용할 때 헤드 마운트 장치(2)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1개의 스트랩(26)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스트랩의 개수 및 연결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 마운트 장치(2) 내부에는 위치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센서(미도시)는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장치(2)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를 센싱한다. 헤드 마운트 장치(2)는 위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센싱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 및 각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 및 각도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 패널(22)을 통해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22)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2)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n)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을 구비한다.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n)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은 서로 교차하여 픽셀 영역을 정의한다. 각각의 픽셀 영역에는 픽셀(P)이 배치된다.
각각의 픽셀(P)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구비한다. 각 픽셀(P)에 구비된 TFT를 통해서 데이터 구동부(32)로부터 데이터 전압이 공급된다. 표시 장치(3)가 액정 표시 장치일 경우 픽셀(P)은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서 액정 분자 배열이 가변되는 액정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3)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일 경우 픽셀(P)은 데이터 전압 공급에 의해서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2)는 타이밍 제어부(3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영상 데이터(Vdata)를 수신한다. 데이터 구동부(32)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제어부(3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V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n)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32)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pe Automated Bonding, 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표시 패널(22)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 패널(22)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표시 패널(22)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필름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단은 표시 패널(22)에 본딩된다.
게이트 구동부(34)는 타이밍 제어부(3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GCS)에 기초하여 스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34)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 패널(22)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 패널(22)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34)는 표시 패널(22)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표시 패널(22)과 연결된 필름 상에 실장되는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타이밍 제어부(30)는 외부 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기초로 영상 데이터, 즉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30)는 외부 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동기 신호들, 예컨대 도트클럭(D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배치 방향 신호(AD)를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데이터 구동부(32) 및 게이트 구동부(34)에 각각 공급한다. 필요한 경우 타이밍 제어부(3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저장부(36)에 저장하거나, 저장부(36)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읽어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장치(10)는 소스 영상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생성한다. 외부 장치(10)의 예시로는 그래픽 카드가 장착된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을 들 수 있으나, 외부 장치(1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타이밍 제어부(30)는 입력부(302) 및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를 포함한다.
입력부(302)는 외부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패킷(PK)은 헤더 데이터,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및 중복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입력부(30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로 전달하거나 저장부(36)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입력부(302)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기초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영상 데이터 패킷(PK)에 포함된 헤더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및 중복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더 데이터는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크기 정보, 단위 프레임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개수 정보,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블록 및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을 조합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라인 데이터 단위로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헤더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라인 데이터 내에서 영상 블록 및 중복 영상 블록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일할 경우, 영상 데이터 패킷에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가 외부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기초로 표시 패널(22)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나타낸다.
외부 장치(10)는 소스 영상을 기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각각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10)는 소스 영상을 기초로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 중 어느 하나를 먼저 렌더링한다. 본 발명에서 외부 장치(10)는 좌안 영상 데이터(LI)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블록(예컨대, 40) 단위로 렌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 데이터(LI)를 먼저 렌더링한 경우, 외부 장치(10)는 렌더링된 좌안 영상 데이터(LI)를 기초로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렌더링한다. 외부 장치(10)는 렌더링된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동일한 위치의 블록 단위로 비교하여 각 블록의 동일성을 판단한다. 각 블록의 동일성을 판단하기 위한 대표값의 예시로는 각 블록을 구성하는 픽셀의 밝기값, 각 블록을 구성하는 픽셀의 RGB 값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장치(10)는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의 블록 간의 대표값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블록들을 중복 영상 블록으로 결정한다.
중복 영상 블록이 결정되면, 외부 장치(10)는 결정된 중복 영상 블록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LI)를 제1 영상 데이터(402) 및 중복 영상 데이터(406)로 분리하고,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제2 영상 데이터(404) 및 중복 영상 데이터(406)로 분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가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402), 제2 영상 데이터(404), 중복 영상 데이터(406)가 생성되면, 외부 장치(10)는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402), 제2 영상 데이터(404), 중복 영상 데이터(406)를 기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 패킷(PK)은 헤더 데이터를 포함하는 헤더 필드(502), 중복 영상 데이터(406)를 포함하는 중복 영상 데이터 필드(504), 제1 영상 데이터(402)를 포함하는 제1 영상 데이터 필드(506), 제2 영상 데이터(404)를 포함하는 제2 영상 데이터 필드(508)로 구성된다.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구성하는 필드의 종류 및 순서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헤더 필드(502)는 블록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크기 필드(512), 블록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개수 필드(514),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중복 영상 블록 위치 필드(5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블록 크기 정보는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를 의미하고, 블록 개수 정보는 단위 프레임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중복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 중복 영상 블록이 각 영상 데이터에서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외부 장치(10)는 앞서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402), 제2 영상 데이터(404), 중복 영상 데이터(406)를 기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생성하여 타이밍 제어부(30)의 입력부(302)로 전송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장치(10)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의 일부(중복 영상)를 제외한 데이터만을 표시 장치(3)에 전송하므로, 종래에 비해 표시 장치(3)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서 외부 장치(10)와 표시 장치(3) 간의 전송 대역폭이 감소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위 블록으로 구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가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영상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가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영상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외부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PK)을 수신한 타이밍 제어부(30)의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영상 데이터 패킷(PK)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를 각각 생성한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는 각각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타이밍 제어부(30)는 영상 데이터 패킷(PK)에 포함된 블록 단위의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중복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도 6과 같은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가 각각 8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를 구성하는 블록의 개수 및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타이밍 제어부(30)가 도 7에 도시된 제1 영상 데이터 패킷(PK1) 및 제2 영상 데이터 패킷(PK2)을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302)는 외부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영상 데이터 패킷(PK1)을 입력받는다. 입력부(302)는 입력된 제1 영상 데이터 패킷(PK1)을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로 전달하고,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제1 영상 데이터 패킷(PK1)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62)의 첫 번째 라인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첫 번째 라인을 생성한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먼저 제1 영상 데이터 패킷(PK1)의 헤더 필드(502)에 포함된 헤더 정보(H1)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더 정보는 블록 크기 정보, 블록 개수 정보,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블록 크기 정보는 각각의 단위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블록 크기 정보가 20×20일 경우, 좌안 영상 데이터(62)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블록(예컨대, S1 블록 또는 F 블록)은 가로 20개 및 세로 20개의 픽셀로 구성된다.
블록 개수 정보는 단위 프레임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블록 개수 정보가 (8, 2)일 경우, 좌안 영상 데이터(62)를 구성하는 블록의 개수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64)를 구성하는 블록의 개수는 8개이고 각각의 프레임은 4개의 블록으로 구성된 2개의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블록 크기 정보 및 블록 개수 정보를 확인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헤더 정보(H1)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중복 영상 데이터 필드(504), 제1 영상 데이터 필드(506), 제2 영상 데이터 필드(508)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첫 번째 라인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가 (1, 1) 및 (1, 3)일 경우,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중복 영상 데이터 필드(504)에 포함된 2개의 중복 영상 데이터 블록(S1, S2)을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첫 번째 라인의 첫 번째 열(1, 1) 및 첫 번째 라인의 세 번째 열(1, 3)에 배치한다. 그리고 나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제1 영상 데이터 필드(506)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블록(A, B)을 좌안 영상 데이터(62)의 첫 번째 라인의 두 번째 열 및 네 번째 열에 배치하고, 제2 영상 데이터 필드(508)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블록(C, D)을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첫 번째 라인의 두 번째 열 및 네 번째 열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서 도 6과 같이 좌안 영상 데이터(62)의 첫 번째 라인에는 블록 S1, A, S2, B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첫 번째 라인에는 블록 S1, C, S2, D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처럼 중복 영상 데이터 블록(S1, S2)은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입력부(302)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영상 데이터 패킷(PK2)의 헤더 필드(502)에 포함된 헤더 정보(H2)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더 정보는 블록 크기 정보, 블록 개수 정보,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블록 크기 정보 및 블록 개수 정보를 확인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헤더 정보(H2)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중복 영상 데이터 필드(504), 제1 영상 데이터 필드(506), 제2 영상 데이터 필드(508)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두 번째 라인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가 (2, 2) 및 (2, 3)일 경우,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중복 영상 데이터 필드(504)에 포함된 2개의 중복 영상 데이터 블록(S3, S4)을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두 번째 라인의 두 번째 열(2, 2) 및 두 번째 라인의 세 번째 열(2, 3)에 배치한다. 그리고 나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제1 영상 데이터 필드(506)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블록(E, F)을 좌안 영상 데이터(62)의 두 번째 라인의 첫 번째 열 및 네 번째 열에 배치하고, 제2 영상 데이터 필드(508)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블록(G, H)을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두 번째 라인의 첫 번째 열 및 네 번째 열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서 도 6과 같이 좌안 영상 데이터(62)의 두 번째 라인에는 블록 E, S3, S4, F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우안 영상 데이터(64)의 두 번째 라인에는 블록 G, S3, S4, H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처럼 중복 영상 데이터 블록(S3, S4)은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제1 영상 데이터 패킷(PK1) 및 제2 영상 데이터 패킷(PK2)을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304)는 생성된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를 데이터 구동부(32)에 전달하고, 데이터 구동부(32)는 수신된 좌안 영상 데이터(62) 및 우안 영상 데이터(64)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n)에 공급함으로써 표시 패널(22)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표시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외부 장치(10)에서만 이루어지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연산 및 생성 과정을 표시 장치(3)에서 분담하여 처리함으로써 외부 장치(1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3)에서 수행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에 기초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생성 과정 또한 종래의 영상 렌더링 과정에 비해서 매우 낮은 부하를 요구하므로 종래에 비해 표시 장치(3)의 영상 처리 및 표시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표시 패널(22)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지연 현상 및 잔상 현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종래의 외부 장치에 의해서 헤드 마운트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와 본 발명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서 헤드 마운트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각각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 장치는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902)를 그대로 헤드 마운트 장치 내의 표시 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 장치가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중복되는 영상 데이터, 즉 중복 영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에서 각각 중복 영상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및 중복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 데이터 패킷(904)를 생성하여 헤드 마운트 장치 내의 표시 장치로 전송한다. 영상 데이터 패킷(90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더 필드(90), 중복 영상 데이터 필드(92), 제1 영상 데이터 필드(94), 제2 영상 데이터 필드(96)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 장치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902)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904)을 비교하면 중복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길이(906) 만큼 영상 데이터 패킷(904)의 길이가 짧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장치와 표시 장치 간의 전송 대역폭이 줄어들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한다.
도 10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동일할 때 종래의 외부 장치에 의해서 헤드 마운트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와 본 발명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서 헤드 마운트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각각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 장치는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가 서로 동일하더라도,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1002)를 그대로 헤드 마운트 장치 내의 표시 장치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는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가 서로 동일할 경우,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 데이터에서 중복 영상 데이터를 제외한 영상 데이터, 즉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을 중복 영상 데이터와 함께 영상 데이터 패킷(100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 데이터(LI) 및 우안 영상 데이터(RI)가 서로 동일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는 헤더 필드(90), 중복 영상 데이터 필드(92), 제1 영상 데이터 필드(94)만으로 영상 데이터 패킷(1004)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영상 데이터(1002)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 패킷(1004)의 길이가 더욱 줄어들게 되므로, 두 데이터의 차이(1006) 만큼의 전송 대역폭이 줄어들고 전송 속도가 증가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데이터 패킷(1004)을 입력받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3)는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 데이터 패킷(1004)을 이용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3)는 앞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제1 영상 데이터 필드(94)에 포함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4)

  1.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헤더 데이터,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가 서로 중복되는 중복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헤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데이터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크기 정보;
    단위 프레임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개수 정보;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블록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을 조합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라인 데이터 단위로 생성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헤더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라인 데이터 내에서 영상 블록 및 중복 영상 블록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일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패킷에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이 포함되는
    표시 장치.
  8.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헤더 데이터,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가 서로 중복되는 중복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헤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데이터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위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크기 정보;
    단위 프레임에 포함되는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블록 개수 정보;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또는 제2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블록 및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을 조합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를 라인 데이터 단위로 생성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헤더 데이터에 포함된 중복 영상 블록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라인 데이터 내에서 영상 블록 및 중복 영상 블록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 영상 블록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일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패킷에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이 포함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KR1020180109602A 2018-09-13 2018-09-1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KR102551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02A KR102551131B1 (ko) 2018-09-13 2018-09-1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02A KR102551131B1 (ko) 2018-09-13 2018-09-1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44A KR20200030844A (ko) 2020-03-23
KR102551131B1 true KR102551131B1 (ko) 2023-07-03

Family

ID=6999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602A KR102551131B1 (ko) 2018-09-13 2018-09-1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865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06251A1 (en) * 2020-04-07 2021-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duced communication load through lossless data reduction
CN114268779B (zh) * 2021-12-08 2023-09-08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图像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216A1 (ja) * 2010-03-24 2011-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
JP2013066075A (ja) * 2011-09-01 2013-04-11 Sony Corp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216A1 (ja) * 2010-03-24 2011-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
JP2013066075A (ja) * 2011-09-01 2013-04-11 Sony Corp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44A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311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838674B2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mal viewing distance thereof
US10332432B2 (en) Display device
KR102551131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KR102360412B1 (ko) 영상 생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9019353B2 (en) 2D/3D switchabl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2D and 3D images
US8749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3D images
KR101279657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200168001A1 (en) Display unit for ar/vr/mr systems
CN109389929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TWI730217B (zh) 對頭戴式顯示器之傳輸技術
KR101224461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963385B1 (ko) 디스패러티 산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US10748493B2 (en) Display device for driving and compensating low latency virtual reality
KR101688534B1 (ko)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621951B2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11327319B2 (en) Head mounted display,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50130910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US20160080733A1 (en) Shutter glasses, method for driving the shutter glasse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91375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3-D display control
KR102164958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629441B1 (ko) 영상 생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30046281A (ko) 3d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2572498B (zh) 图像处理方法及其装置
KR20130028260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