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1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17A
KR20240016617A KR1020220094602A KR20220094602A KR20240016617A KR 20240016617 A KR20240016617 A KR 20240016617A KR 1020220094602 A KR1020220094602 A KR 1020220094602A KR 20220094602 A KR20220094602 A KR 20220094602A KR 20240016617 A KR20240016617 A KR 20240016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mode
display device
mode
w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17A/ko
Priority to EP22210512.4A priority patent/EP4312429A1/en
Priority to US18/107,472 priority patent/US20240040076A1/en
Publication of KR2024001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3Power saving in microcontroller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IR 신호를 수신하고, 저 전력 모드 또는 액티브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저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저 전력 모드에서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DISPLAY DEVICE AND SYSTEM}
본 개시는 IR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TV는 전력을 최소한으로 사용하기위해 주기적으로 최소한의 시간 구간만큼만 IR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고, 나머지 시간 구간 동안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저 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저 전력 모드 하에서 TV는 최소한의 시간 구간 동안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므로, 리모컨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IR 신호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발생되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액티브 모드의 유지 기간을 축소하였지만, 축소된 시간만큼만 IR 신호를 인지할 수 있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노이즈 신호가 IR 성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 외부 노이즈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 동작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가 IR 신호를 2회 전송하는 기술이 등장하였으나, 첫번째 IR 신호를 인식하는 경우, TV는 저전력 모드가 해제되어, 다른 외부 IR 신호에 의해 오 동작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IR 성분을 포함하는 외부 노이즈 신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 동작을 방지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IR 신호의 수신에 따른 MCU의 전력 모드 조건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IR 신호를 수신하고, 저 전력 모드 또는 액티브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저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저 전력 모드에서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IR 신호로부터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상기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노이즈 신호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IR 신호를 명확히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 동작이 방지될 수 있고, 오 동작에 따라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막아, 소비 전력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노이즈 신호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IR 신호를 명확히 구분하여, IR 신호의 수신 대기를 위해 소모되는 소비 전력의 loss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 전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 도면이다.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IR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를 포함하는 IR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 및 IR 수신 대기 신호를 포함하는 IR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IR 대기 수신 신호의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외부 노이즈 신호가 인가된 경우, 웨이크 업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MCU의 전력 모드가 제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b는 외부 노이즈 신호가 인가된 경우, 웨이크 업 신호 및 IR 수신 대기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MCU의 전력 모드가 제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마이크로폰(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의 전력 모드를 저 전력 모드로 동작시킨다(S501).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IR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컨트를러(17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는 저 전력 모드 및 액티브 전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저 전력 모드는 IR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저 전력 모드는 IR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구간을 나타내는 액티브 모드 및 IR 신호를 인지할 수 없고, 대기 상태에 있는 구간인 스탠바이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액티브 전력 모드는 IR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액티브 모드를 지속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 전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저 전력 모드 하에서 액티브 모드 및 스탠바이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는 3.2ms 구간 동안 유지되고, 액티브 모드를 뒤따르는 스탠바이 모드는 30.55ms 구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액티브 모드는 IR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모드이고, 스탠바이 모드는 IR 신호를 인지할 수 없는 대기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시간 구간이 짧을수록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소비 전력이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IR 신호를 수신한다(S503).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외부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IR 센서와 같은 IR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R 수신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과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수신된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05).
컨트롤러(170)는 IR 신호에 웨이크 업(wake_up)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이크 업 신호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액티브 전력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 또한, IR 신호의 일종일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는 적어도 2개가 연속된 0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예를 들어, 00)일 수 있다. 데이터 <1> 및 데이터 <0>은 서로 펄스의 길이로 구분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 0을 나타내는 신호는 오프 신호, 디지털 데이터 1을 나타내는 신호는 온 신호로 명명될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는 하나의 액티브 구간(한 주기 동안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는 구간)과 하나의 스탠바이 구간(한 주기 동안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하는 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시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 업 신호는 대략 33.7ms의 시간 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이는, 웨이크 업 신호 또한 IR 신호의 일종이므로, 하나의 액티브 구간과 하나의 스탠바이 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시간 구간을 가져야, 액티브 구간을 통해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웨이크 업 신호는 30개의 <0>이 조합된 신호일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는 최소 2개의 0이 연속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컨트롤러(170)는 수신된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인식된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전력 모드로 동작시킨다(S507).
액티브 전력 모드 하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액티브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액티브 전력 모드 하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IR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액티브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액티브 전력 모드 하에서, IR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S509).
IR 신호는 웨이크 업 신호 및 동작 명령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명령 신호는 웨이크 업 신호에 뒤따르는 신호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정 동작을 지시하는 코멘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IR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 신호에 포함된 코멘트 코드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코멘트 코드는 디지털 데이터 0과 1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코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은 전원 온, 채널 변경, 메뉴 선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IR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를 포함하는 IR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종래의 IR 출력 신호(710)는 스타트 키 코드(711), 주소 코드(712), 반전된 주소 코드(713), 코멘드 코드(714), 반전된 코멘드 코드(715) 및 반복 코드(71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트 키 코드(711)는 9ms 동안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코드로, IR 출력 신호(710)의 시작을 나타내는 코드일 수 있다.
스타트 키 코드(711)의 전송 후, 4.5ms 동안의 로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주소 코드(712) 및 반전된 주소 코드(713)는 IR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식별하는 주소 정보를 담고 있는 코드일 수 있다.
코멘드 코드(714) 및 반전된 코멘드 코드(715)는 IR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일 수 있다.
주소 코드(712)와 코멘드 코드(714)를 반전시켜 다시 보내는 이유는 에러 검출을 통해 수신률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주소 코드(712)와 코멘드 코드(714)를 구성하는 0과 1은 펄스의 길이로 구분될 수 있다. 펄스의 길이가 1.125ms이면 0이고, 2.25ms이면 1이다.
반복 코드(716)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른 상태가 유지됨을 나타내는 코드일 수 있다.
MCU는 저 전력 모드 하에서 3.2ms 시간 구간을 갖는 액티브 모드 및 30.55ms 시간 구간을 갖는 스탠바이 모드가 주기적으로 번갈아 반복될 수 있다.
IR 출력 신호(710)는 250ms의 시간 구간을 갖는 신호인데, MCU는 3.2ms 구간 동안에만 IR 출력 신호(710)의 스타트 키 코드(711)를 인식할 수 있어, 타이밍이 맞지 않는 경우, 저 전력 모드 하에서 MCU는 IR 출력 신호(710)를 놓칠 수 있다.
즉, IR 출력 신호(710)의 스타트 키 코드(711)의 시간 구간과 MCU가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 구간이 맞지 않는 경우, MCU는 IR 출력 신호(710)를 놓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IR 출력 신호(710)에 웨이크 업 신호(720)를 부가하여 IR 출력 신호(710)가 인식되지 못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IR 신호(730)는 웨이크 업 신호(720) 및 IR 출력 신호(71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회로(223)는 IR 신호(730)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MCU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IR 신호(730)를 생성하고, 생성된 IR 신호를(73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72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웨이크 업 신호(720)를 인지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저 전력 모드에서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720)의 길이는 한번의 액티브 모드의 시간 구간(3.2ms) 및 한번의 스탠바이 모드의 시간 구간(30.55ms)를 합한 한 주기의 시간 구간인 33.75ms을 커버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한 주기의 시간 구간(33.75ms)에 포함된 액티브 모드의 시간 구간(3.2ms) 내에서 웨이크 업 신호(720)가 인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웨이크 업 신호(720)는 적어도 2개의 연속된 0 신호(오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720)는 30개의 연속된 0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0 신호의 길이는 1.125ms이므로, 웨이크 업 신호(720)는 한 주기의 시간 구간(33.75ms)를 커버하기 위해 30개(1.125ms x 30 = 33.75ms)의 0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30개의 0 신호를 조합한 웨이크 업 신호(800)가 도시되어 있다. 30개의 0 신호는 하나의 액티브 모드의 시간 구간 및 하나의 스탠바이 모드의 시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신호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웨이크 업 신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속된 0 신호를 포함하고, 한 주기의 시간 구간을 커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로 0을 이용하는 이유는 0 신호의 길이가 1 신호의 길이 보다 짧아,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액티브 모드에서 0 신호를 인식할 확률이 크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실시 예에서 도 5의 단계와 동일한 단계의 상세한 설명은 도 5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의 전력 모드를 저 전력 모드로 동작시킨다(S901).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IR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컨트를러(17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는 저 전력 모드 및 액티브 전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저 전력 모드는 IR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저 전력 모드는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IR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구간을 나타내는 액티브 모드 및 IR 신호를 인지할 수 없고, 대기 상태에 있는 구간인 스탠바이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액티브 전력 모드는 IR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액티브 모드를 지속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IR 신호를 수신한다(S903).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외부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IR 센서와 같은 IR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R 수신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과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수신된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905).
컨트롤러(170)는 IR 신호에 웨이크 업(wake_up)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이크 업 신호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액티브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는 액티브 모드에 할당된 시간 구간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 동안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 또한, IR 신호의 일종일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는 연속된 <00>의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데이터 <1> 및 데이터 <0>은 서로 펄스의 길이로 구분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 0을 나타내는 신호는 오프 신호, 디지털 데이터 1을 나타내는 신호는 온 신호로 명명될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는 하나의 액티브 구간과 하나의 스탠바이 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시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 업 신호는 대략 33.7ms의 시간 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이는, 웨이크 업 신호 또한 IR 신호의 일종이므로, 하나의 액티브 구간과 하나의 스탠바이 구간을 커버할 수 있는 시간 구간을 가져야, 액티브 구간을 통해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웨이크 업 신호는 30개의 <0>이 조합된 신호일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는 최소 2개의 0이 연속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웨이크 업 신호는 도 7b 및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컨트롤러(170)는 수신된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인식된 경우, 일정 시간 구간 동안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동작시킨다(S907).
즉,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가 인식된 경우, MCU의 동작 모드를 바로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시키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액티브 모드의 시간 구간을 일정 시간 구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후술할 IR 수신 대기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시간 구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 후, 컨트롤러(170)는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909).
IR 수신 대기 신호는 MCU의 동작 모드를 저 전력 모드에서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즉, IR 수신 대기 신호는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MCU의 전력 모드를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R 수신 대기 신호는 특정 패턴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특정 패턴은 디지털 데이터 0과 1의 조합을 통해 생성되는 패턴일 수 있다.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갖는 특정 패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컨트롤러(170)는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전력 모드로 동작시킨다(911).
컨트롤러(170)는 액티브 전력 모드 하에서 IR 신호를 언제든지 수신할 수 있도록 액티브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액티브 전력 모드 하에서 IR 신호의 코드 값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한다(S913).
컨트롤러(170)는 IR 신호에 포함된 코멘트 코드가 나타내는 코드 값을 읽어와, 코드 값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은 전원 온, 채널 변경, 메뉴 선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IR 신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 및 IR 수신 대기 신호를 포함하는 IR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IR 신호(1000)는 웨이크 업 신호(720), IR 수신 대기 신호(1010) 및 IR 출력 신호(710)를 포함할 수 있다.
IR 신호(10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웨이크 업 신호(720) 및 IR 출력 신호(710)에 대한 설명은 도 7a 내지 도 8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720)의 감지 후, IR 수신 대기 신호(1010)가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720)의 감지 후, MCU를 액티브 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액티브 모드의 시간 구간을 일정 시간 구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액티브 모드의 시간 구간은 도 6의 설명처럼 3.2ms 시간 구간일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IR 수신 대기 신호(1010)의 인식을 위해 3.2ms 보다 더 긴 시간 구간을 갖도록 액티브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IR 수신 대기 신호(1010)는 특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IR 수신 대기 신호(1010)는 하나 이상의 0과 하나 이상의 1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IR 대기 수신 신호의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IR 수신 대기 신호(111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IR 수신 대기 신호(1110)는 2개의 0 데이터가 연속으로 조합된 신호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IR 수신 대기 신호(1120)가 도시되어 있다. 제2 IR 수신 대기 신호(1120)는 1 데이터 및 1 데이터를 뒤따르는 0 데이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제3 IR 수신 대기 신호(1130)가 도시되어 있다. 제3 IR 수신 대기 신호(1130)는 <100001>의 데이터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제4 IR 수신 대기 신호(1140)가 도시되어 있다. 제4 IR 수신 대기 신호(1140)는 <11000011>의 데이터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IR 수신 대기 신호의 길이가 짧을수록 IR 수신 대기 신호를 뒤따르는 코멘드 코드에 따른 기능이 실행이 빨라질 수 있으나, IR 수신 대기 신호와 외부 노이즈 간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IR 수신 대기 신호의 길이가 길수록 IR 수신 대기 신호를 뒤따르는 코멘드 코드에 따른 기능이 실행이 느려질 수 있으나, IR 수신 대기 신호와 외부 노이즈 간의 구분이 명확해질 수 있다.
도 12a는 외부 노이즈 신호가 인가된 경우, 웨이크 업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MCU의 전력 모드가 제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b는 외부 노이즈 신호가 인가된 경우, 웨이크 업 신호 및 IR 수신 대기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MCU의 전력 모드가 제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a를 설명한다.
컨트롤러(170)는 IR 형태의 외부 노이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외부 노이즈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액티브 모드의 하나의 시간 구간 및 스탠바이 모드의 하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한 주기의 시간 구간(3.2ms + 30.55ms= 33.75ms) 동안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MCU의 전력 모드를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MCU의 전력 모드를 저 전력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IR 방식은 빛의 파장으로 신호 전달을 하는 방식인데, 조명으로 사용하는 형광등, 백열등, LED 등들은 모두 파장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IR 수신기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측정해보면 아무런 리모컨 신호가 없는데도 한번씩 IR 수신기로 입력되는 신호들이 있다. 이는 노이즈 신호이지만 기존방식에서는 트리거 신호가 되어 MCU가 IR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액티브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구간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노이즈 신호의 인가에 따라 잦은 액티브 전력 모드로의 동작에 따라 소비전력 0W (엄밀하게는 0.0045W 이하) 구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노이즈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MCU의 전력 모드를 저 전력 모드로 유지시켜, MCU의 소비 전력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b를 설명한다.
컨트롤러(170)는 IR 형태의 외부 노이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외부 노이즈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액티브 모드의 하나의 시간 구간 및 스탠바이 모드의 하나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한 주기의 시간 구간(3.2ms + 30.55ms= 33.75ms) 동안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MCU의 전력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MCU의 전력 모드는 완전한 액티브 전력 모드가 아니고, IR 수신 대기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일시적으로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는 저 전력 모드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고,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MCU의 전력 모드를 저 전력 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컨트롤러(170)는 MCU의 전력 모드를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고,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 MCU의 전력 모드를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2b의 실시 예는 특정 패턴(IR 수신 대기 신호)를 입력 받았을 때 다음에는 확실히 IR 코드가 전송된다는 동작이 정의되어 있으므로,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여 IR 코드가 수신되도록 MCU가 동작한다.
하지만,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Standby 모드로 동작해 웨이크 업 신호의 오수신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불필요 액티브 동작 방지해서 MCU의 소비전력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 간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트롤러(170) 및 MCU(1300)을 포함할 수 있다. MCU(1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는 IR 수신기(1310)를 포함할 수 있다. IR 수신기(1310)는 IR 회로 또는 IR 센서로 명명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MCU(1300)의 전력 모드를 저 전력 모드 또는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IR 수신 대기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MCU(1300)의 전력 모드를 저 전력 모드 또는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IR 신호를 수신하고, 저 전력 모드 또는 액티브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상기 저 전력 모드는 상기 IR 신호를 수신 가능한 액티브 모드 및 상기 IR 신호를 수신 불가능한 스탠바이 모드가 주기적으로 서로 반복되는 모드이고,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는 상기 액티브 모드가 지속되는 모드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저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저 전력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연속된 0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상기 액티브 모드의 시간 구간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의 시간 구간을 커버하는 시간 구간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30개의 연속된 상기 0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IR 신호로부터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상기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고,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저 전력 모드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R 수신 대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0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1 데이터의 조합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 하에서, 상기 IR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에 상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상기 전력 모드를 상기 저 전력 모드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시스템에 있어서,
    IR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IR 신호를 수신하고, 저 전력 모드 또는 액티브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저 전력 모드는 상기 IR 신호를 수신 가능한 액티브 모드 및 상기 IR 신호를 수신 불가능한 스탠바이 모드가 주기적으로 서로 반복되는 모드이고,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는 상기 액티브 모드가 지속되는 모드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이 상기 저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IR 신호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저 전력 모드에서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연속된 0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상기 액티브 모드의 시간 구간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의 시간 구간을 커버하는 시간 구간을 갖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30개의 연속된 상기 0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IR 신호로부터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상기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고,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IR 수신 대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전력 모드를 상기 저 전력 모드로 유지하는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R 수신 대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0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1 데이터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액티브 전력 모드 하에서, 상기 IR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에 상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상기 전력 모드를 상기 저 전력 모드로 유지하는
    시스템.
KR1020220094602A 2022-07-29 2022-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16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02A KR20240016617A (ko) 2022-07-29 2022-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EP22210512.4A EP4312429A1 (en) 2022-07-29 2022-11-30 Display device and system
US18/107,472 US20240040076A1 (en) 2022-07-29 2023-02-08 Display device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02A KR20240016617A (ko) 2022-07-29 2022-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17A true KR20240016617A (ko) 2024-02-06

Family

ID=8436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02A KR20240016617A (ko) 2022-07-29 2022-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40076A1 (ko)
EP (1) EP4312429A1 (ko)
KR (1) KR20240016617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116783C2 (uk) * 2012-10-18 2018-05-10 Протеус Діджитал Хелс, Інк. Пристрій, система та спосіб адаптивної оптимізації розсіювання потужності та потужності передачі у джерела живлення пристрою зв'язку
KR102117841B1 (ko) * 2012-10-30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25856B2 (en) * 2019-10-20 2021-06-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Emergency alarm control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emergency alarm control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40076A1 (en) 2024-02-01
EP4312429A1 (en)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16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694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00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66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KR1026469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97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201613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30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798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31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901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AU202220174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58092B1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7024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시스템
US20230269415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40118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40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8291A (ko) 원격 제어 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81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