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580A -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580A
KR20240016580A KR1020220094533A KR20220094533A KR20240016580A KR 20240016580 A KR20240016580 A KR 20240016580A KR 1020220094533 A KR1020220094533 A KR 1020220094533A KR 20220094533 A KR20220094533 A KR 20220094533A KR 20240016580 A KR20240016580 A KR 20240016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livery
logistics
spac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혁
이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웨일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웨일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웨일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9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580A/ko
Publication of KR2024001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58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하고,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하며, 물류센터 연계정보에 따라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매칭부; 및 공간 매칭부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재고적재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센터의 적재 공간별 매칭을 통해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등록하고,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 권한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의 재고상품들에 대한 보관 위치와 적재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배송정보만으로 라이더 단말기 조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Space management system for the operation of shared logistics MFC in the urban area}
본 발명은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Micro Fulfillment Center) 운영을 위한 주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센터별 적재 공간을 매칭시켜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등록하고, 연계된 물류센터 각각에서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되, 상품 출고시 출입관리를 통해 승인된 라이더 단말기에 배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의 효율적인 공간 및 배송 관리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산업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종래의 물류 시스템이 가지는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종래의 물류센터는 생산자로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이 전달되기까지의 과정인 배송에 있어서, 여러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공급받아 상품이 보관되고 배송 준비를 하게 되며, 빠르고 정확한 배송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생산자로부터 물류센터로 물품이 들어오는 입고, 입고된 물품을 창고에 보관하는 재고, 재고 물품들이 효율적인 패킹을 위해 보관대에 쌓이는 적재, 물류센터에서 소비자에게 배송하기 위해 적재된 물품들을 배송차량 등에 실어 배송을 시작하는 출고 등의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물류센터는 도심 외곽의 교통 요지에 구축되어 넓은 부지의 이점을 활용하여 자동창고 형식의 대형설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거점별 단일 물류센터에 적재된 물품들을 택배 박스 단위의 패킹을 하여 택배나 소형 화물차로 배송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물류 전반이 관리되었다.
그러나, 물류센터가 수도권 외곽에서 최종 배송지인 소비자의 문 앞까지 오는 동안 교통 정체 등으로 배송 시간을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고, 부정확한 배송시간과 거리, 교통량에 따른 긴 이동시간으로 신선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배송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인들이 배송기사로 참여하는 경우 빠르고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 배송을 실현할 수 있는데, 물류센터가 수도권 외곽에 위치한 경우 일반인 배송기사 제도를 활용하기가 어렵다.
이에 출원인은 물류센터별 적재 공간을 매칭시켜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등록하고, 연계된 물류센터 각각에서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되, 상품 출고시 출입관리를 통해 승인된 라이더 단말기에 배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의 효율적인 공간 및 배송 관리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2268(2022.04.01.공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류센터별 적재 공간을 매칭시켜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등록하고,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의 재고상품들에 대한 보관 위치와 적재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배송정보만으로 라이더 단말기 조회가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으로서,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하고,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하며, 물류센터 연계정보에 따라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매칭부; 및 공간 매칭부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재고적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재고적재 관리부로부터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배송정보 및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된 라이더 단말기로 배송정보를 전송하는 출입배송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간 매칭부는, 물류센터 단말기로부터 공간매칭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하는 물류거점 계산모듈;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의 고유식별ID와 함께 등록하여 공간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물품적재 연계모듈; 및 물류센터 연계정보와 대응하도록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입고물품 분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고적재 관리부는, 공간 매칭부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고, 물류센터에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며, 입고요청정보 및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재고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재고적재 관리모듈; 및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차감하도록 재고DB에 저장된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생성한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출입배송 관리부로 전송하는 출입권한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출입배송 관리부는, 재고적재 관리부로부터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배송정보 및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배송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출입배송 관리모듈; 및 배송DB로부터 색인한 라이더 등록정보와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매칭시키고,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된 라이더 단말기로 배송정보를 전송하는 라이더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센터의 적재 공간별 매칭을 통해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등록하고,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 권한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의 재고상품들에 대한 보관 위치와 적재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배송정보만으로 라이더 단말기 조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의 공간 매칭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의 재고적재 관리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의 출입배송 관리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10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02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04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06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08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S)은,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하고,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상기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하며, 물류센터 연계정보에 따라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10)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매칭부(100)와, 공간 매칭부(100)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재고적재 관리부(200), 및 재고적재 관리부(200)로부터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배송정보 및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된 라이더 단말기(20)로 배송정보를 전송하는 출입배송 관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S)의 물류센터 단말기(10) 및 라이더 단말기(20)는 앱 설치가 가능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서로 접속이 가능한 PC,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중에 어느 하나의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S)에서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되는 대상을 라이더 단말기(20)로 기재하였으나, 연동 대상이 라이더 단말기(20)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출입배송 관리부(300)에 등록되어 배송이 가능한 택배, 퀵 또는 일반인 중에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S)의 공간 매칭부(1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공간 매칭부(100)는 물류센터 단말기(10)로부터 공간매칭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하는 물류거점 계산모듈(110)과,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10)의 고유식별ID와 함께 등록하여 공간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물품적재 연계모듈(120), 및 물류센터 연계정보와 대응하도록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10)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입고물품 분류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물류거점 계산모듈(110)은 기 등록된 공유 물류센터들을 거점별로 구분하고, 구분한 공유 물류센터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물품이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입고될 배송지 분류는 배송지간 거리가 기준값보다 먼 경우 공유 물류센터들을 매칭시켜 거점을 중심으로 배송지 묶음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적재 연계모듈(120)은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물류거점 계산모듈(110)에 의해 분류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10)의 고유식별ID와 함께 등록하여 공간DB에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입고물품 분류모듈(130)은 물류센터 연계정보와 대응하도록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10)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하고, 물류센터 단말기(10)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재고적재 관리부(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입고요청정보는 물품적재 연계모듈(120)에 의해 분류된 배송지별로 분산된 물류센터 각각으로 물품을 입고시키기 위한 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매칭부(100)는, 특정 지역 내에 점유 가능한 유휴공간(위치, 평수, 층 등)을 포함한 사용 가능한 공간 정보, 단일 유효공간의 최대 적재 가능 정보, 고객별 유휴공간 내 각각의 적재 가능 정보, 및 사전에 점유가 가능하게 하는 유휴 공간 점유 관리 정보를 출입배송 관리부(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간 매칭부(100)는 입고 예약 관리, 입고 예약에 대한 보관증 발행, 점유 공간으로 입고 정보 제공, 입고 장소 및 보관 방법 제공, 유휴공간에 적재할 개수 정보 제공 및 입고 시간 정보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간 매칭부(100)에 의하면 특정 지역 중심으로 공간 정보를 분류할 수 있고, 호스트가 제공 가능한 평수를 공통된 적재 크기로 나누어 적재 가능 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재고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공간 내 남은 적재수와 비교하여 가능한 적재량만큼만 예약을 연동시키며, 예약된 공간에 대한 적재 인증을 위해 발행한 보관증을 적재 물건에 부착해 관리할 수 있고, 입고 예약시 점유된 공간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며, 층수, 출입문 위치, 출입방법 등의 정보을 제공하고, 공간의 스케줄 관리가 가능하며, 해당 공간에 물품 도착시 보관증(티켓) 촬영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S)의 재고적재 관리부(2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재고적재 관리부(200)는 공간 매칭부(100)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고, 물류센터에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며, 입고요청정보 및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재고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재고적재 관리모듈(210), 및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차감하도록 재고DB에 저장된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생성한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출입배송 관리부(300)로 전송하는 출입권한 관리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출입권한 관리모듈(220)은 관리자 단말기 또는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출고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재고DB에 저장된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갱신함과 동시에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생성하는데, 이때 생성되는 출입권한 상태정보는 라이더 단말기(20)가 물류센터로의 출입과 물품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의 출고에 대한 허가를 부여하는 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적재 관리부(200)는, 실제 적재된 공간별 물품 수량 및 종류 확인 기능 및 공간별 실시간 재고 수량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하며, 입고된 물품 중 필요시 출고를 임시 정지시키는 출고 임시 정지 기능을 제공하고, 출고 누락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재고적재 관리부(200)에 의하면, 보관증(티켓)의 코드로 해당 물품이 어디에 있는지 추적 및 확인할 수 있고, 적재된 물품에 대한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시스템 호출을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출고 예정 시간에 출고되지 않은 재고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S)의 출입배송 관리부(3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출입배송 관리부(300)는 재고적재 관리부(200)로부터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배송정보 및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배송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출입배송 관리모듈(310), 및 배송DB로부터 색인한 라이더 등록정보와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매칭시키고,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된 라이더 단말기(20)로 배송정보를 전송하는 라이더 관리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출입배송 관리모듈(310)은 재고적재 관리부(200)로부터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배송정보 및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배송DB에 등록하고, 물류센터별로 기 등록된 라이더 단말기(20)의 고유식별ID를 배송DB에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라이더 관리모듈(320)은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된 라이더 단말기(20)로 배송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배송DB에 기 등록되어 배송이 가능한 택배, 퀵 또는 일반인 중에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 배송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배송 관리부(300)는, 사전에 출고 예측 시간 및 실제 출고 시간 확인 기능을 제공하고, 출고 공간 정보, 출입 권한 정보, 출고 재고 정보 및 출고 완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출입배송 관리부(300)에 의하면, 출고될 물품이 어느 유휴공간에 적재되어 있는지 위치 및 출입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하며, IoT와 같은 출입 정보 연계 필요시 API를 통해 권한 정보를 제공하고, 배송기사가 건물 내에서 출입할 수 있는 정보와 물품에 대한 픽업 권한을 제공하고, 해당 유휴공간에 어떤 물건을 몇 개 출고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공간 매칭부(100)가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한다(S502).
이어서, 공간 매칭부(100)가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상기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한다(S504).
뒤이어, 공간 매칭부(100)가 물류센터 연계정보에 따라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10)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한다(S506).
이어서, 재고적재 관리부(200)가 공간 매칭부(100)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한다(S508).
뒤이어, 재고적재 관리부(200)가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여 수신한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관리한다(S51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10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10단계 이후, 출입배송 관리부(300)가 재고적재 관리부(200)로부터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배송정보 및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수신한다(S602).
그리고, 출입배송 관리부(300)가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된 라이더 단말기(20)로 배송정보를 전송한다(S604).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02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공간 매칭부(100)는 물류센터 단말기(10)로부터 공간매칭 요청정보를 수신하지 여부를 판단한다(S702).
제S702단계의 판단결과, 공간매칭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공간 매칭부(100)가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한다(S704).
그리고, 공간 매칭부(100)가 계측한 배송거리에 따라 입고될 물류센터 및 배송지를 분류한다(S706).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04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2단계 이후, 공간 매칭부(100)가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한다(S802).
그리고, 공간 매칭부(100)가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10)의 고유식별ID와 함께 등록하여 공간DB에 저장 및 관리한다(S804).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06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4단계 이후, 공간 매칭부(100)가 물류센터 연계정보와 대응하도록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10)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한다(S902).
그리고, 공간 매칭부(100)가 물류센터 단말기(10)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여 재고적재 관리부(200)로 전송한다(S904).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의 제S508단계에 대한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6단계 이후, 재고적재 관리부(200)가 공간 매칭부(100)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한다(S1002).
이어서, 재고적재 관리부(200)가 물류센터에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한다(S1004).
그리고, 재고적재 관리부(200)가 입고요청정보 및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재고DB에 저장 및 관리한다(S1006).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물류센터의 적재 공간별 매칭을 통해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등록하고,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 권한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의 재고상품들에 대한 보관 위치와 적재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배송정보만으로 라이더 단말기 조회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10: 물류센터 단말기
20: 라이더 단말기
100: 공간 매칭부
110: 물류거점 계산모듈
120: 물품적재 연계모듈
200: 재고적재 관리부
210: 재고적재 관리모듈
220: 출입권한 관리모듈
300: 출입배송 관리부
310: 출입배송 관리모듈
320: 라이더 관리모듈

Claims (5)

  1.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하고,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상기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하며, 물류센터 연계정보에 따라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매칭부; 및
    상기 공간 매칭부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물품정보와 대응하도록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재고적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적재 관리부로부터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배송정보 및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된 라이더 단말기로 배송정보를 전송하는 출입배송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매칭부는
    상기 물류센터 단말기로부터 공간매칭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심 지역에 분산 구축된 공유 물류센터들간의 배송거리를 계측하여 입고될 배송지를 분류하는 물류거점 계산모듈;
    각 물류센터에 입고될 물품에 대한 물품적재 공간을 분류한 배송지별로 분산시키는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물류센터 연계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의 고유식별ID와 함께 등록하여 공간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물품적재 연계모듈; 및
    상기 물류센터 연계정보와 대응하도록 분류된 물류센터와 연동된 물류센터 단말기로 입고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입고물품 분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적재 관리부는,
    상기 공간 매칭부로부터 입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고, 물류센터에 입고된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물류센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며, 입고요청정보 및 재고상품의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재고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재고적재 관리모듈; 및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물품정보를 차감하도록 재고DB에 저장된 보관/적재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생성한 배송정보별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출입배송 관리부로 전송하는 출입권한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배송 관리부는,
    상기 재고적재 관리부로부터 출고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배송정보 및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배송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출입배송 관리모듈; 및
    상기 배송DB로부터 색인한 라이더 등록정보와 출입권한 상태정보를 매칭시키고, 출입권한 상태정보와 연동된 라이더 단말기로 배송정보를 전송하는 라이더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KR1020220094533A 2022-07-29 2022-07-29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KR20240016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33A KR20240016580A (ko) 2022-07-29 2022-07-29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33A KR20240016580A (ko) 2022-07-29 2022-07-29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580A true KR20240016580A (ko) 2024-02-06

Family

ID=8985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533A KR20240016580A (ko) 2022-07-29 2022-07-29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5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68B1 (ko) 2021-03-09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복수의 물류 디바이스에 대한 통합 관리 방법 및 통합 관리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68B1 (ko) 2021-03-09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복수의 물류 디바이스에 대한 통합 관리 방법 및 통합 관리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US10354178B2 (en) Pallet mesh network
US9595018B2 (en) Switch network of containers and trailers for transport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physical items
US104456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rcel delivery to alternate delivery locations
Kim et al. Trade-off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logistics costs based on multiobjective optimization
US20140052661A1 (en) Customer centric pickup locations
US20180150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r Delivery of Retail Products
WO2016138879A1 (zh) 可循环物流器具的共用方法及其系统
Mirzabeiki An overview of freight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US11093889B2 (en) Delegate item delivery
US11144871B2 (en) Optimized container management system
CN111126857B (zh) 密集仓储的任务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00004525A (ko) 물류관리시스템
KR102284951B1 (ko) 화물 중계 및 배차 시스템
KR20190032044A (ko) 배송지에 따른 터미널 결정방법
US20200272991A1 (en) Intelligent dynamic container routing
KR20240016580A (ko)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CN110494901B (zh) 物品管理系统
KR20090051961A (ko) 차량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56811A (zh) 一种无人超市库存管理系统
KR101440909B1 (ko) 오픈 마켓 위탁 배송 시스템
KR102600709B1 (ko) 스페이스 네트워크 운영 플랫폼 장치
CN115689140A (zh) 分配月台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05060108A (ja) 物流管理システム
CN111445184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物流运输监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