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209A -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209A
KR20240016209A KR1020230095970A KR20230095970A KR20240016209A KR 20240016209 A KR20240016209 A KR 20240016209A KR 1020230095970 A KR1020230095970 A KR 1020230095970A KR 20230095970 A KR20230095970 A KR 20230095970A KR 20240016209 A KR20240016209 A KR 2024001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emical
film
based resi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스미다
유마 니시모토
도모야스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31049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4018990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2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폐액을 리사이클할 수 있는 신규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 공정과,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의 후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공정과, 상기 세정 공정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 공정을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은,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 공정,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 공정의 적어도 한쪽인 제조 방법.

Description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편광 소자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으로는,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투명 수지 필름(보호 필름 등)을 접합한 구성인 것이 일반적이다.
편광 필름은 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원단 필름에 대하여,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염색욕에 침지시키는 처리, 이어서 붕산 등의 가교제를 함유하는 가교욕에 침지시키는 처리 등을 함과 더불어, 어느 단계에서 필름을 일축 연신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종래, 염색욕이나 가교욕에 침지시킨 필름에 대하여, 필름 표면에 부착되는 붕산 등의 약품을 씻어내기 위해 수세를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10-160935호(특허문헌 1)에서는, 수세 공정에 있어서, 요오드화칼륨 1.5∼5 중량% 농도의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의해 수세함으로써, 편광 특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21-154214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칼륨을 회수하는 폐액의 처리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0-16093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21-154214호 공보
본 발명은, 번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폐액을 리사이클할 수 있는 신규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1〕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 공정과,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의 후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공정과,
상기 세정 공정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 공정
을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은,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 공정,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 공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정인 제조 방법.
〔2〕상기 리사이클 공정에서는, 상기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용량 기준으로 1/10 이하가 되도록 농축하여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1〕에 기재된 제조 방법.
〔3〕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 공정과,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상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용량 기준으로 1/2 이하로 농축하여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 공정
을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은,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 공정,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 공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정인 제조 방법.
〔4〕상기 약액 처리 공정의 후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공정을 더 가지며,
상기 폐액은 상기 세정액을 포함하는, 〔3〕에 기재된 제조 방법.
〔5〕상기 약액 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약액의 온도는 50℃ 이상인,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6〕상기 폐액은 요오드화칼륨 및 붕산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7〕상기 리사이클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약액에 첨가되는 폐액의 붕산 농도가 0.0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8〕상기 약액 처리 공정은,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 공정인, 〔1〕∼〔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9〕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부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상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용량 기준으로 1/2 이하로 농축하여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부
를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부는,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부,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인, 제조 장치.
〔10〕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부와,
상기 약액 처리부의 후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부
를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부는,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부,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인 제조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번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폐액을 리사이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편광 필름 제조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 필름은,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요오드나 이색성 염료)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것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통상,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그 비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85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몰% 이상이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바람직하게는 1500∼5000이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광 필름 제조의 개시 재료로서, 두께가 65 ㎛ 이하(예컨대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인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원단 필름)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시장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박막의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원단 필름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400∼6000 mm 정도일 수 있다. 원단 필름은, 예컨대 장척의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롤(원단롤)로서 준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이것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에 적층된 것이어도 좋고, 즉,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적층 필름으로서 준비되어도 좋다. 이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예컨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공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필름이며,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일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상기 장척의 원단 필름을 원단롤로부터 풀어내면서, 편광 필름 제조 장치의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반송시켜, 장척의 원단 필름과 처리액을 접촉시키는 소정의 처리 공정을 실시한 후에 건조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장척의 편광 필름으로서 연속 제조할 수 있다. 또, 처리 공정은, 필름에 처리액을 접촉시켜 처리하는 방법이라면 한정되는 것은 없고, 분무, 유하, 적하, 침지 등에 의해 처리액을 필름 표면에 부착시켜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처리 공정이, 필름을 처리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 하나의 처리 공정을 행하는 처리액은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고, 2개 이상의 처리액에 필름을 순차적으로 침지시켜 하나의 처리 공정을 완성시켜도 좋다.
상기 처리액으로는, 팽윤액, 염색액, 가교액, 세정액 등이 예시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 공정으로는, 원단 필름에 팽윤액을 접촉시켜 팽윤 처리를 행하는 팽윤 공정과, 팽윤 처리 후의 필름에 염색액을 접촉시켜 염색 처리를 행하는 염색 공정과, 염색 처리 후의 필름에 가교액을 접촉시켜 가교 처리를 행하는 가교 공정과, 가교 처리 후의 필름에 세정액을 접촉시켜 세정 처리를 행하는 세정 공정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 일련의 처리 공정의 사이(즉, 어느 1 이상의 처리 공정의 전후 및/또는 어느 1 이상의 처리 공정 중)에, 습식 또는 건식으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른 처리 공정을 부가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약액에 첨가하여 이용하는 리사이클 공정을 더 갖는다. 상기 약액으로는, 염색액, 가교액 등이 예시된다. 상기 폐액으로는, 팽윤 공정에서 잉여된 팽윤액, 염색 공정에서 잉여된 염색액, 가교 공정에서 잉여된 가교액, 세정 공정에서 잉여된 세정액 등이 예시된다. 폐액은, 복수종의 처리액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폐액은, 약액에 첨가되는 시점에서, 농축되어 있어도 좋고, 농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폐액은, 농축될 때에는, 용량 기준으로, 예컨대 1/2 이하로 농축할 수 있다. 폐액을 농축함으로써 폐액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폐액은, 1/5 이하로 농축해도 좋고, 1/10 이하로 농축해도 좋다. 폐액은, 농축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에너지 부하의 관점에서, 1/50 이상으로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 공정은, 편광 필름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할 목적, 편광 필름 내에 잔류하는 약제의 농도를 조정할 목적 등으로 행해지며, 다른 처리 공정보다 처리액(여기서는 세정액)을 다량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폐액으로서 세정액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약액에 첨가되는 시점에서, 농축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농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처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액보다 양이 많기 때문에 보관 및 이동시키는 폐액의 양을 줄이기 위해, 용량 기준으로, 예컨대 1/10 이하로 농축해도 좋다.
폐액에 있어서, 첨가되는 약액에 원래 포함되는 약제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약제를 리사이클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로서, 요오드화칼륨, 붕산, 염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리사이클되는 폐액은, 요오드화칼륨 및 붕산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리사이클 공정에서는, 이러한 약제를 리사이클할 수 있어,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편광 필름 제조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편광 필름 제조 장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원단(미연신) 필름(10)을, 원단롤(11)로부터 연속적으로 풀어내면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시킴으로써, 필름 반송 경로 상에 마련되는 팽윤액(13), 염색액(15), 제1 가교액(17a), 제2 가교액(17b) 및 세정액(19)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키고, 마지막으로 건조로(21)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얻어진 편광 필름(23)은, 예컨대, 그대로 다음 편광판 제작 공정(편광 필름(23)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에 반송할 수 있다. 도 1에서의 필름(10, 23) 상에 나타내는 화살표는, 필름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에서는, 세정액(19)으로부터 배출되는 잉여의 세정액을 폐액으로서 회수하는 폐액 회수조(71)를 가지며, 상기 폐액의 적어도 일부가 폐액 회수조(71)를 통해 염색액 및 가교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에 첨가하여 이용된다.
도 1의 설명에 있어서, 「처리조」는, 팽윤조, 염색조, 가교조 및 세정조를 포함하는 총칭이다. 팽윤조는 팽윤액을 수납하는 조이며, 염색조는 염색액을 수납하는 조이며, 가교조는 가교액을 수납하는 조이며, 세정조는 세정액을 수납하는 조이다. 「약액조」는, 염색조 및 가교조를 포함하는 총칭이며, 「처리액」은, 팽윤액, 염색액, 가교액 및 세정액을 포함하는 총칭이며, 「약액」은, 염색액 및 가교액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팽윤액 및 팽윤액이 수납된 팽윤조, 염색액 및 염색액이 수납된 염색조, 가교액 및 가교액이 수용된 가교조, 및 세정액 및 세정액이 수용된 세정조는, 각각,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서의 팽윤부, 염색부, 가교부 및 세정부를 구성한다. 또한, 폐액 회수조(71)를 포함하는 폐액을 약액에 공급하는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서의 리사이클부를 구성한다.
편광 필름 제조 장치의 필름 반송 경로는, 상기 처리액 외에, 반송되는 필름을 지지하거나 혹은 필름 반송 방향을 더 변경할 수 있는 가이드롤(30∼48, 60, 61)이나, 반송되는 필름을 압박·협지하고, 그 회전에 의한 구동력을 필름에 부여할 수 있거나 혹은 필름 반송 방향을 더 변경할 수 있는 닙롤(50∼55)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구축할 수 있다. 가이드롤이나 닙롤은, 각 처리액의 전후나 처리액 중에 배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처리액에 대한 필름의 도입·침지 및 처리액으로부터의 인출을 행할 수 있다〔도 1 참조〕. 예컨대, 각 처리액 중에 1 이상의 가이드롤을 설치하고, 이들 가이드롤을 따라 필름을 반송시킴으로써 각 처리액에 필름을 침지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편광 필름 제조 장치는, 각 처리액의 전후에 닙롤이 배치되어 있고(닙롤(50∼54)), 이것에 의해,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액 중에서, 그 전후에 배치되는 닙롤 사이에 주속차를 부여하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팽윤 공정)
팽윤 공정은, 원단 필름(10) 표면의 이물 제거, 원단 필름(10) 중의 가소제 제거, 염색 용이성의 부여, 원단 필름(10)의 가소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처리 조건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또한 원단 필름(10)의 극단적인 용해나 실투(失透)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도 1을 참조하여, 팽윤 공정은, 원단 필름(10)을 원단롤(11)로부터 연속적으로 풀어내면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시켜, 원단 필름(10)을 팽윤액(13)에 소정 시간 침지하고, 이어서 인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원단 필름(10)을 풀어내고 나서 팽윤액(13)에 침지시킬 때까지, 원단 필름(10)은, 가이드롤(60, 61) 및 닙롤(50)에 의해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팽윤 처리에 있어서는, 가이드롤(30∼32) 및 닙롤(51)에 의해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팽윤액으로는, 순수 외에, 붕산(일본특허공개 평10-153709호 공보), 염화물(일본특허공개 평06-281816호 공보), 무기산, 무기염, 수용성 유기 용매, 알코올류 등을 약 0.01∼1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팽윤액(13)의 온도는, 예컨대 10∼5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4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 정도이다. 원단 필름(10)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300초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초 정도이다. 또한, 원단 필름(10)이 미리 기체 중에서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인 경우, 팽윤액(13)의 온도는, 예컨대 20∼7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60℃ 정도이다. 원단 필름(10)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300초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240초 정도이다.
팽윤 처리에서는, 원단 필름(10)이 폭 방향으로 팽윤하여 필름에 주름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 주름을 없애면서 필름을 반송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가이드롤(30, 31 및/또는 32)에 익스팬더롤, 스파이럴롤, 크라운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은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닙롤(50)과 닙롤(51)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팽윤액(13) 중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팽윤 처리에서는, 필름의 반송 방향으로도 필름이 팽윤 확대되기 때문에, 필름에 적극적인 연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반송 방향의 필름의 느슨함을 없애기 위해, 예컨대, 팽윤액(13)의 전후에 배치하는 닙롤(50, 51)의 속도를 컨트롤하는 등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윤액(13) 중의 필름 반송을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팽윤액(13) 중에서의 수류를 수중 샤워로 제어하거나, EPC 장치(에지 포지션 제어 장치: 필름의 단부를 검출하고, 필름의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 등을 병용하거나 하는 것도 유용하다.
도 1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팽윤액(13)으로부터 인출된 필름은, 가이드롤(32), 닙롤(51), 가이드롤(33)을 차례로 통과하여 염색액(15)에 도입된다.
(염색 공정)
염색 공정은, 팽윤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처리 조건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또한 필름의 극단적인 용해나 실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염색 공정은, 닙롤(51), 가이드롤(33∼36) 및 닙롤(52)에 의해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시켜, 팽윤 처리 후의 필름을 염색액(15)에 소정 시간 침지하고, 이어서 인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의 염색성을 높이기 위해, 염색 공정에 제공되는 필름은, 적어도 어느 정도의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염색 처리 전의 일축 연신 처리 대신에, 혹은 염색 처리 전의 일축 연신 처리에 더하여, 염색 처리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액(15)의 염색액에는, 예컨대, 농도가 중량비로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0.003∼0.3/0.1∼10/100인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요오드화칼륨 대신, 요오드화아연 등의 다른 요오드화물을 이용해도 좋고, 요오드화칼륨과 다른 요오드화물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붕산,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등을 공존시켜도 좋다. 염색액이 붕산을 함유하는 경우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점에서 후술하는 가교 공정의 가교액과 구별되고, 수용액이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003 중량부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면, 염색액(15)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염색액(15)의 온도는, 통상 10∼45℃ 정도, 바람직하게는 10∼4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60∼300초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수용성 이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액(15)의 염색액에는, 예컨대, 농도가 중량비로 이색성 염료/물=0.001∼0.1/100인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염색액(15)에는, 염색 조제 등을 공존시켜도 좋고, 예컨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이나 계면 활성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색성 염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이색성 염료를 병용해도 좋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염색액(15)의 온도는, 예컨대 20∼8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70℃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60∼300초 정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염색 공정에서는, 염색액(15)으로 필름의 일축 연신을 행할 수 있다. 필름의 일축 연신은, 염색액(15)의 전후에 배치한 닙롤(51)과 닙롤(52) 사이에 주속차를 부여하는 등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염색 처리에 있어서도, 팽윤 처리와 마찬가지로 필름의 주름을 제거하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반송하기 위해, 가이드롤(33, 34, 35 및/또는 36)에 익스팬더롤, 스파이럴롤, 크라운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은, 팽윤 처리와 마찬가지로,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 염색액(15)으로부터 인출된 필름은, 가이드롤(36), 닙롤(52) 및 가이드롤(37)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가교액(17)에 도입된다.
(가교 공정)
가교 공정은, 가교에 의한 내수화나 색상 조정(필름이 푸르스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처리 공정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가교 공정을 행하는 가교액으로서 2개의 가교액이 배치되고, 내수화를 목적으로 행하는 제1 가교 공정을 제1 가교액(17a)으로 행하고, 색상 조정을 목적으로 행하는 제2 가교 공정을 제2 가교액(17b)으로 행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 가교 공정은, 닙롤(52), 가이드롤(37∼40) 및 닙롤(53a)에 의해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시켜, 제1 가교액(17a)에 염색 처리 후의 필름을 소정 시간 침지하고, 이어서 인출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제2 가교 공정은, 닙롤(53a), 가이드롤(41∼44) 및 닙롤(53b)에 의해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시켜, 제2 가교액(17b)에 제1 가교 공정 후의 필름을 소정 시간 침지하고, 이어서 인출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하, 가교액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제1 가교액(17a) 및 제2 가교액(17b)을 모두 포함하고, 가교액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제1 가교액 및 제2 가교액을 모두 포함한다.
가교액으로는, 가교제를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예컨대, 붕산,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이나, 글리옥살, 글루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용매로는, 예컨대 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해도 좋다. 가교 용액에서의 가교제의 농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20 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15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액으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예컨대 1∼10 중량부 함유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가교액은, 염색 처리에서 사용한 이색성 색소가 요오드인 경우, 붕산에 더하여 요오드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양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30 중량부로 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염화지르코늄,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등을 공존시켜도 좋다.
가교 처리에 있어서는, 그 목적에 따라, 붕산 및 요오드화물의 농도, 및 가교액(17)의 온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가교 처리의 목적이 가교에 의한 내수화인 제1 가교액의 경우, 농도가 중량비로 붕산/요오드화물/물=3∼10/1∼20/100의 수용액일 수 있다. 필요히 따라서, 붕산 대신에 다른 가교제를 이용해도 좋고, 붕산과 다른 가교제를 병용해도 좋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제1 가교액(17a)의 온도는, 통상 50∼70℃ 정도, 바람직하게는 53∼65℃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1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20∼3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초이다. 또한, 팽윤 처리 전에 미리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대하여 염색 처리 및 제1 가교 처리를 이 순서대로 하는 경우, 제1 가교액(17a)의 온도는, 통상 50∼85℃ 정도, 바람직하게는 55∼80℃이다.
색상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제2 가교액에 있어서는, 예컨대,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 농도가 중량비로 붕산/요오드화물/물=1∼5/3∼30/100인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제2 가교액(17b)의 온도는, 통상 10∼45℃ 정도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1∼3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2∼100초이다.
가교 처리는 복수회 행해도 좋고, 통상 2∼5회 행해진다. 이 경우, 사용하는 각 가교액의 조성 및 온도는, 상기 범위 내라면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가교에 의한 내수화를 위한 가교 처리 및 색상 조정을 위한 가교 처리는, 각각 복수의 공정으로 행해도 좋다.
닙롤(52)과 닙롤(53a)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제1 가교액(17a) 중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닙롤(53a)와 닙롤(53b)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제2 가교액(17b) 중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가교 처리에 있어서도, 팽윤 처리와 마찬가지로 필름의 주름을 제거하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반송하기 위해, 가이드롤(38, 39, 40, 41, 42, 43 및/또는 44)에 익스팬더롤, 스파이럴롤, 크라운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은, 팽윤 처리와 마찬가지로,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 제2 가교액(17b)으로부터 인출된 필름은, 가이드롤(44), 닙롤(53b)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세정액(19)에 도입된다.
(세정 공정)
도 1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는, 가교 공정 후의 세정 공정을 포함한다. 세정 처리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부착된 여분의 붕산이나 요오드 등의 약제를 제거할 목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내에서의 붕산이나 요오드 등의 약제의 농도를 조정할 목적 등으로 행해진다. 세정 공정은, 예컨대, 가교 처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19)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세정 공정은, 세정액(19)에 필름을 침지시키는 공정 대신에, 필름에 대하여 세정액을 샤워로서 분무하는 것에 의해, 혹은 세정액(19)에 대한 침지와 세정액의 분무를 병용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19)에 침지하여 세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세정 처리에서의 세정액(19)의 온도는, 통상 2∼40℃ 정도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2∼120초 정도이다.
또, 세정 처리에 있어서도, 주름을 제거하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반송할 목적으로, 가이드롤(45, 46, 47 및/또는 48)에 익스팬더롤, 스파이럴롤, 크라운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세정 처리에 있어서,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연신 처리를 행해도 좋다.
(연신 공정)
전술한 바와 같이 원단 필름(10)은, 상기 일련의 처리 공정 사이(즉, 어느 1 이상의 처리 공정의 전후 및/또는 어느 1 이상의 처리 공정 중)에, 습식 또는 건식으로 일축 연신 처리된다. 일축 연신 처리의 구체적 방법은, 예컨대, 필름 반송 경로를 구성하는 2개의 닙롤(예컨대, 처리액의 전후에 배치되는 2개의 닙롤) 사이에 주속차를 부여하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 일본특허 제273181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열롤 연신, 텐터 연신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롤간 연신이다. 일축 연신 공정은, 원단 필름(10)으로부터 편광 필름(23)을 얻을 때까지 복수회에 걸쳐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신 처리는, 필름의 주름 발생의 억제에도 유리하다.
원단 필름(10)을 기준으로 하는, 편광 필름(23)의 최종적인 누적 연신 배율은 통상, 4.5∼7배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6.5배이다. 연신 공정은 어느 처리 공정으로 행해도 좋고, 2 이상의 처리 공정으로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연신 처리는 어느 처리 공정으로 행해도 좋다.
(건조공정)
세정 공정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건조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건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건조로(21)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로(21)는 예컨대 열풍 건조기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컨대 30∼100℃ 정도이며, 건조 시간은, 예컨대 30∼600초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건조시키는 처리는,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편광 필름(23)의 두께는, 예컨대 약 5∼30 μm 정도이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권취 롤에 순차적으로 권취하여 롤의 형태로 해도 좋고, 권취하지 않고 그대로 편광판 제작 공정(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 등을 적층하는 공정)에 제공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대한 그 밖의 처리 공정)
상기 처리 이외의 처리를 부가할 수도 있다. 추가될 수 있는 처리의 예는, 가교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붕산을 포함하지 않는 요오드화물 수용액에 대한 침지 처리(보색 처리), 붕산을 포함하지 않고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대한 침지 처리(아연 처리)를 포함한다.
(리사이클 공정)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리사이클 공정에 있어서는, 세정 공정에서 이용된 세정액 중, 잉여의 세정액이 폐액 회수조(71)에 회수된 후, 폐액 회수조(71)에 회수된 폐액의 적어도 일부가, 염색액(15), 제1 가교액(17a), 제2 가교액(17b)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첨가되어 리사이클된다. 염색액(15), 제1 가교액(17a) 및 제2 가교액(17b)에 있어서는, 침지한 필름에 의해 외부로 꺼내어지는 것에 의해, 또는 약액의 증발에 의해, 약액량이 감소하고, 또한 약제 농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색액(15), 제1 가교액(17a) 또는 제2 가교액(17b)인 처리액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폐액이 약액에 첨가되는 것에 의해, 처리액 내의 약액량이 충분한 양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는 약액 농도가 일정해지도록 유지할 수 있다.
폐액의 첨가는, 처리조 내의 약액량을 검출하여 소정량 이하가 된 경우에 첨가되는 것이어도 좋고, 처리액 중의 특정한 약제 농도를 검출하여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 첨가되는 것이어도 좋고, 항상 첨가되는 것이어도 좋고, 소정 간격으로 첨가되는 것이어도 좋다. 약액의 온도가, 50℃ 이상인 경우에는 증발량이 많아지고 감소량이 많아진다. 제1 가교액(17a) 및 제2 가교액(17b)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기 때문에, 폐액은, 적어도 제1 가교액(17a), 제2 가교액(17b)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약액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액은, 약액에 첨가되는 시점에서 농축되어 있어도 좋고, 농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폐액을 농축하는 경우, 농축은, 리사이클 공정 중에 농축 공정을 마련하여 행할 수 있다. 농축 공정의 위치는, 예컨대, 세정액(19)과 폐액 회수조(71)의 사이여도 좋고, 폐액 회수조(71)와 염색액(15)의 사이여도 좋고, 폐액 회수조(71)와 제1 가교액(17a)의 사이여도 좋고, 폐액 회수조(71)와 제2 가교액(17b)의 사이여도 좋다. 리사이클 공정에서, 폐액을 농축하는 농축 수단으로는, 폐액을 압송하여 역침투막에 접촉시키고, 물만 역침투막을 통과시켜 제거하는 방법, 온풍을 불어 넣어 농축하는 방법, 증발 가마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 증발 가마에 있어서 감압과 함께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역침투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폐액을 가열하지 않고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요오드화칼륨의 산화를 억제시킬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역침투막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폐액의 압송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소용돌이 펌프, 디퓨저 펌프, 소용돌이 사류(斜流) 펌프, 피스톤 펌프, 플런저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기어 펌프, 스크류 펌프, 베인 펌프, 캐스케이드 펌프, 제트 펌프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역침투막은, 폐액으로부터 물의 분리를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붕산, 요오드화칼륨, 요오드 등의 유효 성분이 모두 통과하지 않는 역침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파이럴형 막엘리멘트, 중공사형 막엘리멘트, 튜블러형 막엘리멘트, 프레임 앤드 플레이트형 막엘리멘트 등을 들 수 있다. 역침투막은, 단수 또는 복수의 막엘리멘트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막엘리멘트를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각종 고분자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폐액의 농축 정도는, 상기와 같이 용량 기준에서의 감소량에 의해 조정해도 좋고, 또는 폐액에 포함되는 약제의 농도로 조정해도 좋고, 양자를 조합하여 조정해도 좋다. 폐액의 농축의 정도를 확인하는 대상의 약제로서, 붕산, 요오드화칼륨, 요오드, 염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폐액은, 예컨대, 붕산 농도가 5.0 질량% 이하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가 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가 되도록, 농축하고 나서 리사이클할 수 있다. 폐액은, 약액에 첨가하는 시점에서의 붕산 농도는, 0.01 질량% 이상이어도 좋고, 0.1 질량% 이상이어도 좋다.
상기 리사이클 공정에 의하면, 번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폐액을 리사이클할 수 있다.
<편광판>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되는 편광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접착제를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보호 필름으로는,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쇄상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 필름 및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해도 좋다.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접합에 이용하는 접착제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 또는 이것에 가교제가 배합된 수용액,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와 같은 수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아크릴계 화합물과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이나, 에폭시 화합물과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의 에폭시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하고, 개시제로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와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10 :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원단 필름, 11 : 원단롤, 13 : 팽윤액, 15 : 염색액, 17a : 제1 가교액, 17b : 제2 가교액, 19 : 세정액, 21 : 건조로, 23 : 편광 필름, 30∼48, 60, 61 : 가이드롤, 50∼52, 53a, 53b, 54, 55 : 닙롤, 71 : 폐액 회수조.

Claims (10)

  1.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 공정과,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의 후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공정과,
    상기 세정 공정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 공정
    을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은,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 공정,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 공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의 공정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클 공정에서는, 상기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용량 기준으로 1/10 이하가 되도록 농축하여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제조 방법.
  3.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 공정과,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상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용량 기준으로 1/2 이하로 농축하여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 공정
    을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은,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 공정,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 공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의 공정인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의 후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공정을 더 가지며,
    상기 폐액은 상기 세정액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약액의 온도는 50℃ 이상인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은, 요오드화칼륨 및 붕산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클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약액에 첨가되는 폐액의 붕산 농도가 0.0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처리 공정은,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 공정인 제조 방법.
  9.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부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상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용량 기준으로 1/2 이하로 농축하여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부
    를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부는,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부,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인 제조 장치.
  10.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약액을 접촉시켜 약액 처리를 행하는 약액 처리부와,
    상기 약액 처리부의 후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에서 생기는 폐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약액에 첨가하는 리사이클부
    를 가지며,
    상기 약액 처리부는, 상기 약액이 염색액인 염색부, 및 상기 약액이 가교액인 가교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인 제조 장치.
KR1020230095970A 2022-07-28 2023-07-24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2400162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20583 2022-07-28
JPJP-P-2022-120583 2022-07-28
JP2023104956A JP2024018990A (ja) 2022-07-28 2023-06-27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JP-P-2023-104956 2023-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209A true KR20240016209A (ko) 2024-02-06

Family

ID=8985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970A KR20240016209A (ko) 2022-07-28 2023-07-24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20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935B1 (ko) 1996-01-05 1999-01-15 유재원 흑회색 양극산화 피막용 알루미늄합금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KR20210154214A (ko) 2019-04-18 2021-12-20 아주라 오프탈믹스 엘티디 안구 질병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935B1 (ko) 1996-01-05 1999-01-15 유재원 흑회색 양극산화 피막용 알루미늄합금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KR20210154214A (ko) 2019-04-18 2021-12-20 아주라 오프탈믹스 엘티디 안구 질병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793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646511B1 (ko) 필름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및 처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80020904A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편광 필름
KR102595687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60090299A (ko)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
CN107765354B (zh) 偏振膜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KR20170031701A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580078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12480460B (zh) 偏振膜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KR20240016209A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24018990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7012891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7465036A (zh) 偏振膜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JP5956037B1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21139934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512665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7489867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の製造装置
CN117621495A (zh) 偏振膜的制造方法
KR20240028932A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70101226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TW202244146A (zh) 偏光膜的製造方法及製造裝置
JP2022038247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の製造装置
CN113752598A (zh) 偏振膜的制造方法
JP2024031841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5047553A (zh) 偏振膜的制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