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479A - 활선 경보용 커버 - Google Patents

활선 경보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479A
KR20240015479A KR1020220093405A KR20220093405A KR20240015479A KR 20240015479 A KR20240015479 A KR 20240015479A KR 1020220093405 A KR1020220093405 A KR 1020220093405A KR 20220093405 A KR20220093405 A KR 20220093405A KR 20240015479 A KR20240015479 A KR 20240015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ver
live wire
electric device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환
이종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479A/ko
Publication of KR2024001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81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using electro-opt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2Testing of transform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활선 경보용 커버가 개시된다. 활선 경보용 커버는, 전기 기기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1 코일부가 설치된 제1 센싱 바디와, 전기 기기를 사이에 두고 제1 센싱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2 코일부가 형성된 제2 센싱 바디와,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활선 경보용 커버{COVER FOR ALARMING OF ACTIVITY STATE}
본 발명은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부 등의 활선 상태의 센싱이 가능한 활선 경보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 등의 전기 기기의 경우 전선 접속 부분에서 활선 상태로 작업이 이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와 같이,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 부분 등에서 작업자는 활선 상태의 위험 을 감수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활선 측의 위험 영역을 명시하기 위해, 예를 들면 활선을 표시하는 문구가 기재된 깃발을 활선 측의 기둥에 끈 또는 고정구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여 둔다. 이로써, 변압기 또는 철탑 등의 위험 영역의 구획을 명시할 수 있다.
그러나, 깃발 등에 의해 분명히 위험 영역이 표시되어 있어도, 작업에 집중하고 있는 작업자는 무심코 위험 영역에 가까워지거나 위험 영역 내로 침입해 버리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위험 영역을 침입해도 이러한 사실을 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없어 작업자가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작업자는 작업 중에도 끊임없이 위험 영역의 표시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부 등의 활선 상태를 원거리에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한 확인이 가능한 활선 경보용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기기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1 코일부가 설치된 제1 센싱 바디와, 전기 기기를 사이에 두고 제1 센싱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2 코일부가 형성된 제2 센싱 바디와,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제1 센싱 바디는, 내부에는 제1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바디부와, 제1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1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의 측면에는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부는, 제1 바디부의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와, 제1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는 측면에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전선 접속 부분에 삽입되며 라운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바디부의 라운드 형상의 양단의 각각에는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부는, 내부에 제1 코일부를 절연 상태로 설치하는 절연 재질일 수 있다.
제2 센싱 바디는, 내부에는 제2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제2 바디부와, 제2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2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의 측면에는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부는, 제2 바디부의 제2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 수 있다.
제2 바디부는 측면에 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전선 접속 부분에 삽입되며 라운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2 바디부의 양단의 각각에는 전자석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금속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의 양단의 각각에는 제1 바디부의 양단의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금속부재는 삽입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바디부의 양단의 각각에 설치된 전자석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바디부는, 내부에 제2 코일부를 절연 상태로 설치하는 절연 재질일 수 있다.
조명부는, 제1 바디부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조명과, 제2 바디부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은, 제1 바디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일 수 있다.
제2 조명은, 제2 바디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기기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1 코일부가 설치된 제1 센싱 바디와, 전기 기기를 사이에 두고 제1 센싱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2 코일부가 형성된 제2 센싱 바디와,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제1 센싱 바디는, 내부에는 제1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은 제2 센싱 바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절연 재질의 제1 바디부와, 제1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1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의 측면에는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부는, 제1 바디부의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와, 제1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의 라운드 형상의 일단에는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싱 바디는, 내부에는 제2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제1 바디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바디부와, 제2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2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부는, 제2 바디부의 상기 제2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의 일단에는 전자석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금속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의 일단에는 제1 바디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는, 제1 바디부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조명과, 제2 바디부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은, 제1 바디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일 수 있다.
제2 조명은, 제2 바디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선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부 위치에 설치되어, 활선 상태에서 코일에 유도되는 전기에 의해 조명부의 점등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조명부의 점등 상태를 확인하여 활선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바, 전기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활선 경보용 커버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300)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등에 삽입되어, 전기적 활선 상태의 여부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활선 경보용 커버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용 커버(300)는, 전기 기기(10)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1 코일부(120)가 설치된 제1 센싱 바디(100)와, 전기 기기(10)를 사이에 두고 제1 센싱 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2 코일부(220)가 형성된 제2 센싱 바디(200)와, 제1 코일부(120)와 제2 코일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기기(10)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230)를 포함한다.
제1 센싱 바디(100)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등의 활선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부분이 측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센싱 바디(100)는 전기 기기(10)를 사이에 두고 제2 센싱 바디(2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전기 기기이 전선 접속 부분의 활선 상태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감전 등의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센싱 바디(100)는, 내부에는 제1 설치 공간(112)이 형성되는 제1 바디부(110)와, 제1 설치 공간(1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조명부(23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1 코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의 측면에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오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부(110)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굴곡된 일측에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등의 활선 상태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부분에 접촉되는 제1 오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제1 코일부(120)의 설치를 위한 제1 설치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설치 공간(112)은 제1 바디부(1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1 바디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코일부(120)가 제1 설치 공간(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는 내부에 제1 코일부(1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감전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무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설치 공간(112)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코일부(120)는, 제1 바디부(110)의 제1 설치 공간(1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121)와, 제1 지지대(121)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코일(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21)는 제1 바디부(110)의 제1 설치 공간(112)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설치 공간(112)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21)는 제1 설치 공간(112)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에는 제1 코일(123)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23)은, 제1 설치 공간(112)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지지대(121)의 외표면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조명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23)은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위치에서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일 경우 전기가 유도되도록 제1 지지대(12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센싱 바디(200)는, 전기 기기(10)를 사이에 두고 제1 센싱 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싱 바디(100)를 구성하는 제1 바디부(110)의 양단에는 전자석(130)이 설치되고, 제2 센싱 바디(200)를 구성하는 제2 바디부(210)의 양단의 내부에는 전자석(130)에 고정되는 금속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자석(130)은 제1 바디부(110)의 양단의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코일(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제1 코일(123)에 전기가 유도되는 바, 전자석(130)은 제1 코일(123)에 유도된 전기에 의해 자화되어 금속부재(14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210)의 서로간에 전자석(130)의 자력에 의해 용이한 고정을 위해, 제1 바디부(110)의 전자석(130)이 설치된 양단은 제2 바디부(210)의 양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바디부(210)의 양단에는 제1 센싱 바디(100)의 양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213)의 저면에는 전자석(130)에 고정되는 금속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부(110)의 양단이 제2 바디부(210)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213)의 내부에 삽입되는 바, 전자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제1 바디부(110)의 단부에 설치된 전자석(130)이 제2 바디부(210)의 삽입홈(213)의 내부에 설치된 금속부재(140)에 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센싱 바디(200)는, 내부에는 제2 설치 공간(212)이 형성되는 제2 바디부(210)와, 제2 설치 공간(2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조명부(23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2 코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싱 바디(200)는 전기 기기를 사이에 두고 제1 센싱 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부 위치에서 활선 상태일 경우, 제1 센싱 바디(100)에 전자석(130)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바디부(210)는 측면에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2 오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부(210)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굴곡된 일측에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등의 활선 상태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부분에 접촉되는 제2 오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10)의 내부에는 제2 코일부(220)의 설치를 위한 제2 설치 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212)은 제2 바디부(2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2 바디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코일부(220)가 제2 설치 공간(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10)는 내부에 제2 코일부(2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감전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무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디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설치 공간(212)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코일부(220)는, 제2 바디부(210)의 제2 설치 공간(2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221)와, 제2 지지대(221)를 따라 설치되는 제2 코일(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대(221)는 제2 바디부(210)의 제2 설치 공간(212)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설치 공간(212)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대(221)는 제2 설치 공간(212)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에는 제2 코일(223)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코일(223)은, 제2 설치 공간(212)의 내부에 설치된 제2 지지대(221)의 외표면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조명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코일(223)은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위치에서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일 경우 전기가 유도되도록 제2 지지대(22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코일(123)과 제2 코일(2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조명부(230)는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부의 활선 상태 조건에서 제1 코일(123)과 제2 코일(223)의 각각에 유도되는 전기에 의해 점등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부(230)가 점등되는 경우, 전선 접속부 위치의 활선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것이 가능하여, 전기 감전 등의 작업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230)는, 제1 바디부(110)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1 코일(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조명(231)과, 제2 바디부(210)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2 코일(2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조명(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231)은 제1 바디부(110)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활선 상태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제1 바디부(110)의 외표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명(231)은 제1 바디부(110)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조명(231)은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용이한 소정의 조명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조명(233)은 제2 바디부(210)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활선 상태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제2 바디부(210)의 외표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명(233)은 제2 바디부(210)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조명(231) 및 제2 조명(233)의 각각은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용이한 소정의 조명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활선 경보용 커버(300)는, 활선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부 위치에 설치되어, 활선 상태에서 제1 코일(123)과 제2 코일(223)에 유도되는 전기에 의해 조명부(230)의 점등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조명부(230)의 점등 상태를 확인하여 활선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바, 전기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활선 경보용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용 커버(400)는, 전기 기기(10)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1 코일부(120)가 설치된 제1 센싱 바디(100)와, 전기 기기를 사이에 두고 제1 센싱 바디(10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2 코일부(220)가 형성된 제2 센싱 바디(200)와, 제1 코일부(120)와 제2 코일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기기(10)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230)를 포함한다.
제1 센싱 바디(100)는, 내부에는 제1 설치 공간(112)이 형성되며 일단은 제2 센싱 바디(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절연 재질의 제1 바디부(110)와, 제1 설치 공간(1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기기(10)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조명부(23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1 코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의 측면에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오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부(110)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굴곡된 일측에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등의 활선 상태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부분에 접촉되는 제1 오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제1 코일부(120)의 설치를 위한 제1 설치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설치 공간(112)은 제1 바디부(1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1 바디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코일부(120)가 제1 설치 공간(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는 내부에 제1 코일부(1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감전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무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설치 공간(112)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코일부(120)는, 제1 바디부(110)의 제1 설치 공간(1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121)와, 제1 지지대(121)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코일(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21)는 제1 바디부(110)의 제1 설치 공간(112)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설치 공간(112)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21)는 제1 설치 공간(112)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에는 제1 코일(123)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23)은, 제1 설치 공간(112)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지지대(121)의 외표면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조명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23)은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위치에서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일 경우 전기가 유도되도록 제1 지지대(12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센싱 바디(200)는, 전기 기기(10)를 사이에 두고 제1 센싱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싱 바디(200)는, 내부에는 제2 설치 공간(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바디부(210)와, 제2 설치 공간(2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조명부(23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2 코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210)는, 제1 바디부(1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바디부(110)의 단부에 설치된 전자석(130)이 삽입홈(213)의 내부로 삽입되어 금속부재(140)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210)는 일단이 서로간에 힌지(310)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각각의 타단이 벌려진 상태에서 전기 기기(1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10)는 측면에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2 오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부(210)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굴곡된 일측에는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등의 활선 상태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부분에 접촉되는 제2 오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10)의 내부에는 제2 코일부(220)의 설치를 위한 제2 설치 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212)은 제2 바디부(2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2 바디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코일부(220)가 제2 설치 공간(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10)는 내부에 제2 코일부(2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감전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무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디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설치 공간(212)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코일부(220)는, 제2 바디부(210)의 제2 설치 공간(2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221)와, 제2 지지대(221)를 따라 설치되는 제2 코일(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대(221)는 제2 바디부(210)의 제2 설치 공간(212)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설치 공간(212)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대(221)는 제2 설치 공간(212)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에는 제2 코일(223)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코일(223)은, 제2 설치 공간(212)의 내부에 설치된 제2 지지대(221)의 외표면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조명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코일(223)은 전기 기기(10)의 전선 접속 부분 위치에서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일 경우 전기가 유도되도록 제2 지지대(22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코일(123)과 제2 코일(2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조명부(230)는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부의 활선 상태 조건에서 제1 코일(123)과 제2 코일(223)의 각각에 유도되는 전기에 의해 점등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부(230)가 점등되는 경우, 전선 접속부 위치의 활선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것이 가능하여, 전기 감전 등의 작업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230)는, 제1 바디부(110)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1 코일(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조명(231)과, 제2 바디부(210)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2 코일(2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조명(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231)은 제1 바디부(110)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활선 상태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제1 바디부(110)의 외표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명(231)은 제1 바디부(110)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조명(231)은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용이한 소정의 조명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조명(233)은 제2 바디부(210)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활선 상태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제2 바디부(210)의 외표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명(233)은 제2 바디부(210)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엘이디 조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용 커버(300)는, 제1 센싱 바디(100)와 제2 센싱 바디(200)의 서로간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전자석(130)의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용 커버(300)은 활선 여부의 확인을 위한 소정의 위치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전기 기기 100..제1 센싱 바디
110..제1 바디부 111..제1 오목부
112..제1 설치 공간 120..제1 코일부
121..제1 지지대 123..제1 코일
130..전자석 140..금속부재
200..제2 센싱 바디 210..제1 바디부
211..제1 오목부 212..제1 설치 공간
220..제1 코일부 221..제1 지지대
223..제1 코일 310..힌지

Claims (30)

  1. 전기 기기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1 코일부가 설치된 제1 센싱 바디;
    상기 전기 기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센싱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2 코일부가 형성된 제2 센싱 바디; 및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
    를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바디는,
    내부에는 제1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1 코일부;
    를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측면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코일;
    을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측면에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선 접속 부분에 삽입되며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활선 경보용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라운드 형상의 양단의 각각에는 상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석이 설치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내부에 상기 제1 코일부를 절연 상태로 설치하는 절연 재질인, 활선 경보용 커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 바디는,
    내부에는 제2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2 코일부;
    를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제2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제2 코일;
    을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측면에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선 접속 부분에 삽입되며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활선 경보용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양단의 각각에는 상기 전자석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금속부재가 설치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양단의 각각에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양단의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바디부의 양단의 각각에 설치된 상기 전자석에 고정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코일부를 절연 상태로 설치하는 절연 재질인, 활선 경보용 커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조명;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조명;
    을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은, 상기 제1 바디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인, 활선 경보용 커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은, 상기 제2 바디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인, 활선 경보용 커버.
  19. 전기 기기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1 코일부가 설치된 제1 센싱 바디;
    상기 전기 기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센싱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제2 코일부가 형성된 제2 센싱 바디; 및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등되는 조명부;
    를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바디는,
    내부에는 제1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은 제2 센싱 바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절연 재질의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1 코일부;
    를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측면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전선 접속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코일;
    을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라운드 형상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석이 설치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 바디는,
    내부에는 제2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전기가 유도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2 코일부;
    를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제2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제2 코일;
    을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일단에는 상기 전자석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금속부재가 설치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조명;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조명;
    을 포함하는, 활선 경보용 커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은, 상기 제1 바디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인, 활선 경보용 커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은, 상기 제2 바디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인, 활선 경보용 커버.
KR1020220093405A 2022-07-27 2022-07-27 활선 경보용 커버 KR20240015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405A KR20240015479A (ko) 2022-07-27 2022-07-27 활선 경보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405A KR20240015479A (ko) 2022-07-27 2022-07-27 활선 경보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479A true KR20240015479A (ko) 2024-02-05

Family

ID=8990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405A KR20240015479A (ko) 2022-07-27 2022-07-27 활선 경보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4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1370C (fi) Flyttbar elektrisk stroemtillfoerselanordning foer byggplatseroch liknande
US20210088199A1 (en) High visibility 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KR101326290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 지중 매설 표시장치
KR20240015479A (ko) 활선 경보용 커버
KR102314759B1 (ko) 등기구 고정 시스템
JP2019082051A (ja) 工事灯アセンブリ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277850B1 (ko) 선상용 집어등 소켓
KR101178177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0387209Y1 (ko) 방우형 작업등
ES2585033T3 (es) Dispositivo para el montaje de dos elementos
KR102340806B1 (ko)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EP2581649B1 (en) Portable light and portable lighting system
JP6590279B2 (ja) 照明器具
KR102382976B1 (ko) 가공배전라인 안전지지를 위한 고정기구
KR100880565B1 (ko) 강교용 조명장치
KR200238507Y1 (ko) 가로등의 감전방지장치
CN217273852U (zh) 照明装置
JP6283254B2 (ja) コード収納装置
KR102653037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 케이스
KR200490639Y1 (ko) 어스를 내장한 교류 조명등
US2786991A (en) Illumination failure warning device
EP3199726B1 (en) Utility pole
JP5799204B2 (ja) 給電ダクト用のプラグおよび給電ダクト
KR200385996Y1 (ko) 케이블의 이상유무 감지장치 및 그 감지장치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