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347A -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 Google Patents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347A
KR20240014347A KR1020220091965A KR20220091965A KR20240014347A KR 20240014347 A KR20240014347 A KR 20240014347A KR 1020220091965 A KR1020220091965 A KR 1020220091965A KR 20220091965 A KR20220091965 A KR 20220091965A KR 20240014347 A KR20240014347 A KR 2024001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transparent electrode
mesh
transparent substrat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최기석
이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마이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마이크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마이크로
Priority to KR102022009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347A/ko
Publication of KR2024001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은, 절연성을 갖는 투명기판; 및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육각형 그물코가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투명기판은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노출 영역을 가지고, 전도성 패턴은 노출 영역에 의해 복수의 전도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광 투과도 및 전기 전도도가 개선된 투명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 having a mesh-type conductive pattern}
본 발명은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 사이니지, 안테나, 발열필름, 차폐필름, 터치패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투명전극에 관한 것이다.
투명전극은 투명한 기판 위에 전극이 형성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시광 영역의 빛을 85% 이상 투과하는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진다.
투명전극은 빛의 투과가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태양전지 등의 전극 기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투명전극인 ITO(Indium Tin Oxide)는 산화인듐(In₂O₃)에 산화주석(SnO₂)을 첨가하여 제작되는데,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고 광 투과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기기들에서 투명전극 재료로 사용되었지만, ITO는 휨에 약하여 유연성에 한계가 있고 인듐자체가 희소금속(rare metal)으로 자원 고갈의 우려도 있다.
최근 ITO 투명전극을 대체하거나 ITO가 적용되기 어려운 새로운 응용 분야에 비ITO 계열의 소재를 활용해서 투명전극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비ITO 계열 투명전극은 '은나노와이어 투명전극, 메탈 메쉬 투명전극,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 그래핀 투명전극 및 전도성 고분자 투명전극'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사각형 메쉬 형태는 전자가 직각 모서리 부위에 부딪쳐서 전자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 직각 모서리 부위에 부딪쳐서 반사된 전자가 다른 전자의 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내측을 흐르는 전자와 외측을 흐르는 전자의 이동 속도 차이가 발생하여 데이터 속도에 영향을 미치거나 올바른 데이터가 넘어가지 않아 원하는 출력값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1411호 (공개일: 2019년06월24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광 투과도 및 전기 전도도가 개선된 투명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투명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휘어져도 손상되지 않는 얇고 유연한 투명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은, 절연성을 갖는 투명기판; 및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육각형 그물코가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투명기판은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노출 영역을 가지고, 전도성 패턴은 노출 영역에 의해 복수의 전도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투명기판은 전도성 패턴이 삽입되는 패턴홈이 형성되고, 패턴홈은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패턴홈과 전도성 패턴은 투명기판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투명기판의 양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패턴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그물코는 평행한 세 쌍의 변으로 이루어지고, 세 쌍의 변 중에서 어느 한 쌍의 변의 길이 또는 간격은 나머지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전도성 영역으로 전자 회로의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전도성 영역은 전자 회로의 배선을 형성하고, 투명전극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사이니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전도성 영역은 인접하는 단위 패턴끼리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하나 이상의 비안테나 영역과 비안테나 영역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안테나 영역을 포함하고, 투명전극은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전도성 영역은 노출 영역 없이 하나로 형성되고, 투명전극은 발열체 또는 차폐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에 의하면, 투명전극의 시인성과 전자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에 의하면, 낮은 저항을 갖는 투명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에 의하면, 투명전극의 내구성과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에 의하면, 소형 제품에도 투명전극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단위 패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투명기판의 양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패턴과 코팅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투명전극을 안테나로 사용하는 경우의 전도성 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투명전극을 발열체 또는 차폐재로 사용하는 경우의 전도성 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200)을 구비하는 투명전극(10)은, 절연성을 갖는 투명기판(100); 및 투명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육각형 그물코(R)가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전도성 패턴(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투명기판(100)은 일면 또는 양면에 전도성 패턴(200)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투명기판(100)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판 또는 유연한 필름 형태일 수 있다.
투명기판(100)은 투명성을 제공하는 기판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투명기판(100)은 유리, 사파이어 등의 무기 기판 또는 열 또는 광 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투명기판(100)은 폴리스틸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eylene terephtalate), 폴리프탈레이트 카보네이트(polyphthalate carbon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eylene terephta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emperature polyurethane),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기판(100)은 10 ㎛ 이상 50 mm 두께를 포함하고, 투명기판(100)의 재질, 두께 등을 조절하여 적절한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투명기판(100)이 상기 두께 범위 내에 포함되면, 투명전극(10)의 찢어짐 구겨짐 등에 의한 제조 공정 상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고, 적절한 휘어짐을 갖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투명기판(100)은 전도성 패턴(200)이 삽입되는 패턴홈이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패턴홈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대략 삼각형, 사각형, 반구형, 반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홈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패턴홈에 삽입되는 전도성 패턴(200)은 투명전극(10)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턴홈은 임프린팅, 코팅, 증착, 식각, 포토리소그래피 등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투명기판(100)은 전도성 패턴(200)이 형성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노출 영역(110)을 가질 수 있다.
노출 영역(110)은 투명기판(100)에서 전도성 패턴(200)이 형성되지 않고 개방되는 부분이다.
노출 영역(110)은 전도성 패턴(200)을 복수의 전도성 영역(210)으로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노출 영역(110)과 전도성 영역(210)의 배치를 조절하면, 투명전극(10)은 투명기판(100)에 전도성 영역(210)으로 복잡한 전자 회로의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기판(100)에 전도성 영역(210)으로 전자 회로의 배선을 구성하면, 투명전극(10)은 인쇄회로기판처럼 다양한 전자부품(400)이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투명전극(10)은 투명기판(1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결합되어 투명기판(100)과 전도성 패턴(200)을 보호하는 코팅층(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전도성 패턴(200)은 투명전극(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복수의 전극선이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전도성 패턴(200)은 접속단자(300)를 통해서 외부의 전원이나 전기장치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사각형 메쉬 형태는 전자가 직각 모서리 부위에 부딪쳐서 전자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 직각 모서리 부위에 부딪쳐서 반사된 전자가 다른 전자의 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내측을 흐르는 전자와 외측을 흐르는 전자의 이동 속도 차이가 발생하여 데이터 속도에 영향을 미치거나 올바른 데이터가 넘어가지 않아 원하는 출력값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육각형 메쉬 형태의 전도성 패턴(200)은 상기 사각형 메쉬 형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서리 부분의 각도를 증가시켜 전자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동일한 선폭 및 간격인 경우, 육각형 메쉬 형태의 전도성 패턴(200)은 사각형 메쉬 형태 대비 광 투과율이 약 4% 이상 높게 측정되고, 표면 발열 온도는 약 20% 낮게 측정된다.
전도성 패턴(200)을 육각형 그물코(R)가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메쉬 형태로 형성하면, 사각형 메쉬 형태보다 광 투과도 및 전기 전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육각형 메쉬 형태의 전도성 패턴(200)은 사각형 메쉬 형태보다 전자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나노 또는 마이크로 단위의 선폭을 갖는 메쉬 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투명 기판에 투명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1 nm 내지 100 ㎛의 선폭(w) 및 5 이하의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의 종횡비는 전도성 패턴(200)의 높이(또는, 깊이, h)에 대한 선폭(w)의 비율일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이 선폭 및 종횡비 범위 내에 포함되면, 투명기판(100)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투명전극(10)을 형성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전도성을 제공하고 투명 전극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도성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니켈(Ni), 티타늄(Ti), 몰리브덴(Mo), 텅스텐(W), 크롬(Cr), 백금(Pt), 또는 이들의 합금; 및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리본, 탄소나노와이어, 탄소섬유 및 카본블랙 등의 탄소계 물질;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패턴(200)은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나노니들, 분말 및 나노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투명기판(100)에 형성되는 패턴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대략 삼각형, 사각형, 반구형, 반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투명전극(10)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턴홈과 전도성 패턴(200)은 투명기판(10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고, 투명기판(100)의 양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패턴(20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도성 패턴(200)에서 하나의 육각형 그물코(R)를 형성하는 단위 패턴은 평행한 세 쌍의 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 패턴은 평행한 한 쌍의 제1변(L1), 평행한 한 쌍의 제2변(L2) 및 평행한 한 쌍의 제3변(L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 패턴의 선폭(W), 변의 길이, 평행한 한 쌍의 변의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투명전극(10)의 광 투과도 및 전기 전도도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단위 패턴을 이루는 평행한 세 쌍의 변 중에서 어느 한 쌍의 변의 길이 및/또는 간격은 나머지와 다르게 형성하면, 단위 패턴의 방향에 따라서 시인성과 전자의 흐름에 차이가 생기게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변(L3)의 간격은 제1피치(P2)로 나타낼 수 있고, 한 쌍의 제2변(L2)의 간격은 제2피치(P2)로 나타낼 수 있으며, 한 쌍의 제3변(L3)의 간격은 제2피치(P2)와 같다.
예를 들어 단위 패턴을 이루는 평행한 세 쌍의 변 중에서 한 쌍의 제3변(L3)의 길이와 간격은 한 쌍의 제1변(L1)과 제2변(L2)의 길이와 간격보다 짧게 형성하면, 제1변(L1)과 제2변(L2)으로 이루어지는 제1사잇각(θ1)보다 제1변(L1)과 제3변(L3)으로 이루어지는 제2사잇각(θ2)이 커지고, 제3변(L3) 방향의 시인성과 전자의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노출 영역(110)에 의해 복수의 전도성 영역(21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투명기판(100)이 제1슬릿(111), 제2슬릿(112), 제3슬릿(113) 및 제4슬릿(114)의 노출 영역(110)을 가지면, 전도성 영역(210)은 제1전극(211), 제2전극(212), 제3전극(213) 및 제4전극(2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200)을 구비하는 투명전극(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투명 인쇄회로기판(PCB), 사이니지, 안테나, 발열체, 차폐재, 터치센서, 유기발광다이오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유기태양전지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형 전도성 패턴(200)을 구비하는 투명전극(10)은 투명 인쇄회로기판(PCB), 사이니지, 안테나, 발열체, 차폐재, 터치센서, 유기발광다이오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유기태양전지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에서 선택된 2가지 이상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전도성 패턴(200)이 투명기판(100)의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 양면이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전극(10)을 안테나로 사용하는 경우, 전도성 영역(210)은 인접하는 단위 패턴끼리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하나 이상의 비안테나 영역(220)과 비안테나 영역(220)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안테나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비안테나 영역(220)은 투명전극(10) 전체에서 느껴지는 투명도의 통일성을 위해서 안테나 영역(230)과 동일한 전도성 패턴(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안테나 영역(220)을 이루는 각각의 단위 패턴은 육각형 그물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이 단락될 수 있다.
비안테나 영역(220)을 이루는 각각의 단위 패턴은 평행한 세 쌍의 변 중에서 어느 한 쌍의 변이 각각 단락될 수 있다.
비안테나 영역(220)을 이루는 각각의 단위 패턴은 육각형 그물코를 이루는 모든 변이 단락될 수 있다.
비안테나 영역(220)의 단위 패턴에서 단락되는 변은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비안테나 영역(220)은 투명기판(100)의 노출 영역(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기판(100)의 노출 영역(10)을 비안테나 영역(220)과 동일한 형태의 비전도성 영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노출 영역(10)을 비전도성 영역으로 형성하면, 전도성 패턴(200)은 비전도성 영역에 의해 복수의 전도성 영역(210)으로 구분되고, 투명전극(10) 전체에서 투명도의 통일성을 느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투명전극(10)을 발열체 또는 차폐재로 사용하는 경우, 전도성 영역(210)은 노출 영역(110) 없이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전극(10)을 발열체 또는 차폐재로 사용하는 경우, 투명기판(100)은 노출 영역(10)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전도성 패턴(200)은 버스바와 같은 접속단자(300)를 통해서 외부의 전원이나 전기장치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투명전극 100: 투명기판
110: 노출 영역 111: 제1슬릿
112: 제2슬릿 113: 제3슬릿
114: 제4슬릿 200: 전도성 패턴
210: 전도성 영역 211: 제1전극
212: 제2전극 213: 제3전극
214: 제4전극 220: 비안테나 영역
230: 안테나 영역 300: 접속단자
400: 전자부품 500: 코팅층
R: 그물코 L1: 제1변
L2: 제2변 L3: 제3변
W: 선폭 P1: 제1피치
P2: 제2피치 θ1: 제1사잇각
θ2: 제2사잇각

Claims (7)

  1. 절연성을 갖는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육각형 그물코가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기판은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노출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노출 영역에 의해 복수의 전도성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상기 전도성 패턴이 삽입되는 패턴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홈은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홈과 전도성 패턴은 상기 투명기판의 양면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기판의 양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도성 패턴은 서로 분리되거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는 평행한 세 쌍의 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 쌍의 변 중에서 어느 한 쌍의 변의 길이 또는 간격은 나머지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영역은 전자 회로의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전극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사이니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영역은 인접하는 단위 패턴끼리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하나 이상의 비안테나 영역과 상기 비안테나 영역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안테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전극은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영역은 상기 노출 영역 없이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전극은 발열체 또는 차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KR1020220091965A 2022-07-25 2022-07-25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KR20240014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965A KR20240014347A (ko) 2022-07-25 2022-07-25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965A KR20240014347A (ko) 2022-07-25 2022-07-25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347A true KR20240014347A (ko) 2024-02-01

Family

ID=8985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965A KR20240014347A (ko) 2022-07-25 2022-07-25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3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11A (ko) 2017-12-14 2019-06-24 한국과학기술원 투명 안테나, 투명 안테나 결합형 디바이스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11A (ko) 2017-12-14 2019-06-24 한국과학기술원 투명 안테나, 투명 안테나 결합형 디바이스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9181B2 (en) Electrically conductive articles
CN106170751B (zh) 触摸面板用导电片及静电电容式触摸面板
KR101813161B1 (ko) 투광성 전자파 차폐 및 흡수 필름
KR101051448B1 (ko) 인쇄기반 금속 배선을 이용한 투명전극 제조 방법 및 그 투명전극
US20070115572A1 (en)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 device having a meandering layer on a flexible substrate
KR20120091408A (ko) 터치 스크린 센서
US10664118B2 (en)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WO2016123811A1 (zh) 电容触摸屏及其与柔性电路板的组合
CN205665664U (zh) 触摸窗
KR20240014347A (ko) 메쉬형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는 투명전극
KR20210081027A (ko) 투명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KR20210081028A (ko) 투명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KR102480837B1 (ko) 투명 발광소자 디스플레이 및 전극 배선부의 폭 결정 방법
CN104345938A (zh) 一种透明导电膜及其引线电极
TWM593003U (zh) 雙觸控感應器結構
JP2016091627A (ja) 透明導電基材
CN210402317U (zh) 具有改进结构的电容式触控传感器
CN104345939A (zh) 一种透明导电膜及其引线电极
KR102251892B1 (ko) 발열 장치
CN210573729U (zh) 双触控传感器结构
CN104345940A (zh) 一种透明导电膜及其引线电极
WO2019064595A1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及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の製造方法
CN210110362U (zh) 透明导电膜及含其的光电器件
WO2024024509A1 (ja) 通電部材、ヒータおよび調光セル
TWM604004U (zh) 電容式觸摸感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