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212A -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 Google Patents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212A
KR20240014212A KR1020220091672A KR20220091672A KR20240014212A KR 20240014212 A KR20240014212 A KR 20240014212A KR 1020220091672 A KR1020220091672 A KR 1020220091672A KR 20220091672 A KR20220091672 A KR 20220091672A KR 20240014212 A KR20240014212 A KR 20240014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way
patient
tracheal intubation
camera
style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경
채윤정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212A/ko
Publication of KR2024001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4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는 기도삽입관, 상기 기도삽입관을 통과하여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고, 단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스타일넷 및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Tracheal intubation device and stylenet}
본 발명은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기도 내에 촬영장치를 삽입하여 환자 신체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에 관한 것이다.
환자가 갑자기 호흡이 멈춰서 응급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을 시행하는 경우, 기타 환자 스스로 호흡이 곤란한 경우, 전신마취를 유도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기관내 튜브(endotracheal tube)의 기관 삽관(tracheal intubation)("기관내 삽관"으로도 불림; 이하 "기관 삽관" 또는 "삽관"으로도 기술 함)을 요하게 될 수 있다.
기관내 튜브는 길고 환자의 기도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어서, 기관내 튜브의 선단의 위치 및 진행방향을 조정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삽관 과정에서 환자는 일반적으로 호흡이 실질적으로 중지된 상태인 경우가 많으며, 만일 삽관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신속히 삽관에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뇌에 산소공급이 중단되어 치명적인 손상 또는 사망으로 이르게 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더욱 효과적인 기관 삽관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7945호(발명의 명칭 :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고빈도 제트 환기식 후두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탄성 소재로 형성된 스타일넷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관내 삽입 시 위치 및 진행방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는 기도삽입관, 상기 기도삽입관을 통과하여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고, 단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스타일넷 및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을 제공한다.
상기 기도삽입관은,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하부에 설치되고, 환자의 구강 내 삽입되어 기도를 확보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손잡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넷은,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기도삽입관을 통과하여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단부에 배치되고, 환자의 신체 내부를 다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는,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중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에 의하면, 상기 스타일넷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에 의하면, 탄성 소재로 형성된 스타일넷 단부에 다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를 설치하여 환자의 신체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이중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여 다방향의 신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에 의하면, 시술자가 환자의 뒤 또는 앞에서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할 때 삽입 경로를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에 리모컨이 설치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100)은 기도삽입관(110), 스타일넷(120) 및 모니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기도삽입관(110)은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며 손잡이(111), 블레이드(112) 및 거치대(113)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11)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12)는 상기 손잡이(111) 하부에 설치되고, 환자의 구강 내 삽입되어 기도를 확보를 위한 공간을 유지하며, 상기 거치대(113)는 상기 손잡이(11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130)를 거치한다.
이러한 기도삽입관(110)은 사고 또는 기타 원인으로 인해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사람의 호흡 기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관 내에 삽관을 위하여 사용되는 의료기기로서, 일반적으로 후두경이라 불리고 있다.
상기 스타일넷(120)은 시술자가 상기 기도삽입관(110)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게 되고, 이후, 상기 기도삽입관(110)을 통과하여 환자의 기도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스타일넷(120)은 카메라(121)와 몸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22)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기도삽입관(110)을 통과하여 환자의 기도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몸체(122) 전체가 탄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뤄지거나, 몸체(122)의 일부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카메라(121)가 설치되는 단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상기 몸체(122) 단부에 배치되고, 환자의 신체 내부를 다방향으로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21)는 소형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술자가 환자 내부로 삽입하여 촬영 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하게 환자 신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130)는 상기 카메라(1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중모니터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100)에서의 모니터(130)는 이중모니터를 주 모니터로 사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단일모니터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100)에 리모컨(140)이 설치된 도면이다.
상기 리모컨(140)은 상기 스타일넷(120)의 카메라(111)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111)의 방향을 제어하여, 환자 신체 내부를 사각지대 없이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컨(140)은 스위치, 버튼, 키, 노브, 스틱, 기타 돌출구조물, 기타 함몰 구조물, 터치 패드, 또는 근접 감지 스위치 등의 다양한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 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110 : 기도삽입관 111 : 손잡이
112 : 블레이드 113 : 거치대
120 : 스타일넷 121 : 카메라
122 : 몸체 130 : 모니터
140 : 리모컨

Claims (5)

  1.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는 기도삽입관;
    상기 기도삽입관을 통과하여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고, 단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스타일넷; 및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도삽입관은,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하부에 설치되고, 환자의 구강 내 삽입되어 기도를 확보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손잡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넷은,
    탄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기도삽입관을 통과하여 환자의 기도로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단부에 배치되고, 환자의 신체 내부를 다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다중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중모니터를 사용하는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넷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KR1020220091672A 2022-07-25 2022-07-25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KR20240014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72A KR20240014212A (ko) 2022-07-25 2022-07-25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72A KR20240014212A (ko) 2022-07-25 2022-07-25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212A true KR20240014212A (ko) 2024-02-01

Family

ID=8985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672A KR20240014212A (ko) 2022-07-25 2022-07-25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2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45B1 (ko) 2011-07-08 2015-01-06 우다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고빈도 제트 환기식 후두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45B1 (ko) 2011-07-08 2015-01-06 우다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고빈도 제트 환기식 후두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2946B2 (en) Facial mask and endotracheal intubation system
US4846153A (en) Intubating video endoscope
TWM394136U (en) Probe with image-capturing device
JP2013056141A (ja) 気管挿管器具
KR101600339B1 (ko) 비디오 후두경
US20200029799A1 (en) Intubation accessory
TWM328878U (en) Laryngeal mask mounting assembly, laryngeal mask having probe and probe
US20190328224A1 (en) Video laryngoscope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80147381A1 (en) Endotracheal Intubation System
CN105797253A (zh) 气管插管用可视管芯、气管插管单元以及气管插管系统
KR20240014212A (ko) 기관 삽관 장치 및 스타일넷
KR102080596B1 (ko) 텐션 와이어를 구비한 후두경
EP3150245A2 (en) Ventilation with a view mask
WO2017058039A2 (en) Ventilation with a view mask
KR101070416B1 (ko) 탈부착식 내시경 가이드를 가지는 후두경
KR102458000B1 (ko) 기관 삽관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가이드 키트
KR101889690B1 (ko) 의료용 안면 마스크 및 이를 활용한 기관내 삽관 시스템
WO2024076162A1 (ko) 기관 삽관 가이드 장치 및 기관 삽관 가이드 시스템
Rabinovich Storz Video Laryngoscope
EP3153200A1 (en) Flexible bar-shaped camera and intubation device thereof
KR102288863B1 (ko)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
TW443937B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cannula in human trachea
TWI650100B (zh) 擴增呼吸道檢查系統
TWM493389U (zh) 氣管插管工具
Rajendram ProClinS Anesthesiology and Pain Management